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9.2015 Views

영재성의 개념과 영재아의 판별

영재성의 개념과 영재아의 판별 - 이화국교수 Weblog

영재성의 개념과 영재아의 판별 - 이화국교수 Weblog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영재성의</strong> <strong>개념과</strong> <strong>영재아의</strong> <strong>판별</strong><br />

이화국(한국싸이버대학교 부총장/대교 평가센터 고문)<br />

I. 영재의 정의와 특성<br />

영재 혹은 영재성은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영재의 특성에<br />

대해서도 학자들마다 관심의 초점을 달리하고 있어, 한마디로 영재의 특성을 규정<br />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 영재교육학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br />

영재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서 학자들의 주장들을 살펴본다.<br />

1. 영재와 <strong>영재성의</strong> 개념<br />

영재(the gifted) 또는 영재성(giftedness)에 대한 정의로 가장 널리 인용되는 것<br />

은 “영재란 뛰어난 능력으로 인하여 탁월한 성취를 할 것으로 전문가에 의하여 판<br />

단되는 자로서, 자신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정규학교 프로그램 이상의 교육<br />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아동이다.”라는 미국 교육부의 정의이다. 영재는<br />

1) 일반지능, 2) 특수 학업적성, 3) 창의적 사고 능력, 4) 지도력, 5) 시각 실연 예술,<br />

6) 신체운동 능력 등의 6개 영역에서 이미 높은 성취를 나타내었거나 잠재 능력이<br />

있는 아동들이다. 이 정의는 영재<strong>판별</strong>의 기초로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정의적 요<br />

인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사고의 과정과 산물을 혼동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br />

다.<br />

미국 국립 영재교육 연구소 소장 렌줄리(Renzulli)는 그의 삼원 모델(Three-ring<br />

model)에서 영재의 준거로서 평균 이상의 지능, 높은 창의력, 높은 과제 집착력을<br />

제시하고, 영재성은 이 세 요소가 상호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렌줄<br />

리는 세 가지 특성 모두에서 85% 이상이거나 적어도 한 가지 특성에서는 98% 이<br />

상일 때, 뛰어난 성취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이 정의에서는 과제 집착<br />

력과 같은 정의적 요인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다.<br />

- 1 -


팰두슨(Fedhusen)은 재능은 “적성 또는 지능, 학습된 기능, 지식, 동기-적성-경<br />

향성 등의 복합체로서 한 개인으로 하여금 직업인으로서, 전문가로서, 예술가로서,<br />

사업가로서 성공하게 이끄는 것”이며, 영재성은 “우수한 지능, 적성, 재능, 기능, 전<br />

문성, 성취동기, 긍정적 자아개념, 창의성의 복합체로서 한 개인으로 하여금 문화와<br />

시대가 가치롭게 생각하는 각 분야에서의 생산적인 수행을 하도록 이끄는 것”이라<br />

고 하였다.<br />

한편, 지능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하여 영재를 새롭게 정의하려고 시도한 사람<br />

으로서는 가드너(Gardner)를 들 수 있다. 그는 자신의 다중 지능 이론(Multiple<br />

intelligence)을 통하여 우리가 여태껏 믿어 왔던 일반 지능에 대한 개념을 전면 부<br />

정하고 인간의 신경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는 7가지의 지능을 제시하였다. 인간의<br />

지능은 언어적 지능, 음악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개인 내적 지<br />

능, 대인간 지능 등의 7가지로 이루어진 다중 복합체라는 것이다. 최근 그는 자신의<br />

구분에 자연 관련 지능과 실존 지능이라는 두 가지의 지능을 추가하기도 하였는데,<br />

영재란 이러한 각 지능 분야별로 특별하게 뛰어난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br />

스턴버그(Sternberg)는 영재성이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정보처리과정의 동화<br />

와 같은 지적 행동을 표출하며, 지적 행동을 자신의 생활과 관련된 실제 환경에 직<br />

접 적용하며 아울러 자신에게 적절한 환경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바꾸어 나가는 능<br />

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br />

종합적으로, 영재 또는 재능(talented)이 있는 아동은 지능, 창의력, 예술성, 지도<br />

성, 그리고 특수한 학문적 분야와 같은 영역에서 탁월한 능력을 나타낼 가능성이<br />

있는 아동을 말한다. 교육과 연결시켜서 <strong>영재성의</strong> 의미를 정의해 보면, 영재는 일반<br />

지능, 창의적 사고력, 특정 학문분야의 적성, 사고력, 지도력, 예술 분야의 재능, 신<br />

체 운동 능력과 같은 여러 영역 중 한 영역에서만이라도 특히 뛰어난 성취를 보이<br />

거나 특정 시점에서 우수한 성취를 나타내지 않지만 특수한 소질이나 잠재 능력을<br />

지니고 있어 정규 교육과는 다른 특별한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는 아동을 말한다.<br />

이상과 같은 영재에 대한 개념은 흔히 영재성에 대한 <strong>개념과</strong> 함께 논의되곤 한<br />

다. 그런데 영재성에 대한 개념을 규정할 때 항상 부딪히는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br />

영재성은 실체로서 인간에게 보이는 특성이 아니라 하나의 개념 또는 심리학적 구<br />

인"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영재성이 직접적으로 관찰되고 측정될 수 없으므로 영재<br />

성의 속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학자 간에 다양한 의견들이 표출되고 있다는 것이다.<br />

또한 심리학적 입장에서 영재성을 타당하게 정의하고, 신뢰롭고도 타당하게 측정<br />

하였다손 치더라도, 그렇게 선발된 개인이 반드시 성인 시기에 당초의 기대한바 잠<br />

재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리라는 보장도 없다. 이것은 영재의 성장 과정 중에 경험<br />

- 2 -


하게 되는 사회적 여건과 가정환경 등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뜻이다.<br />

영재성을 규정하면서 부딪히는 두 번째의 문제로는, 이것이 영재와 비( 非 )영재의<br />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속체로서, 그 연속선상에서의 정<br />

도를 나타내는 상대적 개념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strong>영재성의</strong> 범위를 어느 정도로 할<br />

것인가는 제공하고자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을 고려하여 정하게 된다. 범위가<br />

좁을수록 영재의 <strong>판별</strong> 및 교육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잠재적 영재들에<br />

