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9.2015 Views

초․중등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평가

초․중등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평가

초․중등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평가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초․중등</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 <strong>활성화를</strong> <strong>위한</strong> <strong>정책과</strong> <strong>평가</strong><br />

이 화 국(한국싸이버대학교)<br />

1. 들어가는 말<br />

학교, 교육청과 같은 조직이나 국가적 차원에서의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정책<br />

사업 계획을 합리적으로 수립하고, 이 계획을 집행한 후 그 실적을 <strong>평가</strong>하여 정책<br />

과 사업의 개선을 <strong>위한</strong> 방향과 방안을 마련한 다음 이를 향 후 정책 수립에 반영하<br />

는 것은 <strong>과학교육</strong> 발전의 필수적 절차이며 과정이다. 특히 국가적인 수준에서 시행<br />

되는 <strong>과학교육</strong> 진흥 사업의 경우 그 영향력이 지대하기 때문에 그 사업의 성과는<br />

더욱 철저히 분석 및 <strong>평가</strong>되어야 한다.<br />

교육인적자원부(이하 교육부라 함)는 <strong>초․중등</strong>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여건의 개선을 위<br />

해 2002년 11월에 「탐구실험 중심의 <strong>초․중등</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br />

각 시․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수행할 5개년 사업시행계획을 마련하였다. 교육부는 초․<br />

중등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strong>활성화를</strong> <strong>위한</strong> 사업과제로 실험실 현대화, <strong>과학교육</strong> 선도학교<br />

운영, 과학교실 지원, 과학반 및 과학동아리 지원 사업을 선정 하였으며, 이들 사업<br />

에 2003년부터 5년간 약 2,7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었다. 이 2,700억원 중 50%<br />

가량은 국고에서 지원하고 나머지 50%는 각 교육청이 대응 투자 형식으로 지원하<br />

게 되어 있었다. 2003-2005년까지 이들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은 계획대로 추진되<br />

었으나 2006년부터 교육부의 지원예산 지원의 차질로 사업 규모가 축소되는 사태<br />

가 발생되었다.<br />

한편 교육부는 교육청과 공동 추진한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과 함께 서울대학교<br />

와 한국교원대학교를 중등 및 초등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 전담기관으로 지정하여 이들 연<br />

구기관으로 하여금 과학탐구수업 자료 개발, 과학교실 및 과학동아리 운영 프로그<br />

램 개발, <strong>초․중등</strong>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 <strong>평가</strong>, 기타 <strong>과학교육</strong> 진흥에 필요한 과<br />

제들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strong>초․중등</strong>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과는 달리 각 연구소<br />

에 매년 약 7-8억원이 지원된 이들 연구개발 사업의 사업비는 5년간 차질 없이 계<br />

속 지원되어 현재 5년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br />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의 2003년도 사업 결과에 대해 교육부의 공식적인<br />

<strong>평가</strong>를 필자가 연구책임 하에 한 차례 실시되었으며, 현재 5개년 사업의 전반적인<br />

<strong>과학교육</strong>활성화 사업<strong>평가</strong> 연구가 수행되고 있어 조만간 이 사업의 구체적 성과가


들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교육부와 교육청이 공동으로 추진한 「탐구<br />

실험 중심의 <strong>초․중등</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과 서울대학교 및 한국교원대학교 과<br />

학교육연구소가 주관한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연구 사업의 관한 정책의 구체적인 <strong>평가</strong>는<br />

하지 아니할 것이다. 그 대신 이 정책을 우리나라 <strong>과학교육</strong>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br />

과제에 비추어 검토하고 이들 사업의 실적 소개와 개괄적인 <strong>평가</strong>의견을 개진하고자<br />

한다.<br />

우리나라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황에 대한 검토는 1999년 한국<strong>과학교육</strong>단체총연합회의<br />

주관 하에 필자가 연구책임자로 참여하여 개발한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을 활용할 것이<br />

다. 이 국가기준에 비추어 우리나라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적으로<br />

확인하고 「탐구실험 중심의 <strong>초․중등</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정책을 이들 문제점과<br />

개선과제에 연관시켜 검토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접근은 국가적 차원의 <strong>과학교육</strong> 정<br />

책과 사업의 <strong>평가</strong>를 <strong>과학교육</strong> 시스템 분석과 이 시스템 구성요소의 바람직한 상태<br />

에 관한 기준과 현 <strong>과학교육</strong> 실태와의 비교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br />

<strong>과학교육</strong>기준은 국가적 수준에서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바람직한 상태에 관한 과학<br />

교육계의 의견을 종합한 것으로, 이는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정책수립에서 일선학교의 과학수<br />

업 지도에 이르는 모든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동의 기본적인 <strong>평가</strong> 준거로도 활용될 수<br />

있다. 이제부터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의 구조와 내용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이 기준<br />

을 활용하여 현행 <strong>과학교육</strong> 실태와 주요 개선 과제를 확인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br />

「탐구실험 중심의 <strong>초․중등</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정책의 성격과 실적을 <strong>평가</strong>하고<br />

자 한다.<br />

2.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과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황<br />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은 바람직한 학교 과<br />

학교육에 대한 <strong>과학교육</strong>계의 합의적 선언으로 여기에는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지향, 교육과정,<br />

수업, 교원, 교육환경, <strong>평가</strong>, 지원체제를 계획, 집행, 점검 및 <strong>평가</strong>에 대한 준거와<br />

기준이 제시되어있다.<br />

이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에는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이 다음 [그림 1]과 같이 하위체제의<br />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체제(system)로 설정되어 있다. <strong>과학교육</strong>시스<br />

템은 교육의 지향, 교육과정, 수업, 교원, 교육환경, 교육<strong>평가</strong>, 지원체제라는 7개의<br />

요소(하위체제)로 구분되며, 이들 하위요소들은 상호 영향을 끼친다.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이<br />

러한 체제적 특성 때문에 성공적인 <strong>과학교육</strong>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모<br />

