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 ... - 한국지반공학회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 ... - 한국지반공학회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 ... - 한국지반공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통과중량백분율 (%)통과중량백분율 (%)100SG-1 (상사입도)90SG-2 (상사입도)80SG-3 (상사입도)SG-4 (상사입도)70SG-1 (원입도)60SG-2 (원입도)50SG-3 (원입도)SG-4 (원입도)4030201000.01 0.1 1 10 100 1000입자 크기 (mm)(a) 사력재100RF-1 (상사입도)90RF-2 (상사입도)80RF-3 (상사입도)70RF-1 (원입도)RF-2 (원입도)60RF-3 (원입도)504030201000.01 0.1 1 10 100 1000입자 크기 (mm)(b) 석산재그림 2. 시험 재료의 원입도 및 상사입도 분포건조단위중량 (kN/m 3 )23.021.019.017.015.013.011.0사력재SG-1 (상사입도)SG-2 (상사입도)SG-3 (상사입도)SG-4 (상사입도)0 2 4 6 8다짐에너지 (cm.kgf/cm 3 )그림 4. 다짐 시험 결과석산재RF-1 (상사입도)RF-2 (상사입도)RF-3 (상사입도)은 대형 자동 다짐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동일한 다짐 시험기는 공시체 제작에도 이용된다.대형 다짐장치의 램머 중량은 16kgf, 낙하고는 50cm 였으며,다짐회수와 다짐 층수는 재료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였다.다짐순서는먼저다짐몰드에재료를투입한후소정의 다짐층수와 다짐횟수를 변화시키면서,즉 다짐 에너지를 변화시켜 다짐을 수행한 후 밀도를 측정한다.본연구에서는 다짐에너지를 0~7.0 cm·kgf/cm3 로변화시켜가며 다짐시험을 실시하고,이로부터 다짐에너지와밀도의 관계를 구하였다.그리고 사력재와 석산재 각각의 다짐 결과를 평균하여 재료별 평균 다짐에너지와 단위중량의 평균 추세식을 구하였다( 그림 4).(a) 사력재 (B 댐) (b) 석산재 (B 댐)· 사력재 : 건조단위중량 (kN/m 3 )= × (1)· 석산재 : 건조단위중량 (kN/m 3 )= × (2)(c) 사력재 (H 댐) (d) 석산재 (H 댐)적용된원입도와상사입도분포는그림 2에도시하였으며, 사력재 및 석산재의 모습은 그림 3 과 같다.2.3 다짐 특성그림 3. 사력재 및 석산재 모습(B댐 및 H 댐)삼축시험을 시작하기 전에 각 재료의 다짐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대형 다짐시험을 실시하였다.다짐시험여기서, (cm·kgf/cm 3 ) 는 다짐에너지그림 4는 다짐에너지 변화에 따른 건조단위 중량을보여주고 있다. 그림 4로부터 평균 극한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사력재와 석산재 모두 약 20.60kN/m 3 로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약 3.0cm·kgf/cm 3 이하의낮은다짐 에너지에서는 사력재가 석산재보다 훨씬 큰 건조 단위 중량을 보이고 있다.이는 사력재가 석산재에 비해세립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의 낮은 다짐에너지에도 비교적 밀한 상태가 조성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석산재의 경우,초기 다짐 에너지로48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4권 제6호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