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5.2015 Views

ATMEGA 2560 개발키트 사용기

ATMEGA 2560 개발키트 사용기

ATMEGA 2560 개발키트 사용기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품을 팔고, 인터넷을 뒤져온 사용자라면 2.54mm 간격이 아닌 2.0mm 간격의 커넥터와 원하<br />

는 크기의 만능보드를 구하는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br />

그러면 왜 MCU 모듈에서 2mm 간격의 커넥터를 이용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면 이<br />

Atmeag<strong>2560</strong>의 너무나도 많은 다리(100개) 때문이라는 답을 얻을 수 있다. Atmega<strong>2560</strong>은 그<br />

많은 기능에 걸맞은(?) 100개라는 다리 수를 자랑하고 있다. 2.54mm 간격의 커넥터를 사용하<br />

게 되면 그 크기가 커져야 한다. 예전 4개의 UART를 이용하기 위해서 구입했던 A사의<br />

Atmega<strong>2560</strong> 개발 보드와 NTC의 제품을 비교한 사진이다.<br />

이렇게 보니 확실히 보드의 크기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다른 사용자들<br />

은 만능기판에서 이 MCU 모듈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을 지적할 지 모른다. 하지만 이렇<br />

게 100 핀이나 되는 MCU를 위한 MCU 모듈을 한번이라도 만능기판에서 사용하기 위해 납<br />

땜을 해 본 사용자라면 납땜을 하다가 지쳐서라도 이런 MCU 모듈을 만능기판에서 사용하<br />

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br />

NTC의 MCU 모듈의 장점은 MCU 모듈에 PC와 시리얼 통신을 위한 MAX3232라는 전압<br />

레벨 변환 IC를 부착한 것이다. NTC의 MCU 모듈은 PC와의 통신을 위해서 매번 MAX232<br />

와 같은 IC를 납땜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없애 준 것이다. 이 하나만을 보더라도<br />

사용자를 위해서 많은 배려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MAX3232를 사용함으로써<br />

3.3V를 사용하는 경우도 대비하였다는 것이다.<br />

하지만 이 MCU 모듈의 PCB에는 실크 인쇄에 한가지 실수가 있다. Atmega<strong>2560</strong>과 Pin-to-<br />

Pin 호환인 Atmega1280을 이 MCU 보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된 MCU에 따라서<br />

2/9 페이지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