든 하위체제가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한다.<br />

만일 과학 교육과정, 교원, 수업과 같은 하위체제 중의 하나가 부실하면 전체 학


교 <strong>과학교육</strong> 시스템이 부실해진다. 그리고 부실한 특정 하위체제의 개선 없이 다른<br />

하위체제들을 개선함으로써 우수한 <strong>과학교육</strong>을 보장할 수가 없다. 즉, 하위체제의<br />

개선은 상위체제 개선의 필요조건이기는 하나 충분조건은 되지 못한다. 따라서 과<br />

학교육의 실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strong>과학교육</strong> 하위 체제들을<br />

확인하여 이들을 먼저 개선하면서 다른 하위 체제를 함께 개선해나가는 정책의 수<br />

립과 실천이 필요하다.<br />

<br />

교육의 지향 <br />

<br />

<br />

<br />

지원체제 교육과정 교육<strong>평가</strong> <br />

[교육내용] <br />

<br />

<br />

교 원 수 업 교육환경 <br />

<br />

<br />

<br />

[그림 1]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에서의 <strong>과학교육</strong> 체제의 구조<br />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 7개의 각 하위체제를 <strong>과학교육</strong> 영역이라 하였으며, 이들 각<br />

영역에는 3~6개의 기준항목이 포함되어 있고 각 기준항목은 몇 개씩의 세부 기준<br />

항목으로 세분되어 있다. 이 세부 기준항목은 대부분 “ooo한다”는 형태로 작성되어<br />

있고 소속 기준항목의 바람직한 상태를 제시해준다. 따라서 이 기준항목과 세부기<br />

준 항목은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 상태를 점검하고 현행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문제점을 확인하는데<br />

활용 가능하며, 아울러 이 문제점 개선의 과제 및 방향을 시사해주기도 한다.<br />

여기에서는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황을 국가기준을 바탕으로 진단해보고, 이를 기<br />

준항목과 <strong>과학교육</strong> 시스템의 요소 즉,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지향, 과학 교육과정, 수업, 교원,<br />

교육환경,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지원 및 <strong>평가</strong> 영역별로 종합해본다. 현황진단은 주관적인 판단<br />

에 의해 각 영역, 영역별 세부기준을 양호(O), 보통(=), 미흡(X)으로 구분하고 이를<br />

종합하여 기준항목의 현황으로 정리하고, 다시 기준항목의 <strong>평가</strong> 결과를 종합하여 영<br />

역별 현황으로 정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보다 심층적인 문제점 분석은 각<br />

세부기준, 기준, 영역의 기준에 비추어 미흡 또는 미진한 실태의 원인 및 이들 사이의<br />

관계를 규명하고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strong>평가</strong>자료 조사를 통해서 가능해진다. 다음은<br />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의 영역, 기준 및 세부기준별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황을 주관적으로 점검


한 결과이다.<br />

1)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지향(X)<br />

기준 1-1.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은 모든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해야한다.(X)<br />

1. 모든 학생에게 과학교과를 필수적으로 이수시킨다.(O)<br />

2. 과학의 지식, 기능, 태도 및 학습능력을 신장시킨다.(=)<br />

3. 과학적 탐구 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계발한다.(X)<br />

4. 자연과 과학의 본질을 이해시켜 합리적인 세계관을 갖게 한다.(X)<br />

5. 학생의 능력, 적성, 흥미, 진로에 적합한 과학을 학습시킨다.(X)<br />

기준 1-2.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은 과학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X)<br />

1. 과학과 관련된 기술 및 사회적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br />

(X)<br />

2. 개인생활과 사회 문제의 해결에 과학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는 시민을 양성한<br />

다.(X)<br />

3. 미래 산업인력 요원들에게 기초적 과학 지식, 기능 및 태도를 지도한다.(=)<br />

4. 과학에 적성이 있는 학생들을 <strong>과학교육</strong>과 연구 인력의 꿈나무로 육성한다.(=)<br />

기준 1-3.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는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되어<br />

야 한다.(X)<br />

1.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이상과 현실의 변화에 부합하도록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목적을 조정한다.<br />

(=)<br />

2. <strong>과학교육</strong> 목적에 적합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한다.(X)<br />

3. 과학교원, 과학 교수-학습 자료 및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꾸준히 개선한다.<br />

(=)<br />

4. 과학수업 체제의 향상에 연관된 지원체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한다.(X)<br />

5.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를 주기적으로 <strong>평가</strong>하여 그 결과를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 개선에 활용한<br />

다.(X)<br />

기준 1-4. 우리의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과 그 여건을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끌어올린다.(O)<br />

1) <strong>초․중등</strong> 학생의 과학성취도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한다.(O)<br />

2)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교과 선택비율이 OECD 회원국가의 평균 이상이 되도록


한다.(O)<br />

3) 과학교원의 사회경제적 처우를 OECD 회원국가의 평균 이상으로 유지한다.(O)<br />

4) 국민총생산 대비 공교육비의 비율을 6% 이상으로 확대한다(X).<br />

2) 과학 교육과정(=)<br />

기준 2-1. 과학 교육과정은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의 모든 구성 요소와 연계시켜 개발해<br />

야 한다(=).<br />

1. 국가의 교육 이념과 목적에 부합하는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목표를 설정한다(O).<br />

2. 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원의 여건을 충분히 고려한다(=).<br />

3. 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환경을 충분히 고려한다(=).<br />

4. 과학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성을 <strong>평가</strong>할 수 있는 방<br />

안을 수립한다(=).<br />

기준 2-2. 과학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과학, 교육 및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br />

구성해야한다(=).<br />

1. 과학 지식과 탐구 과정이 균형을 이루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한다(O).<br />

