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2014 Views

대동맥질환의 영상진단 - 전남대병원 박종춘 - 대한심장학회혈관연구회

대동맥질환의 영상진단 - 전남대병원 박종춘 - 대한심장학회혈관연구회

대동맥질환의 영상진단 - 전남대병원 박종춘 - 대한심장학회혈관연구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TEE는 비교적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박리증, 벽<br />

내 혈종, 죽상종이나 종양 등 여러 대동맥 질환에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 사용한다. 제한<br />

점은 상행 대동맥의 원위부와 대동맥궁은 식도와 대동맥 사이에 기도가 있기 때문에<br />

horizontal view로는 잘 보이지 않으며, 허상이 생길 수 있다. 복부 대동맥의 대부분을 관<br />

찰할 수 없다. 횡격막 누공이나 대동맥류 내에 혈종이 있거나 확장된 대동맥에 의한<br />

reverberation 현상으로 위막이 생기는 경우 오진할 수 있다. 중환자실, 수술장 등에서 대<br />

동맥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검사법이다.<br />

3. 대동맥 외막 초음파 및 혈관내 심초음파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br />

대동맥의 죽상종을 보기 위해선 현재로는 TEE가 가장 추천되나, 수술을 시행하는 중에<br />

특히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을 보려면 수술 중 대동맥 외막 초음파 (epiaortic ultrasound)<br />

가 가장 좋다. 침습적인 방법이지만 혈관촬영술을 시행시 보조적으로 혈관내 심초음파를<br />

사용하기도 한다. 대동맥내 스텐트 설치나 fenestration 등 중재 시술의 경우, 특히 심장<br />

동맥의 침범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탐촉자는 7.5­10 MHz를 사용하며 내막 파열 부위<br />

나 reentry 부위, 대동맥 주요 분지의 폐쇄 여부, 벽내 혈종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br />

대동맥 박리<br />

심초음파검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박리의 존재 여부, 상행대동맥의 침범 여부, 박<br />

리의 범위, 위강내 혈전 유무, 말초혈관의 침범 여부,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동반 여부, 혈심<br />

낭, 좌심실 기능 및 관동맥 침범 여부 등이다. 대동맥 박리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br />

한 소견은 내막 피판 (intimal flap)이다. 피판은 진하고 반사가 큰 에코를 보이면서 혈류의<br />

움직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대동맥 내강이 커지며 죽상종으로 인해 표면이<br />

불규칙한 경우가 많다.<br />

진성 내강<br />

가성 내강<br />

크 기 작음 큼<br />

수축기 시 내강 크기 증가 감소<br />

Spontaneous contrast Rare, low Dense, regular<br />

혈 전 드믐 흔함<br />

위 치 대동맥의 안쪽 곡선 대동맥의 바깥쪽 곡선<br />

Aortic arch flow Systolic forward Delayed, no or reversed<br />

Intimal tearing site Systolic flow (true to false) Diastolic flow (false to true)<br />

표. 진성과 가성 내강의 구별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