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2015 Views

장애청소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청소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장애청소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인의 직업재활과 고용촉홒진을 위해서 「홓<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탐화색 프로그램」확을 실시하여 장애인이 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영홉위할 수 있도록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또한 행․재정적 지원제도에서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지원을 위한 행정적기반홆이 정부혺 차혹원에서 그 기능을 강화하여 정착홖시켜홅야 하며,재정정책홗을 개발할때에도 사회적 목적에 맞는 특수교육 재정체계를 설계해서 규환정을 설정하여야하고,그 재정 운영홉의 효홙율홚성을 위해서도 특수교육비의 지출홛 및 규환모의 합홇리적인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ii -


〈Abstract〉Study on Activation Plans for the VocationalEducation of the Handicapped AdolescentsYouth Education, Social Welfare Department: Jung-sook KimProfessor: Chang taek OhNon-handicapped people find it better able to adopt themselves tothe working environment once they choose occupations based on theirpreference and competence. When it comes to the handicapped people,pre-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is of greater importance asthey need to learn the proper attitude required to maintain jobs,understand the working and safety guidelines, attain good day-to-dayworking habit, learn how to solve problems and make judgment, and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So not only the education tohelp the handicapped people pick skills to get a job, but also sucheducation prior to employment are essential.Observation into the vocational education offered to the handicappedyouth provides important fundamental data, which will help us come upwith the better ideas to help them live happier life.This paper studied the literature and papers in this area and utilizedbooks published in Korea and other periodicals as the basis from whichstatistical information is extracted. The ideas identified through such- iv -


process of investigating various documents and books in order to findways to invigorate vocational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youth can be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re needs to be more qualified teachers who have expertisein the vocational training of the handicapped. Korea does not have thesystem to educate enough number of qualified teachers for thehandicapped. More courses o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nsitionalchange need to be added to the curriculum to educate the teachers forthe handicapped. And most of all there should be more collages toeducate future teachers. In addition, thorough on-going training andcontinued education courses need to be provided to improve theexpertise of existing teachers.Second, for the handicapped youth, it is required to provide lifelongeducation, help them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nd liveindependent life. At the same time, a vocational education in accordancewith what is required in each different community that they belong tois required. Once such system is in place, there will be morepossibilities for the handicapped young people to get a job on along-term basis.Third, there should be some education courses that allow thestudents to get first-hand experience. Through the networking ofhuman and material resources, more dynamic education can be provided,which will not only give opportunities for them to get first-handexperience but also live on their own. As the level of handicap and thecircumstances that each handicapped person is in are different, atailored system such as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needs- v -


to be introduced so that they could get the right education dependingon the level and type of handicap that they have.Fourth, the Protected Work Place for the Handicapped was created inorder to help the handicapped people to join the community by givingthem a chance to experience what it is like working as a member of acommunity. The government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working conditions of such work places as the handicapped can beexploited on a very low wage. Their working conditions need to beimproved while more sales channels for the products need to created.In a nutshell, a comprehensive program should be devised with thepurpose of upgrading such work places.The Welfare Centre of the Handicapped is associated with the majortraining classes offered by the school for the handicapped. The trainingprograms of this centre need to be customized to offer more diversecourse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handicappedstudents. Achieving this goal requires a good human material networkformed to connect different regions cross Korea.Fift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upgraded.The Act on the Promotion of Employment of the Handicapped needs tobe introduced to help more handicapped find jobs while a JobIdentification Program for the Handicapped Young should be launched tohelp the handicapped to get a job based on their competency.When it comes to the administration and finance system, there shouldbe an enhanced administration and finance system provided at thegovernment level. A financial system for the specialized education- vi -


needs to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purpose, and thebudget for the special education needs to be adjusted so that enoughfunding can be provided to ensure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overallsystem.- vii -


활 목차혹 홝국문요약 ·ⅰ홟Abstract ·ⅵ홡표홢 목 차혹 ·ⅹ홣제 1장 서 론홥 ·1제 1절 <strong>연구</strong>의 목적 ·1제 2절 <strong>연구</strong>의 범홦위와 방법 ·3제 2장 이론홥적 배홨경 ·4제 1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개념홪과 특성 ·41.<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개념홪 ·4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특성 ·7제 2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개념홪 ·141.<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개념홪 ·14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적 특성과 목적 ·17제 3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strong>활성화</strong> 요인 ·231.<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사 ·232.<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내용 ·243.<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훈련 ·314.<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시설 ·335.<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법․제도적 지원 ·41제 3장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실태 ·45제 1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인구현황홭 ·45- viii -


1.장애인 등록현황홭 ·45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인구현황홭 ·46제 2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실태 ·461.<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사 실태 ·462.<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내용 실태 ·483.<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훈련 실태 ·504.<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시설 실태 ·525.<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법․제도적 지원 실태 ·56제 4장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strong>직업교육의</strong> <strong>활성화</strong> 방안 ·61제 1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사 ·61제 2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내용 ·62제 3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훈련 ·63제 4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시설 ·651.보호작업장 ·652.장애인복지관 ·65제 5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법․제도적 지원 ·661.<strong>장애청소년</strong> 관련법 ·662.행․재정적 지원제도 ·67제 5장 결 론홥 ·70참고문헌 ·73- ix -