대해서 배타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br />

물론, 영재성에 대한 정의들을 근거로 하여 영재의 특성과 능력을 구체적으로 설<br />

명하기는 어렵겠지만, 최종적으로 영재라고 판정된 아동, <strong>판별</strong> 도구의 형태와 사용<br />

된 절차, 특수한 교육을 받기 위한 적격성 준거, 영재 교육의 형태를 결정함에 있어<br />

서 이론적으로 타당하면서도 실제적으로 유용한 <strong>영재성의</strong> 개념 모형이 요구되고 있다.<br />

에서는 <strong>영재성의</strong> 대표적 모형 가운데 하나를 소개하고 있다. 이에 따르<br />

면, 영재성은 일반적으로 학문적 적성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으로서 ‘높은 수준의 지<br />

적 능력’, ‘창의성’, ‘탁월한 특수 적성’ 등을 포함하며, 행동통제와 관련된 심리적 요<br />

인으로서 ‘과제집착력’, ‘성취동기’, ‘긍정적 자아개념’, ‘자아 효능감’ 등을 포함한 정<br />

의적 특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br />

인지적<br />

일반 지적 능력<br />

특정재능, 적성<br />

평균이상의<br />

능력<br />

영재성<br />

과제<br />

집착성<br />

창의적<br />

창의적 작품<br />

음악, 미술<br />

창의성<br />

심리사회학적<br />

지도성, 이타주의<br />

감정이입, 공감<br />

심동적<br />

정교한 몸놀림<br />

능숙한 활동, 손재주<br />

<strong>영재성의</strong> 개념 모형<br />

데 영재성이 결정지어 진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심리<br />

적 요인들은 부모와 교사들이 제공하는 교수-학습의 환경적 자극에 의하여 상당한<br />

- 3 -


정도로 개발이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 재능은 <strong>영재성의</strong> 일<br />

반적 심리적 요인들에 바탕을 두고 있으면서 적어도 한 가지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br />

을 발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 방식은 지난 1999년 12월 31일 공포<br />

된 영재교육진흥법 제 5 조 제 1 항에서는 영재성을 일반 지능, 특수 학문 적성, 창<br />

의적 사고 능력, 예술적 재능, 신체적 재능, 기타 특별한 재능으로 정의한 데에서도<br />

잘 드러나고 있다.<br />

2. <strong>영재아의</strong> 특성<br />

영재아는 보통의 아동들과는 특이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적<br />

측면은 물론이고, 학습 동기나 사회성 등의 정의적 측면에 있어서도 차이점이 발견<br />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strong>영재아의</strong> 제반 특성을 개관해 보기로 한다.<br />

1) 영재의 인지적 특성<br />

일반적으로 영재의 인지적 특성은 학자들의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br />

다고 한다. 데이비스와 림은 영재의 인지적 특성으로서 혼자 일하기를 좋아하고, 상<br />

상하기와 가장하기를 즐기며, 언어력이 우수하며, 사고에서는 유순하고, 지속성이<br />

강하며, 한 과제에 오랫동안 집착하여 다른 과제에까지도 넘어가며, 일상적인 과제<br />

에는 때때로 지루함을 느끼며, 흥미 없는 과제에도 자세히 알아보려고 노력하는 등<br />

의 7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br />

실버만은 <strong>영재아의</strong> 유아기 인지적 특성으로서 특이한 주의경계, 보다 적은 수면<br />

의 욕구, 긴 기억 범위, 높은 활동 수준, 보다 빨리 양육자를 알아보고 웃기, 주의와<br />

자극에 대한 놀랄만한 욕구, 소음, 고통, 좌절에 대한 강한 반응, 발달 시기 준거에<br />

서 향상된 진보, 엄청난 기억, 빠른 학습, 이르고 광범위한 언어 발달, 책을 매우 좋<br />

아함, 호기심, 많은 질문 등에서 우수함을 들고 있다.<br />

루이스는 영재의 인지적 특성으로 주의, 질문 빈도, 향상된 언어사용, 추상적 사<br />

고, 기억, 과제 동기, 지속성, 사회적 기술, 호기심, 향상된 유모감, 창의적 놀이, 불<br />

일치에 대한 민감성을 들고 있다.<br />

김진희는 영재의 지적 특성에 대해 기억력, 관찰력, 이해력이 뛰어나고 학습 속도<br />

가 빠르며, 지적인 욕구가 강하고 높은 지능을 보이며, 어휘력과 표현력이 풍부하고<br />

광범위한 독서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산술, 계산, 추론, 적용 면에서 높은 학업성적<br />

과 성취를 보이고, 합리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보이며, 상호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사<br />

실로부터 일반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며, 형태와 물체나 대상에 대한 지각 능력이<br />

- 4 -


뛰어나며, 합리적, 분석적, 독창적 사고를 주로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br />

한편, 반 타셀바스카(Van Tassel-Baska)는 영재 아동의 인지적 특성이 <br />

과 같은 8가지 영역에서 우수하다고 밝히고 있다.<br />

<strong>영재아의</strong> 인지적 능력<br />

인지적 능력 특 성<br />

추상적 기호체제의<br />

조작능력<br />

집중력<br />

특이하게 잘 발달된<br />

기억력<br />

언어에 대한 관심과 발달<br />

호기심<br />

혼자서 하는 일을 선호함<br />

많은 곳에 대한 관심<br />

창의적 아이디어 산출<br />

능력<br />

․보통 아이들보다 어릴 때부터 언어와 수학의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br />

수 있다.<br />

․언어와 수를 조작할 수 있는 잠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br />

․보통 아이들보다 어릴 때부터 오랜 시간동안 한 문제에 주의집중하여<br />

해결하는 능력이 뛰어나다.<br />

․보통 아이들보다 어릴 때부터 한 번 본 것이라도 정확하게 기억하는 능<br />

력을 가지고 있다.<br />

․보통 아이들보다 어릴 때부터 언어와 읽기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진<br />

다.<br />

․보통 아이들보다 어떤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를 알고 이해하려는 강한<br />

욕구를 보이고 있다.<br />

․어릴 때부터 세상과 어른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알려고 한다.<br />

․자기 혼자서 일해서 스스로 어떤 현상을 알기를 좋아한다. 이러한 특징<br />

은 반사회적인 행동을 하기보다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내적<br />

도식 체계를 형성해 나가는 것에 즐거움을 느낀다.<br />

․광범위한 곳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훌륭한 기억 기능을 가지고 있는<br />

