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이문기

이문기

이문기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br />

-한스 H. 얀의 드라마 리처드 3세의 대관식 Die Krnung Richards III. 을<br />

1.<br />

들어가는 말<br />

중심으로<br />

이문문기 ( 인하대 )<br />

‘ 에로티즘 ’ 혹은은 ‘ 섹슈얼리티 ’ 가 전면에 등장장하는 문문학작품의의 경경우에 독일 비평계계<br />

의의 반응응은은 오늘날까지도 대체로 호의의적이지 않다 . 이러한 부정적 태도의의 이면에는 성<br />

적 행위위 또는 성 그 자체를 직접 표현하기 보다는 암시하거나 아니면 달리 표현해야<br />

한다는 글쓰기의의 불문문율율 내지는 미적 엄격성이 자리 잡고 있있다 . 그 때문문에 어느 장장르<br />

를 막론하고 문문학에서 “ 두 사람의의 가장장 내밀한 만남을을 표현하는 것은은 예전부터 비문문<br />

학적인인 것으으로 , 적어도 문문학적으으로 문문제가 많은은 혹은은 외설적인인 것으으로 간주되었다 .<br />

Die intimste Begegnung zweier Menschen darzustellen galt seit je als unliterarisch,<br />

zumindest literarisch problematisch oder als pornographisch.” 1)<br />

게다가 동성 간의의 사랑 , 특히 남성 간의의 섹슈얼리티를 테마로 삼는 문문학작품은은 일<br />

종의의 터부에 해당된다 . 설령 그러한 주제를 다룬 작품이 있있다 해도 , 그 작품은은 외설<br />

이라는 낙인인이 찍히면서 비평계계와 독자 / 관관객으으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거나 조롱당하<br />

기 십상이다 . 이러한 표현이 가장장 잘잘 들어맞는 극작가가 바로 한스 H. 얀 Hans<br />

Henny Jahnn (1894-1959) 이다 . 그는 처녀작 목사<br />

에프라임 마그누스 Pastor Ephraim<br />

Magnus (1919)<br />

로 1920년 클라이스트 문문학상 Kleist-Preis 을을 받지만 , 아직 초연도 되지<br />

않은은 이 작품에 대한 당시의의 비평은은 한 마디로 가혹할 정도다.<br />

이러한 작품은은 독성이 가장장 강한 약이라 독약을을 보관관하는 인인류의의 약장장 속에 보관관해두어야<br />

1) Wolfgang Popp: Männerliebe. Homosexualität und Literatur, Stuttgart 1992, S. 5.


9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한다 . 우리는 반복 , 변형 또는 모방을을 단호하게 거절할 것이다 . 물론 이처럼 극단적으으로 혼<br />

란스러운운 작품이 우리 시대에 생겨난 것은은 우연이 아니다 . 그러나 그것은은 우리와 함께 하<br />

는 것이 얼마나 위위험한가 - 우리는 그것을을 서서히 알 것이다 . 그리고 우리가 사람들에게 그<br />

러한 혼란을을 너무 자주 표현한다면 , 아마도 그들은은 자신들의의 질병을을 정상으으로 여기기 시작<br />

할 것이다. 2)<br />

초기에 각인인된 이러한 혹평은은 이후에도 크게 변하지 않고 그의의 문문학 전체를 평가<br />

하는 하나의의 잣잣대가 되고 있있다 . 이때 흔히 언급되는 것은은 그의의 문문학이 이른바 “ 정상<br />

에서 벗어난 야만성 exorbitante Barbarei” 3)을을 지니고 있있다는 것이다 . 그 결결과과 독일 비<br />

평계계는 얀 문문학에 대해 침침묵 또는 거부로 일관관하거나 , 심지어 그의의 문문학에 대해 증오<br />

심을을 드러내기까지 한다 . 그 때문문에 자신의의 삶과과 작품을을 통해서 시민사회의의 전통과과<br />

통념을을 부단히 깨고자 시도하고 , 나아가 합리적 이성에 기초한 서구의의 기술문문명을을 비<br />

판하고자 한 얀은은 언제나 독일 문문학계계나 연극계계 , 그리고 일반 사회로부터 아웃웃사이더<br />

취취급을을 받는다.<br />

하지만 우리가 그의의 드라마 텍스트를 꼼꼼하게 살펴보면 , 얀에 대한 지금까지의의<br />

일반적인인 평가는 어느 정도 모순되는 것을을 발견견할 수 있있다 . 물론 그의의 드라마 작품<br />

속에는 의의심의의 여지없이 근친친상간 혹은은 호모에로틱 , 그리고 여기에 수반되는 잔잔혹한<br />

행위위 등을을 연상시키는 언어나 요소들이 있있다 . 그러나 다른 한편으으로는 성적 행위위나<br />

잔잔혹성을을 구체적으으로 묘묘사하는 장장면은은 그의의 작품 속에는 거의의 없다 . 그럼에도 불구하<br />

고 얀 문문학에 대한 지금까지의의 분석과과 해석은은 작가의의 개인인적인인 삶과과 연결결해서 , 또는<br />

심리분석학적 관관점에서 그의의 작품에 등장장하는 인인물들의의 섹슈얼리티 문문제를 지나치게<br />

강조한 측측면이 없지 않다 . 어느 한 쪽에 지나치게 경경도된 기존의의 해석방식은은 그의의 문문<br />

학을을 종합적으으로 이해하는데 있있어서 충분조건이라 할 수는 없을을 것이다.<br />

따라서 이 논문문은은 자기 시대의의 비판자로서 , 나아가 기독교교와 계계몽몽주의의에 기초한<br />

유럽 중심의의 진보적 문문명에 대한 비판자로서 얀과과 그의의 문문학을을 조명하는데 초점을을<br />

맞추고 있있다 . 이를 위위해서 필자는 먼저 그의의 세계계관관과과 연극관관이 무엇인인지를 밝힌 연<br />

2) Jan Bürger: Hans Henny Jahnn (1894-1959), in: Nobert O. Eke u.a. (Hg.): Deutsche Dramatiker<br />

des 20. Jahrhunderts, Berlin 2000, S. 234.<br />

3) Horst A. Glaser: Unglückliche Negerin unter Schwulen (Jahnn), in: Ders.: Medea oder Frauenehre.<br />

Kindermord und Emanzipation: zur Geschichte eines Mythos, Frankfurt a.M. u.a. 2001, S. 121.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93<br />

후에 , 이를 통해서 보여 진 그의의 이론적 구상이 1922년 2월월<br />

라이프치히에서 초연된<br />

그의의 드라마 작품 리처드 3 세의의 대관관식 에서<br />

문문학적으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있는지 ,<br />

그리고 끝으으로 그가 자신의의 작품을을 통해서 어떤 대안적 삶을을 모색하고 있있는지에 대<br />

해서 논하고자 한다.<br />

2. 우그리노 Ugrino 믿음공동체 구상<br />

제 1 차 세계계대전은은 독일 시민사회의의 총체적 붕괴괴를 가져온다 . 그리고 전후 들어선<br />

바이마르 공공화국은은 독일 역사상 최초의의 민주정부로 탄생했음음에도 불구하고 거의의 모<br />

든 영역에서 다양한 문문제에 봉착하면서 뚜렷한 해결결의의 실마리를 찾지 못못한다 . 한 마<br />

디로 당시 독일 사회의의 총체적 불안정성은은 시민 개개인인의의 삶에 안정보다는 오히려<br />

불안감을을 더욱 증폭시킨 그런 시기라고 할 수 있있다 . 그러자 많은은 지식인인과과 예술가들<br />

은은 자신들을을 둘러싸고 있있는 주변의의 현실로부터 벗어나 스스로의의 삶을을 재구성하기 위위<br />

한 프로그램이나 구상 하에서 자기들만의의 공공동체를 세우고자 하는 생각들이 널리 퍼<br />

지기 시작한 것도 바로 그런 연유에서이다 . 극작가이자 건축가로 , 그리고 오르간 제<br />

작자로 활동한 얀 역시도 그러한 생각을을 지닌 많은은 사람들 가운운데 한 명이다.<br />

( …)<br />

그때는 한 마디로 격동의의 시대였다 . 삶은은 편안하지도 않았으으며 보살핌도 받지 못못했다 .<br />

그러나 이제 거대한 건설을을 시작할 시기가 마침침내 도래했다는 느낌이 그 모든 것 뒤편에<br />

살아 숨 쉬고 있있었다. 4)<br />

전쟁을을 피해 노르웨웨이에 머물고 있있던 얀은은 작곡가이자 조각가로 활동하는 그의의 절<br />

친친한 친친구 고트리프 하름스 Gottlieb Harms와<br />

함께 망명생활을을 청산하고 독일로 돌아<br />

와 1919 년 ‘ 우그리노 ’ 라 불리는 신비로운운 믿음음공공동체의의 설립을을 구상하기 시작한다 .<br />

이때 그들은은 1896년에 시작해 1901년에 비로소 설립된 20세기<br />

초 반근대주의의 운운동을을<br />

대표하는 ‘ 반더포겔 Wandervogel’ 운운동 , 그리고 이후 우후죽순으으로 생겨난 또 다른<br />

청년운운동들을을 자신들 구상의의 토대가 되는 좋은은 선례로 삼는다. 5) 물론 얀과과 하름스가<br />

4) Walter Muschg: Gespräch mit Hans Henny Jahnn, Frankfurt a.M. 1967, S. 135.