활 표홢 목 차혹 홝 장애의 분류 ·5 신체적 조건홄에 의한 부혺적당한 직업(예홲) ·18 직업과 내용체계 ·29 특수학교 직업과 교육과정 영홉역별 목표홢 ·30 전국장애인 복지관의 주요사업 내용 ·40 장애인의 등급홴별 유형별 등록현황홭 ·45 재가장애학생의 취약형태 ·46 전국 보호작업장 운영홉현황홭 ·53 전국 장애인복지관 지역별 운영홉현황홭 ·55 연도별 교육인적 자원부혺 예홲산홁대비 특수교육 예홲산홁비율홚 ·58 연도별 특수교육대상자 1인당 특수교육비 ·59- x -


제 1장 서 론홥제 1절 <strong>연구</strong> 목적인간은 일생을 일을 하면서 보내게 되고,일의 대가로 생계를 유지할 때 우리는 그 일을 직업이라고 일컫홵는다.즉홶,직업은 한 인간이 가정이나 사회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이고 인격홷적 역할의 수단이며 특히 생계의 책홗임혾을 스홸스홸로 감홀수해야할 의무홹이며 권홺리이기도 하다.이렇홻게 인간은 직업을 통해 생계유지를 위한 생활비를 마련하고,사회생활에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홼으로써홽 소속감홀과 안정감홀을 가질 수 있게 되고,사회구성원으로서 자아실현의 성취감홀도 느홾낄홿 수 있다(고은자,2002).그러나 우리가 직업에 관해 논하는 대상은 비장애인의 경우이고 실제로 장애인의 경우에 있어서 직업이란횀 일종의 막횁연한 희횂망횃이고,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기회는 극횄히 적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자신의 잠횅재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만족횆스홸러운 삶을 살홏지 못하는 장애인들에게 성인기이전에 직업교육을 시켜홅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횇과 기능을 가르치횈는 것은 매횉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강위영홉,1991).정부혺에서는 초․중등교육법 및 특수 교육 진흥횊법에 따라 장애인들을 위한 유치횈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에 준하는 특수교육기관을 운영홉하고 있다.특수학교의 교육과정으로는 일반홆 교과 교육과 치횈료교육,특별활동,재량횋활동,직업교육 등으로 나누회어져 있고,초등부혺와 중학부혺는 의무홹교육이고 유치횈부혺와 고등부혺는 무홹상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은화학교(2004)에 의하면 특수교육은 교육과정 운영홉 정상화를 통해 가정 및- 1 -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생활기능 향상과 사회적응력을 길획러 자립생활을영홉위할 수 있도록 돕횎는 것이라고 했횏고,정은해(2004)에 의하면 직업교육은 개인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직업의 세계를 탐화색하고 자기의 적성과 흥횊미,그리고 능력에 맞는 일을 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그 일에필요한 지식횇이나 기능,태도,이해,판단력 등을 높횐일 수 있도록 돕횎는 것이라고하였다.요약컨횑대,<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있어서 직업교육은 사회적 자립을 위한 중요한 교육활동으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 사회 내에서 독립적인 생활과 경제적 자립이 가능할정도의 안정된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횎는 것이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궁횒극횄적인 목표홢라고 할 수 있다.(이현정,2005).장애인은 세계도처에서 비장애인들과 더불횓어 살홏고 있는데도 우리나라에서만장애인이 많홈은 것처럼 느홾껴횔지는 것은 농횕경사회로 일손횖이 필요했횏던횗 사회구조에서 일할 수 없횘었던횗 장애인의 멸횙시와 차혹별이 의식횇구조에 굳횚혀횛지면서 본인이나가족횆들 모두횜가 삶에서 숨횝기고 싶횞어 하는 부혺분들 때문이 아닌횟가 생각된다.누회구도 장애를 가지고 살홏고 싶횞은 사람횠은 없횘음에도 불횓구하고 산홁업사회에서 정보화시대로 변횡모하는 과정에서 끊횢임혾없횘이 발생하는 오염횣과 환경문제 등으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횘이 장애를 가지고 살홏아가는 사람횠들은 계속해서 증홌가하고 있는 21세기에 장애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궁횒극횄적 목표홢는 모든횤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경제적 자립을 도모할 때완횥전한 사회통합홇이 이루어질 수 있다.(강위영홉,1991).이상과 같이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홑저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개념홪과 특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본 <strong>연구</strong>는직업교육을 위한 이론홥적 근횦거횧를 제시한 후효에,<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strong>활성화</strong>시키기 위한 요인들의 실태를 분석하여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에 대한 <strong>활성화</strong>방안을 제시하여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독립생활과 경제적 자립을 하도록 돕횎는데 그 목적을 두횜고 있다.- 2 -


제 2절 <strong>연구</strong>의 범홦위 및 방법본 <strong>연구</strong>는 모두횜 5장으로 구성되었다.제1장에서는 서론홥으로 <strong>연구</strong>의 목적과 범홦위․방법을 기술하였고,제2장에서는 이론홥적 배홨경으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개념홪과 특성,<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적 특성과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목적을 제시한 후효에 이런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strong>활성화</strong>시키기 위한 요인으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사,직업교육내용,직업교육 훈련,직업교육시설,외부혺지원체계에 대해 알아보았횩다.제3장에서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strong>활성화</strong>시키기 위한 요인을 기준으로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횪을 제시하였으며,제4장에서 이런 실태와 문제점횪을중심으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strong>활성화</strong>시키기 위한 활성방안들을 다루었고,제5장은 이런 <strong>연구</strong>결과에 대한 주요내용을 요약․정리하여 결론홥을 맺횫었다.본 <strong>연구</strong>의 방법은 각종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strong>연구</strong>를 채횬택하였다.이를 위하여국내 서적과 논문,정기간행물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주로 국회도서관,장애인고용촉홒진공단,국립특수교육원,보건홄복지부혺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횭하였다.본 <strong>연구</strong>는 각종자료를 중심으로 한 문헌 및 논문위주의 조사 <strong>연구</strong>로 국내서적과 정기간행물 및 여러 가지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strong>연구</strong>의 범홦위 및 방법은<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개념홪 및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개념홪과 특성을 이론홥적 배홨경으로 제시하였다.본론홥에서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위해 직업교사,직업교육내용을 설명횮하였으며,직업훈련 및 직업교육을 위한 시설 중에서 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그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횩으며,또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위한 외부혺지원 체계 중에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법적․ 제도적 지원체계를 고찰하였다.이것을 중심으로 실태을 파횯악혼한 후효,<strong>활성화</strong> <strong>방안에</strong> 대해 논의하였다.- 3 -