정보의 저장고를 가지고 있다.<br />

․보통 아이들보다 독창적이면서도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는 능력<br />

이 뛰어나다.<br />

이에 따르면, 영재아들은 추상적 사고 능력이나 언어에 대한 관심, 혼자서 일하기<br />

를 좋아함,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과 성향이 강하다는 특징을<br />

찾아 볼 수가 있다.<br />

이러한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보면, <strong>영재아의</strong> 인지적 특성은 크게 언어적 특성,<br />

수리적 특성, 과학적 특성, 학습능력 특성, 창의성 등의 다섯 가지 측면으로 종합해<br />

볼 수 있다.<br />

첫째, 언어적 특성에서 영재는 언어 발달이 뛰어나서 언어이해력과 표현력이 우<br />

수하고, 광범위한 독서능력을 가지고 있다.<br />

- 5 -


둘째, 수리적 특성에서 영재는 수 개념이 일찍 발달되며, 산술, 추리, 계산, 종합<br />

능력이 우수하고 복잡한 과제에서도 끈질기게 노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br />

셋째, 과학적 특성에서 혼자서 모르는 것을 탐구해 나가고 그 원인을 알기 위해<br />

서 논리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또한 상호관련성이 없<br />

는 자연 현상에 대해서도 관련성을 찾으려고 노력하며 법칙을 발견하기를 좋아한다.<br />

넷째, 학습 능력의 특성에서 영재는 호기심이 강하고 기억력과 주의집중력이 매<br />

우 우수하며, 한 과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매달리며 지능이 높다.<br />

다섯째, 창의성에서 영재는 혼자서 생각하기를 좋아하며, 일상적인 지루한 가제는<br />

싫어하고, 독창적인 과제를 하기를 좋아하며, 합리적, 분석적, 독창적 사고능력이 우<br />

수하다.<br />

2) 영재의 정의적 특성<br />

영재아와 평재아들을 비교해 볼 때, 영재아는 인지적 특성에서 몇 가지 우수한<br />

경향이 강함을 알 수가 있었다. 인지적 측면의 특성 이외에도 영재아들은 정의적<br />

영역에 있어서도 색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게 사실이다.<br />

김진희는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대해 사물과 자연법칙에 대한 호기심이 많으며,<br />

상상력이 풍부하고 창의적인 일에 몰두하기를 즐기며, 자율적, 독립적이고 자기신념<br />

이 강하여 비판적이며, 주의집중력, 과제집착력이 강하고, 권위에 도전하고 자기주<br />

장을 분명히 하며, 융통성 있는 사고를 하고, 개방적․수용적이고 적응을 잘 하며,<br />

책임감이 강해서 그룹 활동에서 지도자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렌줄리는 영재아들<br />

이 과제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고, 권위에 도전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한 것은 물<br />

론, 독립적이며 정서적으로 민감하고 관심을 가지는 영역에서는 지속적인 동기 특<br />

성을 가진다고 하였다.<br />

이러한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대해서, 반 타셀바스카는 에서와 같은 9가지<br />

영역에서 우수하다고 밝히고 있다. 즉, 영재아들은 예상과는 달리 유머 감각이 있으<br />

며, 강한 애착이나 집념을 지니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사회성이나 정서적 민감성에<br />

있어서도 평재들보다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영재들<br />

에게 따라 다녔던 이기적이고 비사회적이라는 이미지는 타당하지 못한 것을 알 수<br />

있다.<br />

이상과 같은 영재의 정의적 특성은 학습 태도 특성과 성격적 특성의 두 측면으로<br />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br />

첫째, 학습태도 특성에서 영재는 과제에 강한 집착을 보이며, 지적 호기심이 강하<br />

고 적극적으로 학교생활에 적응하며, 언어발달이 뛰어나서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이<br />

- 6 -


우수하고, 상상력이 뛰어나다.<br />

둘째, 성격적 특성에서 영재는 활동적이며, 사려성이 깊고 우월성과 지배성이 강하<br />

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자기주장이 강하여 권위에 도전적이며 독립심이<br />

강하다. 또한 정의감이 투철하고 유머 감각이 풍부하며 이타주의와 애타주의를 가<br />

지며,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려고 하며 정서적 강도가 강하다.<br />

<strong>영재아의</strong> 정의적 특성<br />

정의적 능력 특 성<br />

정의감<br />

이타주의 및 이상주의<br />

유모어감<br />

정서적 강도<br />

․인간관계에서 강한 정의감을 보이며, 연령의 증가에 따라 사회적<br />

평등을 촉진시키는 원인에 매료된다.<br />

․타인을 도와주고 가르치며, 자발적 봉사를 원한다.<br />

․부모 및 어른들에게 매우 지지적이다.<br />

․영재아는 유모어감으로<br />

자신의 고통스런 경험을 감소시킬 줄<br />

알며, 자신과 타인의 자존심을 덜 손상시킬 줄 안다.<br />

․유머감은 깊은 소원감을 막아 관심의 대상으로 만들어 낸다.<br />

․보통 아이들보다 더 깊은 수준에서 빈번하게 정서적 반응을 경<br />

험한다.<br />

죽음에 대한 이른 관심 ․보통 아이들보다 죽음에 대한 관심이 더 일찍 나타난다.<br />

완벽주의<br />

높은 에너지 수준<br />

강한 애착과 전념<br />

․보통 아이들보다 모든 일을 완벽하기 위해 정열을 다한다.<br />

․놀이나 일의 수행에서 높은 에너지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에너지<br />

는 짧은 시간에 많은 일을 성취하기 위한 능력에서 관찰된다.<br />

․한 두 명의 친구 또는 어른들에게 강한 애착을 보내며, 성장하면<br />

서 일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인다.<br />

심미적 민감성<br />

․<strong>영재아의</strong> 복잡성에 대한 느낌은 심미적 민감성을 통해 표현된다.<br />

3) 과학 영재의 제반 특성<br />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과학영재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과학영재의 특성<br />

을 살펴본다. 영재에 관한 정의와 일반적 특성을 근거로 할 때, 과학영재는 일반 능<br />

력 및 특수 능력이 평균 능력 이상이며, 과학 분야에 대한 강한 과제 집착력, 흥미,<br />

호기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뛰어나, 장래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룰<br />