9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구상하는 공공동체는 시민적 규범과과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시민사회 그 자체를 거부한<br />

다는 점에서 동시대의의 다른 청년운운동들과과 맥을을 같이 하고 있있지만 , 그들이 구상하는<br />

‘ 우그리노 ’ 믿음음공공동체는 특히 건축 , 조각 , 음음악 , 연극과과 문문학 등 다양한 예술분야에<br />

서 활동하고 있있는 젊은은 예술가들을을 중심으으로 회원원을을 구성하고 , 서로 형제와 같은은 우<br />

애에 기초해 각자가 지닌 예술적 창조성을을 자유롭게 펼칠칠 수 있있도록 지원원할 목적으으<br />

로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전자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있다.<br />

우그리노는 ( …)<br />

생활태도 , 생활설계계 , 그리고 필생의의 작업에 대해서 각 개인인이 지닌 진정성<br />

을을 일깨우는 것을을 , 또한 감성의의 힘과과 능력을을 얻기 위위해서 그러한 진정성의의 의의지가 해낼 수<br />

있있는 것들을을 창조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있다. 6)<br />

예술적 행위위와 실천을을 최고의의 가치라고 생각하는 얀은은 ‘ 우그리노 ’ 라는 믿음음공공동체<br />

를 통해서 인인류개혁의의 토대가 되는 새로운운 세계계상을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여기서 그의의<br />

세계계관관과과 예술관관을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 먼저 그의의 예술적 이상은은 억압받고 고통 받는<br />

사람들 , 그리고 인인간에 의의해서 착취취당하는 모든 생명체에 대한 깊은은 애정에서 출발한<br />

다 . 그러나 20세기<br />

초 그의의 주변 환경경은은 기대와 현실 사이의의 모순만을을 그에게 확인인시<br />

켜줄 뿐이다 . 엄격한 기독교교 집안에서 성장장한 얀은은 그 원원인인을을 기독교교에서 찾는다 . 왜<br />

냐하면 그의의 생각에 따르면 기독교교와 계계몽몽주의의에 기초한 서구의의 기술문문명은은 같은은 인인<br />

간에게 저지르는 인인간의의 무절제함 , 더 나아가 피조물에 대한 인인간의의 지배욕을을 정당화<br />

시키는 기제로 이용되고 있있기 때문문이다 . 이때부터 기독교교는 얀에게 더 이상 믿음음의의<br />

대상이 아니라 비판적 성찰의의 대상이자 거부의의 대상이 되어간다 . 그 대신 그는 모든<br />

5) 고유경경 : 문문화비판으으로서의의 반더포겔 운운동 , 1896-1913, 실린 곳곳 : 독일연구 제 6 호 (2005), 26 쪽 . 반<br />

더포겔 운운동은은 “ 새로운운 유형의의 생활양식과과 사고방식을을 통해서 사회의의 변화를 유도하고자 했다 .<br />

그러한 의의지는 무엇보다도 도보여행으으로 표현되었으으니 , 이는 가정과과 학교교라는 규범적 사회화 기<br />

관관 , 그리고 근대 문문명에 오염된 도시로부터 공공간적으으로 격리되고자 하는 의의식의의 발현이었다 .” 따<br />

라서 당시 반더포겔 운운동에서 비롯된 여타 다른 청년운운동들도 정치적으으로는 중립적이었으으나 , 학<br />

교교나 사회가 규정한 규범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자율율적인인 생활방식을을 전개하는 것을을 자신들의의<br />

목표로 삼았다 . 이후 이러한 운운동들은은 소그룹으으로 다양하게 분화되어 활동하다가 1933년<br />

나치의의<br />

등장장과과 함께 모두 해산되었다.<br />

6) Hans H. Jahnn: Mein Werden und mein Werk, in: Ders.: Werke und Tagebücher in sieben Bänden.<br />

Bd. 7. Mit einer Einleitung von Hans Mayer. Hg. von Thomas Freeman u. Thomas Scheuffelen,<br />

Hamburg 1974, S. 131f.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95<br />

피조물에 드리워워진 신의의 원원리 , 즉 범신론적 세계계관관을을 갖기 시작한다 . 이러한 변화된<br />

인인식 위위에서 그는 건강하고 올바른 감성을을 지닌 자연 본래의의 토양에서 자라난 인인간<br />

적 감성의의 힘 , 그리고 거기에서 비롯된 구원원의의 힘만이 자기 시대의의 절망적인인 상황과과<br />

맞설 수 있있다고 생각한다 . 이제 그에게는 이러한 힘만이 믿음음의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있<br />

는 인인간의의 유일한 표현인인 것이다 . 자연의의 아름다움움과과 생명에 대한 그의의 경경외심은은 바<br />

로 이러한 믿음음에서 비롯된 것이며 , 그가 ‘ 우그리노 ’ 믿음음공공동체를 설립하고자 한 의의<br />

도도 그러한 믿음음을을 실천하고자 하는데 있있다. 7)<br />

그뿐만 아니라 예술은은 형이상학의의 영역에 속하는 동시에 , 독자적인인 법칙들을을 지니<br />

고 있있다고 생각하는 얀은은 인인간 존재의의 궁궁극적인인 의의미와 그것을을 확장장할 수 있있는 가능<br />

성을을 거기서 발견견한다 . 이 경경우 다른 어떤 예술분야보다도 고대나 중세의의 건축예술에<br />

서 자신이 찾던 예술의의 율율동적 배열과과 화성법칙에 조응응하는 법칙성들을을 발견견할 수<br />

있있다고 확신하는 얀은은 실제로 ‘ 우그리노 ’ 믿음음공공동체의의 회원원들을을 위위해서 고대의의 피라<br />

미드 구조와 유사한 거대한 건축건립계계획을을 세운운다. 8) 이를 통해서 그는 진보적 문문명<br />

에 의의해 억눌린 인인간 존재의의 감성적 부분을을 다시 해방시켜 인인간의의 본원원적 삶의의 관관계계<br />

를 복원원하고자 시도한다 . 또한 이 거대한 건축건립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위해서 그는<br />

중세시대에 교교회건축물을을 짓기 위위해 조직된 ‘ 바우휘테 Bauhütte’ 라는 조합을을 공공동체<br />

의의 조직모델로 삼는다. 9)<br />

그러나 1920 년 ‘ 우그리노 ’ 설립과과 동시에 추진된 얀의의 건축건립계계획은은 곧곧 안팎으으<br />

로 커다란 난관관에 봉착하게 된다 . 외부적으으로는 이즈음음에 불어 닥치기 시작한 경경제대<br />

공공황은은 얀에게 엄청난 재정적 어려움움을을 가져다주었으으며 , 내부적으으로는 중세시대의의<br />

저 위위계계질서에 기초한 믿음음공공동체의의 조직이 회원원들에게 강한 거부감을을 불러일으으킨<br />

다 . 급기야 많은은 회원원들이 탈퇴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독자적인인 모임들을을 결결성하기에<br />

이른다 . 결결국 얼마 가지 않아 얀의의 모든 계계획은은 수포로 돌아가고 , 그의의 구상은은 한낱<br />

꿈으으로만 남는다 . 이렇게 해서 ‘ 우그리노 믿음음공공동체의의 이익을을 보호하기 위위한 협회<br />

7) Vgl. Weltanschauung-Religiosität, verfügbar unter: http://www.hans-henny-jahnn.de/Religiositaet.html.<br />

8) Vgl. Ugrino, verfügbar unter: http://www.hans-henny-jahnn.de/Ugrino.html.<br />

9) Vgl. Werner Ludewig (Red.): Das Bertelsmann Lexikon Bd. 1, Gütersloh 1979, S. 154. 중세시대에<br />

는 거대한 교교회건축물을을 짓기 위위해서 많은은 건축전문문가들이 필요했는데 , 이를 위위해서 조직한 조합<br />

을을 ‘ 바우휘테 ’ 라고 불렀다 . 이 명칭칭은은 ‘ 작업장장 건물 ’ 이라는 의의미뿐만 아니라 ‘ 작업공공동체 ’ 라는 의의<br />

미도 함께 지녔다.


9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Verein zur Wahrung der Interessen der Glaubensgemeinde Ugrino e.V.’ 라는 공공식명칭칭<br />

은은 1935 년까지 서류상으으로만 남게 된다 .<br />

비록 얀의의 구상이 현실화되지는 못못하였지만 , 자신의의 정체성과과 함께 소박한 자연성<br />

에 기초한 대안적 삶의의 형식을을 찾고자 하는 그의의 노력은은 계계속된다 . 여기서 우리는 믿<br />

음음공공동체의의 구상에서 비롯된 두 가지 원원칙 하에서 그의의 노력이 계계속되고 있있음음을을 알<br />

수 있있다 . 먼저 , 서구 시민사회의의 전통과과 질서 , 그리고 규범에 대한 그의의 비판이다 . 이<br />

러한 비판은은 그의의 문문학에서 때로는 고대의의 신화나 전설에 기대어 , 때로는 역사적 인인<br />

물에 기대어 동성애나 근친친상간과과 같은은 비정상적인인 섹슈얼리티의의 문문제를 전면에 내<br />

세움움으으로써 시민사회의의 금기를 깨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 그 다음음은은 과과학과과 진보에<br />

대한 믿음음에 기초한 서구사회의의 생명경경시 풍조에 대한 그의의 비판이다 . 이러한 관관점에<br />

서 얀은은 자신의의 창작활동이나 연설 등을을 통해서 바이마르 시대에는 전쟁과과 인인종주의의,<br />

그리고 자본주의의에 대한 거부감을을 표현하고 , 그리고 1945년<br />

이후에는 독일의의 재무장장<br />

과과 유럽지역의의 핵확산 , 그리고 동물종의의 멸종에 관관한 그의의 비판적 발언들도 ‘ 우그리<br />

노 ’ 믿음음공공동체의의 이상인인 생명존중의의 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br />

