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7.2014 Views

Use of analytical balance

Use of analytical balance

Use of analytical balance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1<br />

실험 1<br />

분석저울과 보조자 측경기 사용<br />

<strong>Use</strong> <strong>of</strong> chemical <strong>balance</strong> and vernier scales caliper<br />

1. 실험 목적과 원리<br />

저울은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기이며 천칭( 天 秤 ; <strong>balance</strong>; scale)이라고도 부른다.<br />

무게 분석법(gravimetry)을 비롯한 분석화학 실험의 기본 도구인 화학저울의 영점(zero<br />

point) 조절, 보조자(부척, 副 尺 , vernier scale) 눈금을 읽는 요령과 측경기(caliper) 활용법,<br />

직접 칭량법(weighing by directly) 및 무게차 칭량(weighing by difference), 분동을 이용한<br />

저울 검정 등 올바른 취급방법을 익히고, 주의점 및 칭량 오차의 원인과 처리 등을 이해<br />

하는 것이 실험목적이다.<br />

정량분석은 시료 중에 어떤 화학종이 얼마나 존재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br />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저울로 무게를 항량(constant mass: 반복 칭량 결과 ± 0.3mg 이내의<br />

오차)이 될 때까지 0.1mg 단위까지 정확히 칭량하는 것을 습관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br />

만약 칭량을 잘 못한 경우에는 나머지 실험을 값비싼 고급 실험 장비로 아무리 정확히<br />

잘 하여도 아무 소용이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저울은 항상 튼튼한 바닥 위<br />

에 올바르게 설치해 두고 깨끗하게 취급하면서 자주 검정할 필요가 있다. 과학자의 자질<br />

은 저울 취급자세만으로도 간단히 파악된다.<br />

1) 질량과 무게<br />

질량(mass)은 물체의 관성에 대한 정량 값으로 정의되며, 실제로는 물체가 힘을 받았을<br />

때 움직이는 속도와 위치의 변화에 대한 저항의 크기다. 위와 같은 정의가 내려지기 이<br />

전에 뉴턴은 물체의 질량이란 물체를 차지하고 있는 물질(matter)의 정량 값이라 하였다.<br />

질량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물체의 물질이 지닌 성질의 용어로 정의할 수 있다. 물체<br />

(object; body)는 공간을 차지하며 크기(=부피)와 모양, 색깔, 짜임(구성; texture)이라는 성


2<br />

질을 지니며 보고 느끼고 움직이는 것으로 설명된다. 물체가 차지한 공간의 구성 재료<br />

(substance)를 물질(matter)이라 한다. 물질은 공간을 차지하고 질량을 가지며, 원자 혹은<br />

쿼크(quark) 같은 작은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너지로 변환이 가능한 것이다.<br />

모든 물질은 관성( 慣 性 ; inertia)과 중력(인력; gravitation)이라는 특징적인 성질을 갖는다.<br />

즉, 정지상태에서 관성과 중력 특성을 지닌 존재는 모두 물질이다. 예컨대, 딸기, 설탕,<br />

공기, 휴대폰, 전선, 분자, 이온, 원자, 전자, 지구와 달이 모두 물질이다. 전자기 복사선도<br />

두 가지 특성을 어느 정도 지니며, 이 복사선은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중력이라는 성질<br />

은 모든 물질이 다른 모든 물질을 끌어당기는 성질이다. 관성이라는 성질은 모든 물체가<br />

그 운동을 변화시키려는 것에 저항하는 성질이다. 물체의 운동이란 물체가 어떤 힘을 받<br />

아 가속될 때의 변화이며, 운동의 속도나 방향의 변화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이다. 물<br />

체에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한에는 물체는 가속되지 아니하는 것이 물체의 관<br />

성이다. 즉, 물체의 관성이란 정지한 상태의 물체는 정지한 상태로 머물러 있고 만약 움<br />

직이는 물체라면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한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계속하<br />

려는 성질을 말한다(뉴턴의 제1운동 법칙; 관성의 법칙). 물체의 관성이 클수록 가해진<br />

힘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속도(acceleration)는 더 작다. 말을 바꾸면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br />

외부의 힘에 의한 변화는 더 작다. 어떤 물체에 1 뉴턴의 일정한 힘을 가할 때 가속도가<br />

1 m/s 2 이라면 그 물체의 질량이 1 kg이다.<br />

질량은 관성의 성질로 설명한 용어이다. 두 개의 물체에 각각 동일한 힘을 가할 때 발<br />

생된 그들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관성 질량(initial mass)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br />

개의 물체를 서로 충돌시킨다고 가정하자. 뉴턴의 제3 운동법칙(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에<br />

따르면 한 물체 1이 다른 물체 2에 힘을 가하면 물체 2는 물체 1에 크기는 같고 방향이<br />

반대인 힘을 동시에 작용한다. 만약 외부의 힘이 없고 두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한 값이<br />

각각 a 1 , a 2 라고 하면 두 물체의 질량 m 1 과 m 2 의 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정의된다.<br />

m 1 / m 2 = a 1/a 2<br />

이 식은 질량비에 불과하므로 다른 모든 물체의 질량과 비교할 수 있는 표준질량을 가진<br />

물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백금(90%)-이리듐(10%) 합금으로 만들어진 국제 킬로<br />

그램 원기(International Prototype Kilogram: IPK: Kilogram Standard: Le Gran K: 1 kg)가<br />

1889년 국제협약에 의해 선택되었다(그림 1-1). 이 원기는 지름과 높이가 약 39 mm인 원<br />

통형이고 4 o C에서 물 1000 cm 3 (=1 L)의 무게와 일치시키도록 1799년에 만들어진 일종의<br />

분동(저울추)이다. 이 원기는 파리 근교의 세브르(Sevres)에 위치한 국제도량형국(BIPM:<br />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International Bureau <strong>of</strong> Weights and Measures)에<br />

보관되어 있고 복제품이 미터조약 가맹국에 보급되어 있으며 주기적으로 원기와 비교하


3<br />

여 검정한다. 킬로그램 원기 자체 무게가 약 50 micrograms 정도 감소하여 더 정밀한 새<br />

로운 정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최근에 제안되었다. 새로운 제안으로는 12 C원자들의 18<br />

× 14074481 (cubed)의 질량을 1 g으로 규정하자는 안과 아보가드로 상수 (Avogadro's<br />

constant)가 84446886 (cubed)에 해당하므로 12 C 1 mole의 1/12을 1 g으로 규정하자는 안,<br />

Watt <strong>balance</strong> 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br />

그림 1-1. (왼쪽) 세브르 BIPM에 보관된 국제 표준 원기. (오른쪽) 국제 표준 원기의 복제품.<br />

질량을 중력의 성질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중력질량(gravitational mass)은 앞에서 언급<br />

한 관성질량과 구분된다. 뉴턴의 제3 운동 법칙에 따라 중력질량은 표준물체가 일정 거<br />

리에 떨어진 다른 한 물체를 끌어당기는 인력으로 부터 측정된다. 예를 들어 두 물체의<br />

중력질량을 비교하기 위해 지구 표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지구가 두 물체를 끌어당기는<br />

힘을 비교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하여 지구가 다른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의 크기를 무게<br />

(weight)라 한다. 물체의 중력질량은 물체의 무게를 비교한 것이다. 즉, 저울로 칭량한 무<br />

게는 중력질량에 해당된다.<br />

뉴턴은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를 통해 두 물체(점질<br />

량) 사이에 끌어당기는 힘(F)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m 1 ×m 2 )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br />

거리(r)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만유인력(universal force)의 법칙을 발표하였다.


4<br />

F = G×(m 1×m 2)/r 2<br />

여기서 G는 중력상수이며 6.67259×10 -11 N∙m 2 ∙kg -2 값을 갖는다. 만약 m 1이 지구의 질량<br />

이라면 지구가 끌어당기는 r 만큼 떨어진 다른 물체의 중력질량은 m 2이다. 이 물체의 관<br />

성질량이 m i 일 때 이 물체가 지상에서 자유낙하 하는 가속도(a)는 다음 운동방정식에 의<br />

하여 결정된다.<br />

F = m ia<br />

위 두 식으로부터 다음 관계가 유도된다.<br />

G×(m 1×m 2)/r 2 = m ia<br />

a = G×(m 1 ×m 2 )/(r 2 m i )<br />

a = g×m 2 / m i<br />

여기서 g 는 중력가속도이다. 적도표면에서 측정한 g 값(nominal standard gravity)은<br />

9.80665 m/s 2 이다. 그러므로 모든 물체는 그 중력질량 m 2와 관성질량 m i 이 같다면 a = g<br />

가 되므로 질량의 크기와 관계없이 동일한 중력가속도로 떨어진다.<br />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관성질량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고 정밀하지도 못하다. 그러<br />

나 무게를 칭량하는 것은 매우 쉽고 정밀하다. 19세기에 R. von Eotvos의 정밀한 실험 결<br />

과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은 일치한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 아인슈타인도 일반 상대성이론<br />

을 통해 중력질량과 관성질량이 동일한가에 관한 논란을 설명하였다.<br />

오늘날에는 질량을 관성의 성질로 정의하고 칭량에 의하여 측정한다. 무게 W는 질량<br />

m에 정비례하기 때문에 무게를 측정하여 질량을 구하게 된다. 즉, 중력의 가속도가 g인<br />

위치에서<br />

W = gm<br />

이다. 표준 분동(저울추: weights)의 무게를 W’라 하고 그 질량을 m’라 하면<br />

W’ = g m’<br />

이다. 동일한 위치에서는 g값이 동일하므로<br />

W = W’<br />

로 시료무게와 평형이 되는 표준 분동의 무게를 구하여 시료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5<br />