것으로 예상되는 자로서, 이들의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한다.<br />

- 7 -


즉, 이들은 전문가가 과학 영역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었거나 이룰 것으로 판정된<br />

사람으로서, 그 잠재력을 최대로 계발하기 위해서는 정규 학교 프로그램 이상의 특<br />

별한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은 같은 나이 또<br />

래의 아동들 중에서 상위 15-20%에 해당한다.<br />

브렌드와인은 과학 영재의 특성으로서 유전적, 성격적, 환경적 요소를 제시하고<br />

있다. 첫째, 유전적 요소에서 영재는 일반적 지능이 우수하고, 수리적, 추상적 추리<br />

력이 뛰어나다. 둘째, 성격적 요소에서 과학에 대한 동기와 집착력이 있으며, 하나<br />

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장시간의 노력을 투입하기를 좋아하고, 과제를 수행하는 데<br />

보다 나은 방법을 추구하고자 한다. 셋째, 환경적 요소로서 성장과정에서 감명을 주<br />

고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갖고 있다.<br />

플라토우는 과학 영재들의 특성으로서 학생들은 과학 교과나 과학과 관련된 학<br />

습 과제에 높은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산술, 계산, 이해, 추론 및 적용력 면에서 높<br />

은 학업 성적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고, 매우 독창적이며, 특<br />

히 귀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 면에서 높은 능력을 나타내며, 높은 호기심을 가지<br />

고 있고, 반성적 사고와 합리적 사고를 하며, 특히 탐구의 과정에서 ‘왜’라는 질문을<br />

끊임없이 던지며, 요소들 간의 관계를 분석적으로 살펴보고, 자료를 해석하고 결론<br />

을 유도하며, 보충자료를 찾아보며 검사나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관심을 가지<br />

고, 투철한 관찰력을 가지고 있으며, 추론 결과의 타당성을 심사해 보고 연역적 논<br />

리성을 알아보며, 책임감이 강하고, 독립적이고 자신감이 있으며 모든 일의 추진을<br />

스스로 결정하고, 건설적이면서 창의적인 사고를 자주 하고, 발견학습 방식에 의하<br />

여 문제를 해결하고, 계획, 설계, 예언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그리고 실험실에서 효<br />

과적으로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설계 능력을 갖고 있다.<br />

이러한 특성은 에서와 같이 종합될 수가 있다. 이종승 등에 의하면 과학<br />

영재는 동일한 연령 수준에서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여 학업의 성취도가 매우 높고,<br />

뛰어난 지적 능력과 창의력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 분야의 탐구 활동에 강한 흥미<br />

와 과제 집착력을 가지고 있다.<br />

지능/적성<br />

과학영재<br />

수학/과학<br />

창의력<br />

흥미/태도<br />

- 8 -


◎ 지능/적성<br />

- 언어능력<br />

- 수리능력<br />

- 도형추리<br />

- 공간지각<br />

◎ 창의력<br />

- 유창성<br />

- 융통성<br />

- 독창성<br />

- 개방성<br />

◎ 흥미/태도<br />

- 성취동기<br />

- 객관성<br />

- 과제집착력<br />

- 과학적 흥미<br />

- 비판적 사고력<br />

◎ 수학/과학<br />

- 지식<br />

- 이해력<br />

- 적용력<br />

- 분석력<br />

- 종합력<br />

과학영재의 개념 모형<br />

이러한 생각은 한종하의 주장과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과학영재의 특성<br />

을 지적인 면과 정의적인 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과학 영재의 지적 특성으로는<br />

학업성취의 진도가 빠르며, 학업 적성 및 지능 검사에서 높은 성적을 얻는다는 것,<br />

실물이나 실험 기구 다루기를 좋아하며, 어려운 문제나 퀴즈 놀이를 즐기고, 방법을<br />

중시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깊이 신뢰하며, 사고의 융통성을 가지는 것 등을 들고<br />

있다. 정의적 특성으로는 자율성이 높고 자긍심이 강하다는 것, 정서적 안정성이 높<br />

으며 대인관계에 얽힘을 싫어한다는 것, 지적이고 정서적인 취미 활동이 다양하며,<br />

부지런한 노력형이며, 한 가지 일에만 열중한다는 것, 보다 새롭고 창의적인 일에<br />

몰두한다는 것, 자기만의 독특한 학습경향을 가진다는 것, 비전제적인 교사를 좋아<br />

하고, 교사에게 비판적인 경향을 가진다는 것을 들고 있다.<br />

이상의 논의를 통해 과학 영재의 특성을 종합해 보면, 과학 영재는 일반 영재가<br />

가지고 있는 지적 능력과 많은 특성을 공유하면서 특히 수학, 과학과 관련이 있는<br />

분야에서 일반 영재보다 탁월한 재능을 갖춘 영재이다. 즉 뛰어난 지적 능력과 높<br />

은 창의력, 그리고 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발휘할 잠재력을 가진 사람이라고<br />

규정할 수 있다.<br />

II. <strong>영재아의</strong> <strong>판별</strong><br />

<strong>영재성의</strong> 개념은 영재의 <strong>판별</strong>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영재의 특성이 그 <strong>판별</strong> 기준의 바<br />

탕이 된다. 그러나 영재아들이 공통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다<br />

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또한 영재성이 발현되는 상황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br />

<strong>영재성의</strong> <strong>판별</strong>에는 세심하고 과학적인 방법이 각별히 요구되는데, 여기에서는 이러<br />

한 <strong>영재성의</strong> <strong>판별</strong> 원칙과, 영재성 <strong>판별</strong> 방법과 절차에 대해서 고찰해본다.<br />

- 9 -


1.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원칙<br />

영재 <strong>판별</strong> 방안 수립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이재신은 다음과 같은 6가지로 제시<br />

하고 있다. 첫째, 영재의 <strong>판별</strong>은 가능한 조기에 시작되어야 하며, 계속적으로 이루<br />

어져야 한다. 둘째, 영재의 <strong>판별</strong>은 <strong>판별</strong>대상이 되는 아동과 학생의 연령 또는 학교<br />

수준에 따라 그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셋째, 영재<strong>판별</strong>의 절차와<br />

