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2.2013 Views

향 평가에 의한 아로마 에센셜오일의 유형화와 감성분석

향 평가에 의한 아로마 에센셜오일의 유형화와 감성분석

향 평가에 의한 아로마 에센셜오일의 유형화와 감성분석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제18권 제1호 (2012), pp. 237-244<br />

한국미용학회지,<br />

<strong>아로마</strong>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br />

분야에서<br />

사용하는 에센셜오일은 전체 개화식물 중<br />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에<br />

오윤경*<br />

패션·뷰티계열<br />

부산경상대학교<br />

Kyoung Oh*<br />

Yun<br />

of Fashion & Beauty, Busan Kyungsang College<br />

Division<br />

감성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br />

특성과<br />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에 대해 많은 연<br />

최근<br />

관한 연구(박지혜, 2010; 정미순, 2004)가 이루어지고 있다.<br />

에<br />

주관적 평가척도나 <strong>향</strong> 감성에 관한 연구(강인형, 2002; 손<br />

<strong>향</strong>의<br />

author: Yun Kyoung Oh<br />

*Corresponding<br />

: 010-5011-3242<br />

Tel<br />

접수일(2011년 12월 6일)/수정일(2012년 2월 10일)/채택일자(2012년 2월 17일)<b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br />

<strong>향</strong> <strong>평가에</strong> <strong>의한</strong> <strong>아로마</strong>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strong>유형화와</strong> <strong>감성분석</strong><br />

The Classific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Aroma Essential Oil<br />

Based on Odors Evaluation<br />

The study classified representative essential oil used in the current aromatherapy through sensitivity evaluation on the odors and analyzed<br />

characteristics by type and sensitivity difference. The study method was aiming at 220 people and made them evaluated the sensitivity of<br />

the odors to self-record survey. Looking into the research result, first, structure elements of odors sensitivity were composed of three<br />

elements: attraction, strength, and modernness. Second, aroma essential oil types were divided to 5 groups and 8 sub groups. Group1 was<br />

composed of virile, cool, and stimulating sensitivity oils including basil, patchouli aniseed and etc. Group2 which gives cool and calm<br />

sensitivity was composed of clary sage, ylang ylang, tea tree and etc. Group3 which gives repulsive, stimulating, and pastoral was<br />

composed of cedarwood, vetiver, fennel and etc. Group4 which gives attractive, fragrant, and modern feeling was composed of<br />

grapefruit, bergamot and etc, and group5 which gives warm and calm sensitivity was composed of orange and rose. Third, in the result<br />

of positioning essential oil, X-axis could be named as fragrant-repulsive and Y-axis could be named as cool-warm.<br />

Key words: Aromatherapy, Essential oil, Sensitivity structure, Odors<br />

서 론 I.<br />

환경변화와 복잡한 경쟁구조는 현대인을 지속적인 스<br />

급격한<br />

15% 정도가 만들어내는 것으로(Gattefosse, 1993) 종류에 따<br />

약<br />

<strong>향</strong>과 효능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특히 에센셜오일에 있어<br />

라<br />

지배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정서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br />

<strong>향</strong>은<br />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의 적용에 있어 에센셜오일이 가진 <strong>향</strong>의<br />

하므로<br />

시달리게 하고 수많은 질환에 노출시키기 때문에 사<br />

트레스에<br />

신체의 건강 뿐 아니라 감정의 개선이나 정신적인 치유<br />

람들은<br />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는 천연식물에<br />

에도<br />

추출한 <strong>향</strong>이 나는 에센셜오일을 적용하여 신체적, 정신적 치<br />

서<br />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용분야에서는 주로 <strong>아로마</strong><br />

구가<br />

효능(김선경, 2011; 김성자, 2011)이나 <strong>향</strong> 선호도<br />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br />

하는 것으로 부작용이 적고 몸이 일으키는 관련증상에 골<br />

유를<br />

영<strong>향</strong>을 미칠 수 있어 꾸준히 활용되어왔다.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br />

고루<br />

용어는 1930년대가 되어서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strong>아로마</strong><br />