2. <strong>과학교육</strong> 내용에 과학의 본성을 반영한다(=).<br />

3. 기술, 사회 및 생활과 관련이 있는 교육내용과 소재를 활용한다(=).<br />

4. <strong>과학교육</strong> 내용을 학년에 따라 연계성이 있게 구성한다(=).<br />

5.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합당한 교육내용을 선정한다(=).<br />

6.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다(X).<br />

기준 2-3. 과학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주변의 자원과 자료를 충분히 활용해<br />

야 한다(X).<br />

1. 지역의 자연 환경을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자료로 활용한다(X).<br />

2.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인사들을 교육 자원으로 활용한다(X).<br />

3. 지역 사회의 기관․시설․문화유산을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로 활용한다(X).<br />

4. 신문․방송․인터넷 등의 정보를 교육 자료로 활용한다(=).<br />

기준 2-4. 과학 교육과정의 교과목은 교과의 내용 및 타교과목과 연계를 고려하<br />

여 편성해야한다(=)<br />

1. 과학 교과목은 현대 과학의 영역과 지식을 반영하여 구성한다(=).<br />

2. 과학 교과목은 고학년으로 올라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분화되도록 편성한다<br />

(=).<br />

3. 과학 교과목은 수학, 기술 등 다른 교과와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편성한다<br />

(=).


4. 과학 교과목은 학생들이 적성․능력․흥미․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편<br />

성한다(=).<br />

3) 과학수업(X)<br />

기준 3-1. 과학수업은 합리적인 장․단기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해야 한다(=).<br />

1. 종합적인 과학교과 계획을 수립한다(=).<br />

2. 체계적인 단원 학습지도 계획을 수립한다(=).<br />

3.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한다(=).<br />

4. 수업계획은 교원들 사이의 협력을 바탕으로 수립한다(X).<br />

기준 3-2. 과학수업을 <strong>위한</strong> 교재와 자료를 객관적인 준거와 합리적인 절차에<br />

따라 선정해야 한다(=).<br />

1.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목표 달성에 적합한 교재와 자료를 선정한다(=).<br />

2. 교수․학습에 효과가 큰 교재와 자료를 선정한다(=).<br />

3.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실생활과 밀접한 교재와 자료를 선정한다(X).<br />

4. 교재와 자료는 과학교원들의 합의와 공정한 절차에 따라 선정한다(=).<br />

기준 3-3.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X).<br />

1.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을 독려한다(X).<br />

2. 학생들의 자유로운 질문과 토의를 통해 수업이 이루어지게 한다(X).<br />

3. 학생들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 분위기를 조성한다(X).<br />

4. 학생들이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한다(X).<br />

기준 3-4. 과학수업은 다양하고 효과적인 수업방법을 활용해야 한다(X).<br />

1. 주제에 적절한 수업 모형을 선정한다(X).<br />

2. 과학교원은 실험의 주제에 적합한 실험 유형을 적용한다(=)<br />

3. 학생의 흥미․요구․지식․능력․경험에 적합한 소재를 활용한다(X).<br />

4. 견학․답사․과제학습․과학특별활동 등을 적절히 시행한다(X).<br />

4) 과학교원(X)<br />

기준 4-1. 과학교원은 과학에 관해 우수한 소양을 가져야 한다(=).<br />

1. 과학교원은 과학의 구조와 본질을 이해한다(X).<br />

2. 과학교원은 과학의 기본 개념을 충분히 이해한다(=).<br />

3. 과학교원은 과학적 탐구를 수행하는 능력이 있다(=).<br />

4. 과학교원은 자연과 과학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는다(=).<br />

5. 과학교원은 과학의 응용과 발달에 관심을 갖는다(=).


기준 4-2. 과학교원은 과학 교수-학습 이론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br />

가져야 한다(X).<br />

1. 과학교원은 과학의 교수-학습에 관한 풍부한 지식을 갖는다(X).<br />

2. 과학교원은 우수한 과학수업 계획을 수립한다(=).<br />

3. 과학교원은 실제 교수 상황에서 효과적인 교수법을 활용한다(X).<br />

4. 과학교원은 합리적인 교수-학습 <strong>평가</strong>를 실시한다(=).<br />

기준 4-3. 과학교원은 우수한 교원교육을 통하여 양성되어야 한다(X).<br />

1. 과학교원 양성기관은 우수한 학생의 유인 및 선발체제를 갖춘다(X).<br />

2. 과학교원 양성 프로그램은 <strong>과학교육</strong> 전문성 개발에 적합하도록 편성한다<br />

(X).<br />

3. 과학교원 양성기관은 <strong>과학교육</strong> 전공 교수를 충분히 확보한다(X).<br />

4. 과학교원 양성기관은 <strong>과학교육</strong> 시설과 기자재를 충분히 확보한다(=).<br />

기준 4-4. 과학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strong>위한</strong> 평생교육체제를 구축해야한다(X).<br />

1. 과학교원의 전문성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X).<br />

2. 과학교원의 수업의 <strong>평가</strong> 결과를 수업의 질 향상에 활용한다(X).<br />

3. 과학교원의 과학학습 지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수기회를<br />

제공한다(=).<br />

4. 과학교원은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해 꾸<br />

준히 노력한다(=).<br />

5. 과학교원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를 주기적으로 <strong>평가</strong>한다(X).<br />

5) <strong>과학교육</strong> 환경(O)<br />

기준 5-1. <strong>과학교육</strong>에 적합한 학교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O).<br />

1. 과학수업의 학급당 학생수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한다(=).<br />

2. 과학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에 필요한 과학 실험실을 확보한다(=).<br />

3. 과학학습용 모형, 표본 등의 보관 및 전시 장소를 마련한다(=).<br />

4. 학교 내에 과학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교재원을 조성한다(X).<br />

기준 5-2. 과학수업에 적합한 교실을 갖추어야 한다(O).<br />

1. 모든 교실에 과학 시범 실험에 필요한 시설과 설비를 갖춘다(=).<br />

2. 모든 교실에 멀티미디어 수업 시스템을 설치한다(=).<br />

3. 교실의 책걸상을 토론 수업과 분단 학습에 적합하도록 한다(=).<br />

4. 교실의 온도, 채광 등의 환경을 쾌적하게 한다(=).<br />

기준 5-3. 과학 실험 수업에 적합한 실험실을 갖추어야 한다(O).


