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4.2020 Views

2019_운영성과보고서(도련선X)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전북에서

함께합니다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이동거리로 보는 2019년도 세계시민교육

□ 세계시민교육 지역별 이동거리

총 이동거리

1,303.7 km

○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는 전라북도국제교류센터와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세계시민교육 수혜자를

발굴 및 확대하고 있으며,우리글로벌라운지를 세계시민교육장으로 활용하여 더 효과적이고 양질의

세계시민교육을 운영하고자 앞장서고 있습니다

○ 또한,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는 세계시민교육을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전라북도 뿐 아니라

땅 끝까지도 찾아가 교육을 운영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지구촌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2019 JBIDCC ANNUAL REPORT

3


목 차

Ⅰ. 센터 일반 현황 ··········································· 7

1. 설립 배경 ················································ 9

2. 주요 기능 ················································ 9

3. 주요 연혁 ················································ 9

4. 조직도 ·················································· 10

5. 인력 현황 ··············································· 10

6. 센터 주요 사업 ··········································· 10

Ⅱ. 사업 추진방향 ·········································· 11

1. SWOT 분석 ············································ 13

2. 기본 방향 ··············································· 13

3. 상세 추진방향 ··········································· 14

Ⅲ. 2019년도 사업 주요 성과 ··························· 15

1. 운영 성과 ··············································· 17

2. 사업 실적 및 주요 성과 ··································· 18

3. 우수사례 ················································ 24

4. 예산 집행 현황 ·········································· 25


Ⅳ. 사업별 세부 추진 실적 및 성과 ····················· 27

1. ODA 이해증진교육 ······································ 26

2. ODA 설명회 ············································ 42

3. ODA 홍보 ·············································· 47

4. 전략사업 ··············································· 54

5. 지자체 협력사업 ········································ 63

6. 지역특성 ODA 사업 ····································· 65

Ⅴ. 첨부 자료 ··············································· 73

1. 업무협약 ··············································· 75

2. 센터 관련 언론보도 ······································ 78

3. 센터 행사 사진 ·········································· 82

4. 행사 포스터 및 홍보물 ···································· 89

5. 뉴스레터 ··············································· 94

6. 브로슈어 ··············································· 95



센터 일반 현황

설립 배경 | 주요 기능

| 주요 연혁 | 조직도

| 인력 현황 | 주요 사업



2019 JBIDCC ANNUAL REPORT

Ⅰ. 센터 일반현황

1

설립 배경

□ 전북 지역 ODA 사업 참여기반 확대를 위한 ODA 상생 플랫폼 구축을 위해

KOICA-전라북도-전북대학교 3자간 업무협조약정 체결

2

주요 기능

○ 센터 소재 지역 내 ODA교육, 설명회, 간담회 및 홍보

○ 신규사업 발굴, 컨설팅 등 센터 소재 지역 ODA사업 지원

○ ODA사업 신규 협력 파트너 발굴 및 네트워크 강화

○ WFK 귀국봉사단 지역사무소 역할 수행 등

3

센터 연혁

일 시

2015.10.14.

내 용

[KOICA-전라북도-전북대학교]

국제개발협력센터 설립 관련 3자간 업무협조약정 체결

2016. 1. 4.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업무 개시

2016. 9. 1.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사무소 이전

2016.11. 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사무소 개소식

2019. 3. 1.

[KOICA-전라북도-전북대학교]

국제개발협력센터 설립 관련 3자간 업무협조약정 연장 체결

2019. 3. 7.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사무소 이전 (뉴실크로드센터 6층)

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4 조직도

전북대학교 총장

국제협력본부장

국제협력부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5

인력 현황

□ 총 5명

○ 센터장 1명 (전북대학교 초빙교수)

○ 행정직원 2명

○ ODA 영프로페셔널(YP) 2명

6

주요 사업

ODA 이해증진 교육

ODA 정규교육, 세계시민교육, , 대학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과정

ODA 설명회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KOICA 글로벌연수 정부부처 제안 사업 설명

회, KOICA 채용설명회, 민관협력사업 인큐베이팅 일반교육 등

ODA 홍보

대학생 ODA 포럼, 사진전, 홍보부스 등

전북센터 전략사업

지역특성 ODA사업

카드뉴스 공모전, ODA 동아리, 대학생 ODA 홍보단,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 지자체 협력사업

ODA 특강, WFK 봉사단 네트워크, ODA 사업 맞춤형 컨설팅,

지역 ODA 인식조사 등

10


2019년도

사업 추진방향



2019 JBIDCC ANNUAL REPORT

Ⅱ. 2019년도 사업 추진방향

1

SWOT 분석

□ (강점) : 학교 내 ODA 관심집단 형성

□ (약점) : 지자체의 무관심, ODA와 연계가 약한 기업 환경

□ (기회) : ODA 관심 고조, ODA 초기 진입단계 대학/기관 대두

□ (위협) : 대학 희망사업 미 수주 시, 협조관계 변화 가능성

2

기본 방향

□ 전북지역 ODA사업 참여 기반 확대를 위한 ODA 상생플랫폼 구축 초기 정착단계를 지나

지역 ODA사업 참여 활성화 기여

1

전북대 등 현지실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센터의 조기정착 도모 및 홍보노력 적극 추진

2

지역 ODA 유관기관 및 인력간 Network 구축 및

지역주민에 대한 ODA 인식증진교육 활성화

3

대학·기관·기업·CSO 대상 ODA사업 맞춤형 실무교육 및

컨설팅 강화/KOICA 거점지역으로 협력사업의 효율성 추진에 기여

4

지역 유관기관 및 인력의 ODA사업 참여실적 실질적 제고

5

지역의 국제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작지만 강한 센터 구축

1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3

상세 추진 방향

가. ODA 교육 및 해외봉사단 프로그램 내실화

□ ODA 정규교육 정례화, 세계시민교육 확대 등을 통한 지역 ODA 교육 기회 제공

□ 봉사단 모집설명회, 상담부스, 간담회, 멘토링, 공모전 등 지역 수요에 따른 다양한

해외봉사단 프로그램 실시

나. 지역 ODA 미래인재 양성

□ 전북 지역 대학생 ODA 동아리, 홍보단 지속 운영

□ 공모전, 경진대회, 프레젠테이션대회 등 대학생 참여 행사 강화

□ ODA 발전 및 규모 확대에 대비한 미래 기반 조성

□ 세계시민교육 강사 풀 확대 및 역량 제고를 위한 강사양성 과정 실시

다. 자문활동 강화

□ 지역 기관, 대학 및 NGO 등의 민관협력사업 참여 지원

□ 지역 대학생 진로탐색 자문

라. 지역 수혜대상 확대 노력

□ 지역 주민 대상 홍보 활동 확대

□ 지역 ODA 프로그램 활성화

14


2019년도

사업 주요 성과

운영 성과

| 사업 실적 및 주요 성과

| 우수사례

| 예산 집행 현황



2019 JBIDCC ANNUAL REPORT

1. 운영 성과

가. ODA 교육 확대 및 내실화

□ ODA 교육원과의 공동 실시로 교육 및 관리·운영 품질 제고

□ KOICA 이사장 명의 수료증 발급으로 교육원(수도권)과 동일한 수강 혜택 제공

□ 전주비전대와 공동 ODA 교육 실시를 통한 지역 ODA 교육 격차 해소 기여

나. 지역 참여 프로그램 다양화 및 ODA 인지도 제고

□ KOICA 월드프렌즈 사업팀과 공동으로 전북대 대동제, 개발협력 WEEK 계기 다양한 지역에서의

1:1 상담 및 모집설명회 실시

□ 지역 최초 평화&SDGs 축제를 통해 주민 대상 참여 프로그램 확대

□ 전북 지역 ODA 인지조사 결과 인지도 상승

※ '17년도 34% → '18년도 40% → '19년도 45%

다. 지역 미래 인재 양성 및 ODA 생태계·네트워킹 확대

□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 방안 등 자문을 통한 지역 인재의 YP, 봉사단, ODA 자격시험 등 참여

증가에 기여

□ 전라북도 국제교류센터, 전주시 다문화가정 지원센터, WFK귀국봉사단 등과 협력 활동을 통하여

세계시민교육 확대, 지역사회 공헌 활동(연탄나눔활동) 등 실시

다. 소외 계층 대상 세계시민교육 확대

□ 전주 거주 결혼이주여성 대상 세계시민교육 실시 및 강사 양성

□ 학교 밖 아이들 대상 세계시민교육 실시

1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2. 사업 실적 및 주요 성과

가. ODA 이해증진 교육

추진실적

□ ODA 정규교육 실시 : 5회

ㅇ 기본(2), 심화1(1), 심화2(1), 사업관리과정(1)

- 전주비전대와의 협업을 통해 기본과정 추가 실시

ㅇ 참여인원 : 166명 (수료 143명)

□ 대학교 국제개발협력이해 과정 운영

ㅇ 전북대 내 ‘국제개발협력과 ODA’ 강좌 개설 일반선택 3시간 3학점

ㅇ 참여인원 : 2학기 총 49명

ㅇ 강의평가 : (2학기) 43.90점 (대학평균 42.76)

□ 세계시민교육

ㅇ 총 34회, 참여인원 1,452명

- (지역별) 전북 25회, 기타 지역 9회

- (유형별) 대학교 1회, 고등학교 12회, 중학교 6회, 초등학교 11회,

일반 기관 3회, 기타 1회

- 전북대 외 학교 및 기관 97%

- 작년 대비 실시 횟수 및 참여인원 증가

('18년 : 30회/1,019명 → '19년 : 34회/1,452명)

□ ODA 데이터 활용 교육

ㅇ KOICA ODA 데이터 활용 교육

ㅇ 참여인원 : 24명

주요성과

□ ODA 정규교육

ㅇ ODA 소외 지역 전문교육 접근성 및 인지도 제고

- KOICA ODA 교육원과 동일한 교육과 강사진

- 전북 외 전남·강원권 등 타 지역 교육 수요도 충족

ㅇ 수혜대상 확대 및 ODA 저변 확대

ㅇ 지역 ODA 인재 양성 및 지지기반 확보

18


2019 JBIDCC ANNUAL REPORT

주요성과

□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 과정 운영

ㅇ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강의로 ODA 관심 유도 및 교육 품질 제고

- 총 15주차 센터장 직접 강의 및 분야별 전문가 특강 4회

ㅇ 학내 ODA 인지도 및 저변 확대

- 높은 점수의 강의 평가로 긍정적인 ODA 공감대 형성에 기여

- 간호학과, 기계공학과, 농생물학과, 무역학과 등 다양한 학과생 수강

ㅇ 수강생 국제개발협력 관련 활동 참여 증가

- 해외봉사단, ODA 교육,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사례경진대회 참여 등

ㅇ 수강생 국제개발협력 관련 활동 참여 증가

- ODA 정규교육, 프레젠테이션 대회,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참여,

KOPIA 파견, ODA 자격증 취득 등

□ 세계시민교육

ㅇ 지역 ODA 정보 및 교육 격차 해소 기여

ㅇ 지역 초·중·고등학생 대상 국제개발협력 이해 증진 및 세계시민의식 함양,

진로탐색 병행으로 미래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

ㅇ 수혜대상 및 ODA 저변 확대

- 전라북도 국제교류센터와 협업을 통해 교육 수요 확대

□ ODA 데이터 활용 교육

ㅇ 전년 대비 참여자 수 증가 ('18년 21명 → '19년 24명)

