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1.2015 Views

6064637918SE.pdf - 통일연구원

6064637918SE.pdf - 통일연구원

6064637918SE.pdf - 통일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치를 피해서 동북지방으로 이주하였는데 이때 많은 반일지사와<br />

의병들은 압박에 못이겨 중국의 동북지방으로 이주하여, 만주지<br />

방은 독립운동의 중심기지로 되었다. 1931년 일본이 중국에서<br />

9·18사변을 일으키기 전까지 동북에 거주하는 한국교민은 적어도<br />

130만명~200만명에 달하였다. 8<br />

동북의 한국교민들이 한국독립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은<br />

사실상 반일지사를 수용하고 반일지사들이 조직한 반일 민족주<br />

의 단체나 반일무장역량에 참여하는 것부터 시작되었다.<br />

초기의 조선민족의 반일투쟁은 문화계몽운동의 방식으로 시작<br />

되었다. 조선이 일본에 망한 것은 대외적으로는 일본의 침략때문<br />

이지만, 대내적으로는 봉건통치와 유교사상때문이며 이를 개혁해<br />

야 조선이 독립할 수 있다고 보고 근대문화사상 운동을 전개하였<br />

다. 남들은 비행기를 날리고 대포를 쏘는데 우리는 담배대를 물<br />

고 허세를 부리는 낡은 사상을 바꾸어야 하며 서양의 근대문화를<br />

배워서 새로운 백성을 길러야 한다고 보았다. 1906년 8월에 건립<br />

된 최초의 조선족 사립학교인 룡정 서전서숙을 세운 것이 문화계<br />

몽기 운동의 시작이다. 그때부터 조선민족은 많은 곳에서 근대적<br />

사립학교와 군사학교를 세우고 학생들에게 반일교육과 군사교육<br />

을 시킴으로써 반일투사를 양성하였다. 마을마다 1개 학교 1개<br />

교회를 세우면 조선이 독립될 수 있다고 보고 사립학교 운동이<br />

전개되었다. 명동학교, 창동학교, 길동학교 등이 이때 설립되었<br />

다. 9<br />

8<br />

9<br />

진가외 ( 陳 可 畏 ), “한국독립운동과 중국 동북의 한국교민”, 대한민국임시정부<br />

옛청사관리처 편‧김승일 역, 중국항일전쟁과 한국독립운동, (서울: 시대의<br />

창, 2005), p. 89.<br />

박창욱 연변대 교수 인터뷰 (2006년 6월).<br />

14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신화화 연구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