1. 실험실의 형태와 크기를 각급 학교의 <strong>과학교육</strong>에 적합하도록 한다(=).<br />

2. 실험실에는 실험을 준비하고 실험기자재를 보관할 준비실을 구비한다(=).<br />

3. 실험실에 전기, 수도, 가스 및 안전 설비를 갖춘다(=).<br />

4. 실험실에 시청각 기기, 컴퓨터 등 교육공학 설비를 구비한다(=).<br />

기준 5-4. 각 학교는 과학실험에 적절한 실험 기자재를 구비해야 한다(O).<br />

1. 실험에 필요한 실험 기기와 기구를 충분히 확보한다(=).<br />

2. 시약, 생체 자료 등 실험 소모품이 적시에 충분히 공급되게 한다(=).<br />

3. 다양한 모형, 괘도, 표본, CD 타이틀 등 과학 실험 자료를 마련한다(=).<br />

기준 5-5. 효율적인 과학실험실 운영체제를 구축해야 한다(=).<br />

1. 실험 준비와 학생 실험을 보조할 조교를 확보한다(=).<br />

2. 과학 실험실습비의 편성과 집행에 과학교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다(=).<br />

3. 과학 실험 기자재의 효율적인 관리 체제를 확립한다(=).<br />

4. 과학 실험에 필요한 예산을 충분히 확보한다(=).<br />

6) <strong>과학교육</strong> <strong>평가</strong>(X)<br />

기준 6-1. 과학교원은 다양하고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합리적인 <strong>평가</strong>를 실시해<br />

야 한다(=).<br />

1. 학습<strong>평가</strong>는 진단<strong>평가</strong>, 형성<strong>평가</strong>, 총괄<strong>평가</strong>로 나누어 실시한다(=).<br />

2. 교원은 지필<strong>평가</strong>, 관찰<strong>평가</strong>, 실기<strong>평가</strong>를 적절하게 이용한다(=).<br />

3. 교원은 다양한 <strong>평가</strong>를 통해 종합적으로 과학 성취도를 판정한다(X).<br />

4. 과학교원에게 <strong>평가</strong>에 대한 최종 판단자로서의 권위를 부여한다(=).<br />

기준 6-2. 학습<strong>평가</strong> 결과를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 개선의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X).<br />

1. 학습<strong>평가</strong> 결과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통보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한다(=).<br />

2. 학습<strong>평가</strong> 결과를 교수방법의 개선과 교과내용의 수준 점검에 활용한다(X).<br />

3. 학습<strong>평가</strong> 결과를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활용한다(X).<br />

4. 학습<strong>평가</strong> 결과를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에 반영한다(X).<br />

기준 6-3. 국가 수준의 과학 학력 점검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br />

1. 국가 수준의 과학 학력<strong>평가</strong>를 수행할 상설 <strong>평가</strong>기구를 설치한다(=).<br />

2. 국가 수준에서 과학 학력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br />

3. 국가 수준의 과학 학력<strong>평가</strong>의 <strong>평가</strong>기준을 개발한다(=).<br />

4. 국가 수준의 과학 학력<strong>평가</strong> 결과를 교원과 사회에 공개한다(=).<br />

5. 국가 수준의 과학 학력<strong>평가</strong> 결과를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의 개선에 투입한다(X).<br />

기준 6-4. <strong>과학교육</strong> 지원 체제의 <strong>평가</strong>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X).


1. 과학수업의 효율성에 대한 <strong>평가</strong>체제를 확립한다(X).<br />

2. 과학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의 <strong>평가</strong>체제를 확립한다(X).<br />

3.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시설과 기자재의 <strong>평가</strong>체제를 확립한다(=).<br />

4. 과학교원 양성, 임용, 연수제도의 <strong>평가</strong>체제를 확립한다(=).<br />

5. <strong>과학교육</strong>의 <strong>정책과</strong> 행정의 <strong>평가</strong>체제를 확립한다(X).<br />

7) <strong>과학교육</strong> 지원체제(X)<br />

기준 7-1. 과학교원이 수업을 준비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추어야한다(O).<br />

1. 과학교원이 수업을 준비할 수 있는 적절한 시간을 허용한다(O).<br />

2. 과학교원의 수업 준비에 이용할 자료를 충분히 확보한다(O).<br />

3. 과학 교재의 개발과 제작을 <strong>위한</strong> 교육공학기기를 갖춘다(=).<br />

기준 7-2. <strong>과학교육</strong>을 <strong>위한</strong> 효과적인 장학․편수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br />

1. 장학사는 과학교원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의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br />

2.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양질의 교과용 도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br />

편수 체제가 구축되어 있다(=).<br />

3. 교육부, 시․도교육청 및 시․군․구 교육청의 유기적인 <strong>과학교육</strong> 장학 체제<br />

를 구축한다(=).<br />

4. 장학․편수 업무 담당자가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한다<br />

(X)<br />

기준 7-3. 우수한 과학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X).<br />

1. 교원의 처우를 개선하여 우수한 교원을 확보하기 <strong>위한</strong> 특별법이 제정되어<br />

있다(X).<br />

2. 교직에 대한 소명감과 자질을 갖춘 교원을 임용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br />

어 있다(=).<br />

3. 교원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을 <strong>평가</strong>할 <strong>평가</strong>인정체제를 구축한다(X).<br />

4. 교원의 수업, 작품, 연구 등의 활동을 <strong>평가</strong>하여 인사에 반영한다(=).<br />

기준 7-4.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개발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X).<br />

1.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와 개발을 <strong>위한</strong> 인력을 충분히 양성한다(=).<br />

2.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국가적․지역적 수준의 연구 기관을 운영한<br />

다(X).<br />

3.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비를 충분히 확보한다(X).<br />

기준 7-5.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을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br />

1. 정부 조직의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 담당부서가 활성화되어 있다(=).