방법은 영재를 위하여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의 목표와 성격, 또는 영재교육의 제<br />

도적 운영 방법의 여하에 따라 달라야 한다. 넷째, 영재의 <strong>판별</strong>은 <strong>판별</strong>에 이용될 수<br />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다변적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야 할 것<br />

이다. 다섯째,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과정은 어떠한 형태의 영재 교육을 계획하든지 간에 다<br />

양한 <strong>판별</strong> 도구를 이용하여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br />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다양한 <strong>판별</strong> 도구와 방법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br />

활용하는 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br />

또한 조석희는 영재<strong>판별</strong>의 원칙을 다음과 같은 8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영<br />

재성은 다양한 영역과 상황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검사 방법과 도구를<br />

활용해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째, 영재가 가진 여러 특성들을<br />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미리 계획된 다단계적인 평가를 통해서 하는 방법이<br />

바람직하다. 셋째,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는 활동은 일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단<br />

히 지속적으로 계속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의 연령, 신체적. 정신적 특성에 따라 적<br />

합한 방법과 검사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가급적이면 조기에 발견하어 적절<br />

한 교육을 받도록 한다. 여섯째, 충분히 수준 높은 검사를 사용한다. 일곱째, 나이에<br />

따라 <strong>판별</strong>의 초점이 달라져야 한다. 즉, 영재 교육 대상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영재<br />

의 <strong>판별</strong>은 타고난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영재<br />

의 <strong>판별</strong>은 각 분야별 특수 재능의 우수한 정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야 할 것<br />

이다. 여덟째, 영재 <strong>판별</strong> 검사 점수의 활용이 타당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br />

것이다.<br />

그러므로,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재아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br />

하고, 여러 단계에 걸쳐 선별하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또한 대상에 따라<br />

적합한 선별 방법을 사용하며, 다양한 검사 도구를 활용, 연령에 따라 선별 준거가<br />

달라야 하며, 가급적 조기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br />

2.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방법 및 도구<br />

- 10 -


영재아를 <strong>판별</strong>하기 위한 도구개발을 위한 노력은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 의<br />

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렌줄리는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는 평정 도구로 영재의 행동 특성<br />

평정 척도를 개발하였는데, 이 척도는 학습특성, 동기 특성, 창의성 특성, 지도성 특<br />

성의 4개 영역에 대해 교사가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br />

또한 미국의 페어펙스 카운티 교육청이 사용하는 다차원 <strong>판별</strong> 도구가 있는데, 이<br />

다차원적 <strong>판별</strong> 도구에서는 학습, 동기, 창의성, 지도성 특성, 의사 전달, 공간 및 추<br />

상적 사고와 환경적 적응 등 8개 영역에서 나타낼 수 있는 행동 특성을 각 영역별<br />

로 10문항씩 구성하고 있다.<br />

김진희는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기 위해 크게 지적, 정의적, 심리적 차원의 세 차원으로<br />

나누어, 지적 차원에는 언어, 수리, 공간지각, 탐구 등의 요인을, 정의적 차원에는<br />

창의력, 지도력 등의 요인을, 심미적 차원에는 예능, 체능의 요인을 포함한 총 85개<br />

문항을 포함한 다차원 척도를 개발하였다.<br />

이러한 여러 가지의 영재 <strong>판별</strong> 자료들을 종합해 볼 때,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할 때에는 엄<br />

격한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원칙을 세워 선별, <strong>판별</strong>, 정치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때 <strong>판별</strong><br />

방법으로서는 표준화된 검사의 방법(지능 검사, 적성 검사, 창의성 검사, 학력 검사,<br />

흥미 검사, 성격 검사)과 교사, 학부모, 주변 친구들에 의한 관찰이나 추천에 의한<br />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이러한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도<br />

구에 대해서 하나씩 살펴보기로 한다.<br />

1) <strong>판별</strong> 도구의 종류<br />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나 도구는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br />

것들이 있다.<br />

1 지적, 정의적, 조작적 능력과 태도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표준화된 검사<br />

- 지능 검사 : 집단 지능 검사, 개인 지능 검사<br />

- 교과별 학업 성취도 검사<br />

- 교과별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br />

- 기타 : 성취동기 검사, 창의성 검사, 흥미 검사, 자아 개념 검사, 적성 검<br />

사, 사회성 검사, 인성 검사 등<br />

2 학업 성적<br />

3 교사, 학부모, 동료의 관찰과 지명<br />

4 행동 특성 조사지<br />

5 학교/학교 이외의 상황에서 나타난 영재성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행동이나<br />

산출물<br />

- 11 -


6 학생의 자기 보고서 : 자아 개념, 흥미,<br />

에 대한 자기 보고서<br />

7 교사의 보고서<br />

가치, 학교 내. 외에서의 활동과 성취<br />

2) 각 검사 방법과 도구의 특징<br />

영재 <strong>판별</strong>에 사용될 수 있는 검사 방법과 도구들은 각각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br />

있다. 이러한 특징을 잘 이해해야, 그것들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br />

검사 방법과 도구가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br />

1 지능 검사<br />

집단 지능 검사는 사용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해석이 용이하고, 한꺼번에<br />

많은 학생들을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인다.<br />

그러나 집단 지능 검사는 고차적, 종합적인 고등 사고 능력과 조작 능력, 감각<br />

운동 능력의 측정이 어려우며,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능력이<br />

뛰어난 학생의 능력을 정확히 변별하는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 글의 이해력이<br />

낮은 아동들에게도 실시가 곤란하다.<br />

개인 지능검사는 고차적, 종합적인 고등 사고 능력과 조작 능력, 감각 운동 능력<br />

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집단 지능 검사보다 지능을 더욱 종합적이고 정확하게<br />

측정할 수 있다. 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집단 지능 검사보다 개인 지능 검사를 실<br />

시하여 지능을 측정한다. 개인용 지능 검사는 검사 요원과 피험자가 일대일로 검사<br />

를 실시하기 때문에 글을 읽지 못하는 어린 아동들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br />

그러나 한번에 한 명의 검사 요원이 한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기 때문<br />

