JBCIA Feedback Survey p. 2
Summer 2019
The Great Outdoors
The Freedom of the
outdoors p. 18-21
Sunchang Gangcheon Mountain County Park
Pearls of Summer p. 22-26
Buan County Beaches
Where Past meets
present p. 27-29
Day Trip to Gunsan
Cycling in Korea p. 30-37
Equip yourself & stay safe
2023 새만금 World
Scout Jamboree p. 5
Jeonbuk Life
Jeollabuk-do’s International Magazine
Summer 2019 • Issue 15
Registration No. ISSN: 2508-128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76 (효자동3가 1525-2)
PHONE 063-280-6112
www.jbcia.or.kr/ Hand, Business, Desktop,
Corporate, Man, AerialHand
jblife.magazine@gmail.com
Jeonbuk Life Magazine is published by the Jeonbuk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JBCIA) 전라북도 국제교류센터.
EDITORIAL
Manager Peter Yi
Managing Editor Axel Lemus
Editor Dianne Pineda-Kim
ART & DESIGN
Graphic Designer Aaron Snowberger aaron.kr
WRITERS, PROOFREADERS, TRANSLATORS
Dianne Pineda-Kim, Axel Lemus, Aaron Snowberger,
Sunirmal Sheet, Shermamatova Aizharkyn,
Bree Dunn, Silayan Casino, Bee Mackie
> Survey
5
4
3
2
1
We would love to hear your thoughts
and feedback on how we can improve
your JB Life experience!
Please fill out the survey at the link
(QR Code) below!
PHOTOGRAPHERS, MODELS, ILLUSTRATORS
Seong Jin Kim, Umesh Sampath, Bree Dunn, Mike Hucko
Jeonbuk Life is a quarterly project of the Jeollabuk-do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JBCIA) which is a
specialized public diplomacy agency established by the
Jeollabuk-do Provincial Government. Our goal is to spread
news to Jeollabuk-do’s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to carry news of Jeollabuk-do throughout Korea and
abroad. This magazine publishes once per season.
※ Jeonbuk is an abbreviation of Jeollabuk-do.
To get involved, email jblife.magazine@gmail.com
2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In This Issue
Get Outside Nature Cafés Summer
Sunchang Nat'l Park - p. 22-25
6
Noteworthy
Jeonbuk News p. 6-7
Imsil Arts Festival p. 7
Resident Spotlight p. 8-10
Do you know Hangeulish?
Welcome!
Letter from the Editor
"Summer!" All the children scream and shout at not having
to go to school for a while. But there are still summer camps.
For the longest time in Jeonju, I worked many of those
summer English camps, but recently I've been reducing
my extra work during the summers to enjoy the hot and
humid weather. This weather, after all, doesn't last forever,
and getting outside more often provides the body with
essential vitamin D from the sun, and gives the mind
and spirit a chance to release stress. A quick morning
(or evening) walk (or bike ride) and sweat is good for
the whole human experience—and you can see just how
many people share that sentiment when you head out
along Jeonju's river pathways in the summer.
Personally, some of my favorite summer experiences include
greeting the sunrise, riding my bike for long distances and
in the rain, watching old men hang out and play chess (바둑)
under bridges or at Hanok Village, picnicking at the beach,
barbequing at the valley, and eating farm-fresh vegetabl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like ginseng/chicken stew
(삼계탕) on the three hottest days of summer. This year, the
three hottest days of summer fall on July 12 (초복), July 22
(퉁복), and August 11 (말복) and are a great opportunity
for expats to get together with their Korean friends for
a delicious, hot or spicy meal. Why eat hot food in the
summer? Koreans have an expression for this: "이열치열."
It means "beat the heat with heat" or "like cures like" and
when you experience it, I'm sure you'll agree, it's fun.
D
Our theme for JB LIFE! Summer is "The Great Outdoors" and
we've collected many articles and photos of some of the
very best the Korean summer has to offer. From traveling,
to going to the beach, to cycling, enjoying outdoor cafés,
and trying new foods, this edition of JB LIFE! will remind
everyone of the joys of summer.
A
O
a
c
Aaron Snowberger
JB Life Graphic Designer & Editor
4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Jeollabuk-do
The LGBTQ community & supporters
came out to share the message of
diversity, acceptance, and love
Queer Culture Festivals in Korea first started in the year 2000 in
Seoul. From 2003 to 2012, the Queer Culture Festival was held in
Jongno or Cheonggyecheon, but from 2013 to 2014, it was held
in Hongdae Street and Sinchon, where a large number of sexual
minorities reside, and from 2015 in Seoul Plaza. In Jeonju, its
first Queer Culture Festival first began on April 7, 2018 at the
Pungnammun Square in Jeonju City. “There are no sexual
majorities or minorities, but only an infinite sexual diversity,”
says one of the signs by Aramis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which aims to promote a positive
outlook on gay, lesbian, bisexual, transgender, and transsexual
communities all over the world. The colors of the rainbow were
bright and flying high at the Jeonju City Hall Plaza, with key
speakers, performers, and supporters coming together to exert
their rights in a peaceful parade.
What: 2019 전주퀴어문화축제
Where: Jeonju City Hall Plaza
When: May 19, 2019, 11a.m. to 6p.m.
2023 SaeManGeum
th
25 World Scout Jamboree
August, 2023
Invitation to a dream space, Jeollabuk-do Province ‘SaeManGeum’
The 'Land of Hope' SaeManGeum is suitable for realizing
the dreams of World Scout Jamboree.
In the 10 square-kilometer wide campsite, the scouts would
enjoy Photos the by Aramis creative International programs (Aramis국제조직 offered by 포스팅 newly 출처: established
)
Global Youth Leader Center and different types of
leisure
Celebrating
activities.
Diversity
DREAM PROGRAM
Innovative and creative capacity empowerment
programs based on the spirit of scouting
ADVANCED JAMBOREE PROGRAM
Outdoor and indoor adventure programs
at the pristine nature of fourteen cities and
counties in the region
축하의 다양한 방법
부제목: LGBTQ 단체와 서포터즈들은
다양성, 수용성, 사랑의 메시지를
전파하려 한다. 국제조직 포스터
한국의 퀴어 문화축제는 2000년에 서울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2003
년부터 2012년까지 종로나 청계천에서 퀴어 문화축제가 열렸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홍대 거리와 성 소수자가 많이 거주하는
신촌에서, 2015년부터는 서울 광장에서 열렸다. 전주에서는 2018년
4월 7일 전주시 풍남문 광장에서 첫 퀴어 문화축제가 열렸다. 전 세계
게이와 레즈비언,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및 성전환자 커뮤니티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촉진하기 위한 국제 협회인 Aramis는 "성 다수자나
소수자는 없고 무한한 성 다양성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전주시청
광장에선 무지개 빛깔이 환하게 높이 날았고, 주요 연설자와 공연자
및 지지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평화적인 퍼레이드에서 자신들의 권리를
외쳤다.
SMART PROGRAM
주제: 2019년 전주 퀴어 문화축제
장소: 전주시청 광장
일시: 2019년 5월 19일 오전 11시~오후 6시.
www.2023wsjkorea.org
www.facebook.com/2023JEONBUKSaeManGeum
Future-oriented programs using
high-technology gadgets and IT programs
DYNAMIC KOREA PROGRAM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on theauthentic
Korea culture and traditions with locals
5
Jeonbuk news
Translated by Axel Lemus
전주시, 유네스코 창의도시 연대협력 강화
Jeonju at the XII UNESCO Creative Cities Conference
By Saejong Baek
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49030&sc_section_code=S1N10&sc_sub_section_code=S2N40
The city of Jeonju attended the XIII
UNESCO Creative Cities Conference in
Fabriano, Italy from June 10th to the
15th. The conference brought together
180 cities from 72 different countries,
all recognized by UNESCO for their
use of creativity as a strategic factor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Officials from the each Creative City,
including Jeonju, used this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ties with other UNESCO
Creative Cities, share experiences, and
increase cooperation under the theme
“The Ideal City”.
군산시, 시민 안전보험 가입
Gunsan Signs Up for a Safety Insurance
Policy for its Residents
By Taeyeong Lim
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72163
The city of Gunsan recently took out
a safety insurance policy for all its
residents, including foreigners with
addresses registered in the city. From
next month Gunsan residents will
enjoy the coverage against various
safety hazards: environmental factors
(heatstroke, heat exhaustion, landslides,
fires); while using public transport; to
compensation for sexual assault victims.
The insurance policy guarantees up to
10,000,000 won in compensation and
requires no additional application steps
from residents.
전주가맥축제 준비 “대한민국 대표 여름 맥주 축제로”
Making Jeonju’s Gamaek Festival Korea’s
Biggest Summer Beer Festival
By Jangcheon Kim
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8526
The Jeonju Gamaek Festival Planning
Committee held a meeting on June 17 to
discuss details about this year’s event.
The meeting emphasized various safety
aspect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t
the festival, such as proper ventilation
for food preparation, waste disposal, &
menus for the 20 participating gamaek
businesses.
The planning committee hopes to
address last year’s concerns to make
this year’s festival Korea’s biggest
summer event.
The 2019 Jeonju Gamaek Festival will
be held from August 8th to the 10th at
Jeonju Stadium across the street fro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For more information, visit the event’s
official Facebook page (in Korean):
www.facebook.com/pg/JeonjuGamaek/
posts/?ref=page_internal
※ Gamaek means beer people can buy
at a low price and drink easily at any
street, cafe, or bar.
6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Stories from Jeollabuk-do
Written by Dianne Pineda-Kim
A Show of Talents
Imsil’s creative community gathered
together to showcase their
talent at the Imsil Arts Festival
재능 축제
Photos by Seong Jin Kim
임실의 창작단체가 한자리에 모여 임실
예술축제에서 재능을 선보였다.
Imsil is mostly known for being the main producer of the famous
Imsil cheese and the location of the only cheese-themed park
in Jeollabuk-do. But this quiet yet charming county is so much
more than its local delicacy. Its community is brimming with
artistic and creative talent, and these were showcased at the last
Imsil Arts Festival in the town’s art hall. Music performances such
as flute, saxophone, Nanta, among many others entertained
the audience, as well as song and dance numbers from Imsil’s
senior citizens. The whole day affair included art activities such
as clay pot making, woodwork, and guests painting on a 1.5m
x 10m white canvas. Special guests are also in attendance such
as Korea’s veteran actors, directors and prominent journalists
from neighboring cities covering the event.
임실은 주로 임실 치즈의 주 생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전라북도 유일의
치즈 테마 공원의 소재지로 알려져 있다. 고요하지만 다양한 매력이
풍기는 도시 임실은 치즈 외에도 자랑거리가 많다.
임실의 지역사회는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재능으로 가득 하며, 이
재능들은 최근 임실 아트 홀에서
열린 아트 페스티벌에서 역량을 발휘했다. 플루트, 색소폰, 난타
등의 공연 외에도 임실 어르신들의 노래와 춤은 관객들을 즐겁게
했다. 하루 종일 진행된 행사에는 도자기 만들기, 목공예, 1.5m x
10m 화이트 캔버스에 손님의 그림을 그리는 등의 활동이 펼쳐졌다.
임실의 인근 지역 출신의 한국 베테랑 배우, 감독, 저명한 언론인 등이
특별게스트로 참가했다.
What: The Imsil Arts Festival
Where: Imsil Art Hall
When: May 25, 2019, 11a.m. to 7p.m.
주제: 임실 예술제
장소: 임실 아트홀
일시: 2019년 5월 25일 오전 11시에서 오후 7시.
7
Resident Spotlight
Do you know hangeulish?
한글리쉬를 아시나요?
Words & Photos by Silayan Casino (번역: 이수영)
What do you think of when you
hear the name Jeonju? Perhaps
the famous dish Jeonju Bibimbap,
comprised of rice and various
vegetable toppings, a half-fried egg, and sometimes
meat. Many visitors to Korea have heard of Bibimbap,
but are sometimes unaware of where it originated
from. It is one of the cultural icons of Jeonju.
The word bibim means “to mix”. When you mix the
ingredients of Bibimbap, you get a delicate, different
taste of flavors. Similarly, when we mix language, we
get a unique combination that may pique the interest
of some language buffs.
This story introduces a new alphabet called Bibim Letters
(비빔문자), or Hangeulish (한글리쉬). The creator of this
writing system is Yu BiBim, owner of the Sori Bibim
Restaurant, next to the Jeonju Music and Culture Center.
전주라는 이름을 들을 때 무슨 생각이 떠오르나요? 아마도, 다양한
야채 고명들, 완숙에 가까운 달걀 프라이, 그리고 가끔씩 고기가 함께
나오기도 하는, 유명한 음식, 전주비빔밥일 것입니다. 한국을 찾는 많은
방문객들이 비빔밥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겠지만, 비빔밥이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비빔밥은 전주의 문화적 상징들 중
하나입니다.
비빔이라는 단어는 “섞다” 라는 뜻입니다. 비빔밥의 재료들을 섞으면,
섬세하면서도 다양한 맛들은 느낄 수가 있답니다. 이처럼, 언어를
첨가하면 언어 애호가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독특한 조합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이번 이야기에서는 비빔문자 또는 한글리쉬 라고 불리는 다른 종류의
알파벳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 글쓰기 체계의 창시자는 전주 소리문화의
전당 옆에 위치한 ‘소리비빔’ 음식점의 주인이신, 유비빔씨입니다.
8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Bibim Culture
For the past few years, I have been a regular patron
of Sori Bibim, always savoring its signature food,
cheonggukjang, or Jeonju Bibimbap. Each time I visit, I
have felt fascinated upon seeing the many pieces of
artwork, which line the walls of the restaurant, each
displaying a different kind of message.
What makes it so fascinating?
Hangeulish is an alphabet in which English consonants
are combined with Korean vowels. When you attempt
to read the posters in Hangeulish, it’s not impossible.
It is truly an ingenious mix of the two languages. Take
a look at the large frame with the complete alphabet,
similar to a Korean alphabet chart. Do you see the
way the consonants are mixed to produce the same
sounds as if it were only Hangeul?
About Mr. Yu Bibim
Born and raised in Jeonju, he first learned the English
alphabet in secondary school. He continued his studies at
Baekjae College in music composition. Mr. Yu’s inspiration
for creating the Hangeulish alphabet was inspired by
his desire to mix the two languages. He looked at each
language and developed a pattern to combine them.
지난 몇 년 동안 ‘소리비빔’ 음식점의 단골이 되어, 항상 그 음식점의
대표 음식인 청국장이나 전주비빔밥을 먹어왔습니다. 그 음식점을
방문할 때마다, 그 식당의 벽에 줄지어 걸려있는 많은 예술작품들을
보자마자 마음을 빼앗긴답니다. 그 작품들은 각각 다른 종류의
메시지들을 보여줍니다.
무엇이 한글리쉬를 매력적으로 만들까요?
한글리쉬는 영어의 자음이 한국어의 모음과 결합된 알파벳입니다.
한글리쉬로 된 포스트를 읽어 보려고 해 보면, 그것은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한글리쉬는 영어와 한국어 두 언어를 참으로 기발하게
섞었습니다. 완성된 알파벳이 적혀있는 커다란 액자를 보시면 한글
자모 차트와 비슷합니다. 자음들이 섞여서, 마치 한글로만 된 것처럼
똑같은 소리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 보이시나요?
유비빔씨에 대하여
전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그는 중학교에서 처음으로 영어 알파벳을
배웠습니다. 그는 백제대학교에서 음악 작곡을 공부했습니다. 한글리쉬
알파벳을 만들고자 하는 유씨의 포부는 영어와 한글을 섞어보고자
하는 그의 바램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그는 영어와 한글을 보고서
그것들을 결합시키는 패턴을 개발하였습니다.