ㅇ 기존 정규 ODA 교육 외에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나. ODA 설명회

추진실적

□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상담부스) : 6회

ㅇ 참여인원 588명

□ KOICA 채용설명회 : 1회

ㅇ 참여인원 : 63명

□ KOICA 글로벌연수 정부부처 제안사업 설명회 : 1회

ㅇ (유형별) 5개 대학, 3개 기관에서 참여

□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일반교육 : 1회

ㅇ 참여인원 : 22명

1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주요성과

□ 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다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 참여 활성화

□ KOICA·ODA 인지도 제고 및 해외 봉사 참여 의식 확산

□ 귀국단원 1:1 상담을 통한 국제협력분야 진로상담 병행으로

귀국봉사단 전북 커뮤니티와 협업 강화 및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

□ 지역 ODA 사업 정보제공 및 참여 활성화 지원

□ KAIDEC 활동 지속

- 전북대 민관협력사업 참여 확대

다. ODA 홍보

추진실적

□ 개발협력의 날 행사 : 6개

ㅇ 총 참여인원 352명

ㅇ 대학생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개발협력의

날 찾아가는 WFK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등

□ ODA역사 사진전 : 4회

ㅇ 전주역, 전북대, 전주시 중앙살림광장, 원광대

ㅇ 참여자 추산 약 3,474명

□ ODA 포럼 : 1회

ㅇ 전북 대학생 ODA포럼 개최

ㅇ 참여인원 31명

□ 홍보부스 : 2회

ㅇ 총 참여인원 : 189명

ㅇ 평화&SDGs 축제 계기로 전북대, 군산대에서 관련 홍보부스 운영

□ 홍보활동

ㅇ 언론보도 21건, 페이스북 및 홈페이지 공지 124건

- 페이스북 총 도달수 : 60,112회

- 홈페이지 총 방문횟수 : 4,274회 (페이지뷰 19,100회)

ㅇ 뉴스레터 제작 및 발송 : 2회 (1,659건 배포)

20


2019 JBIDCC ANNUAL REPORT

주요성과

□ 개발협력의 날 행사

ㅇ 전라권 다수 학교 참여로 대회 규모 및 수혜그룹 확대

□ ODA역사 사진전

ㅇ 일반인 유동인구가 많은 전주역 사진전 개최로 홍보 범위 확대

□ ODA포럼

ㅇ 전북지역 대학생 주도 ODA 정보 공유 및 논의 활성화

□ 홍보부스

ㅇ 지역 행사 계기를 통한 부스 운영으로 수혜대상 및 홍보범위 확대

□ 홍보활동

ㅇ 지역 ODA 정보 접근성 강화

ㅇ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활동으로 ODA 인지도 및 사업 참여율 제고

라. 센터 전략사업

추진실적

□ 봉사활동 카드뉴스 공모전

ㅇ 접수 : 총 34명, 28점

ㅇ 전북 5개교 33명, 일반인 1명

□ 전북지역 대학생 ODA 동아리

ㅇ 구성원 34명 (전북대, 한일장신대, 우석대)

ㅇ 정기 모임 총 6회

□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ㅇ 수강생 13명 중 12명 수료

□ 전북지역 대학생 ODA 홍보단

ㅇ 5명

ㅇ 센터 주관 프로그램 직접 참여 후 카드뉴스 제작 (7건) 및 홍보부스 기획

및 운영 (3회)

□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ㅇ 대회 참가자 21명

ㅇ 전북대 외 전남대, 한일장신대 등 여러 대학 소속 학생 참여

□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ㅇ 총 66명의 대학생 및 일반인 참여

ㅇ 대회 참가자 19명

2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추진실적

□ 지자체 협력사업

ㅇ 네팔 농촌 역량강화를 위한 시범사업 운영

ㅇ 전라북도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확산사업

주요성과

□ 봉사활동 카드뉴스 공모전

ㅇ 전라권 지역 내 봉사활동 의식 고취

ㅇ 센터 인지도 및 ODA 저변 확대

ㅇ 전북대 외 전라권 다양한 학교학생 공모전 참가 및 수상으로 수혜 그룹

확대

□ 전북지역 대학생 ODA 동아리

ㅇ 전북지역 내 대학생 국제개발협력 분야 핵심 인재 양성

ㅇ ODA 네트워크 형성 및 지지그룹 확보

ㅇ 구성원 중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출 희망자 다수

- 동아리원 중 센터 YP 지원 및 선발

□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ㅇ 전북 지역 내 세계시민교육 강사풀 확대

ㅇ 지역 내 유일한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

□ 전북지역 대학생 ODA 홍보단

ㅇ 센터 홍보부스 운영 시 홍보단의 적극적인 참여

ㅇ 대학생 주도의 참신한 ODA 콘텐츠 제작

□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ㅇ WFK 봉사단 모집설명회, 1:1 상담부스, 사진전과 병행하여 봉사단 홍보

효과 제고

ㅇ 개발협력의 날을 기념하여 지역 축제의 장 마련

□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ㅇ 대학생 주도로 ODA 관련 다양한 의견 공유 및 발표 능력 함양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

□ 지자체 협력사업

ㅇ 지자체 정부부처 협력 사업(네팔) 농촌 역량강화 시범사업 운영

- 소득작물 재배로 지역 농민 역량 강화 및 농가소득 증대 기대

ㅇ 전주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를 통한 전라북도 다문화가정에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및 다문화가정 수강생 모집

- 소외 계층인 다문화가정 대상 세계시민교육 확대로 세계시민교육 이해

제고 및 확산 토대 마련

22


2019 JBIDCC ANNUAL REPORT

마. 지역특성 ODA 사업

추진실적

□ ODA 특강 (지역특성 ODA 사업)

ㅇ 6회 실시, 총 94명 참여

ㅇ 군산시자원봉사센터 특강 실시

□ WFK 귀국봉사단 지역커뮤니티 협력활동 : 7회

ㅇ 봉사단 모집설명회 및 상담부스 운영시 귀국단원 1:1 상담 참여

ㅇ 백일장 및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위원 참여

ㅇ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 진행

□ ODA 사업 맞춤형 컨설팅 : 8회 이상

ㅇ 대학(3), 기관(5) 외 수사 자문 실시

□ ODA 인식 조사 : 1회

ㅇ 전북 지역 거주자 412명 대상

주요성과

□ ODA 특강 (지역특성 ODA 사업)

ㅇ 기존 ODA 정규 교육 외에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이해 증진 교육

프로그램 실시

ㅇ ODA 소외 지역 교육 접근성 및 인지도 제고

□ WFK 귀국봉사단 지역커뮤니티 협력활동

ㅇ 지역 귀국봉사단 유대감 강화 및 활성화 기여

ㅇ 커뮤니티, 대학생과 연합하여 지역사회 공헌활동 실시

ㅇ 세계시민교육, 간담회 등 협력활동을 통해 지역 ODA 네트워크 활성화

2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3. 우수사례

전라북도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확산사업(지자체 협력사업)

성과 요약

추진 배경

추진 내용

추진 성과

□ 취약계층인 다문화가정 대상 세계시민교육 실시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 사회적 취약계층인 다문화가정 대상 세계시민교육 확산 필요성 증대

- 기존 초·중·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했던 세계시민교육에서 나아가 정보 및

기회 접근성에 있어 취약한 다문화가정에도 세계시민교육 기회 제공 필요

□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업 추진 필요

- 전주시다문화지원센터 네트워킹을 활한 홍보 효과 제고 및 결혼이주여성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에 있어 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

- 전라북도 산하 전북국제교류센터와의 협업으로 우리 글로벌 라운지 공간을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및 다양한 체험활동 제공

□ 다문화가정 대상 세계시민교육 실시

- 세계시민교육 6차시 : 총 56명 수강 (중국/베트남/캄보디아 출신)

□ 결혼이주여성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 5명 (베트남 출신)

- 2일 12시간 과정으로 세계시민교육과 베트남, SDGs와 환경, SDGs와

인권, 세계시민교육의 다양성과 개발 등의 강의주제로 진행

- KOICA 지구촌체험관에서 활용하는 세계시민교육 키트 활용법 및

국제개발협력과 ODA 내용 이해

- 모국 방문 및 베트남 ODA 사업 현장견학 실시

- 세계시민교육 강의계획서 작성 및 교안 작성방법 등 노하우 특강 실시

□ 세계시민교육 취약계층인 다문화가정에서 세계시민교육 최초 실시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및 역량 강화

□ 향후 다문화가정 및 지역 아동 대상 세계시민교육 진행 시 강사풀 활용

24


2019 JBIDCC ANNUAL REPORT

4. 예산 집행 현황

□ 총 128,600,432원에서 현재 128,452,592원 집행 (집행율 99.9%)

구분

예산액

A

집행액

B

(단위:원)

잔액

C=A-B

파견경비 2,240,000 2,142,361 97,639

프로그램 활동비 41,766,755 41,766,755 0

자문회의비 5,390,000 5,390,000 0

인쇄비 520,400 520,400 0

홍보활동비 7,262,845 7,262,845 0

운영경비 5,380,000 5,379,827 173

일반관리비(수용성경비) 4,060,000 4,060,000 0

간접비 3,128,000 3,128,000 0

소계 69,748,000 69,650,188 97,812

&

S

D

G

s

프로그램 활동비 7,059,100 7,039,330 19,770

자문회의비 460,000 460,000 0

인쇄비 890,000 888,730 1,270

홍보활동비 600,000 583,742 16,258

일반관리비(수용성경비) 540,500 527,770 12,730

간접비 450,400 450,400 0

소계 10,000,000 9,949,972 50,028

네팔 농촌 역량강화 시범사업 25,000,000 23,745,375 1,254,625

전라북도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확

산사업

18,691,200 20,265,825 -1,574,625

운영방안 회의비 320,000 0 320,000

일반관리비(수용성경비) 2,640,672 2,640,672 0

간접비 2,200,560 2,200,560 0

소계 48,852,432 48,852,432 0

합계 128,600,432 128,452,592 147,840

25



사업별 세부 추진 실적

및 성과

ODA 이해증진교육

| ODA 설명회

| ODA 홍보

| 전략사업

| 지자체 협력사업

| 지역특성 ODA사업



2019 JBIDCC ANNUAL REPORT

1. ODA 이해증진교육

1 - 1

ODA 정규교육

가. 사업개요

사업명

ODA 정규교육

о ODA에 소외된 전라권 지역에 수도권과 동일한 교육 기회 제공

목적

о 전라권 지역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양성

о KOICA ODA사업 소개로 개발협력 사업 참여에 관심있는 기업 및 기관 대상 이해증진

대상

국제개발협력에 관심 있는 전라권 지역 대학생 및 일반인

о 기본과정: 5월 27일 ~ 28일, 10월 25일 ~ 26일

일시

о 심화1과정: 6월 26일 ~ 27일

о 심화2과정: 9월 23일 ~ 24일

о 사업관리과정: 7월 30일 ~ 7월 31일

장소

전북대학교(뉴실크로드센터, 인문사회관) 및 전주비전대학교(우정관)

강사

국제개발협력 분야 전문가

о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전반

강의

내용

о 국제개발협력 주요 분야 이슈

о 국제개발협력 범분야 이슈

о KOICA 프로젝트의 이해

2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 강의 커리큘럼

● 기본과정 -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 5월 27일 ~ 5월 28일 (전북대학교)

강의시간 모듈명 강사진

09:30-09:40 오리엔테이션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1일차

(5.27.)

