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김미란

김미란

김미란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2.<br />

현대연극


*<br />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br />

1.<br />

시작하며<br />

<strong>김미란</strong> ( 숙명여대 )<br />

고대에서부터 오늘날까지 여성들은은 끊임없이이 인인간의의 예술 행위위의의 대상이이 되어왔<br />

다 . 그러한 사실은은 이이제까지의의 수많은은 회화와 조각에서 입증되고 있있다 . 그러나 조형<br />

예술에서뿐만 아니라 문문학에서도 많은은 시인인이이나 작가들은은 여성들을을 소재로 삼아 자<br />

신의의 주제를 형상화시켰다 . 화가나 조각가들이이 대체체로 여성을을 감각적 존재로서 대상<br />

으으로 삼아 작품을을 창작했다면 , 희곡 작가나 소설가들은은 문문학 작품 속에서 여성들을을<br />

외형적인인 존재로 표현했을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의 정신과 의의지를 행동으으로 보여주는 존<br />

재로도 묘묘사했음음을을 볼 수 있있다 . 역사적으으로 수많은은 남성 작가들은은 자신들과 동성인인<br />

남성들의의 영웅웅적인인 삶에 대해서만 쓴 것이이 아니라 여성들의의 운운명이이나 삶에 대해서도<br />

관관심을을 가졌고 그녀들에 관관한 이이야기를 소재로 끌어다 문문학으으로 형상화해왔다 . 즉 고<br />

대 그리스의의 비극작가들은은 신화에 등장장하는 여러 여성인인물들을을 자신들 드라마의의 주<br />

인인공공으으로 형상화하였고 , 비극의의 주인인공공이이 된 이이 여성들의의 운운명과 그들의의 삶에 관관한<br />

이이야기는 2500여년년을을<br />

전해 내내려오며 끊임없이이 유럽의의 작가들에게 영감을을 주고 소재<br />

를 제공공했다 . 고대의의 신화 속 여성들의의 운운명은은 시대와 사회가 변함에 따라 작가들에<br />

의의해 달리 수용되고 변형되어 다시 그려지기를 반복하여 왔다 . 그러나 처음음부터 신화<br />

속에 각인인되어 있있던 여성상들 , 특히 비극의의 여주인인공공들의의 이이미지는 오랜 세월월이이 흘렀<br />

어도 여전히 오늘날의의 문문학에까지 그 영향을을 미치고 있있다. 1)<br />

* 본 연구는 2008 년년도 숙명여자대학교교 교교내내연구비 지원원으으로 수행되었음음 .<br />

1) 신화 속 여성들을을 소재로 하여 20 세기 후반에 발표된 주요 독일일작품으으로는 : 베르톨트 브레히트<br />

Bertolt Brecht의의 소포클레스의의 안티고네 Antigone des Sophokles (1948),<br />

롤프 호흐후트 Rolf<br />

Hochhut의의 베를린의의 안티고네 Die Berliner Antigone (1964), 하이이너너 뮐뮐러 Heiner Müller의의<br />

황폐<br />

한 물가 메데아 자료 아르고 선원원들이이 있있는 풍경 Verkommenes Ufer Medeamaterial Landschaft<br />

mit Argonauten (1982), 폴커 브라운운 Volker Braun의의 자유의의 이이피게니 Iphigenie in Freiheit


6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신화의의 주인인공공이이 된 여성들은은 중요한 몇 가지 유형들로 나뉠 수 있있다 . 우선 현모<br />

양처로 칭칭송 받는 페넬넬로페 같은은 열녀 , 그리고 남편에게 복수하는 클리타임네스트라 ,<br />

마녀로서 악처이이자 사악한 어머니의의 상징인인 메데이이아 같은은 악녀 , 또 트로이이 전쟁의의<br />

원원인인을을 제공공하고 수많은은 사람의의 생명을을 희생시킨 헬레네 같은은 미인인 형이이 있있다 2).<br />

본고에서는 그리스 신화의의 여성들 중에서 고대에서부터 최최근 까지 가장장 오래 동안<br />

그리고 가장장 자주 유럽의의 문문학작품에 등장장하고 독일일문문학에도 소재를 제공공해 왔던 대<br />

표적인인 세 여주인인공공들 , 즉 가족을을 위위해 희생된 효녀이이면서 형제애로도 이이름 높은은 안<br />

티고네와 이이피게네이이아 그리고 그 반대의의 상징인인 메데이이아에 대해서 그녀들의의 이이미<br />

지와 그들의의 운운명에 관관한 이이야기가 여러 시대와 사회를 거치면서 문문학 소재로서 문문<br />

학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br />

2.<br />

그리스 신화의 여주인공들<br />

2.1. 안티고네 : 가족을 위해 권력에 대항하는 용기의 상징<br />

그리스 신화에서 오이이디푸스 왕에게 내내려진 운운명은은 그 자녀들에게까지 영향을을 끼<br />

친친다 . 오이이디푸스의의 큰 딸 안티고네는 소포클레스의의 비극 콜로노노스의의 오이이디푸스 <br />

( 기원원전 401 년년에 초초연 ) 에서 근친친살해와 근친친상간의의 죄로 인인하여 테베 왕국에서 추방<br />

당한 아버지를 따라다니며 끝까지 돌보는 참을을성 있있는 효녀상을을 보여준다 . 안티고네<br />

는 고생스러운운 오랜 방랑 끝에 결결국 아테네 근처의의 콜로노노스에 도달하여 오이이디푸스<br />

가 인인생의의 마지막을을 맞을을 때까지 눈먼 아버지의의 지팡이이 노노릇을을 하며 그를 보호하고<br />

보살핀다.<br />

이이미 그 이이전에 초초연되었던 소포클레스의의 안티고네 (<br />

기원원전 441) 에서는 안티고네<br />

의의 특별한 운운명이이 시작되는 것을을 보여준다 . 오이이디푸스 왕이이 세상을을 떠난 후 그녀의의<br />

오빠들인인 폴리네이이케스와 에테오클레스가 아버지 오이이디푸스의의 저주에 따라 테베 왕<br />

(1992), 크리스타 볼프 Christa Wolf의의 메데아 목소리들 Medea Stimmen (1996),<br />

데아 로어 Dea<br />

Loher의의 맨하탄 메데아 Manhattan Medea (1999)<br />

등이이 있있다 .<br />

2) 참조 : 장장영란 : 신화 속의의 여성 , 여성 속의의 신화 . 문문예출출판사 2001.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69<br />

국의의 왕권권을을 걸고 서로 적이이 되어 전쟁을을 하다가 전사한다 . 형 폴리네이이케스는 동생<br />

에테오클레스에게 왕위위를 빼앗긴 후 외국으으로 나가서 지원원군군을을 이이끌고 테베를 공공격<br />

하다가 이이 전쟁에서 두 형제가 모두 전사한 것이이다 . 외삼촌촌 크레온은은 두 형제들이이 죽<br />

은은 후 왕위위에 올라 국가의의 반역자인인 폴리네이이케스의의 매장장을을 금지시키고 시신을을 방치<br />

하도록 하는 대신 에테오클레스를 위위해서는 성대한 장장례의의식을을 거행하도록 한다 . 성<br />

품이이 온유하고 소심한 여동생 이이스메네는 왕의의 명령에 따르지만 , 용감한 안티고네는<br />

“ 신께서 숭고하게 세우신 법 ” 3)에 의의거하여 신성한 인인간의의 의의무무를 수행하려한다 . 그<br />

녀는 가족으으로서 의의무무를 실현하기 위위하여 “ 같은은 어머니 , 같은은 아버지에게서 태어<br />

난” 4) 오빠의의 시체체에 두 번이이나 몰몰래 흙을을 덮어주고 장장례를 치르려 하다가 체체포되고<br />

사형선고를 받는다 . 안티고네는 단호하고도 대담하게 크레온 왕에게 저항하고 , 순종<br />

적인인 여동생을을 오만한 태도로 경멸하고 거부하며 , 죽음음에 직면하여 감동적인인 탄식의의<br />

장장면을을 보여준다 . 그녀는 산 채로 매장장되는 동굴굴 묘묘에서 스스로 목을을 매어 자살한다 .<br />

약혼자 하이이몬몬이이 - 그는 크레온 왕의의 아들이이다 - 그녀를 구출출하러 왔을을 때 이이미 때는<br />

늦었다 . 완강하게 자기 고집만 내내세우던 크레온 왕은은 예언자 테이이레시아스가 아들 하<br />

이이몬몬의의 죽음음을을 예언할 때 비로소 마음음을을 돌린다 . 그러나 하이이몬몬은은 안티고네의의 무무덤<br />

앞에서 칼칼을을 뽑아 아버지를 향해 겨누다가 실패하고 자신을을 찌른다 . 왕비 에우리디케<br />

도 그 소식을을 듣고 자살하고 크레온 왕의의 불행은은 막을을 내내린다.<br />

이이 드라마는 갈등을을 엄격하게 이이끌어 가며 , 안티고네의의 대사 , “ 저는 서로 미워워하기<br />

위위해서가 아니라 서로 사랑하기 위위해서 태어났났습니다” 5)와 같은은 인인간적인인 고백과 그<br />

녀의의 순교교자적 태도로 인인하여 모범이이 된 비극으으로 고대와 근대에 많은은 경쟁자들과<br />

모방작과 개작들을을 남겼다 . 안티고네는 , 가족과 형제의의 의의무무를 지시한 “ 신의의 계계명에<br />

헌신 Hingabe an das göttliche Gebot” 6)하며 이이를 위위해 독재자가 자의의적으으로 만든 법<br />

을을 거역하여 희생되는 여성으으로 , “ 국가보다 존엄한 인인간의의 영혼을을 위위해 죽어간 ” 7) 여<br />

3) 소포클레스 : 안티고네 . 조우현 옮김 . 실린곳곳 : 희랍비극 I, 현암사 1995. 317 면 .<br />

4) 안티고네 , 330 면 .<br />

5) 안티고네 , 331 면 . 브레히트는 이이 대사를 , “ 저는 미움움을을 위위해서가 아니라 사랑을을 위위해서 살고 있있습<br />

니다 Zum Hasse nicht, zur Liebe lebe ich.” 로 표현했다 . 참조 : Brecht, Bertolt: Die Antigone des<br />

Sophokles. In: B. B.: Gesammelte Werke 6. Frankfurt a. M. 1967. S. 2298.<br />

6) Reclams Schauspielführer. Stuttgart 1996. S. 31.<br />

7) 한정숙 : 여성은은 이이렇게 말했다 . 서양고전과 역사 속의의 여성주체체들 . 서울울 : 길 2008. 136 면 이이하 .