우리는 생명에 대한 존중을을 수백만의의 사람들에게 우격다짐으으로 가르칠칠 수는 없다 . 그들은은<br />

그것과과는 너무 동떨어져 있있다 . 그들은은 그것을을 매우 졸렬한 방식으으로 이해하고 있있다 : 살인인은은<br />

금지되어 있있지만 , 전쟁은은 허용되어 있있다 . 10)<br />

그렇지만 그의의 세계계관관은은 때로는 단순함을을 넘어서 이해하기 어려울울 정도로 자기모<br />

순에 빠지기도 한다 . 이를 테면 이성애를 단순한 종족번식을을 위위한 일종의의 재생산의의<br />

목적으으로만 이해한다든지 11) , 혹은은 인인류의의 인인구증가에 반대하면서 내놓은은 이른바 ‘ 인인<br />

류의의 부분적 소멸계계획 ’ 과과 소수의의 선택받은은 자들 , 즉 예술가들과과 그들이 지닌 오성에<br />

의의해서만 다른 인인간과과 피조물이 받는 고통을을 덜어주고 막아줄 수 있있다는 얀의의 엘리<br />

트주의의적 사고는 비판의의 여지가 클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줄곧곧 주장장하는 문문명비판<br />

10) Hans H. Jahnn: Werke in Einzelbänden. Bd. 1. Hg. v. Uwe Schweikert, Hamburg 1985/86, S. 503.<br />

Hier zitiert nach: Elsbeth Wolffheim: Hans Henny Jahnn. Mit Selbstzeugnissen und Bilddokumenten,<br />

Reinbek 1989, S. 74f.<br />

11) 김맹하 : Hans Henny Jahnn의의 Medea 연구 - 생명력 넘치는 고풍화 , 실린 곳곳 : 독일어문문학 제 34집<br />

(2006), 58 쪽 참조 .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97<br />

이나 생명존중사상과과도 정면으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12) 설령 예술을을 통해서 파괴괴적인인<br />

활동을을 하는 인인류를 정화시키기 위위해서 구상한 그의의 ‘ 우그리노 ’ 믿음음공공동체와 세계계관관<br />

이 인인간적이고 , 그렇기에 기본적으으로 인인간에 대한 그의의 연민으으로 특징지어져 있있다 하<br />

더라도 그러한 사고의의 모순을을 상쇄시킬 수는 없을을 것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우그<br />

리노 ’ 공공동체의의 이상은은 그의의 전 생애와 문문학을을 관관통하는 근본이념이 된다 .<br />

3. 우그리노 연극<br />

얀은은 20 년대 출판된 자신의의 드라마 작품들을을 자신의의 정신적 뿌리인인 ‘ 우그리노 ’ 의의<br />

이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 그러나 자신의의 예술적 이상 , 즉 자신의의 드라마<br />

작품들을을 무대 위위에서 재현할 수 있있는 기회나 그 가능성을을 동시대의의 연극전통과과 형<br />

식에서 발견견하지 못못한 얀은은 스스로 새로운운 연극형식을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 ‘ 우그리<br />

노 ’ 믿음음공공동체가 그렇듯이 그가 구상하는 새로운운 연극형식의의 전제는 동시대의의 드라<br />

마나 연극경경향을을 철저하게 부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br />

먼저 , 얀은은 개인인주의의와 소시민의의 감정에 영합하기 위위해서 오로지 오락적 기능에만<br />

안주해 있있는 20 년대의의 시민연극 , 자연주의의 연극이나 환상주의의 연극이 갖는 현실의의<br />

모사기능과과 환상주의의를 거부하는 것은은 물론이고 13) , 기술의의 진보를 표현하는 무대기<br />

술과과 더불어 그러한 무대가 만들어내는 “ 감동의의 효과과들 Sensationseffekte”, 그리고 현<br />

실을을 모사 내지는 재현하기 위위해서 “ 판지로 만든 무대세트들 Pappkulissen” 과과 같은은<br />

무대장장치들은은 자신의의 드라마 작품과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또한 얀은은 무대가 배우<br />

의의 탁월월한 연기에 압도당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 그래서 그는 연극적 제스처나<br />

예술적 기교교의의 완벽성에서 벗어나 자신만의의 신체적 표현과과 음음성을을 통해서 관관객에게<br />

새로운운 연극의의 느낌을을 전달할 수 있있도록 연기자는 드라마 텍스트 및 등장장인인물과과의의<br />

긴밀한 내적 친친화성을을 구축함과과 동시에 , 이른바 “ 종교교적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aus<br />

dem religiösen Erlebnis” 연기를 할 것을을 요구한다 . 14)<br />

12) Vgl. Elsbeth Wolffheim, a.a.O., S. 44.<br />

13) Vgl. Reiner Niehoff: Hans Henny Jahnn. Die Kunst der Überschreitung, München 2001, S. 121.<br />

14) Hans H. Jahnn: Schriften zur Kunst. Literatur und Politik. 1. Teil. Hg. v. Ulrich Bitz u. Uwe


9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우리는 최근의의 모든 것을을 단념하지 않으으면 안 된다 : 무대세트 , 교교양 없이 울울려대는 음음악 , 번<br />

쩍거리며 요란을을 떠는 조명의의 움움직임 , 가면 , 잡동사니 , 모조품 , 분장장 그리고 - > 배우 < 를 포<br />

기하지 않으으면 안 된다. 15)<br />

그 대신 얀은은 고대나 중세시대에 볼 수 있있는 ‘ 제의의극 Kultisches Theater’ 에서 자신<br />

의의 예술적 이상을을 표현할 수 있있는 가능성을을 발견견한다 . 왜냐하면 그는 세속적인인 것과과<br />

성스러운운 것을을 분리하는 경경배의의 장장소로서 , 그리고 무대사건이 공공연되는 순간 , 새로운운<br />

인인류공공동체의의 장장을을 여는 무대 형식으으로서 고대 디오니소스 축제 때 성대하게 거행된<br />

제의의극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공공동체의의 믿음음과과 예술의의 합일 , 극작가와 배우 , 그리고<br />

관관객의의 혼연일체 , 나아가 모든 연극적 요소들을을 한데 묶어내는 힘을을 발견견하기 때문문이<br />

다. 16) 이처럼 “ 세계계의의 재신성화와 재신화화 die Resakralisierung und Remythisierun<br />

g” 17)를 통해서 산 자와 죽은은 자가 함께 하는 , 즉 믿음음공공동체의의 부활을을 효과과적이고 강<br />

렬하게 표현하는 무대를 직접 만들기 위위해서 , 그리고 기존의의 연극계계가 안고 있있는 연<br />

극외적 조건들에서 벗어나 자신이 쓴 드라마의의 내용과과 형식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br />

위위해서 얀은은 공공동체 안에 이른바 ‘ 우그리노 극장장 Ugrino-Theater’ 을을 건립할 것을을 계계획<br />

한다.<br />

우그리노라는 이름은은 하나의의 상징이다 . 그것은은 건축물을을 떠받치는 흙덩어리이며 , 영원원한 것<br />

과과 관관련된 수많은은 작업의의 표상이다 . 그것은은 형상물이 가득 한 산 자와 죽은은 자를 위위한 땅이<br />

다. 18)<br />

따라서 얀에게는 무대 자체가 성배의의식을을 위위한 장장소이며 , 곧곧 무대 재현은은 성배의의<br />

식에 해당된다 . 이를 실현하기 위위해서 얀은은 빠른 장장면전환을을 가능케 하는 회전무대를<br />

제외하고는 현대식 무대장장치나 무대기술을을 철저하게 배제한다 . 그는 그러한 연극요<br />

소들이야말로 자신의의 작품공공연에는 전혀 어울울리지 않는 겉치레에 불과과하다고 생각한<br />

Schweikert unter Mitarbeit v. Sandra Hiemer u. Werner Irro, Hamburg 1991, S. 186f.<br />

15) Ebd. S. 187.<br />

16) Vgl. Reiner Niehoff, a.a.O., S. 121f.<br />

17) Ebd. S. 123.<br />

18) Hans H. Jahnn: Schriften zur Kunst. Literatur und Politik, a.a.O., S. 57.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99<br />

다 . 그 대신 그는 자신의의 연극구상에 따라 웅웅장장하면서도 추상적인인 무대특성을을 통해<br />

신성을을 부여하기 위위해서 무대구조물로 2개의의 주 탑과과 최대 8개의의<br />

기둥을을 무대 위위에<br />

세운운 다음음 , 무대 공공간 전체를 6 개의의 면으으로 분할한다 . 또한 언어 , 음음향 , 빛 ( 조명 ), 동<br />

작 등과과 같은은 연극적 요소들은은 공공동체의의 제의의적 행위위와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 얀은은<br />

이러한 자신의의 무대구상을을 실현하기 위위해서 당시 짧은은 기간이었지만 그 자신이 무대<br />

기술자로 , 무대건축가로 활동하고 , 음음향과과 조명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관심을을 보인인 것도<br />

바로 그 때문문이다. 19)<br />

물론 얀은은 고대를 지향하면서 자기 연극의의 제의의적 성격을을 강조하고 있있지만 , 그렇<br />

다고 해서 그가 인인간의의 일상적인인 문문제들을을 언어로 옮겨 그것을을 무대에서 표현하는<br />

것을을 포기했다는 것을을 의의미하지는 않는다 . 오히려 그는 일상적인인 문문제들을을 표현하는<br />

것이야말로 연극의의 과과제라고 생각한다.<br />

어느 시대든 근원원적인인 비극의의 문문제들을을 형상화하는 것은은 극작가의의 주된 임무이다 . 그것은은<br />

무엇을을 의의미하는가 ? 사랑하는 사람을을 완전히 연소시키는 사랑이 그것이고 ; 늙는 것이 그것<br />

이고 , 솔직히 말해서 주변세계계와의의 대립이 그것이다 . 사람들은은 작가가 현재의의 시간을을 다루<br />

어도 좋다고 생각한다. 20)<br />

그러나 극작가로서 인인정받기를 원원했던 얀은은 자신의의 삶과과 작품을을 통해서 기대하는<br />

만큼의의 성공공을을 거두지 못못한다 . 그가 구상하던 연극무대도 ‘ 우그리노 ’ 공공동체의의 건립<br />

계계획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실현되지 못못한다 . 그리고 그에 대한 호의의적인인 평가는 언제<br />