9
Resident Spotlight
아들
➡ consonant: English
➡ 자음: 영어
(son = ah-deul)
딸
➡ vowel: Korean
➡ 모음: 한국어
(daughter = ddal)
Through his artwork, Mr. Yu would like to leave his
legacy, 'Bibim Philosophy' (비빔사상). He has received
both local and national media attention several times
since developing and patenting his alphabet in July
2005. In 2010, he was invited to lecture and exhibit
his artwork at Lotte Department Store in Jeonju.
When asked whether his artwork is ever sold, he replied
that he does not sell his artwork because he wants to
leave it for his family. Though no one has made the
request, he would consider consignment work.
These days, Mr. Yu is considering having a software
program developed that will allow Korean-English
speakers to type a combination of Hangeul and English.
He estimates one year for the progra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Mr. Yu hopes to have the alphabet used
in other materials, providing locals and tourists a
sense of Bibim Culture (비빔문화), for example in the
mixing—not a recreation of—“ingredients,” like K-food,
K-Pop, coffee. He envisions a culture of Korean Bibim
Food (비빔한식) and Bibim Culture.
자신의 예술작품을 통해서 유비빔씨는 자신의 유산인 ‘비빔사쌍’을
남기고 싶어합니다. 2005년 7월 자신의 알파벳을 개발한 이후로,
그는 수 차례 지역 방송 및 전국 방송의 관심을 받아 오고 있습니다.
2010년에는 롯데백화점 전주점에 초청을 받아 강연을 하며 작품을
전시하였습니다.
자신의 예술작품을 팔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그는 작품을
가족들에게 남겨주기를 원하기 때문에 팔지 않는다고 대답했습니다.
아무도 요청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위탁업무를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요즘 유씨는 한국어와 영어를 말하는 사람들이 한글과 영어를 조합해서
타자를 칠 수 있게 해 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는 그 프로그램이 개발되는데 일 년 정도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유씨는, K-푸드, K-팝, 커피처럼, “재료들”을 재창조 하는 것이 아니라
섞는다는 점에서, 비빔글자가 앞으로 다른 소재들에서도 사용되어서
지역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비빔문화에 대한 좋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는 비빔한식과 비빔문화의 문화를 마음 속에 그려 봅니다.
다음에 전주 소리문화의 전당을 방문하시면, 소리비빔 음식점에
들러서 한글리쉬를 맛 보면서 전주에서의 경험에 약간의 문화적인
비빔을 더해 보세요.
So, the next time you visit the Jeonju Music and Culture
Center, add a little cultural mix to your experience in
Jeonju by stopping by Sori Bibim to catch a dose of
Hangeulish.
10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Festival Highlight
Honeycomb
of University
Life: Daedong
Festival
대학생활의 꽃: 대동제: (번역: 한호수)
Words and Photos by
Shermamatova
Aizharkyn
11
Festival Highlight
Honeycomb
of University
Life: Daedong
Festival
대학생활의 꽃: 대동제: (번역: 한호수)
Words and Photos by
Shermamatova
Aizharkyn
11
CBNU Daedong Festival
Enjoying Daedong Festival
in day time: Refreshing and
Healing Experiences
The flea market zone, booths, food truck zone and resting
zones were open from 10 am until 6pm. Various clubs and
individuals opened booths to hold events and sell things
in the flea market and booth zones. Also, there were lots of
really creative and cute accessories and DIY souvenirs made
by CBNU students at affordable prices. Some of the activities
included making bracelets, face painting, drawing a funny
portrait, snack markets, making slime, flower sales, making
jellies, making personal perfumes and artwork exhibitions.
Revenue from some booths were contributed as donations.
The food truck zone brought wide range of food choice
such as: Turkey Kebab and ice-cream with amusing show,
Japanese Takoyaki, Mexican spicy Tacos, German hot dog and
other cuisines from various countries. Airbed mattresses and
parasol umbrellas were made available in the Healing Zone,
where students could rest and relax. Students could lie under
the umbrellas and play board games, drink coffee with their
friends and find their harmony with nature. This spot had one
of the most beautiful photo zones with motivational quotes
on the background panels.
낮에 대동제 즐기기:
상쾌함, 힐링을 경험하다
벼룩시장, 부스, 푸드트럭과 휴식공간 모두 오전 10
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린다. 다양한 동아리클럽과
학생들이 벼룩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이벤트를
위해 부스를 열었으며, 전북대학교 학생들이
만든 창의적이고 귀여운 액세서리와 직접 만든
기념품들이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는 팔찌 만들기, 페이스 페인팅, 캐리커쳐, 간식
마켓, 슬라임 만들기, 꽃 다발 판매, 젤리 만들기,
자신만의 향수 만들기, 미술 전시회 등의 부스가
있다. 이 중 몇몇 부스의 수익으로 기부를 하기도
하였다. 푸드트럭에서는 현란한 쇼를 볼 수 있는
케밥과 아이스크림, 일본 타코야키, 매콤한 멕시코
타코, 독일식 핫도그와 그 밖의 다른 나라들의
프로모션 음식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제공한다.
또한, 학생들의 휴식을 위해 에어베드 매트리스와
파라솔을 배치하여 힐링 공간을 만들었다. 학생들은
파라솔 아래에 누워 보드 게임을 하고 친구와 커피를
마시며 자연과의 조화를 느낄 수 있다. 이 장소는
가장 아름다운 포토존 중의 하나이며 동기부여
격언들이 적혀있는 격자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13
CBNU Daedong Festival
Enjoying Daedong Festival
in day time: Refreshing and
Healing Experiences
The flea market zone, booths, food truck zone and resting
zones were open from 10 am until 6pm. Various clubs and
individuals opened booths to hold events and sell things
in the flea market and booth zones. Also, there were lots of
really creative and cute accessories and DIY souvenirs made
by CBNU students at affordable prices. Some of the activities
included making bracelets, face painting, drawing a funny
portrait, snack markets, making slime, flower sales, making
jellies, making personal perfumes and artwork exhibitions.
Revenue from some booths were contributed as donations.
The food truck zone brought wide range of food choice
such as: Turkey Kebab and ice-cream with amusing show,
Japanese Takoyaki, Mexican spicy Tacos, German hot dog and
other cuisines from various countries. Airbed mattresses and
parasol umbrellas were made available in the Healing Zone,
where students could rest and relax. Students could lie under
the umbrellas and play board games, drink coffee with their
friends and find their harmony with nature. This spot had one
of the most beautiful photo zones with motivational quotes
on the background panels.
낮에 대동제 즐기기:
상쾌함, 힐링을 경험하다
벼룩시장, 부스, 푸드트럭과 휴식공간 모두 오전 10
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린다. 다양한 동아리클럽과
학생들이 벼룩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이벤트를
위해 부스를 열었으며, 전북대학교 학생들이
만든 창의적이고 귀여운 액세서리와 직접 만든
기념품들이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는 팔찌 만들기, 페이스 페인팅, 캐리커쳐, 간식
마켓, 슬라임 만들기, 꽃 다발 판매, 젤리 만들기,
자신만의 향수 만들기, 미술 전시회 등의 부스가
있다. 이 중 몇몇 부스의 수익으로 기부를 하기도
하였다. 푸드트럭에서는 현란한 쇼를 볼 수 있는
케밥과 아이스크림, 일본 타코야키, 매콤한 멕시코
타코, 독일식 핫도그와 그 밖의 다른 나라들의
프로모션 음식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제공한다.
또한, 학생들의 휴식을 위해 에어베드 매트리스와
파라솔을 배치하여 힐링 공간을 만들었다. 학생들은
파라솔 아래에 누워 보드 게임을 하고 친구와 커피를
마시며 자연과의 조화를 느낄 수 있다. 이 장소는
가장 아름다운 포토존 중의 하나이며 동기부여
격언들이 적혀있는 격자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13
CBNU Daedong Festival
저녁에 즐기는 대동제: 역동적인
공연과 나이트 파티
전북대 최고의 댄스 동아리는 대동제 첫 날 힘찬 공연으로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 이 댄스 동아리는 매우 전문적이었으며, 오프닝
무대에서 완벽한 축하 공연으로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러한
전문 댄스 동아리와는 달리 열심히 연습중인 많은 신선한 댄스
동아리들이 있었다. 이 동아리들 또한 큰 상을 수상하기 위해 댄스
경연대회에서 공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댄스 동아리들은
개인에서부터 한 팀에 30명 정도 되는 수많은 멤버들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댄스 스타일을 선보였다. 게다가 가면을 쓰고
노래하는 노래 경연대회가 펼쳐졌고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대회에 참가한 가수들은 수상자 발표 후에야 얼굴을 드러냈고,
그들은 온전히 그들의 노래 실력만으로 평가되었다. ‘2 Be
Continue’라는 풀 네임을 가진 가수 ‘투빅’과, 자신의 노래인
인기드라마 OST를 부른 가수 벤, 믿을 수 없는 음색을 가진 가수
양중은, 자신의 뮤지컬 노래를 선보인 신인 가수 ”퍼플”, 그리고
매드 클라운과 마미손은 그들만의 랩으로 홍진영은 그녀의 쾌활한
한국 트로트를 불러 대동제의 초대 손님으로 공연을 했다. 특히
올해 학생들은 토크 콘서트를 통해 K-POP스타들과의 토크를
즐길 수 있었다. 토크 콘서트는 관객들이 가수에게 이야기를 하고
질문을 할 수 있는 한류의 특징 중 하나이다. 대동제의 토크 콘서트
게스트들은 ‘406프로젝트’라는 독특한 이름의 밴드와, 개그맨
래퍼 ‘형돈이와 대준이’, ‘팝 디바 그룹’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끄는
‘마마무’가 있었다. 마마무의 노래는 독립, 여성권과 자기애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게다가, ‘팬과 셀카 찍기’와 같은 많은 이벤트들을
열었고, 전북대학교는 초대된 연예인들과 추억을 만들기 위해
멋진 시간을 보냈다. 다행스럽게도, 대동제는 매년 열린다.
그러므로 내년에도 멋진 축제에 참가하여 당신의
여름을 맞이해라.
당신의 여름의 시작이 콘서트와 축제로 빛난다면,
당신은 2019년에 더 많은 공연이 예상되는
전라북도의 여름이 얼마나 재미있고 열정적일지
상상해 볼 수 있다.
15
JBCIA Trips
Outside of the City-Rural Experience
도시-농촌 체험 외
The Jeollabuk-do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JBCIA) promotes global opportunities in rural
regions of Jeollabuk-do. The main goal of these
programs is to improve mutual exchang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Through these programs, it was ensured
that increasing understanding agricultural sites and helping
expats to understand Jeollabuk-do rural areas more in Korea.
The JBCIA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ords by
Sunirmal Sheet
Photos by
Umesh Sampath
전라북도국제교류센터(JBCIA)는 전라북도 농촌 지역의 국제적 역량을
홍보한다. 이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는 도시와 농촌간의 상호교류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농산물과 수산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한국과 전라북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래서 우리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Bright future for agriculture
and happy rural community”
It was founded by the Rural Development
Authority integrating with the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he
Agricultural Pesticides Research Institute,
the Agricultural Material Management
Division, and the Agricultural Genetic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We learned abou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farming and fishery of
Jeollabuk-do. We have experienced a threedimensional
motion picture that enhances
the depth perception about future
agriculture strategies with the conservation
of a climate-resilient agricultural and rural
environment. We learned about its future
aim to provide farmland soil management
information, develop organic farming
technology, and help rural communit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take action
against natural disasters. In addition, we
heard about their aim to support rural
community through value addi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resources.
국립농업과학기술원
“농업과 행복한 농촌
공동체를 위한 밝은 미래”
농업기술연구소, 농업유전공학연구소, 농약연구소
및 국립농업자재검사소의 일부기능을 통합하여
농촌진흥청에 의해 설립되었다.
전라북도의 농사와 어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배웠다. 기후에 민감한 농업과 농촌
환경의 보존으로 미래의 농업 전략에 대한 깊이지각을
높이는 입체영상을 체험했다. 우리는 농지 토양 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농촌 사회가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자연자해에 대처하는 것을 도와 유기농 농업 기술을
개발하고 농산물과 자원의 부가가치를 통해 농촌
사회를 지원하는 것의 목표에 대해 배웠다.
Location: Get off at the Jeonju terminal then take a taxi to RDA. Tell the driver to take you to Nong-chonjin-heung-cheong
(RDA’s Korean name) at 300, Nongsaengmyeong-ro, Wansan-gu, Jeonju-si, Jeollabok-do
54875, Republic of Korea.
위치 : 전주 터미널에서 내린 후 택시를 타고 RDA
로 가세요. 택시운전사에게 전주시 완산구 농생명로
300번지로 가달라고 말씀하세요.
16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Rural Experience
Jeollabuk-do experience tour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Hall
Do you want to know Korean history?
Then you must go here! It contains ‘The
Annals of the scholars in Chosun and
Donhuk Farmers’ Revoluti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동학
농민 혁명), is also known as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동학 농민 운동). It
has a variety of names such as Donghak
Rebellion, Peasant Revolt of 1894, Gabo
Peasant Revolution, and a different other
names. It was an armed rebellion in Korea
led by aggravated peasants and followers
of the Donghak religion. Donghak religion
is a panentheistic religion viewed by many
rebels as a political ideology.
Donghak is a revolutionary movement
from the root. Most members,
participants were farmers. The principles
and doctrines are still very goo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people. Moreover,
it was influenced by the Catholic and
Christianity from Western culture.
Unfortunately, it became a stepping stone
for the Japanese army to enter Korea and
later invade the country. You will know
about the part of Korean history there.
From this place revolution spread out all
over Korea.
동학농민혁명 기념관
한국의 역사를 알고 싶어? 그럼 꼭 이곳을 가봐야해!
동학농민혁명은 동학농민운동이라고도 하며,
동학혁명, 1984농민혁명, 갑오농민혁명 그리고 그
외의 여러 명칭들은 가중된 농민들과 동학지도자들과
동학교도들이 주도한 대한민국의 무장 봉기로, 많은
반군들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간주하고 있는 종교이다.
동학은 근본부터 혁명운동인데, 대부분의 참가자는
농민들이었습니다. 저 같은 현대인의 입장에서 봐도
동학의 원칙과 교리는 아직도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동학은 서양 문화로부터 가톨릭과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습니다.그리고 일본군이 한국
안으로 들어와 나중에 한국을 통치하는 계기가
되었다. 슬픈 이야기다. 동학농민혁명 기념관에서
한국 역사의 한 부분을 알게 될 거예요. 이곳에서부터
혁명은 한국 전역으로 퍼져나갔어요.
Location: 742, Donghak-ro, Dukchun-myeon, Jeongeup-city, Jeollabuk-do.
위치: 전라북도 정읍식 덕춘면 동학고 742번길
17
JBCIA Trips
Taesan Scholar VillAge
태산 선비 마을
This area covers Chilbo, Sannae,
Ongdong, and many other places in
Jeongeup, the reg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Scholar Cultural Heritage.
This is also tentatively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 One side a gentle
slope of the hills along the village with
beautiful green agriculture field makes
this place astounding and fascinating.
It symbolizes the heart of Korean
traditions, reflecting stubborn
conservatism, fidelity, and the royalty
of Korean Sunbi. Sunbi is classical
scholar in Chosun Dynasty. Because of
their belief, they could preserve some
historical buildings and traditions. You
can see many of the buildings' remains
there, not like other places in Korea. It
has very unique style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s. You can
find many things there, for example the
classroom, sleeping place, dormitory
which was used by scholars in the past.