중력의 크기는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위치가 다르면 무게도 조금씩<br />

다르다. 지구 표면으로부터 지구 중심까지의 거리는 위도(latitudes)가 커질수록 감소하고<br />

지구 회전의 원심력(centrifugal force)은 적도(Equator)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한 물체의 관<br />

찰 무게는 적도에서 가장 작고 남극이나 북극에서 가장 크다. 그 차이는 약 1/300정도로<br />

제법 크다. 동일한 지점에서 한 물체의 무게는 지구 표면에서 가장 크고 해발 고도가 높<br />

아지거나 지하 심도가 깊어질수록 감소한다. 예를 들면 해발 3000 m 또는 지하 6000 m<br />

에서는 한 물체의 무게가 약 0.1% 감소한다. 그러나 한 물체의 질량은 위치에 관계없이<br />

항상 일정하다.<br />

질량의 SI 단위는 kg이다. 그러므로 1 g은 1×10 –3 kg이다. 1 pound (lb)는 0.45359237 kg<br />

에 해당한다. 공학 분야에서 주로 쓰이는 스러그(slug)는 32.174 lb (14.59 kg)에 해당한다.<br />

귀금속의 무게단위인 carat는 200 mg이다.<br />

질량은 직선적으로 증감하는 성질을 갖는다. 즉 1 kg에 2 kg을 더하면 합계 3 kg이 된<br />

다. 또한 질량은 보존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br />

2) 역학저울의 원리<br />

Balance라는 단어는 두 접시 (two pans)를 의미하는 라틴어 bi-lanx에서 유래하였다. 저<br />

울로 측정하는 양은 질량이 아니라 무게이다. 대부분의 분석 저울은 다음과 같은 원리들<br />

에 의해 작동한다.<br />

- 지레(lever)와 진자(pendulum)<br />

- 힘의 모멘트 (force moment)<br />

- 뉴턴의 제 2 운동법칙 (Newton's 2nd law <strong>of</strong> motion)<br />

- 탄성력(elasticity)의 Hook 법칙<br />

- 하중 전달 메커니즘<br />

- 전자기력 평형식: W = F = P = 2rnBI<br />

- 압전기 효과 (piezoelectric effect)<br />

저울은 기계식인 역학저울과 전기식인 전자저울로 크게 나뉘어 진다. 재래식 역학 저<br />

울은 사용이 불편하므로 편리한 전자저울로 빠르게 대치되고 있다. 아래의 그림 1-2에 도<br />

시된 대저울(beam <strong>balance</strong>)과 겹접시 양팔저울(double pans equal arms <strong>balance</strong>), 용수철저울<br />

(spring scale)은 모두 역학저울이다. 역학저울(기계식 저울: mechanical <strong>balance</strong>)은 측정하고<br />

자 하는 물체의 무게와 표준이 되는 힘을 1종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직접 비교하거나<br />

또는 힘의 모멘트와 비교하여 무게를 구한다. 역학저울과 전자저울의 표준이 되는 힘으<br />

로는 분동의 무게, 스프링의 탄성력, 진자의 복원력, 압력, 전자기력 등이 이용된다.


6<br />

그림 1-2 대저울(한국 민속박물관 소장), 겹접시 양팔저울(National Museum <strong>of</strong> American History),<br />

용수철 저울.<br />

지레(lever)는 받침 위에 막대가 놓여 있<br />

는 간단한 도구로서 일을 할 수 있다. 지레<br />

의 영어 lever는 프랑스 고어 levier에서 유<br />

래하였으며 “들어 올린다(to raise)”는 뜻을<br />

갖고 있다. 지레는 받침점, 작용점, 힘점이<br />

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림 1-3).<br />

Load<br />

Fulcrum<br />

Effort<br />

그림 1-3. 지레의 모형.<br />

막대모양의 지렛대와 받침이 맞닿은 곳을 받침점(지점; fulcrum) 또는 회전축(지도리:<br />

pivot point)라 부른다. 받침점은 칼날(knife edge)이 놓여 좌우 힘의 균형이 무너지면 저울<br />

대(beam, bar)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중추이다. 작용점(일점; 하중load;<br />

resistance)은 한 물체의 가운데 부분이 닿아 있는 지렛대 한 쪽 끝이다. 힘점(effort;<br />

application point <strong>of</strong> the force)은 힘을 가하는 지렛대의 또 다른 한 쪽 끝 부분이다. 힘점<br />

에 힘을 가하면 작용점의 물체에 힘을 미쳐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힘점은 힘을 가하는<br />

입력점(input)이고 작용점은 물체에 힘을 미치어 들어 올리는 일을 하게 되는 출력점<br />

(output)이다.<br />

지레는 받침점의 위치에 따라서 세 종류로 분류된다(그림 1-4). 작용점과 힘점 사이에<br />

받침점이 위치한 것을 1종 지레(first class lever)라 부른다. 대표적인 1종 지레의 예는 저<br />

울, 씨쏘(see-saw), 쇠지레, 가위(이중 지레, double lever)이다. 2종 지레(예: 수레바퀴, 자동<br />

차 운전대, 호도 깎기, 손톱 깎기의 손잡이) 는 힘점과 받침점 사이에 작용점이 놓인다.<br />

3종 지레(예: 팔, 핀셋)는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에 작용점이 놓인다.


7<br />

지레는 힘의 모멘트(회전능률; force<br />

moment)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힘의 모<br />

멘트(M)”란 물체의 무게(W)와 받침점에서<br />

물체까지의 거리(D)의 곱을 의미한다(M =<br />

WD). 힘(F)의 모멘트를 토크(torque: T) 또<br />

는 회전력(rotational force)이라고도 하며<br />

Newton-meter (N×m)의 SI단위를 갖는다. 즉<br />

지렛대 길이(lever arm)와 힘의 곱이 토크이<br />

다.<br />

Input<br />

Output<br />

Input<br />

Output<br />

Input<br />

Output<br />

First-class lever<br />

Second-class lever<br />

Third-class lever<br />

T = FD = M = WD<br />

그림 1-4. 지레의 분류.<br />

작용점과 힘점이 균형을 이루면 지렛대는 수평상태(equilibrium)가 된다. 즉, 지렛대가 수<br />

평이 되기 위해서는 받침점 양쪽의 힘의 모멘트가 같아야 한다.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br />

힘의 모멘트를 F 1D 1이라 하고 받침점과 힘점 사이의 힘의 모멘트를 F 2D 2라 하면, 지레는<br />

F 1 D 1 = F 2 D 2 관계가 성립할 때 평형이 된다(그림1-5).<br />

그림 1-5. 지레의 평형.<br />

힘이란 두 물체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크기이다. 힘은 질량을 가진 물체를 가속시킨다.<br />

힘은 크기와 방향을 가진 벡터량(vector)을 갖는다. 힘은 물체에 에너지를 주어 움직이게<br />

하거나 움직임을 정지시키거나 방향을 바꾸거나 압력을 변화시킨다. 뉴턴의 운동<br />

제 2 법칙에 따르면 “물체의 힘(F)은 물체의 질량(m)과 중력가속도(g)의 곱”(F =gm)이다.<br />

그러므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br />

F 1 D 1 = F 2 D 2


8<br />

W 1D 1 = W 2D 2<br />

W 1 = g m 1 , W 2=g m 2<br />

g m 1 D 1 = g m 2 D 2<br />

동일한 위치에서 g 는 동일하므로 만약 D 1 = D 2이면 다음과 같이 두 물체의 무게 W 1과<br />

W 2 는 동일하다.<br />

진자(pendulum)는 지지체의 고정된 위치에 매달려 앞뒤로 흔들리며 진동하는 물체이다.<br />

고정된 위치를 지도리(회전축:pivot point)라 하고 매달린 추를 진자추 (bob)라 부른다. 진<br />

자는 중력의 영향으로 평형 위치로 가속하는 복귀력(restoring force)을 갖는다. 진자가 멈<br />

춘 위치로부터 움직이면 그 복귀력이 평형점 주변에서 진자를 진동시킨다. 그림1-2의 재<br />

래식 진동형 역학저울인 겹접시 양팔저울(double pans equal arms <strong>balance</strong>)의 경우 가운데<br />

기둥(지주; column) 위에 좌우 길이가 같은 저울대의 칼날(knife edge)이 단단한 평판 위에<br />

놓여 있으며 칼날과 평판은 수정, 마노( 瑪 瑙 , agate), 사파이어와 같은 것으로 만든다. 이<br />

칼날을 받침점(fulcrum)으로 하여 저울대가 진동하는 것을 저울대의 중앙에 수직으로 고<br />

정된 지시침(지침; pointer)이 가리키는 눈금판(scale division)의 위치변화로 확인할 수 있<br />

다.<br />

지시침이 좌우 진동하는 진폭(amplitude)은 공기 저항 등의 마찰(friction)로 인하여 등비<br />

급수적으로 감소하여 어느 한 지점에서 평형상태가 되어 정지한다. 접시가 비어 있는<br />

상태에서 평형을 이루는 정지점을 영점(영위점; zero point)이라 부른다. 영점은 눈금판의<br />

중앙점인 0와 항상 일치하지는 아니한다. 그리고 왼쪽 접시에 물체를 올려 놓고 오른쪽<br />

접시에 분동을 올려 평형을 이루는 정지점을 휴지점(rest point)이라고 부른다. 지시침이<br />

평형을 이루며 정지할 때까지 적지않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진동법(swing method)을<br />

이용해서 평형을 이루는 정지점을 구한다. 지시침이 좌우로 진동할 때 왼쪽에서<br />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동방향이 바뀌는 회귀점을 연속 5회 정도<br />

관찰하여 아래의 그림 1-6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왼쪽 회귀점의<br />

평균값과 오른쪽 회귀점의 평균값을 재평균한 것이 정지점이 된다.<br />

가는 철사로 만들어진 매우 작은 U자형 분동을 rider라 하고 그 질량은 일반적으로 10<br />

mg 이다. 저울대(beam) 위의 눈금에 rider를 올려놓으면 해당 눈금의 mg 수와 같은<br />

질량을 가진 분동을 오른쪽 접시 위에 올려놓은 셈이다. 만약 진동법으로 측정한 저울의<br />

영점이 +0.5이고 왼쪽 접시에 시료를 올려놓고 오른쪽 접시에 2.25 g의 분동을 놓은 다음<br />

rider 위치가 3 일 때 정지점이 +2.3 이고 rider 위치가 4일 때 정지점이 –0.7 이라면 이 1<br />

mg 차이에 의한 저울의 감도는 +2.3 – (–0.72) = 3.0 이고 시료의 무게는 2.253 g과 2.254<br />

g 사이가 된다.


