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7.2015 Views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인정책 ...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인정책 ...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 장애인정책 ...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표 목차 연구설계 ····················································································22 실험집단의 일반적 사항 ························································23 <strong>사회재활</strong><strong>프로그램의</strong> 실시 내용 ············································28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분석 ········· 3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동질성 분석 ···················3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비교···········3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사전·사후 비교···············3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행동 사전·사후 비교···············38- iii -


그림 목차[그림 1] 자아존중감 평가의 사전-사후 평균 비교 ························36[그림 2] 대인관계 평가의 사전-사후 평균 비교 ····························37[그림 3] 사회행동 평가의 사전-사후 평균 비교 ····························38- iv -


국 문 초 록<strong>만성정신장애인을</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임 순 옥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오랜 기간 동안 정신질환을 앓아온 만성정신장애인은 인지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많은 어려움을 보이고, 음성증상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음성증상은 꾸준한 약물치료에도 한계를 드러내어 잦은 재발을 가져오고, 이에 따른입·퇴원이 반복되면서 만성정신장애인은 낮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 및 사회부적응을 초래하게 된다. 만성정신장애인의 궁극적인 치료목표는재발을 방지하고, 사회적응력을 향상하여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데 있다.만성정신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돕는 방법으로 약물치료 외에 다양한 재활서비스가 요구되며, 이러한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제공은 만성정신장애인에게 가족 외에 이용 가능한 지지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기관에서 제공되는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대인관계능력 증진과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통하여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완전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더 나아가서는 정신장애인들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의 <strong>효과</strong>성을 검증하고자 한다.<strong>효과</strong> 검증을 위하여 충남에 있는 C복지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만성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험·통제 집단을 각각 10명씩 20명으로 구성하여 연구실험- v -


을 하였다.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은 일상생활기술훈련, 대인관계기술훈련, 인간관계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 예술요법, 여가·오락 등으로 구성하여 총 16회기로 주2회 2시간씩 진행하였다.자료분석은 실헙집단과 통제집단간 차이를 검정하는 비모수 추리통계 방법인Mann-Whitney의 U검정을 이용하여 두 모집단 사이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실시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한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이는 대인관계훈련과 인지재활, 여가활동 등 다양한하위프로그램으로 구성된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아존중감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둘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검사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상으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만성적인 정신질환과 빈번한 재발,장기적인 입원으로 인하여 사회적응력이 부족하고 대인관계에 자신감이 결여된 만성정신장애인들이 프로그램 참여로 동료와의 상호작용과 지역사회 이용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정기적인 활동을 통하여 무기력한 생활에서 벗어나면서 사회생활에 자신감을 획득한 결과로 보인다.셋째, 사회행동 증진에 대한 <strong>효과</strong>성 또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 내용으로 구성된 하위영역척도에서 향상을 보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소집단 내에서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교환하고 공유하면서, 스스로는 자신감을 획득하고 성취감을 느끼며, 타인을 인식하고 배려하는 자연스런 관계형성이 유도해낸 결과로 분석된다.한편, <strong>만성정신장애인을</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으로의 <strong>효과</strong>성을 높이고, 후속연구자들의 발전된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첫째, 일상생활 속에서의 적용<strong>효과</strong>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과제를 활용한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strong>효과</strong>성을 비교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둘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서 얻은 치료적 <strong>효과</strong>를 유지·강화할 수 있도록 후속연구와 더불어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사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셋째, 만성정신장애인에게 나타나는 음성증상은 정보처리과정에 오류를 발생시- vi -


키는 인지장애를 갖게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지역사회에있는 만성정신장애인들이 약물치료와 함께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서 사회행동에변화를 보여 완전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독립된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strong>효과</strong>적임을 입증해 주었다.중심어 : 만성정신장애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사회적응- vii -


Ⅰ. 서 론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현대사회는 인구증가와 더불어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복잡한 사회구조와 문명의 이기에 의한 자동화, 획일화 등으로 인간성 상실과 인간소외현상이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현대인들은 경쟁적인 인간관계로 변화되고 있으며,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사회심리 적응에 장애를 초래하여 정신질환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이러한 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증가를 가져와 우리나라 사람이 평생 한 가지이상의 정신질환에 걸릴 확률이 33.5%로, 이러한 수치는 3명 중 1명꼴로 정신적 이상을 겪을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의 출현율은해마다 증가하여 현재 7만8천여 명에 이른다(보건복지부, 2007).이처럼 정신질환자들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에 반하여 정신장애인 서비스는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정신장애인들이 가족들의 이해 부족 속에 숨겨지거나 방치되어 왔으며, 사회로부터는 잘못된 인식과 편견속에서 인간다운 삶을 제대로 영위하지 못한 채로 살아 왔다.그러나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과 더불어 정신장애인이 개인문제에서 사회문제로 부각되었으며, 우리나라 정신보건정책도 정신장애인들의 인권을 개선하고 입원치료 중심에서 재활치료를 통해 사회복귀 시키고자 하는 지역사회정신보건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정신장애인들은 질병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대처기술이빈약하며, 의존성이 강하고 경쟁관계 속에서 직업활동 유지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황태연 등, 1996). 특히 장기간 입원 후 퇴원한 정신장애인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낮아 원활한 사회생활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1 -


이러한 현상들은 증상자체보다 정신장애인들이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과기회를 갖지 못하는 점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성 상실 등의 문제가 더욱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저하된 능력을 향상시키고 불리한 여건을없애주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들이 속한 지역 내에서 의미 있는 대인관계를 맺고 독립된 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strong>위한</strong> 정신<strong>사회재활</strong>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하다(김철권, 1996).만성정신장애인에게 있어 대인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Smitherman, 1981), 이들은 장기간 사회와의 격리로 인하여사회생활에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가족이나 친구, 이웃들에 대한 열등감으로 심리적인 위축과 우울감을 가지고 독립적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낸다.또한 만성정신장애인의 경우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매우 낮은 것으로나타났는데(이정숙, 1999), 이처럼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일의 성취도가낮고 비극적이며, 타인의 비난에 쉽게 상처를 받는데 비하여 호의적인 대우를받고자 하는 욕구로 인해 외부환경에 쉽게 설득되며, 자기 정체성이 약하다(김시업, 1995).이외에도 만성정신장애인은 가족으로부터의 소외와 이웃의 편견, 경제적인능력상실 등에 따른 심리적 중압감으로 재발의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간 약물을 복용하면서도 병을 인식하거나 관리하는 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약물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거의 없어 약물복용을 중단하거나 자신의 마음대로 증량을 하거나 먹지 않는 등 나쁜 복용습관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완화시키고 정신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적응을 돕는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의 증진, 독립심과 사회성의 발달,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촉진, 성취동기 유발을 통한 사회적응능력 향상, 비친족과의 관계망 형성 등은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가족 외에 이용 가능한 지지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김희정, 1992).- 2 -


우리나라 대부분의 종합병원 정신과 병동이나 정신병원에서 실시하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서비스의 종류는 개인정신요법, 집단정신요법, 약물 및 증상관리교육, 스트레스관리, 생활요법, 오락요법, 그림요법, 음악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작업요법, 심리극, 사회성훈련, 직업재활, 가족교육 및 가족치료, 환경요법 등이 있다..그러나 병원 중심의 장기치료에서 단기치료 경향으로 어느 정도 호전되어가정과 지역사회로 돌아간다고 하더라도 만성정신장애인 개인과 가족이 지역사회 적응과정에서 요구되는 훈련과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재발과 재입원의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김철권, 1996).따라서 만성정신장애인이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기술을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훈련시키는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요구된다.<strong>사회재활</strong>은 주로 집단활동으로 이루어지며, 만성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자신이 경험한 일들이나 관심있는 주제에 대하여 경험과 의견을 나누고 서로간에 지지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듭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다루고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고,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배우게 된다(이정균,1992).이처럼 집단활동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재발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보제공과 사회적응에 필요한 적절한 대인관계기술, 어려운 상황에서의 대처방법 등을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여 연습, 훈련시켜 재발율 감소와 스스로의극복능력 및 사회적응력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strong>효과</strong>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철권, 변원탄 공역, 1995).또한 만성정신장애인 재활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박강규(1990)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 재활<strong>프로그램의</strong> 하나인 사회기술을 언급하면서 사회기술훈련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채준안(2000)은 치료레크리에이션을 활용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고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증진시킴을 입증하였으며, 또 다른 연구에서는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입원한- 3 -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strong>효과</strong>가 있음을 밝히기도 하였다(김상숙,1998). 미술요법은 그림이라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서치료자와 환자간의 전이작용이 쉽게 일어나고 저항을 덜 느끼며, 내면의 심리까지 드러내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쳤다(이상윤, 이경희, 1998).이외에도 작업요법, 놀이요법, 음악요법, 무용요법, 예술요법, 원예치료 등이<strong>효과</strong>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정신병원의 낮병원이나 정신보건센터에서 실시한 집단활동요법에 대한 연구들로 장애인복지관에서 실시하는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논문은 전무한 상태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지역사회 재활서비스기관에서 제공되는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성을 측정하고자 한다.이와 같은 연구로 인하여 만성정신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능력과사회행동능력이 향상되어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완전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더 나아가서 정신장애인들의 재발율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첫째, 외래치료를 받으면서 지역사회내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재 활을 위하여 통합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해 봄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의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다.둘째, 지역사회 거주 만성정신장애인에게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이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사회적응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본다.셋째, 지역사회정신보건에서의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구조화 및 활용 가능성을 알아본다.- 4 -


제2절 연구문제만성 정신장애인은 오랫동안 만성적 정신질환에 시달리고 반복적인 입·퇴원으로 인한 사회와의 격리 등으로 자아존중감이 낮고, 대인관계에 불안감을 나타내며, 이로 인하여 지역사회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 <strong>사회재활</strong>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된다.따라서 본 연구는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 및사회적응 능력의 향상을 도와 만성 정신장애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스스로 자존감 있는 삶을 살 수 있는지 그 <strong>효과</strong>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한다.1) 연구문제 1 :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받은 만성정신장애인은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인가?2) 연구문제 2 :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받은 만성정신장애인은 대인관계가향상될 것인가?3) 연구문제 3 :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받은 만성정신장애인은 사회적응능력이 증진될 것인가?- 5 -


Ⅱ. 이론적 배경제1절 만성 정신장애인1. 만성정신장애의 개념대부분의 질병은 일반적으로 병의 진행과정과 치료, 회복이라는 차원에서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만성적인 정신장애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정신장애의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데다 만성에 대한 정의도 단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정신장애(psychiatric disability)와 정신질환(psychiatric illness)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유사한 개념으로 혼용하는 경향이있으나 정신질환은 신체적 질환과는 달리 발병과 진행과정, 회복에 있어 장기간이 소요되어 장애의 상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정신질환은 정신병적(psychotic)인 것과 신경적(neurotic)인 것 모두르르 포함하면서 현재 질병의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정신장애는 질병 이전의 정신적 기능이회복되지 못하여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기능저하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채준안, 2000). 이를 구별해야 하는 이유는 정신병자라는 한 개인에게 주어진사회적 역할과 낙인은 자아감과 행동을 결정하는 동시에 그 사람의 행동에 대한 타인들의 반응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환자로 보기보다는, 사회속에서 비장애인에 비하여 사회적 능력 제약과 불리함에처해있는 장애인으로 보는 것이 재활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대부분 정신장애의 발병시기는 18세~25세 사이에 90% 이상이 발병하며, 초기에는 발견이 어려워 정신병원을 찾을 때는 중증의 경우가 대부분으로 장기간의 입·퇴원을 반복하면서, 질병의 심각성을 깨닫게 되고 약물치료의 과정을거치가면서 만성화 되어간다(이계안, 2000). 이렇게 만성화된 정신장애인은 자신의 증상에 대한 통찰력이 거의 없으며,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일도 제대로- 6 -


처리하지 못하면서 독립적인 생활이 점차 어려워진다. 그리고 환자의 보호자또한 장기간이 입·퇴원의 악순환을 거듭하면서 점차 병의 심각성을 깨닫게 되고 점점 가족들이 소진되어 급기야는 가족으로부터 소외 되어가고 만다.또 다른 연구에서는 (조흥식, 1994) 유병기간이 최소한 2년을 경과하고, 재입원기간이 1년 이상되고, 재입원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으며, 병의 장기화로환자 자신의 능력상실로 인한 가정기능의 약화, 치료의 성격보다 보호적 성격이 강한 가족의 수용시설 욕구, 사회적응의 기회 상실, 정신장애의 복합적 요소로 인한 사회문제화 등을 언급하였다.이와같이 만성적 장애는 사회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음성증상을 더욱악화시켜 특정상황에 대한 정보처리과정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인지기능장애를갖게 함으로써 결국 문제해결능력의 감소,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의 사회적응력 약화를 초래하게 된다(Bellack, 1992 ; Brenner, 1994; William, 2000).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만성 정신장애인들은 사회적 고립, 감정표현의둔화 및 소실, 말수 감소 및 상실, 의욕상실, 주의집중장애 등 대부분의 음성증상과 질환 발생후 재발, 만성화로 인해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능상에서 장애를경험하고, 이로 인하여 사회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가족의 기능이상실되고,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또한 음성증상은 약물을 통한 개선이 다소 어렵기 때문에 만성 정신장애인이지역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하며, 이외에도 주거시설 확보와 생계보장이 선행되어지고 평생계획에 정신보건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서미경, 2000).결론적으로 만성정신장애인이란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조울증 및 주요 우울증과같은 만성적이고 심한 주요 정신질환에 이환되어 있는 환자로서 질병으로 인해 일상생활 및 사회적, 직업적 기능의 장애가 있는 사람(김철권, 변원탄 공역, 1995)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발병 이후 2년 이상 경과된 사람으로 입·퇴원 반복과증상지속 등 전반적 사회기능 저하로 사회통합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7 -


