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Cyber Security Issue 8월동향 보고서.pdf

Cyber Security Issue 8월동향 보고서.pdf

Cyber Security Issue 8월동향 보고서.pdf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의료장비의 수요자인 병원에서도 의료기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사용자가 변경할수 없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으며, 의료기기 제조사에 이를 요청하기도 함▣ 시사점▣ 개요의료 장비의 취약점에 대한 조치 강화 필요○ 보안 전문가 및 연방 정부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의료기기 제조사가 제품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개발하는 기간이 매우 오래 걸림○ 의료 시스템 전산화로 인하여 의료기기도 의료정보 송수신을 위해 인터넷에 연결됨에따라 악성코드 감염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짐○ 의료기기의 경우 악용될 경우 파급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의료기기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는 개발 단계부터 보안개발 절차를 도입해야함[출처]1. http://www.darkreading.com/vulnerability/medical-device-flaws-will-take-time-to-h/24015957II. 인터넷 보안 동향○ ’13년 8월 블랙햇 컨퍼런스에서 보안 컨설턴트가 의료기기 취약점에 대한 발표를 하였으며, 의료기기의 전력소모를 기반으로 악성코드 감염 여부를 탐지하는 논문도 발표예정▣ 주요내용○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의료기기 제조사에 대한제품의 취약점 점검 및 조치 지침에도 불구하고 아직 의료장비 회사의 보안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함※ FDA, 의료기기 및 병원 네트워크를 위한 사이버 보안 지침 발표 (’13. 6. 13)○ FDA는 의료장비 자체에 대한 보안뿐만 아니라, 의료장비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작동될수 있도록 의료기기가 포함된 네트워크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대해 권고 하고 있음○ 의료장비의 경우 일반적인 보안과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한데, 인슐린 펌프와 같이 신체에 이식되는 장비의 경우 미세한 오작동에도 생명에 영향일 끼칠 수 있기 때문임※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는 인슐린 펌프가 의사에게 무선으로 혈당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 장비의 취약점이 더 쉽게 이용될 수 있음○ 의료장비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우주왕복선을 제작하는 것처럼 엄격함이 필요하기때문에 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며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실시하는 보안 개발 라이프 사이클과 같은 보안 개발 절차를 채택할 것이 권고됨30 월간 「<strong>Cyber</strong> <strong>Security</strong> <strong>Issue</strong>」 8월 동향 II. 인터넷 보안 동향 31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