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2014 Views

대동맥질환의 영상진단 - 전남대병원 박종춘 - 대한심장학회혈관연구회

대동맥질환의 영상진단 - 전남대병원 박종춘 - 대한심장학회혈관연구회

대동맥질환의 영상진단 - 전남대병원 박종춘 - 대한심장학회혈관연구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하행대동맥과 복부 대동맥의 초음파 사진(오른쪽 위)과 그곳에서 CW Doppler로 빨라지고 계속 흐르는 혈<br />

류를 측정한 사진(오른쪽 아래).<br />

이판성 대동맥판 (bicuspid aortic valve)<br />

가장 흔한 심기형으로 인구의 1-2%에서 보며 이 중 2%가 청년기에 심한 협착이나 역류증<br />

을 초래함. 남성에 많고 약 20%에서 대동맥 축착, 동맥관 개존 등의 기형을 동반한다.<br />

시간이 지날수록 판막의 변성, 협착이 생기며 50대에 이르면 판막의 석회화가 흔하다.<br />

대동맥 뿌리 확장 및 동맥류, 대동맥 박리증, 심내막염 등이 생길 수 있다.<br />

초기 catheter로 측정한 최대 좌심실-대동맥간 압력차가 50 mmHg가 넘은 경우, 부정맥, 돌<br />

연사, 기타 (심내막염, CHF, syncope, angina, MI, stroke, and pacemaker insertion) 등이<br />

년평균 1.2%에서 발생한다.<br />

Fig. Bicupid aortic valve (left fig) and AS (right fig)<br />

Aneurysm rupture of an aortic sinus of Valsalva<br />

20-30대에 호발하며 75%가 남자이다. 30-50%에서 VSD를 동반한다. 발살바동이 한 개<br />

이상 커질 수 있다. 우측 발살바동을 많이 침범하며, 우심실로 파열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br />

파열시 흉통, bounding pulse, 이완기시 커지는 연속성 잡음, 심장의 양 과부하가 일어나며<br />

긴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