09:40-11:40 국제개발협력과 ODA 신한대학교 정우용 교수

12:40-15:10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KOICA ODA 연구·정보센터 고요한 연구원

15:20-17:50 국제개발협력의 최근 동향과 이슈 前 KOICA ODA 연구·정보센터 오수현 연구원

2일차

(5.28.)

12:30-14:30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박소희 연구원

14:40-16:10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前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센터장 이욱헌 센터장

16:20-17:50 글로벌 시민교육과 진로탐색 KOICA 글로벌인재교육원 김상우 과장

● 기본과정-국제개발협력의 이해 : 10월 25일 ~ 10월 26일 (전주비전대학교)

강의시간 모듈명 강사진

09:50-10:00 오리엔테이션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1일차

(10.25.)

10:00-12:00 국제개발협력과 ODA 신한대학교 정우용 교수

13:30-16:00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前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센터장 이욱헌 센터장

16:10-18:00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원광대학교 김형규 교수

2일차

(10.26.)

10:00-11:30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KOICA 글로벌인재양성실 안창수 실장

13:00-15:30 국제개발협력 최근 동향과 이슈 前 KOICA 연구·정보센터 오수현 연구원

15:40-17:10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한국국제개발연구소 강명옥 박사

● 심화1과정-국제개발협력 주요분야 이슈 : 6월 26일 ~ 6월 27일 (전북대학교)

강의시간 모듈명 강사진

09:50-10:00 오리엔테이션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1일차

(6.26.)

2일차

(6.27.)

10:10-12:00 교육과 개발협력

13:30-14:30 교육 분야 지원전략 및 사례

14:40-16:30 보건과 개발협력

16:40-17:40 보건 분야 지원전략 및 사례

10:10-12:00 농림수산과 개발협력

13:30-14:30 농립수산 분야 지원전략 및 사례

14:40-16:30 거버넌스와 개발협력

16:40-17:40 거버넌스 분야 지원전략 및 사례

(사) 호이 해외교육개발팀 최영선 팀장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윤 연 강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효정 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김은주 연구원

30


2019 JBIDCC ANNUAL REPORT

● 심화2과정-국제개발협력 범분야 이슈 : 9월 23일 ~ 9월 24일 (전북대학교)

강의시간 모듈명 강사진

09:20-09:30 오리엔테이션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1일차

(9.23.)

2일차

(9.24.)

09:30-11:30 환경과 개발협력

11:30-12:30 환경 분야 사례 연구

13:30-15:20 젠더와 개발협력

15:30-16:30 젠더 분야 사례 연구

09:30-11:30 인권과 개발협력

11:30-12:30 인권 분야 사례 연구

13:30-15:20 빈곤과 개발협력

15:30-16:30 빈곤 분야 사례 연구

前 KOICA 환경 전문가 이찬우 박사

서울대학교 국제학 연구소 박소희 연구원

전북대학교 문경연 교수

KDI 국제정책대학원 김부열 교수

● 사업관리과정-KOICA 프로젝트의 이해: 7월30일 ~ 7월 31일 (전북대학교)

강의시간 모듈명 강사진

09:50-10:00 오리엔테이션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1일차

(7.30.)

10:00-10:30 KOICA 사업 참여 방법 소개

10:30-12:15 프로젝트의 이해

전주대학교 김형규 교수

13:30-16:00 프로젝트 사업기획 KOICA 동남아 2실 김경일 과장

16:10-17:40 프로젝트 조달 KOICA 부산사무소 박흥식 차장

10:10-12:00 프로젝트 집행 숙명여자대학교 최성호 교수

2일차

(7.31.)

13:30-15:20 프로젝트 운영 및 관리 한국무역정보통신 하성흔 부장

15:30-17:20 프로젝트 사례소개 명지전문대학 윤영현 교수

3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나. 추진 실적

□ 수강 인원

구분

과정 장소 기간

수강인원(명) 수료인원(명) 수료율(%)

전북대학교 5.27. ~ 5.28. 27 22 81

기본과정

전주비전대 10.25. ~ 10.26. 36 31 86

심화1과정 전북대학교 6.26. ~ 6.27. 30 28 93

심화2과정 전북대학교 9.23. ~ 9.24. 28 26 93

사업관리과정 전북대학교 7.30. ~ 7.31. 45 36 80

총 계 166 143 86

□ 수강생 유형

(단위:명)

구분

과정 장소 기간

대학(원)생 직장인 기타 합계

전북대학교 5.27. ~ 5.28. 18 1 3 22

기본과정

전주비전대 10.25. ~ 10.26. 5 22 4 31

심화1과정 전북대학교 6.26. ~ 6.27. 24 3 1 28

심화2과정 전북대학교 9.23. ~ 9.54. 12 8 6 26

사업관리과정 전북대학교 7.30. ~ 7.31. 20 13 3 36

총 계 79 47 17 143

32


2019 JBIDCC ANNUAL REPORT

□ 수강생 지역 분포

□ 수강생 교육 평가 결과

о 목적 :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개선사항 파악

о 대상 : 기본, 심화1, 심화2, 사업관리 수강생 총 143명

구분 평균점수 주요 평가내용

이해도평가 3.222

о 사전평균 2.638점에서 사후평균 3.713점으로, 동 과정을 통해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가 약 7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교육효과

평가

4.328

о 교육효과평가 평균은 4.328점으로, 전년도 대비 높은 평가를 받음.

('18년도 4.287점 → '19년도 4.328점)

강의수강

목적*

개인적 관심

(79%)

о 수강생 수강목적은 '개인적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년도 평균(34%) 에

비하여 약 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강사평가 4.433 о 강사 평가 평균 4.520점으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

교육운영

평가

4.559

о 교육운영 평가 전체 평균은 4.559점으로 원활한 교육 운영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음.

* 1순위 5점, 2순위 4점, 3순위 3점, 4순위 2점, 5순위 1점

3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 전체 교육 평가

교육 평가

평가 평균

기본과정 4.43

기본과정(전주비전대) 4.32

심화1과정 4.29

심화2과정 4.44

사업관리과정 4.36

총 평균

4.37

※ 5점 만점, 100점 환산 시 87.3점

다. 운영성과

□ 전년도 대비 전체 교육평가 평균 점수 약 6% 증가

('18년도 4.31, 100점 환산 시 86.2점 → '19년도 4.37, 100점 환산 시 87.3점)

□ KOICA ODA교육원과 동일한 커리큘럼과 강사진으로 구성된 강의를 실시함으로써 ODA 소외

지역의 ODA 교육 접근성 제고 및 교육 기회 확대

- ODA 자격증 취득 희망자부터 ODA사업 참여 희망 일반인까지 다양한 수요가 참여

- 전북 뿐 아닌 전남권 등 타 지역의 교육 수요도 충족

□ 전북지역 ODA분야 관심도 파악의 계기

- ODA분야 관심대학 및 관력학과 분포 파악, 도내 기관 및 기업체의 관심도 파악

-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참석자 대다수가 향후 교육에 지속적인 참가 희망

□ 교육 수강자에게 센터 뉴스레터 발송 및 관련 정보를 공유하여 센터사업 참여 유도 및 지지기반

마련

34


2019 JBIDCC ANNUAL REPORT

1 - 2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 과정

가. 사업개요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 과정 운영

사업명

ㅇ 강좌명 : 국제개발협력과 ODA

- 일반선택 3시간 3힉점

о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습득을 통해 개도국 빈곤 상황과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와 한국의 노력 이해 도모

목적

о ODA의 개념, 개발원조의 역사와 최근 현안 및 이슈별 과제 설명을 통해

가치관을 형성하고 세계시민 의식 고취

о ODA에 대한 지지기반 확대

о 국제개발협력분야 지역 인재 육성

о 학생들의 국제개발협력과 한국의 ODA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제고

기대

효과

о ODA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고 나름의 가치 체계 보유

о ODA사업의 잠재적 참여자 확대

о KOICA 입사, ODA자격증 취득, 국제개발협력관련 대학원 진학 등 개발협력 분야 진로선택 지원

대상 전북대학교 재학생 (수강정원 : 49명)

강사

신교승 교수(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센터장) 및 KOICA 직원 등 국제개발협력 분야 전문가

내용

국제개발협력과 우리나라 ODA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습득이 가능하도록 하고, 개발관련 최근 현안

및 이슈별 과제와 국제적 동향을 이해하도록 강의 구성

3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나. 사업내용

□ 강의개요

교과목명

요일, 시간

강의운영방식

수업

목표

제 1주

제 2주

제 3주

제 4주

제 5주

제 6주

제 7주

제 8주

제 9주

제 10주

제 11주

제 12주

제 13주

제 14주

제 15주

수 강 인 원

주 요 교 재

참 고 자 료

평 가 계 획

국제개발협력과 ODA

월요일 8,9교시, 수요일 8교시

강의 및 특강

본 강의는 학생들이 국제개발협력에 대하여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 함으로써 개도국

빈곤상황 극복을 위한 우리나라와 국제적 노력에 관심을 갖고 나름의 가치판단을

보유함을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ODA의 개념, 개발원조의 역사, 한국의 노력, 최근

현안 및 이슈별 과제 등을 강의하고, KOICA 직원 등 외부강사의 현장경험을 특강

(3~4회)으로 구성하였다.

수 업 내 용

오리엔테이션

국제개발협력과 ODA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거버넌스와 국제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국제개발협력의 최근 동향과 이슈

중간고사

농림수산과 국제개발협력

한국의 해외봉사활동과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

환경과 국제개발협력

아프리카의 개발협력 이슈와 과제

빈곤과 개발협력

개발협력의 발전방향

기말고사

49명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빈곤의 종말 등

중간시험(30%), 기말시험(40%), 과제1회(20%), 출석(10%)

36


2019 JBIDCC ANNUAL REPORT

□ 사업 추진 일정

활동명 2학기 세부내용

강의개설 강의등록 7.30. 강의개설 및 강의계획서 입력

수강생

선발

수강신청 8. 8. ~ 8.20. 학부생 정식 수강신청

수강자 확정 9.26. 49명

평가 강의평가 12.10. ~ 1. 7.

