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1.2014 Views

유비쿼터스사회의 발전 추세와 미래 전망

유비쿼터스사회의 발전 추세와 미래 전망

유비쿼터스사회의 발전 추세와 미래 전망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유비쿼터스사회연구시리즈 제1호<br />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2005. 8. 4)<br />

< 목차 ><br />

Ⅰ.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도래<br />

Ⅱ. 국외 정책 추진동향<br />

Ⅲ. 유비쿼터스 IT와 사회변화 추세<br />

Ⅳ. 유비쿼터스사회 선도를 위한 제언<br />

IT 관련 해외 신간도서 10선<br />

디지털 문화 관련 신조어<br />

작성 : 한국전산원 u-전략팀<br />

류석상, 류영달, 이용석, 정명선, 정지선<br />

문의 : 류석상 팀장(02-2131-0147, rss@nca.or.kr)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Ⅰ.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도래<br />

□ 유비쿼터스 개념의 급부상<br />

o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정보혁명에 뒤이은 제 4의 혁명으로<br />

일컬을 만큼 우리사회를 변혁시키는 또 하나의 물결<br />

- 유비쿼터스는 라틴어의 'ubique'로 ‘언제 어디에서나 존재한다’라는 의미<br />

- 유비쿼터스 개념은 지난 1988년 미국 제록스사 팰로알토연구소의<br />

마크와이저(Mark Weiser)가 최초로 제창<br />

< Mark Weiser가 바라보는 유비쿼터스 환경 ><br />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br />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br />

- 초기에는 단순히 물리공간에 편재된 컴퓨팅과 네트워킹을 상상했으나,<br />

이후 디지털 컨버전스가 가속화되면서 모바일 컴퓨팅 개념이 추가<br />

o 최근에는 기업이미지, 광고 카피 등에서도 ‘유비쿼터스’ 용어를<br />

새로운 컨셉으로 활용하고 일상생활에서도 사용하기 시작<br />

- 유비-노마드족(Ubi-Nomad), 트랜슈머(Transumer) 등 새로운 사회계층이<br />

등장하면서 트렌드를 주도<br />

- 래미안 U플랜(삼성), uʃell아파트(우방), Ubiquitous Value Network(Sony) 등<br />

기업의 브랜드도 유비쿼터스 개념을 표방하기 시작<br />

- 유비쿼터스마케팅, u-CRM 등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경영<br />

기법도 등장하고 있는 추세<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새로운 <strong>미래</strong>상으로서의 유비쿼터스사회<br />

o 유무선 통합 인터넷, 모바일 컨버전스, RFID 등 유비쿼터스 IT와<br />

결합되어 유비쿼터스는 새로운 <strong>미래</strong> 정보사회라는 의미로 확대<br />

- 대량생산의 획일적 '하드와이어드' 사회가 개인의 다양성에 적절하게<br />

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사회로 전환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사카무라 켄)<br />

- 유비쿼터스사회는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이 융합되어 정보가전은 물론<br />

모든 사물이 지능화․정보화․네트워크화되는 단계<br />

o 현재는 초고속 인터넷 및 모바일 등 디지털컨버전스가 이루어지는<br />

단계로 유비쿼터스사회로 가는 전환기<br />

- 향후 10~20년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4G 등<br />

새로운 u-IT기술의 상용화 시기가 예상보다 조기 실현될 <strong>전망</strong><br />

< 유비쿼터스 IT기술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변화 ><br />

초고속인터넷 ▶ 모바일 / 디지털컨버전스 ▶ 유비쿼터스 IT<br />

ADSL, CDMA<br />

WiBro, DMB<br />

홈네트워크, IPTV,<br />

텔레매틱스<br />

지능형로봇, 4G,<br />

센서 등<br />

1995~2004 2005~2009 2010~<br />

- 우리나라는 u-사회 구현에 대한 인식도* 면에서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br />

1)<br />

조사되는 등 <strong>발전</strong>추세가 강할 것으로 예측<br />

※ 미국은 ‘마이너스효과가 커서 구축해서는 안된다’가 23.4%, 일본은 ‘신중히<br />

대응해야 한다’가 75.1%로 부정적인 응답이 대세(일본 정보통신백서 2005)<br />

* 한국전산원은 유비쿼터스 기술 및 서비스와 관련, 공공․기업․국민/생활부문을 대상으로 인식도<br />

및 수요 조사를 실시 중<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strong>미래</strong>학자가 바라본 유비쿼터스사회 ><br />

∙앨빈 토플러<br />

- 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의 중단없는 컴퓨팅 환경(’04.6)<br />

- 모든 기기가 지능을 갖추고, 당신을 위해 변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지게<br />

되는 <strong>미래</strong>의 컴퓨팅 환경(’04.10)<br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MIT대 교수 겸 미디어랩 소장)<br />

- 상식을 갖춘 컴퓨터가 도래하며, 통신은 통신인프라를 통하지 않고<br />

기기간 직접 송수신하는 쪽으로 <strong>발전</strong>(’05.5)<br />

∙티모시 맥(세계<strong>미래</strong>학회장)<br />

- 2015년쯤 초전도체가 상용화되어 갖가지 최첨단 기기가 등장, 속도가<br />

상상을 초월할 만큼 빠르면서도 캔 커피 하나 정도 무게에 불과한 슈퍼<br />

컴퓨터, 개별적인 뇌세포를 측정하는 안전한 뇌 정밀검사 기술 개발(’05.7)<br />

o 급격히 <strong>발전</strong>하는 새로운 유비쿼터스 기술은 특정영역에서 벗어나<br />

사회생활 전반에 급속히 파급되어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TV방송<br />

디지털화 완료<br />

지능형 로봇<br />

Ubi-Nomad<br />

4G, BcN 시대<br />

Netizen<br />

모바일뱅킹<br />

가입자 130만<br />

텔레매틱스,<br />

디지털홈1,000만가구<br />

인터넷, 핸드폰<br />

3,000만 가입자<br />

지상파, DMB,<br />

WiBro 상용화<br />

2005년 2006년 2007년<br />

2010년 2015년<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3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Ⅱ. 국외 정책 추진동향<br />