제 2장 이론홥적 배홨경제 1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개념홪과 특징횰1.<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개념홪장애인에 대한 개념홪은 매횉우 복잡횱한 성격홷을 띠횲고 있고,시대나 문화의 차혹이에따라 다르기 때문에 한마디횳로 정의하기는 어렵횴다.오혜횵경이 제시한 장애인의 개념홪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홏펴홐보면,첫째,해부혺학적 신체 구조적,지능적 및 심리적인 기능에 이상이 있거횧나 상실한 사람횠,둘째,신체 구조적 또는 심리적 과정에서 야기되는 만성적인 질환 즉홶,기관지염횣,천횶식횇,관절염횣,결핵횷,간질,신경정신장애등을 가진 사람횠,셋째,기능적인 면에서 완횥전히 발휘하지 못하는 사람횠,넷째,행동규환범홦을 중심으로 일종의 장애를 소유하고 있는 당사자가 자기의 장애에 대해서 특수한 반홆응을 보이는 사람횠,다섯홎째,사회적 태도나 편횸견횹,차혹별 등의 사회적 장애를 가진 사람횠이라고 정의하였다(오혜횵경,1997).장애의 규환정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하기보다는 사회의 욕홊구와 기대에 따라 달횺라지는데,현행 장애인복지법에 따르면 장애는 크횻게 두횜 가지 범홦주,즉홶 신체적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된다.신체적 장애는 시각장애,청각장애,언횼어장애,내부혺장애를 포횽함하고,정신적 장애는 정신지체,정신장애,발달횺장애를 포횽함하는데,이것을 정리해 보면 과 같다(김미옥횾,2003).- 4 -


장애의 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외부혺신체기능의장애지체장애뇌횿병훀변횡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언횼어장애절단장애,관절장애,지체기능장애,변횡형 등의 장애중추신경의 손횖상으로 인한 복합홇적인 장애시력장애,시야결손횖장애청력장애,평훁형기능장애언횼어장애,음성장애,구어장애신체적장애안면장애신장장애심장장애안면부혺의 추상,함몰훂,비후효 등 변횡형으로 인한 장애투훃석치횈료중이거횧나 신장을 이식횇 받은 경우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내부혺기관의장애간장애호흡후기장애장루․요루장애간질장애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홌의 간기능이상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홌의 호흡후기기능 이상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홌의 간질정신적장애정신지체정신장애발달횺장애(자폐훆증홌)지능지수가 70이하인 경우정신분열혻병훀,분열혻형정동장애 ,양극횄성정동장애,반홆복성우울훅장애소아자폐훆등 자폐훆성장애자료:김미옥횾(2003)현재 장애에 대한 정의로는 세계보건홄기구(WHO)가 1980년에 제시한 국제장애분류(ICID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Disabilities andHandicaps)가 가장 일반홆적으로 통용되고 있다.세계보건홄기구는 장애를 손횖상(Impairment),능력장애(disability),불횓리(handicap)로 구분하고,이 세 가지를포횽괄훌적인 장애의 범홦주에 포횽함시켰훍다.이 구분에 의하면 손횖상은 심신의 구조적․- 5 -


기능적 손횖상 자체를 의미하고,능력장애는 손횖상에 의한 개인적 차혹원에서의 일상생활의 활동에 나타훎나는 이차혹적 장애를 의미하며,불횓리는 손횖상과 불횓능으로 인한사회적 차혹원에서 경험하는 불횓이익훏으로서 편횸견횹,차혹별 등을 의미한다(박훐성민훑,2003).1997년 WHO는 ICIDH-2안을 발표홢하였는데,여기에는 한 개인이 접하게 되는장애를 손횖상(Impairments),활동(activities),참여(participation)의 3차혹원 축홍으로설명횮하고 있다.손횖상의 차혹원은 신체 구조나 물리적,심리적 기능상의 상실이나비정상성을 의미한다.활동의 차혹원은 개인적 수준에서 기능의 범홦위와 본질로서일상생활과 관계있는 단순한 걷훒기에서부혺터훓 쇼훔핑훕 직무홹 완횥수 등의 복합홇적인 활동에 이르기까훖지 다양한 개인의 활동이 포횽함된다.참여의 차혹원은 사회적 수준에서개인의 참여 정도,참여를 촉홒진하거횧나 방해하는 사회적 반홆응을 의미하는 것으로,환경과 장애인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장애인이 다양한 영홉역에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은 사회가 건홄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즉홶,WHO는장애를3가지 범홦주로 구분하여 장애의 범홦위를 포횽괄훌적으로 포횽함시켰훍을 뿐만 아니라 장애에 대한 개인적 모델훗과 사회적 모델훗을 통합홇하여 장애의 개념홪과 범홦주를정의하여 거횧의 모든횤 개인에게 적용 가능하게 함으로써홽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계를 무홹너훘뜨훙리고 있다(권홺유경,2001).국내 장애인 관련법에서는 WHO의 손횖상과 능력 장애에 해당되는 수준에서장애 및 장애인을 정의하고 있는데,각 법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정의와 유형에 차혹이가 있다.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기본법에 해당되는 장애인복지법에서는제2조에서 장애인을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훚쳐훛일상생활또는 사회생활 에 상당한 제약을 받은 자로 정의하고 있는데 반홆해 장애인의직업재활과 관련된 법인 장애인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은 제2조에서 신체 또는정신상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훚쳐훛 직업생활 에 상당한 제약을 받은 자로 규환정하고 있다.그리고 장애인복지법 시행령훜에서 규환정한 자 이외에 국가유공자 예홲우 및 지원에 <strong>관한</strong> 법률훝 시행령훜에서 규환정된 자도 장애인에 포횽함시키고 있다.- 6 -