강의평점

대학평균

2학기 43.90점 42.76점

50점

만점

다. 운영성과

□ 센터장 직접 강의 및 외부 강사 특강(4회)으로 현장 및 사례 중심의 실용적인 전문가 강의로

교육 품질 제고

□ 수강생들의 국제개발협력 관련 활동 참여 증가

ㅇ 해외봉사단, KOPIA 파견, ODA 일반자격증 취득, ODA 정규교육 참여 등

ㅇ 높은 수강 만족도로 학내 ODA 인식 확산에 기여

□ 센터 각종 행사에 적극 참여 및 지원 그룹으로 자리 매김

3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 참고: 수강생 국제개발협력 사전 인식 설문조사 (2학기)

□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제공 사실 인지도

Q1. 공적개발원조 제공 사실

1 매우 잘 알고 있음 2 어느 정도 알고 있음 3 잘 모름 4 전혀 모름

0명 (0%) 29명 (62%) 16명 (34%) 2명 (4%)

※ '18년도에 비해 ODA 제공 사실 인지도(1,2) 약 17% 증가

□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에 대한 인지도

Q2.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인지 정도

1 매우 잘 알고 있음 2 어느 정도 알고 있음 3 잘 모름 4 전혀 모름

2명 (4%) 5명 (11%) 16명 (34%) 24명 (51%)

□ 공적개발원조 제공 찬성도

Q3. 공적개발원조 제공 찬성 여부

1 적극찬성 2 찬성 3 반대 4 적극반대

8명 (17%) 34명 (72%) 5명 (11%) 0명 (0%)

□ 정부의 대외원조 증액 찬성도

Q4. 정부의 대외원조 증액 계획에 대한 찬성 여부

1 적극찬성 2 찬성 3 반대 4 적극반대

2명 (4%) 37명 (79%) 8명 (17%) 0명 (0%)

□ 개발협력 인지강화 프로그램 수요

Q5. 가장 효과적인 개발협력 인지강화 프로그램

1 대학교내

국제개발협력 과목개설

2 정부나 원조기관이

실시하는 교육 프로그램

3 NGO를 통해 실시하는

워크샵, 세미나, 사진전 등 프로그램

4 개발협력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18명 (40%) 10명 (22%) 8명 (18%) 8명 (18%)

38


2019 JBIDCC ANNUAL REPORT

1 - 3

세계시민교육

가. 사업개요

사업명

세계시민교육

о 청소년 및 일반인의 ODA/SDGs 인식제고 및 세계시민의식 함양

목적

о ODA/KOICA 지지기반 확대 및 지역의 국제화 측면지원

о 국제개발협력 진로 소개로 미래 ODA 인재 양성

대상

전라권 초·중·고등학교 학생

운영

횟수

장소

강사

강의

내용

총 34회

대상 기관 (방문교육)

KOICA 전/현직자, 귀국봉사단원 및 국제개발협력 분야 현장 경험자 등

о 국제개발협력 및 ODA의 이해

о 국제개발협력과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 및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

о KOICA 소개 및 국제개발협력 진로 소개

о 해외봉사활동 경험과 참여 방법 소개

나. 추진실적

일자 참여학교 인원 집행 합계

1월 강원 원주 만두초등학교 3명 1회

2월 월드투게더 12명 1회

3월 순창 동계초등학교 55명 1회

4월 전주 영생고등학교, 신흥고등학교, 근영중학교 71명 3회

5월 완산여자고등학교, 따숨지역아동센터 34명 2회

6월

청하중학교, 함열여자고등학교, 정읍여자고등학교

동고등학교, 전북대 사대부고

157명

5회

7월 군산여자고등학교 74명 1회

3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일자 참여학교 인원 집행 합계

8월 서영여자고등학교, 평동중학교 126명 2회

9월 이리 석암초등학교, 전북국제교류센터 47명 2회

10월

웅천초등학교, 정읍여자고등학교, 광양제철고등학교, 웅천중학교

안좌초등학교, 평동중학교, 효천고등학교, 용덕초등학교, 가정형 WEE센터

716명 9회

약 1,391명

수강

(29회)

11월 삼례동초등학교, 금암초등학교(2) 64명 3회

12월 군산남중학교, 도학초등학교, 죽산초등학교 78명 3회

다. 운영성과

□ 전북지역 미래 세대 세계시민의식 함양 및 진로 탐색 병행으로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

□ 전년도 대비 전체 수강생 수 증가

( '18년 총 1,242명 → '19년 총 1,437명 )

□ 전라권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 증진과 세계시민의식 함양 및

국제개발협력 진로탐색 기회 제공

-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소외된 지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지식 및 시각 제공

- 국제개발협력 유경험자 및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강사진과 직접적인 교류로 생생한 개발 협력 현장

경험담 습득과 전문적인 진로 상담에 도움

□ 국제개발 시민교육 수강자인 대학생과 일반인들의 KOICA와 ODA사업에 대한 관심 증대

□ 전북국제교류센터 주관 지구촌 체험관 운영과 연계하여 프로그램 내실화 및 다양한 수요 발굴

40


2019 JBIDCC ANNUAL REPORT

1 - 4

KOICA ODA 데이터 활용 교육

가. 사업개요

사업명

KOICA ODA 데이터 활용 교육

목적

о ODA와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인지도 제고

о 국제개발협력 분야 및 세계 기구 통계 자료 활용 역량 강화

대상

ODA 통계 교육에 관심 있는 학생 및 일반인

일시 11월 19일, 14:00-16:00

장소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센터 6층 613호

강사

KOICA ODA 연구·정보센터 이인호 빅데이터큐레이터

강의

내용

о ODA 개념 정의 및 국제기구 데이터 소개

о 국제기구 통계 : KOICA, OECD DAC, World Bank 통계 특성과 데이터 사이트 활용 시연 등

о State 활용 : 자료 관리와 통계 분석 Macro와 loop 사용방법 소개

나. 운영성과

□ ODA 통계교육에 관심 있는 일반인 24명 참석

□ 전년 대비 참여자 수 증가 ('18년 21명 → '19년 24명)

□ 기존 ODA 정규 교육 외에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 KOICA, DAC, World Bank의 데이터 특성과 사이트 활용방법 시연 등을 통해 ODA와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 제고 및 국제기구 통계 자료 활용 역량 강화

□ 강의평가 결과 (평가 참여 23명)

필요성 유용성 수단 적절성 준비도 추천도 평균

4.00 4.52 4.43 4.70 4.61 4.45

* 5점 만점, 100점 환산 시 89점

4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2. ODA 설명회

2 - 1

설명회(상담부스)

가. 사업개요

사업명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상담부스) 및 개발협력분야 채용설명회

о 학생 및 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모집설명회를 실시하여 KOICA 및 해외봉사 활동에 대한

관심 제고

о 해외봉사 관련 자세한 정보와 현지 경험담 공유를 통해 해외파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봉사단 지원을 적극적으로 유도

목적

о 전북 지역 및 타 지역 유학생들과 타 학교 교직원들에게 한국의 ODA 사업 소개를 통한

ODA 인지도 확대 및 국제개발협력 분야 관심 유발

о 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세계시민의식을 고취시키고 ODA 사업 및 국제개발협력 분야

관심 유발

о KOICA 인사담당자와 신입사원의 생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익한 시간 제공

대상

강사

일시

장소

해외봉사단 활동 및 국제개발협력에 관심 있는 학생 및 학교 교직원

센터장, 국제교류증진협회 직원 및 봉사단 귀국단원

2월 22일, 4월 2일, 4월 9일, 5월 29일 ~ 5월 31일, 11월 21일, 11월 23일, 11월 26일

전북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원광대학교, 전주 시내 객사

о WFK 해외봉사단(ICT 등) 모집설명회

내용

о KOICA 2년 파견제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о KOICA 채용설명회

о 개발협력 WEEK 찾아가는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및 상담부스

42


2019 JBIDCC ANNUAL REPORT

나. 추진 실적

사업명 일시 장소 참여인원(명)

2019 4차

WFK봉사단 모집설명회

2월 22일 한일장신대학교 진리관 2409호 12

2019 월드프렌즈 ICT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2019 KOICA

신입직원 채용설명회

4월 2일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44

4월 9일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센터 201호 63

전북대학교 대동제

WFK봉사단 홍보부스

5월 29일 ~ 5월 31일

전북대학교 구정문 알림의 거리

253

(상담 79명)

개발협력의 날 찾아가는 WFK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개발협력의 날 찾아가는 WFK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개발협력의 날 찾아가는 WFK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11월 21일 원광대학교 129

11월 23일 전주 중앙살림광장 122

11월 26일 전북대학교 28

합계 651

다. 운영성과

□ 전북 지역 수요를 반영하여 다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 소개 및 참여의식 확대

□ 대학축제 계기 SDGs 소개 이벤트와 함께 취업 진로 상담 병행으로 참여율 제고

□ 귀국단원과 1:1 상담으로 현장감 있는 정보 제공

□ 전북 지역 일반인들에게 월드프렌즈 코이카 해외봉사단에 대한 관심 유발 및 관련 정보 제공

라. 향후 고려사항

□ 각 대학의 해외봉사활동 유관 유망 학과에 대한 집중 설명회 및 강의 실시 필요

□ 대학 외에도 각 지자체(도·시·군) 및 기관에서 실시하는 취업박람회 일정 파악 및 동 행사에 상담부스

적극 개설 필요

□ 봉사단 귀국 단원의 긍정적인 경험 공유활동 강화를 통한 흥미 유발 및 전반적인 참여율 제고

4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2 - 2

ODA 조달설명회

가. 사업개요

사업명

목적

KOICA 글로벌연수 정부부처제안사업 설명회

о 정부부처제안 연수사업 품질 제고를 위한 국내 파트너기관 컨설팅

о 거점지역 대상 설명회를 통해 지역 내 잠재적 파트너 발굴

대상

지역 내 지자체, 공공기관, 대학 등 글로벌연수 정부부처제안사업 관계기관

일시 8월 13일, 14:00-15:30

장소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센터 609호 참여인원 13명

내용

о KOICA 글로벌연수사업 소개

о 글로벌연수 부처/지자체 제안사업 소개

о 질의응답 및 컨설팅

나. 운영성과

□ 전북지역 ODA사업 정보 제공 및 참여 활성화 지원

ㅇ 전북지역 5개 대학 및 3개 기관에서 총 13명 참여

구분 대학 기관

(단위 : 명)

기관명 원광대학교 전북대학교 전주대학교

전주

비전대학교

한일장신

대학교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

센터

전라북도

국제교류센터

한국탄소

융합기술원

인원 3 1 1 1 1 1 2 3

다. 향후 고려사항

□ ODA 사업 참여에 관심 있는 전북지역 대학·기관 간 네트워킹 강화 및 협력방안 모색

44


2019 JBIDCC ANNUAL REPORT

2 - 3

ODA 이해증진 및 진로탐색 상담(수시)

가. 사업개요

목적

대상

장소

내용

국제개발협력 분야 관심 제고 및 ODA 사업 참여 확대

국제개발협력 분야 및 진로 방안에 관심 있는 학생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о 국제개발협력 분야 참여 사업 소개