2.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정책은 <strong>과학교육</strong> 전문가가 주도한다(=).<br />

3.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은 각계각층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친다(=).<br />

4. 수립된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은 반드시 시행한다(X).<br />

기준 7-6.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을 지원하는 사회적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X).<br />

1. 학생들이 자유롭게 견학하고 실습할 수 있는 과학관을 지역별로 설치한다<br />

(X).<br />

2. 과학과 관련이 있는 박물관, 연구소, 기업체, 정부기관 등은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br />

를 개발하여 학교에 보급한다(X).<br />

3. 학교 밖 <strong>과학교육</strong>을 지원할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X).<br />

4. 모든 기관과 단체는 교육목적으로 견학을 요구할 경우 이를 수용하는 특별<br />

법을 제정한다(X).<br />

5. <strong>과학교육</strong>을 지원하는 단체를 육성하고 기금을 충분히 확보한다(X).<br />

3.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문제점과 개선과제의 확인<br />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을 활용한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현황 진단 결과는 개인차가 있을 것이<br />

나 <strong>과학교육</strong> 전문가 사이의 편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특히 세부기준별 진단 결과<br />

보다 이를 통합한 기준항목별 진단 결과나 영역별 문제점 인식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br />

으로 본다. 국가기준에 비추어 진단한 현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실태 분석 결과 <strong>과학교육</strong>의 7개영<br />

역 중 교실, 실험실, 실험기자 등의 확보와 운영이 포함된 <strong>과학교육</strong> 환경 영역은 일부<br />

세부 기준에 미흡한 점이 있으나 종합적으로는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이<br />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6개영역에 대한 현 <strong>과학교육</strong> 체제의 주요 문제점을 종합하면<br />

다음과 같다.<br />

1)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지향<br />

*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이 학생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의 계발 및 자<br />

연과 과학의 본질을 이해를 통한 합리적인 세계관의 구축과 전인적 발달을 제대로 지원<br />

하지 못한다.<br />

* 학생의 능력, 적성, 흥미, 진로에 적합한 교육을 시키지 못한다.<br />

* 과학과 관련된 기술 및 사회적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 및 개인생활과<br />

사회 문제의 해결에 과학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는 능력 신장이 미흡하다.


2) 과학 교육과정<br />

* <strong>과학교육</strong> 목적에 적합한 교육과정과 수업의 설계, 과학수업 체제의 향상에 연관된<br />

지원체제의 지속적 강화가 미흡하다.<br />

*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를 주기적으로 <strong>평가</strong>하여 그 결과를 <strong>과학교육</strong>체제 개선에 활용하는 활<br />

동이 부진하다.<br />

3) 과학 수업<br />

* 지역의 자연 환경,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인사, 지역 사회의 기관․시설․문화유산<br />

을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로 잘 활용하지 못한다.<br />

*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 자유로운 질문과 토의, 비판적이고 창<br />

의적으로 사고가 활성화가 미흡하고, 능동적 참여가 부족하다.<br />

* 수업 모형이 획일적이고, 학생의 흥미․요구․지식․능력․경험에 적합한 소재가 널<br />

리 활용되지 못하며, 견학․답사․과제학습․과학특별활동 등이 부족하다.<br />

4) 과학 교원<br />

* 과학교원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 실제 교수 상황에서 효과적인 교수<br />

법을 활용 능력, 합리적인 교수-학습 <strong>평가</strong> 능력이 부족하다.<br />

* 과학교원 양성기관의 우수 학생 유인 및 선발체제가 미흡하고, 과학교원 양성<br />

프로그램이 <strong>과학교육</strong> 전문성 개발에 적합하지 못하다.<br />

* 과학교원 양성기관이 <strong>과학교육</strong> 전공 교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br />

* 과학교원의 전문성, 과학교원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가 주기적으로<br />

점검되지 못하고, 과학교원의 수업의 <strong>평가</strong> 결과가 수업의 질 향상에 활용되지 못한<br />

다.<br />

5) <strong>과학교육</strong> <strong>평가</strong><br />

* 학습<strong>평가</strong> 결과가 교수방법의 개선, 교과내용의 수준 점검, 교육 프로그램과 교<br />

육과정의 개선과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br />

* 과학수업의 효율성, 과학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strong>과학교육</strong>의 <strong>정책과</strong> 행정의<br />

<strong>평가</strong>체제를 확립되어 있지 않다.<br />

* 우수 교원 확보에 필요한 교원의 처우 특별법 제정과 교원 양성 및 연수 프로<br />

그램을 <strong>평가</strong>할 <strong>평가</strong>인정체제의 구축이 미비하다.


6) <strong>과학교육</strong> 지원체제<br />

*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국가적․지역적 수준의 연구 기관이 부족하고,<br />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비가 부족하다.<br />

* 학생들이 자유롭게 견학하고 실습할 수 있는 지역별 과학관, 학교 밖 과학교<br />

육을 지원할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 및 법적 제도가 미흡하다.<br />

* 과학과 관련이 있는 박물관, 연구소, 기업체, 정부기관 등의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자<br />

료 개발 및 지원이 미흡하다.<br />

* <strong>과학교육</strong>을 지원하는 단체의 육성과 기금의 확보가 미흡하다.<br />

한편 이상과 같은 현행 <strong>과학교육</strong>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및 확인 결과는 손쉽게<br />

<strong>과학교육</strong> 개선 방향과 방안 설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즉,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았다<br />

면 우선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개선 방향이 될 수 있다. [표 1]의 과학교원<br />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과제의 예시에서와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문제점의 진술을 조금만 수정<br />