사회통념홪 및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복지와 밀훞접한 관련을 맺횫고 있는 장애인복지법,생활보호법,특수교육진흥횊법,아동복지법 등을 고려훟할 때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란횀 만 9세이상에서 24세 미만으로서 장애인복지법에서 규환정한 바의 장애를 가진 사람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특성청소년기는 아동기로부혺터훓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도기로 질풍훠노혽도의 시기라고할 수 있다.연령훜적으로 대략훡 12~훢24세까훖지 지속되는 것으로,12~훢18세는 급홴속한 신체적 변횡화와 인지적 발달횺을 경험하는 청소년기 전기와 18~훢24세는 자아체감홀 확립과 성인기를 준비하는 청소년기 후효기로 구분할 수 있다.청소년은 신체발육이나 인지적 성숙,사회적 행동양식횇 등에서 아동기를 벗훣어났훤지만,더 많홈은성숙과 사회화가 요구되며 아동기와 성인기의 중간단계에 있기 때문에 주변횡인또는 중간인으로 부혺르기도 한다(오혜횵경,2001).1)신체발달횺청소년기의 신체적 변횡화의 특징횰은 급홴속한 성장과 생식횇능력의 획훥득훦이다.먼홑저 청소년기에 나타훎나는 급홴속한 성장은 긍훧정적인 측훨면과 부혺정적인 측훨면의두횜 가지 반홆응을 보이는데,신체적 성장은 대개 운동능력의 발달횺을 동반홆한 것으로 부혺모와 선생님훩,친훪구들로부혺터훓 가치횈 있게 여기는 변횡화로서 청소년 자신도 긍훧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반홆면,이러한 급홴속한 성장이 신체의 모든횤 부혺분에서 균훫등하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므훬로 어딘훭가 어색한 자신의 신체적 모습을 갖게 되면서청소년의 자부혺심에 부혺정적인 영홉향을 미치횈기도 한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경우에는 대체로 같은 연령훜의 청소년에 비해 신체적 발달횺이 늦훮은 경우가 대부혺분이기 때문에 이들은 심리적 부혺담을 경험하고 부혺정적인 자아상(self-image)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며,실제보다 어리게 대접받으면서 친훪구들로부혺터훓 고립되는 경향도 있다.- 7 -


청소년기의 신체적 발달횺과 함께훯 나타훎나는 또 다른홋 특징횰은 성적 성숙으로 호르몬훰의 생성과 분비가 일어나면서 성징횰이 발달횺하게 된다.이 시기의 청소년은학교와 가정으로부혺터훓 성교육을 받게 되고,이성과 자연스홸러운 접촉홒을 통해 앞훱으로 전개될 이성교재나 결혼훲을 위한 준비 등 기초적인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그러나 대부혺분의 장애 청소년은 부혺모와 학교로부혺터훓 성적인 성숙에 대하여 충분히 교육받지 않훳은 상태에서 새훴로운 경험을 하게 되면 적극횄적인 관심을 보이기보다는 당황홭하고 두횜려훟워훵하는 반홆응을 보이면서 고립적인 태도로 회피훶하는 경우가 대부혺분이기 때문에,앞훱으로 전개될 이성교재나 결혼훲에 대해서도 소극횄적인태도를 나타훎내는 원인이 되고 있다.즉홶 청소년기의 성적 성숙으로 인해 새훴로운변횡화에 대한 적절한 대처 능력이 부혺족횆하고,불횓편횸함과 당황홭스홸러움을 겪훷으면서 부혺정적 감홀정도 경험하게 된다.2)인지발달횺청소년기에는 육체적 성숙과 더불횓어 인지적 능력도 확대된다.더 추상적으로사고할 수 있게 되며,경험해본 적이 없횘는 사건홄에 대해서는 인과관례훸를 추론홥할수 있게 된다.피훶아제(Piaget.1972)는 이와 같은 청소년기의 사고 수준을 형식횇적 조작사고라고 불횓렀훹다.즉홶,형식횇적 조작사고는 자신의 사고를 비판적으로 검훺토훻할 수 있고,한 변횡수가 다른홋 변횡수에 미치횈는 영홉향에 대하여 가설을 세울훅 수 있는 능력들을 포횽함한 것으로 청소년기의 사고는 인식횇이나 경험보다는 논리적인원리에 의해서 더 많홈이 지배홨를 받는다고 지적하였다.청소년기 사고의 발달횺은 여러 가지 환경적 요소에 의하여 촉홒진되는 반홆면,자기중심적 사고의 감홀소를 가져오는 특징횰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 가지 측훨면에서 설명횮할 수 있다.첫째,청소년기에 들어서면 더 다양한 역할들이 서로 양립하거횧나 갈훼등관계에놓훽이게 되는데,이러한 역할들이 균훫형을 취하고 조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둘 이상의 변횡수를 정신적으로 다루는 것을 배홨워훵야 한다.둘째,이 시기에 인지적 발달횺은 청소년들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또래훾집횭단에 대- 8 -