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집단 지능 검사와 마찬가지로, 개<br />

인 지능 검사도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능력이 뛰어난 학생<br />

또는 고학년 학생의 능력을 정확히 변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br />

집단용 지능 검사와 개인용 지능 검사 점수 간에 커다란 차이가 있을 수도 있는<br />

데, 이런 경우는 개인용 지능 검사 점수를 보다 우선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r />

개인 지능 검사가 측정하는 영역이 더욱 광범위하며, 종합적이다.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할<br />

때, 집단 지능 검사보다 개인 지능 검사를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나, 비용,<br />

시간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집단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지능 지수가 일정 점수 이<br />

상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인 지능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도 있다.<br />

2 학업 성적<br />

학업 성적은 교과 영역별 지식, 사고력, 성취 수준을 알려준다. 영재 중에는 해당<br />

- 12 -


교과 학습 영역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에서<br />

의 학업 성적이 지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은 학업 성적만으로 영재를 정확하게 <strong>판별</strong><br />

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br />

- 시험의 문항이 고차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기보다 암<br />

기력이나 암기된 지식, 원리, 개념을 단순하게 적용해서 푸는 낮은 수준의 사고<br />

력,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br />

-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쉬운 문항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영재를 변별하기<br />

에는 부적합하다.<br />

- 영재 중에는 교사의 수업 방법, 학교의 획일적이고 억압적인 분위기, 흥미가<br />

없는 수업 내용 등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흥미를 잃은 학생들도 있다. 또 신경 생리<br />

학적인 결함(난독증, 운동 기능 결함 등)으로 인해 학습 부진이 누적된 학생들도 있<br />

다. 이런 학생들은 영재성을 지녔어도 학업 성적은 부진하여, 발굴되기 어렵다.<br />

페나토와 버치는 B학점 이상의 학생을 선정하였을 때, 영재로 <strong>판별</strong>된 학생의<br />

73.6%가 이 속에 포함되고, 26.4%는 제외되었음을 밝혔다. A 학점 이상으로 기준을<br />

잡는다면, 영재성을 지닌 학생이 제외될 확률은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다.<br />

3 교사, 학부모, 동료의 지명<br />

학생에 대한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 학생이 영재인가 아닌가를 주관적으로<br />

판단하여 지명하는 방법이다. 교사의 지명은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해 온 방법이며,<br />

현재는 그 중요성이 커져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교사의<br />

지명은 50% 정도의 정확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예. 체능 분야에서의 교<br />

사 지명의 정확도는 더욱 떨어진다(10% 정도). 교사가 영재 학생을 잘못 <strong>판별</strong>하는<br />

이유는 공부를 잘하고, 모범적이고, 말을 잘 듣는 학생들을 영재로 <strong>판별</strong>하는 경향이<br />

강하기 때문이다.<br />

학부모는 완전한 객관적인 관찰자가 될 수 없고, 동일한 연령 집단에서 어떤 행<br />

동 수준이나 유형이 영재성을 보이는지에 관한 전문적 지식이 없다는 점이 있으나,<br />

학부모의 지명은 학교 이외의 상황에서 나타난 영재성을 알려주는 좋은 정보원이<br />

된다. 특히 연령이 어린 학생들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br />

동료들은 교사, 학부모가 미처 관찰하지 못한 행동 특성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br />

나 동료들은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을 영재로 지명하는 경향이 많으며, 이는 어릴수<br />

록 더 그렇다. 동료의 지명이 타당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세 이상이 되어<br />

야 한다.<br />

4 행동 특성 검사지<br />

행동 특성 검사지는 교사, 학부모, 동료가 할 수 있다. 조사자마다 판단의 기준이<br />

- 13 -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것만을 가지고 영재성을 규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행<br />

동 특성 조사지는 과제 집착력, 관심 영역 및 동기 정도, 학습 태도 등의 인성적 특<br />

성, 행동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필요하다.<br />

5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br />

창의적 문제 해결력은 낯선 문제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알고 있는 지식, 원리,<br />

문제 해결 방법을 새롭게 재조직,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이나 원리, 문제 해결 방<br />

법을 창안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창의적 문제 해<br />

결력은 문제 해결의 과정에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가 함께 작용하여 문제를 해<br />

결하는 능력이다.<br />

기존의 창의성 검사는 교과 독립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 많았으나, 한국교육개발<br />

원에서 연구 개발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는 교과 영역에서의 창의적 문제<br />

해결력을 의미한다. 이 검사에서는 해당 영역에서의 지식과 논리력, 비판력, 상상력,<br />

창의력 등의 고등 사고 능력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한다.<br />

최근에는 영재의 <strong>판별</strong> 과정에 있어, 창의적 능력의 평가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br />

는 ‘새롭고 유용한 것의 발견/발명’은 영재성을 판단하는 주요한 준거가 되기 때문<br />

이다.<br />

1950년대 초까지는 지능 검사에서 우수한 사람(상위 1%이내)이 영재로 인식되었<br />

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에 의해 창의성은 <strong>영재성의</strong> 중요한 요인임이 주장되었다.<br />

타넨바움은 창의성을 영재성과 동의어로 간주하였으며, 렌줄리는 평균 이상의 일반<br />

지적 능력, 창의력, 과제 집착력을 <strong>영재성의</strong> 구성 요인으로 보았다. 토랜스<br />

(Torrance)는 웩슬러 개인 지능 검사(WISC)에 의해서 측정했을 때, 창의적 능력의<br />

상위 20%에 속하는 아동들의 70%를 제외하게 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br />

창의성, 창의적 능력은 지능과는 또 다른 별개의 사고 능력이다. 지능과 창의성<br />

은 r=.2-.3 정도의 상관을 갖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br />

평균 이상의 지능이 필요하지만,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가진 학생들에 있어서는 창의<br />

성 정도가 문제 해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연구 결과이다.<br />

현재까지 창의성의 <strong>개념과</strong> 구성 요인, 측정 방법이 명확히 정의되고 여러 가지<br />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창의성은 고등 사고 능력과 영재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br />

인으로 간주되고 있다.<br />

6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검사<br />

학교 학업 성적은 학교 안에서의 성취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다른 학교 학생과의<br />

비교는 할 수 없다.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검사는 해당 교과 영역에서 다른 학교<br />

학생과의 실력 비교를 가능하게 해준다.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검사는 일반 학생들<br />

- 14 -


을 대상으로 만들어진다.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검사를 사용하여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는<br />