미국, 일본, EU는 유비쿼터스 기술 <strong>발전</strong>추세에 대응하여<br />

<strong>미래</strong> 정보기술 R&D 강화, u-네트워크 고도화 등에 주력<br />

o 미국은 지난 ’91년부터 “네트워킹․IT 연구계획”(NITRD)에 의거,<br />

인간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기술 등 기반기술 개발에 주력<br />

※ ’04년 이후부터 20억불 이상 투자를 확대하여 유비쿼터스 기술개발을 통해<br />

국제적인 리더십 유지․확대를 위해 동 계획을 추진중<br />

- 국립과학재단(NSF)는 2010년이후 100Mbps급 지상․위성 통신망을<br />

통합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목표로 연구개발 진행중<br />

- 차세대 PC, 텔레매틱스, 홈네트워크와 같은 유비쿼터스사회 핵심인프라를<br />

조기 구축하기 위해 정부․민간간 협력체제 및 연구개발을 가속화<br />

o 일본은 유비쿼터스 광대역통합망 구축 등 u-사회 건설방향을 제시<br />

하고 국가차원의 정책의지를 표명<br />

※ 총무성 산하 ‘u-Japan 정책간담회’(의장 : 무라카미 노무라연구소 이사장)에서<br />

‘u-Japan 최종보고서’ 발표(’04.12)<br />

- 정보가전(디지털TV․홈네트워크 등), 지능형 로봇, 차세대 이동통신 등<br />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 및 인프라 고도화에 주력<br />

< 유비쿼터스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목표(u-Japan) ><br />

∙2010년까지 국민의 100%가 초고속망을 이용하도록 광대역통합망 구축<br />

∙국민의 80%가 직접적 혜택을 입도록 물류․교통 등 사회시스템 개혁<br />

∙유비쿼터스사회 역기능 대응을 위해 네트워크 안정성․신뢰성 보장<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4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경제산업성 주도로 ‘21세기 로봇챌린지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br />

혼다, 소니, 도요다 등 업계에서도 로봇개발을 주력사업으로 집중 육성<br />

※ 혼다는 최초의 2족 보행 로봇인 P2를 개발(’96)한 이후 ASIMO를, 소니사는<br />

QRIO 지능형 로봇을 개발하는 등 점차 가정․의료용 로봇 개발 확산<br />

o EU는 ‘사라지는 컴퓨팅계획’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유형을 연구하는<br />

16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새로운 정보사회계획 ‘i2010’을 수립<br />

- 제6차 연구개발계획(FP6)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에 적용가능한 차세대<br />

이동통신, 홈네트워크 등을 연구중<br />

※ 영국 INTEGER, 네덜란드 Smart Home Foundation 프로젝트 등 회원국들도<br />

홈네트워크 시범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br />

< ‘사라지는 컴퓨팅계획’(Disappearing Computer Initiative) ><br />

∙IT를 사물과 환경속에 통합해 인간생활을 지원하고 개선할 목적으로 유럽<br />

<strong>미래</strong>기술계획(FET, 02~05년)의 자금지원하에 16개 프로젝트 추진<br />

※ Smart ITS(사물의 지능화), Paper++(종이의 정보저장기능), 2Wear(착용형<br />

컴퓨터 환경), Grocer(유비쿼터스 전자상거래) 등 16개 프로젝트<br />

∙Disappearing Computer II(03~06)에서는 자율 인식이 가능한 유비쿼터스<br />

컴퓨팅인 PALCOM(Palpable Computing) 프로젝트를 추가 추진중<br />

출처: www.disappearing-computer.net<br />

- 최근 ‘유럽 정보사회 2010(i2010)‘ 계획을 발표(‘05. 6), 통신방송 융합 등<br />

디지털기술 <strong>발전</strong>추세 대응과 DMB 등 첨단산업 육성에도 주력<br />

※ 2010년까지 GDP대비 R&D예산비중을 미국(2.6%), 일본(3%)수준까지 증액<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5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Ⅲ. 유비쿼터스 IT와 사회변화 추세<br />

1. 유비쿼터스 IT의 급속한 <strong>발전</strong><br />

□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가속화<br />

o 하나의 제품으로 복합적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br />

니즈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속속 등장<br />

- 디지털 컨버전스는 단순 기능 결합에서 서비스 융합으로 진화하며<br />

지속적인 멀티미디어화, 복합화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추구<br />

- 방송과 통신(인터넷) 등이 결합하는 서비스, 산업간 컨버전스가 진행<br />

되어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되기 시작<br />

※ D-TV(통신+방송), DMB 시청이 가능한 텔레매틱스(통신+방송+자동차산업)<br />

<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 ><br />

∙컨버전스는 이종 기기 및 통신․방송 서비스 등을 융합하여 새로운<br />

가치를 창출해 내는 것을 의미<br />

∙초기의 컨버전스 형태는 하나의 기기가 두 가지 역할을 하는 것(TV+VTR<br />

콤보)에서 시작하여 산업간 융합(통신+방송 등)으로 진화<br />

o 최근에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기기에 멀티미디어<br />

기능 융합이 급속히 전개되며 컨버전스가 트렌드로 정착<br />

- 휴대폰이 음성통화 위주에서 휴대성과 개인성이라는 특성에 고객의<br />

니즈가 수용되면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강화<br />

※ 카메라폰에 이어 MP3폰, 게임폰, DMB폰 등이 등장, MP3폰은 올해 국내<br />

휴대전화 시장에서 약 70%를 차지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 대용량 MP3 플레이어는 오디오 기능에 디지털카메라, 건강진단(맥박,<br />

칼로리), USB 메모리 등 부수적 기능을 첨가<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6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o 복합적 기능에 따라 서비스 영역의 확대,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br />

위한 산업간 융합 등 서비스 및 산업간 컨버전스가 확장 추세<br />

- 이동통신사는 휴대폰의 엔터테인먼트 기능 강화와 함께 음악․게임․<br />

방송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기 시작<br />

※ 이동통신사의 무선인터넷 매출이 2001년 이후 연 평균 30%이상 급성장<br />

※ 이동통신 3사가 음악(멜론, 도시락, 뮤직온)과 게임(GXG, 지팡) 포털서비스를<br />

제공하면서 음반시장, 게임시장에도 큰 영향을 줄 <strong>전망</strong><br />

- 자동차 업계는 DMB 단말기를 기본으로 장착하여 자동차의 고급화와<br />

마케팅 차별화로 경쟁력을 높이려는 계획<br />

※ 르노삼성, 현대기아자동차는 DMB 단말기를 탑재한 자동차를 출시할 계획<br />

이며, 재규어는 국내 판매용 전 차종에 위성DMB를 장착할 예정<br />

o 이동중에도 실시간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이동통신과 방송의<br />

융합형태인 DMB(테이크아웃 TV)는 컨버전스의 대표적 사례<br />

- 국내에서는 지난 5월 위성DMB 상용서비스를 시작으로, 2005년 하반기<br />

에는 지상파 DMB도 시범서비스 예정<br />

※ 위성DMB는 서비스 개시 3개월만에 1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였고, ’05년말까지<br />