Visitors can experience th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a variety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inside the
training center. When visitors enter
the center, they might feel the old
days in Joseon Dynasty. The villages
provide peace of mind through nature
and a quiet atmosphere. The scholar
village is well prepared for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an
ancestral ritual ceremony experience,
meditation, ethnic food preparation
that encourages confidence through
group games, and classical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s are especially
beneficial to children; so many families
visit the center.
이 지역은 칠보, 산내, 옹동 등 선비 문화유산이 가장
많은 정읍의 여러 곳에 걸쳐 있다. 이 또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잠정 등재되어 있다. 한쪽은
아름다운 녹색 농업장이 있는 마을을 따라 완만한
언덕의 비탈을 이루고 있어 놀랍도록 매혹적이다
한국 전통의 중심, 완고한 보수주의, 한국선비(
조선 왕조시대 학자)의 충성을 상징한다. 그들의
믿음덕분에 우리의 역사적인 건물과 전통을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이곳에서는 한국의 다른 곳들과는 달리
많은 선비문화유산을 볼 수 있다. 교실, 자는 곳, 옛날
선비들을 위한 기숙사 등 많은 것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체험관안에 있는 다양한 한옥들을 통해
과거 조선시대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방문객들이
이곳에 들어가면 그들은 조선시대를 느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또한, 체험할 수 있는 일곱 개의 한옥이
있는데, 객실이름은 칠보면의 일곱 가지 보물 이름으로
지어졌습니다. 한옥들이 자연과 조화롭게 어울러져
나오는 분위기는 마음의 평화를 가져다줍니다.
Location: 1807 Chilbosan-ro, Chilbo-myeon, Jeongeup-city, Jeollabuk-do, South Korea.
위치: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산로 1807번길
18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Rural Experience
선비마을은 조상의 제사체험, 명상, 전통음식준비,
고전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있고, 특히 아이들에게 유익하기
때문에 많은 가족들이 이 센터를 방문하고 있습니다.
마을에서의 경험 :
전통 차 만들기
조선 왕조 시대 에는(1392-1910)때부터 차를
의례적으로 마시는 것이 지금까지 계속되었고
때문에 더욱 세련되어졌습니다. 우리는 잎을 끓인
물로 이루어진 한국 차를 만드는 체험을 했다.
Experiences during
stay at village:
Traditional tea ma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ritualistic drinking of tea continued
and was further refined. We made
Korean tea, consisting of boiled water
infused with leaves.
Food preparation with lotus leaf: “Lotus
leaf dish contains the power of prayer”.
Yeunipbap, or steamed rice wrapped in
lotus leaves, is a very old traditional,
healthy “slow food” dish that not only
pleases the taste buds but is also
visually attractive. Steamed rice rolls up
inside the lotus leaf, and with rice there
is a mixture of sorghum, millet, ginko
nuts, jujubes and other herbs. After that
the leaf need to close and stich with
wooden tooth pick. The closed leaf
pack has keep for steaming. As you peel
off the lotus leaf to expose the sticky
rice, the scent strengthens. The dish is
full of nutrition, as are the lotus roots,
and various healthy component which
are added to the mixture. Earlier days
this dish was one of the most luxurious
dishes served at Buddhist temples. In
Buddhism, lotus flowers signify nirvana.
When important guests come to the
temple, this dish was almost always
provided in the menu.
Perhaps because the dish was often served
in Buddhist temples, it has a reputation of
carrying certain mystical powers
'Hanji' Craft Fan
drawing
Korean paper, called Hanji, is one of the
art forms that are still made here today.
It was a wonderful experience drawing
your own imagination on a fan.
Sonchambong
Chosun Villege
The Sonchambong Chosun Villegeis is
Korea’s Cultural Pride a part series on the
country’s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t has authentic house “Oeam style”,
living in the same old buildings and
keeping the traditions. Some villagers
also make a living by running bed and
breakfasts for tourists who want to take
a peek into the lifestyle of late Joseon
era people. You can imagine and feel the
lives of the ancestors of Korea.
연꽃잎을 사용한 음식 준비 : "연꽃잎 요리에는
기도의 힘이 들어 있다."
연잎밥, 또는 연꽃잎에 싸서 찐 쌀은 전통적이고
건강한 “슬로 푸드” 입니다. 입맛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보기에도 정말 예뻐요! 뜨거운 연잎에선 김이
모락모락 나고, 안에는 찰밥, 수수, 밀레, 은행열매,
대추, 기타 약초가 섞여 있습니다. 찹쌀을 드러내기
위해 연잎을 벗기자 향기가 짙어지는데, 연뿌리를
잘라 끓여 넣었기에 밥에도 영양이 풍부하답니다.
이 요리는 오랫동안 불교 사원에서 제공되는 가장
호화로운 음식 중 하나였다. 불교에서 연꽃은 열반을
상징하는데, 그래서 중요한 손님들이 절에 왔을 때 이
요리는 거의 항상 메뉴에 있다고 합니다.
아마 이 요리가 불교 사원에서 자주 나왔기 때문에
어떤 신비한 힘을 지니고 있다는 소문도 있어요.
‘한지’ 공예 부채
한지라고 불리는 한국종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곳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예술 형식 중 하나이다.
팬에 대한 자신의 상상력을 그리는 멋진 경험이었다.
송참봉조선동네
송참봉조선동네는 한국의 문화 자부심입니다.
전통적인 한국 주택 “초가집”에 살면서 전통을 지키고
있습니다. 일부 촌락민들은 조선 후기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보고 싶어 하는 관광객들을 위해 민박집을
운영하며 생활하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이를 통해
한국인 조상들의 삶을 상상하고 느낄 수 있을 거예요.
Location: 1290-118, Youngwon-ro, Lipyeong-myeon, Jeongeup-city, Jeollabuk-do, South Korea.
위치: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 영원로 1290-118.
19
Travel Jeonbuk
The Great
The Korean summer is a perfect time
to explore the country. Though it
may be hot, there are plenty of
ways to cool off and places to explore. From
cool mountain trails through Korea's dense
forests to temperate beaches on the west
coast; from city tours to river walkways,
Korea has much outdoor adventure for the
curious traveler. Come and explore it with us!
20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The Great Outdoors
The Freedom of the
outdoors p. 18-21
Sunchang Gangcheon Mountain County Park
Pearls of Summer p. 22-26
Buan County Beaches
Where Past meets
present p. 27-29
Day Trip to Gunsan
Cycling in Korea
t
p. 30-37
Equip yourself & stay safe
Outdoors
21
Travel Jeonbuk
Freedom The of
the Outdoors
야외에서의 자유
Escape to the green landscapes
and refreshing views of
the Sunchang Gangcheon
Mountain County Park
순창 강천산군립공원의 푸른
풍경과 상쾌한 경치로의 탈출
Words by Dianne Pineda-Kim
Photos by Seong Jin Kim
Models Bree Dunn and Mike Hucko
번역 성아영
It was 24 degrees, balmy air was
blowing and the sun was shining
brightly, with the weather perfect
enough for a quick weekend day
trip. There’s no denying that summer is
here, and it’s giving Jeollabuk-do a warm
welcome. For most people, however,
summer exudes an air of excitement: of
picnics in the park, of irresistible dips in the
water, and of long drives with the window
down and the itinerary tossed away.
22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Town preserved by time
Just about an hour from Jeonju by car, we
took the expressway to Sunchang County, a
destination in the North Jeolla Province known
for producing the best gochujang, or chili
paste. As we went farther, nature enveloped
us while we passed an off-the-beaten stretch
of mountains and trees that beckon stressed
urbanites like us. One of the county’s most
Sunchang Mountain Park
섭씨 24도, 따스한 공기가 불어오고
태양은 밝게 빛나고, 짧은 주말
나들이에 충분히 완벽한 날씨였습니다.
계절은 여름으로 들어섰고, 전라북도를
따뜻하게 환영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여름은 활기찬 에너지를
풍깁니다. 공원에서의 소풍, 거부할 수
없는 물 속으로의 잠수, 그리고 창문을
내린 채 하는 긴 드라이브와 함께
그렇게 여행일정은 내던져집니다.
시간에 따라 보존된 지역
전주에서 차로 한 시간 만에, 우리는
고속도로를 타고 전라북도에서 가장
맛있는 고추장과 매운맛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진 순창군으로 갔습니다.
우리가 멀리 갈수록, 우리처럼 스트레스
받는 현대인들에게 손짓하는 흔치 않은
산과 나무들을 지났고 자연은 우리를
감싸줬습니다. 순창군의 명소 중 하나인
강천산군립공원은 도시의 소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자연과 소통할 수 있으며,
걱정을 뒤로 할 수 있는 고요한 곳입니다.
이 곳은 한국 전통 문학에 “옥이 굴러
내려가는 것과 같은 아름다움을 지닌
계곡”이라고 묘사 되어있습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직접 농사를 짓는
넓은 땅에 이곳 저곳 있는 전통가옥을
보면서, 오랜 세월에도 불구하고
건재한 이 곳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강천산은 1981년 정부에 의해 대한민국
최초의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그 명칭은 강천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을에 나뭇잎들이
단풍으로 아름답게 변하면서 그
풍경은 마치 빨강색과 노랑색을 칠한
것처럼 보입니다. 봄에는 벚꽃으로
주위가 분홍빛으로 물들고, 겨울에는
반짝반짝 빛나는 흰 눈으로 덮입니다.
여름에 녹색의 청량한 그림자로 물들 때
면 그저 숨이 턱 막히는 것만 같습니다.
well-known destinations is the Gangcheon Mountain
County Park, a tranquil place where one can go far
away from the city’s noise, commune with nature, and
ultimately leave one’s worries behind. It is described
in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as, “A valley that has the
beauty like rolling down jades.”
We got the impression that the place stood the
test of time—on the way we saw traditional houses
here and there, with wide stretches of land where
people cultivate their own produce.
Mt. Gangcheon w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s Korea’s first county park in 1981, with its name
believ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Gangcheon
Temple. In autumn, the landscape seemed like
it was painted with red and yellow colors, as the
leaves transformed beautifully into fall foliage. In
spring, the surroundings are tickled pink with cherry
blossoms, while in winter the place is blanketed
with gleaming white snow. It is just as breathtaking
during the summer with its fresh shades of green.
23
travel jeonbuk
A full course
At the foot of the hill was a river where kids can play and
adults can roll up their jeans and dip their feet in the cool
water. Deep inside of the park, there were happy campers
who brought out tents and small chairs, and picnic-goers who
brought snacks and drinks.
전체 코스
언덕 기슭에는 냇가가 있는데 이 곳에서 아이들은
물놀이를 할 수 있고, 어른들은 바지를 말아올려 시원한
물에 발을 담글 수 있습니다. 공원의 안쪽 깊숙한
곳에는, 텐트와 미니의자를 꺼내는 행복한 야영객들과
간식과 음료를 가져온 소풍객들이 있습니다.
One of the main attractions of the park is the Byeongpung
Waterfall, a 40m high artificial waterfall that provides a
beautiful backdrop for photos and a place where one can
stop and enjoy the calming sounds of the water. Further down
the park is a small bridge that has rails made in the shape of
chili, symbolizing the county’s specialty.
공원의 주요 관광명소 중 하나로 병풍 폭포가 있는데
사진의 아름다운 배경이 되는 40m 높이의 인공
폭포이며, 멈춰서 잔잔한 물소리를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공원의 더 아래쪽에 보면 고추 모양의
난간을 가진 작은 다리가 있는데, 순창군의 특산품을
상징합니다.
Another interesting part of the mountain trail is the barefoot
walkway, a 2.5km long red clay road leading up the hike that
encourages visitors to take off their shoes and feel nature in
its finest form. It is believed that walking barefoot has several
healing properties, but one thing’s for sure: you will feel
relaxed once your foot steps on the smooth, sandy surface.
산길의 또 다른 관광명소는 방문객들이 그들의
신발을 벗고 가장 최적의 형태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길이 2.5km의 붉은 흙 길, 맨발산책로입니다. 맨발로
걷는 것은 몇 가지의 치유 속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가 좋은 속성은 부드럽고 푹신한
표면을 밟을 떼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24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Sunchang Mountain Park
Halfway around the course, we were greeted by Gangcheonmun,
a traditional Korean structure that signals that there is a
temple ahead. True enough, there was a Buddhist temple
flanked by colorful lanterns in pinks, reds, greens and blues
in perfect contrast to the gray stones and green background.
코스를 절반 정도 돌고, 우리는 근처에 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전통적인 한국 건축물인 강천문을
보았습니다. 정말로, 그곳에는 회색 돌, 녹색 배경과는
대조적인 분홍색, 빨강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된
화려한 등불들로 둘러싸인 절이 있었습니다.
Last but not least, a full experience of the mountain will not
be complete without crossing the Hyeonsu Bridge, a 50m tall
and 75m long bridge constructed in 1980. I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n the Honam Region.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1980년에 지어진 높이
50m, 길이75m의 현수교를 건너지 않고서는 산의
완전한 경험을 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현수교는
호남지역 에서 최대 규모로 손꼽히는 다리입니다.
A place for families
가족을 위한 장소
So whether you’re seeking the sun or looking for a quick
escape, Sunchang is the perfect place where you can bask
in the glory of summer. It’s a destination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valley, the mountains, and all the wonderful
elements that nature and friendly locals have to offer. It is a
place to refresh the mind, body, and spirit.
당신이 햇볕을 찾던지, 빨리 쉴 수 있는 장소를
찾던지 간에, 순창은 당신이 여름의 영광을 만끽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장소입니다. 또한 순창은 계곡,
산 그리고 자연과 친절한 지역 주민들이 제공해주는
훌륭한 요소들을 체험할 수 있는 행선지이며, 마음과
몸 그리고 영혼을 맑게 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Website (홈페이지): http://i-english.sunchang.go.kr
Address: San 324, Cheonggye-ri, Paldeok-myeon, Sunchang-gun, Jeollabuk-do
주소:(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산324)
Telephone (연락처): 063-650-1672
Entrance fee : Adult W3,000/ Children W2,000
입장료:성인 3000원, 유아 2000원
25
Sunchang Mountain Park
Halfway around the course, we were greeted by Gangcheonmun,
a traditional Korean structure that signals that there is a
temple ahead. True enough, there was a Buddhist temple
flanked by colorful lanterns in pinks, reds, greens and blues
in perfect contrast to the gray stones and green background.
코스를 절반 정도 돌고, 우리는 근처에 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전통적인 한국 건축물인 강천문을
보았습니다. 정말로, 그곳에는 회색 돌, 녹색 배경과는
대조적인 분홍색, 빨강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된
화려한 등불들로 둘러싸인 절이 있었습니다.
Last but not least, a full experience of the mountain will not
be complete without crossing the Hyeonsu Bridge, a 50m tall
and 75m long bridge constructed in 1980. I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n the Honam Region.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1980년에 지어진 높이
50m, 길이75m의 현수교를 건너지 않고서는 산의
완전한 경험을 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현수교는
호남지역 에서 최대 규모로 손꼽히는 다리입니다.
A place for families
가족을 위한 장소
So whether you’re seeking the sun or looking for a quick
escape, Sunchang is the perfect place where you can bask
in the glory of summer. It’s a destination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valley, the mountains, and all the wonderful
elements that nature and friendly locals have to offer. It is a
place to refresh the mind, body, and spirit.