7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성으으로서 감동을을 준다 . 이이미 기원원전 410년년경에 에우리피데스도 안티고네 를<br />

썼으으나<br />

하이이몬몬과의의 사랑을을 강조한 이이 작품은은 단편적으으로만 남아있있고 , 소포클레스의의 작품만<br />

큼 높이이 올라가지는 못못한 듯하다 . 에우리피데스의의 페니키아인인들 Phoinissen (<br />

기원원전<br />

411/408) 에도 안티고네가 등장장한다 .<br />

르네상스 이이후 안티고네 이이야기는 프랑스 고전주의의 문문학에서 다시 변형되어 자주<br />

등장장한다 . 장장 라신 Jean Racine의의 테바이이<br />

또는 적이이 된 형제 La Thébaide ou les<br />

Frères ennemis (1664)<br />

에서 안티고네는 크레온 왕이이 두 번째로 구혼하는 여성으으로 나<br />

타난다 . 이이 작품에서 크레온 왕은은 권권력을을 잡잡기 위위하여 두 형제를 이이간하여 죽게 하고<br />

자신의의 아들도 죽자 안티고네에게 구혼한다 . 하지만 그녀가 죽자 자신도 자살한다 .<br />

독일일에서는 소포클레스의의 안티고네 가<br />

19세기 초초까지 마틴 오피츠 Martin Opitz<br />

의의 번역 (1636) 으으로만 알려져 있있다가 프리드리히 횔덜린 Friedrich Hölderlin의의<br />

번역<br />

(1804) 을을 통해서 “ 품위위 있있는 독일일어 옷 ein würdiges deutsches Sprachgewand” 8)을을 입<br />

게 되었다 . 이이후 이이 소재로 프리드리히 하인인리히 보테 Friedrich Heinrich Bothe가 오<br />

디푸스의의 몰몰락 또는 형제들 Ödipiden Fall oder die Brüder (1822)<br />

을을 썼다 . 그의의 작품<br />

에서는 크레온이이 결결국 매장장을을 허락하여 안티고네의의 행동이이 필요 없게 된다 . 빌헬름<br />

프로네 Wilhelm Frohne는 1852년년<br />

테베의의 설화에 관관한 그리스의의 다섯 비극을을 한데 묶묶<br />

어 안티고네를 중심인인물로 하는 한 편의의 드라마로 만들었다 . E. 라이이헬 E. Reichel의의<br />

드라마 (1877) 에서는 백성들이이 굴굴복하려는 크레온에게 금지령을을 강요하여 , 크레온은은<br />

명령을을 철회할 수 있있는 기회를 놓치고 만다.<br />

20 세기 초초에도 안티고네를 소재로 한 새로운운 드라마들이이 나왔고 , 발터 하젠클레버<br />

Walter Hasenclever 도 새로운운 해석으으로 안티고네 이이야기를 썼다 (1917). 하젠클레버는<br />

소포클레스의의 이이야기를 근본적으으로 변형시키지 않으으며 1차<br />

대전을을 배경으으로 한 반전<br />

드라마로 만들었다 . 그는 안티고네를 “ 인인도주의의적이이고 평화주의의적 이이념념을을 알리는 여<br />

성 Künderin humanistischer und pazifistischer Ideen” 9)으으로 그렸다 . 형제에 대한 인인간<br />

적 도리를 위위하여 감수한 그녀의의 희생적 죽음음을을 통해 크레온은은 실각하게 된다 . 장장 아<br />

누이이 Jean Anouilh 는 독일일군군이이 프랑스를 점령했던 시절에 쓴 안티고네 (1942)<br />

에서<br />

8) Frenzel, Elisabeth: Stoffe der Weltliteratur. Stuttgart 1976. S. 51.<br />

9) Frenzel, 같은은 곳곳 .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71<br />

안티고네가 끝까지 자존심을을 세우며 수십 가지 행복 보다 죽음음을을 선택하며 사회의의<br />

독재적 이이성에 부딪쳐쳐 개인인의의 저항이이 좌초초하는 것을을 보여준다 . 베르톨트 브레히트<br />

Bertolt Brecht는 1948년년 횔덜린의의 번역을을 토대로 개작한 소포클레스의의<br />

안티고네<br />

Antigone des Sophokles ( 안티고네 모델 Antigono-Modell 1948 )<br />

의의 프롤로그에서 사<br />

건이이 이이미 현실과 관관계계있있음음을을 암시한다 . 이이 작품의의 프롤로그에서는 1945년년<br />

베를린에<br />

서 나치의의 폭정 하에서 사는 두 자매를 보여 준다 . 방공공호에서 막 집으으로 돌아온 자<br />

매가 탈영하여 집에 다녀간 오빠의의 흔적을을 발견견한다 . 그 중 여동생이이 탈영병으으로서<br />

막 처형당하여 정육점 갈고리에 매달려 있있는 오빠를 몰몰래 내내려주려고 하다가 나치<br />

친친위위대원원에게 발각되어 위위험에 처하는 상황이이 서막에서 그려진다 . 그러나 죽음음의의 위위<br />

험을을 무무릅쓰는 동생의의 행동에 대해서 언니는 “ 오빠를 구하기 위위해 자신이이 죽음음의의 고<br />

통으으로 들어가야 할 것인인가? Sollte sie in eigener Todespein/ Jetzt gehn, den Bruder<br />

zu befreien?” 10)하고 의의문문을을 제기한다 . 이이 질문문에서 브레히트는 고대 비극에 대한 비<br />

판적 시각을을 드러내내고 있있다 . 펠릭스 뤼첸첸도르프 Felix Lützendorf도 사이이프러스의의<br />

안<br />

티고네 Die cyprische Antigone (1957)<br />

에서 고대의의 사건과 비슷하게 사이이프러스에서<br />

저항운운동 중에 처형된 아버지를 매장장하려는 한 처녀에 관관한 드라마를 만든다 . 브레히<br />

트와 뤼첸첸도르프의의 드라마와 더불어 호흐후트 Rolf Hochhuth도 노노벨레 베를린의의<br />

안<br />

티고네 Die Berliner Antigone (1964)<br />

에서 같은은 소재를 다룬다 . 그의의 노노벨레에서는 베<br />

를린의의 한 처녀가 , 국가 반역죄에 해당하는 발언을을 했기 때문문에 처형된 오빠의의 시신<br />

이이 해부실에 있있는 것을을 꺼내내어 히틀러의의 명령을을 거역하고 몰몰래 매장장한다 . 그녀의의 약<br />

혼자는 전선에서 총총으으로 자살하고 , 판사인인 그의의 아버지가 그녀를 구하고자 시도하지<br />

만 실패한다 . 그녀는 죽음음의의 공공포 속에서 행한 자신의의 행위위를 더 이이상 이이해하지 못못하<br />

지만 후회 없이이 죽어간다 . 장장 꼭도 Jean Cocteau도 1922년년<br />

소포클레스의의 작품을을 번안<br />

하였고 그것을을 토대로 오페라 대본을을 만들었으으며 아르튀르 오네게르 Arthur<br />

Honegger가 곡을을 부쳐쳐 오페라로 만들어 1927 년년 초초연을을 보았다 . 카카를 오르프 Carl<br />

Orff 도 이이 소재로 오페라 (1949) 를 작곡했는데 횔덜린의의 텍스트를 대본으으로 삼았다 .<br />

위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이 안티고네는 아버지의의 효성 깊은은 딸에서 출출발하여 누이이<br />

로서 오빠를 위위해 인인륜을을 지키고 가족의의 의의무무를 수행하기 위위하여 자신을을 희생한 여<br />

10) Brecht: Die Antigone des Sophokles. S. 2279.


7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성이이었고 , 고대 이이후 변화된 시대와 사회에서는 효녀상 보다는 대체체로 지배자나 국가<br />

권권력에 대항하는 시민의의 용기와 저항을을 상징하는 인인물로 강조되어 형상화되었음음을을<br />

볼 수 있있다.<br />

2.2. 이피게네이아 : 가족과 인류를 위하여 희생되는 여성<br />

호머의의 서사시 일일리아스 에서는<br />

미케네의의 왕 아가멤논논과 왕비 클뤼타임네스트라<br />

의의 딸 이이피게네이이아의의 인인물은은 등장장하지 않고 그녀의의 희생과 신격화에 대한 이이야기가<br />

서론의의 형식으으로 전해지고 있있으으며 그것이이 비극작가들의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 아이이스<br />

퀼로스가 이이피게네이이아에 관관하여 쓴 드라마는 현존하지 않으으나 오레스테이이아<br />

3부<br />

작 의의 아가멤논논 에서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있으으며 또 오레<br />

스테스 에서도<br />

주인인공공 오레스테스는 자신의의 누이이의의 희생에 대해서 알고 있있다 . 에우<br />

리피데스의의 드라마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in Aulis (<br />

기원원전 405) 는 작<br />

품의의 시작부분에 , 아가멤논논이이 조국에 대한 의의무무 ( 사실은은 군군사적 정치적 공공명심도 크<br />

다 ) 와 아버지로서 딸에 대한 감정 사이이에서 동요하는 심경을을 보여주고 있있다 . 예언자<br />

칼칼카카스는 , 바람이이 멈추어서 트로이이로 떠나려는 그리스 함대들의의 운운항을을 저지하고 있있<br />

는 이이유를 아가멤논논에게 모욕당한 아르테미스 여신의의 벌이이라고 하고 , 이이피게네이이아<br />

를 제물로 바쳐쳐 속죄를 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 그리하여 아가멤논논은은 이이피게네이이아를<br />