30~40만명으로 확대될 <strong>전망</strong><br />

< 위성DMB와 지상파DMB 비교 ><br />

서비스<br />

위성DMB<br />

2005. 5월 본방송 시작<br />

지상파DMB<br />

․2005년말 수도권 본방송 시작<br />

․2006년 전국방송 실시 예정<br />

사업자 TU미디어 KBS, MBC, SBS, YTNDMB, 한국DMB<br />

- 미국, 유럽에서도 2006년도를 목표로 실시간 휴대이동방송(모바일TV)<br />

상용화를 적극 추진중<br />

※ 2010년 휴대폰 소유자의 5%인 1억2500만명이 모바일TV를 이용할 것으로 예측(인포마)<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7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휴대인터넷 등 모바일 초고속 인터넷서비스 시대 본격 전개<br />

o 2006년에는 세계 최초로 별도 주파수대역(2.3GHz)을 이용한 무선<br />

휴대인터넷인 와이브로(WiBro)가 국내에서 상용화될 <strong>전망</strong><br />

※ 국내 휴대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로 KT, SKT, 하나로텔레콤 등이 선정<br />

- WiBro는 기존 무선랜과 휴대폰기반 무선인터넷의 장점(이동성, 전송<br />

속도)을 절충한 유무선 통합개념의 초고속 휴대인터넷<br />

< 기존 무선인터넷 서비스와의 비교 ><br />

구분 무선랜 이동전화 WiBro<br />

전송속도 1Mbps 이상 약 100kbps 약 1Mbps<br />

이동성 보행 250km/h이상 60km/h 이상<br />

단말기 데스크탑, 노트북, PDA 휴대폰, 일부 PDA 노트북, PDA, 휴대폰<br />

요금제 정액제 종량제 종량제 + 정액제<br />

* IT 산업<strong>전망</strong> 컨퍼런스 2005 자료집<br />

- 2007년 이후에는 노트북․휴대폰 등 다양한 단말기에 WiBro 송수신<br />

기능이 단일 칩 형태로 내장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 2012년경이면 약 1,000만명이 가입할 것으로 예상되어 유선 인터넷시장을<br />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측<br />

※ WiBro 서비스 시장은 2006년 1,380억원에서 2010년에는 약 3조 3,838억원<br />

규모로 약 2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br />

< 국내 와이브로(WiBro) 추진 현황 ><br />

∙’05. 11월 APEC 정상회담에 앞서 부산 해운대 일원을 대상으로 국내<br />

최초로 휴대인터넷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계획<br />

∙시범사업을 계기로 휴대형 무선 초고속인터넷 기술을 세계 최초로 실현하게<br />

되며 사업자들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앞당길 <strong>전망</strong><br />

※ WiBro : Wireless + Broadband 합성어로 이동하는 초고속 인터넷<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8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o 2010년경에는 ‘꿈의 이동통신’으로 불리는 4세대(4G) 이동통신<br />

(광대역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이 전개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 음성전화 및 단문메시지(SMS) 서비스 위주의 2세대 이동통신 방식에서<br />

2.5G, 3G로 <strong>발전</strong>하며 무선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확대<br />

< 이동통신 기술 <strong>발전</strong> 방향 ><br />

<br />

<br />

<br />

<br />

<br />

이동<br />

전화<br />

기술<br />

AMPS<br />

WLL<br />

인터넷<br />

기술<br />

2G/2.5G<br />

GSM/<br />

cdmaOne<br />

무선<br />

가입자망<br />

2000년 2005년 2010년 이후<br />

3G<br />

• 디지털 방식 이동통신<br />

• 초고속인터넷 확대<br />

W-CDMA/<br />

cdma-2000<br />

3.5G<br />

HSDPA/<br />

EV-DV<br />

무선랜<br />

유선랜<br />

WiBro<br />

• 무선인터넷 상용화<br />

• 엔터테인먼트 서비스<br />

4G 또는<br />

유무선통합망<br />

모바일<br />

초고속인터넷<br />

서비스<br />

• 멀티미디어 서비스<br />

* ‘WiBro 및 HSDPA 기술 및 시장 동향’ 자료(ETRI, 2005.6) 재작성<br />

- 4G는 저속 이동 사용자에게 1Gbps, 고속 이동 사용자에게 100Mbps<br />

이상의 모바일 초고속 인터넷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br />

< 국내외 차세대 이동통신(4G) 실현 추진동향 ><br />

∙국내에서는 삼성, LG전자는 4G 이동통신 기술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선행기술<br />

및 지적재산권(IPR) 확보 노력<br />

∙EU는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TSI)’ 주도하에 4G 이동통신 규격을 포함한<br />

‘BRAN(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을 정립하는 중이며, 유럽 ACTS<br />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프로젝트 등을 통해 고속 이동중에<br />

34Mbps 정도의 전송율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중<br />

∙미국은 과학재단(NSF) 주도로 이동중인 차량에 100Mbps 급의 전송속도를<br />

제공하는 4세대 통신망을 2010년경까지 구축할 계획<br />

∙일본은 ‘멀티미디어 모바일 액세스 통신(MMAC)'를 구성하여 핵심기술 확보에<br />

나섰고 NTT에서는 ATM 무선 접속(AWA) 프로젝트 진행중<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9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유비쿼터스 핵심 인프라로 RFID 급부상<br />

o 초기 국방분야에 적용된 RFID가 의료, 유통 등 생활전반에 급속히<br />

응용되어 사물․공간에까지 지능화 가속<br />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IC칩이 내장된 태그에 저장된<br />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해 원격에서 읽을 수 있는 기술<br />

- RFID는 정보의 축적, 사물 및 제품 자동식별(Auto-identification), 위치<br />

확인 등이 가능하여 기존 바코드 대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br />

< RFID 활용분야와 <strong>발전</strong>방향 ><br />

• 업무 자동화<br />

• 장거리 다중 물품 인식<br />

• 고가 물품 관리<br />

• 물품 정보 인식 · 추적<br />

• 환경 감지 정보 관리·추적<br />

• 사물 위치 측정 · 추적<br />

• 생활용품 · 관리<br />

• 사물간 자율 통신<br />

* USN기본계획(2004)<br />

o 미국을 중심으로 RFID 도입이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국내에서도<br />