о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소개 및 진로 소개

나. 추진 실적

월 내용 횟수(회) 인원(명)

1월 전북대 우수학과 수원국조사 활동 자문, 진로상담 3 7

2월 국제개발협력 분야 참여 방안 및 진로상담 3 4

4월 진로 상담 및 논문공모전 참여방안 상담 1 2

5월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상담 및 WFK 봉사단 홍보 상담 2 5

8월 국제개발협력 분야 참여 방안 및 진로상담 1 1

9월 국제개발협력 분야 참여 방안 및 진로상담 5 18

10월 진로 상담 및 대외활동 참여 방안 상담 1 1

11월 KOICA 봉사단 홍보 상담 및 진로상담 5 6

12월 국제개발협력 분야 참여 방안 및 진로상담 3 6

합계 24 50

다. 운영성과

□ KOICA·ODA 인지도 제고 및 해외봉사 참여 의식 확산

□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로 상담 병행으로 진로 모색 및 대외활동 참여 지원 등 글로벌 인재 양성 기여

□ 귀국봉사단 전북 커뮤니티와 협업 강화

4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2 - 4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가. 사업개요

사업명

목적

대상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일반교육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대한 이해 제고 및 사업 수행을 위한 역량강화 지원

전라권 대학 및 연구기관 소속 아카데미 파트너

일시 4월 19일 ~ 4월 20일, 09:30-17:00

장소 전북대학교 상과대학 2호관 참여인원 22명

о 국제개발협력과 민관협력사업의 이해

내용

о PCM(Project Cycle Management)와 PDM(Project Design Matrix)

о 개발도상국 현지 조사 연구를 위한 이론과 사례 실습 워크샵

나. 교육 내용

일시 강의주제 강사진

1일차

(4.19.)

09.30-11:00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동향과 이슈

전북대학교 문경연 교수

11:00-12:30 민관협력사업의 이해 서울대학교 김성규 교수

14:00-17:00 사업기획 이해(PCM)

2일차

(4.20.)

09:30-12:30

14:00-17:00

PDM을 통한 사업기획의 실제

(PDM 실습워크샵 포함)

M&E

(실습워크샵 포함)

발전대안 피다 한재광 대표

다. 운영성과

□ 4년 연속 일반교육 실시로 지역 대학 및 연구소 ODA 사업 참여 기반 확대

- 국제개발협력학회(KAIDEC)과 협업 지속

□ 지역 ODA 사업 정보 제공 및 참여 활성화 지원

□ 현지 지역조사 지원 공모에 참여하려는 아카데미 파트너의 역량 강화

□ 민관협력사업 기획 및 수행 관리체계에 대한 이해증진

46


2019 JBIDCC ANNUAL REPORT

3. ODA 홍보

3 - 1

개발협력의 날 행사

가. 사업개요

사업명

개발협력 WEEK 행사

목적

о 2009년 11월 25일 한국이 경제개발협력기국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에 가입한 것을

기념해 제정한 ‘개발원조의 날’을 맞이하여 전라권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제개발협력

인지 제고를 위한 참여 행사 운영

о 전북대학교의 ‘CK-1 국제개발협력 창의인재 양성사업단’과 행사를 공동 주관하여

홍보효과, 행사 다변화, 참여도 등 극대화

대상

일시

장소

전라권 소재 대학교 학생 및 일반인 대상

11월 21일, 11월23일, 11월 25일, 11월 26일, 11월 27일

전북대학교, 원광대학교, 전주 객사 중앙살림광장

행사

주관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JBIDCC),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해외봉사단원연합회(KOVA),

전북대학교 CK-1 국제개발협력 창의인재양성사업단

11월 21일 (원광대) 11월 23일 (전주 객사) 11월 25일

о1:1 해외봉사단 상담부스

о개발협력의 날 홍보부스

о1:1 해외봉사단 상담부스

о개발협력의 날 홍보부스

о대학생 ODA 포럼

구성

11월 26일

11월 27일

о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о개발협력 WEEK 기념

봉사활동 사진전

о 2019년 대학생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о 개발협력 WEEK 기념 봉사활동 사진전

о 1:1 해외봉사단 상담부스

4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나. 행사프로그램 상세 내용

연번 프로그램 행사내용 행사일 담당기관

1

개발협력

WEEK

홍보부스

ㅇ 개발협력의 날 찾아가는 WFK 해외봉사단 설명회

ㅇ 귀국인재와 함께 봉사단 설명 및 상담, 이벤트 진행

ㅇ 개발원조의 날 및 ODA 소개, 개발협력WEEK 홍보

11.21.

11.23.

11.26.

전북국제개발

협력센터

о 대학생 ODA 동아리원 대상

о 토론주제

- 국제교육개발협력

- 아프리카 원조, 어떻게 해야 지속가능해질까?

2

대학생 ODA

포럼

- 사다리 걷어차기

- 녹색혁명:Green Light ON!

11.25.

전북국제개발

협력센터

-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 빈곤, 왜 가난한 자는 가난할 수 밖에 없는가?

- 국제보건실태의 재조명

- 국제개발협력의 바람직한 미래

о 개인 혹은 팀(최대 3인)으로 참가

3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 휴학생 가능

о 발표주제

-해외봉사 경험 관련 자유주제

11.26.

전북국제개발

협력센터

4 개발협력 WEEK 해외봉사활동 사진공모전 수상작 사진전 상시

전북국제개발

협력센터

5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о 2인에서 최대 5인까지 팀 단위 참가 (개인 지원불가)

- 타 학교와 연합 참가 가능

о 발표주제

- ODA에 관련된 모든 주제

11.22.

전북국제개발

협력센터

48


2019 JBIDCC ANNUAL REPORT

다. 추진 실적

행사명 행사내용 참여인원

о 총 31명의 대학생 참여

대학생 ODA 포럼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о 8개 주제에 대하여 토론

о 4년 연속 개최로 지역 내 지속적인 ODA 논의의

장 마련

о 전라권 3개 대학 21명 참여

о 대학별 봉사활동 사례, 경험 및 발전방안 제시

31명

21명

개발협력 WEEK 홍보부스 о 개발원조의 날 및 봉사활동 프로그램 소개 279명

개발협력의날 기념 사진전 о 해외봉사활동 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 321명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о 8팀 19명 참가 66명

합계

718명

라. 운영성과

□ 지역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국제개발협력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ODA에 대한

재미와 관심도 제고

ㅇ ODA 포럼,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ODA 프레젠테이션대회, 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 등

□ 전년도 대비 전체 행사 참여자 수 증가

ㅇ '18년도 249명 → '19년도 718명

□ 대학생 주도의 참여 행사 개최로 ODA 관심 제고 및 참여 활성화

ㅇ 지역 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국제개발협력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계기 마련

□ 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와 사진공모전 시상식을 연계하여 봉사활동 축제의 장 마련

ㅇ 수상자 담당 교수, 담당 직원 등 참관

□ 지속적인 행사 개최를 통해 지역 최대의 개발협력 WEEK 행사 발전 가능성 도모

□ KOICA, KOVA 등과 협력을 통해 대학생 친화적인 참여 행사 다양화 및 홍보 효과 제고

마. 향후 고려사항

□ 개발협력 WEEK 행사가 ODA 관련 최대의 축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지속 개발 필요

4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3 - 2

ODA 포럼

가. 사업개요

사업명

목적

대상

전북 대학생 ODA 포럼

국제개발협력 분야 주요 쟁점 공유 및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나아갈 방향을 위한 시사점 도출

대학생 ODA 동아리 부원

일시 11월 25일, 18:00-20:00

장소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센터 201호 참여인원 31명

о 주제발표

- 국제교육개발협력

- 아프리카 원조, 어떻게 해야 지속가능해질까?

- 사다리 걷어차기

내용

- 녹색혁명:Green Light ON!

-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 빈곤, 왜 가난한 자는 가난할 수 밖에 없는가?

- 국제보건실태의 재조명

о 종합토론

- 주제 : 국제개발협력의 바람직한 미래

나. 행사프로그램 상세 내용

시간 프로그램 비 고

17:30-18:00 (30M) 등록

개회식

18:00-18:05 (5M) 개회사 : 신교승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장 사회 : 박지혜

주제 발표

18:05-18:20 (15M) 국제교육개발협력 유효지

18:20-18:35 (15M) 아프리카원조, 어떻게 해야 지속가능해질까? 김민영

18:35-18:50 (15M) 사다리 걷어차기 김예찬, 이종민

18:50-19:05 (15M) 녹색혁명:Green Light ON! 이대현

19:05-19:20 (15M)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황현정

19:20-19:35 (15M) 빈곤, 왜 가난한 자는 가난할 수 밖에 없는가? 김나영

19:35-19:50 (15M) 국제보건실태의 재조명 이성주

종합토론

19:50~20:00(10M) 국제개발협력의 바람직한 미래

총평 및 종료

좌장(1) : 박지혜

토론자(7) : 발표자 7명

50


2019 JBIDCC ANNUAL REPORT

다. 운영성과

□ 대학생 총 31명 참여

□ 전북대학교 외 타 대학교 소속 학생의 행사 참여 (한일장신대학교, 우석대학교, 예수대학교 등)

□ 전북지역 대학생 주도 ODA 정보 공유 및 논의 활성화

□ 국제개발협력과 ODA에 대한 전북지역 대학생의 인지도 제고

□ 대학생의 시각으로 바라본 국제개발협력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 공유

□ 전라권 지역 학생들에게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분야(농업, 보건, 공공행정, 에너지, 환경 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4년 연속 ODA 포럼 개최로 지역 내 지속적인 ODA 논의의 장 마련

5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3 - 3

ODA 사진전

가. 사업개요

사업명

목적

대상

일시

장소

내용

ODA 사진전

대한민국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관한 인지도 제고

전라권 소재 대학교 학생 및 일반인 대상

9월 23일 ~ 27일, 9월 28일, 11월 21일, 11월 23일

전북대학교 건지광장, 전주역 지하보도, 원광대학교, 전주시 중앙살림광장

о 국제개발협력사업에 관련된 총 39점의 사진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시

о ODA에 관한 인지도 제고 및 관심 유발

나. 추진 실적

평화&SDGs축제 사진전 전주역 전시(9.23. ~ 9.27.)

구분 실적 참여인원

1회

평화&SDGs축제 사진전 전북대학교 전시 (9.28.)

개발협력의 날 기념 사진전 원광대학교 전시(11.21.)

개발협력의 날 기념 사진전 전주 중앙살림광장 전시(11.23.)