나 소수의의 몫이고 , 게다가 그것도 근친친상간이나 동성애와 같은은 섹슈얼리티 문문제를 통<br />

해서 관관객을을 자극하는 그의의 연극적 도발성에 대체로 초점이 맞춰춰져 있있다.<br />

관관객과과 공공유하는 것이 연극의의 과과제라고 언젠가 하이너 뮐뮐러가 말했다 . 얀이 그렇게 하는데<br />

성공공을을 거둔 만큼 우리는 그의의 영향력을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21)<br />

19) Vgl. Jan Bürger: Hans Henny Jahnn, a.a.O., S. 239.<br />

20) Hans H. Jahnn: Mein Werden und mein Werk, a.a.O., S. 262.<br />

21) Manfred Weber (Hg.): Medea. Hans Henny Jahnn - Ein Theaterbuch, Köln (Schauspielhaus) 1989,<br />

S. 190.


10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이러한 호평은은 얀 문문학에 대한 일반적인인 평가와 비교교해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br />

다 . 그의의 대부분의의 작품은은 동시대의의 비평가나 연출가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당한다 . 실<br />

제로 그의의 작품에 대한 공공연 횟수를 살펴보아도 쉽게 알 수 있있다 . 1920년대에<br />

그의의<br />

드라마 작품은은 거의의 공공연되지 못못한다 . 설사 공공연이 이루어진다 해도 , 대부분 그것은은<br />

초연에 그치고 만다 . 나치 치하에서는 더 말할 나위위가 없다 . 그의의 작품은은 철저하게<br />

거부당한다 . 마찬가지로 전후 독일 연극계계도 그의의 작품에 대해서 별다른 관관심을을 보이<br />

지 않는다 . 초기 작품이든 후기 작품이든 그의의 작품은은 대부분 2회<br />

이상 공공연된 경경우<br />

를 찾아보기 어려울울 정도다.<br />

이른바 얀의의 르네상스는 그가 죽은은 지 약 20여년이 지난 1970년대<br />

말에 비로소 생<br />

겨난다 . 1979년 3월월<br />

얀의의 연극구상을을 재현하기 위위해서 전통적인인 연극무대가 아닌 브<br />

레멘 시립 도축장장 앞에서 공공연된 그의의 드라마 리처드 3세의의<br />

대관관식 은은<br />

독일 연극계계<br />

로부터 얀 문문학에 대한 새로운운 관관심을을 불러일으으키고 , 그 연장장선에서 1980년 3월월 27<br />

일부터 30일까지 카카셀 Kassel 에서 ‘ 한스 헨니 얀 주간 Hans-Henny-Jahnn-Woche’ 이<br />

개최된다 . 이 모임에 참가한 많은은 연극관관계계자들은은 그의의 작품을을 무대에 올리는 문문제로<br />

며칠칠 동안 진지한 토론을을 벌이고 얀 문문학에 대한 새로운운 평가를 시도한다 . 곧곧 이러한<br />

관관심은은 그의의 몇몇 작품이 공공연되는 성과과를 거두게 된다 . 이때 공공연된 얀의의 드라마 작<br />

품들 가운운데 고대 그리스 전설을을 소재로 한 드라마 메데아 Medea (1926)<br />

와 핵문문제<br />

를 주제로 다룬 그의의 마지막 작품 양심의의<br />

잔잔해 , 혹은은 먼지로 뒤덮인인 무지개<br />

Trümmer des Gewissens oder Der staubige Regenbogen (1961)<br />

은은 관관객으으로부터 커다<br />

란 호응응을을 받는다 . 그러나 얀의의 르네상스라고 할 수 있있는 70년대 말과과 80년대<br />

초 얀<br />

문문학에 대한 독일 연극계계의의 관관심은은 그리 오래 가지 못못한다.<br />

그렇다면 그의의 드라마 작품들이 독일 연극계계로부터 커다란 주목을을 받지 못못하는 이<br />

유는 무엇인인가 ? 그 이유는 분명 다양하고 , 보는 사람의의 관관점에 따라서 매우 다르겠지<br />

만 , 대체로 다음음의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있을을 것이다 . 첫째 , “ 무대에서 일어나는 잔잔혹<br />

한 장장면들이 관관객들로 하여금 감당하기 어려울울 만큼 Die Schrecken, die auf der<br />

Bühne erregt werden, sind für den Zuschauer nicht tragbar.” 22) 그의의 작품에 빈번하게<br />

등장장하는 폭력적이고 외설적인인 부분들이 가장장 큰 요인인으으로 항상 지적된다 . 그 다음음으으<br />

22) Hugo J. Eichhorn: Mythos und Tragik. Hans Henny Jahnns Dramen, Zürich 1973, S. 126.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01<br />

로는 그의의 작품이 지닌 언어의의 조밀함 , 그리고 작가가 요구하는 무대조건은은 현실적인인<br />

무대조건과과 비교교해서 연출가들에게는 일종의의 모험이라 할 수 있있다 . 그래서 많은은 비평<br />

가로부터 얀의의 드라마 작품은은 상상력을을 자극하는 독서용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br />

이유도 거기에 있있다. 23) 이러한 어려움움은은 1920년대<br />

처음음으으로 얀의의 문문학을을 인인정한 연<br />

극평론가 오스카카 뢰르케 Oskar Loerke가<br />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도 어느 정도 읽을을<br />

수가 있있다.<br />

당신이 드라마 사건으으로 전환하는 조화로운운 감정의의 웅웅장장함을을 난 잘잘 이해하고 있있으으며 , 그<br />

힘에 압도당하고 있있습니다 . 그러나 예를 들면 운운명이 선택한 사건을을 마치 내가 듣지 못못하<br />

고 있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나는 당신의의 문문학이 우그리노 공공동체에 속해 있있다는 것을을 느낍<br />

니다. 24)<br />

뢰르케의의 말처럼 기본적으으로 얀의의 드라마는 ‘ 우그리노 ’ 의의 이상을을 실천하기 위위한<br />

문문학적 표현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크게 변하지 않은은 얀 문문학에 대한<br />

부정적 시각은은 그의의 작품에 표현된 다양한 섹슈얼리티의의 형식들 , 그리고 이와 관관련한<br />

무대재현으으로 말미암아 관관객에게 혐오감과과 당혹감을을 증폭시킨 기존의의 분석과과 연출에<br />

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있다 . 그렇기 때문문에 격정적 감정이 담긴 얀의의 작품에 대한 종<br />

합적인인 이해가 더욱 절실히 필요한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있다 . 그래서 안드레아 메부<br />

스 Andrea Mebus 는 새로운운 관관점에서 얀의의 드라마를 수용할 것을을 촉구한다 .<br />

우리는 얀의의 드라마 작품을을 오성뿐만 아니라 , 온 몸몸으으로 응응하지 않으으면 안 된다 . 얀의의 드라<br />

마에서는 머리 , 가슴 , 그리고 하복부가 똑같이 요구된다 . 25)<br />

23) Vgl. Andrea Mebus: Kampf mit der Mauer. Die Figuren in Hans Henny Jahnns frühen Dramen<br />

zwischen Rebellion und Anpassung, Frankfurt a.M. u.a. 1992, S. 157f.<br />

24) Hans H. Jahnn: Briefe I-II. Hg. v. Ulrich Bitz u.a. unter Mitarbeit v. Uwe Schweikert, 2. Bd.,<br />

Hamburg 1994, S. 1151.<br />

25) Andrea Mebus: Kampf mit der Mauer, a.a.O., S. 162.


10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4. 리처드 3세의<br />

대관식 에<br />

나타난 전통과 규범의 전복<br />

4.1. 섹슈얼리티와 죽음<br />

기독교교로 개종한 이래 유럽의의 국왕들은은 전통적으으로 교교회에서 자신들의의 대관관식을을<br />

거행하고 교교황을을 대신한 주교교로부터 도유를 받는다 . 이때 도유를 받는 의의식은은 왕이<br />

성직자의의 권권능까지 함께 보유함으으로써 그에게 신성을을 보증하는 행위위이다. 26) 따라서<br />

왕은은 신을을 위위해 복무할 의의무가 있있으으며 동시에 , 권권위위로서 신을을 대리해 자신이 통치하<br />

는 공공동체가 기독교교적 질서와 규범을을 준수하도록 온 힘을을 기울울여야 한다 . 국왕과과 교교<br />

회의의 일치라는 이러한 중세의의 전통은은 계계몽몽주의의 시대를 거치면서 국가와 교교회의의 관관계계<br />

로 대체되고 , 다시금 그것은은 근대 유럽문문명의의 기초가 되는 시민사회의의 보편법칙으으로<br />

재구성된다 . 그러나 여기서 얀은은 시민사회의의 보편법칙을을 떠받치고 있있는 규범과과 질서<br />

들이 과과거의의 그것과과 크게 다르지 않을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으으로 개인인의의 삶에 대한 자<br />

기결결정권권을을 박탈하는 권권력과과 폭력의의 기제로 이해한다 . 우리는 그의의 드라마 리처드<br />

3<br />

세의의 대관관식 에서<br />

교교회의의 가르침침을을 실천하는 “ 종복으으로서 ein Diener nur” 27) 자신의의<br />

삶과과 역할을을 규정하는 주인인공공 리처드의의 인인식에서 얀의의 생각을을 어렵지 않게 읽을을 수<br />

있있다.<br />

먼저 드라마는 시작과과 함께 우리를 상상하기 어려운운 비정상적 상황 속으으로 내몬<br />

다 . 국왕 에드워워드 4세를<br />

잃은은 엘리자베스는 자신이 성노리개로 이용한 젊은은 시종 오<br />

이리알루스 Euryalus 를 거세한 다음음 , 그를 죽이려는 계계획을을 세운운다 . 이러한 계계획은은 젊<br />

은은 시종의의 육신과과 피를 통해서 그녀 자신이 젊어질 수 있있다는 병적 욕망에서 비롯된<br />

다 . 물론 “ 섭정자 des Reichs Verweser” (R/181) 리처드의의 개입으으로 인인해서 그녀의의 계계<br />

획은은 실행에 옮겨지지 못못한다 . 한편 , 젊은은 시종 핫산 Hassan은은<br />

자신의의 동료 오이리알<br />

루스를 엘리자베스의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그에 대한 자신의의 사랑을을 고백하<br />