9<br />

Scale division<br />

0<br />

Left – 7.1<br />

– 6.9<br />

– 6.7<br />

Mean<br />

– 6.9<br />

Right<br />

+ 5.4<br />

+ 5.2<br />

+ 5.3<br />

Rest point<br />

=<br />

– 6.9 + 5.3<br />

2<br />

= – 0.8<br />

그림 1-6. 진동법에 의한 휴지점 계산.<br />

여기서 영점은 두 정지점 사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영점 +0.5와 제1 정지점 +2.3<br />

까지의 거리는 1.8이며 이 값을 감도 3.0으로 나누면<br />

{(+2.3) – (+0.5)} / {+2.3 – (–0.72)} = 0.6 mg<br />

이 계산된다. 그러므로 시료의 무게는 2.2536 g이다. 이와 같이 진동형 겹접시<br />

역학저울은 제1종 지레와 진자, 힘의 모멘트, 그리고 제2 운동법칙을 원리로 하고 있다.<br />

그러나 rider를 사용하여 정지점을 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숙련을 필요로 하여<br />

번거롭고 비능률적이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거의 쓰이지 아니한다.<br />

홑접시 치환저울(single-pan substitution <strong>balance</strong>)은 프랑스 물리학자 Jean Charles de<br />

Borda(1733-1799)가 고안하였고 1946년 스위스의 Erhard Mettler(1917-2000)가 처음으로<br />

상품화 한 역학저울이다. 그림 1-7에 도시된 홑접시 치환형 역학저울은 저울대의 한쪽<br />

끝에 내장형 분동들이 분동걸이(hanger assembly)에 걸려 있고 저울대의 반대편에 고정된<br />

평형추(counterpoise; counterweight)가 달려 있다.


10<br />

그림 1-7. 치환형 홑접시 역학저울.<br />

접시 위에 올려놓은 물체의 무게에 해당하는 만큼 분동증감 다이알 손잡이(dial weights<br />

knob)를 돌려서 분동을 내려놓으면 저울대는 평형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결국 내려놓은<br />

분동의 무게만큼 물체의 무게로 치환되는 셈이다. 저울대에는 항상 일정한 하중이<br />

걸리므로 감도가 일정하다. 저울대 팔 길이 차이에 따른 오차가 없으므로 정밀도가 높다.<br />

100 mg 이하 무게는 저울대가 기우는 그림자가 투영된 스크린 광학눈금(graduated optical<br />

reticle)의 보조자(부척; vernier)를 통해 0.1 mg 단위까지 빨리 읽을 수 있고<br />

제동장치(damper)로 진동을 몇 초 이내에 멈추게 할 수 있어 편리하다. 치환형 홑접시<br />

역학저울은 아직도 많은 실험실에 남아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법을 익혀둘 필요가 있다.<br />

용수철 저울(spring scale)은 무게 또는 힘을 측정하기 위해 나선형 용수철의<br />

탄성력(elasticity)을 재는 도구이다. 고무줄이나 용수철에 물체를 매달면 늘어나고 매단<br />

물체를 제거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외부 힘이 작용하면 모양이<br />

변화하고 외부 힘이 없어지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물체의 성질을 탄성이라 한다.<br />

1678년 영국의 Robert Hook는 실험관찰에 의해 탄성체의 Hook법칙을 발견하였다. 즉,<br />

물체에 하중(load)이 가해질 때 물체의 변형률 (strain)의 크기는 어느 한계까지는 그


11<br />

변형을 일으키는 응력(stress)에 비례한다. 응력은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하중(힘)의<br />

세기이다.<br />

F = – k x = – k (L’ – L)<br />

여기서 x는 용수철의 원래 평형길이 L에서 늘어나거나 압축된 변형길이 L’의 차이 이고<br />

k 는 힘상수이며 F는 복원력(restoring force)이므로 – 부호이다.<br />

길이가 L 이고 단면적이 A인 선형 용수철 같은 탄성체의 변형률(strain) ε은 응력(stress)<br />

σ 에 비례한다.<br />

σ = F / A<br />

σ = E ε<br />

여기서 E 를 탄성계수(modulus <strong>of</strong> elasticity)라 한다.<br />

ε = (L’ – L) / L = ΔL / L<br />

ΔL = (F/EA)L = (σ /E) L<br />

만약 E, A, L 이 모두 일정하게 고정되었을 때 ΔL 을 알면 F(=W)를 구할 수 있다. 용수<br />

철이 늘어나는 부분에 지시침을 달아 힘(무게)를 다는 방식이 용수철 저울이다.<br />

3) 전자저울의 원리<br />

전자저울(electronic <strong>balance</strong>)은 저울 접시에 올려놓은 물체의 무게에 비례하여 발생된<br />

전류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측정하는 저울의 총칭이다. 전자저울은 칭량할 물체를 올려놓<br />

을 접시, 하중 압력을 힘으로 변환시키는 하중 전달 메커니즘, 힘을 전기신호로 바꾸는<br />

변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8).<br />

P<br />

Pan surface area : A<br />

Alignment<br />

marks<br />

backing<br />

Transfer mechanism<br />

Load cell<br />

F = ò P dA<br />

Signal processing<br />

and display<br />

Electronic signal<br />

Strain<br />

sensitive<br />

pattern<br />

Active<br />

grid<br />

length<br />

Strain gage load cell<br />

Solder<br />

tabs<br />

Terminal (resistance legs)<br />

그림 1-8. 전자저울의 세 가지 기본 구성.


12<br />

하중 전달 메커니즘 (load transfer mechanism)은 압력 P를 힘 F로 변환시키는 것이다.<br />

프랑스의 수학자였던 로버발(Gilles Personne de Roberval)은 1669년 그림 1-9의 왼쪽에<br />

도시된 로버발 연결고리 (평행사변형 기구: Roberval’s Enigma: parallelogram linkages)를<br />

고안하여 칭량기구로 사용하였다. AB는 팔 길이가 같은 양팔이고 저울기둥 G와 연결된<br />

C점이 회전축(지도리: pivot)이고 DE는 AB와 팔 길이가 같으며 G와 연결된 F점이<br />

회전축이다. AD와 BE는 각각 좌우 접시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접시 위에 아무 것도<br />

없으면 완전한 평행사변형을 이루며 평형상태가 된다. 만약 W와 L이 같으면 W와 L이<br />

접시 위에 놓인 위치에 관계없이 수평을 유지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왼쪽 접시 위의<br />

물체가 더 무거우면 오른쪽 접시는 위로 올라가지만 회전하지는 아니한다. AD와 BE<br />

수직축은 아래위 방향으로만 수직벡터의 힘을 미치고 수평벡터의 힘은 작용하지<br />

아니한다. 이 원리는 윗 접시 저울(top loading <strong>balance</strong>)의 제작에 응용되었다.<br />

그림. 1-9. Roberval <strong>balance</strong>(왼쪽)와 전자저울의<br />

전달 메커니즘 모형도(오른쪽).<br />

그림. 1-10. Flexure pivot<br />

그림 1-9의 오른쪽에 도시된 전자저울의 하중전달 메커니즘은 로버발 연결 고리와<br />

비슷하다. 점검 연결고리(check links)라 부르는 수평 보호대(parallel guidance)에 위치한<br />

E지점은 재래식 역학저울의 삼각형 칼날(knife edge)이 탄성 플레셔 피벗(flexure pivot:<br />

유연성 회전축)으로 대체되었다. 하중 전달 메커니즘은 고정부위(stationary portion)와<br />

연결부품(coupling element)으로 구성된다. 고정 부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형<br />

지레(reduction lever)가 배열되어 하중을 변환기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며 연결부품은<br />

하중을 지레 배열에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품에는 하나 이상의 얇은 재료<br />

연결띠(thin material connection)가 붙어 있고 길이방향으로는 딱딱하지만 휘어짐이나<br />

굽힘에는 유연하다. 플레셔 피벗은 얇은 재료 연결 띠 형태이다. 용수철(spring) 기능과<br />

축받이(bearing)기능을 갖는 플레셔 피벗은 마찰 없이 유연성 운동을 하는 얇은 연결


13<br />

막대이다. 저울 접시에 물체가 없을 때 플레셔 피벗은 평형상태에 있고 물체 하중의<br />

압력 P가 있을 경우엔 압축형 용수철과 비슷하게 작용한다. 플레셔 피벗은 시계방향<br />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30 o 의 각운동을 한다. 저울접시는 진자운동을 하지<br />

않으며(nonpendulous) 플레셔 피벗 수평 보호대에 의해 지지되고 안정화 된다. 그림<br />

1-10은 플레셔 피벗의 모형도이다.<br />

물체의 하중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는 로드셀이라는 소자(device) 를<br />