RFID 시범사업 등 도입이 본격화되는 추세<br />

- 주로 미국․유럽 등의 대형 업체를 중심으로 물류․유통부문에 RFID가<br />

도입됨으로서 유통혁명이 가시화<br />

< 해외 유통․물류분야 RFID 도입 사례 ><br />

P&G<br />

정확한 재고 파악 및 입출고 오류 방지를 위해 도입, 상하차<br />

오류율 0% 달성 및 운영인력 축소<br />

Federal Express 택배 배송품 추적에 활용, 입출고 시간 단축<br />

Exxon/Mobil<br />

'스피드패스‘라는 RFID 지불결제시스템을 구축, 차량 급유의<br />

결제시간 단축 및 매출액 3% 증가<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0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국내에서도 유통․물류분야에서부터 항공수하물, 가로수관리, 재고관리 등<br />

공공 및 민간부문에까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br />

< 국내 공공․민간부문 RFID 도입 사례 ><br />

제주국제공항<br />

강서구청<br />

경상북도청<br />

삼성테스코<br />

한국타이어<br />

국내선 수하물이 컨베이어벨트에 나올 때마다 승객의 항공기 좌석번호가<br />

자동으로 스크린에 표시<br />

RFID와 GIS를 이용하여 가로수 위치, 수종, 병력 등을 온라인 및 PDA로<br />

모바일 관리가 가능한 첨단 가로수관리시스템 시범사업 추진<br />

소비자가 선호하는 유기농, 무농약 농산물의 이력을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br />

수 있도록 RFID를 이용한 농산물이력관리시스템 구축<br />

삼성테스코 부천 상동점은 이씨오, 유한킴벌리, 동서식품, 한국팔렛트풀<br />

등과 함께 재고관리 및 상품추적 분야에 RFID 시범사업 실시<br />

반제품의 이동경로 및 재고추적 및 관리에 활용, 과거 80% 수준이던<br />

납기 준수율을 90%까지 향상<br />

o RFID는 점차 소형화, 지능화 하는데 비해 가격은 하락되어 환경,<br />

재해예방, 의료, 식품관리 등 실생활에서의 활용이 확대될 <strong>전망</strong><br />

- RFID 세계 시장규모는 2005년 본격적인 시장형성이 시작되어 2010년에는<br />

약 1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br />

※ 국내 시장규모는 전세계 RFID 시장의 약 5%를 점유하여 2010년에는<br />

약 5,00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br />

< 세계 RFID 시장 <strong>전망</strong>(단위 : US억$) ><br />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br />

RFID 태그 10 13.4 18.2 24.5 34.1 48<br />

RFID 리더 5.3 7 9.5 12.7 17.7 25<br />

S/W & 서비스 5.7 7.6 10.3 13.8 19.2 27<br />

합 계 21 28 38 51 71 100<br />

* IDC 2004, ‘전자산업동향예보제 세미나’ 자료 재인용, 2005. 6<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1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디지털 가전의 확대<br />

o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가전제품의 수요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이를<br />

디지털 가전제품이 대체하는 추세로 디지털라이프 실현이 본격화<br />

- 디지털 가전은 도입기를 지나 성숙기로 접어든 유망산업이며, 유비쿼터스<br />

사회 실현에 따라 산업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 세계 디지털가전 시장은 D-TV가 2007년까지 34.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br />

PMP(휴대용 멀티미디어플레이어)와 함께 가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br />

< 주요 디지털 가전기기의 세계시장 <strong>전망</strong>(단위: 백만달러) ><br />

구분 2003 2004 2005 2006 2007<br />

연평균<br />

증가율<br />

D-TV 18,000 27,000 36,500 47,600 58,300 34.2%<br />

PMP 48 122 247 599 911 108.7%<br />

MP3플레이어 2,126 2,145 2,204 2,060 1,893 -2.9%<br />

DSC(디지털카메라) 18,670 25,414 30,140 31,425 33,084 15.4%<br />

DVD플레이어 18,219 21,917 24,194 24,844 24,383 7.6%<br />

* IDC 자료에 근거하여 KETI에서 재작성, 산자부, 2005.6<br />

o D-TV, DVD플레이어, 인터넷 냉장고, 지능형 서비스 로봇 등 차세대<br />

가전은 <strong>미래</strong> 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br />

- 디지털 가전은 영상과 음성서비스에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방향으로<br />

<strong>발전</strong>하며 특히 D-TV, 지능형 서비스 로봇 성장이 주목<br />

- 국내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됨에 따라 디지털<br />

시대가 본격 개시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 국내는 2006년까지 전국 DTV방송망을 구축, 2010년 아날로그 TV방송 종료<br />

※ 美 하원에서는 D-TV로의 전환 시기를 2009년 1월로 확정 지은 법 초안 발표<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2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o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가사용과 엔터테인먼트 로봇을 중심으로<br />

시장규모의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br />

- 장기적으로 지능형 로봇은 IT․BT에 버금가는 거대시장 형성 <strong>전망</strong><br />

※ 2010년에는 세계 지능형 로봇 시장규모가 1,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br />

<strong>전망</strong>되며 특히, 가정용 로봇은 시장의 62%(620억달러)에 달할 <strong>전망</strong><br />

< 지능형 로봇 제품 현황 ><br />

∙가정용 로봇<br />

- 미국의 아이로봇은 진공청소로봇 ‘룸바’를 출시하여 2년간 100만대 이상 판매<br />

- 국내에서는 아이클레보(유진로보틱스), 오토로(한울로보틱스), 로보킹(LG),<br />

크루보(삼성) 등 청소로봇을 판매하고 있거나 판매 예정<br />

∙휴머노이드 로봇<br />

- 두발로 걷고 말도 하는 휴보(KAIST), 아시모(혼다), 큐리오(소니) 등 개발<br />

∙토이 로봇<br />

- 이지로보틱스(국내)는 무선인터넷망과 연결돼 지능을 부여받는 강아지형<br />

애완로봇 출시 예정(일본: 아이보(소니), 바로(옴론))<br />

- 2006년 하반기에는 가정에서 100만원대의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br />

으로 예측되며, 2020년경에는 ‘1가구 1로봇’시대 시작<br />

- 인간과 유사한 유연한 움직임과 스스로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기까지는<br />