아킬레스와 결결혼시키려 한다는 구실로 아내내와 딸을을 진영으으로 오게 한다 . 아무무것도 모<br />

르는 두 여자에게 차츰츰 아가멤논논의의 의의도가 밝혀지고 클뤼타임네스트라는 아킬레스에<br />

게 도와줄 것을을 간청청한다 . 그러나 이이피게네이이아 자신은은 처음음에는 아버지에게 살려줄<br />

것을을 간청청하지만 , 자신의의 가족과 자신을을 구해주려고 하는 아킬레스가 그리스 군군대의의<br />

분노노를 사게 되리라는 것을을 깨닫고 , 그리스를 위위하여 자기희생을을 감수하고 어머니에<br />

게도 아버지를 용서할 것을을 빈다 . 마지막은은 이이피게네이이아가 희생되지 않고 아르테미<br />

스에 의의해 구름에 싸여 공공중으으로 사라지고 그녀 대신 제단 위위에 암사슴 한 마리가<br />

놓이이게 되는 것으으로 극이이 끝난다 . 이이피게네이이아가 옮겨졌다는 것은은 에우리피데스가<br />

이이미 먼저 발표했던 타우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bei den Taurern (<br />

기원원전<br />

412 년년경 ) 의의 내내용상의의 전제가 되는 것이이었다 . 이이 드라마는 이이피게네이이아 -설화와<br />

오레<br />

스테스의의 치유에 대한 이이야기를 독립적으으로 연결결한 것이이다 .<br />

에우리피데스는 이이전에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73<br />

인인간을을 제물로 바쳤쳤던 아르테미스 숭배의의식과 피를 바치는 타우리스의의 여신 숭배의의<br />

식을을 혼합하여 타우리스의의 아르테미스 상에 관관한 이이야기를 만들어냈냈다 . 이이피게네이이<br />

아는 타우리스로 옮겨져 아르테미스 신전의의 여제사장장이이 되었고 , 이이 아르테미스 여신<br />

상을을 그리스로 가져오라는 것이이 모친친살해로 인인하여 저주를 받은은 오레스테스에게 내내<br />

려진 델피의의 신탁이이다 . 한때 여신의의 특성을을 가졌던 이이피게네이이아는 - 원원래 악마성을을<br />

가진 아르테미스가 인인격화된 실체체였는데 - 에우리피데스가 처음음으으로 아가멤논논의의 딸<br />

로 설정하고 여신관관의의 형상으으로 뚜렷하게 만든다 11) . 이이피게네이이아는 타우리스의의 여<br />

신관관으으로서 그곳곳에 표류해 온 그리스인인들을을 희생의의 제물로 바쳐쳐야 한다 . 오레스테스<br />

와 그의의 친친구 필라데스가 타우리스로 와서 토아스 왕의의 부하들에게 잡잡혔을을 때 , 그녀<br />

는 두 사람 중 하나를 도망시켜 고향의의 가족에게 소식을을 전하고자 한다 . 그리고 필라<br />

데스가 이이 사명을을 맡음음으으로써 서로를 알아보게 된다 . 이이피게네이이아는 이이방인인과 신상<br />

들을을 바닷물에 씻어 정결결하게 해야 한다는 구실을을 만들어 이이들과 함께 도주하려 하<br />

나 실패한다 . 토아스 왕은은 이이 남매에게 복수하려고 하지만 아테나 여신의의 명령으으로<br />

그리스인인들은은 신상을을 갖고 떠나게 된다 . 그리고 오레스테스로 하여금 그리스에 타우<br />

리스의의 아르테미스 상을을 위위한 신전을을 세우게 하고 이이피게네이이아가 평생 여사제로 그<br />

곳곳에 머물게 한다.<br />

에우리피데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드라마들은은<br />

제신들에 대한 믿음음을을 인인간화하는데 그<br />

목적이이 있있다 . 이이피게네이이아는 희생되는 것이이 아니라 여신의의 도움움으으로 옮겨져서 , 타우<br />

리스 인인들의의 야만적 숭배의의식을을 그리스 식의의 신을을 경배하는 새로운운 양식으으로 극복하<br />

는데 영향을을 끼친친다 . 또 오레스테스를 모친친 살해자로 만든 피의의 복수 역시 신들에 대<br />

한 생각의의 일일부분을을 극복하게 한다 . 아이이스퀼로스의의 드라마에서는 오레스테스가 신<br />

의의 명령에 의의해 살인인을을 행하게 되었으으므로 그 신들이이 그를 복수의의 여신들로부터 풀<br />

려나게 할 수 있있으으나 , 에우리피데스의의 오레스테스는 자신이이 보다 높은은 윤윤리적 질서를<br />

위위반하였다고 느끼고 자신을을 쫓아다니는 망상에서 벗어날 수 없다 . 자신의의 행동에 의의<br />

해서 비로소 자신이이 속죄되었음음을을 의의식하고 영적으으로 치유된다 . 에우리피데스에 있있<br />

어 중요한 점은은 새로운운 신상과 함께 인인간상도 특별히 그리스인인의의 업적으으로 기록되는<br />

것이이었다 . 이이렇게 이이피게네이이아의의 소재는 에우리피데스 이이후에 둘로 갈라져서 발전<br />

11) 참조 : Frenzel, 340 면 .


7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하게 된다 . 즉 하나는 “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 의의 영웅웅적 이이야기와 또 하나는 속죄<br />

를 주제로 하는 “ 타우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 로서 두 소재는 공공통적으으로 종교교적이이고<br />

인인도적인인 핵심을을 갖고 인인도주의의를 추구하던 시대에 계계속 풍부해졌고 , 새로운운 윤윤리적<br />

문문제를 제기하고 또 새로운운 해결결 시도로 이이어졌다.<br />

이이후에 이이피게네이이아 -소재는 고대 그리스 후기에 폴리에이이도스 Polyeidos가<br />

타우<br />

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를 다루었으으나 오늘날 남아있있지 않고 , 마찬가지로 로마 시대에<br />

네비우스 Naevius와 엔니우스 Ennius 의의 드라마들도 있있었으으나 유실되었다고 한다 . 또<br />

한 오비디우스 Publius Ovidius Naso도 변신이이야기 Metamorphosen 에서<br />

이이 소재를<br />

다루었다 12).<br />

세 번째로 갈라진 이이피게네이이아 - 소재는 “ 델피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 이이다 . 그리스로 돌<br />

아온 이이피게네이이아가 여동생 엘렉트라를 만나는 이이야기인인데 , 이이 소재는 고대 로마에<br />

서 악치우스 Accius가 아가멤논논 Agamemnonidae 에서 , 리코프론 Lykophron이이<br />

알레<br />

테스 Aletes 에서 다루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 히기누스 Hyginus의의<br />

이이야기집<br />

Fabulae 을을<br />

통해서만 전해져 내내려오고 있있다 . 이이 세 번째 이이야기는 소재 역사상 별로<br />

중요성을을 갖지 못못하다가 19세기에<br />

와서 괴괴테를 비롯하여 하우프트만에 의의해 비로소<br />

다시 생명을을 얻게 되었다.<br />

에우리피데스의의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가<br />

처음음으으로 새롭게 자유롭게 번안된<br />

것은은 16세기 이이탈리아의의 루도비코 돌체체 Ludovico Dolce( Ifigenia1543/47) 에 의의해서<br />

라고 본다 . 그리고 프랑스의의 장장 드 로트로 Jean de Rotrou ( Iphigénie en Aulide ,<br />

1640) 로부터 영웅웅적 소재의의 새로운운 이이야기가 시작되었다 . 장장 라신 Jean Racine(1674)<br />

에서는 아킬레스와 이이피게네이이아의의 사랑이이 전적으으로 부각되어 신의의 도움움 (Dea ex<br />

machina) 없이이도 화해의의 결결말에 이이르게 된다 . 즉 아킬레스가 제단위위의의 연인인을을 향해<br />

칼칼을을 빼들 때에 , 신탁이이 내내용이이 아가멤논논의의 딸이이 아니라 아킬레스를 짝사랑하던 같은은<br />

이이름의의 여인인 에리필레였음음이이 밝혀진다 . 그녀도 희생되는 것이이 아니라 아킬레스에 대<br />

한 불행한 사랑 때문문에 죽음음을을 자초초한 것이이다 . 이이로써 아킬레스는 희생에 관관한 모든<br />

죄에서 벗어나게 된다 . 이이후에 이이 작품에 대적하는 여러 드라마들이이 나왔으으나 라신을을<br />

12) 오비디우스 변신이이야기 이이윤윤기 옮김 민음음사 이이피게네이이아에 관관해서는 제 부 트로<br />

: 1, 2. . 2005. 12<br />

이이 전쟁 부분에 실려있있음음.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75<br />

능가하지 못못하였다 . 라신은은 신의의 저주와 인인간의의 간계계로 인인하여 위위기에 선 이이피게네이이<br />

아의의 모습을을 그리며 조국애 보다는 인인간적 사랑을을 실현하는 순결결한 여인인으으로 그리고<br />

있있다. 13) 독일일에서는 1732년년 계계몽몽주의의 시대에 요한 크리스토프 고트쉐트 Johann<br />

Christoph Gottsched가<br />

고전비극의의 전형으으로 꼽히는 라신의의 드라마를 번역하여 독일일<br />

무무대에 올렸다.<br />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소재는 18 세기 오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을 하였다 . 아포<br />

스톨로 제노노 Apostolo Zeno의의 오페라 대본은은 안토니오 칼칼다라 Antonio Caldara 가 곡<br />

을을 붙인인 이이후 여러 다른 작곡가들에 의의해 계계속 사용되었고 , 프란체체스코 알가로티<br />

Francesco Algarotti도 1755년년<br />

자신이이 계계획한 오페라 개혁을을 위위하여 본보기가 되는 오<br />

페라대본집을을 만들기 위위해 이이 소재를 사용하였다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br />

Christoph Willibald Gluck은은 오페라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énie en Aulide<br />

(1774) 에서 프랑소아 강 -르블랑 뒤 롤렛 François Gand-Leblanc du Rollet의의<br />

텍스트를<br />

사용하였으으나 , 후에 자신이이 직접 대본 제작에 관관여하여 에우리피데스와 라신의의 텍스<br />

트를 3 막으으로 압축하였다 .<br />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 Gerhart Hauptmann 은은 인인간이이 희생 제물이이 되는 것에 “ 유<br />