방법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해당 연령 수준에서 몇 % 이내의 성취를 하였는가를<br />

확인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중 우수한 성취를 보인 학생들을 선별하여 다시<br />

사위 연령 수준의 학업 성취도 검사를 받게 하는 것이다. SMPY에서는 이러한 방<br />

법을 사용하여 수학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였다.<br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표준화된 학업 성취도 검사가 없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br />

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표준화된 학업 성취 검사 도구가 있는데, 성적 향상도 및<br />

측정 계열화 검사(STEP), 대학 입학시험 관리국(CEEB)의 검사, 중등학교 및 대학<br />

수학 능력 검사(SCAT), 캘리포니아 학업 성취 검사(CAT: California Achievement<br />

Test) 등은 이러한 예이다.<br />

7 적성검사<br />

적성은 주로 학습에 영향을 받지 않은 특정 영역에서의 타고난 능력을 말한다.<br />

국내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이 1995년도 개발한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학생<br />

까지를 대상으로 과학, 수학, 언어, 사무, 공간, 기계 분야의 적성을 측정하고자 개<br />

발된 검사가 가장 최근에 개발된 검사이다. 이 외의 국내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검<br />

사들은 1960년대 개발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규준이 너무 오래 되었거나, 아주 기<br />

초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아주 어린 아이들의 적성을 측정하는<br />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br />

외국에서 개발된 적성검사 중에는 예비 학문 적성 검사(PSAT), 학문 적성 검사<br />

(SAT-언어력, 수리력), GRE 검사 등이 있어서 학문적인 적성을 측정할 수 있다.<br />

영재들의 경우에는 일반 지능이 높기 때문에 대체로 모든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br />

얻어서 모든 분야에서 적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영재들<br />

을 위한 적성검사는 그 검사의 문항의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워야 영재 아동의 적성<br />

분야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많은 적성 검사<br />

들의 문항은 대체로 쉽다. 따라서, 상급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적성검사를 실시<br />

하여야 더 정확하게 영재들의 적성분야를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br />

8 학교/학교 이외의 상황에서 나타난 영재성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행동이나<br />

산출물<br />

학교/학교 이외의 상황에서 나타난 영재성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행동이나 산출<br />

물은 영재성은 있으나 학업 성적이 부진한 학생의 영재성을 확인하여 준다. 예를<br />

들면, 학업 성적은 부진하나 혼자서 하는 컴퓨터나 문학, 철학적 사고, 작곡, 공예<br />

활동 등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br />

영역에서 뛰어난 아이디어나 산출물을 보이기도 한다.<br />

- 15 -


- 학교 상황 : 수업 중에 나타나는 아이디어와 과제의 수준과 질, 여러 가지 교<br />

내 경시/경연 대회, 발명품 전시회 입상 성적, 특별 활동에서의 활동과 산출물 등.<br />

- 학교 이외의 상황 : 외부 경시/경연 대회나 전람회 입상 성적, 외부 영재 교육<br />

관련 활동 참가 경력(수학, 과학 영재 여름 캠프 참여 등), 집이나 사회에서 개인적<br />

으로 수행하는 활동/산출물의 질 등.<br />

9 학생의 자기 보고서<br />

자기 보고서는 자아 개념, 흥미, 가치, 학교 내. 외에서의 활동과 성취 등에 대한<br />

자기 설명서이다. 자기 보고서는 교사, 학부모, 동료들이 파악하기 어려운 학생의<br />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자기 보고서에 들어갈 내용은 학생이 정하거나, 학<br />

교가 정한다. 일반적으로 자기 보고서에 들어가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

- 자신의 능력에 대한 생각<br />

-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br />

- 흥미/관심 분야, 현재 흥미/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br />

- 이제까지의 업적 중 소개, 자랑하고 싶은 것<br />

- 미래의 계획, 앞으로 하고 싶은 것/해결하고 싶은 문제<br />

10 교사의 보고서<br />

교사의 보고서는 위에서 제시된 여러 가지 검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교사가 작<br />

성하는 기록이다. 여러 가지 검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고, 교사의 판단을 기록한<br />

다. 영재성이 나타나는 영역과 영역 안에서의 구체적인 하위 영역이나 활동을 기입<br />

한다. 상대적인 능력 %를 추정하여 제시하면 더욱 좋다. 교사의 보고서는 조기 진<br />

급, 졸업 결정 등의 최종 판단을 위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br />

3)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절차<br />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절차는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실시하는 학교와 나라, 그리고 각 영<br />

역별 <strong>영재아의</strong> <strong>판별</strong>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재 <strong>판별</strong><br />

의 절차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단계적인 절차를 따라서 하는 것이고,<br />

다른 하나는 여러 가지 검사를 실시한 다음, 이를 종합하여 각 검사간의 비중을<br />

고려한 다음, 일회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br />

우선 Fox는 영재 선별 절차를 3단계로 제시하고 있는데, 제 1 단계는 선별의 단<br />

계로서, 담임교사가 중심이 되어 지능 지수, 학업성취도, 특수능력검사, 학부모와 동<br />

료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선정하게 된다. 제 2 단계는 변별 및 <strong>판별</strong>의 단<br />

계로서, 전문가와 교육학자, 심리학자 등이 중심이 되어 1차 선별된 학생들에게 개<br />

인 지능 검사, 창의성 검사, 학문 적성 검사, 표준화 성취 검사 등의 제반 평가 활<br />

- 16 -


동을 실시하여 영역별로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한다. 제 3 단계는 정치( 定 置 ) 단계로서 1, 2차<br />

단계를 통해 영재아로 선발된 학생들을 영역별 영재 프로그램에 정치하고, 학습 과<br />

정과 결과를 관찰하게 된다.<br />

렌줄리는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절차를 크게 2단계로 제시하고 있는데, 첫째, 제 1 차 판<br />

별의 단계로서 전체 학생 중의 15-20%를 선정한다. 대상 학생의 1/2은 표준화 검사<br />

에서 92% 이상의 성취를 보인 학생을 선정한다. 나머지 1/2은 교사의 추천에 의해<br />

서 선정된 학생들의 대부분과 자신이 영재라고 추천한 학생, 그리고 지난해에 담당<br />

교사가 추천한 학생들 중 <strong>판별</strong> 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학생들로 선정한다. 둘째, 제<br />