합계

1회

1회

1회

4회

약 3,474명

다. 운영성과

□ 유동인구가 많은 전주역 및 광장 사진전 개최로 지역 주민 및 일반인 대상 홍보범위 확대

□ 센터 행사 주관 시 사진전 병행으로 홍보효과 제고

라. 향후 고려사항

□ 사진전 관람 후 ODA에 관해 추가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을 위해 전시장소에 각종 리플릿 및 책자 구비필요

□ 유동 인력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도록 인구 밀도가 많은 시간에 전시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 개최 고려 필요

52


2019 JBIDCC ANNUAL REPORT

3 - 4

언론보도 및 온라인 홍보활동

가. 전북센터 facebook 및 홈페이지 운영

□ facebook 운영

- 2019년 게시 횟수 총 83회 (‘16년 3월말에 개설하여 현재까지 총 389회)

- 2019년 총 도달수 60,112회

- 총 누적 도달 횟수: 349,193회 (2019.12.31. 기준)

- 팔로워 922명 상회

□ 홈페이지 운영

- 2019년 홈페이지 방문 총 4,274회, 총 누적 방문 수 16,569회 (2019.12.31. 기준)

- 센터 사업과 KOICA 각종 행사 공지로 전북지역의 ODA관심 및 KOICA사업 참여 제고

나. 전북센터 카드뉴스 · 뉴스레터 제작

□ 전북센터 카드뉴스 제작

- 센터소식 및 행사 결과 등으로 구성 (총 15회 제작, facebook 게제)

☞ 행사 결과를 사진과 함께 취합하여 구독자에게 핵심 정보 제공 및 행사 참여 유인

□ 전북센터 뉴스레터 제작

- 총 2회 제작, facebook 게재

- 센터 소식 및 행사 안내, 센터장 칼럼, 인터뷰 등으로 구성

☞ 각종 정보 공지와 함께 센터의 업무열의를 대외에 인지시키는 수단으로 활용

다. 각종 계기 홍보

□ 센터 각종 행사시 언론사 계기 홍보 적극 실시

- 신문보도 21회 등

라. 운영성과

□ 지역 ODA 접근성 강화

□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활동으로 ODA 인지도 및 사업 참여율 제고

- 조회수 및 팔로워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5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4. 전략사업

4 - 1

해외봉사활동 카드뉴스 공모전

가. 사업개요

사업명

해외봉사활동 카드뉴스 공모전

о 경험 공유를 통한 지역 내 봉사활동 의식 고취 및 해외 진출 프로그램 관심 유도

목적

о 센터 뉴스레터 및 기타 행사에 홍보자료로 활용

о 센터의 행사 및 교육 관련 인적 네트워크형성

대상

일시

주체

전라도 소재 학교 재학생 또는 거주자 (작년 수상자 제외)

※ 최근 10년 이내(2009.7 이후) 해외봉사활동 경험자

7월 15일 ~ 8월 16일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주제

о 나에게 해외봉사활동이란

о 나의 해외봉사활동 이야기

나. 추진 실적

□ 총 28점의 카드뉴스 접수

□ 총 34명의 대학생 및 해외봉사단원 참여

대학(원)생

기타

기관

전북대학교(22). 한일장신대학교(6), 원광대학교(3),

원광보건대학교(1), 전주대학교(1)

한국주거복지 사회적 협동조합(1)

합계

총 5개 대학 33명

및 기타 1명 참여

54


2019 JBIDCC ANNUAL REPORT

다. 운영성과

□ 총 34명 참여, 28점 접수

- 전북대 66.6%, 타 대학 및 고등학교 32%

- (유형별) 대학생 5개교 22명, 기타 1개 기관 1명

□ 수상자 15명

- (소속별) 전북대 10명, 한일장신대 4명, 한국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 1명

□ 전북대 외 전라도 전체 권역에서 공모전 참여 및 수상

- 센터 인지도 및 수혜대상 확대

□ 수상작은 향후 센터 홍보에 활용

- SNS, 홈페이지, 온라인 게시전 등

□ 전라권 지역 내 대학생/일반인들에게 봉사활동 의미 모색 및 참여 의식 고취

□ 다양한 학교와 학생들의 참여로 전라권 지역에서 센터의 인지도 제고

□ 출품자들에게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참여를 독려하여 개발협력 WEEK 참여자 증가

□ 당선작 카드뉴스는 추후 센터 행사 홍보자료로 활용

5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4 - 2

전북지역 대학생 ODA 동아리

가. 사업개요

사업명

대학생 ODA 동아리

목적

о 전북지역 대학 내 국제개발협력 분야 핵심 인재 양성

о 동아리 구성원을 기반으로 전북지역 내 ODA 인식확산 도모

대상

국제개발협력에 관심 있는 전라북도 소재 대학교 학생

일시 2019년도 하반기 (3기) 참여인원 34명*

о 국제개발협력 관련 연구 및 토론

내용

о 국제개발협력 도서를 읽고 관련 이슈에 대한 시각의 공유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구성원의

국제개발협력 분야 가치관 정립 및 전문성 제고

о 국제개발협력 분야 핵심 인재 간의 네트워크 형성 및 정보 공유

* 수료기준 18명

나. 추진 실적

□ 동아리 구성

о 구성 인원

- 전북대 소재 대학생 34명

(전북대학교 16명, 한일장신대학교 1명, 우석대학교 1명, 예수대학교 1명)

о 담당 교수 :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신교승 센터장

다. 운영성과

□ 전북지역 국제개발협력 분야 핵심인재 양성 및 ODA 인지도 제고

- 정기 모임(6회) 시 연구도서 발제 및 이슈 토론을 통한 국제개발협력 소양 함양 및 가치관 정립

□ ODA 네트워크 형성 및 센터 사업 지지그룹 확보

□ 향후 전북지역 국제개발협력 대표 동아리로의 발전 가능성 모색

□ 동아리원 중 국제개발협력 분야 진출 희망자 다수

- 센터 YP 지원 및 선발 등

56


2019 JBIDCC ANNUAL REPORT

□ 동아리 활동내용 : 2019년도 하반기 (3기)

번호 일자 내용(연구도서) 참석인원

1 8.14. 오리엔테이션 10명

2 9. 4. 간담회 20명

3 9. 9. 『국제교육개발협력』 23명

4 9.16. 『사다리 걷어차기』, 『아프리카원조, 어떻게 해야 지속가능해질까?』 17명

5 9.30. 『굶주리는 세계』 16명

6 11. 4.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18명

7 11.11. 『진보와 빈곤』, 『빈곤의 역사』 12명

8 11.18. 『국제보건실태의 재조명』, 『원조와 개발』 10명

9 12.27. 종료평가 회의 15명

라. 향후 고려사항

□ 활동 중간 이탈자 발생 방지를 고려하여 동아리원 선발 시 전화 면접을 통해 열의 및 성실도 파악

□ 참여 보상 이벤트를 통해 참여율 증진

5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4 - 3

전북 대학생 ODA 홍보단 '오다 水 '

가. 사업개요

사업명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서포터즈 대학생 ODA 홍보단 '오다 水 '

ㅇ 대학생 주도의 참신한 ODA 콘텐츠 제작 및 유통

목적

ㅇ 홍보단을 기반으로 전라도 내 ODA 인지도 확산 도모

ㅇ 전라도 지역 대학 내 국제개발협력분야 정보교류 활성화

대상

사업기간

국제개발협력에 관심 있는 전라도 소재 대학생 5인

2019년도 하반기

나. 추진실적

□ 홍보단 구성

о 구성 인원

- 전라북도 소재 대학생 5명 (전북대학교 4명, 원광대학교 1명)

다. 운영성과

□ 센터 프로그램 직접 참여 후 카드뉴스 제작(7건) 및 홍보부스 기획 및 운영(3회)

□ 홍보단 주도의 취재 및 홍보 활동을 통해 참신한 ODA 콘텐츠 제작·유통

- 카드뉴스, 포스터 제작 및 평화&SDGs 축제, 개발협력 WEEK 등 행사 홍보부스운영

□ 국제개발협력 분야에 관심과 열정이 있는 인재들 간 관련 분야 정보 공유의 장 형성

- 활동 중 1명 KOICA 프로젝트 봉사단 파견

□ 지역 ODA 정보교류 활성화 및 인지도 제고

□ 센터 홍보부스 운영 시 홍보단의 인력 지원 등 적극적인 참여

58


2019 JBIDCC ANNUAL REPORT

4 - 4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가. 사업개요

사업명

2019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목적

о 개발협력의 날을 기념하여 지역 대학생 해외봉사활동 경험 공유

о 전라권 대학생들의 해외봉사활동에 대한 참여 및 관심 제고

대상

전라권 소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 작년 수상자 제외

일시 11월 26일, 13:00-18:00

장소

주제

전북대학교 진수당 2층 바오로홀

해외봉사 경험 관련 자유 주제

나. 추진 실적

□ 총 21명(13팀)의 대학생 참여 (전북대학교 18명, 전남대학교 2명, 한일장신대학교 1명)

□ 본선 당일 총 13팀(18명) 시상 (대상 1팀, 최우수상 2팀, 우수상 3팀, 장려상 7팀)

□ 대회장 입구에 ODA 사진전 전시

다. 운영성과

□ 총 21명의 대학생 참여 (전북대학교 18명, 전남대학교 2명, 한일장신대학교 1명)

□ 전라권 지역 학생들에게 해외봉사활동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관심을 제고하여 해외봉사활동 참여 독려

□ 발표 자료의 형식 및 발표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아 자율적이고 개성 있는 발표를 통해 다양한 내용과 형식으로

흥미로운 사례경진대회 진행

□ 개발협력의 날을 기념하여 지역 축제의 장 마련

□ 개발협력의 날 계기 WFK 봉사단 모집설명회 및 1:1 상담부스, ODA 사진전 연계 실시로 해외봉사단 홍보

효과 제고

5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4 - 5

대학생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가. 사업개요

사업명

2019 대학생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목적

о ODA에 대한 전라권 지역 내 인지도 확대 및 참여 활성화

о 국제개발협력 분야 현안과 쟁점에 대한 인식 증진 및 ODA에 대한 가치관 정립

о 전라도 내 대학생의 발표 역량을 제고하여 프레젠테이션 능력 배양

대상

전라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일시 11월 27일, 13:00-18:00

장소

전북대학교 진수당 바오로홀

나. 추진 실적

□ 관객 포함 총 66명의 대학생 및 일반인 참여

□ 총 19명(8팀) 지원

□ 본선 당일 총 8팀 시상 (대상 1팀, 최우수상 2팀, 우수상 5팀)

□ 대회장 입구에 ODA 사진전 및 해외봉사 1:1 상담부스 설치

다. 운영성과

□ 전년 대비 참여자 수 증가 ('18년 49명 → '19년 66명)

□ 전북대학교 외 타 대학의 행사참여 (18년도 개선사항 달성)

□ 전라권 지역 학생들에게 무상원조 뿐만 아니라 유상원조와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분야(농업, 보건, 환경 등)

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대회장 앞에 해외봉사 사진전 수상작, 개발협력의 날 홍보 판넬,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소개 판넬 비치, WFK

해외봉사단 상담부스를 운영함으로써 행사장 주변 유동인구의 ODA 관심 유발

□ 대학생 주도의 참여 행사 개최로 ODA 관련 다양한 의견 공유 및 발표 능력 함양을 통해 지역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

□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사진전 등과 연계하여 개발협력의 날 기념 축제의 장 마련

60


2019 JBIDCC ANNUAL REPORT

4 - 6

세계시민교육 강사 육성

가. 사업개요

사업명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

목적

о 양질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강사 양성 및 역량 강화

о 전북 지역 내 초·중·고등학교의 세계시민교육 수요에 따른 안정적인 강사 파견 환경 마련

대상

대학교 ODA 이해증진사업 강의 수강자, ODA 정규교육 수료자 또는 해외봉사활동 경험자

일시

8월 22일 ~ 23일

장소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센터 609호 참여인원 13명*

* 수료기준 12명

나. 프로그램 상세 내용

날짜 시간 내용 강사

09:40-10:00 오리엔테이션

1일차

(8.22.)