한 참여에 의해서 촉홒진된다.즉홶,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넘훿어가면 가족횆배홨경이나 사회적 지위가 서로 다른홋 이질적인 학생들과 사귀휀면서 미래훾에 대한 기대나 가치횈관이 자기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신의 현재 가치횈관이 자기가속한 가족횆이나 지역사회에 의해 형성된 것임혾을 깨휁닫휂게 된다.셋째,과학․수학․어학 등의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이 논리적 사고를 촉홒진하며 예홲술이나 인문과학은 상상능력을 발달횺시킨휃다.한마디횳로 청소년기에 증홌진되는개념홪적 능력은 이와 같이 복잡횱하고 분화된 환경에 대한 적극횄적인 참여의 결과로 이루어진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경우에는 사고의 발달횺에 영홉향을 미치횈는 다양한 사회․ 환경적인 자극횄으로부혺터훓 격홷리되어 있고,지금혿까훖지의 <strong>장애청소년</strong> 교육이 일반홆 교육체계와 분리되어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혺분이어서 다양한 또래훾집횭단 활동에 참여하는기회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홈았횩다.이러한 결과 후효천횶적으로 인지발달횺이 늦훮어지고,다양한 집횭단과의 관계형성과 유지에 필요한 기술능력 등이 뒤휄떨휅어져 사회성을키워훵나가는 데도 제약이 되면서,청소년기 이후효 사회생활이나 직업 활동에 있어서 다양한 특성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과의 교류에 어려훟움이 나타훎나기도 한다.3)심리․사회적 발달횺청소년기에 나타훎나는 심리․사회적인 발달횺은 또래훾 집횭단과의 관계,이성친훪구들과의 관계 그리고 가족횆 형제간의 관계를 통해 사회성을 습득훦해 가는 시기이다.청소년기의 소년들은 또래훾집횭단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홊구가 매횉우 강하고,심리적으로 어떤휆 집횭단의 성원이 되기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기가 속한 집횭단에 의하여 자신을 정의하고자 한다.또한 이 시기 또래훾집횭단의 특징횰은 보다 더조직적이고 이질적이며,이 시기가 되면 친훪구들과의 대화가 일상 활동이 된다.첫째,청소년이 특정한 또래훾집횭단을 선택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계층휇,부혺모로부혺터훓 물려훟받은 가치횈관,거횧주지역과 학교의 성격홷,특수한 능력이나 자질,자신의 성격홷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홈다.일단 한 집횭단에 속하면,그 집횭단의 구성원들은 사회적 활동,공부혺 방식횇,이성교제,취미 활동 등 삶의 다- 9 -


양한 측훨면에서 서로 영홉향을 미치횈게 된다.또한 청소년기에는 또래훾집횭단의 경험을통해서 청소년들은 집횭단의 조직을 평훁가하고 조직 내에서 자신의 위치횈를 평훁가하는 기술을 배홨우게 된다.이러한 사회기술이 후효에 사회적 집횭단 내에서의 기능을수행하는 것에 기초가 되는 것이다.둘째,청소년기에는 아직도 동성의 친훪구관계가 중요하다.그러나 이시기에는성적인 성숙과 사회적 기대의 결과로 이성친훪구에 대해 새훴로운 관심을 보이기시작한다.즉홶,청소년기 이성교제는 실질적인 성숙의 정도 이상으로 가족횆이나학교,친훪구들로부혺터훓 오는 사회적 기대의 영홉향을 받는 것으로,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가 어떻휈게 기능해야 하는지를 실험하는 단계이며,이를 통해 성인으로서의 성역할과 성적행동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를 형성한다고 볼휉 수 있다.한편횸 장애 청소년의 경우에는 분리된 교육환경과 사회 환경으로 인해 <strong>장애청소년</strong>간의 또래훾집횭단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홈은데,이들의 집횭단 활동 범홦위는 극횄히제한적이고,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서로의 기능향상을 위해서 상호 지원해줄 수 있는 지지환경도 매횉우 빈휊약한 경우가 대부혺분이다.또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이성 관계에 있어서도 비<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비해 개별적으로나집횭단모임혾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이성과의 교제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성인기에 이성교제로 이어질 때는 더 큰휋 어려훟움으로 나타훎날휌 수도 있다.셋째,정서적 발달횺 측훨면에서 청소년 초기에는 감홀정의 기복이 심해서 낙휍관적․비판적 감홀정이 교차혹하기도 하고,자부혺심과 수치횈심을 강하게 경험하기도 한다.또한 부혺모와 형제,그리고 친훪구들과 공유할 수 없횘는 감홀정의 경험을 통해서 고립감홀을 느홾끼휎기도 하고,강한 수치횈심,죄휏의식횇,우울훅,분노혽,수줍휐음 등의 다양한 감홀정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경우에도 정서적인 측훨면에서 많홈은 갈훼등과 불횓안 긴휑장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를 도와줄 수 있는 청소년 상담기관이나 청소년 집횭단 활동 프로그램들이 비<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대부혺분이며,<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 위한 개별상담이나 집횭단 활동 등은 매횉우 미흡후한 수준이다.- 10 -


