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5.2015 Views

ATMEGA 2560 개발키트 사용기

ATMEGA 2560 개발키트 사용기

ATMEGA 2560 개발키트 사용기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이 개발 키트에는 12V 1A의 SMPS가 포함되어 있다. 1A라는 전류는 백라이트 용으로<br />

100~300mA 정도까지 소비하는 CLCD나 GLCD를 하나가 아니고 2-3개 연결하더라도 무리<br />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가 실수로라도 전류가 모자라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br />

어느 정도 막아 줄 것으로 생각된다.<br />

데이터 CD<br />

CD는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제 소스(Example_source)와 NTC의 제<br />

품 매뉴얼, 유틸리티 프로그램 등 약 470개의 폴더와 파일들이 있지만 그림에서는 지면상<br />

생략하였다.<br />

제품에 대한 자료와 함께 많은 소스 코드를 다 포함시켜 두었기에 사용자가 홈페이지에서<br />

소스 코드를 찾는 수고를 덜어 주고 있다. 하지만 이번 키트에 포함된 USB-ISP인 “AD-USB-<br />

ISP V03” 에 대한 사용자 설명서가 없다는 점, AD-USBISP V02와 AD-USB-UART V02제품의<br />

자료를 저장하는 폴더에 사용할 수도 없는 크기가 0 바이트인 USBISP_V01.exe 라는 이름의<br />

파일이 들어 있는 것이 조금 거슬린다. 이것은 이후 이 자료 시디를 새로 만들 때에는 수정<br />

되어야 할 부분이다.<br />

예제 소스들은 초보자라면 반드시 한번씩 해 봄으로써 AVR의 기능을 익힐 수 있는 유용한<br />

예제들이 많으므로 초보라면 반드시 소스들을 한번씩은 분석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br />

각된다. 그러나 예제 소스의 초기화 루틴을 보면 예전의 Atmega128을 위한 소스를<br />

Atmega<strong>2560</strong>을 위해서 수정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하나 보인다. 즉 Atmega128에는 M103 호<br />

환모드가 있으며 이 때는 PORTC 가 입력으로만 동작하게 된다. 이 때를 위해서 포트의 초<br />

기화 함수인 port_init()에 “//m103 output only” 라는 주석을 붙였으나 Atmega<strong>2560</strong>에는 이<br />

호환 모드가 없으므로 이 AB-M<strong>2560</strong>키트를 위한 CD로 제작할 경우 각 소스의 포트 초기화<br />

6/9 페이지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