2. 정신장애의 원인 및 특성정신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지만 이와 관련하여여러가지 원인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김윤희 외, 2001).첫째,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로 이는 체질적으로 취약성을 갖는 개인에게어떤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정신분열병의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는 가설이다.스트레스를 주는 생활 사건들로는 친구나 애인의 상실, 이별, 가출, 군입대 등이며, 이외에도 사회적 스트레스(빈곤, 가족이나 친척이 없음 등), 가족환경(지나친 과보호, 적대적이거나 비판적 분위기 등), 신체적 요인(질병, 술 또는 마약복용 등)을 들 수 있다.이런 스트레스를 받으면 개인의 체질에 따라서 쉽게 위기를 넘기는 강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를 극복하지 못해 정신분열병에 걸리는 약한 사람이 있다.둘째, 생물학적 원인으로 뇌의 이상과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을 들 수 있다.뇌의 이상은 지난 10년간 뇌의 어떤 특정한 부위가 정신분열병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여러 연구들이 시행된 결과 전두엽(뇌의 부피와 혈액순환의 저하), 측두엽(간질이 있을 때 정신분열병을 일으키기가 쉬움) 등 몇 가지 가능성 있는 부위들이 제시되었다.신경전달물질은 인간의 생각, 감정, 지각, 행동 등 모든 것을 뇌 안에서 정해진 통로를 통하여 전달해 주는 화학물질로서, 신경전달물질을 통하여 우리는 생각하고 느끼며, 지각하고 행동하게 된다.현재까지 밝혀진 뇌 안의 신경전달 물질은 수십종이 넘으며, 이러한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이 정신분열병뿐만 아니라 우울증, 조증, 불안증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알고 있다.- 8 -


현재 정신분열병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으로 정신분열병은 뇌안에서 도파민이 너무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셋째, 유전학적 원인으로 여기에는 가족연구 - 평균적으로 일반인구에서정신분열병의 유병율은 보통 0.5%-1.5%인데 반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형제혹은 자녀에서 유병율은 보통 5-15%로서 10배나 높으며, 양쪽 부모 모두 환자일 경우 40%로 증가하여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발병 기대율이 높아지며,이외에도 쌍생아 연구, 양자연구 등이 있다.넷째, 정신사회적 원인은 환경이 정신분열병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사회문화적 요인 또한 정신분열병의 발병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진단, 치료및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외부 정보처리의 이상으로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외부의 자극에 과다하게 민감한 경향이 있으며,다양한 자극을 분류하기 어렵고, 어떤 시기에는 자료 일부분에 초점을 맞추는게 어렵다.또한 사회적 환경은 산업화와 도시화가 정신분열병의 원인과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위생상태의 불량, 경제적 박탈, 불충분한 교육, 범죄행위등 가족 및 사회기능의 장애를 중요한 원인적 스트레스로 들기도 하나, 빈민가에서도 건강한 아이가 정신분열병에 걸리지 않고 자랄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단정할 수도 없다.이렇게 여러가지 원인이 제시되고 있지만 최근 정신분열병과 관련하여 가장주목받는 이론은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이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말하면 정신분열병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뇌의 전체적인 기능장애를초래하는 복합성 뇌기능 장애이다.정신분열병에 걸릴 수 있는 소인이 유전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정도의 지식은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유전인자가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9 -


지 아직은 잘 모르고 있고, 그것만으로 병의 원인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최근의 연구를 종합해 보더라도 정신분열병은 유전병은 아니지만 가족적인 경향은 있다는 정보이다.유전병이 일정한 유전법칙에 따라 자손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병이라면 가족적인 경향이란 가족 중 한명 또는 여러명이 어떤 병을 앓고 있을 때 나머지가족이나 자손들에게 그 병이 나타날 가능성이 일반사람보다 큰 것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체질이라고 이해하면 된다.환경적 요인 또한 이에 못지 않게 관여하나 그것만으로도 병의 원인에 대한설명이 충분하지 않다. 물론 정신사회적 요인 등이 유발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은 거의 확실히 밝혀지고 있다.만성정신장애인의 특성으로는 DSM-Ⅳ에 의한 분류, 의학적인 특성, 사회심리학적 특성으로 접근할 수 있다.먼저 DSM-Ⅳ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정신질환은 크게 정신증(psychosis), 신경증(neuroses),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기타장애로 구분한다. 정신증은 정신분열증과 정동장애로 분류하는데, 첫째 정신분열증은 극단적인 현실왜곡이 특성이다. 또한 경과가 만성적이며 외형적으로 환청, 망상, 자기통제력상실, 괴상한 행동 등을 들 수 있다. 정동장애는 정서혼란이 특성으로 우울증과 조울증으로 대표되며, 인지능력, 활동수준, 언어기능 등 많은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며, 그에 따라 인간상호관계, 사회적 역할, 직업상에서의 기능 손상을 가져온다.신경증은 정신분열과 비슷하지만 사회생활 가운데 사람들과 접촉할 수 있고질병의 심각성이 덜하다. 증상으로는 불안, 강박장애, 공포증 이며, 사람에 따라 그 유형이 다양하고 특정 행동마저 다르게 나타난다. 성격장애는 지능에결함이 없고 정신병처럼 사고, 행동, 경험에 있어 심한 퇴행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부정한다는 점이다(채준안, 2000).- 10 -


다음으로 만성정신장애인에 대한 의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그만 스트레스에도 심한 정신병리 현상을 나타낸다.둘째, 금전관리, 경제활동, 교통수단 이용, 식사준비, 세탁 등 생존을 <strong>위한</strong>기술이 결여되어 있다.셋째, 자신을 무력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가족이나 정부의 도움이나 지원이없으면 심한 정신적 병리현상을 보인다.넷째, 보호와 지도아래 기술을 익힐 때는 직업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으나 혼자만의 직업유지나 경쟁관계 속에서는 매우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결국에는 직업을 유지하지 못한다.다섯째, 대부분은 타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황태연 외 1996).만성정신장애인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정신장애는 유병기간이 최소한 2년을 경과한다. 둘째, 입원기간은 90일 이상이며, 재입원·퇴원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셋째, 병의 장기화로 인한 능력상실로 개인생활 및 가정생활의 기능이 약화된다. 넷째, 단기간의 치료보다장기 보호의 성격이 강하여 가족의 보호부담이 커지고 그에 따른 욕구가 강하게 나타난다. 다섯째, 정신장애의 장기화로 가정 파탄을 초래하고 여섯째, 사회로 부터의 편견과 낙인으로 인한 사회적응 기회가 상실된다. 일곱째, 만성과정신장애의 복합적 요소로 인해 사회복지 대책이 요구된다(양옥경, 1996).이상과 같이 만성정신장애인의 특성에 대하여 DSM-Ⅳ에 의한 분류, 의학적, 사회심리학적 접근의 결과를 고려해 볼때 이들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strong>위한</strong>구체적이고 다양한 <strong>프로그램의</strong>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를 높여주어 사회적응에 대한 적극성과 활동성을 강화시켜주기 위하여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 11 -


제2절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1.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개념재활(Rehabilitation)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원리는 개인이 갖고 있는능력을 가능한 최대한으로 발휘하는데 있다. 재활은 정신과 신체장애의 구별없이 환자로 하여금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으로 그의 능력에 가능한만큼 만족할 만한 생활을 하고 최대한의 기능을 활용하여 적응하도록 하는 형태의 재활훈련과 적응방법을 말한다. 특히 정신과 재활은 재발과 재입원의 방지, 삶의 질 개선, 적절한 사회적 역할의 획득 이라고 할 수 있다(Campbell,1976). 또한 Thomson과Stand(1994)는 정신재활의 원리를 첫째, 병리학적인것보다 대상자의 능력과 회복에 촛점을 두었다. 두번째로 모든 사람은 개발될수 있는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셋째, 의학적 건강관리 모델보다 사회적건강관리 모델을 강조하였다. 넷째로는 과거의 문제보다 ‘지금 여기에(here &now)’ 를 강조하였고, 다섯째, 모든 사람은 사회적, 직업적, 교육적, 대인관계기술 등을 지닌다. 여섯째, 모든 인간은 자기결정권과 책임을 갖는다. 일곱째,서비스는 가능한 한 정상적인 환경에서 제공되어야한다. 여덟째, 각 개인마다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도록 개별화 한다. 아홉째, 서비스는 전문적이고 권위적인 방어나 장애요인이 없는 친밀한 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열 번째, 대인관계는 변화를 일으키는데 필수적이다. 열 한번째, 직업재활즉, 일하는 것은 재활과정의 중요한 요인이다. 열 두번째, 대상자와 가족이 재활의 주체가 된다. 이처럼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은 위와 같은 재활원칙을 따를 때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이 향상·유지된다.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수용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였고,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 프로그램에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은 개인의 기능과 능력을회복시키고 이를 극대화 하는데 초점을 둔 포괄적 접근 방법이며, 정신장애인- 12 -


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고,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최적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이다(Liberman, 1988).실제로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strong>사회재활</strong>은 약물치료와 함께 정신분열병과 같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선진각국에서는정신장애인의 <strong>사회재활</strong>을 약물치료와 함께 가장 필수적이며 <strong>효과</strong>적인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어 두 가지 치료를 병행해 나가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다.현재 전세계적으로 정신재활영역에서의 치료목표는 정신과적 증상제거의 소극적인 목표에서 정신질환자가 사회속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사회복귀를 실현하는 적극적 목표로 변화되어 정신<strong>사회재활</strong> 서비스의 중요성 또한 증가되고 있다.이러한 정신장애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은 주로 집단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집단 형식의 프로그램 적용은 재발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와 관련된 기술훈련을 적용하여 약물 및 스스로가 증상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집단프로그램은 자신들의 치료에 대해 스스로 토의를 하는 등 정신장애인 본인이 중심이 되어 경험한 일들이나 관심있는 주제에 관해장애인과 치료자가 함께 의견을 나누고 상호 지지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다루고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배우게된다(이정균, 1992).그러나 지역사회보건체계의 열악한 상황과 전문가들의 부족은 정신장애인에게 재활을 치료보다 관리라는 차원에서의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한계를 드러내고 있어(정선영, 2001), 많은 수의 정신장애인들이 입원이나 외래치료 수준에 만족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만성정신장애인 경우 지속적인 약물복용과 증상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잦은 재발과 재입원을 되풀이하고 이로 인하여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는 더욱 어려워진다.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 각자가 독립적으로 자기관리를 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살아가는데 필요한 대처기술을 습득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현재의 기능수준을- 13 -


지지, 강화하여 주는 중재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인간관계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 예술요법, 여가·오락활동 등 삼성병원의 통합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만성정신장애인들이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내에서 의미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독립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돕기 위하여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대인관계증진에 <strong>효과</strong>가 있는지를확인하고자 한다.2.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구성지역사회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구성은다음과 같다.1) 일상생활기술훈련일상생활기술훈련은 스스로 자신이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가정 기본적인 개인위생관리, 식생활 및 요리실습, 세탁 등 의복관리 등을 말한다(이충순외 1996). 이는 실제 생활에서 훈련을 하여 직업적, 사회적 및 대인관계 기술을 가르침과 동시에 일상생활에서 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치료 모델로서 이는 대인관계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자기의 어려움 표현과 자기주장및 자존감이 향상되어 동기유발과 의욕 증진으로 대인관계에서 신뢰감을 경험하게 된다(이숙자 외, 1999).2) 사회기술훈련사회기술훈련은 만성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필요한 대화기술과 원만한 대인관계기술, 위기대처방법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사회기술훈련은 행동치료와인지치료에 기본을 둔 것으로 인지의 변화는 행동변화에 선행하기도하고 때로는 행동을 통해 인지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사회기술훈련의 핵심이다. 이러한 사회기술훈련의 구성요소들은 일상생활기술, 의사소통기술, 사회인지기술, 사회문제대처기술로 중요한 하위내용으로는 대화기술, 칭찬하기, 감사- 14 -