하면 바로 개선과제와 개선 방향의 진술이 얻어진다.<br />

[표 1] <strong>과학교육</strong>의 문제점으로부터 작성된 개선과제의 예시<br />

과학교원 영역 문제점 종합<br />

* 과학교원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br />

지식, 실제 교수 상황에서 효과적인 교수법<br />

을 활용 능력, 합리적인 교수-학습 <strong>평가</strong><br />

능력이 부족하다.<br />

* 과학교원 양성기관의 우수 학생 유인<br />

및 선발체제가 미흡하고, 과학교원 양성 프<br />

로그램이 <strong>과학교육</strong> 전문성 개발에 적합하<br />

지 못하다.<br />

* 과학교원 양성기관이 <strong>과학교육</strong> 전공<br />

교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br />

* 과학교원의 전문성, 과학교원 교육 프<br />

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가 주기적으로 점<br />

검되지 못하고, 과학교원의 수업의 <strong>평가</strong> 결<br />

과가 수업의 질 향상에 활용되지 못한다.<br />

과학교원 영역의 개선과제<br />

* 과학교원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br />

지식, 실제 교수 상황에서 효과적인 교수<br />

법을 활용 능력, 합리적인 교수-학습 평<br />

가 능력을 신장시킨다.<br />

* 과학교원 양성기관의 우수 학생 유<br />

인 및 선발체제를 개선하고, 과학교원 양<br />

성 프로그램이 <strong>과학교육</strong> 전문성 개발에<br />

적합하도록 한다.<br />

* 과학교원 양성기관이 <strong>과학교육</strong> 전공<br />

교수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br />

* 과학교원의 전문성, 과학교원 교육<br />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를 주기적으로<br />

점검하고, 과학교원의 수업의 <strong>평가</strong> 결과<br />

가 수업의 질 향상에 적극 활용 한다<br />

3. <strong>과학교육</strong>의 활성화 사업의 성격과 실적<br />

2003-2007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5개년 사업은 <strong>과학교육</strong>진흥법 제6조 및 동법시행령 제


10조에 근거한 교육부와 과학기술부가 공동으로 2002년 12월에 수립한 「탐구실험 중<br />

심의 <strong>초․중등</strong><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계획」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이는 교육부-교육청의 협동<br />

사업으로 추진된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여건 개선 사업과 대학 연구소 중심의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br />

연구개발 사업으로 대별된다. 교육부가 과학기술부와 약 2,800억원에 달하는 사업 예산<br />

이 소요되는「탐구실험 중심의 <strong>초․중등</strong><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계획」을 마련하고 예산 당국의<br />

예산 지원을 약속받을 수 있었던 것은 이 당시부터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아니한 이․공계<br />

기피 현상을 해결해야 한다는 사회적 여론이 결정적으로 도움이 되었다.<br />

교육부-교육청의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은 교육부의 국비지원과 이 지원액에 해당하<br />

는 시․도교육청의 대응 투자지원금 2,700억원으로 계획되어 있었으며, 사업과제로는 과<br />

학실험실 현대화, <strong>과학교육</strong> 선도학교 운영, 과학교실 지원, 과학반 및 과학동아리 지원<br />

사업이 선정되었다. 이들 각 사업과제별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간의 사업계획과<br />

실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br />

1) 과학실험실 현대화 사업<br />

과학실험실 현대화 사업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2,200억원을<br />

투입하여 매년 1,200-1,800개의 과학실험실을 현대화하는 사업이다. 학교 과학교<br />

육 여건 개선 사업 전체 예산 2,692억 원 중 과학실험실 현대화 사업비가 82%를<br />

차지하므로 이 과제가 금번 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의 핵심과제임을 알 수 있<br />

다. 과학실험실 현대화 사업은 1실당 4,000만원씩을 지원하는 실험실 전면보수 사<br />

업과 1실당 2,000만원씩 지원하는 실험실 부분보수 사업으로 구분된다.<br />

2003-2006년의 실험실 현대화 사업 추진 실적은 [표 2]에서와 같이 5,818실로<br />

계획대비 95%의 실적을 달성하였다. 2003-2005년도까지의 실적이 초과 달성된<br />

것은 지방비의 추가 투입과 전면보수보다 부분보수 물량을 늘렸기 때문이다. 그러<br />

나 2006년도부터 국비 지원에 차질이 발생하여 2006년의 실적은 73%에 불과하고,<br />

이에 따라 4년간의 실적이 95%에 머무르게 되었다.<br />

[표 2] 과학실험실 현대화 사업 추진 실적<br />

사업 추진 실적<br />

사업 년도<br />

계획(실) 실적(실) 실적(%)<br />

2003 1,200 1.283 107<br />

2004 1,600 1,696 106<br />

2005 1,500 1,524 102<br />

2006 1,800 1,315 73<br />

합계 6,100 5,818 95


2) <strong>과학교육</strong> 선도학교 운영 사업<br />

지역의 <strong>과학교육</strong>을 선도할 거점학교를 구축하기 <strong>위한</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 선도학교 운영사<br />

업은 1개교 당 5년간 총 3억원을 지원하기<strong>위한</strong> 사업이었다. 2003년에서 2006년까<br />

지의 사업 실적은 [표 3]에서와 같이 185개교로 계획 대비 185%의 실적을 달성하<br />

였다.<br />

[표 3] <strong>과학교육</strong> 선도학교 사업 추진 실적<br />

사업 년도<br />

사업 추진 실적<br />

계획(교) 실적(교) 실적(%)<br />

2003 48 63 131<br />

2004 48 73 152<br />

2005 48 111 231<br />

2006 48 108 225<br />

합계 192 355 185<br />

3) 과학교실 운영 사업<br />

다양한 과학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력을 함양하고<br />

과학 체험활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1년간 1,000만원씩을 지원하여 1년간<br />

운영되는 과학교실 운영 사업의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사업 추진 실적은 [표<br />

4]에서와 같이 1,710개교로 계획 대비 86% 실적을 달성하였다.<br />

[표 4] 과학교실 운영 사업 추진 실적<br />

과학교실 운영 사업 추진 실적<br />

사업년도 계획(개) 실적(개) 실적(%)<br />

2003 500 515 103<br />

2004 500 403 81<br />

2005 500 431 86<br />

2006 500 361 72<br />

합계 2,000 1,710 86<br />

4) 과학반 및 과학동아리 지원 사업<br />

단위학교에서 과학에 흥미를 가진 학생들로 구성된 동아리 또는 과학반 활동을<br />

지원하여 과학적 탐구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1팀당 200만원씩 지원하여 1<br />

년간 운영되는 과학반 및 과학동아리 지원 사업의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추진<br />

실적은 [표 5]에서와 같이 2,088팀으로 계획 대비 104%의 실적을 달성하였다.<br />

이 밖에도 2006년에는 84개의 과학교사 연구모임 지원 사업이 추가로 시<br />

행되었다.