당신이 햇볕을 찾던지, 빨리 쉴 수 있는 장소를
찾던지 간에, 순창은 당신이 여름의 영광을 만끽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장소입니다. 또한 순창은 계곡,
산 그리고 자연과 친절한 지역 주민들이 제공해주는
훌륭한 요소들을 체험할 수 있는 행선지이며, 마음과
몸 그리고 영혼을 맑게 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Website (홈페이지): http://i-english.sunchang.go.kr
Address: San 324, Cheonggye-ri, Paldeok-myeon, Sunchang-gun, Jeollabuk-do
주소:(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산324)
Telephone (연락처): 063-650-1672
Entrance fee : Adult W3,000/ Children W2,000
입장료:성인 3000원, 유아 2000원
25
Buan Beaches
Gangwon-do includes Sokcho beach,
Naksan beach and Gyeongpo
beaches that are beautiful and
picturesque beaches of South Korea;
Gyeongsangnam-do has Haundae beach, where
visitors and tourists gather year-round. Then,
how about Jeollabuk-do? Should Jeollabuk-do
people go to long trip to get to the beach in
summer? Fortunately, Buan County has Gyeokpo
and Mohang beaches along with hotels and
resorts, that are this summer's must-visit spots in
Jeollabuk-do Province. Furthermore, it is worth it
to reserve a hotel or resort not far from the beach
so you can enjoy the view of the pure ocean and
swim nearby your hotel all day long.
The Pearls of Summer
in Buan County
부안군의 여름 진주
Words & Photos by
Shermamatova Aizharkyn
번역: 김나은
Address: 23-1, Mohang-gil, Buan-gun, Jeollabuk-do
Phone: 1330 Travel Hotline: +82-2-1330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For more info: +82-63-580-4738
Homepage: https://www.buan.go.kr/index.buan
강원도에는 한국의 아름답고 그림 같은 속초해수욕장과
낙산해수욕장, 경포해수욕장이 있고, 경상남도에는 한 해 내내
가장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해운대 해수욕장이 있다.
그렇다면 전라북도는 어떨까? 전라북도 사람들은 여름에 해변에
가기 위해 긴 여행을 가야 할까? 다행히 부안군에는 호텔과
리조트와 함께 격포 해수욕장과 모항 해수욕장이 있어 올 여름은
전라북도의 명소를 꼭 방문해야 한다. 게다가, 해변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호텔이나 리조트를 예약해 두면 하루 종일 맑은 바다의
경치를 즐길 수 있고 호텔 근처에서 수영을 할 수 있다.
주소: 전라북도 부안군 모항길 23-1번지
전화: 1330 여행 핫라인: +82-2-1330(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자세한 내용: +82-63-580-4738
홈페이지: https://www.buan.go.kr/index.buan
27
Buan Beaches
Gangwon-do includes Sokcho beach,
Naksan beach and Gyeongpo
beaches that are beautiful and
picturesque beaches of South Korea;
Gyeongsangnam-do has Haundae beach, where
visitors and tourists gather year-round. Then,
how about Jeollabuk-do? Should Jeollabuk-do
people go to long trip to get to the beach in
summer? Fortunately, Buan County has Gyeokpo
and Mohang beaches along with hotels and
resorts, that are this summer's must-visit spots in
Jeollabuk-do Province. Furthermore, it is worth it
to reserve a hotel or resort not far from the beach
so you can enjoy the view of the pure ocean and
swim nearby your hotel all day long.
The Pearls of Summer
in Buan County
부안군의 여름 진주
Words & Photos by
Shermamatova Aizharkyn
번역: 김나은
Address: 23-1, Mohang-gil, Buan-gun, Jeollabuk-do
Phone: 1330 Travel Hotline: +82-2-1330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For more info: +82-63-580-4738
Homepage: https://www.buan.go.kr/index.buan
강원도에는 한국의 아름답고 그림 같은 속초해수욕장과
낙산해수욕장, 경포해수욕장이 있고, 경상남도에는 한 해 내내
가장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해운대 해수욕장이 있다.
그렇다면 전라북도는 어떨까? 전라북도 사람들은 여름에 해변에
가기 위해 긴 여행을 가야 할까? 다행히 부안군에는 호텔과
리조트와 함께 격포 해수욕장과 모항 해수욕장이 있어 올 여름은
전라북도의 명소를 꼭 방문해야 한다. 게다가, 해변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호텔이나 리조트를 예약해 두면 하루 종일 맑은 바다의
경치를 즐길 수 있고 호텔 근처에서 수영을 할 수 있다.
주소: 전라북도 부안군 모항길 23-1번지
전화: 1330 여행 핫라인: +82-2-1330(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자세한 내용: +82-63-580-4738
홈페이지: https://www.buan.go.kr/index.buan
27
Buan Beaches
Gyeokpo Beach and Pensions
Gyeokpo Beach is part of the Bye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and its sandy beach lies is 500m long.
The water is pure and not too deep, which makes
it proper for swimming for people of all ages. The
Gyeokpo Beach is situated near Chaeseokgang Cliffs,
so visitors can climb up to the cliffs with friends and
enjoy panoramic view of the west coast from the top
of the cliffs. Swimming period starts from July until
August. While swimming and lying on the beach you
also have access to explore the cliffs, which is one
of the unique features of Gyeokpo Beach. Also, there
are many other places nearby such as: Byeonsanbando
Cliffs, Byeonsan Aqua World and Gyeokpo Park.
Accommodation facilities allows guests to stay and
enjoy the most magnificent sunset along each. If
you go on a family trip it’s better to reserve hotel,
whereas for big group of people it’s comfortable to
reserve pensions. I stayed at the Heal Me Heal You
Pension, that is two minutes walk from the beach. This
pension had barbecue menu for the dinner in beautiful
camping designed interior with a view of the beach. At
night by the seashore, you can light up fireworks you
can buy from nearby stores.
격포 해수욕장과 펜션
격포 해수욕장은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일부분이며 500m의
모래사장이 줄지어 있다. 물은 깨끗하고 너무 깊지 않아서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수영하기에 적당하다. 채석강 절벽 근처에
위치한 격포 해수욕장은 친구들과 함께 절벽으로 올라가 절벽
꼭대기에서 서해안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수영 기간은 7월부터
8월까지 이다. 수영하고 해변에 누워있을 수도 있겠지만, 격포
해변에 유명한 절벽을 탐방 할 수 있다. 또한 근처에 변산반도 절벽,
변산 워터파크, 격포 공원 등 많은 곳이 있다. 숙박시설에 머물면서
해변을 따라 지는 웅장한 일몰을 감상 할 수 있다. 가족 여행을
간다면 호텔을 예약하는 것이 좋지만, 일행 수가 많으면 팬션을
예약하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힐미힐유 펜션에 머물렀는데,
그 호텔은 해변에서 걸어서 2분 걸린다. 힐미힐유 펜션에서는
저녁메뉴로 캠핑장 에서 해변을 바라보며 바베큐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불꽃놀이 할 것들을 가져오지 않았더라도, 근처 가게에서
구입하여 해변가에서 밤 늦게까지 불꽃놀이를 즐길 수 있다.
수영을 즐기는 것과 바닷가로 피서를 가는 것은 전라북도의 주된
여름 피서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이 장소들을 방문해 시원한
여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Swimming in the beach is one of the main summer
activitie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So why not
visit these spots and cool off from the summer heat?
Address: 29-14, Byeonsanhaebyeon-ro, Buan-gun, Jeollabuk-do
Inquiries: 1330 Travel Hotline: +82-2-1330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For more info: +82-63-580-4738
Homepage: http://english.knps.or.kr (Korean, English, Chinese, Japanese)
Beach Swimming Period: July - August
29
Buan Beaches
Gyeokpo Beach and Pensions
Gyeokpo Beach is part of the Bye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and its sandy beach lies is 500m long.
The water is pure and not too deep, which makes
it proper for swimming for people of all ages. The
Gyeokpo Beach is situated near Chaeseokgang Cliffs,
so visitors can climb up to the cliffs with friends and
enjoy panoramic view of the west coast from the top
of the cliffs. Swimming period starts from July until
August. While swimming and lying on the beach you
also have access to explore the cliffs, which is one
of the unique features of Gyeokpo Beach. Also, there
are many other places nearby such as: Byeonsanbando
Cliffs, Byeonsan Aqua World and Gyeokpo Park.
Accommodation facilities allows guests to stay and
enjoy the most magnificent sunset along each. If
you go on a family trip it’s better to reserve hotel,
whereas for big group of people it’s comfortable to
reserve pensions. I stayed at the Heal Me Heal You
Pension, that is two minutes walk from the beach. This
pension had barbecue menu for the dinner in beautiful
camping designed interior with a view of the beach. At
night by the seashore, you can light up fireworks you
can buy from nearby stores.
격포 해수욕장과 펜션
격포 해수욕장은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일부분이며 500m의
모래사장이 줄지어 있다. 물은 깨끗하고 너무 깊지 않아서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수영하기에 적당하다. 채석강 절벽 근처에
위치한 격포 해수욕장은 친구들과 함께 절벽으로 올라가 절벽
꼭대기에서 서해안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수영 기간은 7월부터
8월까지 이다. 수영하고 해변에 누워있을 수도 있겠지만, 격포
해변에 유명한 절벽을 탐방 할 수 있다. 또한 근처에 변산반도 절벽,
변산 워터파크, 격포 공원 등 많은 곳이 있다. 숙박시설에 머물면서
해변을 따라 지는 웅장한 일몰을 감상 할 수 있다. 가족 여행을
간다면 호텔을 예약하는 것이 좋지만, 일행 수가 많으면 팬션을
예약하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힐미힐유 펜션에 머물렀는데,
그 호텔은 해변에서 걸어서 2분 걸린다. 힐미힐유 펜션에서는
저녁메뉴로 캠핑장 에서 해변을 바라보며 바베큐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불꽃놀이 할 것들을 가져오지 않았더라도, 근처 가게에서
구입하여 해변가에서 밤 늦게까지 불꽃놀이를 즐길 수 있다.
수영을 즐기는 것과 바닷가로 피서를 가는 것은 전라북도의 주된
여름 피서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이 장소들을 방문해 시원한
여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
Swimming in the beach is one of the main summer
activitie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So why not
visit these spots and cool off from the summer heat?
Address: 29-14, Byeonsanhaebyeon-ro, Buan-gun, Jeollabuk-do
Inquiries: 1330 Travel Hotline: +82-2-1330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For more info: +82-63-580-4738
Homepage: http://english.knps.or.kr (Korean, English, Chinese, Japanese)
Beach Swimming Period: July - August
29
Gunsan Day Tour
Where Past
Meets Present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곳
Words by
Dianne Pineda-Kim
Photos by Seong Jin Kim
Gunsan is a port town that exists in
the duality of the old and new, eastern
and western. One can easily see that it is
rich in history through its architecture—
some decrepit and abandoned, while others remain
intact—that seem to have been forgotten by time.
The streets are lined up with several Japanese-style
buildings and traditional houses from the Colonial
Period in the early 1920’s, while US bases are still
present in some areas. But with governmental support
and recent developments, this old town was revived
and made more appealing for both residents and
tourists alike. It has come alive again as a modern city
without erasing its storied past. If you only have one
day but want to experience the best of both worlds,
here are some places you should definitely visit.
Places to visit and things to do in
Gunsan when all you’ve got is one day
당일치기로 군산에서
방문할만한 장소
군산은 옛 것과 새로운 것, 동양과 서양의 모습이 함께 존재하는
항구 도시이다. 군산의 건축물은 원래의 모습 그대로 남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 진 것처럼 보이는 낡고 버려진 건축물들을 통해
풍부한 역사를 쉽게 가늠할 수 있다. 거리에는 1920년대 초 식민시대의
일본양식의 건물과 전통 가옥들이 즐비해 있고, 일부 지역에는 아직도
미군 기지가 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과 최근의 발전으로 인해 오래된
도시는 다시 활성화되어 지역 주민들과 여행자들의 인기를 끌고 있다.
군산의 역사적 배경이 유지된 채 현대적인 도시로 되살아난 것이다.
만약 하루 밖에 시간이 없는데 과거와 현재 세계를 둘 다 경험하고
싶다면, 이 곳 군산에 당신이 반드시 방문해야 할 몇 가지의 명소가
있다.
31
Gunsan Day Tour
Gyeongnam Railroad Village
경암 철길 마을
Cafe Migok Storage
카페 ‘미곡창고’
Gentrification seems to have
젠트리피케이션(도시 재생 사업)은
In the early 1920’s, Gunsan was
1920년대 초기에 군산은 넓게 펼쳐진
changed the face of most of
한국의 오래된 도시와 거리의 모습을
surrounded by wide, open fields
들판으로 둘러싸여 있어 지역민들은
Korea’s old towns and streets.
바꿔놓았다. 그러나 이 곳 군산에는
where the locals tilled the land
땅을 경작하고 벼를 심었다. 일제
But here in Gunsan, remnants
과거의 흔적이 정부와 지방 자치의
and planted rice. During the
식민지 시대에, 군산과 근교 도시의
of the past have been turned
도움으로 매력적인 관광명소로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사람들은 그 당시 일본의 쌀 부족을
into tourist attractions with the
탈바꿈한 곳들이 있다. 가장 인기 있는
the people from Gunsan and
보완하기 위하여 쌀을 생산해야만
help of the government and the
장소 중 한 곳은 오래된 기차 길이 있는
nearby cities were designated
했다. 카페 미곡은 과거의 창고가
community. One of the most
경암 철길 마을로, 관광객들은 빈티지
to produce rice in order to
얼마나 창의적으로 바뀌었는지를
popular destinations here is the
옷을 빌려 입고, 지역 특산물을 구매할
compensate for the rice
보여주는 예시이다. 옛날에는 쌀
Gyeongnam Railroad Village, an
수 있고,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
shortage in Japan at that time.
창고로 쓰였으나 지금은 넓은 카페와
old train track where visitors
주말에는 붐빌 수도 있지만, 과거로
Cafe Migok is an example of
빵집으로 재탄생 하여 누구든지 빵과
can rent vintage clothing, buy
여행하는 기분을 느끼고 싶다면
how creativity can transform any
케이크와 커피를 맛보며 즐길 수
local snacks, and take pictures.
방문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장소이다.
place. It used to be a rice storage
있는 장소가 되었다. 이 곳의 남다른
Weekends can be crowded, but
revived into a spacious cafe and
점은 그들이 만든 모든 제품들은
it’s worth the visit if you want
bakery that’s perfect for large
천연 그대로의 유기농적이고, 건강한
to feel like traveling to the past.
groups and anyone looking to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 졌다는
enjoy great-tasting bread, cakes,
것이다. 카페에서 직접 내린 커피는
Address: 14, Gyeongchon 4-gil,
Gunsan-si, Jeollabuk-do
and coffee. What makes their
offerings different is that they
권위 있는 커피 인증 단체로부터
수상한바 있어서, 누구나 퀄리티 있는
make everything from scratch
한 잔의 커피를 맛볼 수 있다.
and from organic, healthy
ingredients. The brews from the
cafe have earned them several
awards from coffee recognition
giving bodies, so you’re sure to
Addres: 253, Guam 3.1-ro, Gunsan-si,
Jeollabuk-do 54043
카페 미곡창고 구암로 3.1로 253
Contact number: 010-5350-5237
have quality coffee in your cup.