향후 약 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br />

※ 2030년경 일부 분야에서 인간의 능력을 능가한 로봇이 출현할 것으로 예측<br />

< 국외 지능형 로봇 개발 현황 ><br />

∙미국은 인공지능․인터페이스 기술 등 컴퓨터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로봇의<br />

지능을 강화시키는데 주력<br />

- 산업계와 연방정부는 로봇 및 지능기계협력위원회(RIMMC)를 구성하여 3세대<br />

지능로봇 기술개발에 5년간 1억불의 기술 개발 자금 지원<br />

∙일본은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강점을 바탕으로 인간과 유사한 모습과 동작을<br />

구현하는 휴머노이드형 로봇 개발에 중점․개인용 로봇 시장 주도<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3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2.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새로운 디지털 문화양식의 확산<br />

□ ‘디지털 웰빙(Digital Well-being)’의 대두<br />

o 지난 2000년 이후 우리사회에 ‘웰빙(Well-being)’ 개념이 등장하면서<br />

선진국형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구가 증대<br />

- 웰빙은 행복, 삶의 만족, 질병이 없는 상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br />

점차 개인의 건강을 지향하는 생활패턴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br />

- 통크족(Two only no kids), 슬로비족(Slobbie), 로하스족(Lohas) 등<br />

물질보다는 자연친화적이고 심플한 삶을 추구하는 계층이 확산<br />

o 최근에는 웰빙 열풍과 결합하여 생활패턴 자체를 디지털화하는<br />

디지털 웰빙(Digital Well-being)개념으로 진화<br />

- 웰빙기능이 장착된 김치냉장고(하우젠), 당뇨폰과 같이 디지털과 결합된<br />

웰빙가전이 지속적으로 출시<br />

※ 최근 다이어트폰(체지방율 검사), 스트레스폰(맥박체크 센서) 등 디지털과<br />

웰빙이 결합된 신상품이 등장<br />

- 인포테인먼트 거실, 플로팅 디자인 TV(소니) 등 주거환경도 디지털과 결합<br />

< Digital Well-being의 개념 ><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4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으로의 변화 가속화<br />

o 주거개념이 단순한 거주와 휴식장소에서 지식창출이나 정보공유<br />

등을 모두 포괄하는 복합 디지털 주거환경으로 급속히 변화<br />

- 홈네트워크는 가정내 통신․가전기기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제어<br />

함으로서 홈오피스, 원격진료 등을 제공하는 지능형 융합서비스를 지칭<br />

- 초기 초고속인터넷이 연결되는 사이버아파트 개념에서 정보가전, 홈네트<br />

워크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가 연결되는 ‘디지털 홈’으로 확장<br />

< <strong>미래</strong>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의 변화 모습 ><br />

u-IT<br />

유비쿼터스 APT<br />

사이버 APT<br />

홈네트워크<br />

홈 Theather<br />

Shopping<br />

초고속<br />

인터넷서비스<br />

인터넷냉장고<br />

DTV<br />

Entertainment<br />

Office<br />

IT<br />

Learning<br />

Hospital<br />

o 최근에는 디지털벤치, 감성정원, 매직거울 등 <strong>미래</strong> 최첨단 정보기술을<br />

활용한 새로운 ‘유비쿼터스 아파트’ 개념을 표방하기 시작<br />

< 국내 유비쿼터스 아파트 추진현황 ><br />

래미안 U플랜(삼성)<br />

자이 U시티(GS)<br />

더샵퍼스트월드(포스코)<br />

기술(U-Tech), 성능(U-Quality), 디자인(U-Design), 서비스<br />

(U-Service)를 통합한 감성지능 유비쿼터스 아파트 지향<br />

입주자에게 홈 컨트롤(온도, 조명, 가스 등), 홈시큐리티 등<br />

<strong>미래</strong>형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br />

입주민의 건강유지를 위해 ‘U-헬스케어 서비스’ 도입<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5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o 웰빙열풍과 결합하여 선진국형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고, 디지털에<br />

대한 수용도가 확산되면서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상승<br />

<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행태 조사(SKTelecom, 2004) ><br />

▷ 일반소비자의 디지털홈 인지도는 56%, 호감도는 69%로 조사<br />

* 일반 소비자 조사<br />

3.6 3.7 3.7 3.7<br />

3.1<br />

3.2 3.2<br />

2.4<br />

3.5<br />

3.7<br />

3.5<br />

3.4<br />

3.7<br />

3.2 3.2 3.0<br />

3.3<br />

3.0<br />

2.9<br />

65% 65% 64% 62% 41% 43% 46% 24% 56% 63% 57% 46% 63% 39% 40% 38% 47% 37% 31%<br />

보안<br />

실내<br />

온도<br />

조절<br />

검침<br />

서비스<br />

가스<br />

누출<br />

차단<br />

방문객<br />

확인<br />

홈<br />

모니<br />

터링<br />

어린이<br />

애완<br />

돌보기<br />

동물<br />

돌보기<br />

건강<br />

체크<br />

원격<br />

건강<br />

상담<br />

가족<br />

찾기<br />

화상<br />

통화<br />

교통<br />

정보<br />

TV<br />

커머스<br />

TV<br />

뱅킹<br />

PC<br />

원격<br />

제어<br />

양방향<br />

TV<br />

(VOD)<br />

원격<br />

교육<br />

네트<br />

워크<br />

게임<br />

- 국내에서는 일부 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추진 및 정책방향 제시<br />

< 국내 디지털홈 추진동향 ><br />

∙수도권 등 5대 지역 1,300가구 대상 DTV서비스 등 시범사업 추진(NCA)<br />

∙2007년까지 1,000만 가구에 홈네트워크 보급을 목표로 정부정책 추진<br />

o 선진국에서도 이미 차세대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br />

유비쿼터스사회를 지향한 다양한 시범사업을 적극 추진중<br />

< <strong>미래</strong> 유비쿼터스아파트 구축 해외동향 ><br />

∙이탈리아(AEM 등 4개사)는 밀라노에 디지털홈 시범단지를 조성, 원격가전<br />

제어서비스․원격난방서비스․주문형TV서비스 등을 제공<br />

∙싱가포르(IDA)는 2002년부터 'Connected Homes' 사업을 추진, 디지털홈서비스<br />

실험 추진중<br />

∙영국(INTEGER)은 에너지관리․원격진료․엔터테인먼트․자동차연계 서비스 등이<br />

제공되는 시범서비스 실시<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6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새로운 문화풍속 등장<br />

o 디지털 컨버전스가 가속화됨에 따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디지털<br />