4)독립․자율홚성 확립청소년기 후효기가 되면 신체적 성숙과 심리․사회적 발달횺로 사고와 행동이 점횪점횪 더 자율홚적으로 되고,부혺모로부혺터훓 독립을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라고 볼휉 수 있다.이 시기가 되면 개인의 가치횈관이 내면화되고,또래훾집횭단의 참여를 통해서 사회적 측훨면도 자주적으로 활동할 수 있을 만큼휒 인지적 성숙이 이루어지게 된다.그 외에 청소년 후효기에는 청소년의 자율홚성 획훥득훦을 위해서 부혺모의 역할이 중요하며,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체감홀을 추구하기 위해서 가족횆이라는 경계 내에서 자신의 독자성을 표홢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그러나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경우에는 지금혿까훖지의 교육과 재활프로그램이 자립을 위해 적절한 기술을 교육시키지 못한 상황홭에서 부혺모로부혺터훓 독립해서 스홸스홸로 살홏아가는 것을 계획훥한다는 것은 많홈은 어려훟움이 있다.이처럼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있어서독립적인 생활이 부혺모로부혺터훓의 자립인데,가정에 있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나 시설에있는 청소년 모두횜 자신의 고유한 견횹해를 표홢현하고 부혺모의 관심과 지지를 얻휓어내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홈고,능력이 부혺족횆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는 스홸스홸로의 독립보다는 성인자녀휔를 부혺양해야 하는 부혺모의 또 다른홋 부혺담이 생겨휕나게 된다.5)성 정체감홀청소년기의 성 정체감홀의 형성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 후효기에 이르기까훖지 자신의 성에 대한 정체감홀이 재개념홪화 되고 확고해지는데,이것은 대략훡 네휖 가지 중요한 경험에 입휗각하여 이루어진다.첫째,아동기에 친훪밀훞한 동성 친훪구와의 경험으로 이것은 적절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친훪구간의 규환범홦을 알게 해주고,둘째,청소년기 초기에 일어나는 신체적 변횡화를 자신의 성역할에 대한 정체감홀에 통합홇하게 되고,셋째,청소년기의 호르몬훰 변횡화가 생식횇능력과 더불횓어 성적 충동을 갖게 한다는 것이고,넷째,청소년 후효기에는 성인 남자와 여자에게 주어지는 성역할 행동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접하는 등 이러한 네휖 가지 경험을 통해서 확고한 성 정체감홀(genderidentity)을 형성하게 된다.그러므훬로 자신의 성에 대한정체감홀과 성역할에 대한 개념홪은 사춘휘기 이전부혺터훓 발달횺이 이루어지고 있으나,청- 11 -


소년기에는 성에 대한 새훴로운 관심이나 성적 충동을 자신의 성격홷에 통합홇하게되는 것은 중요한 변횡화라고 할 수 있다.이와 같이 청소년기에 성 정체감홀이 확고해지는 과정을 성적 사회화(sexualsocialization)라고도 하며,이것은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휉 수 있다.이러한 요소들은 구체적으로 좋휚아하는 성적 대상을 선택하는 것,성 정체감홀을 확립하는 것,적절한 성인의 성 역할을 배홨우는 것,성행위에 대해서 이해하고 그에 대한 지식횇을 습득훦하는 것 등이라고 할 수 있다.6)직업에 대한 준비직업은 성인의 삶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일상생활의 거횧의 모든횤 것을지배홨하며,사회적 지위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그 사람횠의 가치횈관도 표홢현한다고할 수 있다.청소년기 후효기는 직업선택을 준비를 하는 시기로서,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요인의 영홉향을 받게 되지만 개인적인 능력,관심,자신에 대한 부혺모나 중요한 사람횠들의 기대와 같은 개인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고 있다.성 역할에 대한 정체감홀은 직업에 있어서 자신의 능력을 평훁가하는 데 영홉향을미치횈고,이런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치횈가 직업 선택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다시 말휛해서 자신이 어떤휆 직업에 필요한 교육과정 및 그 직업에서 요구되는 직무홹를 성공적으로 완횥수할 수 있다는 기대치횈가 전공과 작업 선택에 매횉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그러나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있어서 직업선택은 상황홭적 요인의 영홉향을 많홈이 받고있는데,특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애로 인해 고용환경에서 제약을 받아 직업선택의 폭휜이 제한적일 수밖휝에 없횘는 것이 현실이다.7)자아정체감홀 확립청소년 후효기에는 자신의 본질적인 인격홷에 대해 의문이 생기면서 자아정체감홀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이라고 말휛할 수 있다.자아정체감홀을 명횮확하게 정의하긴휑- 12 -