사용하는 전기저항 방식, 전자기력평형 방식, 진동식 등이 있다.<br />

로드 셀(하중변환기: load cell)은 strain gage load cell을 의미하며 힘을 전기신호로<br />

변환시키는 변환기(transducer)이다(그림 1-8). 1938년 Edward E. Simmons, Arthur C.<br />

Ruge가 발명한 스트레인 게이지는 압력이 가해질 때 탄성체의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을<br />

이용하여 그 변형률(strain)을 전기저항값으로 측정하는 장치이다.<br />

금속을 잡아당길 때 일반적으로 길이 L은 길어지고 단면적 A는 작아져 가늘어지므로<br />

전기저항 R이 커진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br />

R = ρ (L / A)<br />

여기서 ρ 는 비저항이다.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resistive strain gage)의 원리는 영국의<br />

William Thompson (Lord Kelvin)이 1856년 발견하였다. 압력 P는 단위면적 A에 가해진 힘<br />

F이고 힘은 질량 m과 중력의 가속도 g의 곱이다.<br />

P = F / A = σ<br />

F = mg<br />

로드 셀은 그림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와 Wheatstone<br />

bridge로 구성되어 있다. 무게(하중) 혹은 압력에 비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길이<br />

변형률 ΔL/L에 상응하는 전기저항의 변화량 ΔR/R 을 측정한 후 Wheatstone bridge 증폭<br />

회로를 연결시켜 V=IR 관계를 이용해서 전압변화량 V out으로 환산하여 무게를 측정한다.<br />

ε = (L’ – L) / L = ΔL / L<br />

ΔR/R = kΔL/L = kε = kσ/E<br />

k = (ΔR/R) / (ΔL/L) = (ΔR/R)/ε<br />

여기서 k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gage factor이다.


14<br />

Strain gage<br />

(tension)<br />

A<br />

Strain gage<br />

(tension)<br />

R 1<br />

R 3<br />

D<br />

V<br />

B<br />

R 2<br />

R x<br />

Strain gage<br />

(compression)<br />

C<br />

Strain gage<br />

(compression)<br />

그림 1-11. Full-bridge strain gage circuit의 모형도.<br />

Wheatstone bridge 회로에서 R 1, R 2, R 3는 기지 저항이고 R 2는 조정이 가능하다면 미지<br />

저항 R x는 측정가능하다. 기지 저항비 R 2/R 1는 미지 저항비 R x/R 3와 같아야 하고 B와 D<br />

사이의 중간지점의 전압은 0가 되고 전류는 흐르지 아니한다. 이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br />

R 2 를 조정한다.<br />

R 2/R 1 = R x/R 3<br />

R x = R 2 R 3 /R 1<br />

그러나 R 1, R 2, R 3값을 알고 있으나 R 2값을 조정 불가능하다면 V에 흐르는 전류 또는<br />

전압을 이용해서 Kirchh<strong>of</strong>f 회로법칙을 통해 R x 를 계산할 수 있다. Kirchh<strong>of</strong>f 제1법칙을<br />

사용해서 B와 D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br />

I 3 – I x + I v = 0<br />

I 1 – I v – I 2 = 0


15<br />

Kirchh<strong>of</strong>f 제2법칙을 사용해서 회로 ABD와 BCD에 흐르는 전압을 구할 수 있다.<br />

(I 3R 3)– (I VR V)– (I 1R 1) = 0<br />

(I xR x) – (I 2R 2)+(I VR V) = 0<br />

회로의 다리가 균형을 이루어 I V = 0면 다음과 같이 재정리할 수 있다.<br />

I 3 R 3 = I 1 R 1<br />

I x R x = I 2 R 2<br />

두 식으로부터 다음식이 얻어진다.<br />

R x = I 3 R 3 I 2 R 2 / I 1 R 1 I x<br />

제1법칙으로부터 I 3 = I x , I 1 = I 2 이므로 R x 를 구할 수 있다.<br />

R x = R 2 R 3 / R 1<br />

만약 모든 저항값을 알고 있고 입력전압 V in를 알면 출력전압 V out을 구할 수 있다.<br />

V out =V in { R x / (R 3 +R x )} – V in {R 2 /( R 1 + R 2 )}<br />

V out=V in´ [{ R x / (R 3+R x)} –{R 2 /( R 1 + R 2)}]<br />

스트레인 게이지는 알루미늄 박막 포일 절연체 지지판(backing material) 위에 탄성체인<br />

금속도체 박막(예: 구리 60%와 니켈 40%의 합금인 Constantan, 두께 약 5 mm)을<br />

ethyl-2-cyanoacrylate (Superglue)같은 접착제로 접착시켜 만들고 크기는 손톱만한 것부터<br />

0.4 mm ~ 50 mm로 다양하다. 변형률 이외에 온도, 습도 등에 의해서 저항값의 변화가<br />

나타나므로 보정이 반드시 필요하다.<br />

Lead zirconate titanate (PZT, Pb[Zr xTi 1-x]O 30


16<br />

Stress<br />

Strain<br />

– – – – – –<br />

Voltage<br />

+ + + + + +<br />

Ion charges neutralized<br />

in unstrained crystal<br />

Un<strong>balance</strong>d ions charge<br />

surface <strong>of</strong> strained crystal<br />

Oxygen<br />

negative<br />

Silicon<br />

positive<br />

그림 1-12. Silicon dioxide 의 압전기 성질.<br />

Object being weighed<br />

Balance pan<br />

Cylindrical magnet<br />

(permanent magnet core<br />

and s<strong>of</strong>t iron jacket)<br />

W<br />

Flexure pivot<br />

F<br />

r<br />

Coil (n)<br />

Movable system part<br />

Output<br />

voltage<br />

(V = IR)<br />

N<br />

S<br />

Precision<br />

Resistor (R)<br />

F<br />

Magnetic field<br />

Flux lines<br />

Current<br />

through<br />

coil ( I )<br />

Photoelectric<br />

position<br />

indicator<br />

I<br />

B<br />

Fleming's Left Hand Rule<br />

Servo amplifier<br />

그림 1-13. 전자기력 보상의 원리.<br />

그림 1-13의 저울 접시에 물체가 놓이면 그 하중 W는 하중 전달 메커니즘인 수평보호<br />

기구와 광전 위치감지기를 거쳐 영구자석 주변의 코일에 전류 I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br />

법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자기력 F가 발생하여 코일을 위로 들어 올리게 된다. 저울<br />

접시에 물체가 놓이지 아니한 원래의 평행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코일에 발생하는 복귀력


17<br />

F와 하중 W가 일치할 때 아래의 전자기력평형식에 따라 전류I 로 변환시켜 그 전압신호<br />

를 무게값으로 환산 출력하게 된다.<br />

W = F = lBI = 2prnBI<br />

이 전자기력 평형식에서 l은 코일의 길이이고 B는 공기 중에서의 자속밀도 (magnetic flux<br />

density), r은 코일의 반지름, n은 코일을 감은 권수( 捲 數 )이다.<br />

4) 표준 분동을 이용한 저울의 검정<br />

앞에서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분석용 표준 분동(<strong>analytical</strong> weights)은 프랑스 세브르<br />

(Sevres)에 보관된 킬로그램 원기(IPK; standard kilogram; 1 kg)와 비교 검정한 무게 값을<br />

갖고 있다. 표준 분동으로 검정한 분석 천칭을 사용하여 99.99% 이상의 순도를 지닌 일<br />

차 표준물질을 칭량하여 표준용액을 만들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무게법 분석, 적정법,<br />

기기분석법, 유리용기의 검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림 1-14).<br />

그림 1-14. 분석 저울의 역할: 분석 결과의 정확도는 무게에 의존한다.


18<br />

A. 저울 설치와 점검<br />

1 저울 설치: 저울은 열, 바람, 습기, 광선, 전자기, 진동이 없는 실온 건조한 곳에 설치<br />

해야 한다. 진동이 없는 튼튼한 실험대 위에 수평이 되도록 설치한다. 저울에 충격을 주<br />

면 받침 칼날이 벗어나게 되어 고장의 원인이 된다.<br />

2 수평점검: 저울의 수평상태를 점검하려면 저울에 붙어 있는 수준기(level)의 동그란 물<br />

방울이 원둘레(circle) 안에 위치하는가를 확인한다. 만약 수평상태가 아니라면 저울 밑바<br />

닥에 위치한 받침 수평 나사(level screw)를 돌려 수평을 맞춘다.<br />

3 저울 청소: 저울 접시와 저울 내부를 붓으로 깨끗이 청소한다. 항상 깨끗하게 취급하<br />

고 자주 청소해야 한다.<br />

4 칭량한계, 감도, 특징 확인: 실험에 사용하는 저울의 최대 칭량한계(최대용량:<br />

weighing capacity)와 감도(sensitivity) 그리고 특징을 미리 확인하여 안전하게 사용한다. 최<br />

대 칭량한계란 취급하는 저울로 안전하게 칭량할 수 있는 최대 무게이다. 일반적으로 분<br />

석 저울의 칭량한계는 100 g ~ 200 g 정도이다. 저울의 감도는 취급하는 저울로 칭량할<br />

수 있는 최소 무게이다. 정확하고 재현성(반복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최소 단위를 저울<br />

의 최소 측정량(최소 표시: readability)이라고도 부른다. 분석 저울의 측정 최소 단위 즉<br />

최소 감도는 0.1 mg이다(표 1-1).<br />

5 전원 연결: 취급할 저울이 110 V용인가 220 V용인가를 미리 확인한 후에 해당하는<br />

전원 플러그를 안전하게 연결한다. 저울의 전원 ON/OFF 버튼을 눌러 작동시키고 약 1<br />

시간 예열(warming up)시킨다.<br />

표 1-1 저울 종류별 감도와 칭량한계


19<br />

표 1-2 저울 종류별 작동 원리<br />

다.<br />

저울의 특징은 표 1-2에 나열된 저울 종류별 작동 원리와 취급 순서 등에 관한 정보이<br />

B 영점 조절과 칭량<br />

모든 저울은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영점 조절을 해야 한다.<br />

예컨대 그림 1-15에 도시된 Sartorius 2842 모델 치환형 홑접<br />

시 역학저울의 경우 최대 칭량이 160 g이고 영점 조절과 칭<br />

량 순서는 아래와 같다.<br />

1 저울 유리문을 닫는다. 접시 잠금 손잡이 (pan arrest knob)<br />

E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한번 돌려 정지상태로 잠근다.<br />

2 분동 증감 조절손잡이(dial weights knob) B, A, C를 차례<br />

로 돌려서 지시판(indicator) 숫자가 모두 0가 되도록 한다. 그<br />

림 1-115의 A는 1 ~ 9 g 증감용 손잡이이고, B는 10 g 단위<br />

의 10 g ~ 150 g 증감용 손잡이다. C는 0.1 ~ 10 mg 단위의<br />

micrometer knob이다. 그림 11-15. Sartorius 2842<br />

<strong>balance</strong>.