혈적인인 비극의의 뿌리 die blutige Wurzel der Tragödie” 14)가 있있음음을을 보고 그의의 아트레<br />

우스 후손들 -4부작 Atriden-Tetralogie 의의 제 1 부 아울울리스의의<br />

이이피게네이이아 Iphgenie<br />

in Aulis (1944)<br />

15)에서 저승의의 힘에 의의해 쫓기는 인인간으으로 정치와 부성애 사이이에서<br />

동요하는 아버지 아가멤논논과 자식을을 방어하려는 어머니 클뤼타임네스트라를 그렸다.<br />

여기서 이이피게네이이아는 지하세계계 죽음음의의 여신 헤카카테의의 여사제들에 의의해 타우리스로<br />

끌려간다 . 한스 슈바르츠 Hans Schwarz는 1948년년에<br />

이이 신화적 소재를 새로 연결결하여<br />

유혈의의 운운명이이 아니라 신의의 의의지를 인인간의의 영혼으으로 받아들인인다는 것을을 이이끌어 낸낸다.<br />

에우리피데스의의 타우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bei den Taurern의의<br />

이이야기가<br />

처음음으으로 자유롭게 번안하고 개작된 것은은 이이탈리아의의 지오바니 루첼첼라이이 Giovanni<br />

13) 참조 : 곽복록 : 그리스 비극의의 변모 -<br />

1998. 503 면 .<br />

14) 참조 : Frenzel: 342 면 .<br />

그 소재 / 주제를 중심으으로 한 . 실린곳곳 : 희랍비극 I. 현암사<br />

15) 2 부 : 아가멤논논의의 죽음음 Agamemnons Tod ; 3 부 : 엘렉트라 Elektra ; 4 부 : 델피의의<br />

이이피게네이이아<br />

Iphigenie in Delphi .


7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Rucellais 의의 오레스테스 Oreste (1525)<br />

였으으며 , 프랑스어로 처음음 번안된 것은은 레클레<br />

르끄 M. Leclerc와 봐이이에 신부 Abbe C. Boyer 의의 의의해서였다 (1681). 그러나 그 텍스<br />

트는 인인쇄되지 않았고 토아스 왕의의 아들이이 이이피게네이이아를 사랑한다는 사랑 이이야기<br />

일일부만이이 라신의의 미완성 원원고에 남아 전해진다 . 독일일인인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폰 데<br />

어샤우 Ch. F. v. Derschau는 1747년년 프랑스의의 라 그랑제 샹슬 La Grange Chancel의의<br />

드라마 오레스테스와<br />

필라데스 또는 타우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Oreste et Pylade ou<br />

Iphgénie en Tauride (1697)<br />

에 의의거하여 이이 소재를 번안하였다 . 오레스테스와 필라데<br />

스의의 우정을을 강조하는 이이 작품에서는 토아스 왕 자신이이 여사제를 사랑하게 되고 연<br />

적이이 나타나서 이이피게네이이아를 멀리 보내내려고 그리스인인들이이 여신상을을 훔쳐쳐 도주하는<br />

것을을 돕게 된다 . 토아스 왕은은 그들을을 추적하다가 쓰러진다 . 독일일의의 의의고전주의의 古<br />

희곡작가 요한 엘리아스 슐레겔 Johann Elias Schlegel은은<br />

타우리스의의<br />

남매<br />

Die Geschwister in Taurien (1737)<br />

에서 사랑의의 에피소드는 집어넣지 않았다 . “ 타우<br />

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 소재도 많은은 오페라에서 사용되었으으나 무무엇보다 이이 소재가 발<br />

전의의 최최고봉에 이이른 것은은 요한 볼프강 폰 괴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의의 타우<br />

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auf Tauris (1787) 에서이이다 . 괴괴테는 그의의 이이피게네이이<br />

아 에서<br />

에우리피데스의의 이이야기 마지막을을 보여준다 . 왜냐냐하면 이이피게네이이아가 온 마<br />

음음을을 다하여 신들에게 자신의의 구원원을을 스스로 간청청하는 것 , 신의의 생각을을 인인간화하는<br />

것이이 바로 에우리피데스가 끝낸낸 곳곳에서 시작되기 때문문이이다 . 야만인인도 인인간이이기 때문문<br />

에 , 토아스는 한 인인간의의 정직성을을 대하고 인인간적으으로 될 수밖에 없으으므로 두 남매를<br />

떠나도록 놓아준다 . 타우리스에 와서 이이피게네이이아는 이이미 인인간제물을을 바치는 관관습<br />

을을 폐지 시켰으으며 , 동생 오레스테스가 양심의의 가책 때문문에 광광기에 사로잡잡혀 고통 받<br />

는 것을을 보고 누이이의의 사랑으으로 치유한다 . 오레스테스가 치유되는 것은은 여신상을을 훔쳐쳐<br />

내내었기 때문문이이 아니라 , 영혼의의 정화와 진실한 고백과 보다 인인간적인인 신에 대한 믿음음<br />

에 의의해서 였다 . 여기서 신탁이이 오레스테스에게 명한 것은은 타우리스에서 아폴로의의 누<br />

이이를 데려오라는 것이이 아니라 오레스테스의의 누이이를 데려 오라는 것으으로 괴괴테에 의의해<br />

해석된다.<br />

괴괴테 이이후 이이 소재는 프랑스의의 장장 모레아스 Jean Moréas가<br />

에우리피데스의의 작품을을<br />

토대로 자유롭게 번안하였고 (1903), 터키에서는 셀라하틴 바투 Selahattin Batu가<br />

자<br />

기 민족을을 위위하여 새로운운 결결혼의의 이이상을을 묘묘사하려고 이이 소재를 사용하였다 (타우리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77<br />

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a Tauris’te ,<br />

1942). 즉 이이피게네이이아는 첩이이 되어야하는<br />

토아스의의 구혼을을 처음음에 거절하였으으나 , 오레스테스와 그의의 친친구를 살리기 위위해 자신<br />

을을 희생하려고 한다 . 그러나 토아스는 희생을을 원원치 않고 자발적인인 사랑을을 원원하기 때<br />

문문에 그녀를 포기하고 그리스인인들을을 풀어준다 . 토아스가 포기함으으로써 이이피게네이이아<br />

는 그때 비로소 그에 대한 진정한 사랑으으로 불붙게 된다.<br />

20세기 후반에 와서 구 동독의의 극작가 요헨 베르크 Jochen Berg는 그의의 4 부작 ( 세<br />

편의의 비극 니오베 Niobe , 클리타임네스트라 Klytaimestra , 타우리스에서<br />

Im<br />

Taurerland 와<br />

한편의의 사티로스극 ) 을을 1975년년부터 1979년년<br />

사이이에 발표하면서 이이 소재<br />

를 다시 한 번 다루었다.<br />

이이피게네이이아에 관관한 세 번째 소재는 델피로 돌아간 이이피게네이이아 그리고 삼남매<br />

의의 만남을을 이이야기한다 . 괴괴테는 이이 소재로 델피의의 이이피게니 Iphigenie in Delphi<br />

(1786) 를 쓰려고 구상하였으으나 실행에 옮기지는 못못 하였다 . 괴괴테가 사용한 원원전은은 로<br />

마시대의의 히기누스 Gaius Julius Hyginus의의 고대의의 설화집인인 이이야기집 Fabulae으으로<br />

여기서 단편으으로 남아있있는 소포클레스의의 알레테스 Aletes 를<br />

묘묘사하고 있있다 . 그에<br />

따르면 오레스테스가 희생되었다는 오보가 전해져서 미케네의의 왕권권은은 아이이기스토스<br />

의의 아들 알레테스에게 돌아가고 , 엘렉트라는 델피에 가서 조언을을 구한다 . 그곳곳에 이이<br />

피게네이이아와 오레스테스 , 필라데스가 신상과 함께 동시에 도착한다 . 엘렉트라는 또<br />

한 번 오레스테스가 타우리스의의 여사제에 의의해 희생을을 당하였다는 잘잘못못된 소식을을 듣<br />

고 이이피게네이이아를 해치려고 그녀를 향해 칼칼을을 든다 . 그러나 오레스테스가 중간에 끼<br />

어들고 두 자매가 서로 알아보는 과정이이 있있은은 후에 또 다른 근친친살해를 피할 수 있있<br />

었다 . F. 할름 F. Halm은은 1856년년<br />

괴괴테가 구상했던 것을을 실행에 옮겼으으나 별로 예술적<br />

으으로 성공공하지는 못못하였다 . 이이 소재는 20세기에 와서 루돌프 판비츠 Rudolf Pannwitz<br />

가 디오니소스 비극 Dionysische Tragödien 연작집을을<br />

내내면서 다시 등장장하는데 , 이이<br />

연작집의의 마지막 부분을을 이이루는 신과<br />

함께 있있는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mit dem<br />

Gotte (1913) 에서 괴괴테의의 휴머니즘 사상이이 암시되고 있있다 . 하우프트만은은 델피의의<br />

이이<br />

피게네이이아 Iphigenie in Delphi (1941)<br />

에서 신들의의 시대의의 어두운운 황혼을을 그린다 . 즉<br />

삼남매 중에서 오레스테스와 엘렉트라는 광광기로부터 치유되어 인인간의의 삶으으로 다시<br />

돌아오고 , 오레스테스는 아가멤논논의의 왕권권을을 되찾게 된다 . 그러나 오직 이이피게네이이아<br />

만 저주와 죄책감에 대한 기억을을 지우려고 절벽에서 투신하여 스스로 인인간세상에서


7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사라지고 만다 . 그녀의의 희생은은 다른 사람들을을 구원원한 대가이이다 .<br />

반전 드라마를 쓴 독일일 여성 작가 일일제 랑그너너 Ilse Langner도<br />

고대 비극의의 소재를<br />

변용하여 여러 편을을 썼다 16) . 특히 드라마 이이피게네이이아<br />

고향으으로 돌아오다<br />

Iphigenie kehrt heim (1948)<br />

는 “ 델피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 소재를 개작하여 , 이이 남매들의의<br />