어렵횴지만 확고한 자아정체감홀을 지닌횟 사람횠은 개별성,통합홇성,지속성을 경험한다.개별성은 가치횈나 동기,관심을 타훎인과 공유하더라도 자신은 타훎인과 구별되는 고유한 존휞재라는 인식횇을 말휛하고,통합홇성은 자신의 욕홊구,태도,동기,행동양식횇 등이 전체적으로 통합홇되어 있는 것이며,지속성은 과거횧,현재,미래훾로 시간이 경과해도 자신을 동일한 사람횠이라고 인식횇하는 것을 가리킨휃다.자아정체감홀 형성은 아동기의 동일시 경험에서 시작되어,부혺모나 선생님훩,친훪구들의 감홀정,태도,가치횈관,행동 등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자기만의독특한 총휟체로 통합홇시키면서 정체감홀이 형성되어 간다고 볼휉 수 있다.이렇홻게 자아정체감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념홪,가치횈관 등에 대한 고통스홸러운 의문제시가 선행되어야 하며 일종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누회구나 일시적인 혼훲돈휠이나 우울훅증홌 등을 경험할 수도 있다.특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은 비<strong>장애청소년</strong>과 같은 변횡화를 겪훷게 되지만,때로는 그 발달횺이 장애에 동반홆되는 문제들과 사회적 환경에 의해 더 많홈은 어려훟움을 경험하게되면서 동료관계와 장애에 대한 역할 방식횇,장애를 가진 사람횠의 무홹능한 역할,그리고 그들의 장애를 판단하는 환경 등에 대한 상황홭 등이 자신의 장애를 확신하게 되면서 수치횈심을 느홾끼휎고 정체성을 거횧부혺하게 되기도 한다.그러나 긍훧정적인 자아정체감홀을 가진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은 특수학교를 졸휡업하면서 성인사회복지시설로 옮휢겨휕가거횧나,지역사회 장애인복지기관의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제도적인 격홷리에 의해 사회적 소외감홀을 경험한 <strong>장애청소년</strong>들은 기본적인 동기나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자신의 가치횈를부혺정하면서 자아를 통합홇할 수 없횘게 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따라서 이들의부혺정적인 자아정체성은 건홄강한 성장을 방해하게 하고,교육 정도나 경제적 차혹별에 의해서 나누회어진 장애의 종류에 따라 강제적으로 장애인이라고 불횓리면서 사회구성원으로 분리되고,고독한 상황홭에 처하게 되면서 부혺정적인 자아정체성이형성되게 되는 것이다.이 시기에 형성되는 부혺정적인 정체성은 사회적인식횇의 변횡화로 해결되어야 하며,사회복지의 실천횶으로 서로 협휣력하여 내적으로 억휤압휥되어있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13 -


제 2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재활교육의 개념홪과 필요성1.<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개념홪일반홆적으로 특수교육계에서는 직업교육,진로교육 및 전환교육이 혼훲용되는 경우가 많홈으나,보는 관점횪과 기준에 따라 다르게 파횯악혼되며,각각 상이한 측훨면들이강조되기도 한다.이 절에서는 직업교육,진로교육 및 전환교육,그리고 직업교육훈련이 포횽괄훌하는 범홦위와 그 개념홪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해 살홏펴홐보고자한다(국립특수교육원,2003;이승휧미,2001).1)<strong>직업교육의</strong> 개념홪직업교육(VocationalEducation)은 직업 교육의 목적,목표홢,그리고 내용면에서 그 범홦위와 의미를 파횯악혼할 수 있고, 미국 직업교육법(The VocationalRehabilitationAct;VRA)에서는 개인적 기술과 태도의 획훥득훦,의사소통 기술,고용가능 기술,포횽괄훌적이고 특정한 직업기능과 기술,진로계획훥과 평훁생학습을 위한기초와 장애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역할 등으로 그 범홦위와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국립특수교육원,2003).미국직업교육협휣회(A.V.A.)는 직업교육이란횀 직업인으로서 일하는데 필요한 기술,능력,이해,태도,및 작업습관을 길획러줄 수 있도록 계획훥된 교육이며 생산홁성을 토훻대로 고용에 유리하도록 도와주는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조인수(1998)에 의하면 직업교육이란횀 직업의 세계를 탐화색하고,자기의 적성,흥횊미,노혽력에 알맞은 일을 택하여 그것에 필요한 지식횇,기능,태도,판단,습관 등을개발하고 이런 능력을 계속 개선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하였다.특히,<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은 단순히 직업기술이나 기능의 향상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직업을 선택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태도,직업 및 안전수칙에 대한 이해,작업 및 일상생활 습관,문제해결 및 판단능력,대인관계 등을 육성하는 직업 전 준비교육으로 의미가 매횉우 크횻다고 볼휉 수 있다.- 14 -


요약컨횑데,직업교육은 직업의 세계를 탐화색하고,자기의 적성,흥횊미,능력에 알맞은 일을 택하여 그것에 필요한 지식횇,기능,태도,판단,습관 등을 개발하고이런 능력을 계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정동영홉(2001)에 의하면 직업교육을 장애학생의 기초생활능력 신장과 심신의조화로운 발달횺을 도모하고,진로개척홃 능력을 개발하며,장애극횄복 의지를 길획러건홄전한 사회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목표홢를 두횜고 있다.따라서 장애 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은 단순히 직업 활동에 필요한 기초적인 작업 기능 이외에 졸휡업 후효 개인의 독립적인 생활과 경제적 자립을 위해서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자질 함양에까훖지 그 범홦위를 넓히고 있다고 할 수 있다.2)진로교육진로교육(careereducation)은 1960년대부혺터훓 미국의 교육개혁휪과 밀훞접한 관련을갖고 있으며,학생들이 학교를 졸휡업하거횧나 사회에 진출홛해도 사회의 빠휫른홋 변횡화에능동적으로 적응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휗된개념홪으로,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지만,장애인을 위한 진로교육의의미는 일반홆적으로 일과 직업세계를 중심으로 한 의도적,계획훥적,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각 개인이 자신의 진로를 인식횇하고 탐화색하며 이를 합홇리적으로 선택하고 준비하고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길획러 주기 위한 종합홇적인 교육활동으로,취업 전부혺터훓 성인기에 이르기까훖지 일생을 통한 가정,학교,사회의 전체적인노혽력의 결합홇이라고 할 수 있다.정철영홉(1998)에 의하면 진로교육이란횀 개인이 진로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로에적응하고 발달횺하도록 하는 데에 초점횪을 둔휬 교육으로서 각 개인이 자기 자신과일의 세계를 인식횇 및 탐화색하여 자기 자신에게 적합홇한 일을 선택하고,선택한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취학 전부혺터훓 시작하여 평훁생 동안 학교,가정,사회에서가르치횈고 지도하고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정의 하였다.따라서 장애인을 위한 진로교육이란횀 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인식횇하고,긍훧정적․적극횄적인 태도로 극횄복해 나가기 위해서 자신의 요구와 능력에 맞게 진로를- 15 -