20<br />

3 잠금 손잡이 E를 시계방향으로 두 번 돌려 작동상태로(Fully released position)로 한다.<br />

영점 조절과 최종 무게 눈금을 읽을 때에만 작동상태로 한다. 분동 증감은<br />

반작동상태에서 한다.<br />

4 오른쪽 측면의 뒤쪽에 달린 영점 조절 손잡이(zero point adjustment knob) D를 돌려서<br />

micrometer(vernier) screen 눈금을 0에 맞춘다. 이상의 조작으로 모든 눈금은 000.00◀00 g<br />

이 되고 영점조절(zero point adjustment)이 완료된다(그림 11-16).<br />

5 접시 잠금 손잡이 (pan arrest knob) E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 정지상태로 잠근다.<br />

시료를 접시위에 취할 때와 내려놓을 때는 정지상태에서 한다.<br />

6 칭량할 물체를 접시 위 한가운데 위치에 놓고, 유리문을 조용히 닫는다. 약포지는 시<br />

료 손실 또는 종이의 흡습에 의한 오차가 크다. 따라서 반드시 칭량병 또는 칭량 접시를<br />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칭량할 칭량병 같은 물체를 옮길 때에는 반드시 도가니 집게<br />

(crucible tong) 또는 핀셋(pincette, tweezer)을 사용하거나 종이로 말아서 이동하거나(그림<br />

11-17) poly clove를 낀 손으로 집어야 지문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br />

7 잠금 손잡이 E를 시계 방향으로 한 번 돌려 반작동상태로 한다. 이 때 스크린 눈금이<br />

+ 방향으로 움직여 개략적인 무게가 micrometer(vernier) screen에 나타난다. 예컨대 물체의<br />

무게가 약 82 g 정도이면 000.8200 g과 000.8300 g 사이에 ◀ 광학눈금이 머문다.<br />

8 분동 증감 조절손잡이(dial weights knob) B, A를 차례로 돌려서 지시판(indicator) 숫자<br />

를 개략적인 무게에 맞춘다. 예컨대 물체의 무게가 약 82 g 정도이면 082.0000 g 부근이<br />

되도록 한다.<br />

9 잠금 손잡이 E를 시계 방향으로 두 번 돌려 작동상태로 한다. 이 때 광학 눈금이 새<br />

로운 위치에서 머물고 그 결과가 스크린에 나타난다. 예컨대 물체의 무게가 약 82.52 g<br />

정도이면 082.5200 g과 082.5300 g 사이에 ◀ 광학눈금이 머문다.<br />

10 ◀ 광학눈금이 하나의 눈금에 일치될 때까지 micrometer knob C를 돌린 다음 칭량 결<br />

과 무게를 읽는다. 예컨대 물체의 정확한 무게가 약 82.5234 g이면 082.52◀34 g에 ◀ 광<br />

학눈금이 머문다.<br />

11 잠금 손잡이 E를 잠금 상태로 한 다음 시료를 내려놓는다.<br />

12 분동 증감 조절손잡이(dial weights knob) B, A, C를 차례로 돌려서 지시판 숫자가 모<br />

두 0가 되도록 한다.<br />

13 부드러운 붓으로 저울 접시와 저울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저울을 깨끗하게 다루<br />

는 사람에게만 정확한 무게를 알려준다는 점을 명심하자.<br />

그 밖에 대부분의 윗 접시 저울(top loading balace)과 전자저울은 ON/OFF 버튼을 눌러 0<br />

점으로 나타나지 않을 경우 TARE (또는 T) 버튼을 누르면 0점으로 조절이 된다.


21<br />

그림 11-16. 분석저울의 영점 조절과 칭량 (Sartorius 2842 mechanical <strong>balance</strong>).<br />

그림 11-17. A, 종이로 말아서 칭량병(weighing bottle) 옮기기와 B, 칭량접시(weighing dish).<br />

TARE란 빈 그릇 무게를 의미한다. 영점 조절 후 칭량병 같은 물체를 올려놓으면 물체<br />

의 + 무게가 나타나고, 칭량병이 접시 위에 놓인 상태에서 다시 TARE를 누르면 0점이


22<br />

되며, 새로운 물체를 추가하면 추가한 물체의 무게가 표시된다. 추가한 물체를 접시에서<br />

내려놓으면 0점으로 되돌아가고 빈 그릇을 다시 내려놓으면 빈 그릇의 무게가 – 값으로<br />

표시된다.<br />

NaOH pellet 과 같은 흡습성 시약(hygroscopic reagent)은 연속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므로<br />

분석저울로 0.1 mg 단위까지 칭량하더라도 재현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NaOH는 윗 접시<br />

저울 또는 다이알 저울로 10 ~ 100 mg 단위까지의 개략적인 무게를 칭량하는 것이 상식<br />

이다. 그리고 흡습성 시약은 시약이 들어 있는 시약병 전체의 무게를 먼저 칭량한 다음<br />

목적하는 일정량을 덜어내고 남은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차 칭량(weighing by difference)을<br />

하면 흡습을 최소화할 수 있다.<br />

C. 저울의 검정<br />

분석저울을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고 영점조절을 완료하였다고 그 저울이 정확한 무게<br />

를 재현성 있게 측정해 준다고 신뢰할 수는 없다. 따라서 킬로그램 원기와 비교 검정하<br />

여 제작한 분석용 표준 분동(그림 1-18)으로 정기적으로 검정(보정: calibration: adjusting)<br />

할 필요가 있다. 최신형 시판 전자식 분석저울은 표준 분동(standardized masses)과 비교하<br />

는 외부 검정(external calibration) 방식과 내장 분동(built-in weights)과 비교하는 내부 검정<br />

(internal calibration) 방식이 있다. 내장 분동형도 외부에서 표준 분동을 사용해서 저울을<br />

정기적으로 검정하는 것이 더 좋다.<br />

ASTM에서 지정한 분석용 표준 분동의 허용오차<br />

(공차: tolerance)는 표 1-3과 같다. Class 1 및 S 등급<br />

의 100 g 분동을 3회 이상 측정하였을 때 ±0.25 mg<br />

이내의 오차를 나타낼 때 그 분석저울의 정확도<br />

(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를 신뢰할 만하다.<br />

그림 1-18 표준 분동<br />

종래에 많이 공급된 J등급의 분동은 ±0.003 mg 이내의 허용오차를 갖는다. 시판 분석저<br />

울을 구입할 때 공급된 100 g 표준 분동을 잘 보관하여 주기적으로 검정해도 좋다.<br />

5) 칭량 오차<br />

분석저울을 올바르게 설치하고 영점조절과 표준 분동으로 검정을 수행하였더라도 칭량<br />

결과에는 불확실성 즉 오차가 따른다. 측정오차는 큰 오류오차(gross error: 엉뚱 오차), 계<br />

통오차(systematic error), 우연오차(random error)로 구분된다. 분석 저울의 칭량오차는 다음<br />

과 같은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다. 1)


23<br />

표 1-3 표준 분동의 허용 오차: American Society <strong>of</strong> Testing & Measurement(ASTM E617)<br />

A. 환경에 따른 힘(environmental forces)<br />

온도, 수분 흡수 또는 증발, CO 2 함량, 바람 기류, 찬 공기와 뜨거운 공기의 대류, 충<br />

격, 진동, 기압 변화, 마찰, 먼지, 자기장, 정전기, 설치 위치차이에 따른 중력 가속도 차<br />

이 등<br />

1) 분석저울의 칭량 오차에 관련된 참고문헌:<br />

http://www.radwag.com/pliki/artykuly/good_weighing_practice_in_pharmaceutical_industry.pdf<br />

http://lab.mt.com/gwp/waegefibel/Waegefibel-e-720906.pdf<br />

http://www.pharmacopeia.cn/v29240/usp29nf24s0_c1251.html<br />

http://www.automation.com/resources-tools/articles-white-papers/process-weighing/five-factors-that-can-affect-y<br />