고 , 그와 함께 죽고 싶다는 자신의의 소망을을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br />

26) 김연순 : 근대 유럽문문화에서 성스러움움 해체와 재정립 , 실린 곳곳 : 헤세연구 제 15 집 (2006), 255 쪽 참조 .<br />

27) Hans H. Jahnn: Die Krönung Richards III., in: Ders.: Werke und Tagebücher in sieben Bänden. 4.<br />

Bd., Hg. v. Th. Freeman u. Th. Scheuffelen, Hamburg 1974, S. 284. 이후로는 약자 R로<br />

본문문의의<br />

인인용구 옆에 쪽수와 함께 병기됨.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03<br />

나는 건강해 . 너 역시도 그렇고 . 우리가 우리 몸몸속에서 우리의의 붉은은 피를 섞을을 때와 하나도<br />

다를 것이 없어 . 네가 죽는다면 내 몸몸 안에 있있는 너의의 피는 차가워워질 테고 , 동시에 난 너와<br />

함께 죽겠지 . 반대로 그것 역시도 하나의의 결결말이 되겠지 . 너는 그걸 잘잘 알고 있있어 . (R/173)<br />

그러나 오이리알루스는 왕비 엘리자베스에게 충성을을 다한다 . 그래서 그는 핫산에<br />

게 다만 그녀의의 침침대 밑에 몸몸을을 숨기고 있있도록 허락할 뿐이다 . 하지만 이들은은 리처드<br />

에 의의해서 발각되고 , 비정상적인인 성적 충동을을 채우려는 엘리자베스의의 계계획은은 무산된<br />

다 . 이 장장면에서 리처드는 엘리자베스를 다음음과과 같이 힐난한다 .<br />

이건 뭐뭐죠 ? 두 번째 녀석 아닌가요 ? 발가벗은은 채 ?! - 형수님 , 내가 제대로 본 거죠 ? 이런 식<br />

으으로 당신은은 남편에게 경경의의를 표하시는 겁니까? (R/183)<br />

전통적인인 규범과과 사회질서의의 수호자라는 자신의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위해서 리처드<br />

는 결결국 두 젊은은이를 죽인인다 . 이때 두 젊은은이는 죽음음의의 순간을을 맞이해 자신들의의 피를<br />

섞기 위위해서 함께 포옹한다 . 여기서 우리는 이미 - ‘ 우그리노 ’ 의의 의의미에서 - 죽음음을을<br />

통해서 스스로 자유로울울 수 있있으으며 자유로운운 존재로서 욕구의의 무한한 전개를 예감할<br />

수 있있다 . 이러한 예감은은 왕자 에드워워드가 죽음음의의 위위협으으로부터 동생 리처드를 보호하<br />

기 위위해서 그를 껴안는 장장면에서 또 다시 확인인된다.<br />

나는 네 손을을 놓지 않을을 거야 . 난 너의의 몸몸을을 휘감을을 거야 . 나는 널 꽉 껴안을을 거야 - 그러면<br />

넌 평온해져서 두렵지 않을을 거야 . ( …)<br />

난 결결코 널 떠나지 않아 . 죽어서도 말이야 . 난 널 사<br />

랑하기 때문문이야. (R/174f.)<br />

이 장장면은은 분명 형제간의의 우애로 설명될 수 있있다 . 그러나 그들의의 태도는 그 이상<br />

을을 의의미한다 . 얀은은 젊은은 청년으으로 성장장한 두 왕자가 아직도 한 침침대를 같이 쓰고 있있<br />

다는 사실을을 앞서 밝힘으으로써 그러한 인인상을을 강하게 불러일으으킨다 . 이 두 왕자는 엘<br />

리자베스에 의의해서 거세당한 또 다른 젊은은 시종과과 친친구 관관계계를 맺는다 . 우리는 여기<br />

서 수메르 신화의의 길가메쉬 Gilgamesch 서사시에 나오는 ‘ 길가메쉬 - 엔키두 ’ 쌍둥이<br />

형제간의의 우정이 중심 모티브로 변용된 것을을 알 수 있있다. 28) 즉 두 왕자의의 동성애적<br />

모티브는 바로 이 서사시에 근거하고 있있다.


10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아무튼 이 두 장장면에서 동성 간의의 관관계계가 엘리자베스의의 행위위를 통해서 보여준 이<br />

성애와 비교교해서 얀의의 작품에서 상당히 긍정적으으로 묘묘사되고 있있음음은은 분명하다 . 그러<br />

나 우리가 동성애에 대한 얀의의 긍정적 표현에만 초점을을 맞추는 것은은 그의의 문문학을을 정<br />

확하게 이해하지 못못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있다 . 작품의의 제 3막에서<br />

폭도 버킹검<br />

Buckingham과과 햄 Ham 사이의의 동성관관계계에 관관한 부정적인인 묘묘사에서 볼 수 있있듯이 비<br />

정상적인인 섹슈얼리티의의 형식들을을 표현하는 것 자체가 얀의의 의의도라기보다는 , 오히려<br />

어떤 형태의의 애정관관계계든 권권력에 의의해서 언제든지 쉽게 파괴괴될 수 있있음음을을 보여준다.<br />

여기서 우리는 “ 동성애와 이성애에 대한 진부한 생각들을을 die Klischees von<br />

Homosexualität und Heterosexualität” 29) 뛰어넘는 얀의의 독창성을을 발견견할 수 있있다 . 즉<br />

얀이 자신의의 작품에서 그리는 애정관관계계는 - 이성애든 동성애든 - 피지배자의의 생명까<br />

지도 좌지우지하는 권권력의의 정치적 행위위와 평형추를 형성하는 기능을을 갖는다 . 그러한<br />

의의미에서 얀의의 섹슈얼리티는 다음음의의 두 극점으으로 나누어진다.<br />

a) 어린 두 왕자 에드워워드와 리처드 혹은은 젊은은 시종 핫산과과 오이리알루스의의 관관계계에서 보듯<br />

이 서로 동등한 위위치에 있있는 사람들의의 애정관관계계는 다정스럽고 매우 순박하게 묘묘사된다.<br />

b) 엘리자베스와 젊은은 시종 또는 버킹검과과 햄의의 관관계계에서 알 수 있있듯이 서로 동등한 위위치<br />

에 있있지 않은은 사람들의의 관관계계는 권권력과과 복종이라는 생사를 건 투쟁으으로 표현된다.<br />

반면 얀의의 리처드는 두 극점의의 중간에 위위치해 있있다 . 물론 리처드에 의의해서 어린<br />

두 왕자와 젊은은 시종은은 서로를 포옹한 채 생매장장 당한다 . 이러한 죽임의의 방식은은 육체<br />

적 죽음음 이후에도 인인간의의 삶이 영원원히 지속된다는 고대의의 정령 ( )<br />

사상에서 비롯된<br />

순장장제도를 연상시킨다. 30) 이를 통해서 얀은은 마지막까지 그들이 권권력에 대한 두려움움,<br />

28) 길가메쉬 Gilgamesch 영웅웅서사시는 수메르 신화에 나오는 우루크 Uruk의의<br />

왕 길가메쉬에 관관한 이<br />

야기이다 . 원원래 여신 아후루 Ahuru와 인인간의의 결결합에 의의해서 태어난 길가메쉬는 3분의의 1은은<br />

인인간이<br />

고 , 3분의의 2 는 신이다 . 이 서사시는 길가메쉬의의 영웅웅적인인 행위위 , 그리고 여신 아후루가 인인간에 가<br />

깝게 창조한 엔키두 Enkidu 와의의 우정을을 그리고 있있다 . 길가메쉬 이야기는 이 작품에서 뿐만 아니<br />

라 얀의의 또 다른 작품 , 예를 들면 그의의 드라마 메데아 와 그의의 소설 강가<br />

없는 하천 Fluss ohne<br />

Ufer 등에서도 중심 모티브로 이용된다 . Vgl. Gilgamesch-Epos, verfügbar unter: http://de.wikipedia.<br />

org/wiki/Gilgamesch-Epos.<br />

29) Yixu Lü: Die Fremde zwischen Gottheit und Tier. Hans Henny Jahnns ‘Medea’, in: Peter Philipp<br />

u.a. (Hg.): Resonanzen, Würzburg 2000, S. 413.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05<br />

죽음음에 대한 두려움움을을 가지고 있있지 않으으며 , 바로 그렇기 때문문에 궁궁극적으으로 그들은은<br />

권권력의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있는 것이며 , 아니 이미 벗어나 있있음음을을 보여준다 . 즉<br />

삶의의 순간을을 영원원히 지속시키는 죽음음 , 곧곧 그것은은 순간의의 영원원화이다 .<br />

얀은은 그들을을 통해서 리처드에게 소박하고 때 묻지 않은은 자기 헌신의의 총체로서 영<br />

원원한 삶의의 모형을을 제시한다 . 죽음음에 대한 끔찍한 두려움움 때문문에 언제나 괴괴로워워하는<br />

리처드에게 그들의의 죽음음은은 초월월적 세계계를 향한 구원원의의 소망을을 지닌 인인간의의 신비로운운<br />

감정이자 체험이 된다 . 여기서 비롯된 통찰은은 리처드로 하여금 자신의의 내면으으로부터<br />

자신을을 초월월할 수 있있는 능력으으로서 본래의의 성스러움움에 버금가는 감정이 있있음음을을 깨닫<br />

게 만든다.<br />

너는 오늘밤 내 침침대 속으으로 들어와서 나를 따뜻하게 해주렴 . 나는 두렵구나 . (R/199)<br />

순박한 소년들의의 사랑에서 죽음음에 대한 두려움움은은 오간데 없이 사라졌듯이 리처드<br />

는 이제 평화로운운 삶의의 원원형으으로서 어린 소년과과의의 육체적 합일과과 죽음음을을 강렬하게<br />

소망한다 . 그에게 있있어서 죽음음은은 영원원히 함께 할 수 있있는 기회인인 동시에 , 죽음음에 대<br />

한 두려움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신의의 소망을을 실현할 수 있있는 기회로 여겨진다 . 그<br />