10:00-11:30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11:40-12:30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KOICA 지구촌체험관

정지현 차장

14:00-16:50 '우리는 세계시민' 수업모듈 실습(초등)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성은경 강사

2일차

(8.23.)

10:00-11:50 '우리는 세계시민' 수업모듈 실습(중등)

13:20-14:10 '우리는 세계시민' 수업모듈 실습(고등)

서율여자간호대학교

윤 연 강사

14:20-16:20

강의 시연·피드백

세계시민교육 노하우 특강

KOICA 글로벌인재교육원

김상우 과장

6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다. 운영성과

□ 교육 수강 및 수료율 : 총 13명 수강, 12명 수료(수료율 92.3%)

* 교육과정 100% 참석자,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 수료증 발급

□ 센터 자체 강사 양성을 통한 전북지역 강사풀 확대

□ 수강후기를 통해 수강생들로부터 참여 활동 수업의 높은 만족도 확인

□ 수도권 외 유일한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으로 지역 전문교육 수요 충족 및 수혜그룹 확대

라. 향후 고려사항

□ (사후관리) '세계시민교육 강사 양성과정'의 보수 및 심화교육 요청

□ 강사의 진로변화 등 강사풀 변동에 대비하여 지역 내 거주 중인 WFK귀국단원 강사 인력 확대

□ 평가 결과

구분 평균점수 주요 평가내용

이해도평가 3.458

о 사전 2.917점에서 사후 4.000점으로, 동 과정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교육효과

평가

강의수강

목적*

4.444

개인적 관심

(77%)

о 교육효과 평가 평균은 4.444점으로, 특히 '진로탐색' 항목과 '사업참여의사' 항목이

4.500점 동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국제개발협력 진로 탐색 및 사업에 대한 이해

제고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됨

о 수강생 수강 목적은 '개인적 관심'이 3.83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개발 및 탐색'이 3.750점으로 2위를 차지함. 수강생 연령대는 20대가 83.3%

(10명)으로 가장 많았음.

강의평가 4.125

о 강의 평가 평균은 4.125점으로, '강의구성 체계성' 및 '강의목표 부합'이 동일하게

4.25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강의 시간이 짧았거나 길었다는 의견이 다소 있어

'강의시간 적절성'에서는 3.833점으로 낮게 나타남.

강사평가 4.646

о 강사 평가는 4.646점으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으며 특히 '전문성'과 '강의 전달

능력' 항목이 4.63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남.

교육운영

평가

4.667 о 교육 운영 평가는 4.667점으로 원활한 교육 운영에 대해 만족하였다고 평가됨.

* 1순위 5점, 2순위 4점, 3순위 3점, 4순위 2점, 5순위 1점

62


2019 JBIDCC ANNUAL REPORT

5. 지자체 협력사업

5 - 1

네팔 농촌역량강화 시범사업

가. 사업개요

사업명

네팔 농촌역량강화를 위한 시범사업

о 전라북도는 2018년 KOICA 정부부처 제안사업 공동기획 대상으로 선정되어 네팔 푸타르지역

ODA사업을 발굴하며 ODA사업 진입 단계에 있음.

추진배경

о 네팔 푸타르 지역은 2020년 하반기 KOICA 사업으로 '푸타르 아웃리치 센터'를 개소할 대상지

이며, 동 센터 개소에 앞서 전라북도는 네팔 카트만두대학교 둘리켈 병원과 협력하여 지역농가

소득 증대, 기초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임.

о KOICA 지자체 협력사업 예산 지원을 통해 지자체에서 기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안정적인 예산

확보를 통한 사업 효과 제고 및 향후 ODA 사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

협력기관

사업기간

사업내용

전라북도 국제교류센터, 네팔 카트만두대학교 둘리켈 병원

2019년 10월 ~ 12월 (3개월)

о 시범농장 운영

о 소규모 보건시설 운영

나. 운영성과

□ 시범농장 설치 및 운영

- 온실 3개, 묘목장, 관개조직 설치

- 약초 및 약용식물 5종과 야채 5종 재배

- 지역농민 교육 2회 실시, 총 53명 참여

□ 소규모 보건시설 설치 및 운영

- 진료소 및 의약품 저장소 각 1동 설치

- 지역주민 검진 실시 : 총 612명

□ 시범 농장 운영을 통한 소득 작물 재배로 농민 역량 강화 및 소득 증대 기반 마련

□ 기초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및 보건상태 개선

6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5 - 2

전라북도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확산사업

가. 사업개요

사업명

전라북도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확산 사업

о 전라북도 산하 교류센터는 2018년 초반 KOICA 성남 지구촌체험관 전시물을 이전하여 지역

도민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및 체험활동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 센터와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교육을 함께 실시해 왔음

추진배경

о 2019년 9월부터 우리 글로벌라운지로 공간을 바꾸어 세계시민교육장을 마련하고 내외국인이

참여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우리 센터와 협업하여 지속적인 세계시민

교육과 다양한 체험활동 제공으로 지역 세계시민교육 확산에 기여하고 있음

о 교류센터 자원을 활용하여 비교적 세계시민교육의 소외 계층일 수 있는 지역 다문화가정을

적극적으로 찾아 세계시민교육을 제공하고 ODA 홍보대사로 임명하여 국내외 정부 ODA

사업 및 전라북도를 직접 알릴 수 있는 기회 마련

협력기관

사업기간

전라북도 국제교류센터

2019년 10월 ~ 12월 (3개월)

о 세계시민교육 강사활동

사업내용

о ODA 홍보대사 활동

о 모국의 ODA 사업 현장 방문

나. 운영성과

□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확산

- 세계시민교육 6차시 실시, 총 56명 수강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 : 5명

- 세계시민교육 키트활용 워크숍 및 ODA 특강 실시

- 모국방문 및 ODA사업 현장 견학 실시

□ 소외계층인 다문화가정 대상 세계시민교육 확대로 세계시민교육 사각지대 개선

□ 다문화가정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을 통해 다문화가정 내 세계시민교육 이해 제고 및 확산 토대 마련

64


2019 JBIDCC ANNUAL REPORT

6. 지역특성 ODA사업

6 - 1

ODA 특강

가. 사업개요

사업명

지역특성 ODA사업 특강

о 국제개발협력과 ODA에 대한 인지도 증가 및 ODA사업 참여 유도

목적

о 지역기관 협력방안 모색

о 봉사소양을 갖춘 봉사자 확산에 기여

운영

횟수

장소

5회

대상 기관 (방문교육)

주요

내용

о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소개

о 국제개발 및 타문화 이해 교육

о 해외봉사 소양교육 및 팀 빌딩(team building)

나. 추진실적

번호 내용 일자 참석자

1 월드투게더 특강 2.28. 12명

2 군산시 자원봉사센터 특강 6. 1. 11명

3 전북대 간호대학 특강 10.16. 11명

4 전북대 공과대학 특강 10.17. 15명

5 전북대 베트남 후에 사업팀 특강 11.11. 21명

합계

70명

다. 운영성과

□ 지역 ODA 인재양성 및 센터 사업 지지기반 확보

□ 지역 유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ODA 저변 확대 및 네트워킹 활성화

- 군산시 자원봉사센터 특강 실시

□ 기존 정규 ODA 교육 외에 지역 특성 및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이해증진 교육 프로그램 실시

6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6- 2

WFK 귀국봉사단 지역커뮤니티 협력활동

가. 사업개요

사업명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KOVA 전북커뮤니티 사랑의 연탄 나눔

목적

ㅇ 한파 대비 연탄 나눔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어려움을 공감하며 함께 만들어 가는

지구촌 이웃사랑 실천

ㅇ WFK 귀국봉사단 지역커뮤니티와의 협력활동으로 단원들의 해외봉사활동 경험 등의

자원을 지역 공익활동 및 사회 환원에 기여

대상

봉사활동 참여를 희망하는 누구나 참여가능

일시 11월 30일, 08:00-13:30

장소 전주 지역주민 4가구 참여인원 44명

나. 운영성과

□ 3년 연속 연탄나눔 봉사활동 실시로 WFK 전북 커뮤니티와 연합하여 지역사회 공익활동 활성화

□ 전북대 외국인유학생, 졸업생, 재학생 등 다양한 신분의 학생 참여로 새로운 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학내 센터 인지도 제고

□ 전북도민일보, 전북타임스, 전북대 뉴스 등 언론보도로 센터 활동 홍보

다. 기타 협력 활동

□ 해외봉사단 모집설명회 및 상담/홍보부스 운영 시 귀국단원 1:1 상담 참여

□ 차세대 시민교육 특강 강사로 활동

□ ODA 사업 공동 발굴 및 자문위원회 운영

66


2019 JBIDCC ANNUAL REPORT

6 - 3

ODA사업 맞춤형 컨설팅

가. 자문활동 내역

구분 기관 내용 일자

1 전북대, 대사협 등 프로젝트 봉사단 참여 방안 논의 3.19.

2 전북대, 전주대, 비전대 등 KOICA 프로젝트 봉사단 면접위원 간담회 4. 6.

3 글로벌에코비전 민관협력 ODA사업 참여 방안 자문 5.14.

4 ㈜가오스 김성태 민관협력 ODA사업 참여 방안 자문 8.20.

5

6

7

한베우호증진교류협회

박성웅 이사 등

한베우호증진교류협회

박성웅 이사 등

㈜NH NETWORKS

허중빈 부사장

KOICA IBS 사업 참여 방안 자문 12.11.

KOICA IBS 사업 참여 방안 자문 12.17.

KOICA IBS 사업 참여 방안 자문 12.19.

8 한일장신대 소성섭 교수 등 대학교이해증진사업 개선방안 자문 12.30.