기기를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m세대, 펌킨족 등 신세대 부상<br />

- 말없는 세대인 ‘엄지족’이 확산되면서 이제 의사소통의 수단이 음성에서<br />

‘디지털 문자’로 전환<br />

※ KTF의 경우 문자메시지 발신량(20억8,616건)이 음성통화발신량(20억4,669건)을<br />

사상 처음으로 추월(’05.6)<br />

- 최근에는 휴대폰을 ‘제2의 자아’로 보거나, 벨소리 환청 등 ‘휴대폰중독<br />

증후군’ 현상까지 초래할 정도로 생활필수품으로 정착<br />

o 싸이월드(미니홈피)의 급격한 확산 등 사이버 커뮤니티도 개인 취향 및<br />

관심사를 중심으로 변화<br />

- 블로그(BLOG : web과 항해일지를 뜻하는 log의 합성어)가 점차 1인 미디어<br />

시장을 형성하게 될 정도로 오픈 커뮤니티가 확산<br />

※ 미국은 약 1,000만개 블로그가 이용되고, 매일 38,000여개 블로그가 개설<br />

※ 엠파스, 네이버 등 주요 포털의 블로그를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오픈<br />

- 향후 1인 미디어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에 부합하는 ‘로커티브<br />

미디어’ 등과 같은 신개념의 차세대 커뮤니티가 형성될 <strong>전망</strong><br />

< 로커티브 미디어(Locative Media) ><br />

∙미국, 유럽에서 미디어 아티스트․도시개발 기획자․사회학자들을 중심으로 시도되는<br />

일종의 포스트모던 놀이문화에서 시작된 유무선 연계 커뮤니티<br />

- YellowArrow 프로젝트 : 온라인과 SMS 퍼포먼스로 18개국에서 참가 가능<br />

- meetup: 미국 대선후보(하워드 딘) 지지 자원봉사자 모임(전세계 1,700여명)<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7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o 디지털 음악, 온라인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도 디지털 컨버전스와<br />

결합하여 이동 중에도 향유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진전<br />

- 최근 iTune은 5억곡 다운로드 신기록을 경신하였고, 향후 휴대폰과 연계<br />

하여 음악다운로드시장은 전통적인 음반시장을 추월할 것으로 예측<br />

※ 국내 음반시장은 ’03년 4,104억원에서 ’04년 1,338억원으로 급감<br />

< 국내 온라인 게임 인구 ><br />

- 온라인 게임은 물론 젊은 세대의<br />

대표적인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br />

스타크래프트 리그 등 e-sports가 각광<br />

※ ’05년 7월 해운대에서 개최된 ‘스카이<br />

프로리그 2005’에는 약 5만 관중이 운집<br />

* 한국e스포츠협회, 2005.7<br />

- 전통적인 도서도 점차 eBook 형태로 전환되는 추세로 국내 전자책<br />

시장규모도 ’04년 500억원에서 ’05년도에는 2.8배 증가할 것으로 <strong>전망</strong><br />

※ 소니 ‘리브리에’(전자책리더기)는 휴대가능한 일반 책크기로 약 20권~<br />

500권까지 저장 가능한 모바일 전자책을 출시<br />

o 최근에는 토론방, 리플(댓글) 문화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넷심(Net+ 心 )’이<br />

새로운 여론을 주도<br />

- 최근 댓글 자체가 온라인상에서 새로운 참여방식이나 커뮤니케이션의<br />

주요한 수단(댓글저널리즘, 포털저널리즘)으로 격상<br />

- ‘성지순례’, ‘개똥녀사건’ 등 마녀사냥식의 댓글 공격으로 인해 사이버<br />

인권침해, 사이버테러 등 부정적인 사이버 참여문화도 조성<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8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디지털 경제의 유비쿼터스화 진전<br />

o PC에 국한된 인터넷쇼핑몰 개념에서 탈피, PC․휴대폰․PDA․<br />

디지털TV 등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기기를 활용한 쇼핑 증가<br />

- 기존 TV기반의 일방향 쇼핑에서 향후 2010년경이면 DTV를 통해<br />

리모컨으로 상품검색․결제까지 가능한 양방향 홈쇼핑이 실현될 <strong>전망</strong><br />

※ GS 등 국내 5개 홈쇼핑업체는 ‘상품판매형 데이터 방송채널 사용사업자’로 선정(’05.3)<br />

구분 TV홈쇼핑 온라인쇼핑 “유비쿼터스 커머스”<br />

출범 1995년(39쇼핑) 1996년(인터파크)<br />

주매체 케이블 TV (초고속)인터넷<br />

인터넷, 모바일, DTV 등이<br />

연동된 u-커머스화<br />

거래액 34억(’95)→4.2조(’04) 3.3조(’01)→7.8조(’04)<br />

업체수 5개(’05) 3,768개(’05.5)<br />

* 유비쿼터스 커머스(ubiquitous commerce)는 e커머스, 휴대폰․PDA를 통한 m커머스 등<br />

다양한 지불 수단이 상호 연동되는 비즈니스모델<br />

< 미국․중국․한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 ><br />

단위 : 억명, 억달러<br />

미국은 인터넷인구와 전자상거래시장은<br />

2003년, 나머지는 2004년말 기준.<br />

중국은 2005년 6월말 기준. 한국은 2004년말 기준.<br />

1.61<br />

1.03<br />

0.31<br />

미국<br />

중국<br />

한국<br />

0.11<br />

1.67<br />

3.63<br />

0.36<br />

인터넷인구<br />

0.37 0.53 이동통신전화<br />

549<br />

25<br />

63<br />

0.36<br />

- 최근에는 오프라인 쇼핑몰에도<br />

유비쿼터스 개념을 도입하기<br />

시작하는 추세<br />

※ 성남의 ‘니즈몰’은 기존의 입지와<br />

매장규모 중심의 차별화 전략에서<br />

탈피, ‘유비쿼터스 쇼핑몰’을 표방<br />

초고속망가입자<br />

가입자<br />

전자상거래<br />

시장규모<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19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o 개인의 금융거래 유형도 은행창구인 대면거래보다는 인터넷․모바일 등<br />