래서 그는 외로운운 자신에게 위위로를 가져다 줄 수 있있는 소년에게 자신의의 사랑과과 소망<br />

을을 솔직하게 표현한다.<br />

난 깊이 생각했어 . 내가 변함없이 사랑하고 있있으으며 내게 오라고 강요할 수 있있는 사람이 너<br />

뿐이라는 것을을 알았어 . ( …)<br />

내가 널 얼마나 사랑하는데 . 그렇게 생각하지 ? - 오 , 하느님 ! -<br />

의의식적으으로 나는 이를 악물어 . 나의의 삶은은 아직 따뜻하고 끊임없이 거품을을 뿜어내 - 그렇지<br />

만 내일은은 죽겠지. (R/249)<br />

그러나 이 소년은은 리처드의의 고백에 어떤 감정도 드러내지 않는다 . 오로지 그에 대<br />

한 복종만을을 표현할 뿐이다.<br />

폐하께서는 저를 마음음대로 하실 수 있있습니다 . 좋도록 하십시오 . (R/249)<br />

30) Vgl. Animismus, verfügbar unter: http://de.wikipedia.org/wiki/Animismus.


10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하지만 리처드는 자신과과 어린 소년과과의의 관관계계가 소박하고 순수한 관관계계가 될 수 없<br />

다는 것을을 여전히 인인식하지 못못한다 . 오히려 자신의의 잃어버린 삶과과 죽음음을을 뛰어넘는<br />

인인간의의 본원원적 세계계에 대한 갈망이 크면 클수록 리처드는 그것을을 폭력의의 형태로 표<br />

현한다 . 이때 그는 자신의의 폭력적 행위위를 어린 아이들이 서로 싸우고 피를 흘리지만 ,<br />

나중에 가서는 서로가 깊은은 형제애를 느끼는 그런 아이들의의 순진무구한 싸움움으으로 정<br />

당화시킨다.<br />

네가 날 이해하지 못못하기 때문문에 난 널 몽몽둥이로 내리칠칠 수밖에 없어 . 남자들은은 그렇게 시<br />

작해 . 그들이 소년이었을을 때 , 그들은은 거품이 이는 붉은은 피와 더불어 서로를 은은밀하게 사랑<br />

하지 , 그리고 달콤한 피가 흐르는 모습들을을 보면서 서로 항복하라고 자극해 . - 오 , 함께 나<br />

란히 누워워있있다는 것 , 서로의의 육신이 찢기고 따뜻한 피가 주르륵 흐를 때 죽겠지 ! (R/281)<br />

이러한 생각은은 리처드의의 착각에 지나지 않는다 . 물론 그의의 폭력 행위위 이면에는 폭<br />

력 그 자체에 대한 희열 때문문이 아니라 평화로운운 세계계에 있있는 소년들의의 원원상태에 이<br />

르고자 하는 소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 그리고 거기에는 소박한 자연성에 기초한 인인간<br />

의의 본원원적 세계계질서를 되찾고자 하는 그의의 생각이 담겨있있다 . 그런 의의미에서 그의의 폭<br />

력 행위위는 엘리자베스의의 그것과과는 분명 구별된다 . 그러나 그의의 소망은은 애초부터 “ 소<br />

모적이고 파괴괴적인인 열정에서 von verzehrenden und zerstörenden Leidenschaften” 비롯<br />

된 것에 불과과하다 .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의 주변세계계나 그 어떤 대상들에 대해서 관관심<br />

을을 갖기 보다는 오로지 “ 내면을을 향한 불타는 격정에 mit brennender Glut nach innen”<br />

사로잡힌 나머지 삶과과 죽음음을을 초월월하는 순수하고 영원원한 사랑이야말로 주변세계계와<br />

때 묻지 않은은 순박한 관관계계를 맺고 있있는 젊은은이들 사이에서나 가능하다는 사실을을 인인<br />

식하지 못못하고 있있기 때문문이다. 31) 얀은은 이러한 리처드의의 감정을을 미성숙하고 조화롭지<br />

못못하다고 생각한다 . 그렇기에 초자연적인인 것 , 초월월적인인 것을을 향한 그의의 의의식적인인 소<br />

망은은 그 힘을을 잃어갈 수밖에 없다 . 결결국 리처드에게는 자기 스스로 아무 것도 할 수<br />

없는 무기력한 모습으으로 죽음음을을 기다리는 것 이외에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br />

31) Hans H. Jahnn: Dramen I 1917-1929, in: Ders.: Werke in Einzelbänden. Hg. v. Ulrich Bitz u. Uwe<br />

Schweikert, Hamburg 1988, S. 907.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07<br />

죽음음만이 주체가 사물의의 질서 속으으로 다시 발을을 들여놓는 것 , 다시금 시대의의 하수인인이 되<br />

는 것 , 목적을을 위위한 운운영자가 되는 것을을 막아준다 . 32)<br />

4.2. 본원적 삶의 자유로서의 예술<br />

얀의의 리처드는 몸몸소 왕위위를 둘러싼 치열한 권권력투쟁을을 겪겪는다 . 그래서 그는 언제<br />

나 자신의의 주변에 대해서 불신하는 태도와 죽음음에 대한 두려움움을을 가지고 있있다 . 그는<br />

권권력의의 정점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술책이나 기만 , 심지어는 살인인과과 같은은 범죄를 불가<br />

피하게 저지르지 않을을 수 없게 된다 . 그래서 그는 버킹검과과의의 마지막 권권력투쟁에서<br />

승리를 거둔 후 , 자신을을 도와준 동료들이 장장차 자신을을 배신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움<br />

때문문에 그들을을 제거하고 , 나아가 자신에게 대항할 수 있있는 잠재적 왕위위계계승자들을을 생<br />

매장장한다 . 결결국 그는 최후의의 정치적 승리자가 된다 .<br />

왕위위에 오른 리처드는 자신의의 역할을을 신의의 대리인인으으로 규정하고 , 자신과과 교교회의의<br />

“ 상징적 일치 eine symbolische Einheit” 33)를 의의미하는 오르간을을 제작하도록 명령한<br />

다 . 이제 그에게 도전하는 사람들이나 공공동체의의 질서나 규범을을 어기는 사람들은은 곧곧<br />

신성을을 모독하는 행위위이고 , 따라서 그에게 주어진 권권력은은 “ 그들의의 감정과과 신의의 저주<br />

를 받는 행위위들이 퍼지는 것을을 적법하게 꾸짖기 위위해서 um den Absatz ihrer Gefühle<br />

und gottverfluchten Taten zum Rechte zu erheben” (R/231) 사용되는 불가피한 수단이<br />

자 기회가 된다 . 그래서 그는 “ 고귀한 권권력에 대한 경경외심으으로 가득 차 있있으으며 , 동시<br />

에 신의의 지혜에 대한 확신으으로 가득 찬 voll Ehrfurcht den hohen Mächten gegenüber,<br />

zugleich voll Zuversicht der Weisheit Gottes” 자신의의 역할과과 임무를 “ 새로운운 삶 ein<br />

neues Leben” (R/284) 으으로 받아들인인다 . 이로써 리처드는 권권력의의 이름으으로 한 번 시작<br />

된 자신의의 폭력행위위를 더 이상 멈추지 못못하는 몬스터로 비쳐지는 한편 , 자신의의 역할<br />

을을 점차 과과도한 짐으으로 느끼면서 자신의의 개인인적 삶에 대한 자기결결정권권이 점차 박탈<br />

당하고 있있음음을을 직감하기 시작한다.<br />

난 날 왕위위에 올려놓았어 . 왜냐하면 난 거기서 내가 만족하는 길 , 즉 삶의의 왕관관을을 보았기<br />

32) Reiner Niehoff: Hans Henny Jahnn, a.a.O., S. 280.<br />

33) Ebd. S. 87.


10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때문문이지 . 그렇지만 내 마음음이 행복해질 수는 없겠지 . (R/199)<br />

특히 리처드는 삶과과 죽음음을을 초월월하는 순진무구한 소년들의의 사랑과과 죽음음에서 인인간<br />

의의 한계계를 뛰어넘는 초월월적 세계계 , 인인간의의 본원원적 세계계를 깨닫고 거기서 개인인의의 진정<br />

한 삶의의 모습을을 발견견하면서 그의의 불안과과 자기 파괴괴적 감정은은 더욱 증폭된다 . 그리고<br />

그것은은 곧곧 폭력으으로 이어진다 . 하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리처드는 국왕으으로서의의 자신<br />

의의 역할과과 개인인으으로서 자신의의 삶에 대한 소망 사이에 메울울 수 없는 간극만을을 확인인할<br />

뿐이다 . 마침침내 그는 자신이 권권력을을 이용해 저지른 실수와 범죄 , 나아가 권권력에 사로<br />

잡힌 자신의의 모습을을 인인식한다.<br />

난 아무 말도 하지 않는데도 내 이름으으로 한 인인간이 죽어나가 . 사람은은 왕일 수도 없고 , 성<br />

스럽지도 않아. (R/308)<br />

그러나 리처드는 “ 아름다움움과과 추악함 , 허무와 영원원 Tugend und Häßlichkeit,<br />

Vergänglichkeit und Ewigkeit” 사이를 끊임없이 부유하는 “ 우리 존재의의 이중성 die<br />

Zweiheit unseres Wesens” (R/283) 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못한다 . 이러한 리처드의의 이<br />