귀향과 그들의의 새로운운 시작을을 현대의의 귀향자의의 운운명을을 비유적으으로 보여준다 . 이이 극에<br />

서는 굶굶주림이이 지배하는 전후의의 폐허에서 돌아온 삼남매가 만나고 , 필라데스를 가운운<br />

데 두고 이이피게네이이아와 엘렉트라 자매가 갈등하는 것을을 보여준다 . 필라데스는 이이피<br />

게네이이아를 구해서 함께 고향으으로 왔지만 신의의 세계계에 속하는 그녀를 결결국 거부하고<br />

엘렉트라와 결결혼하며 , 오레스테스도 목동의의 딸과 맺어진다 . 두 쌍의의 결결혼식이이 있있는<br />

날 이이피게네이이아는 산속의의 신전으으로 올라가 사라짐으으로써 그녀가 더 이이상 인인간세계계<br />

에 속할 수 없음음을을 보여준다.<br />

에곤곤 비에타 Egon Vietta 역시 아메리카카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in Amerika<br />

(1948) 에서 이이야기를 독일일 제 3 제국 시대의의 현대로 옮겨 놓았다 . 즉 유럽에서 자행되<br />

고 있있는 인인간 살해의의 현장장을을 피해 이이피게네이이아는 아메리카카로 구조된다.<br />

20세기 말 구동독 출출신의의 극작가 폴커 브라운운 Volker Braun은은 이이 소재를 자유의의<br />

이이피게네이이아 Iphigenie in Freiheit (1992)<br />

에서 통일일 후의의 현대 독일일로 옮겨 놓았다 .<br />

인인간적인인 대화의의 단절을을 묘묘사하며 이이피게네이이아의의 모놀놀로그로 진행되는 이이 극에서는<br />

통일일 후의의 혼란스러운운 세계계에서 비틀거리는 옛 동독인인들의의 혹독한 통일일 경험을을 그리<br />

고 있있다 . 현실적으으로 상실에 대한 두려움움과 회의의 같은은 것이이 “ 제로 -상황<br />

Null-Situation” 17)의의 체체험으으로서 투영되고 있있다.<br />

2.3. 메데이아 : 최고의 악녀 ?<br />

고대 비극의의 여주인인공공들 중에서 위위에 언급된 안티고네와 이이피게네이이아와 함께 오<br />

늘날까지 문문학에 가장장 많이이 등장장하는 인인물은은 아마도 메데이이아 일일 것이이다 . 그러나 앞<br />

16) 미케네의의 살인인 Der Mord in Mykene (1931), 클리타임네스트라 Klytämnestra (1934-1947), 이이<br />

피게네이이아와 오레스트 Iphigenie und Orest , 이이피게네이이아<br />

고향으으로 돌아오다 Iphigenie kehrt<br />

heim (1948) 이이피게니 슈미트 고향으으로 돌아오다 Iphigenie Smith kehrt Heim .<br />

17) 참조 : Kienzle, Siegfried: Schauspielführer der Gegenwart. 6. Aufl. Stuttgart 1999. 129 면 .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79<br />

의의 두 여성인인물들이이 긍정적인인 이이미지로 이이제까지 관관객이이나 독자에게 각인인되어 왔다<br />

면 메데이이아는 그 반대로 매우 부정적인인 이이미지로 전해져 왔다.<br />

메데이이아 이이야기는 아르고 호 선원원들에 관관한 전설 (Argonautensage) 의의 일일부이이다 .<br />

그 전설에 의의하면 마법에 능통한 메데이이아는 콜키스의의 왕 아에테스의의 딸로 아르고<br />

호 선원원들을을 이이끌고 황금 양털을을 찾으으러 온 이이아손을을 사랑하게 되어 , 그를 도와서 그<br />

녀의의 아버지가 보관관하고 있있던 황금 양털을을 얻게 한다 . 그 두 사람은은 함께 도주하면서<br />

그녀의의 동생 압시르토스를 죽여 그 시체체를 조각내내어 바다에 버린다 . 그리스로 가는<br />

도중에 , 또 그리스 안에서 메데이이아는 이이아손의의 가는 길을을 순조롭게 하려고 범행을을<br />

저지르게 된다 . 그러나 코린토스로 도주한 이이아손은은 메데이이아를 버리고 크레온 왕의의<br />

딸과 결결혼하려고 한다 . 메데이이아는 공공주에게 결결혼 선물로 독이이 묻은은 예복을을 선물하여<br />

공공주와 왕이이 불타 죽게 한다 . 그리고 이이아손에 대한 마지막 복수로 자신들의의 두 아들<br />

을을 죽이이고 , 그녀의의 할아버지 헬리오스가 보낸낸 용이이 끄는 수레를 타고 날아가 버린다 .<br />

아르고 호 선원원들에 관관한 전설은은 고대에 아폴로니우스 로디우스 Apollonius<br />

Rhodius가 아르고나우티카카 Argonautica (<br />

기원원전 3 세기 ) 에서 다루었으으나 , 문문학에서<br />

관관심이이 있있었던 메데이이아와 이이아손의의 비극적인인 사랑의의 결결말은은 포함되지 않았다 . 처음음<br />

에는 자식 살해가 문문제되었으으나 차츰츰 배신한 이이아손의의 역할에서부터 두 여인인 사이이에<br />

선 남자라는 모티프가 발전하였고 , 고대 드라마에서는 등장장하지 않는 연적이이 크레우<br />

사라는 인인물로 형상화되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우리피데스가 다룬 이이 소재는 ( 기<br />

원원전 431) 매우 비중이이 컸으으므로 2000년년이이 넘넘는 세월월 동안 추가되고 변형되어 200여<br />

가지의의 개작들이이 나올 정도였다 18).<br />

메데이이아가 자식을을 살해한 여인인이이 된 것은은 에우리피데스에서 처음음인인 것으으로 본<br />

다. 19) 더 오래된 대본에서는 아이이들이이 코린트 인인들의의 야만인인에 대한 증오 때문문에 죽<br />

임을을 당하였거나 또는 죽은은 크레온을을 위위한 복수심 때문문에 살해당한 것으으로 되어 있있<br />

다 . 에우리피데스의의 비극 시작부분에서 이이아손은은 이이미 크레우사 공공주와 정혼하였고 ,<br />

메데이이아는 복수심을을 키우고 있있는데 크레온 왕으으로부터 자식들과 함께 그 나라에서<br />

떠나라는 추방령을을 받는다 . 메데이이아는 아테네 왕 아에게우스와의의 대화를 통해 그리<br />

18) 참조 면<br />

: Frenzel, 476 .<br />

19) 위위와 같은은 곳곳.


8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고 다시 시도해본 이이아손과의의 대화에서 남자는 자식에 대해 아주 민감하다는 것을을<br />

깨닫게 된다 . 그녀는 자제력을을 연기하며 아들들을을 시켜 이이아손의의 새 부인인에게 치명적<br />

인인 선물을을 보내내고 , 공공주로 하여금 아버지인인 왕에게 메데이이아와 그 아들들을을 코린트에<br />

머물 수 있있도록 간청청하게 하면서 불행은은 진행된다.<br />

사라진 고대의의 메데이이아 -소재의의 개작들 중에서는 오비드가 변신이이야기 Metamorphosen<br />

20)와 신화의의 여주인인공공들이이 쓴 허구적 편지 여주인인공공들 Heroiden에서<br />

이이 소재를<br />

다루고 있있고 , 또 당대에 유명했던 드라마도 썼다고 하지만 전하지 않고 , 그 흔적이이<br />

세네카카의의 메데이이아 Medea 에<br />

남아있있다 . 세네카카는 무무엇보다 메데이이아의의 마법에 대하<br />

여 장장황하게 묘묘사한다 . 세네카카의의 작품은은 에우리피데스를 전제로 하고 , 이이야기는 이이아<br />

손의의 새 결결혼 이이전에 시작되며 , 메데이이아는 아직도 그가 돌아오기를 기대하고 있있다 .<br />

이이아손은은 양자택일일의의 기로에 서 있있다 . 왜냐냐하면 그는 자식들과 죽거나 아니면 메데이이<br />

아를 떠나야 하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기 때문문이이었다 . 메데이이아의의 탈출출구<br />

역할을을 하는 아테네의의 왕 아에게우스 - 장장면은은 빠졌다 . 결결정적으으로 변한 것은은 아이이들이이<br />

이이아손과 함께 남아야 한다는 것이이고 , 그러면 메데이이아는 남편과 함께 아이이들도 함께<br />

잃게 된다는 것인인데 , 마법을을 다루는 여성에 대한 혐오를 묘묘사해야했기 때문문에 세네카카<br />

는 이이 점을을 아직 충충분히 활용하지 못못했다 . 그러나 절망에 빠진 모성이이라는 측면에서<br />

소재를 확장장하기 위위하여 그녀는 중요했다 . 세네카카의의 메데이이아는 자신의의 집에서 이이아<br />

손이이 보는 앞에서 살인인을을 행한다 . 세네카카는 이이 소재를 근대로 전한 사람이이었다 .<br />

14세기에는 이이탈리아의의 지오바니 보카카치오 Giovanni Boccaccio가 유명한 여자들 <br />

의의 전기를 쓰면서 “ 콜키스의의 여왕 , 메디아 ” 21)에 관관한 이이야기를 포함시킨다 . 보카카치오<br />

는 여기서 지식과 마법의의 능력을을 갖추어 막강한 힘을을 가졌으으나 이이아손의의 잘잘생긴 외<br />

모를 보고 사랑에 빠져 가족의의 불행을을 초초래하고 자신의의 명예도 더럽힌 메데아를 교교<br />

훈으으로 삼아 독자들에게 눈을을 조심하라고 경고하고 있있다.<br />

에우리피데스의의 특징들은은 근대에 와서 프랑스의의 피에르 코르네이이유 Pierre<br />

Corneille의의 작품 메데이이아 Médée (1635)<br />

의의 시작부분에 남아있있다 . 거기에서는 간결결<br />

했던 줄거리가 많은은 가지를 치며 해체체되었고 모티프가 많아졌다 . 즉 이이아손의의 변심의의<br />

20) 제 7 부 “ 영웅웅의의 시대 ” 에서 서술하고 있있음음 .<br />

21) 참조 : 보카카치오 , 지오바니 : 유명한 여자들 . ( 버지니아 브라운운 영역 . 임옥희 옮김 .) 서울울 : 나무무와 숲 ,<br />