32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Gunsan Movie Street
군산 영화의 거리
Dongguksa Temple
동국사
In a 2017 interview with KBS
2017년 KBS 뉴스 인터뷰에서 군산
Dongguksa is reported to be the
동국사는 우치다 라는 일본 승려에
News, Kim Si-baek from the
관광 홍보과 담당자인 김시백은
only temple left in Korea which
의해 1913년 지어진 국내 유일의
Tourism Promotion Department
“채만식작가는 군산을 배경으로 한
was built in Japanese style in 1913
일본식 사찰이라고 한다. 이 사찰은
of Gunsan, explained, "Chae
소설, ‘탁류’와 ‘태평천하’의 저자로
under the Japanese Diplomat
한국이 일제 식민 시대의 잔혹함을
Man-sik was a renowned writer
유명하다, 그래서 소설 속 배경이 된
named Uchida. It’s a living proof
유지한 채, 평화를 유지하려고 노력한
who wrote the novel ‘Takryu’ or
이 길을 ‘탁류거리’라고 이름 지었다.
of Korea trying to make peace
살아있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곳에는
‘The Muddy Current,’ which is set
많은 사람들이 ‘탁류거리’를 방문한다.
with its dark past while leaving a
고광국 작가가 만든 강렬한 조각상인
in Gunsan. A street near this area
특히, 영화 촬영지로 인기가 좋다.”
reminder of the atrocities of the
“평화의 소녀“라고 불리는 조각상이
is the background of the novel
라고 설명했다.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있다. 이 조각상은 “한 소녀가 해변에
so we named it Takryu Street.
compelling symbol located in
서서 부모, 형제가 살고 있는 고향을
Many people visit this street. In
경암 철길마을에서처럼, 관광객들은
the temple is the statue sculpted
바라보고, 고향으로 돌아가길 원했지만
particular, it is a popular filming
마치 1930년대에 사는 것처럼 옛날
by Ko Kwang Kook, named, “The
강제 동원되었던 그 소녀는 끝내 집으로
site for movies."
중고등학교 교복을 빌려 입고 길을
Girl of Peace,” which is described
돌아갈 수 없었다..” 라는 이야기가
따라 걷거나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
as “the girl standing on the beach
묘사되었다. 이는 한국 위안부 여성에게
Just like the old train station,
옛 식민시대의 일본 건축물들은 관광
and looking at the direction
바치는 가슴저리는 헌정물이다.
visitors can rent old school
명소가 되었고, 거리 자체가 많은 한국
towards her homeland where her
uniforms and roam around
유명 영화의 촬영지가 되었다.
parents and siblings live, and the
the streets and take photos
kidnapped girl wished but
as though they’re living in the
could not come back…”
1930s. Old colonial buildings
It’s a heartbreaking
and Japanese structures are the
tribute to Korea’s
main attraction, while the street
“comfort women.”
itself has become the filming
site of many famous Korean
movies.
Address: 16
Dongkuksa-gil
Gunsan
Website: http://www.gunsan.go.kr
33
travel jeonbuk
Cycling
Korea
한국 전주에서 자전거 타기
Looking for the best places in Jeollabuk-do
to ride? Where I'm at in Jeonju, the best
routes are along the river pathways or
narrower, less used country roads through
the trees. My favorite paths are all along the
river heading out of the city toward Gunsan,
Gosan, Gui Reservoir, and Moak Mountain.
Follow my rides at
전라북도에서 가장 자전거 타기 좋은 장소가 궁금합니까?
전주에서 가장 좋은 자전거 코스는 전주천변 또는
좁은 골목길을 따라 숲을 통과하는 시골길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코스는 전주천에서 군산, 고산, 구이
저수지, 모악산쪽으로 향하는 곳이다. 더 자세한 코스가
궁금하다면 내 타기를 참고하십시오.
www.strava.com/athletes/43923078
34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Cycle Korea
Words by Aaron Snowberger
Summer is upon us. It’s not yet that
blazingly hot and humid summer that
keeps everyone indoors sipping on ice
lattes under the air conditioning. Rather,
it’s still the early summer when the sun stays out
longer and the air is “just right” to invite multitudes
to take to the river walkways at twilight. I’ve been
commuting by bicycle along Jeonju’s rivers for over
a decade, so I’ve experienced all kinds of different
weather and situations. If you cycle for exercise or
recreation, or have ever considered commuting by
bike, then the following tips are for you.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아직은 집집마다 실내 에어컨
밑에서 아이스 라테를 홀짝이게 만들 정도로 탈 듯이
덥고 습하지도 않다. 오히려 해가 길어지고 공기도
‘딱 적당해’ 황혼 즈음 사람들을 강변 산책로로
부르기 딱 적당한 초여름이다. 나는 십 년 이상 전주
강변로를 따라 출근하며 마주할 수 있는 모든 기상
조건과 상황을 겪었다. 만약 당신이 운동 혹은 취미로
자전거를 타거나 자전거로 통근하는 것을 고려해본
적 있다면, 이하에 소개될 팁들은 딱 당신을 위한
것이다.
35
travel jeonbuk
The Bike
There are various types of bikes you can choose from. Here
are the most common and a brief explanation of each type.
★ Road bikes: What you’d see in the Tour de France -
curled handlebars, thin tires, small seat. This is what
I ride - best for long hauls on the road.
★ Mountain bikes: Thick, studded tires, front (and
sometimes rear) shocks, wider handlebars. The added
traction and disc brakes make it better for rain and
snow than a road bike.
★ Hybrid bikes: Mountain-bike-style straight
handlebars, road-bike-style thinner tires.
★ Upright bikes: Often sporting a basket, raised
handlebars, and a lowered, curved cross tube;
designed to allow you to sit upright in a straighter
position; good for casual speeds.
★ Folding bikes: Often heavier and with smaller tires
due to their design - they fit like upright bikes.
★ E-bikes: (electric) Some include pedals for a hybrid
style ride, but really they’re just cheaper, smaller mopeds.
자전거의 종류
선택할 수 있는 종류는 많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와 각각의 설명을
써 놓았다.
★ 산악용 자전거: 주로 프랑스를 여행하다 보면 마주칠 수 있는 것¬-
꼬아 놓은 핸들, 얇은 타이어, 작은 안장, 내가 사용하는 종류-도로에서
오래 끌고 갈 때 안성맞춤이다.
★ 산악용 자전거: 두껍고 징이 박힌 타이어, 앞 완충기(front shocks
absorber) 혹은 가끔 있는 뒤 완충기(rear shocks absorber)에 더
넓은 핸들까지 갖췄다. 추가된 트랙션과 디스크 브레이크가 도로용
자전거에 비해 비와 눈에도 최적화 상태로 만든다.
★ 하이브리드 자전거: 곧은 핸들은 산악용 자전거 스타일, 얇은
타이어는 도로용 자전거에서 따왔다.
★ 업라이트 자전거: 종종 자랑거리가 되는 바구니, 솟아오른 핸들,
낮아진 굴곡 크로스 튜브를 가지고 있고. 바른 자세 교정을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가벼운 속력을 내는 데 좋다.
★ 접이식 자전거: 보통 특유의 디자인 때문에 무겁고 상대적으로
타이어가 작다. 승차감은 업라이트 자전거와 비슷하다.
★ 전기 자전거: 몇몇은 하이브리드 자전거의 페달이 달려있지만, 그냥
더 싸고 작은 모페드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36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Cycle Korea
Bike Fit
Like clothes, different bikes have different sizes and
fits. Road bikes and mountain bikes have different
measurements, so it’s good to look up what size
would be the best fit for someone at your height.
Then specifically ask for that at the bike shop, or order
online. Don’t just go into a bike shop and buy the first
cool thing you find. If the frame is too long, your body
will be overextended, and you may experience back
and muscle pain. If the frame is too short, you may
feel the ride is too cramped, and you can experience
muscle fatigue sooner. Get the bike that fits. It’ll make
your time on it much more enjoyable.
자전거의 승차감
의류처럼, 자전거마다 사이즈와 승차감이 다른 법이다. 도로용과
산악용 자전거는 치수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키를 고려해
가장 잘 맞는 크기의 자전거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 그런 후에 자전거
전문점이나 온라인으로 꼭 그것을 주문하라. 아무 가게에 들어가서
멋있어 보이는 것으로 무턱대고 집어오는 건 금물이다. 몸체가 너무
길면 몸을 있는 힘껏 늘려야 해서 등은 물론 근육통에 시달릴 것이다.
또 몸체가 너무 짧으면 몸을 쥐가 날 정도로 잔뜩 움츠리느라 곧 근육이
피로해질 것이다. 자신에게 잘 맞는 자전거를 구해라. 자전거 타는
시간이 훨씬 더 즐거워질 것이다.
Motivation
Check your motivation. Why do you want to bike?
Personally, I’ve found negative motivation to be much
more powerful than positive motivation. For example,
it’s so much easier to bike - even through the rain and
snow - when I remind myself how much I HATE taking
a taxi to work.
동기
당신의 동기를 확인해보라. 왜 자전거를 타고 싶은가? 개인적으로
나는 긍정적인 목적보다 부정적인 목적이 훨씬 더 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비나 눈이 와도 내가 일하러
갈 때 택시 타는 것을 얼마나 싫어하는 지 떠올리면 자전거를 타는
것쯤은 쉽다.
37
travel jeonbuk
Gear
There are loads of gear and accessories you might
consider, but the following are what I consider essentials.
★ Helmet: Helmets save lives! (I broke my helmet in
half in one crash.) Never take chances.
★ Gloves: gloves protect against the elements, but
also against the rubbery stickiness of your handlebars
or grip tape - especially in the summer heat.
★ Lock: This should go without saying. Make sure
it’s thick enough to discourage thieves, and always
lock your bike up in a group or bikes, or physically
near yourself, and off the main roads. And if you don’t
know what to do with the lock when you ride, you can
always wear it like a belt around your waist like I do.
★ Bike uniforms: The jerseys are made of a synthetic
fabric that’s designed to carry sweat away from your
skin to evaporate. The skin-tight Lycra shorts or pants
are padded underneath, increasing cushion, and
reducing friction and saddle abrasion. Bike uniforms
are available for hot weather (shorts), warm/cool
weather (pants), and cold weather (fleece-lined).
Plus, they just make you feel like an athlete! But don’t
forget to pack a towel and extra set of clothes for
when you reach your destination.
★ Lights, reflective gear, and a LOUD bell: Drivers and
pedestrians are so distracted by their surroundings - or
smartphones - that they almost don’t notice cyclists at
all. You can minimize your risk, however, with bright
lights for night riding, reflective gear, and a loud bell. In
some situations, be prepared to use a loud voice as well.
Tools
For the most part in Korea, when I need work done (a
sudden puncture on the road), it’s a quick 20-minute
walk or less to the nearest shop (use Naver maps to
find one). But on long rides in the country, try to keep
at least the following on hand.
★ Spoke tool: If you break a spoke, you’ll need to rebalance
the wheels to be able to keep riding in to the nearest shop.
★ Special bike tool: These include hex keys and other
wrenches, screwdrivers, and a tire tool to help get
your tire off in case of a flat.
★ Puncture kit and/or spare tube: This includes gluey
patches for holes you get in your tubes. If you get a flat near
some water and don’t know where the flat is, fill the tube
with air and hold it underwater while looking for escaping
air bubbles. Then, patch it up! (Or switch to a spare tube.)
★ Waterproof bag: I ride with a waterproof backpack
almost everywhere to keep all my tools, an extra change
of clothes and towel, weather gear, lights, and food or
drinks in it. Nothing beats riding for an hour through
the rain and arriving to find everything inside is still
dry. But just in case, keep a couple of large, plastic bags
in there to wrap things up in if you expect rain.
★ Hand pump: You can get these cheaply at any mart
(or Daiso) at a small enough size to stash in your
backpack. The main reason to have one is just to be
able to get somewhere to do a proper fix - even if
your tires are slowly leaking and you stop to pump
them up every 5 minutes or so. Just be sure you have
any necessary adapters for the tubes you’re riding on.
38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Cycle Korea
장비
당신이 생각하는 장비와 액세서리는 굉장히 많고
다양하겠지만, 다음의 것들은 그 중에서도 내가
필수품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 헬멧: 헬멧이 목숨을 구한다! (단 한 번의 충돌로
내 헬멧이 반토막난 적이 있다.) ‘설마 안 쓴다고 큰일
나겠어’라는 안일한 생각을 버려라.
★ 장갑: 장갑은 위험으로부터 나를 보호할 뿐
아니라, 특히 여름철 핸들과 핸들에 붙인 그립
테이프의 끈적끈적함도 막아준다.
★ 자물쇠: 말이 필요한지? 도둑들이 훔쳐가지 못할
만큼 충분히 두꺼운 것으로 고르고, 자전거를 주차할
때 반드시 자전거가 여러 개 있는 곳이나 당신 주변,
큰길가 외곽에 묶어 두도록 하라. 그리고 자전거를
탈 때 자물쇠를 어디 두어야 할지 모르겠다면 나처럼
허리에 벨트처럼 차는 것도 나쁘지 않다.
도구
★ 자전거 운동복: 이 셔츠는 피부에서 땀이 쉽게
증발되도록 합성섬유로 디자인했다. 몸에 착 붙는
탄성섬유소재 바지는 푹신하게 속을 채워 넣어
마찰과 안장이 마모되는 일도 줄인다. 계절별로 더운
날씨엔 반팔에 반바지, 따뜻하거나 시원한 날엔 바지,
추울 때는 플리스 안감을 덧댄 운동복을 살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진짜 운동선수가 된 것처럼 느낄 수
있기까지 하다. 그러나 목적지에 도착할 때 쓸 수건
한 장과 여분의 옷가지도 챙기는 것을 잊지 마라.
보통 한국에서 일이 터졌을 때(길거리에서
갑자기 펑크가 난다거나)는 근처 도보 20분 내
거리에 마트가 있다(네이버 지도로 검색하면
된다). 그러나 지방에서 장거리 여행 중이라면
다음 사항을 참고하도록 하라.
★ 바퀴살 도구: 바퀴살이 부러졌다면 가장
가까운 가게에 도착할 때까지 다른 바퀴도 같이
재조정해야 한다.
★ 방수 가방: 나는 내 모든 장비-여분의 옷, 수건,
기상 장비, 손전등, 먹을 것 혹은 마실 것-를 방수
배낭에 넣어 어디든지 들고 다닌다. 한 시간 동안
빗속을 뚫고 자전거를 몬 후 도착할 때 가방 안이
완벽하게 뽀송뽀송한 것처럼 기분 좋은 일도 없을
것이다. 그래도 만약을 대비해 비가 올 것 같은
날에는 물건을 한번 더 감쌀 큰 비닐봉지를 두 개
정도 넣는 것이 좋다.
★ 손전등, 반사 기어, 엄청 큰 소리가 나는 벨: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주변 환경이나 스마트폰에
온통 신경을 뺏긴 나머지 자전거 타는 사람들을
대부분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하지만 야간 활동에
대비한 밝은 손전등, 반사 기어, 엄청 큰 소리가 나는
벨 등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몇몇 상황에서
필요할 우렁찬 목소리도 미리 준비해 놓으시라.
★ 특별한 도구: 육각 열쇠, 렌치, 드라이버, 펑크에
대비한 타이어 장비 등을 일컫는다.
★ 펑크 키트 혹은 스페어 타이어: 타이어 구멍에
붙일 수 있는 끈끈한 패치도 여기에 포함된다. 강이나
호수처럼 근처에 물이 많은 곳에서 펑크가 나고 터진
곳이 어디인지 가늠하기 힘들다면, 타이어를 공기로
채우고 물 속에 넣어 공기 방울이 올라오는 지점을
찾으면 된다. 그런 다음에는 패치를 붙이거나 스페어
타이어로 바꾼다.
★ 핸드 펌프: 다이소 또는 어느 마트에서나 배낭에
넣기 적당한 크기로 싸게 구입할 수 있다. 하나쯤
구비해야 할 이유는, 비록 서서히 5분에 한 번씩
멈춰서야 해도, 제대로 고칠 만한 장소까지 도달하기
위함이다. 사용하는 타이어와 펌프를 연결할
어댑터가 잘 맞물리는지 정확히 확인하라.