하기, 긍정적·부정적 감정표현, 자기주장, 요청(요구)하기, 사과하기, 거절하기,타협이나 협상하기, 문제해결기술, 자기관리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기능 수준을 유지·강화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며, 가족을 비롯하여 타인과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많은 경우 갈등이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데 <strong>효과</strong>적인 수단이 된다.3) 사회적응기술훈련사회적응기술훈련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사회시설을 적절히 이용하고 사회생활 중 쉽게 접할 수 있는 여러 상황들을 잘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하여 사회인으로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적응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이런 훈련을 통해 자기표현 증진, 대인관계 향상, 인간관계 경험, 자신감 획득과 자기주장 및 사회성 증진을 경험하며 이는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보고한다(김진희, 2003).4) 정신건강교육정신건강교육은 약물 및 증상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많은 정신장애인들은 퇴원 후 지속적인 약물복용과 증상관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잦은 재발과 재 입원의 과정을 겪는 원인이 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된 정신건강교육은 정신장애인의 재발을 감소시키고 병의 치료경과를호전시켰다고 보고되었다(김철권 등, 1998). 이와 같이 약물 및 증상관리에 대한 정신건강교육은 증상을 조절하는데 <strong>효과</strong>가 있어 사회심리적 접근이 가능하고 치료에 적극적인 참여를 가능케하고 심신의 회복과 더불어 재활에 많은 도움이 된다(이숙자 등, 1999)5) 직업재활 프로그램직업재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이 사회에서 직업을 가질 수 있고 발병전의직업으로 다시 복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정신질환이 발병되어 만성적인- 15 -


질병으로 고착이된 후에는 대다수의 정신장애인들이 직업을 구하기 어렵고,직업에 필요한 기술 습득이 어려운게 현실이다.따라서 이러한 만성정신장애인들에게 보호작업장에서 단계적인 훈련을 시키고, 지역사회내 업체개발을 통하여 취업을 의뢰하고 직업적응을 지원하여 독립생활을 가능케하는 것이 직업재활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이다.그러나 만성정신장애인의 경우 직업을 갖고자하는 의지가 결여되었고, 무기력한 생활태도 등으로 직업을 유지할 수 있는 인내력이 부족하며, 또한 기술적인 능력은 있을 지라도 대인관계 능력부족과 자신감 결여 등으로 계속적으로 직업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 영역에서 앞에서 언급한 일상생활기술, 사회기술, 사회적응기술, 정신건강교육등이 선행되어질때 <strong>사회재활</strong>의 최종목표로 직업재활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질것으로 여겨진다.이러한 개입결과로 직업재활훈련 영역에서 정신장애인들의 행동변화는 자신감 획득, 자존감 향상, 대인관계증진, 자기만족감 획득 등이 나타났다고 보고한다. (이숙자 외, 1999). 또한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이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외래치료 중인 환자보다는 높다는 연구결과 있다(조성진 등, 2003).따라서 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을 통한 완전한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직업재활<strong>프로그램의</strong> 지속적인 개발과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의 인식개선과 더불어 구직의 기회 제공을 <strong>위한</strong> 지역사회 관련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임상에서의 프로그램 적용결과도 약물치료와 병행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참여로 재발율 및 입원횟수, 입원일수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어진다. 또한 선진각국에서도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약물치료와 함께 가장 필수적이며 가장 <strong>효과</strong>적인 방법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두 가지 치료를 함께 운영해 나가는 것이 아주 보편화 되어 있다.- 16 -


최근 전세계적으로 정신과 치료목표가 정신과적 증상을 제거하는 소극적인목표에서 환자가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귀 실현이 궁극적인 목표로 바뀌었기 때문에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와 사회적응력향상, 재발율 감소 등으로 인한 완전한사회참여에 <strong>효과</strong>적인 접근으로 볼 수 있다.이상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을 위하여 지속적인 약물치료와 함께 다양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적용이 요구되어짐을 알아보았다.제3절 정신장애인과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은 인간의 일생을 통하여 변화하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Maslow(1970)는 자아존중감을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존중하기 때문에 갖게되는 외적 자기존중과 스스로 자기를 존중하게 하는 내적 자기존중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Rogenberg(1979)는 자기자신을 존경하고 바람직하게 여기며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을 자아존중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높은 자아존중감은 적극적인 문제해결의 의지를 촉진하고 자신의 모든 생활을가치 있고 보람있다고 생각하면서 자신감이 있기에 원만하고 진취적인 사회생활을 영<strong>위한</strong>다. 반면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기자신을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사람으로 여겨 자신을 학대하거나 열등감으로 우울감을 동반하고 있다.특히,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자아존중감은 기본적으로 장애에 대한 적응정도와 관련 되어질 수 있으며, 장애인 개인의 심리적·환경적 요인들에 대한반영으로 개인의 사회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다.박순자(1996)에 의하면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이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병이나 사고는 일상생활에큰 위협을 가하고 좌절감을 느끼게 한다. 정신질환 역시 다른 질병이나 사고- 17 -


와 마찬가지로 자아존중감의 상실을 가져오는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이러한 사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정신장애인은 죄의식과 불안을 경험하기 시작하면서 자존감 상실과 열등감, 비굴함 등 부정 기제를 사용하며, 자신에 대한 불신, 혐오와 타인에 대한 피해의식으로 대인관계에 장애를 가져오고냉대, 기피, 배척을 받게 되어 급기야는 절망, 도피, 고독감, 부정, 무가치함과실패 등을 경험하며 극도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게 된다(도복늠 등, 2000).다른 연구결과에서도 자아존중감이 낮은 경우 정신질환이 발병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또한 정신장애인들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무가치, 무감동을 느껴 정상인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나타내어 생활양상 변화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낸다(Smitherman, 1981). 따라서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통하여 정신장애인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현실적으로 다루어주고 단기간의 목표달성을통해 실패를 줄여서 자아존중감과 동기를 향상시키는 접근법이 필요하다.자아존중감은 정신장애인에게 부정적인 상태로 인식되는 상황에 대해 이를극복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하는 자기확신이나 자신감 등과 같은 강점 또는 자원으로 본 연구에서는 Rogenberg의 자아존중감척도(1969)를 전병재(1974)가 번역한 도구로 측정된 점수를 말한다.제4절 정신장애인과 대인관계인간의 삶은 여러가지 형태의 끊임없는 대인관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다른사람들과의 만족스럽고 즐거운 대인관계의 경험은 풍부하고 보다 완성된인간을 만든다. 따라서 대인관계가 만족스러울 때 완전한 한 인간으로 성장,발달하게 되고 이는 인간의 가정, 학교, 사회, 직업 등 사회적 전반에 영향을미친다(백은령, 1992). 이처럼 대인관계는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역할을 수행한다.- 18 -


그러나 많은 정신장애인들의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행동이나 대화를 하고 싶다는 것을 알지만 실패를 두려워하거나 대인관계의 갈등으로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특히 만성 정신장애인들은 대인관계의 갈등과 적응상의 문제를 경험하면서사회적 상호작용이 감소되고 부적절하거나 부당한 행동을 나타내며, 장기간의입원 등으로 대인관계에 장애가능성이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 상태에 관한 연구를 보면 대부분 대인관계, 가족관계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현명선, 1991). 즉 이들에게 나타나는 공통점중의 하나가 대인관계에서의 문제들을 잘 처리하지 못하고 <strong>효과</strong>적인 대인관계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만성 정신장애인들은 질병의 특성상 입원치료로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장기간 동안 증상이 상당 부분 남아 있게 되고 특히,일상생활, 대인관계기술, 직업기술, 여가활용기술 등이 저하된다(이숙, 1996).대인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자기표현 행동이지만 정신장애인들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상대방에게 분명히 표현하지 못하며, 상대방과 감정을 교류하고 관심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런 만성 정신장애인들에게 대인관계 향상을 <strong>위한</strong> <strong>효과</strong>적인 방법으로 사회적응훈련(김진희, 2003), 사회기술훈련(전석균, 1994), 치료레크리에이션(정준구, 2001), 무용·동작치료(류분순,2000)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 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 인간관계와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만성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 향상에 매우 <strong>효과</strong>적이다.최근 정신장애인의 출현율이 계속 증가하면서 정신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지역사회 정신보건 분야는 다양한 재활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결론적으로 대인관계는 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인간들 상호간에 일어나는관계로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태도, 자신의 감정, 생각이나 소망 등을 잘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 생각, 소망을 알아낼 수 있는 역동적이고 계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정의한다.- 19 -


제5절 정신장애인과 사회적응사회적응이란 개인과 사회환경간의 능동적인 상호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이는 사회조직내에서 각 개인이 갖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지위와 그에 따르는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나갈 수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Weiss,1972).반면에 부적응이란 개인이 사회로 부터 부여받게 되는 역할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서 이러한 대처방법에 대한 불만족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력의 문제점은 반복적인 재발과 입원으로 사회화의격리속에서 사회적응의 기회가 상실되고 이러한 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주의집중력이나 새로운 개념형성능력 감소, 선택적 지각과 같은 인지장애를 유발하는 음성증상이 심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이러한 음성증상은 인지기능의 장애를 더욱 악화시키고 이는 사회기술이나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면서 결국에는 사회적응력 약화를 초래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김영미, 1998).이처럼 사회적응력이 낮은 만성 정신장애인의 경우 삶에 대한 활동의 결여,건강관리 부족, 실업과 경제적 빈곤으로 이어지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고립과 사회의 거부에 대한 외로움과 상실감을 느끼게 되어 재발의 빈도가 더욱 가속화 되어지고 이는 사회적응을 <strong>위한</strong> 재활동기 약화의 결정적인 요인이된다. 만성정신장애인이 사회적응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특히 직업과 취미활동, 대인관계에서의 적응을 가장 어려워하고(현명선, 1991), 가족이나 확대가족과의 적응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사회적 관계 및 여가활동, 직업에 대한 적응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한다(하경희, 1999).따라서 만성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사회적응능력은 재활을 더 구체화시키고,생산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에 대하여 자신감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처럼 사회적응은 사람이 원만한 사회생활을 유지하고 각자에게 주어진 사회적 지위에 맞는 역할 수행을 위하여 사회적 활동을성취하는 능력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갖추어야 할 기능들인 대인관계, 일상생활, 직업기능, 여가활동 등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20 -


Ⅲ. 연구 방법제1절 연구가설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만성 정신장애인을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만성 정신장애인을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여 진행한 후 사전·사후의 변화도가 있는지 비교해 아래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 <strong>효과</strong>성을 측정하였다.가설1.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향상될 것이다.가설2.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가높아질 것이다.가설3.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사회적응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21 -


제2절 연구설계본 연구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strong>위한</strong>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며, <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에는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통제집단과 대조군으로 선정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다시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실험 전·후의 종속변수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구설계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연구설계집 단 사전검사실험처치(<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사후검사G1 O1 Ⅹ O2G2 O3 O4G1 : 실험집단G2 : 통제집단O1, O3 : 사전검사(자아존중감척도, 대인관계변화척도, 사회행동척도)O2, O4 : 사후검사(자아존중감척도, 대인관계변화척도, 사회행동척도)Ⅹ : 실험처치(<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22 -


제3절 연구대상본 연구는 장애인 지역<strong>사회재활</strong>시설인 C복지관에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받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모두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인으로 실험집단은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프로그램명 “다시 서는 사람들”)을 운영하기 위하여 대상자 모집과 상담 과정을거쳐 22명을 선정하였으나 이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상자 10명을 대조집단으로 정하였으며, 나머지 2명은 증상이 재발하여 입원을 하는 관계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본 연구의 실험집단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사항은 와 같다. 실험집단의 일반적 사항대상자 성별 연령발병전직업학력 보호자 생활정도 유병기간1 남 52 대학생 대졸 형 국민기초생활수급자2 남 44 서비스업 대졸 모 국민기초생활수급자3 남 44 서비스업 중졸 본인 국민기초생활수급자결혼상태정신장애유형26년 미혼 정신분열증19년 미혼 정신분열증20년 미혼 기분장애4 남 43 군인 대중퇴 부모 중상 21년 미혼 정신분열증5 남 32 회사원 고졸 부모 중하 10년 미혼 정신분열증6 남 36철공소직원고졸 누나국민기초생활수급자7 남 46 대학생 대졸 부모 국민기초생활수급자8 여 32 회사원 고졸 부모 국민기초생활수급자9 여 21 학생 고중퇴부모국민기초생활수급자10 남 27 군인 고졸 부모 국민기초생활수급자10년 미혼 기분장애20년 미혼 정신분열증8년 미혼 기분장애3년 미혼 정신분열증5년 미혼 기분장애- 23 -


제4절 측정도구1. 측정도구본 연구에서는 <strong>사회재활</strong><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성을 입증하기 <strong>위한</strong> 측정도구로 다음과 같은 3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사회기능 향상의 매개요인으로 사회적응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확신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대인관계변화와 사회적응력 척도를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인관계변화척도와 사회행동척도를 활용하였다.1) 자아존중감척도Rogenberg의 자아존중감척도(1969)는 전병재(1974)가 번역한 Likert식 4점척도이며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이다. 긍정적인 문항은 ‘전혀그러지 않다’ 1점, ‘아주 그렇다’ 4점으로 최저 10점에서 최고 49점의 범위로측정되며 부정적인 문항은 역으로 환산하였다. Rogenberg가 개발한 당시의Cronbach's Alpha가 .85이였고, 김현미(2002) 연구에서 Cronbach's Alpha가.7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77이었다.2) 대인관계변화척도Schlein과 Guerney의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문선모(1980)가 번역하고 전석균(1994)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전체 25문항으로 된 5점척도로서 최저 25점에서 최고 125점으로 높은 점수일수록 대인관계가 건강하다고할 수 있다. 전석균(1994)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Alpha가 .8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95이다.- 24 -