our-weighing-systems-accuracy


24<br />

B. 로드 셀(load cell: load sensor: transducer)의 정확도<br />

전자저울의 하중 전달체계 핵심부품인 로드 셀의 비선형성(nonlinearity), 이력현상<br />

(hysteresis), 비재현성(nonrepeatability), 장시간(5분간)에 걸친 출력변화(creep), 영점과 출력<br />

값에 미치는 온도영향, 감응 시간<br />

C. 하중 요소 (load factors): 기계의 부적절한 설치<br />

D. 신호 전달의 간섭<br />

라디오파 간섭(radio frequency interference), 전자 기기 간섭(electromechanical<br />

interference), 수분과 온도에 의한 간섭<br />

E. 공기부력오차 (buoyancy) 2) : 저울 접시위에 놓인 물체에 의해 치환된 공기의 무게에 따<br />

른 오차이다. 이 오차는 매우 작다. 일반적으로는 무시하지만 칭량할 물체의 밀도가 표준<br />

분동의 밀도와 다를 경우 또는 정밀 칭량이 필요한 경우 다음 공기 부력 오차 보정식<br />

(buoyancy equation)으로 보정한다.<br />

m = [m' {1 - (d a / d w ) } / {1 - (d a / d ) }]<br />

여기서 m = 참 질량, m' = 저울로 측정한 질량,<br />

d a = 공기의 밀도 (1 atm 25 o C에서 0.0012 g/mL),<br />

d w = 표준 분동의 밀도 (일반적으로 8.0 g/mL)<br />

d = 칭량할 물체의 밀도<br />

분석저울의 칭량 오차를 최소화 하려면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br />

1 전자저울은 전원을 연결하고 1 시간 이상 예열하여 안정화한 후 사용한다.<br />

2 수평을 조절한다. 검정 또는 칭량하기 전에 반드시 저울 창문을 닫는다.<br />

3 급격한 충격을 주지 말아야 하고 최대 무게 이상을 올리지 말아야 한다.<br />

4 정확한 무게 칭량을 위해서는 Class 1 급 이상의 표준 분동을 사용하여 검정하여야<br />

한다.<br />

5 저울 위에 불순물이 흘러 다니지 않도록 항상 깨끗하게 청소하여야 한다.<br />

6 바람이 부는 곳이나 진동이 있는 곳에 저울을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저울<br />

앞에서는 조용히 하여야 한다.<br />

6) 보조자와 측경기<br />

보조자(부척: 副 尺 : vernier scale: auxiliary scale) 눈금은 프랑스 수학자 Pierre<br />

Vernier(1580 ~ 1637)가 1630년경에 고안하였다. 그림 1-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된 자<br />

2) 공기부력에 관한 상세한 이론은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BC287~212)의 원리를 참고하자.


25<br />

(main scale) 눈금은 길이 l을 n등분한 최소 눈금(division: d m = l/n)을 갖고 있다. 보조자는<br />

주된 자의 길이 l보다 한 눈금 짧은 길이(l -d m )를 n등분한 최소 눈금 d v 을 갖고 있다.<br />

그림 1-20의 예는 10 mm를 10등분한 주된 자의 최소 눈금은 1 mm이다. 주된 자의 길이<br />

10 mm보다 1 mm가 짧은 길이를 10등분하였으므로 보조자의 최소 눈금은 0.9 mm에 해<br />

당된다.<br />

그림 1-19. 주된 자와 보조자의 눈금.<br />

그림 1-20. 주된 자와 보조자의 눈금 읽기.


26<br />

그림 1-21. 기계식 홑 접시 치환저울의 보조자 눈금 읽기: 보조자의 영점이 주된 자의 50<br />

과 51 mg 사이에 놓였으므로 주된 자의 눈금 55와 일직선을 이루는 보조자의 눈금 5를<br />

읽으면 칭량 무게는 18.2505 g이다.<br />

만약 측정 길이가 정확히 30 mm이면 기준선(fiducial mark: index line)인 보조자의 영점<br />

(zero mark)이 주된 자의 30 mm와 일치하고 보조자의 최고 눈금 10은 주된 자의 39 mm<br />

눈금과 일직선(coincidence line: alignment)을 이룬다. 그러나 그림 1-20에서와 같이 보조자<br />

의 영점이 주된 자의 눈금 31 mm와 눈금 32 mm 사이에 놓였을 때는 주된 자의 눈금과<br />

보조자의 눈금이 일직선을 이루는 점의 보조자 눈금 7을 읽어 실제 측정 길이는 31.7<br />

mm이다.<br />

이와 같이 보조자는 주된 자의 눈금과 눈금 사이 값을 정확히 읽는데 이용하는 길이<br />

측정 도구이다. 이 원리는 기계식 홑 접시 치환저울, 다이알 저울, 측경기(vernier caliper)<br />

에 적용되고 있다. 100 mg 이하 무게는 저울대가 기우는 그림자가 투영된 스크린 광학눈<br />

금의 보조자를 통해 0.1 mg 단위까지 빨리 읽을 수 있다 (그림 1-21).<br />

2. 실험 준비물<br />

아래 기구들의 모델명, 규격, 제조사, 취급법 등을 상세하게 기록한다.<br />

이중 대 다이알 저울 (double beams dial <strong>balance</strong>)<br />

윗 접시 전자저울 (top loading electronic <strong>balance</strong>)<br />

분석저울(<strong>analytical</strong> <strong>balance</strong>)<br />

표준 분동(standard weights)<br />

핀셋(pincette, tweezer)<br />

칭량병(weighing bottle), 칭량접시(weighing dish), 칭량 종이<br />

측경기(캘리퍼; calipers)<br />

시료 (예: 500원 짜리 동전)<br />

20 mL 시약병


27<br />

3. 칭량 실험 과정<br />

1) 이중 대 다이알 저울을 이용한 개략적인 칭량<br />

A. 이중 대 다이알 저울의 특징<br />

1 저울대가 두개인 이중 대저울이고 받침점(지점)을 중심으로 좌우 팔 길이(arm length)<br />

가 같지 않은 부등완(unequal arm) 홑 접시(single pan) 저울이다.<br />

2 뒤쪽 저울대는100 g 단위 미끄럼 추(weight, sliding poise)로 200g까지, 앞쪽 저울대는<br />

10 g 단위 미끄럼 추로 100g까지 합계 300g 의 무게를 칭량할 수 있다. 100g 단위 저<br />

울대에는 사다리꼴로 파인 홈(notch)이 두 개 있고 10g 단위 저울대에는 사다리 꼴 홈<br />

이 10개 있다 (그림 1-22).<br />

3 다이알 추 눈금은 0.1g 단위로 11g까지 매겨져 있고 보조자 눈금은 0.01g 단위로 0.1g<br />

까지 매겨져 있다. 보조자 눈금은 다이알의 0.1g단위 눈금과 눈금 사이를 10등분하여<br />

0.01g단위까지 정밀하게 읽기 위한 것이다.<br />

다이알 내부에는 태엽이 감겨져 있는데 다이알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0.01~10g<br />

범위의 눈금 무게에 대응하여 받침점 오른쪽으로 태엽 위치가 이동하여 오른쪽 저울대<br />

위에 해당하는 무게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br />

4 다이알 저울로 안전하게 달 수 있는 최대 무게에 해당하는 최대칭량 한계는 310g 이<br />

고 달 수 있는 최소 무게, 즉 감도는 0.01g이다. 따라서 다이알 저울은 정밀저울(precise<br />

<strong>balance</strong>)이다.<br />

B. 영점 조절<br />

1 다이알 저울을 평평한 바닥 위에 올려 놓는다.<br />

2 100 g 미끄럼 추, 10 g 미끄럼 추를 살짝 들어 왼쪽으로 옮겨서 모두 0점 홈 위에 잘<br />

끼워 맞춘다.<br />

3 다이알 손잡이를 왼쪽으로 돌려 0점이 보조자 눈금의 0점과 일치시켜 영점을 맞춘다<br />

(그림 1-23).<br />

4 앞쪽 저울대에 붙어 있는 영점 지시침(zero pointer)이 위 아래로 진자운동 후 멈추었<br />

을 때 영점(zero point)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br />

5 만약 지시침이 영점보다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핀셋을 사용하여 표준 분동을<br />

접시 위에 추가하거나 저울대 왼쪽 끝에 붙어 있는 영점 조절손잡이를 돌려서 지시침이<br />

영점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접시에 물체를 올려놓을 때는 접시 중앙에 올리도록 한다.<br />

물체를 손으로 집어 올리면 지문이 묻어서 칭량 무게의 오차가 커진다.


28<br />

그러나 추가한 분동 무게가 너무 무거워 지시침이 영점 윗 쪽으로 올라가게 되는 경<br />

우는 지시침이 영점과 수평이 될 때까지 분동을 조금씩 내려주면서 영점 조절손잡이를<br />

돌려 맞춘다.<br />

그림 1-22. 이중 대 다이알 저울의 구조 (전면).<br />

C. 시료 무게의 칭량<br />

1 칭량할 시료의 개략적인 무게를 예측한다.<br />

2 칭량할 시료 물체를 접시 위에 올려놓는다. 시약은 칭량병(weighing bottle), 칭량 접시<br />

(weighing dish), 약포지를 먼저 올려놓고 무게를 칭량한 후 그 위에 시약을 올려서 다시<br />

무게를 칭량한 후 시약만의 무게를 계산한다. 이 실험에서는 500원짜리 동전의 무게를<br />

측정하기 위해 핀셋을 사용하여 동전을 접시 위에 올려놓는다.<br />

3 미끄럼 추와 다이알을 310g (200g + 100g+ 10g)에 맞춘 후 무거운 무게에서 가벼운<br />

무게 방향으로 옮겨가며 수평을 확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00g 단위 미끄럼 추를


29<br />

살짝 들어 오른쪽으로 옮겨 200g 홈에 끼워 맞춘 다음 10g 단위 미끄럼 추를 오른쪽으로<br />

옮겨 100g 홈에 맞춘다. 그리고 다이알 손잡이를 오른쪽으로 돌려 10g으로 맞추었을 때<br />

지시침이 영점과 수평에 가까운가를 확인한다.<br />

그림 1-23.<br />

이중 대 다이알 저울의 영점 조절과 500원짜리 동전1개의 무게 칭량.<br />

만약 지시침이 영점 보다 윗 쪽으로 기울면 물체가 더 무거운 것이므로 다이알 저울의<br />

칭량한계를 벗어난 것이므로 칭량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지시침이 영점보다 아래쪽으로<br />