39
travel jeonbuk
Riding
The following are tips for when you’re out on the road.
★ On the river path: (safest and most enjoyable)
The river walkways around Jeonju are both the
safest and most enjoyable trails to ride along.
Most are painted with two different colors, left
and right: red is for pedestrians, green is for bikes.
However, don’t be surprised by how few people pay
attention to this. Most people are so distracted on
their smartphones, or walking in groups that span
the whole width of the path that they won’t notice
you until you’re right on top of them. Be prepared
to slow significantly or stop altogether.
★ On the sidewalk: (bike hazards) Sidewalks are bike
hazards. Most sidewalks are old and bumpy, built
with cobblestones, or filled with pedestrians and
parked cars. If you choose to cycle on the sidewalk,
try to do so only in newer neighborhoods with wider,
newer sidewalks, and a significantly lower population.
Otherwise, prepare to putter along like a turtle while
swerving in and out of every conceivable hazard along
the way.
★ On the street: (dangerous, yet safe) The streets in
Jeonju are both the safest and the most dangerous
places to ride. With cars speeding past and numerous
cars parked on the shoulder, you need to be extra
cautious. But at the same time, if you stay on the
shoulder and act like a (slow-moving) motor vehicle,
most cars will treat you as such. Just do your best to
follow the rules of the road as you wish cars would.
And never ride on the expressway.
★ Stay alert, stay alive: As a cyclist, it’s your duty to
stay alert at all times. This could mean the difference
between life and death. ALWAYS be aware of
everything moving in front, to the sides, and behind
you - and don’t take unnecessary risks. Most drivers
are only looking out for other cars - they don’t even
consider scanning for bikes before turning. Also be
constantly aware of pedestrians you pass. They have
a tendency to step off curbs or suddenly change
direction without warning. Ding your bell as you
approach, give them plenty of space, and be prepared
to slow or stop.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animals
and small children who are even more unpredictable.
★ Accidents: If you hit a pedestrian while on a bike, you
will be liable as you are considered a “vehicle.” If you are
hit by a car while riding through a crosswalk, you will
be partially liable as you are supposed to walk it, not
ride it, across. If you are hit by a car or other motorized
vehicle on the road, be sure to stick around for their
insurance (보험) information - or at least arrange for
some sort of payment if the driver is at fault. In Korea, it
is possible to take an extended stay in the hospital after
an accident in order to maximize your insurance claim.
But personally, I prefer to stay out of the hospital and
active, unless the insurance company is being difficult.
I’ve learned a lot over the years about biking
in Korea, but if there are only three nuggets of
wisdom you take away from this article, remember:
1. You must remain constantly vigilant on the road.
2. Always carry tools, a change of clothes and towel, night
gear, and weather gear with you in a waterproof bag.
3. There will always arise a situation you didn’t plan for,
so be flexible, and don’t barrel through every obstacle.
40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Cycle Korea
자전거 타기
아래 내용은 길에 나가 자전거를 탈 때의 주의사항이다.
★ 강변에서: 전주천변은 자전거를 타기에 가장 안전하고 즐거운
곳이다. 대부분 왼쪽 빨간색 길이 보행자용, 오른쪽 초록색 길이
자전거 도로이지만 놀라울 만큼 관심을 두는 사람이 거의 없다.
보통 다들 스마트폰에 정신이 팔려 있거나 그룹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당신이 코앞에 닿을 때까지 당신을 알아채지 못하고 길을
막는다. 속도를 확실히 늦추거나 보행자들이 멈출 때 같이 멈춰라.
★ 인도에서: 인도는 자전거 타기에 조금 위험한 곳이다. 대부분의
인도는 오래되고, 조약돌을 깔아 만들어서 울퉁불퉁하고, 주차된
차들과 보행자로 넘친다. 인도에서 자전거를 타고 싶다면 더
넓고 새로 만들어진, 사람이 적게 다니는 곳으로 다니는 게 좋다.
아니면 매번 방향을 바꾸면서 상상할 수 있는 온갖 복병을 헤쳐나가
거북이처럼 느릿느릿하게 가는 수밖에 없다.
I hope you learned something useful
from this set of biking tips!~ Have fun
on your next ride~
이 글을 통해 자전거 타기에 관한 팁을 배웠길
바라며, 다음에는 더 재밌게 탈 수 있길 진심으로
바란다.
★ 도로에서: 전주의 도로는 가장 안전하기도 하고 가장
위험하기도 한 곳이다. 차들은 빠른 속도로 달리고 갓길에
주차되어 있는 것도 많기 때문에 여기서 자전거를 탈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동시에 갓길에서만 천천히, 오토바이인
것처럼 달린다면 다른 차들도 당신을 오토바이인 것처럼 대우할
것이다. 차들이 따를 법한 규칙을 잘 지키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절대 고속도로에서 탈 생각하지 마라.
★ 항상 조심하면 살 수 있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으로서,
항상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당신의 의무이며 이는 삶과
죽음을 갈라놓는다. 언제나 앞, 뒤, 옆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을 조심하고 불필요한 위험을 감수하지 마라. 자동차
운전자는 다른 차들만을 주시할 뿐 차를 돌리기 전까지도
자전거가 있는지 살펴볼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 또한
주변을 지나치는 보행자들은 갑자기 걸음을 멈추거나
예고도 없이 방향을 갑자기 바꾸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들 역시 조심하라. 근처에 다가갔을 때는 벨을 울리고,
여유공간을 만들도록 유도하고, 속도를 늦추거나 멈출
준비도 해야 한다. 이것은 행동을 더욱 예측할 수 없는
동물이나 어린아이에게도 적용된다.
★ 사고 발생 시: 만약 당신이 보행자를 자전거로 친다면 당신을 ‘
차량’을 탄 것으로 간주하고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횡단보도에서 자전거를 타다 자동차에 치였다면, 자전거에서
내린 후 건너지 않고 그냥 자전거를 탄 채 건넜으므로 당신에게도
법적으로 일부 책임이 있다. 혹시 자동차나 오토바이 같은 것에
치였다면 그들의 보험 정보를 계속 찾아다니거나 최소한 운전자의
과실로 일어난 사고일 경우 합의금 등을 계산하라. 한국에서는
보험 청구액을 늘리기 위해 병원 입원일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나는 보험회사가 까다롭게 굴지 않는 한 빨리
퇴원해서 활동하는 걸 선호한다.
나는 지난 몇 년간 한국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많은 것을 배웠지만,
그 중에서도 이 글을 읽고 꼭 기억해야 할 세 가지를 꼽는다면
1. 길에서는 계속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2. 위에서 설명한 여분의 옷가지, 수건 등의 도구를 방수
배낭에 넣어 항상 가지고 다녀라.
3. 언제나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날 수 있으니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모든 장애요소를 무모하게
타파하려고 하지 마라.
41
taste jeonbuk
Awon looks like a place that feels both
current and untouched by civilization.
아원은 현대적이면서도 마치 문명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장소처럼 보인다.
42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Wanju Café
A
Balancing
균형 잡힌 막( 幕 )
Act
In the case of Awon,
opposites not only attract
but create a unified space.
“아원”은, 서로 상반되는 요소들이 매력적임과
동시에 하나의 통일된 공간을 창조한다.
Words & Photos by Bree Dunn
Awon is a cultural center located
discreetly within the mountains of
Wanju County, a rural area that almost
entirely surrounds Jeonju-city. Within
the same space, modern and traditional elements
coexist in harmony, acting as a place that feels both
current and untouched by civilization. It is an all
encompassing space consisting of a cafe, a gallery,
an observatory and traditional hanoks.
“아원”은 전주를 거의 감싸고 있는 전원 지역인 완주의 산 속
조용한 곳에 위치한 문화 중심지이다. 같은 공간에서 현대적인
요소와 전통적인 요소들이 조화롭게 공존하며, 현대적이면서도
문명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장소처럼 보인다. 아원은 카페, 미술관,
전망대, 전통 한옥을 아우르는 공간이다.
43
taste jeonbuk
Multifaceted
yet minimal
복합적이면서도
미니멀한 공간
As a customer, it is typically 손님의 입장에서, 비즈니스상에서
quite easy to distinguish what 바라는 서비스를 구별하기는 쉽다.
services you can expect from 그러나 “아원”은 스스로를 정의 할
a business. Awon, however, has 수 있는 선택에 별다른 제한을 두지
not limited that in which they 않았다. 방문자들이 느끼는 난해함은
choose to define themselves. 금새 생동감 있는 호기심으로 바뀐다.
The elusiveness quickly turns 건물의 구조를 따라 길고, 좁고, 희미한
to animated curiosity for its 조명이 켜진 복도를 지나 중심장소로
visitors. The construct of the 들어섬과 동시에, 당신은 카페와 갤러리
building forces you to walk 두 가지 공간을 포함한 방의 규모에 놀랄
through a long, narrow, and 수 있다. 사람들이 만든 물줄기로 인해
dimly lit corridor eventually 방은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매끄러운
connecting you to the main 회색 콘크리트 벽을 따라 커다란 검은색
space. Almost immediately, 피아노와 나무 벤치가 있다. 다른 쪽에는
you are taken aback by the 카페와 예술 작품이 마주보고 있다.
grandiose room, which is 갤러리가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데 비해
home to both a cafe and 카페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gallery. A human-made
stream of water separates 바로 옆에 인접한 방은 바닥부터
this room into two sections. 천장까지 연결된 거대한 창문을
Nearby is a large black piano 마주보고 있는 큰 나무 테이블 하나만
and a large wooden bench 두고 텅 비어 있어, 손님들에게 흠잡을
that lines the smooth, grey, 데 없는 한국 자연의 아름다움을
concrete wall. On the other 선사한다. 그 방은 고요함과 편안함을
side is the cafe and works of 만끽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방이다.
art that sit opposite of one
another. While the gallery 마지막으로 살펴볼, 건물 뒤쪽에 위치한
demands your attention, the 방은 거의 전체가 창문으로 덮여 있어
cafe is barely noticeable. 광활한 산과 나무, 자연광에 노출된다. 그
곳에는 몇 개의 낮은 테이블과 자그마한
The adjacent room is simply 부엌, 매력적인 도서관이 갖춰져 있어,
vacated by one large wooden 사람들이 이 공간을 즐기면서 휴식을
table which sits in face 취하고, 긴장을 풀고 성찰하라는 의미가
of large floor-to-ceiling 내포되어 있다. “아원”에 있는 동안에는
windows, giving guests 마치 일상 속 복잡한 일들로부터 자신을
an impeccable view of the 해방시키고 시간의 흐름 또한 잊어버릴
natural wonders of Korea. It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is the smallest of the rooms
feeling both tranquil and cozy.
44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The final room, located at the back of the building, is almost
entirely covered by windows, exposing the vastness of the
mountains, trees and natural light. It has a few low-lying
tables, a small kitchen and a charming library, implying that one
should rest, relax and reflect while enjoying this space. It feels
as though you are meant to rid yourself of daily distractions and
forget about the passing of time whilst inside Awon.
Although there are few objects in each of the rooms, with
its minimalist aesthetic it is evident that their design is
intentional and purposeful. The final ‘attraction’ at Awon is the
observatory which lies above the building, itself. Every thirty
minutes, an employee leads a small group of customers up a
conservative staircase to bring them outside for a self-guided
tour of the large rooftop property. An unobstructed view
reveals the abundance of nature that surrounds the business,
and a look inside of their traditional hanok is a reminder of
a simpler time. It is a picturesque view that stays imprinted
in your mind leaving you with a feeling of awe, knowing that
beauty such as this still exists in the modern world.
방에 물건들은 몇 개 없지만, 최소한주의자의 미적 감각으로 만든 의도적이고
목적의식이 있는 디자인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아원”의 결정적인 ‘매력’은
건물 옥상에 위치한 전망대이다. 30분마다 직원이 소규모의 손님들을 넓은
옥상에서의 가이드 투어를 위해 실제보다 훨씬 더 좁게 느껴지는 계단으로
안내한다. 탁 트인 풍경은 세상사를 둘러싼 자연의 풍요를 보여주며, 전통적
한옥의 내부는 소박한 시간을 상기시켜 준다. 현대에도 이런 아름다움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경외심을 느끼게 해준 그림 같은 풍경이 당신의
마음 속에 새겨질 것이다.
Wanju Café
오감을 깨우다
“아원”의 공간은 미니멀하지만 그 안에서는
확실히 폭이 넓어진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아원”
을 탐방하면서 당신의 오감은 활성화 될 것이다.
은은한 물줄기 소리와 함께, 주기적으로 울리는
피아노 건반소리, 티타임을 가지며 하는 수다소리가
어울러져 아름다운 소리가 만들어진다. 회색
콘크리트 벽은 다양한 미술 작품으로 생기를 한껏
뽐내며 당신의 시선이 그곳에 머물게 한다. “아원”
카페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다과로는 커피 또는 차를
고를 수 있다. 차는 조금 연하게 우러나와 은은한
달콤함을 주는 반면 커피는 상쾌하고 맛이 풍부하다.
야외 전망대에 올라가고 싶은 유혹을 받게 된다면,
신선한 공기와 이슬 젖은 풀잎 냄새들은 이미 자극
받은 당신의 감각들을 즉시 깨울 것이다. 6개월마다
바뀌는 전시회로 “아원”은 흔치 않은 요소, 즉 진귀한
경험을 창조한다. “아원”은 변화무쌍한 공간이므로,
가능한 “아원”의 현대적인 매력을 최대한 즐겨야
한다.
“아원”은 과거의 요소와 미래의 예술적 디자인을
조합하여 현재의 모습을 완벽하게 그려냈다.
독특하고 고요하며 자연의 미로 충만한 공간을
보고 있노라니, 전주에서 고작 14km밖에 여행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었다. “아원”의 모든
곳을 탐방한 후에, 자연 속에 지은 산업적인 건축물,
현대 미술작품들로 둘러싸인 과거의 한옥, 최소한의
공간 속에 있는 물체의 종합 체 등 과 같은 다양성
한가운데에서도 그것들을 하나로 통일하는 차분하고
균형 잡힌 에너지가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아원”
은 전라북도에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꼭 가 봐야
할 매력이 있는 곳이다.
주소: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수만로
516-7 (우 55348, 지번 소양면 대흥리 356)
Address: 516-7, Songgwangsuman-ro, Soyangmyeon,
Wanju-Gun, Jeollabuk-do, Republic of Korea
Contact number (전화번호): 063-241-8195
Website (주소창): http://awon.kr
Instagram (인스타그램): @awon_hanok
가격: 입장료, 음료 가격 포함 10,000원
Price: 10,000 KRW for admission & choice of drink
기타 특별 서비스: 한옥스테이 가능
Special Services: Hanok Stays available
The five senses
While the space is minimal, the
experience, in itself, is definitely
magnified. All five of your senses will
be invigorated while you explore
Awon. With the subtle sound of the
water stream, the periodic stroke of
a piano key or quiet chatter broken
by occasional sips of coffee or tea, a
beautiful unity of sound is formed.
The bland grey concrete walls come
to life and boast with different works
of art, leaving your eyes scanning the
room indefinitely. As for the simple
refreshments offered by the Awon cafe,
there is a choice between coffee or tea;
the tea, which is quite light, has a subtle
sweetness while the coffee is crisp and
flavorful. When you are then beckoned
to take part in the outdoor observatory,
the smell of the dewy grass and the
fresh outdoors immediately awakens
your already stimulated senses. With the
exhibits rotating every six months, Awon
creates a rare element: an unrepeatable
experience, meaning one should observe
the present attractions while they can,
for Awon is ever-changing.