3) 사회행동척도이 척도는 여러 가지 일상생활속의 사회적 상황에서, 각 개인이 나타내는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측정하기 <strong>위한</strong> 것으로 Trower(1978) 등이 개발하였으며 홍경자와 김선남(1987)에 의해 번안되었다. 전체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영역으로는 언어적 행동 6개 문항, 비언어적 행동 7개 문항, 대화내용 8개 문항이 있다. 적절한 반응일 때는 5점, 매우 부적절한 반응일 때는1점으로 평가하는 5점 Likert 척도이다. 이문숙(2005)의 연구에서 Cronbach'sAlpha가 .9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95로 나타났다.제5절 <strong>프로그램의</strong> 내용1. 프로그램 실시기간2007. 3. 20~2007. 6. 28 까지 매주 화·목요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2시간씩총 16회기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2. 프로그램 실행절차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본 연구 <strong>프로그램의</strong> 실험집단은 충남에 있는 C장애인복지관에서 상담을 거친 정신장애인으로 구성하였다. 복지관에서 상담을 받은 장애인 중 본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고 본인 및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대상자로 12명을 선정하였다. 나머지 두 명은 프로그램이 시작되면서 잦은 결석과증상악화로 인하여 대상자에서 제외하여 10명의 실험집단이 구성되었다. 이와동시에 통제집단은 복지관에서 상담을 받았으나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10- 25 -


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약물치료는 받고 있으나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2) 프로그램 진행자연구자(사회복지사 1급)와 보조진행자(자원봉사자, 실습생)의 공동 개입으로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장애인복지관에서 12년 동안 근무하였으며, 만성정신장애인 프로그램은 2002년부터 진행하여 왔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으며, 미술활동과 신체활동(요가)은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였다.3) 프로그램 구성(1) 일상생활기술훈련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적응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으로 장기적인 입원을 하였던 만성정신장애인들은 의식주 해결과 최소한의 문화생활 유지도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개인위생관리, 외모관리, 요리실습을 하위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2) 사회기술훈련사회기술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표현하여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게 하는 모든 기술로 정신장애인들은 사회기술 학습기회의 결여, 장기간 또는 잦은 입원으로 인한 사회와의 단절, 증상으로 인한 사회적 관계의 제약 , 인지적 손상, 자신감 결여 등으로 사회기술이 저하되어 있으며 사회기술프로그램 개입으로 원만한 대인관계를 도와 독립적인 삶을 돕기 위하여 대화기술, 칭찬하기, 긍정적·부정적 감정표현, 자기주장훈련, 요청하기, 거절하기, 문제해결기술, 자기관리기술 등을 교육하였다.(3) 인간관계훈련인간관계훈련은 자신과 타인을 바르게 이해하며 상호작용을 체험하고 강화- 26 -


하여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인 있으며, 프로그램 내용에는 나의자랑거리, 공통점찾기, TV는 사랑을 싣고,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4) 인지재활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일상생활에는 다양한 인지기능들이 활용되고 있는데인지(Cognition)는 주의력, 기억력, 언어능력, 개념형성능력, 시공간 구성능력등을 말한다. 예컨대 길을 찾아 갈 때나 요리를 할 때도 일련의 절차를 기억하여 순서에 맞게 처리하는 능력이 필요다. 이를 위하여 단어유창성, 이야기듣고 도형배열하기, 숨은그림찾기(주의집중), 이야기 기억하여 전달하기 등을실시하였다.(5) 정신건강교육정신건강교육은 자신의 질병에 대한 이해와 관리방법을 인지하여 증상에 적절히 대처하고 재발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위 프로그램으로는 정신분열병에 대한 이해,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진단, 다양한 치료방법, 약물치료, 재발과 위기상황관리 등을 통해 병인식과 증상관리를 <strong>위한</strong>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6) 예술요법 및 오락·여가활동1 작문요법과 연극활동정신장애인들의 문학적 소질계발이나 언어를 표현하여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사고과정이나 내용, 감정처리 등을 글로 표현하여 심적 갈등이나 고통을 표현하도록 하는 요법으로 이야기 꾸미기, 표정카드로 이야기 만들기 등을 하였다. 연극은 자신이나 동료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생각들과 자기표현을 통하여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웃음을 유발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계기가 되어지는 활동으로 단어연상을통한 자기표현하기, 사물사용하여 표현하기, 대본읽기, 동화구연 등을 진행하였다.- 27 -


2 스포츠·여가 및 기타활동대부분의 정신장애인들은 오랜 약물치료의 부작용과 반복적인 입·퇴원 등으로 인한 자신감 결여와 대인관계 부적응 등으로 무표정한 얼굴과 감정의 둔마, 긴장된 신체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심신의 긴장감을 해소하고활력제공과 사회기술훈련에서 습득한 지역사회이용기술을 직접 경험하기 위하여 다양한 여가·오락시설을 이용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신체적 활동으로는탁구, 배드민턴, 요가 등이 진행되었으며, 여가·오락활동으로는 노래방 가기,영화관람, 작업치료(미술)활동, 레크리에이션, 숲체험, 미술관가기 등의 야외나들이와 자존감 향상과 자기결정 훈련을 위하여 생일잔치와 자치회 운영이 진행되었다.4) 프로그램 내용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은 2007년 3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 총 16회에 걸쳐실시되었다. 회기별로 소프로그램이 각각 1세션씩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실시과정은 과 같다. 또한 <strong>프로그램의</strong> 주요 내용은 「정신과 환자를 <strong>위한</strong> 통합재활 프로그램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낮병원편 : 학지사)」을 활용하였다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내용회기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내용12오리엔테이션및자기소개하기공통점 찾기정신분열병의증상과 진단요가교실집단성원들간의 라포형성으로 친밀감을 쌓는다.· 레크리에이션으로 워밍업 하기· 자기소개하기 및 회기별 프로그램 소개하기, 자치회 구성자기자신에 대한 개 · 먼저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정보, 특성공유방으로 동질감을 발견 (고향, 출신학교, 형제서열, 선호음식 등)하게 돕는다. · 서로에 대해 질문하고 공통점 찾기자신의 구체적인 증 · 자신이 경험한 증상에 대하여 이야기 하기상을 알고 관리할 수 · 이전의 증상과 현재 경험하고 있는 증상있도록 돕는다 · 체크리스트 작성하고 증상 대처법 교육신체의 긴장 이완과심리적 안정을 돕는다· 복식호흡 및 요가 기본동작 따라 하기· 가정에서 활용가능한 간단한 동작 익히기- 28 -


회기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내용대화기술·칭찬하기3단어연상 연기생일잔치/4노래방가기계절달력5만들기나의 자랑거리6요리실습자기주장훈련7표정카드이야기만들기약물치료8동화구연9 영화관람자치회/숨은그림 찾기10스포츠활동대화기술의 구체적인방법을 익혀 상황에 맞는 대화를 할 수 있다.행동을 자유롭게 연기하여 자신감과 자발성, 자기표현촉진자신의 존재감을 알게한다.계절감에 대한 지남력을 증진 시키고, 자기관리능력을 향상한다.자기표현에 대한 자신감 향상과 타인과 긍정적 인간관계를 경험한다.일상생활기술을 향상하고, 지남력을 증진한다.소극적, 자기주장적, 공격적 자기주장법에 대해이해하고 차이점을 안다..자신의 감정인식과 자유로운 표현을 돕는다.약물치료의 <strong>효과</strong>와 부작용에 대해 알게한다.자기감정을 정확하게전달하는 기술을 익힌다.다양한 여가활동 경험으로 삶의 질을 향상한다.자기표현력 및 집단의식 강화와 주의집중력을 향상한다..신체의 활력을 증진하여건강을 유지한다.· 워밍업 하기, 사회기술훈련의 목적 소개· 평소 대화를 하며 어려웠던 점 이야기 하기· 대화기술에 대한 설명 및 역할극 하기· 단어가 적힌 쪽지를 바구니에 담아 놓는다.· 단어를 1개씩 뽑아 그 단어를 보고 연상되는 생각, 경험, 느낌을 동작으로 표현하기· 생일축하 노래부르기와 선물 전달하기· 식사 후 노래방 이용하기· 자신에게 의미있는 달을 정하고 의미있는 날을표시하여 생활계획 세우기· 자신의 월간 계획을 발표하고 이야기 나누기· 워밍업· ‘나의 자랑거리’ 작성지를 나누어 준 후 양식작 성하기.· 모두 돌아가면서 발표하고, 서로에게 긍정적인피드백 주기· 역할을 나누어 조리를 하고 완성된 음식은 보기 좋게 담아 양념장을 넣고 시식하기· 간단한 게임으로 워밍업· 주장행동의 유형 설명한 후 작성지 풀고 발표하기· 정답을 알려주어 이해를 돕고 소감 나누기· 다양한 표정에 대해 이야기 하고 표정카드배열하기· 줄거리를 상상하여 작성하고 돌아가며 발표하기· 약 복용하며 경험한 <strong>효과</strong>와 부작용 이야기하기· 약의 종류, 용량 및 부작용 대처방안 알기· 어린시절 감동 깊었던 동화 기억하기· 역할을 정하고 동화구연 한 후 소감나누기· 시내에 있는 영화관으로 모여 보고 싶은 영화관람하기· 자치회의를 통한 월간 일정 계획 수립· 간단한 게임으로 신체 긴장이완 및 긴장해소· 준비된 그림판을 통한 주의집중 게임하기· 복지관내 강당으로 이동하여 자신이 하고 싶은종목 선택하여 배드민턴, 탁구치기- 29 -


회기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내용· 과거에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대상과 추억11TV는 사랑을싣고인간관계의 중요성에대해 알게 한다.떠올리기· 현재 만나고 싶은 사람을 생각해 보고 작성지적기요가교실신체의 긴장을 이완하고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복식호흡을 하며 바른 자세 유지와 긴장된신체이완 동작 익히기.긍정적·부정적감정표현12이야기 꾸미기이야기기억하여전달하기13상황에 맞는표현하기14 요리실습재발과위기상황관리15칼라점토활동숲 체험 및16미술관 가기감정표현의 중요성을 알 · 간단한 게임으로 긴장풀기고 적절한 긍정적·부정 · 감정카드를 뽑아 적힌 감정을 말이나 표정으적 표현방법을 알게한다. 로 보여 주고 반응에 대해 피드백하기.· 유년시절 감명 깊게 읽었던 동화에 대해 이야상상력을 발휘해 내용과 기 나누기관련된 글을 씀으로서 · 미리 준비한 원작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하고창의적 사고를 돕는다. 후속 이야기를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작성하고발표하기주의력과 청각적 기억력 · 워밍업 : 번호따라 어깨치기및 정확한 의사소통의 · 단어카드를 보여주고 기억하여 뒷사람에게중요성을 인식 한다. 귓속말로 전달하여 처음문장과 비교 하기· 준비한 대본을 나누어 주고 역할을 정한 후자신의 감정상태에 적연기하기적절한 감정표현에 자신· 정확한 발음과 상황에 맞는 감정표현으로감을 갖게 한다.대본 읽기· ‘김밥’ 재료를 준비 후 김밥 만들기일상생활 기술을 향상하· 적당한 크기로 잘라 그릇에 예쁘게 담은 후고, 지남력을 증진한다.시식하기· 자신의 재발경험 및 재발징후 시 대처방법재발 인식과 <strong>효과</strong>적인이야기하기대처방법을 알게 한다.· 재발원인 및 상황알기, 경고증상 인지하기· 만들고 싶은 모양과 색을 정하기.손에 감각자극을 주고,· 오색 칼라점토를 이용하여 모양 만들고 소감근력을 증진한다나누기자연과의 교감으로 정서 · 모산미술관에서 전시작품을 감상하기적인 안정을 유도한다. · 시비( 詩 碑 ) 감상하며 성주산 오르기- 30 -


제6절 자료수집본 연구자료 수집은 장애인복지관에서 만성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 “다시 서는 사람들”에 참여하고 있는 10명의 실험집단대상자들에게 3개월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를 사전·사후 조사를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복지관에서 상담은 하였으나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실험집단과 유사한 10명의 대상자에게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사전·사후조사를실시하였다.제7절 자료분석본 연구의 자료를 연구목적에 적합한 통계기법으로 SPSS 14.0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차이는 Chi-square로 분석하였다. 실헙집단과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Mann-Whitney의 U검정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통제집단의 수가 각각 10명씩 20명으로 연구집단의 크기가 작아 표집방법에한계가 있기 때문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는 비모수 추리통계 방법인Mann-Whitney의 U검정을 이용하여 두 모집단 사이에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31 -