기울면 물체의 무게가 미끄럼 추가 놓인 홈의 무게보다 가벼우므로 100g 단위 또는 10g<br />

단위 미끄럼 추를 한 단위씩 왼쪽 홈으로 옮기면서 저울대가 수평에 가까운 점을 찾는<br />

다.<br />

4 그리고 나서 다이알 손잡이를 왼쪽으로 돌려 지시침이 영점과 일직선의 수평을 이루<br />

는 눈금을 맞춘다. 보조자 눈금 0 점이 다이알의 눈금(확실한 유효숫자: 0.1g 단위)과 눈<br />

금 사이에 놓였을 경우 다이알 눈금과 일직선이 되는 지점의 보조자 눈금(유효숫자 마지


30<br />

막 자리로 불확실함: 0.01g 단위)을 읽는다.<br />

5 수평상태를 재확인한 후 칭량 결과를 확인 기록한다.<br />

그림 1-23 사진의 예는 미끄럼 추는 모두 0이고 다이알 눈금 7.6과 7.7 사이에 보조자 눈<br />

금의 0점이 놓여 있고 보조자 0.06 눈금이 다이알 눈금 8.8과 일치하는 직선을 이루었으<br />

므로 500원 동전 1개의 무게를 칭량한 결과는 약 7.66 g이다. 이 결과는 유통과정에서 발<br />

생한 마모를 고려하지 않은 측정값이다.<br />

2) 윗 접시 전자저울(top loading electronic <strong>balance</strong>)을 이용한 칭량<br />

A. 윗 접시 전자저울의 특징<br />

1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윗 접시 전자저울의 최대칭량 한계는 1000 ~ 3000 g 전후<br />

가 많다. Mettler–Toledo PB3002 모델과 Sartorius GA 3100P-G는 3100g, Shimadzu LIBROR<br />

EB-3200H 모델의 경우는 3200 g 이다.<br />

2 최소 칭량 무게인 감도는 0.01 g이다. 즉, 소수 둘째 자리까지 측정 가능하다. 홑 접시<br />

정밀저울에 해당된다.<br />

3 분동 외장형 모델은 주기적으로 저울을 검정해야 한다.<br />

B. 윗 접시 전자저울의 영점 조절<br />

1 저울 설치 후 수평을 확인한다.<br />

2 전원(주의: 110V / 220 V 확인!)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한다.<br />

3 영점 조절: [ON/OFF]를 눌러 전원을 켜고 “888888” 또는 “------” 표시를 거쳐 “0.00”g<br />

표시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린다.<br />

만약 “0.00” g표시가 나타나지 않으면 [TARE]를 누르면 “0.00”g이 표시된다. 약 1시간 정<br />

도 예열시킨다.<br />

C. 윗 접시 전자저울의 외부 검정<br />

1 Shimadzu LIBROR EB-3200H 모델의 경우


31<br />

a> 저울 접시를 모두 비우고 [ON/OFF]를 눌러 전원 연결하고 예열한다.<br />

b> [TARE] 키를 누르면 “▼ 0.00” g이 표시된다.<br />

c> [MODE]키를 누르면 “cAL” g이 표시된다.<br />

d> 다시 [TARE]키를 누르면 대문자로 “▼ CAL” g이 표시된다.<br />

e> 표시판에 안정 마크 “▼”가 점등된 것을 확인한다.<br />

f> 검정용 표준 분동(예: 100 g × 2= 200 g)을 접시 위에 올려놓으면 잠시 안정 마크<br />

가 꺼진다.<br />

g> 안정 마크가 다시 나타나 “▼ CAL” g 이 표시되면 [TARE] 키를 누른다. 이 때<br />

“CAL”의 “A” 아래에 “▼” 마크가 잠시 나타난 다음 접시 위에 올려놓은 표준 분동의<br />

무게가 (예: “200.00” g) 표시되면 검정이 완료된다.<br />

2 Mettler-Toledo PB series 모델의 경우<br />

a> [CAL/menu]를 선택하면 “----”이 표시된다.<br />

b> 200 g (100 g × 2) 표준 분동을 올려놓으면 “200.00” g이 깜박거리다가 “----”이 표시<br />

된다. 그리고 표준 분동을 내려놓으면 “0.00” g이 깜박거린 후 “----”이 표시되었다가<br />

“CAL donE”이 표시되고 잠시 후 “0.00” g으로 표시되면 검정이 종료된다.<br />

D. 시료 무게의 칭량<br />

1 영점 조절 후 표준분동을 사용하여 저울 검정완료 후<br />

2 칭량하고자 하는 물체를 핀셋으로 집어서 또는 종이로 말아서 접시 위에 조용히 올려<br />

놓고 표시 무게를 읽는다. 예: 500원짜리 동전 1개의 무게 = 약 +7.66 g (그림 1-24). 이<br />

결과는 유통과정에서 발생한 마모를 고려하지 않은 측정값이다.<br />

3 [TARE]를 눌렀을 때 다시 “0.00”g 이 되는가를 확인한다.<br />

4 칭량을 마친 물체를 접시 위에서 내려놓았을 때 표시값을 확인한다.<br />

예: 500 원짜리 동전 1 개를 내려놓은 경우 -7.66g 으로 음값이 표시된다.<br />

5 [TARE]를 다시 눌러 0.00 g 이 된 것을 확인하고 [ON/OFF]를 눌러 전원을 끈다.<br />

6 저울 접시를 청소하고 보고서 작성


32<br />

그림 1-24. 윗 접시 전자저울의 영점 조절과 500원짜리 동전의 무게 칭량 결과(예: 약 7.66g).<br />

3) 전자식 분석저울 (electronic <strong>analytical</strong> <strong>balance</strong>)을 이용한 칭량<br />

A. 전자식 분석저울의 특징<br />

1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전자식 분석저울의 최대칭량 무게는 100~200 g 전후가 많<br />

다. Mettler AJ110L 모델의 최대칭량은 110 g, 감도는 0.1 mg이다. Sartorius BA210S는 최<br />

대칭량 210 g, 감도 0.1 mg, Precisa XT 220A는 최대칭량 220 g, 감도 0.1 mg, Shimadzu<br />

LIBROR AEX200 모델의 최대칭량 200 g, 감도 0.1 mg이다.<br />

2 최소 칭량 무게인 감도는 0.1 mg 이다. 즉, 소수 넷째 자리까지 측정 가능하다. 분석<br />

저울은 최소한 0.1 mg 단위까지 칭량이 가능해야 한다.<br />

3 홑 접시 분석저울에 해당된다. 최근의 시판 분석저울은 전자식이다.<br />

4 분석 천칭은 주기적으로 검정(calibration)해야 한다.<br />

B. 전자식 분석저울의 영점 조절<br />

1 저울 설치 수평 확인: 물방울이 수준기 원(circle) 안에 들어와 있는지 확인하고 중앙<br />

에 오도록 저울 받침 나사를 돌려서 수평을 맞춘다.<br />

2 저울 접시 위의 모든 물체를 제거하고 창문을 조용히 닫는다.<br />

3 전원(주의: 110V / 220 V 확인!)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예열한다.<br />

4 영점 조절: [ON/OFF]를 눌러 전원을 켜고 “88888888” 또는 “--------” 표시를 거쳐


33<br />

“0.0000”g 표시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린다. 만약 “0.0000” g표시가 나타나지 않으면 [T]<br />

또는 [TARE]를 누르고 기다리면 “0.0000”g이 표시된다.<br />

C. 전자식 분석저울의 검정<br />

1 Precisa XT220A모델: 내장 분동(internal weights)을 이용한 내부 검정<br />

영점(“0,0000 g”)이 나온 상태에서 key panel 양쪽에 있는 [T/ ins] 또는 [T/ ┚]키 중<br />

하나를 길게 눌러 “calibration internal” 화면이 나올 때 [T] 키에서 손을 뗀다. 그러면<br />

자동적으로 아래와 같이 화면이 바뀌면서 검정이 진행한다.<br />

예) “ --00000g” → “00000g” → “----Int” → “In”t → “--00000g” → “0.0000 g”<br />

2 Precisa XT220A모델: 외부 표준 분동을 이용한 외부 검정<br />

(※ 내장 분동형을 외부 분동형으로 프로그램으로 바꿔 놓고 사용해야 한다.)<br />

a> [ON/OFF]키를 눌러 전원을 연결한 다음 곧 바로 [MENU/ESC] 키를 누르고 있으면,<br />

표지판에 “Set Configuration”이 나온다. 이때 손을 뗀다.<br />

b> [↑], [↓] key 를 눌러 나가면 “Set Calibration”이 나타난다. 이 때 [T] 키를 누르면<br />

“Mode Internal”이 나타난다.<br />

c> “Mode Internal”에서 [T] 키를 누른다. 그러면 “Mode Internal”이 깜박거린다. 이때 [↑],<br />

[↓] 키를 눌러가면서 ‘Mode External’에서 다시 [T] 키를 누른다.<br />

d> “Mode External”에서 [Menu/esc] key 를 누르면 영점이 나온다.<br />

e> 영점이 나온 상태에서 양쪽 [T] key 중 하나를 선택해서 누르고 있으면 “Calibration<br />

External” 이 나올 때 손을 뗀다.<br />

f> 그러면, 잠시 후 분동 값(예: ---100 g)이 화면에 나타났을 때 필요한 100 g 분동을<br />

접시 한가운데에 올려놓는다. “+100.000 g” 화면이 나타났을 때 분동을 제거하면 검정이<br />

완료된다.