Awon perfectly illustrates the present
by blending elements of the past and
artistic design of the future. With such a
unique, tranquil and naturally beautiful
space, it is hard to believe that you have
traveled only 14 km from Jeonju City.
After exploring all of its facets, you come
to realize that even amid the variety;
an industrial building in a natural
landscape, an ancient hanok surrounded
by modern art, a collection of objects in
a minimalistic space, there is a calming
and balanced energy that unifies it as
one. It is an essential attraction for
anyone who lives in Jeollabuk-do.
45
taste jeonbuk
46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Jeonbuk Cafés
Lofty Destinations
더할 나위 없는 장소들
The sun, the sky, and nature
meet at these garden and
outdoor cafes sitting just
outside of Jeonju .
전주 근교에 위치한
정원 카페에서 태양과
하늘, 자연을 만나다.
Words by Dianne Pineda-Kim
Photos by Seong Jin Kim
번역: 손원국
Summer in Korea means hot,
unforgiving humid weathers and
infinite possibilities for people to
enjoy the outdoors and take advantage
of the country’s breathtaking, nature-filled
terrain. In Jeollabuk-do, the mountains and
valleys have turned into different shades of
green and vivid colors, signaling that winter
has long passed and the sun is beckoning
everyone to come out and play. As you go and
explore these mountaintop cafes, you’ll feel
like you’re leaving your woes behind as you
take in the amazing views, refreshing air, and
let the iced cold drinks melt the heat away.
한국의 여름 하면 떠오르는 뜨거운 햇볕, 불쾌할 정도로 습기
찬 날씨, 하지만 야외 활동을 즐기는 이들에게는 놀라울 정도로
아름다운 한국의 자연경관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뜻하기도
합니다. 여름이 오면 전라북도에 있는 산과 계곡들은 녹색과
선명하고 생동감 넘치는 색들의 옷으로 갈아입습니다. 그들은
겨울이 한참 전에 지났음을 알리고 여름의 태양은 모두에게
밖으로 나오라며 손짓합니다. 아름다운 경관과 신선한 공기
그리고 더위를 싹 날려버릴 시원한 음료들을 마시면서 당신의
걱정들을 잠시 잊게 만들어줄 산 속에 위치한 아래의 카페들을
방문해 보시죠.
47
taste jeonbuk
Mother Cafe in Wanju
There is something about the word “mother” that
immediately evokes feelings of comfort, safety, calm,
and most importantly, love. These same sentiments
allude to the caring and nurturing side of a mother,
which brings to mind fond childhood memories when
mom soothed her child’s worries with a delicious hot
bowl of soup or cured aches and pains with just a
single touch. Though it’s hard to recreate, Mother Cafe
aims to make its guests feel like they’re coming home
to the cozy, gentle embrace of mom with its wide,
open garden views and comforting brews. Situated
on a sprawling 3,000 pyeong field just at the tip of
Wanju’s entrance, the cafe’s main attraction is its
man-made garden with a rock mountain formation,
flowing water, and beautiful landscape all around.
At the back are greenhouses and a Japanese pine
forest bonsai display that add to the cafe’s tranquil
atmosphere.
In the fall, its surroundings are colored with maple
leaves, while in spring and summer, its gardens are
greener than ever. Its interiors are just as inviting
as the outdoors. The space stays consistent with its
nature concept with minimal wooden chairs and
displays that give off a homey vibe, which are far
from the burgeoning contemporary cafes that all
look similar. The first floor has big glass windows
that let the sunshine in and let guests look at the
stunning garden outside. Meanwhile, a rooftop and
al fresco seats are available for those who want to
feel a little bit more free. Coffee, refreshing ades, and
cakes are on the menu.
Referring to the buzzword in Korea used to describe
places or activities that give relief from stress, the
cafe’s description reads, “It’s a place where you can
heal with your child.” True to its aim, the cafe wants
“healing” to be something you’ll experience once
you step inside its doors.
Address: 4505-17, Chunhyang-ro, Sanggwan-myeon, Wanju-gun,
Jeollabuk-do
Contact number: (063)282-7835
48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Wanju Café
완주에 위치한 마더 카페
엄마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따뜻함과 차분함, 안심할 수 있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끼게 해줍니다. 이러한
감정들은 어린 시절 우리들의 걱정거리들을 식탁 위 따뜻한 국물로
달래주거나 한 번의 쓰다듬음으로 아픈 상처를 진정시켜주실
때의 어린시절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엄마의 보살핌과 정성을
말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재현해내기란 정말 어려운
일임에도 불구하고, 마더 카페는 넓게 개방된 정원을 선보이며
차를 우려내고 방문객들로 하여금 엄마의 넓고 따뜻한 포옹을
느끼게 해주고, 집에 돌아온 것 같은 아늑함을 선사해 줍니다.
3000평에 달하는 완주의 시작점에 위치한 이 카페의 자랑거리는
돌산을 형상화한 정원과 그곳에서 흘러내리는 물 그리고 주변의
모든 아름다운 풍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뒤쪽에는 카페의
고요한 분위기를 더해주는 온실과 일본 소나무 분재들은 카페의
고요함을 한층 더해줍니다.
가을이 되면 주변이 단풍잎으로 붉게 물들지만 봄과 여름에는
어느 때보다도 짙은 녹음을 선보입니다. 건물의 인테리어 또한
바깥 풍경만큼 매력적입니다. 내부 공간엔 편안한 느낌을 주는
작은 나무 의자들을 놓아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최대한 살리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으면서 편안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최근에
마구잡이로 생겨나며 그 모습들이 모두 비슷하게 생긴 다른
카페들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1층에는 커다란 전면 유리를 놓아
햇빛이 자연스럽게 들이게 하고 방문객들이 아름다운 주변 정원
풍경을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옥상에는 바깥의 자유를 좀
더 느끼고 싶은 분들을 위하여 야외 좌석을 배치해 놓았습니다.
메뉴로는 커피와 신선한 음료, 케이크가 있습니다.
일상과 업무의 스트레스를 잠시나마 달래주는 장소와 활동들을
일컫는 ‘힐링’이라는 한국의 유행어를 인용하며 이 카페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 곳은 여러분과 여러분의 아이들이 함께 ‘힐링’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마더 카페는 이 곳에 발을 들이는 모든 분들이
‘힐링’을 경험하기를 바라고 그러기 위해 노력하는 카페입니다.
주소 : 전북 완주군 상관면 춘향로 4505-17, 정원 마더 커피
전화번호 : (063)282-7835
49
taste jeonbuk
Cafe Soyang in Wanju
Pizza and the outdoors—what could be a more
perfect combination than that? From the O’s Art
Group, the makers of famous cafes O’s Gallery,
O’s Square, and health and lifestyle store Plus82
Project, comes Cafe Soyang, a restaurant that offers
all-time favorite pizza, caffeine, cocktails, and
breathtaking views all in one place.
Wanju is known as a mountainous county, welcoming
stressed urbanites into its lush surroundings where
an abundance of pension houses, camping sites, cafes,
and art galleries are located. Cafe Soyang adds yet
another worthy reason for an uphill drive to Wanju
with its pizza, cheese steak sandwich, and crunch
wedge fries with garlic sour cream that are all made
from scratch. Healthy drinks such as a concoctions of
kale, cucumber, beet root, carrot, and lemon juice on
the menu for the health buffs, as well as cocktail and
beers for those who want to drink with a little kick.
The restaurant is built within a zen garden, with
beautifully arranged rocks, pruned trees, and
plants that puts guests into a quiet, contemplative
mood. They used to make the pizza at the outdoor
fireplace, which was now transformed into a
seating space with kitschy umbrella patio tables
perfect for dining in summer afternoons.
Nearby, just a few steps from the restaurant is Cafe
Barn, a sister cafe that serves up some serious brews.
The cafe has rooms for groups and individuals that
want to sip coffee and read books in peace, with wide
windows that show bamboo shoots from the outside.
Cafe Soyang’s sign says that it’s “The Happy Place,”
and with its large yet cozy space, friendly staff, and
delectable dishes—it might as well could be.
Adress: 508, Songgwangsuman-ro, Soyang-myeon, Wanju-gun,
Jeollabuk-do , Café Soyang
Contact number: (063)241-7196
Instagram: @cafe_soyang
50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Wanju Café
완주에 위치한 까페 소양
야외에서의 피자, 이보다 완벽한 조합이 또 있을까요? O’s Art
Group에 속해있는 O’s Gallery와 O’s Square라는 유명한
카페의 창업자들과 라이프 스타일 편집매장인 Plus82 Project
가 함께하여 만들어낸 카페 소양에서는 모두에게 인기 만점인
피자들과 커피, 칵테일, 그리고 너무나도 아름다운 경관들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습니다.
산이 많기로 잘 알려져 있는 완주군은 다양한 펜션과 캠핑장,
카페, 미술관들이 위치하여 스트레스에 찌들어 있는 도시인들을
불러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카페 소양에는 완주까지 먼 길을
나설만한 가치가 있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이곳의
피자와 치즈 스테이크 샌드위치, 마늘 크림과 함께 나오는
바삭한 웨지 감자 들이 모두 이곳에서 직접 만들어진다는 점이죠.
메뉴에는 케일과 오이, 비트(사탕무), 당근 등의 건강 주스와 레몬
주스, 또한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도수가 있는 칵테일과 맥주들이
메뉴에 준비되어 있습니다.
아름답게 정렬된 바위들, 잘 손질된 나무들과 식물들로 이루어진
일본식 정원이 함께하는 이 식당은 방문자들로 하여금 조용하고
잠시 사색에 빠지게 됨을 느끼게 해 줍니다. 초기에는 카페 바깥에
위치한 화덕에서 피자를 굽곤 했지만 지금은 예술적인듯 아닌듯한
우산을 놓은 야외 테라스 공간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여름의
오후에 즐기는 완벽한 식사를 위해서 말이죠.
몇 발자국만 옮기면 닿을 수 있는 바로 옆에 위치한 카페 Barn도
있습니다. 함께 운영되고 있는 이 카페에서는 커피와 차를 마실
수 있죠. 한 잔의 커피를 마시며 조용히 책을 읽고 싶어 하시는
분들을 위한 공간도 있는데, 이 카페의 커다란 창문을 통해 바깥의
죽순들이 훤히 보입니다. 카페 소양의 안내표지에는 “행복한 공간”
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넓지만 아늑한 공간과 친절한 직원들,
그리고 정말 맛있는 음식을 이곳에서 만나 보시길.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508 소양한옥마을에
브루클린을 담다, 카페 소양
전화번호 : (063)241-7196
인스타그램 : @cafe_soyang
51
taste jeonbuk
Secret Garden Cafe in Imsil
True to its name, Secret Garden Cafe is easy to miss
when you’re driving up to Imsil, just about 30 to 40
minutes from Jeonju. But a huge pink sign by the
road that reads “비밀의정원 coffee, tea and bread”
will lead you to an office and residential complex,
and as you go straight inside, you’ll see a pink
display, this time a quaint photo area where you
can sit on a chair and take photos with the backdrop
of green leaves. Walk a little bit more and you’ll see
huge door in yet another shade of pink, with colorful
decorative windmills blowing by the garden.
Secret Garden is a dessert and pastries cafe that lets
visitors sip coffee while enjoying the views of the
mountains and a lake. It has colorful, mismatched
vintage-inspired interiors perfect for the savvy
Instagrammer, but more importantly, it has a variety of
delicious bread you can pair with their hot tea or coffee.
Hidden from the main roads and busy streets, this
place provides a quiet respite for guests to enjoy
long conversations and languid days under the sun.
Address: 613-16, Maam-ri, Unam-myeon, Imsil-gun, Jeollabuk-do
Contact: (063)223-8991
52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Imsil Café
임실에 위치한 비밀정원 카페
‘비밀의 정원’이라는 이름처럼 전주에서 30~40분을 운전해 임실을
지나갈 때, 이곳을 모르고 지나가기 쉽습니다. 하지만 ‘비밀의 정원
커피, 차와 빵’ 이라고 적혀진 커다란 핑크색 표지판을 찾으셨다면
화살표를 따라 주거단지를 지나서 안쪽으로 쭉 들어오시기만 하면
됩니다. 독특한 느낌의 포토존에서는 초록 나뭇잎을 배경으로
의자에 앉아서 사진을 찍을 수도 있습니다. 조금 더 안쪽으로 걷다
보면 커다란 분홍색의 문과 각양각색의 바람개비가 장식되어 있는
정원 입구에 다다르게 됩니다. 비밀정원은 방문객들이 커피를
마시면서 산과 호수의 경치를 즐길 수 있는 디저트와 페이스트리
카페입니다,
이곳의 화려한 색감과 미묘하게 어울리지 않는 빈티지 스타일의
인테리어는 인스타그램을 즐기는 이들에게 최고의 촬영 장소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점을 미루어 놓고서도 이곳의 다양하면서도
맛있는 빵과 따뜻한 차, 커피를 함께 음미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매력적인 부분입니다.
차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거리를 벗어나 잠깐의 숨 돌릴 곳을
찾고 계신 분들은 비밀의 정원에서 햇볕아래에서 긴 대화와 느긋한
하루를 즐길 수 있습니다.
주소 :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 마암리 613-16
전화번호 : (063)223-8991
53
taste jeonbuk
전주에서 멕시코 전역의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한 곳인 과나후아토의 독특한 에너지와
맛있는 음식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The gift of Guanajuato
Jeonju now has the chance to experience
the unique energy and savory food of one of
the most beautiful cities in all of Mexico.
54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Mexican Cuisine
The gift of Guanajuato
Words & photos by Bree Dunn
과나후아토의 선물
번역: 조영상 (JBCIA 인턴)
With the colorful papel picado lining
the narrow alleyways, murals
hanging on the front walls and a
picturesque patio tucked in the
back, Ay Mamita connects us to bits and pieces of
Guanajuato, former home to co-owner, Isabel. To call
it a breath of fresh air would be an understatementit
is a space that has revived and added zest to the
streets of downtown Jeonju. Its exterior exudes so
much energy, but it is the warmth of the people inside
that are the heart and soul of it all.
Mi casa es tu Casa
While the food is worth a lot of the praise and glory,
customers also make mention of how hospitable and
outgoing both Isabel and Koo are. Whether it is your
first time or you are a regular, it doesn’t take long to
feel a sense of ease and familiarity around them. From
the beginning, they let it be known that their doors
are open to everyone and that the space is more than
just a restaurant; it is a cultural center where you can
enjoy food, drinks, galleries, and art. Their animated
presence has had a rippling effect on the enrichment
of the community in Jeonju. It’s not just their business
that they care about but the success of neighboring
businesses, friends and of our community.
좁은 골목길에 화려한 파펠 피카도가 늘어서 있고, 벽 앞에는 벽화가
걸려있고, 뒷 벽에는 파티오 사진이 놓여있는 Ay Mamita (아이
마미따)는 이 식당 주인인 이사벨라의 멕시코 고향인 (Guanajuatio)
과나후아토와 연결시켜줬다. 이곳을 신선한 공기의 숨결이라고 부르는
표현일 것이다. Ay mamita는 전주 도심의 거리에 활기를 불어넣고
열정을 불어넣은 공간이다. 외관은 많은 에너지를 발산하지만,
내부에서는 열과 성을 가진 사람들의 따뜻함을 볼 수 있다.
내 집은 당신의 집
고객들은 음식이 맛있다고 칭찬하며, 이사벨과 구(이사벨 남편)
모두 친절하고 외향적이라고 말한다. 첫 고객이든 단골 고객이든지,
그들에게서 편안함과 친근함을 느끼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는다.