Ⅳ. 연구결과제1절 연구 대상자의 동질성 비교1.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분석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성별, 연령, 학력, 주 진단명, 유병기간, 어려울때 가장 도움을 많이 받는 곳, 현재 느끼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 등의 항목으로 살펴보았다.성별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남자 8명, 여자 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통제집단은남자 6명, 여자 4명으로 구성되어 성별 분포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p=.074)는 없었다.연령은 20세~55세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나, 실험집단은 40세에서 49세 이하가 40%로 통제집단에서는 30세에서 39세가 50%로 많이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p=.993)는 없었다.학력은 두 집단간 모두 고퇴(졸)이 50%~60%로 가장 많았다. 두 집단간의유의미한 차이(p=.022)가 있다.주 진단명을 보면 정신분열증은 실험집단에서 60% 분포를 보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기분장애가 60%를 차지하고 있다.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p=.055)는 없었다.유병기간은 두 집단에서 10년이상인 경우가 실험집단에서 50%, 통제집단에서60%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의미한 차이(p=.011)는 없었다.현재 느끼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한 것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자신감 결여및 무기력 등에서 가장 많은 40%를 보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경제적인 문제와 자신감 결여및 무기력 등에서 각 30%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유의미한차이(p=.753)는 없었다.- 32 -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경우가 일부 있었으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대부분이 동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동질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분석구 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2 χp성별연령학력주진단명유병기간현재느끼는가장 큰어려움남 8(80) 6(60)여 2(20) 4(40)20~29세 2(20) 1(10)30~39세 3(30) 5(50)40~49세 4(40) 3(30)50세이상 1(10) 1(10)중졸이하 1(10) 2(20)고퇴(졸) 5(50) 6(60)대졸 및 대졸이상 4(40) 2(20)정신분열 6(60) 4(40)정동장애 4(40) 6(60)5년 이하 2(20) 2(20)6년~10년 3(30) 2(20)10년 이상 5(50) 6(60)경제적인 문제 1(10) 3(30)가족의 지지와이해 부족3(30) 2(20)사회의 편견 2(20) 2(20)자신감 결여 및무기력 등4(40) 3(30)3.20 .0743.80 .9937.60 .0227.60 .05511.20 .0111.20 .753- 33 -


2. 연구문제에 대한 동질성 분석자아존중감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평균점수는 실험집단이 2.34, 통제집단이 2.39로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간 전체적으로 비슷한 자아존중감을 보였다.대인관계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의 평균점수는 실험집단이 2.79, 통제집단이 1.91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회행동척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사회행동의 평균점수는 실험집단이 2.69, 통제집단이 2.97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이라고 볼수 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한 동질성 분석구 분 집단 평균 표준편차 평균순위 순위합 Mann-Whitney의 UZ값자아존중감실험집단 2.34 .17 14.55 145.50통제집단 2.39 .19 6.45 64.5039.00-.854(p=.436)대인관계실험집단 2.79 .84 13.45 134.50통제집단 1.91 .47 7.55 75.5020.50-2.233(p=.023)사회행동실험집단 2.69 .74 9.05 90.50통제집단 2.97 .91 11.95 119.5035.50-1.097(p=.280)- 34 -


제2절 가설검증[가설 1]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비교구 분 집 단 평 균 표준편차실험 사전 2.34 .17자아집단 사후 2.75 .27존중감통제 사전 2.39 .19집단 사후 2.45 .22Mann-평균순위 순위합 Whitney의 U14.90 149.006.10 61.00Z값6.00 -3.346 ******p


자아존중감2.82.72.62.52.4실험집단통제집단2.32.22.1사전사후 자아존중감 평가의 사전-사후 평균 비교[가설 2]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변화 사전․사후 비교구 분 집 단 평 균 편차 순위 순위합실험 사전 2.79 .8415.25 152.50집단 사후 3.44 .44대인관계통제사전 1.91 .475.75 57.50집단 사후 1.83 .30Mann-Whitney의 UZ값2.50 -3.593 ******p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strong>사회재활</strong> 훈련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대인관계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인관계척도의 사후점수에서 사전점수를 뺀 차이점수를 비교 분석한 Mann-Whitney의 U검정 결과는 와 같으며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이 통계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대인관계가 향상될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대인관계43.532.521.510.50사전사후실험집단통제집단 대인관계 평가의 사전-사후 평균 비교[가설 3]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행동능력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37 -


구 분 집 단 평 균 편차 순위 순위합사회행동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행동 사전․사후 비교실험집단통제집단사전 2.69 .74사후 3.68 .57사전 2.97 .91사후 2.25 .3813.05 130.507.95 79.50Mann-Whitney의 UZ값24.50 -1.928 **p


Ⅵ. 결론 및 제언제1절 결론본 연구에서는 퇴원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약물치료와 더불어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만성 정신장애인의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적용 후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와 사회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제작한 정신과 환자를 <strong>위한</strong> 통합재활 프로그램워크북을 주 메뉴얼로 활용하여 일상생활훈련, 인간관계훈련, 사회기술훈련,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과 예술요법 및 기타 스포츠·여가·오락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가설 검증을 통해 그 <strong>효과</strong>성을 알아보았다.<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strong>효과</strong>에대한 분석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검사 점수의 향상을 나타났고, 통계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다양한 하위프로그램으로 구성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대인관계훈련과 인지재활, 여가활동 등을 통하여 스스로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높아진 것으로 여겨진다.또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만성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검사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상으로도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이 또한 만성적인 정신질환과 빈번한 재발, 장기적인 입원으로 인하여 사회적응력이 부족하고 대인관계에 자신감이 결여된 만성정신장애인들이 다양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통하여 동료와의 상호작용과 지역사회이용기술훈련 등이 자연스럽게 습득되어지고, 정기적인 활동을 통하여 무기력한생활에서 벗어나면서 사회생활에 자신감이 획득되어진 결과라고 보여진다.- 39 -


사회행동 증진에 대한 <strong>효과</strong>성 또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 참석한 실험집단이아무런 주간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언어적, 비언어적,대화의 내용으로 구성된 하위영역 척도에서 향상된 모습을 보여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일상생활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 인간관계훈련, 인지재활, 정신건강교육, 예술요법을 비롯한 여가·오락활동 등으로 구성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소집단 내에서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교환하고, 공유하면서 스스로는 자신감 획득과 성취감을 느끼고, 타인을 인식하고 배려하는 자연스러운 관계형성이 유도해낸 결과라고 분석할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지역사회에 있는 만성정신장애인들이 약물치료와 함께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서 사회행동에 변화를 보여 완전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독립된 사회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검증되어진다.또한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느낀 임상적인 사례관찰 결과도 정신건강교육을 통해 자신의 질병인식과 증상관리 능력이 향상되어지고, 대인관계에 자신감이 생겨 지역사회 이용시에도 연구자가 주도하지 않아도 자신있게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경우 자신의 감정조절과 정서관리 등 스스로 자기를 통제하는 능력이 관찰되어지며, 직업을 갖기 <strong>위한</strong> 자신감도 획득되어 직업재활 담당자와의 면담을 요청하거나 취업에 대한 욕구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0 -


이에 <strong>만성정신장애인을</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 <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성을 가설검증에 비추어 요약해 보면가설1.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될 것이다. 는 통제집단의 평균에서 약간의 향상된 변화를 보였지만 통계상으로는 유의수준에 해당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이 통계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은 지지되었다. 이것은 정신장애인들이 만성적인 환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재활치료에 능동적으로참여할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재활<strong>프로그램의</strong> 중요성이입증되었음을 시사한다.가설2.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가 높아질 것이다. 또한 실험집단이 통계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어 는 지지되었다. 이는 프로그램 참여가 잦은 재발과반복적인 입원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 소외되고, 사회적인 편견으로 위축됐던 심리적 압박이 해소되면서 대인관계척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낸 것으로 보여진다.가설3.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응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도 분석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어 은 지지되었다.이 또한 사회기술훈련과 스트레스대처를 <strong>위한</strong> 여가·오락활동 등을 통한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게 되면서 부정적인 감정조절과 불안정한 상황을 감소시킨결과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strong>효과</strong>가 입증된 것이다.이상을 종합해 볼 때, 연구결과는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증진, 대인관계능력 및 사회적응력 향상이 재발율 감소와 입원일 수 감소 등 증상관리와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위해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strong>효과</strong>적이라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41 -


제2절 제언본 연구를 통하여 구조화된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사회행동을 향상시키는 데에 <strong>효과</strong>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한계점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strong>만성정신장애인을</strong> <strong>위한</strong> 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고 차후에 더 발전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첫째, 본 연구가 C복지관 한곳만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어져 차후에는 다른 지역의 정신보건센터나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프로그램 적용<strong>효과</strong>를 비교해야 할 것이다.둘째, 본 연구의 대부분이 복지관내에서 이루어져 차후에는 현장과제를 활용한 후의 <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성과 일상생활 속에서의 적용<strong>효과</strong>를 비교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셋째,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에서 얻은 치료적 <strong>효과</strong>를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추후 계속적인 개입과 사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행동척도는 언어적, 비언어적 대화내용 만으로 구성되어 사회행동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프로그램 <strong>효과</strong>를 자세히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도구가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차후에는 통합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본 연구에서 보여진 한계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전·사후조사시 가족들의 의견도 반영하여야 함에도 대상자에게만의존하였고, 대상자의 응답시 기분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작용할 것으로 보여져 문항에 따라 객관성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 42 -


둘째, 연구대상 집단 크기가 작아 사회적, 인구학적, 경제적인 배경 변인 통제의 미비와 대표성에 어려움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이상과 같이 <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 , 대인관계,사회행동 증진에 큰 <strong>효과</strong>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만성정신장애인의 재활치료가 단순한 약물치료뿐 아니라 반드시 지역<strong>사회재활</strong>치료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신보건센터가 전 지역에서 현실적으로 운영되어져 정신질환이 만성정신장애로 중증화·만성화되어지는것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43 -


참고문헌김상숙(1998).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김시업 역(1995). 「생활적응을 <strong>위한</strong> 심리학」. 서울 : 문음사김영미(1998). 「정신분열증의 인지적 손상과 양성, 음성증상이 적응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김윤희, 최중명 편저(2001). 정신분열병 화자교육 지침서. 강북정신보건센터김진희(2003).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존중감·대인관계에 미치는 <strong>효과</strong>」.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김철권(1993). 「정신분열병환자의 가족을 <strong>위한</strong> 교육 프로그램」. 부산정신의학, 12. 24-43.김철권, 변원탄 공역(1995). 「만성정신과 환자를 <strong>위한</strong> 정신재활」. 서울 :신한.김철권, 장정희, 김진원, 조진석, 강동호, 심경순, 하준선, 송지형, 변원찬(1998).「정신재활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유발」. 입원횟수, 입원일수 그리고 치료경비에 미치는 <strong>효과</strong> :2년 추적조사연구」. 신경정신의학지, 37(5). 811-823.김희정(1992). 「퇴원한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도복늠 외15인(2000). 「최신정신간호학 개론」. 서울 : 정담류분순(2000). 「무용․동작치료가 만성질환자의 불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strong>효과</strong>」.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박강규(1990). 「정신분열증환자의 재활치료」. 신경정신의학지, 29(1),70-78.박순자(1996). 「외래치료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


백은령(1992). 「정신질환자의 대인관계기술 증진을 <strong>위한</strong> 사회기술훈련프로그램에 관한 평가 연구」. 성심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보건복지부 장애등록현황(2007).서미경(2000). 「성인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43, 106-130.양옥경(1996). 「지역사회정신건강-닫힌 시설에서 열린사회로」. 서울 : 나남이계존(2000).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체계의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문숙(1999). 「정기적 치료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정신분열증환자의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이상윤, 이경희(1998). 「미술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미치는 <strong>효과</strong>」. 정신간호학회지, 8(1), 121-133이 숙(1996). 「재가정신질환자를 <strong>위한</strong> 정신재활간호<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이숙자, 조원탁, 이정숙(1999). 「만성정신분열병환자의 재활을 <strong>위한</strong> 그란데 <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 정신간호학회지 8(2), 369-383.이정균(1992). 「최신정신의학」. 서울 : 대한교과서.이정숙(1999). 「지역사회정신보건 사업과 사례관리」. 간호학논문집, 3(1),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이충순, 한은순, 황태연(1996). 「현대정신보건과 지역사회-정신장애인을 <strong>위한</strong> 정신<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램」. 의료법인 용인정신병원.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strong>위한</strong> 사회기술훈련<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정선영(2001).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strong>위한</strong> 통합재활<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성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