비대면 거래형태로 급속하게 전환되는 추세<br />

- 최근 인터넷뱅킹 비중(30.5%)이 창구채널(30.6%)을 육박하는 등 이제<br />

개인의 주 거래 채널로 정착되는 대세(’05.6)<br />

< 금융서비스 업무처리 비중(’05.6) ><br />

30.6<br />

30.5<br />

단위 : %<br />

27.1<br />

11.8<br />

- 최근에는 휴대폰, PDA 등 이동<br />

통신기기를 이용하는 모바일뱅킹,<br />

전자화폐기능이 내장된 휴대폰<br />

출시 등 모바일 금융거래시대 도래<br />

※ IC칩 기반 모바일뱅킹서비스(’03.9<br />

도입) 이용자 : 189천명(’03년말)<br />

→1,286천명(’05.7)<br />

창구텔러 인터넷뱅킹<br />

* 한국은행, 2005. 7<br />

CD/ATM<br />

텔레뱅킹<br />

※ 일본 NTT도코모는 ‘오사이후게이타이’<br />

(지갑휴대폰)를 출시, 370만대 판매<br />

o 향후 10년 이후 금융거래 형태는 유비쿼터스화되어 언제, 어디서나,<br />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통해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br />

< 유비쿼터스 경제로의 변화 ><br />

모바일<br />

DTV·디지털 홈<br />

TV<br />

초고속인터넷<br />

전자화폐<br />

(지갑휴대폰)<br />

1995년 1996년 2005년 2015년<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0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3. <strong>미래</strong> 유력한 유비쿼터스 첨단서비스<br />

□ 지능형 텔레매틱스 서비스<br />

o 위치정보(GPS)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가 높은<br />

자동차 보급률(3.6명당 1대)을 기반으로 최근 각광을 받는 상황<br />

- 교통․위치정보, 음악다운로드 등 단순서비스에서 최근에는 DMB․3차원<br />

입체영상 네비게이션 등 첨단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하기 시작<br />

- 세계시장 규모는 유비쿼터스기술 확산에 따른 수요증가로 ’05년 180억불<br />

에서 ’07년 250억불, 국내시장은 3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br />

※ 국내 텔레매틱스 서비스 가입자 수는 29.5만명(’05.3)으로 ’03년말 대비 136% 증가<br />

o 국내외 모두 텔레매틱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 및 상용화에<br />

역점을 두고 추진중<br />

- 미국․일본․유럽은 텔레매틱스 산업기반 확충, 텔레매틱스용 소프트<br />

웨어 개발, 제도 정비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br />

※ 일본 경제산업성은 15억엔을 투자, 도요타 및 덴소 등 업체와 도로상황과<br />

날씨를 파악할 수 있는 S/W를 개발, ’07년까지 서비스 고도화할 계획<br />

-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중심으로 텔레매틱스 시범사업을 추진, 현재 렌터카에<br />

단말기를 부착하여 길안내․여행도우미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중<br />

< 해외 텔레매틱스 서비스 현황 ><br />

∙미국 GM 社 : 2007년까지 전차량에 OnStar(응급, 도난방지 등)를 기본사양으로 채택<br />

∙프랑스 르노 : 운전자의 심리상태를 사전에 파악, 사고예방하는 지능형 차량을 연구<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1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유비쿼터스 기반의 u-의료서비스<br />

o 휴대폰 등을 통해 상시적으로 환자의 건강 및 의료정보를 측정․<br />

점검하는 의료서비스의 모바일화가 진전<br />

- 최근 휴대폰(대전시), ‘라이프재킷’(모토롤라․소니) 등을 통해 원격으로<br />

혈압․체중․호흡 등 건강상태를 점검하는 모바일 원격의료서비스가 시범<br />

- 특히, 원격지에 있는 환자상태 점검 및 X선 검사결과 조회가 가능한<br />

로봇도 등장하는 등 원격의료 서비스가 확산되는 추세<br />

※ 영국 임페리얼대학은 Remote Presence(RP6)로봇을 개발, St Mary 병원과<br />

A&E(구급외래)에서 시험 도입<br />

o 향후 의료서비스는 다양한 IT는 물론 정보가전 등 모든 사물을 통해<br />

지능적으로 의료정보가 인식되는 환경으로 변화될 <strong>전망</strong><br />

- PDA, 태블릿 PC 등 휴대용기기를 통해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에<br />

제공되는 현장의료(Point of Care)체제로 진화될 것으로 예측<br />

※ 분당 서울대병원은 만성질환자의 혈당 등 의료정보를 휴대폰과 전자의무<br />

기록(EMR)간 연계를 통한 모바일 의료서비스를 시범 운영중<br />

- 침대․욕조․좌변기 등에 장착된 센서로 맥박․혈압 등이 자동적으로<br />

측정․관리되는 ‘Doctor calling service’개념의 서비스로 변화<br />

< 의료서비스의 유비쿼터스화 <strong>발전</strong> 추세 ><br />

Off-line 진료 ▶ Telemedicine ▶ m-Healthcare ▶ u-Healthcare<br />

병원방문<br />

원격지/오지대상<br />

보건소 등 방문<br />

병원방문없이<br />

휴대폰 활용<br />

지능형 수술로봇,<br />

자동인식 처방 등<br />

네트워크화이전 유선네트워크 이동통신(모바일) 유비쿼터스IT<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2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Ⅳ. 유비쿼터스사회 선도를 위한 제언<br />

□ <strong>미래</strong> 유비쿼터스사회 대비를 위한 사전연구 강화<br />

o 유비쿼터스 개념 재정립, IT신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확산 등을<br />

통해 <strong>미래</strong>사회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기반 마련<br />

o 유비쿼터스 IT 확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제도변화 및 저해요인에<br />

대한 사전연구를 강화하여 향후 <strong>미래</strong>사회 대비책을 조기 마련<br />

< 유비쿼터스사회 선도를 위한 도전과제 ><br />

1차 전성기 제2의 도약기 도 전 과 제<br />

세계1위 IT인프라<br />

인터넷 이용 최고<br />

현재<br />

시점<br />

WiBro/4G<br />

RFID 등<br />

<strong>미래</strong>사회 연구 강화<br />

수요기반 조기 창출<br />

초고속인터넷시대<br />

모바일<br />

유비쿼터스사회<br />

Blue Ocean경영전략 발굴<br />

정책․제도 적기 마련<br />

□ 유비쿼터스 서비스 수요기반 조기 창출<br />

o 디지털홈, 텔레매틱스 등 새로운 유비쿼터스 IT의 사회적 수용도에<br />

부합되게 사회적 수요기반 창출<br />

- IT신기술 <strong>발전</strong>속도와 서비스 현실화 수준간 괴리를 고려할 필요<br />

o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조기에 사회에 확산될 수 있도록 현행 제도상의<br />