2004. 116-120 면 .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81<br />

동기가 안전이이나 권권력을을 추구한 데 있있는 것이이 아니라 크레우사에 대한 사랑에 있있는<br />

것이이다 . 크레우사는 허영심이이 많고 소유욕이이 강한 미녀로서 그녀 자신이이 메데이이아의의<br />

옷을을 소유하기를 원원한다 . 크레온과 크레우사의의 죽음음으으로 인인해 분노노하게 된 이이아손은은<br />

메데이이아와 아이이들을을 죽이이려고 한다 . 그러나 너너무무 늦게 도착하여 자신을을 찌르고 만<br />

다 . 이이로써 자식살해 - 모티프는 의의미를 잃게 된다 . 아에게우스가 크레우사를 사랑하여<br />

그녀를 납치하려고 하지만 오히려 체체포된다는 곁곁가지 이이야기는 결결국 그가 메데이이아<br />

와 동맹을을 맺고 그녀를 보호해주겠다는 약속으으로 끝난다.<br />

독일일에는 18 세기에 비로소 이이 소재가 도달한다 .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은은 배신한<br />

남성에 대한 복수를 그린 시민 비극 미스 사라 샘슨 Miß Sara Sampson (1755)<br />

에서<br />

이이 내내용을을 영웅웅적인인 이이야기로부터 기독교교적 - 시민적인인 이이야기로 바꾸었다 . 슈투름 운운<br />

트 드랑 시대의의 프리드리히 막스밀리안 클링어 Friedrich Maxmilian Klinger는 코린<br />

트의의 메데이이아 Medea in Korinth (1787)<br />

에서 권권력을을 가진 여성을을 창조해냈냈다 . 오직<br />

이이아손과 자식들에 대한 사랑 때문문에 지상과 인인간과 연결결된 메데이이아가 이이아손의의 배<br />

신으으로 인인하여 자신의의 야만적이이고 마법적인인 방법과 유혈의의 행위위로 돌아가는 동안 , 이이<br />

아손은은 아이이들도 좋아하는 부드러운운 성격의의 크레우사를 통해 다시 인인간적으으로 연결결<br />

되리라고 믿는다 . 이이아손은은 아이이들의의 시체체를 보고 죽는다 . 또한 클링어의의 코카카서스<br />

의의 메데이이아 Medea auf dem Kaukasos (1791)<br />

에서는 메데이이아의의 속죄와 구원원이이 묘묘사<br />

된다 . 미개인인의의 나라에 들어가게 된 메데이이아는 이이들을을 교교화하려고 시도하지만 실패<br />

한다 . 율율리우스 그라프 폰 조덴 Julius Graf von Soden 은은 그의의 드라마 (1814) 에서 다시<br />

에우리피데스의의 작품을을 토대로 삼지만 인인물들의의 성격을을 감상적으으로 묘묘사한다 . 즉 메<br />

데이이아나 불쌍한 인인상을을 주는 이이아손 두 사람 다 주저하며 결결심하는 모습을을 보여준다.<br />

오스트리아의의 고전주의의 극작가 프란츠 그릴파르처 Franz Grillparzer는 삼부작 황<br />

금 양털 Das goldene Vlies (1821)<br />

에서 메데이이아 -소재를<br />

아르고 호 전설에 엮어 넣었<br />

으으나 , 3부의의 메데이이아 Medea가<br />

소재상으으로나 예술적으으로나 비중이이 큰 역할을을 하고<br />

있있다 . 그릴파르처는 메데이이아와 크레우사 두 인인물에서 야만국 콜키스의의 여성과 문문명<br />

국 그리스 여성을을 대비시키고 있있다 . 메데이이아는 마법을을 포기하고 다시 남편을을 차지하<br />

기를 원원한다 . 그러나 추방령이이 내내려지고 이이아손이이 배신하므로 그녀 내내면의의 어두운운 야<br />

성의의 본능이이 다시 살아난다 . 불행을을 초초래하는 황금양털의의 지배를 받는 그녀의의 운운명은은<br />

혈연과 출출생에 의의해 정해진다 .<br />

흔히 이이아손의의 자살로 결결말을을 맺는 프랑스의의 작품에서


8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와는 다르게 그릴파르처 작품에서는 에우리피데스에서처럼 이이아손이이 고통스러운운 삶<br />

을을 계계속하도록 저주받는다.<br />

20세기에<br />

와서도 고대 소재를 부활시키고 새롭게 해석하는 시도는 에우리피데스<br />

의의 메데이이아 와<br />

같은은 인인정받은은 비극으으로부터 출출발하여 계계속 이이어졌다 . 특기할 만한<br />

것은은 극작가들이이 기본줄거리에는 큰 변화를 주지 않고 등장장인인물의의 성격이이나 정신을을<br />

바꾸었고 신화적 특징을을 배제하였다 . 한스 헤니 얀 Hans Henny Jahnn은은 1920년년<br />

비극<br />

메데이이아 Medea 에서<br />

전통적 구조를 과격하게 변경한다 . 즉 메데이이아의의 마법에 의의<br />

해 영원원한 젊음음을을 얻은은 이이아손은은 늙어버린 아내내인인 “ 흑인인여성 ” 메데이이아를 배신하고 ,<br />

장장남과 혼인인하게 될 처녀 크레온의의 딸에게 구혼하여 결결혼한다 . 메데이이아는 자식들을을<br />

죽이이지만 의의도적인인 것은은 아니고 , 약혼자를 아버지에게 빼앗기고 실망한 큰 아들이이 반<br />

은은 혈기 때문문에 반은은 살해 충충동에 휩싸여 동생에게 덮칠칠 때 그들을을 찌르게 된다.<br />

프랑스의의 장장 아누이이는 1946년년<br />

메데이이아의의 운운명을을 집시들의의 수레를 가지고 상징적<br />

으으로 묘묘사한다 . 메데이이아는 그들이이 타고 온 수레에서 아이이들과 함께 분신자살한다 .<br />

아누이이는 자식 살해라는 문문제보다는 메데이이아와 이이아손의의 관관계계를 심리적으으로 묘묘사하<br />

는데 비중을을 둔다 . 이이아손은은 그들의의 관관계계를 잊잊고 싶어 하고 메데이이아는 이이 둘의의 관관계계<br />

가 죽음음으으로만 풀릴 수 있있다고 생각한다 . 독일일의의 마티아스 브라운운 Mattias Braun은은 <br />

에우리피데스의의 메데이이아 Die Medea des Euripides (1958)<br />

에서 이이아손을을 비극적 인인물<br />

로 그린다 . 그는 새로운운 터전을을 잡잡으으려고 하며 혼란의의 원원칙을을 대변하는 메데이이아에게<br />

등을을 돌린다 . 여기서는 메데이이아가 자살로 생을을 마감한다 .<br />

프리드리히 뒤렌마트 Friedrich Dürrenmatt는 노노부인인의의<br />

방문문 Der Besuch der alten<br />

Dame (1956)<br />

에서 메데이이아 -소재로부터<br />

배신한 애인인에게 복수하는 여인인의의 모티프를<br />

취취하고 있있다 . 3 막에서 교교장장은은 “ 절대적인인 정의의 ” 를 요구하는 차하나시안 부인인이이 “ 고대<br />

의의 여주인인공공 메데이이아” 22)처럼 여겨진다고 말하며 노노부인인에게서 메데이이아 상을을 연상<br />

시키게 한다.<br />

분단 시대의의 동독 극작가였던 하이이너너 뮐뮐러 Heiner Müller는 1982에 발표한 황폐<br />

한 물가 메데이이아자료 아르고호 선원원들이이 있있는 풍경 Verkommenes Ufer Medeamaterial<br />

22) 참조: Dürrenmatt, Friedrich: Der Besuch der alten Dame. In: Dürrenmatt: Komödien I. Zürich<br />

1974. 314 면 : “Der Lehrer: [ …]<br />

Sie verlangen absolute Gerechtigkeit. Wie eine Heldin der Antike<br />

kommen Sie mir vor, wie eine Medea.”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83<br />

Landschaft mit Argonauten에서 메데이이아 -신화의의<br />

인인물들을을 이이용하여 오늘날의의 공공포<br />

를 불러내내려고 시도한다 . 동 - 베를린과 부코 사이이 “ 슈트라우스베르크 부근의의 호수 황<br />

폐한 물가” 23)가 무무대가 되고 여기서 메데이이아와 이이아손은은 각기 그들의의 긴 독백을을 통<br />

해 민족들의의 살상과 정치 테러 , 문문명의의 폐해 , 핵전쟁 , 환경의의 재앙 등에 관관해서 이이야<br />

기 한다 24).<br />

역시 구동독의의 작가였던 크리스타 볼프 Christa Wolf 는 소설 메데아<br />

목소리들<br />

Medea Stimmen (1996)<br />

에서 “ 그리스 신화 최최고의의 악녀를 신화 밖으으로 ” 끌어내내어 “ 오<br />

해의의 어둠으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여인인” 25)을을 그려낸낸다 . 볼프는 에우리피데스의의 원원<br />