정숙희(2004). 「지역사회정신보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이 회복및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정준구(2001).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 향상을 <strong>위한</strong> 치료레크리에이션 <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에 관한 사례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조성진, 함봉진, 서동우(2003). 「정신분열병 및 분열정동장애 환자에서 리스페리돈과 퀘티아핀의 <strong>효과</strong>와 안전성에 관한 예비적 연구」. 대한정신약물학회지, 14(3), 215-222.채준안(2000). 「치료레크리에이션 입문」. 서울 : 인간과 복지.하경희(1999).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한영미(2005). 「정신<strong>사회재활</strong> 프로그랜에 참여한 만성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황태연, 한은선, 이충순, 한양순, 이민수, 이대회(1996). 「직업재활프로그램이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용인정신의학보, 2(2), 156-165.현명선(1991). 「퇴원한 만성정신질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Bellack, A. S. (1992).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a: is itpossible, is it necessary」. Schizophrenia Bulletin, 18: 43-50.Brenner, H. D. Hodel, Roder, V, & Corrigan, P.(1994). 「Integratedpsychology therapy for schizophrenia patient」. Seattle :Hogrefe & Huber, 13-34, 35-40.Campbell, A. Converse, P. E., and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American life」.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Liberman, R. P.(1988). 「Psychiatric Rehabilitation for Chronic MentalPatient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Press.- 46 -


Rosenberg, M.(197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Conceivingthe self」. New York : Basic Books, Inc.Smitherman, G. W. (1981).「Nursing actions for health promotion」.Philadelphia : Davis 337-343.Tomson, J. & Stand, k.(1994). 「Psychiatric Nurising a PsychosocialSetting」. Journal of Psychosocial Nurising, 32(2), 25-29.Weiss, J. M.(1972). 「Psychological factors in stress and disease」.Scientific American. 106-226.William, B.(2000). 「Integrating cognitive-behavioral psychotherapy forpersons with schizophrenia into psychiatricrehabilitation program:result of a three year trial」.Community Mental Health Joural, 491-500.- 47 -


ABSTRACTEffect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oon-Ok YimDepartment of Social WelfareGraduate School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Kong ju, Korea(Supervised by Professor Hee-Sook Kang)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have alot of defects in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s, and so their negativesymptoms are worsened as time goes by. These negative functions arelimitedly treated with medication, and the recurrence of the disorder isseen so often. The recurrence results in repetitive hospitalization, which,in turn, leads to low self-esteem, insufficient interpersonal skills and socialmaladjustment. The ultimate goal of the treatment for persons with chronicmental disorder should be to stop recurrence of the mental disorder and to helpthem lead an independent living by improving their adjustment to the society.- 48 -


Considering this situation,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are required tohelp those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 adjust to society, andthese services have their importance in providing supportive resourcesother than family members of the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s.In this sense,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verifying effects of socialrehabilitation program to help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improvetheir self-esteem and develop interpersonal and social skills for them tolive as an independent human-being, and to decrease the recurrence rate ofmental disorder.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wenty persons with chronic mentaldisorder who were taken care of in a social welfare center in Chungnamprovince. Ten persons were assigned in the control group and theexperimental group, each. The programs included the training of dailyactivity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cognitive rehabilitation, mentalhealth, art therapy, and leisure activities, and they were applied for twohours a week in sixteen sessions.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Mann-Whitney's U-test, oneof non-population inference methods of statistics, to verify theirmeaningfulnes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self-esteem of the persons in experimental group proved to behigher than that of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It seems that thesub-programs such as the training of daily activity skills and interpersonalskills,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so on were effective in building theirself-esteem.- 49 -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alsoeffective in developing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the effectiveness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t is estimated that theexperimental group members increased peer interaction and developed skillsof utilizing the community resources, and so regained confidence in sociallife, getting out of an inactive life through regular activities.Third, in terms of social behavi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cale of sub-domain consisting of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t is analyzed that the socialrehabilitation programs were effective in getting the experimental group toregain confidence and feel sense of achievement and to build up theconsciousness of others in the course of exchanging and sharing feelingsand thoughts between members of the group.In addition to the conclusions mentioned above, some suggestions shouldbe made to heighte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for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and for some improved subsequentstudies.First, the application of field task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need tobe analyz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a daily life.Second, subsequent studies and continuous follow-up service are required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treatment effects of the social rehabilitationprogram.Third, the study should also be done of cognitive disorder that causeserrors of information processing, which often develops with negativesymptoms found in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order.Notwithstanding thes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as someprevious studies showed, that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in addition to- 50 -


medical ca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uilding self-esteem andinterpersonal skills, and further getting persons with chronic mentaldisorders to lead an independent life as a complete social member.key words : chronic mental disorder, 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elf-esteem, interpersonal skill, society- 51 -


부록1 : 프로그램 측정도구주제 : <strong>만성정신장애인을</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안녕하십니까 ?저는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만성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이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그 <strong>효과</strong>성을 알아보기 위하여「<strong>만성정신장애인을</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사회재활</strong><strong>프로그램의</strong> <strong>효과</strong>」란 주제로 연구논문을 준비하면서 필요한 설문지를 조사하고자 합니다.여러분께서 응답하여 주신 내용은 절대 비밀이 보장되며, 연구목적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합니다.또한 본 연구결과로 여러분들과 같이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번거로우실지라도 한 문항도 빠짐없이 응답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2007년 7월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지도교수 : 강 희 숙연 구 자 : 임 순 옥* 설문지를 작성하시다가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본 연구자에게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연락처 010-****-**** / 임순옥)- 52 -


* 응답자의 일반 사항1. 귀하의 나이는? ( )2 귀하의 정신질환명은 ?□ 1) 정신분열 □ 2) 양극성정동장애(조울병) □ 3) 반복성우울장애 □ 4) 분열형정동장애⇒ 정신장애 등록을 한 경우 장애등급은? ( 급)3. 귀하의 학력은?□ 1)초졸이하 □ 2) 중졸(퇴) □ 3)고졸(톼) □ 4) 대졸(퇴) □ 5)대학원졸 이상4. 귀하의 생활정도는 ?□ 1) 기초수급 □ 2) 극빈 □ 3) 하 □ 4) 중하 □ 5) 중 □ 6) 중상 □ 7) 상5. 귀하의 정신질환 발병정도는 ?□ 1) 1년~2년미만 □ 2) 2년~5년 이하 □ 3) 6년~10년이하 □ 4) 10년이상6. 귀하는 어려울 때 누구로부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습니까 ?□ 1) 부모, 형제 □ 2) 이웃, 친구 □ 3) 병원, 복지관, 보건소 □ 4) 기타( )7. 귀하께서 현재 느끼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1) 경제적인 어려움 □ 2) 가족들의 이해부족 □ 3) 사회의 편견과 이해부족□ 4) 자신감 결여 및 무기력 □ 5) 기타( )8. 귀하께서는 약물을 의사가 처방한대로 잘 복용하고 있습니까?□ 1) 의사의 처방을 반드시 지켜 복용하고 있다 □ 2) 비교적 잘 복용하고 있다.□ 3) 증상에 따라 스스로 조절하여 복용한다. □ 4) 거의 복용하지 않고 있다.(8-1로)⇒ “거의 복용하고 있지 않다” 라고 응답한 사람만 답하세요.8-1. 귀하께서 약을 복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1)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서□ 2) 약물의 부작용이 심해서□ 3) 정해진 시간에 먹는 것이 어려워서 □ 4)기타( )- 53 -


자아존중감척도 체크리스트(Self-Esteern Scale : SES)※ 다음 문장은 여러분이 자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 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보기를 참고하여 해당되는 번호를 적어 주십시오.1-전혀 그렇지 않다, 2-별로 그렇지 않다, 3-대체로 그렇다,4-항상 그렇다1. 나는 적어도 내가 다른 사람만큼 가치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2. 나는 좋은 성품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 )3. 나는 실패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4. 나는 다른 사람들처럼 일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5.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자랑할 것이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 )6. 나는 내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 )7.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 만족한다. ( )8. 나는 나 자신을 좀더 존경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 )9. 나는 내가 쓸모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10. 나는 때때로 내가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 )- 54 -


대인관계척도 체크리스트(Relationship Chance Scale : RCS)※ 각 문항을 잘 읽고 여러분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 한 개를 고르십시오. (자신의 느낌대로 정확하고 솔직하게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1. 나는 나 자신에 대하여1) 매우 불만족스럽다 2) 약간 불만족스럽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만족스럽다 5) 매우 만족스럽다2.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하여1) 매우 불만족스럽다 2) 약간 불만족스럽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만족스럽다 5) 매우 만족스럽다3. 다른 사람들은 나를 ( ) 사람으로 볼 것이라고 생각한다.1) 매우 불만족스러운 2) 약간 불만족스러운 3) 그저 그런4) 약간 만족스러운 5) 매우 만족스러운4. 다른 사람들은 자기자신에 대하여 ( ) 사람으로 본다.1) 매우 불만족스러운 2) 약간 불만족스러운 3) 그저 그런4) 약간 만족스러운 5) 매우 만족스러운5. 다른 사람과 나의 관계는1) 매우 원만하지 못하다 2) 약간 원만하지 못하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원만하다 5) 매우 원만하다- 55 -


6. 나는 다른 사람의 바라는 욕구를1) 거의 알지 못한다 2) 약간 알지 못한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아는 편이다 5) 매우 아는 편이다7. 나는 나 자신의 감정을1)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약간 이해하지 못한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이해한다 5) 매우 이해한다8.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1)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약간 이해하지 못한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이해한다 5) 매우 이해한다9. 나는 다른 사람과 이야기는 것에 대하여1) 매우 어려움을 느낀다 2) 약간 어려움을 느낀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쉽게 느낀다 5) 매우 쉽게 느낀다10.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감수성은1) 매우 느리다 2) 약간 느리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빠르다 5) 매우 빠르다11. 다른 삶에 대한 나의 온정적인 태도는1) 매우 적다 2) 약간 적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12. 다른 사람에 대한 나의 표현이나 개방성의 정도는1) 매우 적다 2) 약간 적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 56 -


13. 다른 사람에 느낌을 이해하는 것이1) 매우 어렵다 2) 약간 어렵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쉽다 5) 매우 싑다14. 나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1) 매우 어렵다 2) 약간 어렵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쉽다 5) 매우 싑다15. 나는 다른 사람을1) 거의 믿지 않는다 2) 약간 믿지 않는 편이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믿는다 5) 매우 믿는다16.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하여1) 매우 거리감을 느낀다 2) 약간 거리감을 느낀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친근검을 느낀다 5) 매우 친근감을 느낀다17. 나는 사람들과 만나는데 있어서 자신감이1) 매우 적다 2) 약간 적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18. 나는 다른 사람과 의견이 맞지 않을 경우 그것을 좋게1) 매우 못다룬다 2) 약간 못다룬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잘 못다룬다 5) 매우 잘 다룬다19. 나는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할 경우 어려움을1) 매우 많이 느낀다 2) 약간 많이 느낀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안 느낀다 5) 거의 안 느낀다- 57 -


20.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표현을1) 거의 표현하지 못한다 2) 약간 표현하지 못한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표현한다 5) 매우 표현한다21. 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 (건설적으로)1) 거의 표현하지 못한다 2) 약간 표현하지 못한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표현한다 5) 매우 표현한다22. 나는 나의 개인적인 관심사에 대하여 다른 사람과1) 거의 나누지 않는다 2) 약간 나누지 않는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나눈다 5) 매우 잘 나눈다23.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한 느낌을 표현 할 경우 그것을 믿고 받아들이는 정도는1) 매우 적다 2) 약간 적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24.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 표현할 때 내가 건설적으로 대하는태도는1) 매우 적다 2) 약간 적다 3) 그저 그렇다4) 약간 많다 5) 매우 많다25. 나는 다른 사람과 앞으로 대인관계를 어떻게 해야 할 지를1)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약간 이해하지 못한다 3) 그저 그렇다4) 어느 정도 잘 이해한다 5) 매우 잘 이해한다- 58 -


사회행동척도 검사(Social Behaviour Scale)성 명 :평 가 일 : 년 월 일 ( 요일)평 가 자 :■ 언어적인 면1. 목소리 굵기1) 아예 들리지 않을 정도로 작거나 또는 극단적으로 크다.2) 지나치게 작거나 또는 커서 불쾌감을 준다.3) 너무 작거나 또는 커서 신경에 거슬린다.4) 작거나 또는 큰 편이지만 지장은 없다.5) 크기가 적절하다2. 목소리의 질1) 극단적으로 지루하고 단조로와서 매우 불쾌감을 준다.2) 지나치게 지루하고 단조로와서 불쾌감을 준다.3) 약간 지루하고 단조로와서 다소 불쾌감을 준다.4) 그저 그런 정도이나 불쾌하지 않다.5) 적절하다.3. 음성의 높낮이(고저)1) 극단적으로 높거나 또는 낮거나 단조로와서 매우 불쾌감을 준다.2) 지나치게 높거나 또는 낮거나 단조로와서 불쾌감을 준다.3) 너무 높거나 또는 낮거나 단조로와서 약간 불쾌감을 준다.- 59 -