걸림돌을 분석하여 사전적 정비<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3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 민간부문의 블루오션(Blue Ocean) 경영전략 발굴<br />

o 방송․통신 융합, 디지털 컨버전스, 이동통신 등 글로벌 경쟁력을<br />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즈모델 지속적 발굴<br />

- CDMA와 같이 우리가 보유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strong>미래</strong> 신기술의<br />

글로벌화를 선도할 수 있는 Blue Ocean 전략 개발<br />

o <strong>미래</strong>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유비쿼터스 IT 개발을 조기 추진하고<br />

이를 산업화로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선순환 구조 정립<br />

□ 정부 정책방향 제시 및 사회제도 적기 마련<br />

o 유비쿼터스 환경에 부합하는 선도적인 IT시범사업 추진 및 새로운<br />

경쟁룰 마련<br />

- 세계 최고수준의 IT인프라를 기반으로 RFID, 텔레매틱스 등 <strong>미래</strong> 기술의<br />

테스트베드(Testbed)로 활용하는 신규 시범사업 발굴 추진<br />

- 산업간 융합에 따른 기업 및 사회시스템에 따른 새로운 룰 및 가이드<br />

라인 제시<br />

o 유비쿼터스사회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제도, 역기능 등 사회적․제도적<br />

기반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필요<br />

- 유비쿼터스사회로 연착될 수 있도록 관련 법제도(원격진료 등) 정비<br />

- RFID 등 새로운 IT <strong>발전</strong>에 따라 사회적 이슈 및 걸림돌로 작용될 수<br />

있는 역기능에 대한 사전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추진될 필요<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4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IT관련 해외 신간도서 10선<br />

저자 도서명 출판사 발간년도<br />

1 Thomas Friedman<br />

The World Is Flat: A Brief History of the<br />

Twenty-first Century<br />

Farrar, Straus<br />

and Giroux<br />

2005<br />

2<br />

Richard Coopey and<br />

R. Coopey (eds.)<br />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br />

An International History<br />

Oxford<br />

University<br />

Press<br />

2005<br />

3<br />

Robin Mansell and<br />

Brian Collins (eds.)<br />

Trust and Crime in Information Societies Basic Books 2005<br />

4<br />

Sande Cohen and<br />

R.L.Rutsky(eds.)<br />

Consumption in an Age of Information<br />

Berg<br />

Publishers<br />

2005<br />

5<br />

Clayton Christensen,<br />

et.al.<br />

Seeing What's Next: Using Theories of<br />

Innovation to Predict Industry Change<br />

Harvard<br />

Business<br />

School Press<br />

2004<br />

6<br />

Marianne Broadbent<br />

and Ellen Kitzis<br />

The New CIO Leader: Setting the Agenda<br />

and Delivering Results<br />

Harvard<br />

Business<br />

School Press<br />

2004<br />

7<br />

Peter Weil and<br />

Jeanne Ross<br />

IT Governance: How Top Performers<br />

Manage IT Decision Rights for Superior<br />

Results<br />

Harvard<br />

Business<br />

School Press<br />

2004<br />

Does IT Matter? Information Technology<br />

Harvard<br />

8 Nicholas Carr<br />

and the Corrosion of Competitive<br />

Business<br />

2004<br />

Advantage<br />

School Press<br />

9 Anthony Wilhelm<br />

Digital Nation: Toward an Inclusive<br />

Information Society<br />

The MIT<br />

Press<br />

2004<br />

10 Jared Diamond<br />

Collapse: How Societies Choose to Fail or<br />

Succeed<br />

Viking Adult 2004<br />

※ 상기 도서는 인터넷 서점 아마존 검색도서 중 주제의 적실성, 출판시기 및 독자평 등을 참고<br />

하여 선정<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5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디지털 문화 관련 신조어<br />

신조어 의 미<br />

유비노마드<br />

(ubi-Nomad)<br />

디지털노마드<br />

Transumer<br />

디지털코쿠닝<br />

유비티즌<br />

엄지족<br />

m세대<br />

펌킨족<br />

디지털네이티브<br />

moblog<br />

통크족<br />

(Two only no kids)<br />

Slobbie족<br />

Lohas족<br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첨단 장비를 이용한 자신의<br />

업무를 처리하는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인간형<br />

디지털 장비를 몸에 갖추고 다니는 21세기형 인간<br />

이동하면서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람<br />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집안에서 모든 소비활동을<br />

해결하는 사람들<br />

언제, 어디서나 PC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게임기 등 모든<br />

단말기들이 네트워크화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br />

문자메세지를 많이 사용하는 신세대<br />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컴퓨터 없이도 뉴스검색, 쇼핑 등을<br />

하는 세대<br />

[펌]+KIN+ 族 의 합성어로 인터넷 사이트에서 컨텐츠를 퍼오는<br />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사람들<br />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br />

사용하는 20대 후반까지의 사람들<br />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블로그나 미니홈피를 사용할 수 있<br />

도록 해주는 서비스<br />

자녀에게 부양받기를 거부하고 부부끼리 독립적으로 생활하는<br />

노인세대<br />

천천히, 그러나 더 훌륭하게 일하는 사람. 뛰어난 능력을 갖추<br />

고도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을 감수한채 가정을 소중히 여김<br />

건강과 환경을 해치치 않는 생활스타일로 사는 사람.<br />

‘제대로 먹고 제대로 살자‘는 친환경적인 사람<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26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strong>발전</strong> <strong>추세와</strong> <strong>미래</strong> <strong>전망</strong><br />

━━━━━━━━━━━━━━━━━━━━━━━━━━━━━━━━━━━━━━━━<br />

“유비쿼터스사회연구시리즈”는 <strong>미래</strong> <strong>유비쿼터스사회의</strong> 모습을 규명하고,<br />

u-IT 및 사회변화 등 다양한 현안과 이슈를 발굴․분석함으로써 국가정책<br />

수립에 반영하고자 작성된 연구보고서입니다.<br />

발행인 : 김창곤<br />

발행처 : 한국전산원 정보화기획단 u-전략팀<br />

서울시 중구 무교동 77 NCA빌딩<br />

(TEL) 02-2131-0114 http://www.nca.or.kr<br />

━━━━━━━━━━━━━━━━━━━━━━━━━━━━━━━━━━━━━━━━<br />

「유비쿼터스사회 리더」한국전산원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