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6.2013 Views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BcN 형 홈 네트워크 모델링에 관한 연구 慶 ...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BcN 형 홈 네트워크 모델링에 관한 연구 慶 ...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BcN 형 홈 네트워크 모델링에 관한 연구 慶 ...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했던 이중상(ghost), 해상도 저하, 화면 불안정 등의<br />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 TV방식에서는 TV 스튜디오에서 제<br />

작한 영상과 가정의 TV 수상기에서 수신한 영상의 품질은 이론적으로 같다.<br />

두번째는 NTSC, PAL, SECAM방식과 같은 아날로그 TV의 문제점으로 지적되<br />

어 온 크로스컬러, 휘도신호 및 색신호의 해상도 저하 등의 각종 단점을 해결할<br />

수 있다. 4:2:2와 같은 디지털 콤포넌트 신호가 이러한 문제들을 쉽게 제거하기<br />

때문이다. 최근에 생산되는 각종 디지털 프로세스 카메라와 DVTR은 HDTV을 포<br />

함하여 DTV에 적합한 화면 종횡비와 고해상도의 화질을 구현하고 있어서 TV 수<br />

상기의 대<strong>형</strong>화를 촉진하고 있다.<br />

세번째로는 ATSC와 같은 디지털 TV방식에서는 기존의 NTSC 시스템에 할당<br />

된 6 Mhz의 대역폭 안에 HDTV 1~2채널, SDTV 3~4채널, 그리고 수많은 부가정<br />

보를 동시에 수용 할 수 있어 산업자원으로서의 전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br />

다. 또한 키 스테이션과 동일한 주파수로 지방 스테이션을 배치하여 광역 네트워<br />

크를 조합하는 SFN을 구성하면 주파수 효율은 더욱 극대화 된다. 더구나 디지털<br />

신호는 이론적으로 혼신이 존재하지 않아서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사용 할 수 없<br />

었든 인접채널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실질적인 효용성이 높다.<br />

네번째, 6 Mhz의 대역폭 내에서 다채널 방송이 가능하므로 방송사의 방송환경<br />

과 계층화 서비스에 적합하게 다채로운 편성이 가능하다.<br />

다섯번째, 아날로그 TV 시스템의 수신화질은 전계강도와 비례하는데 비해서<br />

디지털 TV에서는 기본적으로 임계점(threshold level)을 기준으로 신호의 유무를<br />

판별하므로 전계강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임계점 이상의 레벨만 확보되면 원신호<br />

와 동일한 화질과 음질이 얻어진다. 더구나 데이터의 오류정정(error correction)<br />

만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면 전계강도가 더 저하되어도 원신호의 완벽한 재현이 가<br />

능하여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수 있다. 그러나 전계강도가 임계점 이하로 저하되<br />

면 수신이 전혀 불가능하다. 그리고 낮은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므로 위성방송<br />

에서와 같은 강우감쇄(rain fall attenuation)도 없다.<br />

실험적으로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TV에 비해서 약 1/10정도에 불과한 송신<br />

출력으로 동일한 서비스 에어리어가 확보되고 있다. 송신기의 크기와 전력 소비량<br />

도 아날로그 TV에 비해서 각각 1/2과 1/3 수준으로 감소되어, 송신소의 운용비<br />

용도 크게 절감된다. ATSC방식의 경우는 송신용 철탑과 설비를 그대로 활용할<br />

수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경비는 더욱 절감 된다.<br />

여섯번째, 디지털 TV산업의 기술력과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DTV에 <strong>관한</strong><br />

핵심기술을 국내 기술력으로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수출할 수 있을뿐 아니<br />

라 지금까지 수입에만 의존해 왔던 고가의 방송장비를 국산화하여 해외로 진출할<br />

수 있다.<br />

일곱번째, 퍼스널 컴퓨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통신망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br />

3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