라는<br />

비롯한 방<strong>향</strong>식물은 고대부터 사용되었다. 고대<br />

에센셜오일을<br />

외, 2002)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의학이나 생리학<br />

진훈<br />

다루고 있어 미용분야에서 중요하게 쓰이고 있는 대<br />

분야에서<br />

마조람을 진정제로 사용하였고 인도에서는 샌달<br />

그리스에서는<br />

성직자들의 명상에 사용되었다(Salvatore, 2004). <strong>아로마</strong><br />

우드가<br />

<strong>아로마</strong> 에센셜오일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br />

표적인<br />

실정이다. 부족한<br />

적용은 주로 코를 통해 흡입하거나 마사지와 같은 방<br />

테라피의<br />

사용하는데 후각을 통한 <strong>향</strong>의 자극은 인간의 감성을 가장<br />

법을<br />

<strong>향</strong>은 에센셜오일에 있어 대표적인 특성을 나타내므로 <strong>향</strong> 감<br />

유발하고(Ehrlichman and Halpern, 1998), 마사지를 이용한 아<br />

잘<br />

적용은 신체적, 정신적 효과와 잘 접목되어 미용<br />

로마테라피의<br />

E-mail : ykoh@bsks.ac.kr<br />

237


연구와 차별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br />

의<br />

이 연구는 현재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에 사용되고 있는 대<br />

따라서<br />

dewberry, mint, lavender <strong>향</strong>을 사용하였고 여성적이다, <strong>향</strong>긋<br />

lily,<br />

개성적이다 등의 25문항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만들었다.<br />

하다,<br />

감성 평가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박미경 외<br />

<strong>향</strong><br />

연령별 <strong>향</strong> 감성 구조를 밝히기 위해 <strong>향</strong>이 제시되는 동<br />

(2001)는<br />

<strong>향</strong>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에는 차이가 났다고 하였다.<br />

만<br />

외(2007)는 냄새 강도에 따른 후각 감성 변화 연구에서<br />

민병찬<br />

있다. 수<br />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효능에 관한 연구에서 백성미(2008)는<br />

<strong>아로마</strong><br />

상승하였다고 했으며 김성자(2011)는 로즈, 클라리세이지,<br />

게<br />

오일의 사용이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척도 및 갱<br />

아몬드<br />

등의 체외배출을 높일 수 있으며 Clarysage·Rose Geranium<br />

소<br />

진전된 단백질 복구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

혼합처리군에서<br />

하였다. 최경 외(2010)는 일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제라늄,<br />

고<br />

라벤더 오일을 사용한 피부관리를 실시한 결과 수분<br />

로즈마리,<br />

있음을 알 수 있다.<br />

치고<br />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strong>아로마</strong> 에센셜오일을 대상으<br />

이상과<br />

1. 연구문제<br />

III. 연구방법<br />

2. <strong>아로마</strong>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유형을 분석한다.<br />

연구문제<br />

군집분석을 통해 <strong>아로마</strong> 에센셜오일을 유형화하고 특<br />

2-1.<br />

알아본다. 성을<br />

유형별 감성차이를 알아본다.<br />

2-2.<br />

2. 측정도구<br />

설문지 구성<br />

1)<br />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strong>향</strong>을 맡고 난 뒤 느껴지는 주관적 감성<br />

<strong>아로마</strong><br />

<strong>향</strong>에 대한 감성 어휘를 사용한 설문지법으로 이루어졌다.<br />

은<br />

구성하기 위해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strong>향</strong>을 나타내는 형용<br />

평가척도를<br />

문헌(Salvatore, 2004; 오홍근, 2002)을 통해 수집하였고,<br />

사를<br />

외, 2002; 백은주 외, 1999)를 참고하여 20개<br />

선행연구(손진훈<br />

238 J. Kor. Soc. Cosm. Vol. 18, No. 1, 2012<br />

따라 에센셜오일을 유형화하는 것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br />

성에<br />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 오일의 선택과 활용에 도움<br />

오일에<br />

증상을 완화하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고 하였다. 정대<br />

년기<br />

외(2004)는 Rose Geranium 오일이 체내 노폐물과 체액, 독<br />

희<br />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몇 종류가 아닌 많은 에센셜오일<br />