처음부터 그들은 그들의 문이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고, 그리고 이 공간은
‘단순한 음식점’ 그 이상이라는 것을 알려줬다. 한 마디로 음식, 음료,
갤러리, 예술 모두를 즐길 수 있는 문화센터이다. 그들의 활기찬 존재는
전주에 있는 지역사회를 풍요롭게 하는 파급효과를 만들었다. 그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단순히 그들 사업뿐만 아니라 이웃 가게영업 성공,
친구들 그리고 우리 지역 사회의 성공이다. 때문에 이러한 그들의 가족적
가치관이 가게를 운영하는 방식에 깊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은 놀랄
남편과 아내가 함께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식당은 부부의
여정을 매우 잘 보여준다.
As husband and wife, the restaurant
is very much a representation
of their journey as a couple.
일이 아니다. 남편과 아내가 함께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점은 부부의
여정을 매우 잘 보여준다. 두 사람의 사진부터 그들의 가족사를 자세히
담은 메뉴를 보며 고객들이 그들의 이야기를 함께 할 수 있다. K-pop
스타 소녀시대 태연도 이곳을 가고 싶다고 했다. 최근에는 전주 시장이
이곳을 방문하여 저녁식사를 하였고, 전통의상을 입고 사진을 찍기도
했다. 그들이 멕시코 문화를 존중하는 방식은 당신 자신이 누구인지를
축하하고 당신의 근원을 잊지 않는 다는 중요성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55
taste jeonbuk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n that
family values are also deeply embedded
in the way they run the space. As husband
and wife, the restaurant is very much
a representation of their journey as a
couple. From photographs of the two
of them to menus detailing their family
history, it allows customers to be apart
of their story. Taeyeon, K-pop star from
Girls’ Generation is just one example of
the attention this place is getting. Just
recently, they also had the mayor of
Jeonju dining there and taking pictures
in traditional ponchos. The way they
honor the Mexican culture pays tribute
to the importance of celebrating who
you are and never forgetting your roots.
Cavazos Tradition
카바조스 가의 전통
The food is authentically Mexican,
the recipes have been passed down
from the Cavazos family, Isabel’s
grandmother as matriarch. As their
menu reads, it is prepared with
much love and affection to all of the
customers. They have created a place
where you can enjoy real Mexican
food, coffee, tequila, micheladas
and feel within you that the country
is alive and singing. Although Koo
is Korean, he is no stranger to the
culture as he had lived in Mexico for
several years. He often greets guests
in Spanish and shares his passion and
knowledge of the gastronomy of the
country. Replicating the flavors, spices
and tastes of real Mexican food isn’t
easy but luckily as the originators, they
have executed their dishes flawlessly.
While Guanajuato is known for narrow
streets and colorful alleyways, Isabel
and Koo’s have gifted a piece of this
picturesque city to Jeonju. Now we all
have the opportunity to meet the real
food, art, parties and warmth of their
home.
음식은 멕시코 정통식이며, 레시피는 이사벨의
할머니인 카바조스의 가족으로부터 전해 내려왔다.
그들의 메뉴를 읽어보면, 그들은 모든 고객에게
사랑과 애정으로 음식을 준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부는 진정한 멕시코 음식, 커피, 데킬라, 칵테일을
즐길 수 있는 장소를 만들었고, 고객들로 하여금
멕시코의 생생함을 느끼고 노래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했다. 구는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몇 년
동안 멕시코에서 살았기 때문에 이 문화가 낯설지가
않다. 그는 종종 스페인어로 손님들을 맞이하고, 그
도시의 미식법에 대한 열정과 지식을 공유한다. 진짜
멕시코의 맛과 향을 똑같이 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운좋게도 그들은 원래의 음식과 같은 맛을 결점없이
만들어냈다.
Address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 전주객사1길 46-7
English Address: 46-7 Jeonjugaeksa 1-gil, Jungang-dong, Wansan-gu, Jeonju, Jeollabuk-do
Contact number (연락처): 063-282-1585
Website (홈페이지): https://ay-mamita.negocio.site/
Instagram (인스타그램): aymamita.korea
과나후아토는 좁은 거리와 화려한 골목길로
유명한데, 이사벨과 구는 전주에 이 그림 같은 도시의
한 부분을 선물했다. 이제 우리는 그들의 집에서 진짜
음식, 예술, 파티와 따뜻함을 마주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56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Mexican Cuisine
The way they honor the Mexican
culture pays tribute to the importance
of celebrating who you are and
never forgetting your roots.
그들이 멕시코 문화를 존중하는
방식은 당신 자신이 누구인지를
축하하고 당신의 근원을 잊지 않는
다는 중요성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57
Mexican Cuisine
The way they honor the Mexican
culture pays tribute to the importance
of celebrating who you are and
never forgetting your roots.
그들이 멕시코 문화를 존중하는
방식은 당신 자신이 누구인지를
축하하고 당신의 근원을 잊지 않는
다는 중요성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57
Bakery
The story of the
Alien Gristmill
Bakery: from
Gangnam to Jeonju
외계인방앗간 이야기
It’s Friday morning. Warmth glows
from the shop’s windows into the
rainy street. The smell of rising dough
fills the store as Hyewon shows me to the back.
Her hands and apron are already covered with a fine
dusting of flour. She has been here since 6:30 am.
금요일 아침입니다. 가게 창문에서 나오는 따스한 온기가 비 내리는
거리를 은은하게 밝혀줍니다. 부풀어 오른 빵 반죽 냄새가 가게를 가득
채울 때쯤 혜원씨는 나에게 가게 뒤쪽에 보여줄 것이 있다고 합니다.
혜원씨의 손과 앞치마에는 곱게 체에 걸러진 밀가루가 여기저기
묻어 있습니다. 혜원씨는 오전 6시 30분부터 계속 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Hyewon is the owner of the Alien Gristmill Bakery
(외계인방앗간) Jeonju store. Originating in Gangnam,
the stores are known for making healthy rice bread
and other baked goods. She opened the Jeonju store
in 2016, almost three years ago.
I first visited this bakery a few weeks ago. I was
frantically looking for something to bring to my sick
friend who had quickly grown weary of hospital food.
Hyewon took her time to explain the ingredients in
everything and make thoughtful recommendations.
Her knowledge and kindness made an impression on
me. I came back a few days later and she offered to
show me how she runs things.
Hyewon spends her mornings carefully monito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her rice loaves. Baking
seems to be second nature to her. The entire time we
are chatting she kneads and rolls out the dough. She
doesn’t miss a beat. Flour, roll, shift, flour, roll, shift. It
is a relaxing process to watch. This process is where
the authenticity of the store starts to show through.
Every available surface in the kitchen is covered with
resting dough. Sweet potato for purple, pumpkin for
orange, chocolate for brown. A line of jet black loaves
rests on the bench nearby. Squid ink, Hyewon explains.
I must have looked skeptical because she reassures
me it’s delicious.
혜원씨는 외계인방앗간 전주점의 주인입니다. 이 가게는 서울
강남에서 시작되었고 쌀로 만든 건강한 빵과 그 밖의 다른 제과제빵
제품으로도 유명한 곳입니다. 혜원씨는 약 3년 전인 2016년에 전주에
이 가게를 열었습니다.
몇 주전에 저는 처음으로 이 빵 가게를 방문했습니다. 병원 음식에
질려있는 아픈 친구를 위해 가져다 줄 만한 것을 열심히 찾고 있던
중이었습니다. 혜원씨는 자기 시간을 내어 빵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들을 설명해주었고 친절하게 추천도 해주었습니다. 빵에
대한 주인장의 지식과 친절함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며칠 후 가게를
다시 방문 하게 되었고, 혜원씨는 자신의 가게 운영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알려주었습니다.
혜원씨는 아침마다 쌀로 만드는 빵의 발효 과정을 세심하게
점검합니다. 빵 만들기는 혜원씨에게 몸에 배인 습관 같아 보입니다.
소소한 담화를 나누는 동안 그녀는 반죽을 하고 도우를 밀어 펴는
작업을 합니다. 그녀는 한 박자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밀가루를 뿌리고,
밀고, 체로 치는 작업 반복하기를 멈추지 않습니다. 그 과정을 바라보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이 가게만의 진위여부가 드러나는 시간이기
때문이겠지요.
부엌 작업 공간은 발효중인 반죽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보라색
반죽에는 고구마가 사용되었고, 주황색 반죽에는 호박이, 갈색
반죽에는 초콜렛이 쓰였습니다. 근처 벤치에는 진한 검은색 빵들이
일렬로 놓여 있습니다. 혜원씨 말로는 이 빵들은 오징어 먹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맛이 일품이라며 저를 안심시키는 것을 보니
제 반응이 별로였나 봅니다.
59
Bakery
The story of the
Alien Gristmill
Bakery: from
Gangnam to Jeonju
외계인방앗간 이야기
It’s Friday morning. Warmth glows
from the shop’s windows into the
rainy street. The smell of rising dough
fills the store as Hyewon shows me to the back.
Her hands and apron are already covered with a fine
dusting of flour. She has been here since 6:30 am.
금요일 아침입니다. 가게 창문에서 나오는 따스한 온기가 비 내리는
거리를 은은하게 밝혀줍니다. 부풀어 오른 빵 반죽 냄새가 가게를 가득
채울 때쯤 혜원씨는 나에게 가게 뒤쪽에 보여줄 것이 있다고 합니다.
혜원씨의 손과 앞치마에는 곱게 체에 걸러진 밀가루가 여기저기
묻어 있습니다. 혜원씨는 오전 6시 30분부터 계속 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Hyewon is the owner of the Alien Gristmill Bakery
(외계인방앗간) Jeonju store. Originating in Gangnam,
the stores are known for making healthy rice bread
and other baked goods. She opened the Jeonju store
in 2016, almost three years ago.
I first visited this bakery a few weeks ago. I was
frantically looking for something to bring to my sick
friend who had quickly grown weary of hospital food.
Hyewon took her time to explain the ingredients in
everything and make thoughtful recommendations.
Her knowledge and kindness made an impression on
me. I came back a few days later and she offered to
show me how she runs things.
Hyewon spends her mornings carefully monito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her rice loaves. Baking
seems to be second nature to her. The entire time we
are chatting she kneads and rolls out the dough. She
doesn’t miss a beat. Flour, roll, shift, flour, roll, shift. It
is a relaxing process to watch. This process is where
the authenticity of the store starts to show through.
Every available surface in the kitchen is covered with
resting dough. Sweet potato for purple, pumpkin for
orange, chocolate for brown. A line of jet black loaves
rests on the bench nearby. Squid ink, Hyewon explains.
I must have looked skeptical because she reassures
me it’s delicious.
혜원씨는 외계인방앗간 전주점의 주인입니다. 이 가게는 서울
강남에서 시작되었고 쌀로 만든 건강한 빵과 그 밖의 다른 제과제빵
제품으로도 유명한 곳입니다. 혜원씨는 약 3년 전인 2016년에 전주에
이 가게를 열었습니다.
몇 주전에 저는 처음으로 이 빵 가게를 방문했습니다. 병원 음식에
질려있는 아픈 친구를 위해 가져다 줄 만한 것을 열심히 찾고 있던
중이었습니다. 혜원씨는 자기 시간을 내어 빵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들을 설명해주었고 친절하게 추천도 해주었습니다. 빵에
대한 주인장의 지식과 친절함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며칠 후 가게를
다시 방문 하게 되었고, 혜원씨는 자신의 가게 운영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알려주었습니다.
혜원씨는 아침마다 쌀로 만드는 빵의 발효 과정을 세심하게
점검합니다. 빵 만들기는 혜원씨에게 몸에 배인 습관 같아 보입니다.
소소한 담화를 나누는 동안 그녀는 반죽을 하고 도우를 밀어 펴는
작업을 합니다. 그녀는 한 박자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밀가루를 뿌리고,
밀고, 체로 치는 작업 반복하기를 멈추지 않습니다. 그 과정을 바라보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이 가게만의 진위여부가 드러나는 시간이기
때문이겠지요.
부엌 작업 공간은 발효중인 반죽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보라색
반죽에는 고구마가 사용되었고, 주황색 반죽에는 호박이, 갈색
반죽에는 초콜렛이 쓰였습니다. 근처 벤치에는 진한 검은색 빵들이
일렬로 놓여 있습니다. 혜원씨 말로는 이 빵들은 오징어 먹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맛이 일품이라며 저를 안심시키는 것을 보니
제 반응이 별로였나 봅니다.
59
Jeolla Dialect
Gunsan
Iksan
Wanju
County
Muju
County
Words by Axel Lemus
Jeolla Dialect
Jeonju
Gimje
Buan
전라 사투리
County
Jeongeup
Imsil
County
Gochang
County
Sunchang
County
Jinan
County
Jangsu
County
Namwon
Every region has its own unique dialect.
By embracing it, you embrace the local
people, language, and culture in a warm
and useful way. This edition’s featured
phrase is….
“학교애 감서 조심해”
“Be careful on your way
to school.”
V1 -(으)음서 V2
The standard Korean equivalent of this grammatical
pattern is V1 –(으)면서 V2. It is used to express that
two actions are happening simultaneously. Using it
will surely spice up any conversation with a local!
“왜 이렇게 피곤해 보여?”
“Why do you look so
tired?”
“어제 공부함서 밤샜어”
“It’s because I stayed up all night studying
yesterday.”
61
P h o t o g r a p h y
Dukjin Park
62 Jeonbuk Life Magazine / Summer 2019 • Issue 15
Photos by
Umesh Sampath
and
Aaron
Snowberger
Jeonju Nights
Creative Corner
63
R U S S I A
M O N G O L I A
The most "Korean" province,
Jeollabuk-do
Keeping arts and tradition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Jeollabuk-do has remained
the most Korean province, being aware of the precious values of the past.
A place creating a new culture while keeping its original flavor and taste!
Listen to the various stories of Jeollabuk-do made for a thousand years.
Iksan
Gunsan
Wanju
County
Muju
County
Gimje
Jeonju
Jinan
County
Buan
County
Gochang
County
Beijing
Jeongeup
Qingdao
Sunchang
County
Imsil
County
Namwon
Jangsu
County
Seoul
S O U T H
K O R E A
Tokyo
J A P A N
C H I N A
Shanghai
Jeju
Island
Fukuoka
Do you Know Jeollabuk-do?
Osaka
1. Which city was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Hong Kong
2. Which town is best
known for its wide
Xiamen
open plain that shows
a unique view of the
horizon in Korea?
3. Which county
surrounds Jeonju
Taipei
and is the center
of local foods?
T A I W A N
4. Which city sees both
the Geumgang and
Mangyeonggang
Rivers flowing
through it?
5. Which county
includes one
of Korea's ten
natural wonders?
6. Which city is
located the shortest
geographical
distance from China?
7. Which city is
famous for Pansori,
Chunhyang's, and
Heungbu's stories?
Quiz
8. Which town is
best known for
Naejang Mountain?
9. Which county is
scattered with
mountains ranging
over 1000m?
10. Which county is
famous for Maisan
Mountain?
11. Which county
sees millions of
tourists per year for
skiing and other
outdoor activities?
12. Which county is
most well-known
for its cheese?
13. Which county is
famous for its red
pepper paste and
mineral springs?
14. In which county
was a stone fortress
built "just in case" of
Japanese invasion?
Answers: 1. Jeonju 2. Gimje 3. Wanju 4. Iksan 5. Buan 6. Gunsan 7. Namwon
8. Jeongeup 9. Jangsu 10. Jinan 11. Muju 12. Imsil 13. Sunchang 14. Goch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