작과 그 이이전의의 설화를 토대로 하여 여섯 명의의 등장장인인물들의의 진술을을 통하여 각기 다<br />

른 시각에서 메데이이아가 권권력다툼의의 희생자가 되는 과정을을 보여주고 있있고 , 남성세계계<br />

의의 불의의와 폭력 속에서 메데이이아를 비롯한 다른 여성들이이 보여주는 인인내내와 사랑 , 정<br />

의의가 매우 값지고 아름다운운 빛을을 발하고 있있다 . 남성중심의의 역사가 과학만능과 극도의의<br />

경쟁주의의 , 전쟁과 수단 방법을을 가리지 않는 출출세주의의를 가져왔다면 이이제는 왜곡된 여<br />

성성을을 복원원하여 그것으으로 세상을을 복원원해야한다는 것이이다 26) . 볼프는 그리스 신화의의<br />

사건들을을 재해석 하고 그들의의 상이이한 시각에서 사건을을 새로 이이야기하면서 , 사랑의의 도<br />

피를 위위해 남동생을을 살해하고 변심한 남편에게 복수하기 위위하여 자식을을 살해하는 악<br />

처로 각인인된 신화 속의의 메데이이아 이이미지를 자신의의 의의지가 강한 여성으으로 묘묘사한다.<br />

볼프가 이이 소재의의 변형을을 통하여 메데이이아 -신화의의<br />

형성 자체체에 대하여 의의문문을을 제기<br />

하고 있있음음이이 명백히 나타난다.<br />

여성 극작가 데아 로어 Dea Loher 도 20세기의의 마지막 해에 이이 오래된 메데이이아 -<br />

소재를 드라마 맨하탄 메데아 Manhattan Medea (1999)<br />

에서 작품의의 무무대를 현대의의<br />

뉴욕으으로 옮겨 새롭게 이이야기한다 . 뉴욕에서 메데이이아와 이이아손은은 불법 이이민자로서<br />

차이이나타운운의의 허름한 모텔에서 살고 있있다 . 이이곳곳에서 이이아손은은 부유한 사업가의의 딸을을<br />

알게 되고 , 그는 그녀와 결결혼하기 위위하여 아내내를 버리고 딸까지 빼앗으으려 한다 . 결결혼<br />

23) 하이이너너 뮐뮐러 : 황폐한 물가 메데아자료 아르고호 사람들이이 있있는 풍경 . 정민영 옮김 . 실린곳곳 : 하이이<br />

너너 뮐뮐러 문문학 선집 . 햄릿기계계 외 . 이이창복 / 정민영 옮김 . 서울울 : 한마당 1998. 255 면 .<br />

24) 참조: Reclams Schauspielführer, S. 903.<br />

25) 크리스타 볼프 : 메데아 . 김인인순 옮김 . 서울울 : 청청양 1997. 14 면 .<br />

26) 참조 : <strong>김미란</strong> / 박광광자 / 최최석희 / 홍명순 : 독일일어권권의의 여성작가 . 충충남대출출판부 2000. 180 면 .


8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식 전날 저녁 메데이이아는 신부의의 집 앞에서 기다리며 남편의의 마음음을을 되돌려 보려고<br />

다시 한 번 애쓰지만 거절당하자 , 독이이 묻은은 붉은은 가죽 옷을을 신부에게 선물로 전해주<br />

고 어린 딸을을 불러내내어 비닐봉투를 씌운운다 . 마지막 장장면에서는 집안으으로부터 “ 사람<br />

크기의의 횃불 eine Fackel, menschgroß” 27)이이 타오르는 것이이 보이이며 신부가 불타고 있있<br />

는 것을을 암시한다.<br />

3.<br />

맺는말<br />

이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이 그리스 신화에서 시작된 문문학 소재는 오랜 세월월을을 지<br />

나오면서 끊임없이이 유럽 문문학사에서 수많은은 작가들의의 관관심을을 모으으고 변용되어 왔다.<br />

그 중에서도 문문학작품에 특히 자주 등장장하는 여성들 중 세 사람의의 인인물에 관관한 소재<br />

를 집중적으으로 고찰하여 본 그 결결과 고대 그리스 비극의의 세 여성 , 즉 안티고네와 이이<br />

피게네이이아 그리고 메데이이아가 시대가 사회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큰 비<br />

중을을 차지하고 전해 내내려오고 있있음음을을 알 수 있있었다 . 처음음에 콜로노노스의의 오이이디푸스 <br />

에서 아버지를 위위한 효녀상을을 보여주었던 안티고네는 나중에 형제를 위위하여 국가권권<br />

력과 독재에 항거하는 인인물의의 상징으으로 전해져 왔고 , 또 이이피게네이이아 역시 처음음에<br />

아울울리스에서 아버지와 조국을을 위위해 희생을을 감수한 효녀요 , 또 타우리스에서는 남동<br />

생을을 치유하고 탈출출시키기 위위해 희생을을 무무릅쓴 누이이 상을을 보여주었다 . 세 번 째 이이피<br />

게네이이아 -소재는<br />

델피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가 자매와의의 갈등에서 결결국 여동생울울 위위해 자<br />

신을을 희생하는 것을을 보여준다 . 안티고네와 이이피게네이이아 -소재는<br />

여러 시대의의 정치적<br />

사회적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로 상이이하게 변형해 왔음음을을 알 수 있있다 . 특히 이이피게네<br />

이이아에 관관한 세 가지 소재 중에서 이이피게네이이아의의 귀향을을 다루는 세 번째 “ 델피의의<br />

이이피게네이이아 ” 를 현대의의 작가들은은 전환기 체체험 또는 이이방인인 체체험을을 주제화하기 위위하<br />

여 더욱 관관심을을 갖고 수용하였음음을을 알 수 있있다 . 안티고네와 이이피게네이이아가 공공통적으으<br />

로 가족 중의의 남성 구성원원 ( 아버지와 오빠 ) 을을 위위해 자신을을 희생하며 사건을을 해결결하는<br />

여성상으으로 긍정적으으로 형상화 되는 반면에 , 사랑을을 위위해 가족과 조국을을 등지고 떠난<br />

27) Loher, Dea: Manhatten Medea/ Blaubart - Hoffnung der Frauen. Frankfurt am Main 1999. 61 면 .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85<br />

메데이이아는 사랑을을 위위해 , 남편의의 야망을을 위위해 여러 가지를 달성하였음음에도 불구하고<br />

종국에는 남편에게 버림받고 복수하는 악녀의의 상징이이 되고 부정적 인인물로서 현대 문문<br />

학 속에 아직도 나타나고 있있다 . 그러나 2500년년<br />

이이상 남성작가들의의 시각에서 형성된<br />

신화 속 여성들의의 상은은 , 오늘날 여성작가들에 의의해 다시 조명되기 시작한다 . 특히 메<br />

데이이아와 같은은 부정적인인 여성상은은 20세기<br />

말에 와서 크리스타 볼프나 데아 로어 등<br />

여성작가들의의 시선으으로 또 여성들의의 언어로 다시 씌어지고 있있다 . 그들의의 작품에서는<br />

이이제까지의의 신화와 문문학 속의의 여성들이이 현대로 나와서 스스로 자신의의 입장장을을 변명하<br />

고 주장장하려고 한다 . 이이를 통하여 이이제까지 수 천 년년 동안 남성들의의 시각에서 형성되<br />

어 왔고 각인인되었던 여성에 관관한 선입견견을을 다시금 성찰할 수 있있는 계계기가 시작되었<br />

다고 볼 수 있있다.<br />

참고 문헌<br />

1차<br />

문헌<br />

괴괴테 , 요한 볼프강 폰 : 타우리스의의 이이피게니에 . 김주연 옮김 . In: 요한 볼프강 폰 괴괴<br />

테 : 이이피게니에 / 스텔라 . 박찬기 외 옮김 . 민음음사 1999.<br />

그릴파르처 , 프란츠 : 메데이이아 . 윤윤시향 옮김 . 지만지 2009.<br />

보카카치오 , 지오바니 : 유명한 여자들 . ( 버지니아 브라운운 영역 . 임옥희 옮김 .) 서울울 : 나<br />

무무와 숲, 2004.<br />

볼프 , 크리스타 : 메데아 . 김인인순 옮김 . 청청양 1997.<br />

소포클레스 : 안티고네 . 조우현 옮김 . 실린곳곳 : 희랍비극 I, 현암사 1995. 313-360 면 .<br />

아이이스킬로스 : < 오레스테이이아 > 3 부작 ( 아가멤논논 , 제주를 바치는 여인인들 , 자비로운운<br />

여신들 ) 오화섭 / 이이근삼 옮김 . 희랍비극 I, 현암사 1995. 65-184 면 .<br />

에우리피데스 : 아울울리스의의 이이피게네이이아 ( 김정옥 옮김 )/ 타우리케의의 이이페게네이이아<br />

( 곽복록 옮김 ) 희랍비극 II, 현암사 1995. 219-328 면 .<br />

에우리피데스 : 메디아 ( 여석기 옮김 ), 희랍비극 II, 31-78 면 .<br />

Braun, Volker: Iphigenie in Freiheit. Frankfurt am Main 1992.


8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Brecht, Bertolt: Die Antigone des Sophokles. In: B. B.: Gesammelte Werke 6. Frankfurt<br />

a. M. 1967. 2273-2329.<br />

Langner, Ilse: Iphigenie kehrt heim. In: I. L.: Dramen II. Hrsg. von Eberhard Günter.<br />

Würzburg 1990. S. 175-260.<br />

Loher, Dea: Manhatten Medea/ Blaubart - Hoffnung der Frauen. Frankfurt am Main<br />

2차<br />

문헌<br />

1999.<br />

곽복록 : 그리스 비극의의 변모 - 그 소재 / 주제를 중심으으로 한 . 실린곳곳 : 희랍비극 I. 현<br />

암사 1998. 499-516 면 .<br />

<strong>김미란</strong> / 박광광자 / 최최석희 / 홍명순 : 독일일어권권 여성작가 . 충충남대출출판부 2000.<br />

변용의의 시학 . 독일일문문학의의 소재와 모티브 : 이이창복교교수 화갑기념념논논문문집 간행위위원원회<br />

편 . 서울울 : 사랑의의 학교교 . 1997.<br />

심재민 : 소포클레스의의 안티고네 Antigone와 브레히트의의 안티고네 모델 1948년년<br />

Antigonomodell 1948 연구 - 전통비극의의 공공연 방식과 브레히트의의 개작 방식 .<br />

실린 곳곳 :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제 11 집 , 2003. 38-63 면 .<br />

임우영 : 새로운운 신화의의 창조 - 에우리피데스 , 라신느 , 괴괴테 그리고 하우프트만의의<br />

< 이이피게니에 > 드라마에 나타난 그리스의의 ‘ 이이피게니에 신화 ’ 수용 . 실린 곳곳 :<br />

< 변용의의 시학 >, 1997. 39-49 면 .<br />

장장은은수 : 소설과 영화로 보는 메데아 신화 . 실린 곳곳 : < 변용의의 시학 >, 1997. 420-434 면 .<br />

장장혜순 / 장장미영 : 메데아의의 현대적 변용 : 크리스타 볼프의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 젠더 ,<br />

이이미지 . 실린 곳곳 :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제 10 집 , 2002. 217-241 면 .<br />

장장영란 : 신화 속의의 여성 , 여성 속의의 신화 . 서울울 : 문문예출출판사 2001.<br />

한정숙 : 여성은은 이이렇게 말했다 . 서양고전과 역사 속의의 여성주체체들 . 서울울 : 길 2008.<br />

Eigler, Friederike and Kord, Susanne(Edt.): The Feminist Encyclopedia of German<br />

Literature. Westport, Connecticut; London 1997.<br />

Frenzel, Elisabeth: Stoffe der Weltliteratur. Stuttgart 1976.<br />

Gottschalk, Herbert: Lexikon der Mythologie. München 1985.<br />

Hermann, Christine: Iphigenie: Metamorphosen eines Mythos im 20. Jahrhundert.


