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0.2014 Views

Chapter 2 2 Chapter 2 프로펠러 추진기관과 동력장치

Chapter 2 2 Chapter 2 프로펠러 추진기관과 동력장치

Chapter 2 2 Chapter 2 프로펠러 추진기관과 동력장치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Chapter</strong> 2<br />

프로펠러 추진기관과 동력장치<br />

1 http://procom.jbnu.ac.kr


Propeller<br />

날개이론 기초<br />

베르누이 법칙<br />

2 http://procom.jbnu.ac.kr


Helicopter<br />

3 http://procom.jbnu.ac.kr


V/STOL<br />

4 http://procom.jbnu.ac.kr


Internal Combustion Engines<br />

Rotary (Wankel) Engine<br />

폴크스바겐 비틀 초기형<br />

수냉식 2기통 가솔린엔진<br />

5 http://procom.jbnu.ac.kr


프로펠러 구조<br />

그림 2.1 고정 피치 목재 프로펠러, www.woodenpropeller.com<br />

p<br />

그림 2.2 프로펠러 구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리스쿨<br />

그림 2.3 깃 커프, www.wikipedia.com<br />

6 http://procom.jbnu.ac.kr


프로펠러 추진원리<br />

2<br />

2<br />

V ( V v1<br />

)<br />

프로펠러 작동면 전면 P+ ρ = P ρ +<br />

1<br />

+<br />

(2.1)<br />

2 2<br />

ρ( V + v1) ρ( V + v2)<br />

프로펠러 작동면 후면 P1<br />

+Δ P+ = P+<br />

2 2<br />

프로펠러 작동면의 전후면에서의<br />

평균압력변화<br />

2 2<br />

(2.2)<br />

(2.3)<br />

프로펠러의 추력은 프로펠러 회전면의 면적과 압력차에 의해 결정 T = AΔP<br />

(2.4)<br />

위 식 (2.4)에 식 (2.3)을 대입하면 프로펠러 추력은 아래와 같다.<br />

v2<br />

T = Aρ ⎛<br />

⎜V +<br />

⎞<br />

⎟v<br />

또한, 프로펠러 추력은 뉴턴의 2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음. ⎝ 2 ⎠<br />

2<br />

(2.5)<br />

(2.6)<br />

가속도는 속도에 대한 시간미분이고 질유량은 질량에 대한 시간미분이므로 식 (2.6)의 가장 우변에<br />

있는 식으로 추력을 계산. 식 (2.5)와 식(2.6)을 이용하면 v 1<br />

와v 2<br />

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음.<br />

v<br />

2<br />

= 2v<br />

1 (2.7)<br />

이상적인 프로펠러 효율 : Output Thrust × Velocity V<br />

ηideal<br />

= = = (2.8)<br />

Input Total Work done V + v2<br />

이와 같은 이상적인 프로펠러 효율은 공기의 회전에 의한 에너지 손실과 프로펠러 깃의 형상항력<br />

손실 등 모든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프로펠러의 최대 효율의 한계치 정의해 준다.<br />

식 (2.6), (2.7), (2.8)을 정리하면 v 2 가 없어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리된다.<br />

(2.9)<br />

식 (2.9)는 이상적인 효율과 프로펠러의 주요 특성<br />

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br />

다.<br />

(1)<br />

(2)<br />

(3)<br />

그림 2.4 운동량 이론과 이 때의 공기 흐름 특성<br />

7 http://procom.jbnu.ac.kr


프로펠러의 종류<br />

끄는형 프로펠러 • : 고정피치 프로펠러는 허브와 깃이 일<br />

체형으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깃은 2개로 구성되어 있다.<br />

주요 소재로는 목재나 복합재료가 사용되며, 소형 항공기에<br />

널리 사용된다.<br />

미는형 프로펠러<br />

• : 지상에 정지 상태에서 피치를 조정할<br />

수 있다. 이러한 조정피치 프로펠러는 보통 허브를 분해할<br />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피치 조정을 할 때 기관으로부터<br />

프로펠러를 장탈해야 하는 것과 장탈하지 않는 것도 있다.<br />

•<br />

이중반전식 프로펠러<br />

8 http://procom.jbnu.ac.kr


프로펠러 동력장치<br />

그림 2.14 실린더 배열 방법에 따른 왕복기관의 종류<br />

그림 2.18 항공기용 로터리 엔진<br />

그림 217 2.17 로터리 기관의 구조<br />

그림 215 2.15 세스나 Skyhawk에 k에 사용되는 수평대향형 왕복기관<br />

그림 2.19 터보프롭 기관의 개략도<br />

그림 2.16 BMW사의 성형 엔진<br />

그림 221 2.21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이용한 무인기<br />

9 http://procom.jbnu.ac.kr<br />

그림 2.21 수소연료전지와 전기모터를 이용한 유인항공기


프로펠러 성능<br />

프로펠러의 주요 성능은 무차원 변수인 진행비(Advance Ratio, J)에 따라 표현됨.<br />

V<br />

J = (2.10)<br />

nD<br />

프로펠러의 주요 성능 인자로는 추력(T), 필요 토크(Q), 필요 동력(P), 효율(η)<br />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추력과 필요동력은 무차원 계수로 표현되며, 추력계수,<br />

필요토크계수, 필요동력계수를 사용함.<br />

C<br />

Thrust<br />

ρn D<br />

(2.11) Torque (2.12) Power (2.13)<br />

ρn D<br />

ρn D<br />

T<br />

= C<br />

2 4<br />

Q<br />

= C<br />

2 5<br />

P<br />

=<br />

3 5<br />

효율은 식 (2.8)을 식 (2.11), (2.12), (2.12)와 진행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

Thrust × Velocity TV TV CT<br />

V CT<br />

V<br />

η = = = = × = ×<br />

2πn × Torque 2πnQ P 2πC nD C nD<br />

프로펠러 효율로부터 필요 마력 계수와 필요 동력 계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br />

가진다.<br />

(2.15)<br />

Q<br />

P<br />

(2.14)<br />

합성속도 (2.16)<br />

그림 2.24와 같이 프로펠러 깃의 회전 선속도와 항공기의 비행<br />

속도의 합성속도가 프로펠러 회전면과 이루는 각을 유입각(φ)<br />

이라 하며 다음과 정의된다.<br />

비행 속도 V V<br />

tanφ<br />

= = = (2.17)<br />

회전 선속도 V<br />

2π<br />

nr<br />

1 2<br />

요소 추력성분 : dT = dL cos φ− dD sin φ = ρV R<br />

bdr ( C Lcos φ −C<br />

Dsin φ)<br />

2<br />

(2.18)<br />

1 2<br />

요소 필요토크성분 : dQ = ( dLsinφ + dD cos φ) r = ρVR brdr( CLsinφ+<br />

CDcos φ)<br />

2<br />

(2.19)<br />

그림 2.23 McCauly사의 7557 프로펠러의 진행비에 따른 효율<br />

10 http://procom.jbnu.ac.kr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