4) 약간 높거나 또는 낮거나 단조롭지만 불쾌하지는 않다.5) 높낮이가 적절하다.4. 소리의 명확성1) 극단적으로 또렸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극단적으로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알아듣기가 매우 불쾌하다.2) 지나치게 또렷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지나치게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있어서 알아듣기가 불가능하거나 불쾌하다.3) 너무 또렷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알아듣기가 불가능하거나 불쾌하다.4) 또렷하지 않게 발음하거나 마디마디 끊어지는 경향이 있다.5) 소리가 명확하다.5. 말의 속도1) 극단적으로 느리거나 또는 빠른 편이어서 따라가기가 불가능하다.2) 지나치게 느리거나 또는 빠른 편이어서 때때로 따라가기가 힘들다.3) 너무 느리거나 또는 빠른 편이어서 따라가기가 다소 어렵다.4) 약간 느리거나 또는 빠른 편이지만 듣기에는 지장이 없다.5) 말의 속도가 적당하다.6. 언어장애1) 극단적으로 더듬거나 반복적이거나 생략하여서 극히 당황스럽다.2) 지나치게 더듬거나 반복적이거나 생략하여서 당황스럽다.3) 너무 더듬거나 반복적이거나 생략하여서 부정적인 인상을 준다.4) 때때로 더듬거나 반복적이거나 생략하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언어상의 장애가 없다.- 60 -


■ 비언어적인 면7. 상대방과의 거리1) 극단적으로 멀거나 또는 가까운 편이어서 소외감이나 불쾌감을 준다2) 지나치게 멀거나 또는 가까운 편이어서 불쾌감을 준다.3) 다소 멀거나 또는 가까움 편이어서 부정적인 인상을 준다.4) 약간 멀거나 또는 가까운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거리가 적당하다.8. 상대방에 대한 몸의 각도1) 완전히 외면(90˚이상으로) 하는 편이어서 매우 불쾌감을 준다.2) 지나치게 외면(90˚이상으로) 하는 편이어서 불쾌감을 준다.3) 다소 외면하는 편이어서 부정적인 인상을 준다.4) 약간 외면하는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각도가 적절하다.9. 외모1) 극단적으로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다.2) 매우,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다.3) 다소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다.4) 약간 매력이나 호감이 없는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외모가 적당하다.10. 얼굴표정(상황에서의 적절성)1) 극단적으로 무표정하거나 극단적으로 부적절하다.2) 지나치게 무표정하거나 지나치게 부적절하다.3) 다소 무표정하거나 다소 부적절 하다.- 61 -


4) 약간 무표정하거나 약간 부적절하다.5) 얼굴표정이 적절하다.11. 시선1) 극단적으로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어서 매우 불쾌하다.2) 지나치게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어서 불쾌하다.3) 다소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어서 불쾌하다.4) 시선을 피하거나 쳐다보는 편이지만 불편하지는 않다.5) 정당한 시선접촉을 한다.12. 몸의 긴장상태1) 극단적으로 경직되거나 또는 축 처진 편이다.2) 지나치게 경직되거나 또는 축 처진 편이다.3) 다소 경직되거나 또는 축 처진 편이다.4) 약간 경직되거나 또는 축 처진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보통 정도의 편안한 상태이다.13. 제스처의 사용1)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이 매우 부적절하다.2) 지나치게 제한된 편이거나 지나치게 부적절 하다.3) 다소 제한된 편이거나 다소 부적절하다.4) 제한된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적절하다.■ 대화의 내용14. 대화의 길이- 62 -


1) 단음절에 그치거나 또는 극단적으로 긴편이다.2) 지나치게 짧거나 또는 긴편이다.3) 다소 짧거나 긴편이다.4) 짧거나 긴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대화의 길이가 적절하다.15. 대화내용의 일반성(상황에서의 적절성)1) 극단적으로 일반적인 화제이거나 또는 특수한 화제이어서 적절하지 않다.2) 지나치게 일반적인 화제이거나 또는 특수한 내용이다.3) 다소 일반적인 화제이거나 또는 특수한 내용이다.4) 일반적인 화제이거나 또는 특수한 내용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일반적인 내용과 특수한 화제가 적당히 섞여있다.(적절하다)16. 대화시의 격식1) 극단적으로 격식을 차리거나 또는 상대를 무시하는 편이다.2) 지나치게 격식을 차리거나 또는 상대를 무시하는 편이다.3) 다소 격식을 차리거나 상대를 무시하는 편이다.4) 격식을 차리거나 상대를 무시하는 면이 있기는 하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적당한 정도의 스스럼 없는 대화를 한다.17. 대화 내용의 다양성1) 한가지 종류의 단순한 화제만 있다.2) 지나치게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3) 다소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4) 약간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는 정도이다.5) 적절한 정도의 다양성이 있다.- 63 -


18. 유우머1) 유우머가 극단적으로 적은 편이다.2) 유우머가 지나치게 적은 편이다.3) 유우머가 다소 적은 편이다.4) 유우머가 다소 적은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유우머를 적당하게 사용한다.19. 반응을 주고받기(피드백)1) 극단적으로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판적인 피드백을 준다.2) 지나치게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판적인 피드백을 준다.3) 다소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판적인 피드백을 준다.4) 피드백이 드물거나, 비판적인 피드백을 주기도 하지만 불쾌감은 없다.5) 적당하게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20. 발언횟수1) 극단적으로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너무 자주하는 편이다.2) 지나치게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또는 자주 하는 편이다.3) 다소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또는 자주하는 편이다.4) 발언을 하지 않는 편이거나 하는 편이지만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적절하게 발언한다.21. 집단내에서의 행동1) 극단적으로 적절한 행동에서 벗어나 있다.2) 지나치게 적절한 행동에서 벗어나 있다.3) 다소 적절한 행동에서 벗어나 있다.4) 적절한 행동에서 약간 벗어나 있으나 부정적인 인상을 주지는 않는다.5) 적절하고 일반적인 행동을 한다.- 64 -


부록2 : <strong>사회재활</strong>프로그램 회기별 내용제목활동목표프로그램내용유의점인간관계훈련 1 - 공통점 찾기자기자신에 대해 개방해 보고, 서로간의 동질감을 발견하여 친밀감을 형성시킨다.준비물실 시방 법작성지, 필기구< 워밍업 - 아, 반갑습니다 ! >1. 둥그렇게 원으로 앉아 각자 자신에게 해당되는 지시가 있을 경우, 앞으로 나와 서로 인사(아, 반갑습니다!)하고 자리에 앉는다.2. 느낌 발표시, 참가자 모두가 다 만나 보았는지 살펴몇 사람과 인사를 나누었고 그 때마다 느낌은 어떠했는지 등을 발표 한다.< 본 프로그램 >1. 먼저 자신을 알릴 수 있는 정보나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특성을 생각해 본다.(예 : 고향, 거주지, 출신학교, 형제서열, 나이, 좋아하는 음식,취미 등)2. 둘씩 짝을 지어 서로에 대해 질문하며 최대한 공통점을 찾아본다.3. 주어진 시간내에 가장 많은 공통점을 찾아낸 팀이우승하는 게임 형식으로 진행한다.4. 각 팀이 서로가 찾아낸 공통점을 발표하며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5. 마지막으로 소감을 나누고 종결한다.1. 자신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거나 특성을 가지고 있는사람에게는 친밀감을 느끼게 되므로, 최대한 서로간의 공통점을 많이 찾아내도록 격려한다.2. 대상자들의 특성을 잘 배려하여 적절히 짝이 되도록 배려한다.3. 구체적이고 세밀한 공통점을 찾도록 유도한다.- 65 -


제목활동목표프로그램내용인간관계훈련 2 - 나의 자랑거리자신의 자랑거리를 소개하고 표현함으로써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타인들의 관심과 호감을 유도하여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경험한다.준비물 작성지, 필기구1. “나의 자랑거리” 작성지를 나누어 준다.2. 양식을 작성하도록 한다.실 시3. 참석자 모두 돌아가면서 발표하고, 진행자는 대상방 법자들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도록 진행한다.4. 소감을 나누고 종결한다.유의점1. 자랑거리가 없다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회원에게는 즉석에서 참석자들이 자랑거리를 찾아주도록 하는 것도 좋은방법이다.2. 자랑거리를 단순히 자신에 국한시키지 않고 자신과자신이속한 주변에서 모두 찾아보도록 범위를 확대하여생각해 볼수 있도록 격려한다.3. 작성지에 쓰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것도중요하지만, 발표과정에서 타인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이 포인트 이므로 교사는 이를 고려한다.응용하기1. 나의 장점과 단점,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적어와 다음시간에발표하게 한다.- 66 -


제목활동목표인간관계훈련 3 - TV는 사랑을 싣고과거의 의미 있었던 사람들과의 추억을 회상하며 인간관계의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본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 시방 법작성지, 필기구, 배경음악1. 잘 알려진 TV프로그램이므로 이를 시청한 경험이있는 회원들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하여 소개하도록한다.2. 과거에 자신에게 의미가 있었던 대상과의 추억을 떠올려보고, 그 사람들 중에서 현재 만나고 싶은 사람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생각을 돕기 위해서 배경음악을 사용한다.3. 작성지를 완성한 후 돌아가면서 발표한다.4. 발표를 들으면서 다른 회원들이 궁금한 점을 물어보도록 격려하여 분위기를 활성화 시킨다.5. 소감을 나누고 종결한다.유의점응용하기1. 찾을 사람이 없다고 하는 경우 가족이나 현재의 관계로 범위를 넓혀준다.2. 배경음악은 TV프로그램시 사용하는 셀린디온의 음악을 트는 것이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된다.1. 찾고 싶은 사람에게 편지쓰기2. 빈의자 기법을 활용하여 만나고 싶은 사람에게 하고 싶은말하기3. 평소 만나보고 싶었던 유명인, 연예인 만나기- 67 -


제목활동목표인지재활훈련 1- 단어유창성특성 초성으로 시작되는 단어를 떠올리게 함으로써 단어유창성을 기르고 전두엽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준비물초성만 포함된 문자판, 필기구, 작성지프로그램내용유의점응용하기1. 일상생활에서 언어능력이 필요한 경우를 함께 이야기해 봄으로써 언어능력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2. 단어 만들기와 유사한 과제를 할 것이라고 설명한뒤 한 두개 예를 들어 함께 실시한다.(예: 'ㄴㅁ‘-실시 나무)방법 3. 대상자들의 기능 수준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한다.4. 초성으로 이루어진 문자판을 보고, 가능한 한 많은단어를 생각해 내도록 유도한다.5. 팀별로 생각해 낸 단어들을 비교해 본다.6. 소감을 나눈다.1. 대상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이때 기능수준이 좋은 사람이 과제를 주도해 나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고, 서로 상의하여 단어를 찾아기도록 지도한다.2. 주어진 초성 수가 많아 한 단어만 만드는 것보다 적은 수의 초성으로 여러개의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것이 좋다.1. 서로 상대팀에게 문제를 내고 맞추도록 한다.2. 카테고리를 정해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예 : 영화제목, 노래제목, 드라마 제목 등)- 68 -


제목활동목표프로그램내용유의점인지재활훈련 2- 숨은 그림 찾기(주의집중)숨은 그림을 찾는 탐색하는 과정에서 주의집중을 유도하고 유지한다.준비물실시방법숨은 그림 찾기 그림판< 워밍업 : 넝쿨풀기 >1. 모두 손을 잡고 빙 둘러 선다. 먼저 교사가 잡은손을 움직이면 전달받은 사람이 옆으로 느낌을 전달하게 한다 .2. 전달이 끊어지지 않고 처음 시작한 사람에게 까지오도록 한다.3. 다음은 서로의 손을 엇갈려 잡은 뒤 같은 방법으로손을 움직여 시작한 사람까지 전달되도록 한다.4. 이제 서로 엇갈린 손을 풀지 않고 서로 협동하여얽혀진 넝쿨을 풀어나간다.5. 넝쿨을 다 풀면 처음 시작할 때와 같이 원이 만들어져야 한다.6. 풀린 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해 본다.7. 서로의 소감을 이야기 한다.< 본 프로그램 >1. 주의집중 <strong>프로그램의</strong>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2. 대상자를 두 팀으로 나눈다.3. 준비된 그림판을 제시하고 빨리 찾는 팀이 승리한다.4. 그림찾기가 끝나면 소감을 나눈다.1. 개인별 진행도 가능하지만 대상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2~3명씩 짝을 지어 실시한다.2.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주의집중이 필요한 과제임을 설명한다.3. 대상자 모두 흥미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유도한다.- 69 -


