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 ... - 한국지반공학회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 ... - 한국지반공학회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 ... - 한국지반공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4.2축조직후의 거동해석에 사용된 유한요소망은 1795개의 절점과 1735개의 4절점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축조는 46단계에 걸쳐모사되었다.거동해석을 통하여 축조 직후에 댐축에서의 변위 및 응력 분포 등을 검토하였다.댐 완공 직후 댐체는 자중에 의하여 침하가 발생하고상・하류 사면을 따라 변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그림 . 7 은 축조 직후의 침하량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Case I의 경우에 강성이 작은 Rockfill zone(Zone 3C) 에서 Sand/Gravel Zone(Zone 4) 보다 상대적으로더큰변형이 유발되어 최대변위가 발생( 약 13cm) 하였고,발생위치는 댐체 중간 높이 보다 약간 위쪽에 발생하는 것으로나타났다.CaseII의경우에는댐체높이의중앙부에서 약 18cm 의 침하가 발생하였다.그림 8은 수평변위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서 최대변위는 대략 댐체의 중간 높이보다 약간 아래에서 발생하였다.수평변위의 형상은 댐축을 중심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대략 대칭적인 수평변위가 발생하였으며 CaseI의 경우에는 강성이 큰 Zone 4의 영향으로 상류쪽의변형이 Case II 보다작은반면, 하류쪽의변형은 CaseII 보다 크게 발생하였다.그림 9는 Case I과 Case II에 대한 댐축에서의 연직변위 및 수평변위를 비교한 것으로 Case II의 경우가 더큰 변위가 발생하였고 최대변위 발생위치도 서로 약간다름을알수있다.그림 10은 댐의 전단응력분포를 나타나며 Case I의경우에 더 큰 전단응력이 발생하였고 강성이 작은Rockfill 영역에서 강성이 큰 Sand/Gravel 영역으로 응력이 전이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그림11은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차이로 계산되는 최대전단응력( ) 을나타내는것으로 Case II의경우에 최대값이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해석결과 Case I, Case II 모두 항복영역은 상․하류의표면에 미미하게 발생하여 전체적인 댐체의 안정에는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4.3 담수시 거동담수의 영향은 표면차수벽에 작용하는 수압과 댐 기초에 작용하는 수압으로 고려할 수 있다.표면차수벽은완전 불투수성으로 가정되므로 담수에 의해 정수압을Y 좌표(m)210205200195190185180175그림그림170Case ICase II1650.00 0.05 0.10 0.15 0.20연직변위(m)(a) 연직변위그림(a) Case I(b) Case II7. 축조시 연직변위(m)(a) Case I(b) Case II8. 축조시 수평변위(m)170Case ICase II165-0.02 -0.01 0.00 0.01 0.02수평변위(m)받는 것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댐 기초의 강성이 댐체보다 월등히 커서 변위가 작으므로 기초에 작용하는 수압은 무시하였다.담수 시 수압에 의하여 댐체에 발생하는 변위의 방향은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때 변위가 주로 댐체의 상류측에서 크게 발생하는 것은Y 좌표(m)210205200195190185180175(b) 수평변위9. 축조시 댐축에서의 변위(m)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에 미치는 영향 5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