중성을을 통해서 “ 얀은은 ( …)<br />

권권력을을 행하고 영향이 미치는 무대로서 , 감당할 능력이 없<br />

는 행위위의의 무대로서 인인간에 대한 자신의의 생각을을 실현한다. Jahnn realisiert ( …)<br />

seine<br />

Auffassung vom Menschen als Schauplatz der Handlung, dem dieser nicht gewachsen<br />

ist, als Schauplatz für das Wirken und Funktionieren von Macht.” 34) 이러한 견견해는 리<br />

처드에 대한 얀의의 그것과과도 일치한다.<br />

내 비극작품에서 나는 그가 행동하는 것과과 관관계계없이 오히려 이루 말로 다할 수 없을을 만큼<br />

괴괴로워워하는 한 인인간 , 더 이상 괴괴물이 아닌 본래의의 리처드를 다루고자 하였다 . 그것이 그를<br />

표리부동하게 보이도록 만든다 . 그는 자기 삶의의 진실한 구조를 은은폐한다 . 천체의의 노래 소리<br />

에 맞춰춰 그의의 주변을을 맴돌고 있있는 신들을을 위위해서 심지어 그는 은은폐된 채로 있있기를 원원한<br />

다. 35)<br />

34) Andrea Mebus: Kampf mit der Mauer, a.a.O., S. 43.<br />

35) Hans H. Jahnn: Das Konterfrei des dritten Richard, in: Ders.: Werke und Tagebücher in sieben<br />

Bänden. 7. Bd., a.a.O., S. 239.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09<br />

그럼에도 불구하고 얀은은 자기실현의의 욕구가 강한 리처드를 인인간적인인 차원원에서 구<br />

원원받아야 할 인인물로 형상화한다 . 그래서 얀은은 예술 , 여기서는 오르간 음음악을을 통해서<br />

리처드가 그와 같은은 절망적인인 상황에서 벗어날 수 기회를 제공공한다 . 자기 자신이 오<br />

르간 제작자로도 활동했듯이 얀은은 - 리처드와 달리 - 이성의의 영역을을 뛰어넘는 강렬한<br />

울울림을을 통해서 예술가와 듣는 사람 모두에게 강한 반응응과과 감정을을 불러일으으키는 오르<br />

간 음음악이야말로 이성과과 합리성에 기초한 규범화되고 기술화된 세계계 , 즉 “ 합리화된<br />

현대에 대한 성스러운운 대안 sakrale Alternative zur rationalisierten Moderne” 36)이라고<br />

생각한다 . 이 음음악이 얀에게 있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는 이 악기에 대한 그의의 견견해에<br />

서도 잘잘 나타난다.<br />

오르간은은 지상의의 육신으으로 영원원한 음음악의의 영혼을을 받아들여 음음악의의 선율율을을 창조하는 악기라<br />

고 나는 생각한다 . 나는 영혼이 음음악에 종속되어 있있다고 느끼고 있있으으며 , 그러한 음음악은은 그<br />

자체가 목적이며 , 또한 제의의적이다 . 37)<br />

하지만 리처드는 자신이 처한 곤곤란한 상황을을 과과감하게 뚫고나오지 못못한다 . 그는<br />

오르간을을 통해서 구체적으으로 표현된 예술의의 세계계에서 의의미 있있는 삶의의 목표를 발견견하<br />

지 못못한다 . 자기 삶의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 그에게는 결결여되어 있있다 . 그래서 그는 언<br />

제나 불안해하고 , 또한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낀다 . 그러나 그에게는 이제 그러한 잘잘<br />

못못된 상황에서 빠져나올 용기와 힘조차도 남아있있지 않다 . 그는 지금까지 자신이 저지<br />

른 파렴치한 짓들 때문문에 대안적 삶의의 형식으으로 얀이 제공공하는 예술의의 세계계가 자신<br />

에게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 마침침내 오르간 제작을을 단념한다 . 그는 오르간 제작<br />

자 호이슬러 Heußler를<br />

불러놓고 자기보다 죄를 덜 지은은 사람들을을 위위해서 오르간을을<br />

제작하도록 명령한다.<br />

봉헌된 무덤을을 가질만한 가치가 있있는 사람들에게 가게 ! 사람들은은 왕들의의 육신 위위에 세워워진<br />

성전들을을 파괴괴할 테지 . ( …)<br />

비명을을 지르고 싶으으니 가게나 ! 아 , 내 신세가 슬프구나 . 새 날<br />

이 밝았는데 , 난 쓸쓸히 불빛 아래 홀로 남아있있군군 . (R/309)<br />

36) Reiner Niehoff: Hans Henny Jahnn, a.a.O., S. 90.<br />

37) Hans H. Jahnn: Schriften zur Kunst, Literatur und Politik, a.a.O., S. 437.


11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리처드의의 이 말과과 함께 드라마는 끝난다 . 리처드는 정치적 승리자로서 권권좌에 앉<br />

아있있지만 , 삶의의 의의욕을을 상실하고 체념하는 왕의의 모습을을 보여준다 . 많은은 사람들이 육<br />

체적 죽음음을을 영원원한 삶의의 대가로 치른 반면 , 그는 자신의의 진정한 삶을을 찾지도 못못한<br />

채 이른바 ‘ 정신적 죽음음 ’ 을을 경경험한다 . 결결국 권권력에 굶굶주린 리처드는 죽음음에 대한 두<br />

려움움과과 체념 상태에서 한 발자국도 벗어나지 못못하는 한낱 지배자의의 모습으으로만 남는<br />

다 . 이로써 얀은은 자신의의 리처드를 통해서 권권력에 대한 망상이 결결코 어떤 긍정적인인 변<br />

화도 가져오지 못못한다는 점을을 우리에게 분명하게 보여준다.<br />

5.<br />

나오는 말<br />

셰익스피어 Shakespeare의의 국왕<br />

리처드 3세의의 비극 The Tragedy of King Richard<br />

the Third (1593) 이나 크리스토퍼 말로우 Christopher Marlowe 의의 불쾌한<br />

비 , 그리고<br />

국왕 에드워워드 2세의의 비참한 죽음음 The troublesome rain and lamentable death of<br />

Eduard the Second, King of Eduard (1592)<br />

이후 국왕 리처드 3세는<br />

많은은 작가들로부<br />

터 사랑받는 문문학적 소재 가운운데 하나가 된다 . 그 이유는 그의의 삶 자체가 극적 요소<br />

를 고루 갖추고 있있을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도 극단적으으로 양분되어 있있<br />

기 때문문이다 . 물론 얀에게는 역사의의 교교정자로서 그가 어떤 인인물이었는가 하는데 관관심<br />

이 있있는 것이 아니라 그의의 정신세계계나 내면세계계를 통해서 대안적 삶의의 모형과과 가능<br />

성을을 - ‘ 우그리노 ’ 의의 의의미에서 - 탐색하기 위위한 문문학적 소재로서 의의미를 갖는다 .<br />

이미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 우그리노 ’ 구상에서 비롯된 얀의의 문문학적 목표는 반<br />

문문명적 입장장을을 견견지하면서 선과과 악 , 삶과과 죽음음의의 경경계계를 뛰어넘는 초월월적 세계계를 추<br />

구하고 , 이를 통해서 소박한 자연성에 기초한 인인간의의 본원원적 삶의의 관관계계를 복원원하는<br />

것이다 . 그러나 서구의의 문문명사회를 떠받치고 있있는 구세대의의 시민적 전통과과 규범이 개<br />

인인의의 자유로운운 개성과과 창조성을을 가로막고 있있으으며 , 삶을을 새롭게 구성하려는 개인인의의 의의<br />

지와 자기결결정권권을을 박탈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있다고 보는 얀은은 먼저 자신의의 드라마<br />

작품을을 통해서 그러한 기제를 과과격한 방식으으로 전복시키고자 한다 . 이런 의의미에서 그<br />

가 자신의의 작품에서 표현하는 비정상적인인 섹슈얼리티의의 형식들은은 기존의의 사회질서와<br />

가치관관을을 전복시키는 수단이며 , 특히 얀의의 입장장에서 호모에로틱은은 이른바 “<br />

권권력자들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11<br />

의의 영향권권에서 개인인들이 벗어날 수 있있는 ( …)<br />

대안적인인 방법들로 alternative Wege,<br />

die ( …)<br />

die Individuen dem Einflußbereich der Machtbesitzenden entziehen könnten<br />

.” 38) 표현된다.<br />

그래서 얀은은 드라마 리처드 에서<br />

주인인공공이 삶의의 진정한 의의미를 되찾을을 수 있있도록<br />

두 가지 가능성을을 제공공한다 . 그 하나는 순박하고 떼 묻지 않은은 소년들의의 순수한 사랑<br />

이고 , 또 다른 하나는 세상을을 정화할 수 있있는 수단으으로서의의 예술이다 . 그러나 리처드<br />

는 자신에게 주어진 의의무와 역할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못하는 한편 , 저 순수하고 소<br />

박한 사랑에 대한 열망은은 점점 더 커진다 . 이러한 이중성은은 점점 더 리처드를 불안에<br />

빠트리고 불행하게 만든다 . 결결국 그는 자신이 처한 잘잘못못된 상황에서 빠져나올 용기와<br />

힘을을 잃은은 채 삶의의 의의욕을을 상실한 권권력자로 남는다.<br />

이처럼 무기력한 리처드를 통해서 얀은은 자기 시대의의 규범과과 전통의의 파괴괴를 자연스<br />

럽게 받아들이고 그것을을 수행할 때 비로소 개인인은은 자신의의 삶을을 새롭게 재구성할 수<br />

있있는 힘과과 자유를 얻을을 수 있있음음을을 역설적으으로 보여준다 . 그러나 동시에 그는 개인인이<br />

진정한 삶의의 의의미를 되찾고 , 그것을을 재구성하는 것이 그리 녹녹치 않을을뿐더러 , 경경우<br />

에 따라서는 그로 인인해서 자신이 몸몸담고 있있는 공공동체로부터 강력한 제재를 받을을 수<br />

있있는 위위험성도 간과과하지 않는다 . 바로 자기 시대의의 비판자로서 , 이성과과 합리성에 기<br />

초한 서구문문명에 대한 비판자로서 얀 문문학이 지닌 독창성이 거기에 있있다.<br />

참고 문문헌<br />

1차<br />

문헌<br />

Jahnn, Hans H.: Briefe I-II. Hg. v. Ulrich Bitz u.a. unter Mitarbeit v. Uwe Schweikert.<br />

2. Bd., Hamburg 1994.<br />

Jahnn, Hans H.: Die Krönung Richards III., in: Ders.: Werke und Tagebücher in sieben<br />

38) James W. Jones: Homoerotik in drei Dramen der frühen Weimar Republik: Bronnens Vatermord,<br />

Brechts Baal und Jahnns Die Krönung Richards III., in: Dietrich Molitor u.a. (Hg.): Siegener Hans<br />

Henny Jahnn Kolloquium, Essen 1986, S. 73.