2 차 <strong>판별</strong>의 단계에서는 1부 심화 학습 활동과 2부 심화 학습 활동에 참여한 후,<br />

학생 스스로 자신의 영재성을 판정한다. 2부 심화학습 활동을 마친 후, 삼부 심화<br />

학습에 더 참여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은 더 높은 수준의 심화활동에 참여할 수 있<br />

다. 대체로 전체 학생의 5% 정도가 3 부 심화학습까지 참여한다.<br />

이 방법은 <strong>판별</strong>의 모든 부분을 교사가 결정하지 않고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 특<br />

성과 수준에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준다는 점이<br />

특별하다.<br />

한편, 조석희는 영재아를 <strong>판별</strong>하기 위해서 우선, 제 1 단계에서는 학교에서의 학<br />

업 성취에 대한 누가 기록 및 관찰 내용에 의해서 추천해야 할 것이며, 제 2 단계<br />

에서는 표준화된 지능검사, 적성검사, 흥미검사, 창의성검사, 학업 성취 검사 실시하<br />

여야 하며, 제 3 단계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문제 해결 과정의 관찰 평가를, 제 4 단<br />

계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에의 배치 및 관찰해야 한다고 하였다.<br />

클라크는 영재의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한 다차원적 선별<br />

을 실시한다. 주로 교사, 교장, 심리학자, 부모, 친구, 자기 자신의 의견, 학생 능력에<br />

대한 교사의 보고서, 가족 생활사와 학생 가정 배경에 관한 정보, 친구들 간의 선<br />

별, 학생들의 흥미 조사, 학생의 학업 수행과 학업성적, 집단 학업 성취검사나 지능<br />

검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검사결과 등과 같은 자료를 이용한다. 그런 다음, 영재 선별<br />

위원회 결성하여 여러 가지 선별자료와 부모면접, 검사 프로토콜 등을 통하여 영재<br />

를 <strong>판별</strong>하여야 하며, 영재<strong>판별</strong>위원회 개최하고, 영재를 확인 결정하여, 정치활동을<br />

하여야 하며, 영재프로그램 투입, 여러 사례 연구 자료와 프로그램 기능 평가를 실<br />

시하여, 개별 교육계획안 평가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장 적합한 영재교육프로<br />

그램을 확정하여야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br />

따라서 대체적으로 영재성을 <strong>판별</strong>하기 위해서는 이미 습득된 지식보다는 습득<br />

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자료를 조작하는 능력에 초<br />

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 단계의 평가보다는 다 단계 선발 절차를 사용하는<br />

- 17 -


것이 좋으며, 한 가지 준거와 방법보다는 다양한 준거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br />

람직하다. 지필검사보다는 산출물과 수행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찰, 평가하는 것이<br />

좋으며, 검사에만 그치지 않고 교육장면에서의 태도와 능력을 관찰, 평가해야 하며,<br />

능력뿐만 아니라 성격적인 특성까지 평가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br />

4) 최근의 영재 <strong>판별</strong>의 경향<br />

과거에는 한두 가지의 엄격한 테스트를 실시하여 영재를 <strong>판별</strong>하려고 하였으나,<br />

최근 학생들은 특정 과목에서 특정 변인에 따라 달리 반응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br />

나옴에 따라 다양한 장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졌다.<br />

특히 최근 가드너와 렌줄리가 수행 평가와 산출물을 바탕으로 한 평가를 하면서 전<br />

통적인 평가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더욱 제기되었다. 독일 뮌헨 대학의 심<br />

리학과 교수인 헬러는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학생의 경시 대회 성적, 그 분야에서의<br />

학업 성적, 교사의 관찰 결과, 그 분야의 작품 또는 연구물이 가장 유력한 설명 변<br />

인이 된다고 하였다. 캘러한은 21세기를 대비하는 영재 <strong>판별</strong> 원칙을 다음과 같이<br />

제시하였다: <strong>판별</strong>의 기준을 단일 기준에서 복합 기준으로; 수집하는 정보의 종류를<br />

단일한 것에서 다양한 종류로; 평가의 대상을 사고 과정이나 기본적인 능력으로부<br />

터 행동(산출물)으로.<br />

최근 선진 외국에서의 영재성 <strong>판별</strong> 경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br />

- 이미 습득된 지식보다는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중점을 둔다.<br />

- 새로운 자료를 조작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다.<br />

- 한 단계의 평가보다는 다단계 선발 절차를 사용하는 경향이 많아졌다.<br />

- 한 가지 준거와 방법보다는 다양한 준거와 방법을 활용하는 경향이 증가하였다.<br />

- 지필 검사보다는 산출물과 수행 과정을 직접적으로 관찰, 평가하는 경향이 증가<br />

하였다.<br />

- 검사에만 그치지 않고, 교육 장면에서의 태도와 능력을 관찰, 평가하는 경향이 증<br />

가하였다.<br />

- 능력뿐만 아니라 성격적인 특성까지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경향이 증가하였다.<br />

영재 <strong>판별</strong>이 실패할 가능성은 항시 존재한다. 즉 영재가 아닌 학생이 영재로 판<br />

별되고, 영재가 영재로 <strong>판별</strong>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br />

- 검사라는 것은 고도로 구조화된 검사 상황에서의 비교적 짧고 제한된 능력 측<br />

면만을 나타내어 준다. 영재가 가진 우수성은 검사 상황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 나<br />

타날 수 있다.<br />

- 교사, 학부모, 일반 사람들의 영재성에 대한 정형화된 기대가 미성취 영재를<br />

- 18 -


간과하게 만든다. 교사의 관찰, 지명에서도 공부를 잘하고, 모범적 행동을 보이는<br />

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받기 쉬운데, 이러한 행동을 보이지 않는 영재도 있다.<br />

- 신체적/신경적 결함, 학교의 수업 내용이나 수업 방식에 대한 흥미 결여 또는<br />

불만으로 인해 공부를 잘못하는 미성취 영재(GLD -Gifted Learning Disabled)가 있<br />

다. 예를 들면, 신경상의 문제로 인해 난독증이 있는 학생들은 학습 부진이 되기 쉬<br />

운데, 이러한 학생들 중 수학, 예술과 같은 일부 영역에서 뛰어난 능력을 지니는 사<br />

례가 있다.<br />

- 19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