[표 5] 과학반 및 과학동아리 지원 사업 추진 실적<br />

사업 년도<br />

사업 추진 실적<br />

계획(팀) 실적(팀) 실적(%)<br />

2003 500 463 93<br />

2004 500 479 96<br />

2005 500 586 117<br />

2006 500 560 112<br />

합 계 2,000 2,088 104<br />

한편 교육부의 국고 지원으로만 수행된 대학연구소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 개발 사업 연<br />

구사업은 초등과 중등 <strong>과학교육</strong> 지정 연구기관으로 선정된 한국교원대학교와 서울<br />

대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 주관으로 수행되었다. 매년 각 연구소에 7-8억 원 정도의<br />

사업비로 수행되는 이 사업의 연도별 추진 실적은 [표 6]과 같다.<br />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 연구 개발 과제의 핵심은 대부분의 사업비가 투입된 초등 및 중등<br />

각 학년용 과학탐구 수업 지도자료 개발이었다. 한국교원대학교는 6학년 과학에서<br />

시작하여 년도별로 5, 4, 3,학년 및 1-2학년용 탐구 수업지도 자료를 개발하였으<br />

며, 서울대학교는 7학년(중학교 1학년)에서 시작하여, 8, 9, 10학년과 11-12학년<br />

용 탐구수업 지도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외에도 각 연구소별로 매년 4-5개의 학<br />

교 <strong>과학교육</strong> 활동 지원에 활용될 자료 개발 중심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br />

과제 중에는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의 <strong>평가</strong>연구와 두 연구소에서 개발한 자료의 활<br />

용을 촉진하기 <strong>위한</strong> 홈페이지 개발 및 운영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br />

2003년부터 2007년까지 개발된 과학탐구실험 지도 자료는 <strong>과학교육</strong>계가 지금까<br />

지 시도해온 다양한 수업자료 개발 사업에 비해 개발 규모가 크고, 개발 기간이 길<br />

었으며, 당연히 질적으로도 어떤 자료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자료의 양<br />

은 매우 방대하며, 각 교육청은 막대한 예산을 추가 투입하여 초등학교의 모든 해<br />

당학년 담임교사와 중등학교 해당학년 과학교사에게 인쇄도서와 CD자료를 공급하<br />

였다. 또한 한국교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에 모든 개발 자료를 활용<br />

하기 쉽게 탑재하고, 이들 자료에 대한 의견 교환을 가능하도록 홈페이지를 개발<br />

운영하고 있다,<br />

서울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연구개발 사업은 두 기관의 연구 사업을 조정 및 <strong>평가</strong>하<br />

기 위해 통합운영위원회를 두고, 각 기관에 기관운영위원회를 두어 수행하였다. 또한 서울<br />

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이외에도 다른 대학교와 현장 교사 및 대학원생들이 이들 연<br />

구 개발 사업에 두루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br />

보다 자세한 두 기관의 사업과제별 연구계획, 연구 추진 상황 및 연구 개발 결과는 두<br />

기관에서 개발한 홈페이지[http://inse.knue.ac.kr / http://serc.snu.ac.kr]를 참고하시기 바란<br />

다.


[표 6]<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개발 지원 사업 추진 실적<br />

연도 기관 사업 추진 실적(연구․개발 과제 수행)<br />

2003년<br />

(11)<br />

2004년<br />

(10)<br />

2005<br />

(12)<br />

한국교원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6)<br />

서울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5)<br />

한국교원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5)<br />

서울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5)<br />

한국교원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6)<br />

서울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6)<br />

초등 과학교구 목록 및 실험실 권장모델 개발<br />

초등 <strong>과학교육</strong> 교수-학습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br />

초등 과학교실 및 과학동아리 프로그램 개발<br />

2003 초ㆍ중등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 <strong>평가</strong><br />

지역단위 <strong>과학교육</strong> 협력체제 구축방안<br />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초등학교 6학년)<br />

고등학교용 과학교구 목록 및 실험실 권장모델 개발<br />

중등 <strong>과학교육</strong> 교수-학습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br />

중등 과학교실 및 과학동아리 프로그램 개발<br />

중등 과학교사 연수자료 4종(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개발<br />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개발 (중학교 1학년)<br />

초등 실험실 안전을 <strong>위한</strong> 지도자료 연구 개발<br />

초등 교실 안과 밖 탐구 활동 연계를 <strong>위한</strong> 과학탐방 지도자료 개발<br />

초등 과학교실 및 과학동아리 프로그램 개발<br />

초등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초등학교 5학년)개발<br />

초등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br />

중등 실험실 안전을 <strong>위한</strong> 지도자료 개발<br />

중등 교실 안과 밖의 탐구활동 연계를 <strong>위한</strong> 과학탐방 지도자료 개발<br />

중등 과학교실 및 과학동아리 프로그램 개발<br />

중1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br />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개발 (중학교 2학년)<br />