제목활동목표인지재활훈련 3 - 이야기 기억하여 전달하기주의력과 함께 청각적 기억력을 함양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의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준비물이야기 구성카드, 화이트보드프로그램내용실시방법< 워밍업 : 번호 따라 어깨 치기 >1. 둘씩 짝을 지어, 한 사람씩 양쪽 어깨에 번호를 붙인다.(1~4까지 번호가 매겨지게 된다)2. 진행자가 번호를 부르면, 해당 어깨를 손으로 친다.이때 자신의 어깨 번호가 불릴 때, 상대방이 치기전에 손으로 막을 수 있다.< 본 프로그램 >1. 두 팀으로 나누어 일렬로 서게 한다.2. 팀의 앞사람에게 이야기 카드를 보여주고, 잘 기억하여 뒷사람에게 귓속말로 전달하도록 한다.3. 맨 끝의 사람까지 이야기를 기억하여 귓속말 로 전달되면, 마지막 사람은 칠판에 나와 자신이 들은 이야기를 적는다.4. 처음 문장과 비교해 본다.5. 차이가 생긴 이유를 생각해 보고, 기억책략에 대하여생각해 본다.6. 소감을 나누고 마무리 한다.유의점1. 기억력과 관련된 과제이므로 너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간단한 문장부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2. 문장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좌절감을 느낄수 있으므로 기억의 특성에 대해 설명해 준다.예1) 초두<strong>효과</strong>: 먼저 처리된 항목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시연의 기회를 갖게 되므로 더 많이 기억하게 된다.예2) 최신<strong>효과</strong> : 나중에 제시된 항목들은 잊을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어 더 많이 기억하게 된다.3. 기능수준이 낮은 경우 카드를 보고 읽어서 전달하게 한다.- 70 -


제목활동목표정신건강교육 1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진단1. 구체적인 증상에 대해 알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진단과정을 알고 이것을 통해 치료의지, 투약의 순응도를증진시킨다.준비물필기구, 교육자료프로그램내용실시방법1. 자신이 경험한 증상이나 직접 경험하지는 안않지만다른사람의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증상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2. 이전에 경험했던 증상과 현재 경험하고 있는 증상으로 나누어 증상 체크리스트를 체크한다.3. 증상으로 인해 힘들었던 점, 가장 힘들게 느껴지는증상이나 최근에 심해진 증상, 증상에 대처하는 방법등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한다.4. 양성증상, 음성증상, 인지증상, 엉뚱한 행동과 말에대해 설명한다.5. 기타 의문사항을 질문할 수 있는 질의· 응답 시간을갖는다.유의점1. 병식이 부족한 회원의 경우 진단과정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할 수 있으므로 병력청취에 대한 자세한 근거를 제시한다.2. 증상에 대해 개방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회원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배려하고, 스스로 표현하지 않아도 다른 회원의 이야기를 경청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3. 교육이 끝난 후 교육 <strong>효과</strong>를 평가한다.4.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고 주의집중을 유도한다.- 71 -


제목활동목표정신건강교육 2 - 약물치료약물치료의 <strong>효과</strong>와 부작용에 대해 알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 약복용의 순응도를 증진시킨다.준비물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 교육자료(시청각 자료)프로그램내용실시방법1. 약을 복용하면서 경험했던 <strong>효과</strong>에 대하여 각자 돌아가면서 이야기를 한다.2. 투약의 목표(환각, 망상, 불안, 불면, 집중력저하, 위축등의 증상완화와 재발방지 <strong>효과</strong>)를 설명한다.3. 현재 자신들이 복용하고 있는 약을 보면서 자신들이복용 했던 약,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의 종류, 용량에 대해 알도록 교육한다.(ppt자료)4. 약을 복용하면서 본인들이 경험한 부작용에 대하여이야기 한다.5.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교육자료)6. 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대처해야 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7. 기타 궁금해 하는 내용에 대하여 질의하는 시간을갖는다.8. 문제풀이 형태로 진행하여 이해가 빠르게 교육한다.유의점- 약에 대하여 반응이 좋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했던 회원들이부정적인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데 다른 동료들에게 부정적인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약이 주는 <strong>효과</strong>와 약을 먹지 않을 경우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지도한다.- 72 -


제목활동목표프로그램내용유의점정신건강교육 3 - 재발과 위기상황관리1. 병의 경과상 재발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strong>효과</strong>적으로 예방,관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2. 위기상황에 대하여 인식하고 바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준비물 상황체크리스트, 경고증상 체크리스트, 작성지 , 필기구1. 자신의 재발경험이나 동료들의 재발경험에 대한 상황이나 경험했던 증상 등을 미리 체크해 보고 서로 이야기하도록 한다2. 재발의 징후가 있을 때 자신들이 취했던 행동에 대해서로 이야기 한다.3. 재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4. 재발 초기에 나타나는 경고증상에 대해 설명한다.5. 재발상황에 대해 동료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며, 담당의사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지도한다.실시 6. 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대처해야 할 방법에 대해 설명방법 한다.7. 위기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들이 느꼈던 경우에스레스의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한다.8.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시도했던 방법과 <strong>효과</strong>가없었던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strong>효과</strong>적인 방법(수면, 음악, 대화, 운동 등)을 소개한다.9. 자살이나 폭력적인 행동을 한 경험이 있는지, 그리고어떻게 대처했는지 이야기 한다.10. 위기상황에서 주변의 가족이나 담당의사 등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을 수 인식시킨다.11. 기타사항에 대하여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단정적이거나 비난하는 말투로 들리지 않도록 유의하고, 논쟁을 하기보다는 지지적인 태도를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들을 적어보게 한다.- 73 -


제목작문요법 1 - 표정카드로 이야기 만들기활동 여러 장의 표정카드를 연결하여 이야기를 완성하는 과정에서목표 감정의 인식과 표현을 돕는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시방법여러 가지 표정이 그려진 표정카드, 작성지, 가위, 풀,색연필, 필기구1. 각 회원들의 다양한 표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2. 회원들에게 표정카드를 나누어 주어 자유롭게 배열하도록 하고, 배열된 표정카드에 따른 줄거리를 상상하여 작성하도록한다.3. 회원들은 자신의 글을 돌아가면서 발표한다.4. 소감을 나누고 마무리 한다.유의점1. 기능수준이 낮은 경우 어떠한 상황에서 주어진 표정카드와같은 표정이 연출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략히 글을 쓰도록한다.2. 회원의 기능 수준에 따라서 표정카드의 수를 조절한다응용하기1. 자신의 경험을 표정카드로 나타내고 그때의 감정 변화나 생각 등을 말로 표현하거나 글로 쓰게 한다.2. 표정카드를 이용하여 집에서 일기를 써보도록 한다.- 74 -


제목작문요법 2 - 이야기 만들기활동목표상상력을 발휘해 내용과 관련된 글을 이어 씀으로서 창의적사고를 돕는다.준비물이야기를 요약한 자료, 필기구프로그램내용실시방법1. 교사는 유년시절 읽었던 동화에 대해 회원들과 이야기를 나눈다.2. 교사가 준비한 이야기의 원작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하고 후속이야기를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작성하게한다.3. 회원들은 자신의 글을 돌아가면서 발표한다.4. 소감을 나누고 마무리 한다.1. 회원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자료를 준비한다.유의점2. 잘 참여하지 못하는 회원의 경우 이야기를 쉽게 풀어갈 수있도록 감동깊게 읽었던 부분을 떠올리게 한다.3. 글을 여러 단락으로 나누어 회원들이 원하는 부분의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한다.- 75 -


제목활동목표연극요법 2 - 동 화 구 연어린시절 추억을 떠올리고 다양한 표정과 최대한 큰 동작을취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발음과 적절한 표정으로 전달하는기술을 연습해본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 시방 법동화구연 대본, 종이, 필기구, 오디오, 음악CD나 테이프1. 어린시절 들었거나 책에서 읽었던 기억나는 동화에대해 이야기를 나눈 뒤, 동화구연에 대해 설명한다.2. 인원수에 따라 적절히 2팀으로 나누어서 동화구연내용을 제시하고 주제를 정하게 한다.3. 동화구연 대본을 가지고 각자의 역할을 정하여 동화구연을 하도록 한다.4. 연습할 시간을 준다.5. 연습이 끝나면 모여서 각 팀별 발표를 한다.6. 각자의 소감을 이야기하고 종결한다.유의점1. 발표를 힘들어하는 소극적인 회원에게는 동화구연하는 사람뒤에서 대사없이 상황에 맞는 동작을 표현하게 하거나 대사를 맡긴다. → 예 : <strong>효과</strong>음(“펑~”, "와~”등),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에서 잠을 자는 토끼 모습 흉내 등2. 실감나는 동화구연을 위해 진행자 또는 보조진행자가 시연을 한다.3. 잘 알려진 동화를 선택한다.(예 : 흥부와 놀부, 토끼와 거북등)4. 마이크 등의 소도구를 이용하고 주변의 환경을 내용에 맞게 꾸며 휠씬 실감나는 동화구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6 -


제목활동목표연극요법 1 - 단어연상 연기대본없이 대사나 행동을 자유롭게 연기함으로써 자신감을 얻고창의성과 자발성, 자기표현을 촉진한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시방법단어쪽지1. 단어가 적힌 쪽지를 준비한다.2. 쪽지를 바구니나 통에 담아 놓고 각자가 1개씩 제비뽑기를 한다.3. 단어가 적힌 쪽지를 이용해 그 단어를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나 경험, 느낌을 동작 및 상황연기로 표현하도록 한다.4. 소감을 이야기하고 종결한다.유의점1. 교사는 대상자가 실감나게 연기할 때 칭찬해주고 분이기가활발해지도록 격려한다.2. 제시된 단어에 얽매이지 말고 그것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다양한 동작이나 표현이 나오도록 유도한다.3. 교사의 개입이 많지 않고 대상자들이 주도적, 자발적으로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응용하기1. 미리 준비된 자료 없이 스스로 즉흥연기를 할 수 있는 주제나 상황을 제시하여 자연스런 표현이 나오도록 하는 즉흥연기도 시도해 본다.- 77 -


제목활동목표연극요법 3 - 대 본 읽 기대본을 읽으면서 상황에 맞는 감정을 느끼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한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시방법드라마 대본1. 밝고 긍정적인 캐릭터로 구성된 “ 헬로우 발바리”(kbs 시트콤) 대본을 준비하고, 준비한 대본을 나누어 준 후 역할을 정한다.2. 연습할 시간을 주고 연기하도록 한다.3. 정확한 발음과 일맞은 목소리 크기로 대본을 읽도록하고, 대사나 상황에 맞는 감정을 느끼고 이를 표현하도록 한다.4. 소감을 이야기하고 종결한다.유의점응용하기1. 회원 주도하에 팀 내에서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고 각자 역할을 맡도록 진행한다.2. 대중을 향해 서서, 큰 목소리로, 표정이나 동작까지 표현하도록 유도한다.3. 특히 대사나 상황에 맞는 적절한 감정표현을 중요시하고 지문에 주의하도록 격려한다.1. 등장인물이 회원수 보다 많을 경우 전체집단이 함께 모여 대본을 읽도록 유도한다.2. 한 명이 특정한 인물을 맡지 말고 돌아가면서 읽도록 유도한다.3. 오늘 연습한 대본 읽기로 “이용자 성탄행사”에 연극으로공연을 기획 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78 -


제목활동목표작업치료 활동 1 - 계절달력 만들기계절달력을 만드는 과정에서 계절감에 대한 지남력을 증진시키고 스스로 생활에 대한 계획을 세우도록 함으로써 자기관리능력을 강화한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시방법12개월 월별 달력(날짜와 요일이 적힌 것), 도화지, 잡지, 파스텔, 그레파스, 컬러 사인펜, 가위, 자, 풀, 가위,필기도구1. 자신에게 의미 있는 달을 생각하며 달을 결정한다.2. 잡지를 보면서 계절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었거나,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가 있는 사진들을 선정한다.3. 가위와 풀을 이용하여 오려 붙이고, 날짜들을 기록 한다.4. 일요일이나 공휴일, 기념일, 가족의 경조사 또는기억해야 하는 날을 표시한다.5. 자신의 월간 계획표에 대하여 발표하고 회원들과함께 이야기 나눈다.6. 소감을 이야기하며 프로그램을 종결한다.유의점1. 그림을 넣을 공간과 날짜를 적어 넣을 공간을 적절히 배치하도록 한다.2. 특정 달을 정하여 이벤트를 계획해 보는 “상상달력”을 만들어보도록 유도한다 .- 79 -


제목작업치료활동 2 -칼라점토 메모 홀더활동목표고무 성분으로 되어있는 칼라점토를 손으로 주물러 물체를 만들어 봄으로써 손에 감각 자극을 제공하고 근력을 증진 시키며,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어 본다.프로그램내용준비물실시방법오색(흰색, 노랑색, 빨강색, 파랑색, 검정색) 칼라점토,보조도구, 가위, 본드, 칼, 자석, 도안집1. 만들고 싶은 모양과 색상을 생각한다.2. 적당량의 기본 오색 칼라점토를 알맞은 비율로 섞어 원하는 색을 만든다.3. 원하는 모양을 만든다.4. 본드를 이용하여 작품 뒤쪽에 자석을 붙인다.5. 서로 만든 것을 보며, 감상하고 소감을 나눈다.유의점응용하기1. 색깔이나 모양을 잘 못내는 경우 도안집을 보고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2. 칼라점토는 마르면 갈라지는 성질이 있음을 알게하고, 모양이 일그러지면 약간의 물을 넣고 다시 주물러 사용하게한다.1. 칼라믹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일상용품을 만들어 본다.2. 다음시간에는 골판지 종이감기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작품을만들어 본다.- 80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