이<br />

대상으로, <strong>향</strong>을 직접 맡으면서 감성평가를 하는 것은 기존<br />

을<br />

에센셜오일을 <strong>향</strong>의 감성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에 따<br />

표적인<br />

감성차이를 분석하여 에센셜오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br />

른<br />

하고자 한다.<br />

유분량이 빠르게 개선되었고 특히 탄력도에서 우수한 효<br />

량과<br />

나타내어 빠른 시간 내에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함유한 진<br />

과를<br />

이론적 배경<br />

II.<br />

휘발성 <strong>향</strong>유인 에센셜오일을 이용하여 심신<br />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는<br />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strong>아로마</strong><br />

피층을<br />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br />

에센셜오일은<br />

건강하게 하는 요법을 말하는 것으로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의 기본<br />

을<br />

코와 피부를 통해 <strong>향</strong>을 뇌에 전달함으로써 정신적, 신체<br />

원리는<br />

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몇 종류의 <strong>아로마</strong><br />

로<br />

사용하여 효능이나 평가차이를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br />

오일을<br />

치료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오홍근, 2002). 일반적으로 <strong>향</strong><br />

적<br />

감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형용사 어휘를 이용한 심리척도를<br />

의<br />

연구와 달리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strong>향</strong>을 실질적으로 평가하고<br />

기존의<br />

분류, 체계화하는 것은 <strong>아로마</strong>테라피나 미용분야에서<br />

오일을<br />

방법, 표정과 제스처로 추론하는 방법, 측정기를 사용<br />

사용하는<br />

방법 등이 있는데(손진훈 외, 2002) 형용사 어휘를 사용한<br />

하는<br />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br />

살펴보면 Sugawara 외(1999)는 <strong>아로마</strong> 오일 ylang<br />

연구들을<br />

orange, geranium, cypress, bergamot, spearmint, juniper에<br />

ylang,<br />

<strong>향</strong> 감성을 평가하는데 자연스럽다, 따뜻하다, 유쾌하다 등<br />

대한<br />

감성 형용사 13개를 사용하였다. 백은주 외(1999)는 26종의<br />

의<br />

<strong>향</strong>과 에센셜오일 <strong>향</strong>의 자극으로 유발되는 감성의 특징<br />

페로몬<br />

밝혀내고자 하였는데 상쾌하다/불쾌하다, 좋다/싫다, 자극적<br />

을<br />

감성에 따라 <strong>아로마</strong> 에세셜오일을 분류하고 감성차이를<br />

<strong>향</strong><br />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br />

알아보기<br />

등의 18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손진<br />

이다/은은하다<br />

외(2002)는 <strong>향</strong> 감성평가 척도개발을 위해 citrus, strawberry,<br />

훈<br />

1. <strong>아로마</strong>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strong>향</strong> 감성 구성요인을 알아<br />

연구문제<br />

본다.<br />

혈류량, 피부온도, 피부전기반응, 심전도 반응, 주관적 감성<br />

안<br />

측정하였는데 <strong>향</strong> 감성구조는 연령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지<br />

을<br />

연구문제 3. <strong>아로마</strong> <strong>에센셜오일의</strong> 포지셔닝을 알아본다.<br />

냄새라도 냄새 강도에 따라 후각 감성이 달라질 수 있<br />

동일한<br />

냄새 강도가 클수록 후감 감성에 더 많은 차이를 보이지<br />

으며<br />

보통 강도일 때 후각 감성 차이를 분명하게 지각한다고 하<br />

만<br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strong>향</strong>의 주관적 감성평가<br />

였다.<br />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고, <strong>향</strong>과 평가<br />

에<br />

상태에 따라 <strong>향</strong>의 감성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음을 알<br />

자의<br />

형용사 쌍을 선정하였다. <strong>향</strong> 감성 관련 형용사들은 양극 7점<br />

의<br />

구성하였으며 <strong>향</strong>을 맡으면서 느끼는 정도를 자유롭게<br />

척도로<br />

오일 <strong>향</strong>의 특색은 강하고 상쾌한 약초<strong>향</strong>기로 로즈마<br />

로즈마리<br />

오일을 흡입한 초등학생들의 주의집중력 수치가 유의미하<br />

리<br />

평가하도록 하였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