초등 4년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 개발<br />

초등 과학학습의 동기유발을 <strong>위한</strong> 교수-학습 자료 개발<br />

초등 과학 탐구과정 요소별 지도자료 개발<br />

초등 교실안과 밖 탐구활동 연계를 <strong>위한</strong> 과학탐방지도자료 개발<br />

초등 과학 탐구능력 <strong>평가</strong> 자료 개발<br />

초등 5년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br />

중학교 3학년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개발<br />

과학 학습동기유발을 <strong>위한</strong> 중학교 교수ㆍ학습자료 개발<br />

중등 실험안전교육을 <strong>위한</strong> 수업모듈 및 교수ㆍ학습자료 개발<br />

이공계 진로지도를 <strong>위한</strong> 현대과학탐방 지도자료 개발<br />

중등 과학탐구기능 향상 지도자료 개발<br />

중2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도 기관 사업 추진 실적(연구․개발 과제 수행)<br />

2006년<br />

(11)<br />

한국교원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5)<br />

서울대<br />

<strong>과학교육</strong>연구소<br />

(6)<br />

초등학교 3학년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개발<br />

초등 <strong>과학교육</strong> 연구기관 홈페이지 운영을 <strong>위한</strong> 기초 연구<br />

초등학교 과학학습의 동기유발을 <strong>위한</strong> 교수-학습 자료 개발<br />

초등학교 과학 탐구과정 요소별 지도자료 개발<br />

초등학교 4학년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활용에 대한 인터넷 설문 조사 연구<br />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 개발<br />

미래사회를 <strong>위한</strong> <strong>과학교육</strong>정책 수요 분석 및 방안 제시<br />

중등 <strong>과학교육</strong> <strong>활성화를</strong> <strong>위한</strong> 개발사업 홈페이지에 대한<br />

요구 분석 및 게시판의 시범 운영<br />

컴퓨터 접속 생물실험 지도자료 개발<br />

천문대를 이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용 천문대 실태 조사<br />

중학교 3학년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br />

인터넷 설문 조사 연구<br />

4.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의 <strong>평가</strong><br />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은 1980년대 후반의 제6차 IBRD<br />

차관 사업에 의한 초중등학교 <strong>과학교육</strong>진흥 사업에 이은 두 번째의 국가적 수준의 과학<br />

교육 지원 사업이었다. 이 사업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strong>평가</strong> 연구가 현재 진행되<br />

고 있으며, 2007년 12월까지 최종 보고서가 발간될 예정이다. 따라서 상세한 사업<strong>평가</strong><br />

는 이 <strong>평가</strong>연구로 미루고 여기에서는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에 비추어 이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br />

사업의 성격을 논의하고 이들 사업의 실적에 대한 총괄적 <strong>평가</strong> 의견을 개진하고자 한<br />

다.<br />

우선 학교 과학실은 학교 과학수업 지도에 필수적이며, 더욱이 실험실의 설치나 보<br />

수에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과학실험실 현대화 사업이 국가적 수준에서 시<br />

행된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학교의 과학 실험실의 확보율은 80%<br />

정도로 아직도 많은 실험실의 신축이 필요하고, 기존의 실험실도 현대화해야할 필요가<br />

있다. 최근 10여 년 동안의 불행스러운 사태는 학교 정보화 사업의 추진에 따라 과학실<br />

의 일부가 컴퓨터실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감소로 실험<br />

실 확보율이 높아지고 있으면서도 수도권 지역의 학생 수 증가에 따른 학교 신설의 필<br />

요성 때문에 실험실의 확보가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다.<br />

한편 <strong>과학교육</strong> 국가기준에 의한 현 <strong>과학교육</strong>의 실태와 문제점 검토에 의하면 과학실<br />

험실보다 과학교원과 같은 다른 영역의 문제점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2,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현대화한 과학실험실이 제대로 활용되지<br />

못한다면 왜 상대적으로 문제점이나 여건이 더 심각하지 아니한 실험실 현대화 사업 정<br />

책을 수립했느냐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실험실을 현대화시킨 후 이 실험실<br />

을 운영할 추가적 예산 지원 방안이 없는 학교에서는 이 실험실의 활용도가 향상되지<br />

못할 수도 있다. 물론 이공계 기피 문제에 연관된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계획에서 과학<br />

실험실 현대화 사업의 포함이 필연적이었다고 합리화할 수 있으나 실험실 활용이 활성<br />

화되지 않는다면 이 주장도 설득력을 잃게 될 것이다,<br />

기타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의 경우에도 이 사업비의 지원이 중단되는 2008년도부터<br />

는 이들 사업들이 어떻게 수행될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해보아야 한다. 4-5년간 특별<br />

예산 지원에 의해 수행된 이들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은 성과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어<br />

려운 특성이 있다. 어쩌면 특별 예산 지원에 의해 수행하던 사업이 종료되고 지속적인<br />

사업 예산이 확보되지 아니함으로써 해당 학교나 담당 과학교사가 더욱 어려움을 겪을<br />

수도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국가 수준의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의 경우에는 그 사업 결<br />

과의 지속적인 활용과 후속 사업 예산의 계속적인 확보 방안을 함께 검토해야 할 것이<br />

다,<br />

다행히 서울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에 수행한 <strong>과학교육</strong> 자료 연구 개발 사업은 이<br />

사업에 의해 개발된 자료가 별다른 추가 예산 지원 없이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하고, 더<br />

욱이 홈페이지의 운영을 통하여 이들 자료들을 무상으로 자유롭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br />

도록 함으로써 활용도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의 <strong>과학교육</strong><br />

자료 개발 사업은 2008년 이후에도 계속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br />

마지막으로 5년 사업으로 계획된 <strong>과학교육</strong> 활성화 사업이 4년차부터 국비 확보의 차<br />

질로 사업이 축소되는 파행을 겪었다. 이는 정부의 공신력을 크게 떨어뜨리고 주먹구구<br />

식 <strong>과학교육</strong> 정책은 <strong>과학교육</strong>자들의 정부 불신을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정<br />

부의 예산 지원 확정이나 지원 시기가 늦어 사업 집행이 졸속하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br />

많았음도 반성해야 할 사항이다.<br />

2007. 09 전북대학교 세미나 발표 원고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