34<br />

(이때 분동을 올린다)<br />

3 METTLER TOLEDO, AB204-S/FACT 분동 내장형 분석저울: 내부 검정<br />

Maximum capacity: 220 g, readability: 0.1 mg.<br />

Verification scale interval (e) = 0.001 g, actual scale interval (d) = 0.0001 g.<br />

Temperature range: +15 o C/+25 o C, Self-calibration system.<br />

그림 1-25. METTLER TOLEDO, AB204-S/FACT 분동 내장형 분석저울의 내부 검정 순서.


35<br />

a> 저울 수준기(level)의 물방울이 동그란 원둘레 안에 위치하는지 수평을 확인함.<br />

b> 저울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접시로부터 모든 물체를 제거한다.<br />

c> 전원 V 확인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접속하고, ON/OFF를 눌러 예열한다.<br />

d> →O/T←를 눌러 영점을 조절하여 0.0000 g을 확인한다.<br />

e> Cal/Menu 모드를 길게 연속해서 눌러 [Cal/int] 화면을 선택한다.<br />

f> [-------- cal ] 화면이 나타나면서 "내부 검정"을 실행한다. 저울이 자동으로 보정된다.<br />

g> 검정이 완료되면 화면에 [CAL donE]이 잠깐 나타난다. 저울은 마지막 활성화된 어플<br />

리케이션 0.0000 g으로 돌아가고 칭량 준비가 완료된다 (그림 1-25).<br />

4 METTLER TOLEDO, AB204-S/FACT 분동 내장형 분석저울: 외부 검정<br />

a> 저울 수준기(level)의 물방울이 동그란 원둘레 안에 위치하는지 수평을 확인함.<br />

b> 저울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접시로부터 모든 물체를 제거한 후 문을 닫는다.<br />

c> 전원 V 확인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접속하고, ON/OFF를 눌러 예열한다.<br />

d> →O/T←를 눌러 영점을 조절하여 0.0000 g을 확인한다.<br />

e> Cal/Menu 모드를 눌러 [MENU] 화면을 선택한다.<br />

f> ↷↻ 모드를 눌러 [CAL E] 화면을 선택한다.<br />

그림 1-26. METTLER TOLEDO, AB204-S/FACT 분석저울의 외부 검정 순서.


36<br />

g> 필요한 분동(200 g)을 준비하여 접시 한가운데에 올려놓는다.<br />

Cal/Menu를 짧게 눌러 "외부 검정"을 실시한다. (사전 정의한) 분동 값<br />

[200.0000 g]이 화면에 잠시 반짝인다.<br />

h) [-------- cal ] 화면이 나타나면서 외부 검정을 실행한다. 화면에 [0.00 g]이 반짝이면, 분동<br />

을 제거한다.<br />

i) [-------- cal ] 화면이 다시 나타나면서 외부 검정을 실행한다. 검정이 완료되면 화면에<br />

[CAL donE]이 잠깐 나타난다. 저울은 마지막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0.0000 g]으로 돌아<br />

가고 칭량 준비가 완료된다 (그림 1-26).<br />

5 METTLER AJ180 저울의 외부 검정<br />

a> ON/OFF를 눌러 예열한다.<br />

b> →O/T←를 눌러 영점을 조절하여 0.0000 g을 확인한다.<br />

c> ↓MENU↑ 버튼을 2초간 눌러 CAL 화면을 선택한다.<br />

d> 화면에 [--CAL--], [------] [100.0000] 순서로 나타났을 때 필요한 분동(100 g)을 준비하<br />

여 접시 한가운데에 올려놓는다.<br />

e) [--------] 화면이 나타나면서 외부 검정을 실행한다. [0.0000 g] 화면이 반짝이면, 분동<br />

을 제거한다.<br />

f) [--------] 화면이 다시 나타나면서 외부 검정을 실행한다. 검정이 완료되면 화면에 [CAL<br />

donE]이 잠깐 나타난다. 저울은 [0.0000 g]으로 돌아가고 칭량 준비가 완료된다(그림<br />

1-27).<br />

그림 1-27. METTLER AJ180 분석저울의 외부 검정 순서.


37<br />

6 Shimadzu LIBROR AEX200G 분석저울의 외부 검정 순서<br />

a> ON/OFF를 눌러 예열한다.<br />

b> TARE를 눌러 영점을 조절하여 0.0000 g을 확인한다.<br />

c> MODE를 눌러 [SECond] 메뉴를 선택하고 TARE를 누른다.<br />

d> [P cAL]화면이 나타나면 TARE를 누른다.<br />

e> standard weight를 100.0000 g으로 설정한다. PRINT는 자리이동, MODE는 숫자변경,<br />

TARE는 선택 기능이다.<br />

f> [P CAL]화면이 나타나면 검정이 시작되고, [CAL A] 화면이 나타나면 100.0000 g의 표<br />

준분동을 올려놓고 문을 닫는다.<br />

g> [CAL5] 화면이 나타나면 표준분동을 접시에서 제거하고 문을 닫는다.<br />

h> [CAL AA] - [CAL A5] - [CAL 4] - [CAL 3] - [CAL 2] - [CAL 1] - [CAL 0] -<br />

[100.0000] 순서로 화면이 바뀌고 마지막으로 [CAL End]가 나타나면 검정이 완료된다.<br />

D. 시료 무게의 칭량<br />

1 영점 조절 후 표준분동을 사용하여 저울 검정완료 후<br />

2 칭량하고자 하는 물체를 핀셋으로 집어서 또는 종이로 말아서 접시 위에 조용히 올려<br />

놓고 표시 무게를 읽는다. 예: 500원짜리 동전 1개의 무게 = 7.6541 g (그림 1-28). 이 결<br />

과는 유통과정에서 발생한 마모를 고려하지 않은 측정값이다.<br />

3 [TARE]를 눌렀을 때 다시 “0.0000”g 이 되는가를 확인한다.<br />

4 칭량을 마친 물체를 접시 위에서 내려놓았을 때 표시값을 확인한다.<br />

예: 500 원짜리 동전 1 개를 내려놓은 경우 -7.6541 g 으로 음값이 표시된다.<br />

5 [TARE]를 다시 눌러 0.0000 g 이 된 것을 확인하고 [ON/OFF]를 눌러 전원을 끈다.<br />

6 저울 접시를 청소하고 보고서 작성


38<br />

그림 1-28. 전자식 분석저울 (Precisa XT 220A, capacity 220g, readability 0.1mg)의 영점 조절과<br />

500원 짜리 동전 1개의 무게 칭량 결과 (예: 7.6541 g).<br />

4. 실험과정의 요약


39<br />

1 칭량 준비물의 준비. 저울 설치 후 접시를 깨끗이 청소하고 수평을 확인한다.<br />

2 전자식 분석저울의 특징 파악한다.<br />

3 전원 연결하고 [ON/OFF]를 눌러 예열시킨다.<br />

4 영점을 조절한다.<br />

5 표준 분동을 사용하여 저울 검정한다.<br />

6 무게를 측정할 시료를 접시에 취한다.<br />

7 칭량 결과 및 관찰 내용 기록한다.<br />

8 저울 청소 및 뒷정리를 한다.<br />

9 보고서를 작성한다.<br />

5. 측경기를 사용한 20 mL 시약병의 안지름, 바깥지름,<br />

깊이 측정 실험<br />

측경기(캘리퍼, calipers)는 주된 자, 보조자 및 보조자 잠금 나사(locking screw), 안지름<br />

(inside diameter), 바깥 지름(outside diameter)을 잴 수 있는 턱(jaws)과 깊이를 잴수 있는<br />

깊이 검사침(depth probe)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1-29).<br />

그림 1-29. 전형적인 측경기의 구조. 이 200 mm 측경기는 주된 자의 39 mm를 20 등분한<br />

최소 눈금 0.05 mm의 보조자가 붙어 있다.


40<br />

그림 1-30. 20 mL 시약병의 안지름(위)과 바깥지름(아래) 측정 결과.


41<br />

20 mL 시약병을 안지름(inside diameter: i.d.) 측정용 턱(jaw)에 끼운 다음 보조자를 우측<br />

으로 완전히 밀어서 보조자 잠금 나사(locking screw)를 잠근다. 보조자의 영점은 주된 자<br />

의 16 mm와 17 mm 사이에 놓인다. 이 기준선으로부터 주된 자의 26 mm 눈금과 보조자<br />

0.25 mm 눈금이 일직선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20 mL 시약병의 안지름은 16.25<br />

mm이다 (그림 1-30).<br />

20 mL 시약병을 바깥지름(outside diameter: o.d.) 측정용 턱(jaw) 사이에 끼운 다음 보조<br />

자를 좌측으로 완전히 밀어서 조인 후 보조자 잠금 나사(locking screw)를 잠근다. 보조자<br />

의 영점은 주된 자의 25 mm와 26 mm 사이에 놓인다. 이 기준선으로부터 주된 자의 59<br />

mm 눈금과 보조자 0.85 mm 눈금이 일직선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20 mL 시약<br />

병의 바깥지름은 25.85 mm이다 (그림 1-30).<br />

측경기의 깊이 검사침을 20 mL 시약병 속으로 밀어 넣고 측경기 주된 자의 하단부가<br />

시약병 입구 턱에 걸리도록 완전히 조운 다음 보조자 잠금 나사(locking screw)를 잠근다.<br />

보조자의 영점은 주된 자의 58 mm와 59 mm 사이에 놓인다. 이 기준선으로부터 주된 자<br />

의 88 mm 눈금과 보조자 0.75 mm 눈금이 일직선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20 mL<br />

시약병의 깊이는 58.75 mm이다 (그림 1-31).<br />

그림 1-31. 20 mL 시약병의 깊이 측정 결과.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