München 2005.<br />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87<br />

Keller, Hiltgart L.: Reclams Lexikon der Heiligen und der biblischen Gestalten. Legende<br />

und Darstellung in der bildenden Kunst. Stuttgart 1975.<br />

Kienzle, Siegfried: Schauspielführer der Gegenwart. 6. Aufl. Stuttgart 1999.<br />

Sichtermann, Barbara: Frauen. Die berühmtesten Frauengestalten. Hildesheim 2001.<br />

Reclams Schauspielführer: Hrsg. v. Siegfried Kienzle und Otto C. A. zur Nedden.<br />

Stuttgart 1996.<br />

Zusammenfassung<br />

Die Frauen in der Literatur: Antigone, Iphigenie, Medea<br />

Kim, Mi-Ran (Sookmyung Frauen-Uni)<br />

Die mythologischen Überlieferungen der drei Heldinnen der griechischen Tragödie -<br />

Antigone, Iphigenie und Medea - bildeten über 2000 Jahre hinweg beliebte Stoffe der<br />

europäischen Literatur.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einen Überblick zu geben, wie<br />

die drei berühmten Stoffe in der deutschen Literatur bearbeitet und transformiert<br />

worden sind.<br />

Nach E. Frenzel gewinnt das Auftauchen und Wieder-Versinken der Stoffe in den<br />

verschieden Epochen noch dadurch an Lebendigikeit und Chrakteristik, dass die Stoffe<br />

jedesmal in anderer Gestalt zutage treten. Sie sind immer Ergebnis und zugleich auch<br />

geistiger Beweggrund des politischen und sozialen Lebens ihrer Zeit. Der<br />

altgriechische Geist, musste im späten 18. Jahrhundert mit einem neuen Geist gefüllt<br />

werden, der eine auf einer anderen Wahrheit und Humanität beruhende Gottes- und


8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Menschenvorstellung verkündete. Die humanistische Weltsicht war wiederum im 20.<br />

Jahrhundert sehr verschieden.<br />

Antigone ist in den Dramen der Antike zuerst die treue und geduldige Tochter, die<br />

ihren Vater in die Verbannung begleitet (Ödipus auf Kolonos des Sophokles). Vorher<br />

zeigte Sophokles’ Antigone die Heldin als die treue Schwester, die für ihren Bruder<br />

göttliche und menschliche Pflicht erfüllen will und dadurch den Opfertod auf sich<br />

nimmt. Die Tragödie wurde durch die strenge Führung des Konfliktes, das humanitäre<br />

Bekenntnis und die Märtyrer-Haltung Antigones vorbildlich. Seitdem hat die antike<br />

Antigone-Tragödie viele Nachahmungen und Bearbeitungen der Neuzeit und auch der<br />

Gegenwart weit hinter sich gelassen (z.B. von Hasenclever, Brecht, Lützendorf und<br />

Hochhut).<br />

Der Iphigenie-Stoff wurde bis jetzt als Iphigenie in Aulis, Iphigenie bei den Tauern<br />

und Iphigenie in Delphi dreigeteilt behandelt.<br />

Euripides’ Drama Iphigenie in Aulis zeigt Iphigenie als die treue Tochter, die um<br />

des griechischen Sieges willen und auch für ihren Vater, zuerst zögernd aber dann aus<br />

eigenem Willen, das Opfer auf sich nimmt. Die Bearbeitung dieses Dramas von J.<br />

Racine wurde in Deutschland von Gottsched (1732) für die Bühne übersetzt, und der<br />

Stoff wurde später von G. Hauptmann (1944) und H. Schwarz (1948) neu bearbeitet.<br />

Goethe erreichte mit seinem Drama Iphigenie auf Tauris (1787) den Höhepunkt der<br />

neueren Entwicklung des Iphigenie-Stoffes. Goethe gestaltete sein Humanitätideal<br />

dadurch, dass er die Rolle der Iphigenie als der zur Lüge unfähigen, reinen Priester<br />

ausdeutet. Vor Goethe behandelten Ch. F. v. Derschau (1747) und J. E. Schlegel<br />

(1737) diesen Stoff. Im 20. Jahrhundert stellte der ehemalige ostdeutsche Dramtiker J.<br />

Berg die Iphigenie-Figur in seiner Tragödie Im Tauererland (1975-1978) dar.<br />

Der dritte Stoff um Iphigenie, Iphigenie in Delphi wurde von Goethe in Italien<br />

geplant (1786), aber nicht ausgeführt. Nach seinem Plan treffen sich drei Geschwister<br />

in Delphi. Eine falsche Nachricht über die Opferung Orestes durch die taurische<br />

Priesterin veranlaßt Elektra, Iphigenie töten zu wollen. G. Hauptmann zeigte in<br />

Iphigenie in Delphi(1941) eine von düsteren Götterbildern verschattene Zeit: Orest und


문학 속의 여성들 - 안티고네 , 이피게네이아 , 메데이아 89<br />

Elektra finden zwar Heilung und Rückkehr ins Leben, aber Iphigenie ist der<br />

Menschenwelt abgestorben. I. Langner (1948) und auch E. Vietta (1948) bearbeiteten<br />

diesen Stoff und übertrugen die Handlung in die Moderne. In Iphigenie in Freiheit<br />

(1992) überblendet V. Braun die Heimholung der Iphigenie durch Orest mit den<br />

bitteren Wende-Erfahrungen der Ostdeutschen.<br />

Hinsichtlich der Geschichte von Medea ist die von Euripides geprägte Form des<br />

Stoffes (431 v. Chr.) so maßgebend geblieben, dass in den über 2000 Jahren mehr als<br />

200 Bearbeitungen mit wenigen Zufügungen und Varianten entstanden. Nach der<br />

Geschichte verliebt sich die zauberkundige Medea in den Argonautenführer Jason und<br />

hilft ihm, das Goldene Vlies zu gewinnen. Auf der gemeinsamen Flucht ermordet sie<br />

ihren Bruder. In Korinth verstößt Jason Medea, um König Kreons Tochter zu heiraten.<br />

Medea schickt der Prinzessin ein vergiftetes Gewand als Hochzeitsgeschenk, und um<br />

sich an Jason zu rächen, tötet sie ihre beiden Knaben und entflieht auf einem<br />

Drachenwagen.<br />

Der Medea-Stoff wurde schon im Altertum mehrmals bearbeitet (Ovid, Seneca).<br />

Seneca war der Vermittler des Stoffes an die Neuzeit (Corneille). In Deutschland<br />

wurde der Stoff erst im 18. Jahrhundert fruchtbar (Lessing, Klinger). F. Grillparzer<br />

stellte in seinem Drama Medea die Barbarin Medea der Griechin Kreusa gegenüber.<br />

Auch im 20. Jahrhundert wurde der Stoff wiederholt bearbeitet und neuinterpretiert.<br />

Bezeichnenderweise haben die Dramatiker kaum die Handlung, eher Geist und<br />

Charakter der Personen geändert und das Mythologische stark beschnitten. H. H. Jahnn<br />

änderte das traditionelle Gefüge (1920): Jason, mit ewiger Jugend begabt, wendet sich<br />

von der gealterten “Negerin” ab. Bei Mathias Braun (Die Medea des Euripides, 1958)<br />

ist Jason eine tragische Persönlichkeit, die neuen Boden zu gewinnen sucht und sich<br />

von Medea als Vertreterin des chaotischen Prinzips abwendet. In Verkommenes Ufer<br />

Medeamaterial Landschaft mit Argonauten (1983) benutzt H. Müller die Figuren des<br />

antiken Medea-Mythos, um heutigen Schrecken zu beschwören. Ch. Wolf interpretiert<br />

im Roman Medea Stimmen(1996) den alten Medea-Stoff aus anderer Sicht neu. Die<br />

Medea der Mythologie, als Kindermörderin und Mörderin ihres Bruders in die


9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Literatur eingegangen, wird von Wolf als eine begabte, eigenwillige und starke Frau<br />

dargestellt. Und D. Loher zeigt im Drama Manhattan Medea(1999) Medea und Jason,<br />

die als illegale Einwanderer im heutigen New York wohnen. Von dem obigen<br />

Überblick könnte festgestellt werden, dass zahlreiche Autoren die Stoffe um die drei<br />

Heldinnen des Mythos aufnahmen und neu bearbeiteten, um ihre Krisensituationen,<br />

ihre Wende-Erfahrungen oder das Leben in einem fremden Land zu thematisieren.<br />

Keyword<br />

( 한글 / 독일일어 )<br />

안티고네<br />

Antigone<br />

필자<br />

E-Mail: kimmiran@sm.ac.kr ( <strong>김미란</strong> )<br />

이이피게네이이아<br />

Iphigenie<br />

메데이이아<br />

Medea<br />

투고일<br />

: 2009년 12월 30 일 / 심사일 : 2010년 1월 20 일 / 심사완료일 : 2010년 1월 31일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