11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Bänden, 4. Bd. Mit einer Einleitung von Hans Mayer. Hg. von Th. Freeman u.<br />

Th. Scheuffelen, Hamburg 1974.<br />

Jahnn, Hans H.: Dramen I 1917-1929, in: Ders.: Werke in Einzelbänden. Hg. v. Ulrich<br />

Bitz u. Uwe Schweikert, Hamburg 1988.<br />

Jahnn, Hans H.: Werke und Tagebücher in sieben Bänden, 7. Bd. Mit einer Einleitung<br />

von Hans Mayer. Hg. von Th. Freeman u. Th. Scheuffelen, Hamburg 1974.<br />

Jahnn, Hans H.: Schriften zur Kunst. Literatur und Politik. 1. Teil. Hg. v. Ulrich Bitz u.<br />

2차<br />

문헌<br />

Uwe Schweikert unter Mitarbeit v. Sandra Hiemer u. Werner Irro, Hamburg 1991.<br />

고유경경 : 문문화비판으으로서의의 반더포겔 운운동 , 1896-1913, 실린 곳곳 : 독일연구 제 6호<br />

(2005), 1-28 쪽 .<br />

김맹하 : Hans Henny Jahnn의의 Medea 연구 - 생명력이 넘치는 고풍화 , 실린 곳곳 : 독일<br />

어문문학 제 34 집 (2006), 43-65 쪽 .<br />

김연순 : 근대 유럽에서 성스러움움 해체와 재정립 , 실린 곳곳 : 헤세연구 제 15 집 (2006),<br />

252-273 쪽 .<br />

Bürger, Jan: Hans Henny Jahnn (1894-1959), in: Nobert O. Eke u.a. (Hg.): Deutsche<br />

Dramatiker des 20. Jahrhunderts, Berlin 2000, S. 234-248.<br />

Eichhorn, Hugo J.: Mythos und Tragik. Hans Henny Jahnns Dramen, Zürich 1973.<br />

Glaser, Horst A.: Unglückliche Negerin unter Schwulen (Jahnn), in: Ders.: Medea oder<br />

Frauenehre. Kindermord und Emanzipation: zur Geschichte eines Mythos,<br />

Frankfurt a.M. u.a. 2001, S. 121-130.<br />

Jones, James W.: Homoerotik in drei Dramen der frühen Weimar Republik: Bronnens<br />

Vatermord, Brechts Baal und Jahnns Die Krönung Richards III., in: Dietrich<br />

Molitor u.a. (Hg.): Siegener Hans Henny Jahnn Kolloquium, Essen 1986.<br />

Ludewig, Werner (Red.): Das Bertelsmann Lexikon Bd. 1, Gütersloh 1979.<br />

Lü, Yixu: Die Fremde zwischen Gottheit und Tier. Hans Henny Jahnns ‘Medea’, in:<br />

Peter Philipp u.a. (Hg.): Resonanzen, Würzburg 2000, S. 413-428.<br />

Mebus, Andrea: Kampf mit der Mauer. Die Figuren in Hans Henny Jahnns frühen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13<br />

Dramen zwischen Rebellion und Anpassung, Frankfurt a.M. u.a. 1992.<br />

Niehoff, Reiner: Hans Henny Jahnn. Die Kunst der Überschreitung, München 2001.<br />

Popp, Wolfgang: Männerliebe. Homosexualität und Literatur, Stuttgart 1992.<br />

Weber, Manfred (Hg.): Medea. Hans Henny Jahnn - Ein Theaterbuch, Köln (Schauspielhaus)<br />

1989.<br />

Wolffheim, Elsbeth: Hans Henny Jahnn. Mit Selbstzeugnissen und Bilddokumenten,<br />

Reinbek 1989.<br />

http://de.wikipedia.org/wiki/Animismus.<br />

http://de.wikipedia.org/wiki/Gilgamesch-Epos.<br />

http://www.hans-henny-jahnn.de/Religiositaet.html.<br />

http://www.hans-henny-jahnn.de/Ugrino.html.<br />

Zusammenfassung<br />

Die Homosexualität als Widerstand gegen die zivilisierte Gesellschaft<br />

-untersucht am Beispiel des Dramas Die Krnung Richards III. von Hans H.<br />

Jahnn<br />

Lee, Mun-Ki (Inha Uni)<br />

Kritiker und Schriftsteller haben über Jahrzehnte hinweg zu Jahnns Literatur<br />

geschwiegen oder sogar Abneigung bis hin zum Hass gezeigt. Die Abneigung aus<br />

Unaufgeklärtheit oder Böswilligkeit aber mag dazu geführt haben, als öffentliche<br />

Reaktion auf die Homosexualität in seinem Leben und Werk Jahnn bis zu den 1980er<br />

Jahren in eine Außenseiterposition unter den Autoren des 20. Jahrhunderts zu drängen.<br />

Allerdings gab es auf deutschen Theaterbühnen von Ende 1970 bis Mitte der 1980er


11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ein auffallendes Interesse an seinen dramatischen Werken. Doch wird Jahnns Literatur<br />

immer noch als ein Tabu angesehen. Der Grund dafür beruht darauf, dass in der<br />

Literatur- und Theaterkritik von einer Überfrachtung an homoerotischen Anspielungen<br />

die Rede ist, so dass sogar Jahnns künstlerische Leistung dadurch als beeinträchtigt gilt.<br />

Jahnn arbeitete von 1917 bis 1920 an Die Krönung Richards III., zur Uraufführung<br />

kam das Drama im Februar 1922 in Leipzig. Mit diesem Drama setzt Jahnn die<br />

Homoerotik als Mittel ein, welches die von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gesetzten<br />

Grenzen und Normen aufheben und die ursprüngliche Freiheit zum Leben<br />

wiederherstellen soll. Die Figuren, die Jahnn für die Rollen Geliebten auswählt, sind<br />

stets Knaben von unverdorbener Jugendlichkeit, die noch ein natürliches und naives<br />

Verhältnis zu ihrer Umwelt haben. Gerade darin scheint Jahnn ihre Attraktivität für<br />

diese Rollen zu finden.<br />

Nicht durch eine Konzentration auf das Thema ‘Homoerotik’, sondern durch<br />

Einbindung in den großeren Rahmen von sozialer und politischer Ungerechtigkeit<br />

gelingt es ihm aber, Alternativen aufzuzeigen, die dem Einzelnen ein Ausweichen vor<br />

dem Machteinfluss ermöglichen können. Doch zeigt er auch die damit verbundenen<br />

Gefahren auf, da denjenigen, die sich der staatlichen Macht entziehen wollen,<br />

Repressalien oder sogar der Tod drohen. Am Ende ist hier die Funktion der<br />

homoerotischen Beziehungen, ein Gegenwicht zu den politischen Aktionen der<br />

Machthaber herzustellen, die ihre Untertanen und deren Leben beherrschen.<br />

Seine Position ist es, die König Richard Möglichkeiten und Mittel zur<br />

Machtausübung und Gewaltanwendung bietet. Auch hinter der Gewalttätigkeit König<br />

Richards steht nicht einfach die Lust an der Gewalt selbst, sondern der Wunsch, den<br />

Urstand der naiven Knaben in einer friedlichen Welt zu erlangen. Schließlich verbirgt<br />

sich dahinter der Gedanke der Wiederherstellung der ursprünglichen Weltordnung.<br />

Daher bietet Jahnn seinem Protagonisten Richard im Drama zwei Alternativen zu dem<br />

Machtwahn, die eigentlich aus dem ‘Ugrion-Konzept’ stammen: die brüderliche Liebe<br />

und die Kunst.<br />

Letztendlich aber erkennt er seine Fehler und Verbrechen, die er mittels seiner


문문명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호모섹슈얼리티 115<br />

Macht begangen hat. Einerseits macht er selbst sich durch sein machthungriges und<br />

gewalttätiges Verhalten nicht um die Alternativen verdient, andererseits zeigt Jahnn<br />

damit, dass Richard in seinem armseligen und einsamen Herrscherdasein kein<br />

lohnendes Lebensziel finden kann. So bedeutet es für Richard einen großen Verlust,<br />

die brüderliche Liebe und die Kunst nicht für sich in Anspruch nehmen zu können.<br />

Am Ende erscheint daher der machtlüsterne König als ein von Angst und Resignation<br />

getriebener Herrscher. Insofern ist Jahnns Richard also eine tragische Figur.<br />

Keyword<br />

( 한글 / 독일어 )<br />

한스 H. 얀<br />

Hans H. Jahnn<br />

리차드 3세<br />

Richard III.<br />

필자<br />

E-Mail: leemunki0104@hanmail.net ( 이문문기 )<br />

‘ 우그리노 ’ 구상<br />

‘Ugrino’-Konzept<br />

반문문명<br />

Antizivilisation<br />

‘ 우그리노 ’ 연극<br />

‘Ugrino’-Theater<br />

동성애<br />

Homosexualität<br />

투고일<br />

: 2009년 12월 31 일 / 심사일 : 2010년 1월 15 일 / 심사완료일 : 2010년 1월 31일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