나. 운영성과

□ 지속적인 자문활동으로 전북지역 ODA사업 참여 확대

○ 전북대·우간다 프로젝트 봉사단 사업 선정

□ 전북지역 기관 자문위원 활동을 통한 지역 ODA network 구축

- 전북국제교류센터 자문위원

- 지속가능발전 혁신네트워크 자문위원

☞ 해당기관(사업) 국제화 지원 및 ODA 생태계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6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6- 4

지역 ODA 전문가 관리운영

가. 사업개요

사업명

목적

지역 ODA 전문가 관리운영 간담회

ㅇ ODA 전문가 자문을 통한 효율적인 센터 업무 수행 및 지역 ODA 참여 활성화 기여

일시 12월 27일, 11:00-14:00

장소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 센터 참여인원 14명

나. 주요내용

□ 2019년도 주요 성과 논의

ㅇ ODA교육 내실화

- KOICA ODA 교육원과 공동 실시로 교육 및 관리·운영 품질 제고

- KOICA 이사장 명의 수료증 발급으로 교육원과 동일한 수강생 혜택 제공 및 지역 ODA 교육 격차 해소 기여

ㅇ 지역 참여 프로그램 다양화

- KOICA 월드프렌즈 사업팀과 공동으로 전북대 대동제, 개발협력 WEEK 계기 1:1 상담 및 모집설명회 실시

- 지역 최초 평화&SDGs 축제를 통해 주민 대상 참여 프로그램 확대

ㅇ 지역 ODA 생태계·networking 확대

- 국제개밣협력 분야 진로 방안 등 자문을 통한 지역 인재의 YP, 봉사단, ODA 자격시험 등 참여 증가에 기여

- WFK 귀국봉사단 전북 커뮤니티와 연탄나눔활동, 세게시민교육, 백일장 심사 등 지속적인 협력활동 실시

ㅇ 취약계층 대상 세계시민교육 확대

- 사회배려층 대상 활동을 확대해 나가는 KOICA의 기조에 발맞춰 지자체 협력사업 일환으로 전주 거주 결혼

이주여성 대상 세계시민교육 실시 및 강사양성

□ 지역 ODA사업 참여 활성화 방안 논의

ㅇ KOICA 사업 참여를 위한 센터 역할 확대

- 지역 학교, 기관 등의 KOICA 사업 참여에 센터의 역할 확대를 위해 정기적인 논의 및 협력 활성화

- 잠재적 파트너 발굴을 위한 자문 활동 확대

ㅇ 지역 개발협력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 방안 모색

- 센터 주관 ODA 정규교육,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일반교육 등 참여 독려

- 전북 커뮤니티와의 협력 활성화 및 신규 귀국 단원 영입을 위한 방안 모색

68


2019 JBIDCC ANNUAL REPORT

6 - 5

ODA 인식 조사

가. 사업개요

사업명

목적

대상

일시

전북 지역 ODA 인식조사

전북 지역 ODA 인식 현황과 센터 사업 수요 파악을 통해 효율적인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한

시사점 도출

전북 지역 거주자 412명

12월 24일 ~ 30일

나. 조사결과

□ 응답자 구분 : 총 412명

성별

나이

소속

유형

거주지

구분 사례수 구성비(%)

전체 412 100.0

남 212 51.5

여 200 48.5

20대 12 2.9

30대 116 28.2

40대 85 20.6

50대 85 20.6

60대 이상 114 27.7

대학(원)생 7 1.7

공공기관 77 18.7

민간기업 45 10.9

시민단체 11 2.7

일반인 272 66.0

전주 223 54.1

완주 4 1.0

익산 75 18.2

군산 15 3.6

전북 기타 95 23.1

6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 응답 결과

70


2019 JBIDCC ANNUAL REPORT

다. 운영 성과

□ 전북 지역의 대외원조 제공 인지도('매우 잘 앎', '어느정도 앎')는 45%로 나타남.

※ '18년도 KOICA 조사 결과 '알고 있다' 40.0%

□ 센터 인지도는 22%로 전년도에 비해 약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18년도 16.0% → '19년도 22.0%)

라. 주요 결과 및 시사점

□ 최근 3년 전북 지역 ODA 제공 인지도는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17년도 34% → '18년도 40% → '19년도 45%)

□ ODA 제공 인지도(45%)와 ODA 용어 인지도(34%)와 비교하면 우리 정부의 원조 제공 사실은 알고 있으나,

ODA 용어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나 용여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우리 정부의 ODA 제공 사실에 대해 '찬성('적극 찬성', '찬성')하는 응답은 80%로 나타남.

□ 우리 정부의 ODA 제공이 수원국의 경제발전과 빈곤퇴치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ODA 효과여부)에 대하여

'그렇다('매우 그런 편', '그런 편')'는 응답은 78%로 나타남.

□ 2020년까지 GNI 대비 0.2%까지 ODA 증액 계획에 대하여 찬성('적극 찬성', '찬성하는 편')하는 응답은

74%로 나타남.

□ 전반적인 ODA에 대한 의견(ODA 제공 찬성, ODA 효과, ODA 규모 확대)이 긍정적이며 전북 지역 ODA

인지도 제고는 ODA에 대한 긍정적인 공감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 ODA 및 개발협력 사업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1순위는 인터넷(42%)으로, 향후

센터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등을 적극 활용하여 온라인 홍보 활동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마. 향후 고려사항

□ 전반적으로 ODA 제공 인지도는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나 ODA에 대한 의견(대외원조 제공,

대외원조 효과, ODA 규모 확대)은 긍정적임

- 홍보 활동 강화를 통한 인지도 제고는 ODA에 대한 긍정적인 공감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

□ 센터 사업 참여 경험이 없는 응답자가 97%로 압도적이며 ODA를 ‘전혀 모름’ 응답이 62%로 높으므로

접근성이 높고 이해하기 쉬운 콘텐츠 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이 필요함.

7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72


첨부 자료

업무협약

| 센터 관련 언론보도

| 센터 행사 사진

| 행사 포스터 및 홍보물

| 브로슈어



2019 JBIDCC ANNUAL REPORT

1. 업무 협약

□ 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 관련 전북대-전라북도-KOICA MOU 연장

7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76


2019 JBIDCC ANNUAL REPORT

7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2. 센터 관련 언론보도

가. 언론보도

※ 총 21회

□ KOICA 프로젝트봉사단 출정식 (9회)

구분 언론사 헤드라인 날짜

1 뉴스1 전북대, 코이카 봉사단 출정식 개최…우간다에 15명 파견 2019. 8.28.

2 뉴시스 전북대,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31일 우간다로 파견 2019. 8.28.

3 대학저널 전북대,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15명 우간다 파견 2019. 8.28.

4 전북도민일보 전북대 국제협력단 프로젝트 봉사단 출정식 2019. 8.28.

5 전주매일신문 전북대,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15명 우간다 파견 2019. 8.28.

6 투데이안 [전북대]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15명 우간다 파견 2019. 8.28.

7 데일리전북 전북대,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15명 우간다 파견 2019. 8.28.

8 뉴스웨이 전북대,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15명 우간다 파견 2019. 8.29.

9 오늘뉴스 전북대, '2019년 KOICA 프로젝트 봉사단' …28일 출정식 2019. 8.29.

□ WFK 귀국봉사단원 전북 커뮤니티 : 사랑의 연탄 나눔 봉사활동 (4회)

구분 언론사 헤드라인 날짜

1 대학저널 전북대 "연탄으로 이웃을 따뜻하게 해 주고 싶어요" 2019.12. 1.

2 쿠키뉴스 전북대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합동 연탄 나눔봉사 2019.12. 1.

3 투데이안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취약계층에 사랑의 연탄 나눔 2019.12. 1.

4 전북타임스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연탄으로 이웃을 따뜻하게 해 주고 싶어요' 2019.12. 2.

□ 다문화가정 고향방문 지원 (8회)

구분 언론사 헤드라인 날짜

1 뉴스웨이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2019.12.23.

2 데일리전북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2019.12.23.

3 투데이안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가정 고향방문 지원 2019.12.23.

4 대학저널 전북대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2019.12.23.

5 시사타임즈 전북대,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인화중심 공공외교' 주목 2019.12.23.

6 아시아뉴스통신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2019.12.23.

7 전주매일신문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2019.12.23.

8 뉴시스 전북국제개발협력센, 다문화가정 고향방문 지원…4박 5일 2019.12.24.

78


2019 JBIDCC ANNUAL REPORT

나. 주요 언론보도

□ 전북대 코이카 프로젝트 봉사단 15명 우간다 파견 - 2019.8.28. 대학저널

7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연탄으로 이웃을 따뜻하게 해 주고 싶어요

- 2019.12. 1. 전북타임스

80


2019 JBIDCC ANNUAL REPORT

□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다문화 가정 고향방문 지원 - 2019.12.23. 뉴스웨이

8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2019 JBIDCC ANNUAL REPORT

3. 센터 행사 사진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

2019년도 2학기 강의 모습

차세대 특강 및 국제개발 시민교육

19.02.28 월드투게더

19.04.19 전주 영생고등학교

19.08.29 광주 평동중학교

19.10.17 광양 제철고등학교

82

82


2019 JBIDCC ANNUAL REPORT

사진으로 보는 전북센터

정규 ODA 교육

05.27-5.28 기본과정

6.26-6.27 심화1과정

7.30-7.31 사업관리 기본과정

9.23-9.24 심화2과정

9.23-9.24 심화2과정

10.25-10.26 기본과정

8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글로벌 인재 양성

4.2 전북대 월드프렌즈

ICT 봉사단 모집설명회

4.9 전북대 KOICA

신입직원 채용설명회

8.13 전북대 글로벌연수

KOICA 정부부처 제안사업 설명회

8.22-8.23

세계시민교육 강사양성과정

9.21 KOCIA

세계시민교육 예비교사 세미나

11.19 전북대

ODA 데이터 활용교육

84


2019 JBIDCC ANNUAL REPORT

사진으로 보는 전북센터

ODA 조달 및 사업 설명회

4.19-4.20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일반교육

ODA 역사 사진전

9.28 전북대 평화&SDGs 축제 사진전

9.23-9.27 전주역 평화&SDGs 축제 사진전

8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개발원조의 날 행사

9.28 전북대 건지광장

평화&SDGs 백일장

11.21 원광대 개발원조의 날

찾아가는 WFK봉사단 모집설명회

11.23 전주 중앙살림광장

찾아가는 WFK봉사단 모집설명회

11.26 전북대 구정문 알림의 거리

찾아가는 WFK봉사단 모집설명회

11.27 전북대

해외봉사활동 사례경진대회

11.27 전북대

대학생 ODA 프레젠테이션 대회

86


2019 JBIDCC ANNUAL REPORT

사진으로 보는 전북센터

ODA 포럼

대학생 ODA 동아리

87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서포터즈 '오다 水 ' 2기

WFK 귀국봉사단 지역커뮤니티 협력활동 - 사랑의 연탄 나눔 봉사

88


2019 JBIDCC ANNUAL REPORT

3. 행사 포스터 및 홍보물

가. 행사 포스터

89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90


2019 JBIDCC ANNUAL REPORT

나. 행사 현수막 및 배너

91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92


2019 JBIDCC ANNUAL REPORT

93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보고서

4. 뉴스레터

가. 뉴스레터 vol.12

나. 뉴스레터 vol.13

94


2019 JBIDCC ANNUAL REPORT

5. 브로슈어

95


2019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운영성과 보고서

발 행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팩 스

홈페이지

2019년 12월 31일

전북국제개발협력센터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전북대학교 뉴실크로드센터 6층 608호

063) 270-4960

063) 270-4977

jbidcc.modoo.at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