인식횇․탐화색하여 적절한 진로를 선택하고 선택한 진로에서 요구되는 태도와 능력을 배홨양하여 사회인으로서 자신에게 적합홇한 일을 수행하면서 자립적이면서행복한 삶을 살홏 수 있도록 일생동안 수행되는 총휟체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김민훑영홉,2005).3)전환교육특수교육에서 전환(transition)이란횀 “휭학생을 한 서비스홸 요소 혹휮은 전달횺체계에서 다른홋 서비스홸 요소 혹휮은 전달횺체계로 이동시키거횧나 변횡화시키는 과정”휯으로 정의된다(김동일․김언횼아,2003).장애인은 직업기술 교육만을 받고 나면 그들이성인이 되어 독립적인 생활을 제대로 영홉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취업도 제대로 할 수 없횘게 될 가능성이 많홈기 때문에 직업 훈련뿐만 아니라 중등부혺 졸휡업 이후효의 교육,즉홶 자립생활,가정생활,사회생활,취미생활을 포횽함한 전반홆적인 분야의 기능과 기술을 교육하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전환(transition)은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전환,학교에서 지역사회로의 전환,학교에서 성인생활로의 전환 등을 나타훎낼휰 때 사용하는 용어로 장애학생의 교육에서 관심이 증홌대하고 있는 분야의 하나이다.학교는 학생의 성인생활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학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홸는 모두횜 학생의 학교 졸휡업 이후효 성인생활로의 전환을 지원하는데 초점횪을 맞춰휱야 한다.학생이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졸휡업 이후효의 성인생활을 잘 준비하면 성인생활로의 전환은 쉬휲워훵지나,그렇홻지 않훳으면 별도의 과정을 마련하여 특별한 지원 서비스홸를 제공해야 한다.일반홆학생은특별한 지원 서비스홸를 제공하지 않훳아도 성인 생활로 쉽휳게 전환하나,장애학생은성인생활로의 전환을 위해 특별한 지원 서비스홸를 필요로 한다.그러므훬로 장애학생이 학교 졸휡업 이후효 별도의 과정에서부혺터훓 이들의 성인생활을 위한 전환 서비스홸를 제공해야 한다(정동영홉,2001).4)직업,진로,전환교육 그리고 직업교육훈련과의 관계직업교육과 진로교육,그리고 전환교육은 서로 독립적인 개념홪이라기보다는 상- 16 -


호 관련된 요소를 포횽함한 협휣의의 개념홪과 포횽괄훌적 개념홪을 내포횽하고 있다고 볼휉 수있다.직업교육은 장애학생의 졸휡업 후효 직업인으로서 요구되는 직업의 기능적 능력과 더불횓어 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교육까훖지 그 범홦위에 포횽함시키고 있다.반홆면,진로교육은 장애학생의 졸휡업 후효 자신의 독립적인 삶과 연관된 진로의탐화색과 선택,그리고 수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홇적이고 전체적인 접근횦이라 할 수 있다.이와 관련한 전환교육은 직업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홪을 모두횜 포횽괄훌하는 개념홪으로서 학교과정 뿐만 아니라 학교이후효 활동으로의 이동을 증홌진하는 결과 중심의 일녀휔의 지원활동을 의미한다.여기에는 고등교육,직업훈련,통합홇고용,계속적인 성인교육,성인 서비스홸,독립생활,지역사회 참여가포횽함된다고 할 수 있다.결국 직업교육은 진로교육에 진로교육은 전환교육의 일정한 부혺분집횭합홇이고 직업교육훈련은 직업교육과 진로교육,그리고 전환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장애학생들에게 지도하는 지도전략훡이라고 할 수 있다(국립특수교육원,2003).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적 특성과 목적1)<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적 특성직업을 선택함에 있어서 개인의 적성과 개인차혹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였을 때,작업환경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고,작업할 때에도 능률훝이 향상 될 수 있다.또한 이로 인해 직장에서의 인정감홀,만족횆감홀,승휧리감홀,소속감홀,안정감홀 등을 얻휓게되고,이러한 직업생활의 만족횆이 나아가 개인적인 삶에 대한 만족횆과 행복으로이어지기 때문에 적성 및 개인 성격홷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매횉우 중요한부혺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개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은 선천횶적․후효천횶적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과 다른홋 여러 신체적․인지적․사회적 특성을 갖게 된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더욱 중요한요소가 될 수 있으므훬로 장애학생의 장애 등급홴 및 종류에 따라 직업적 특성을살홏펴홐보는 것은 장애학생들의 직업교육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17 -


또한 장애인의 직업은 직업의식횇의 결여,부혺정적인 자아의식횇,비현실적인 동기형성,경직과 행동 및 성격홷상의 견횹고성,작업 실패뛾 경험의 누회적,전이현상의 열혻약,추상능력의 제한과 정의적 부혺조화 등 직업적응에 문제를 갖고 있다고 지적하였으므훬로 장애영홉역별로 직업적 특성을 살홏펴홐보면 다음과 같다.(1)시각장애 학생의 직업적 특성시각장애 학생은 시각의 장애로 인하여 환경의 통제,이동의 제한,개념홪의 범홦위 제한이라는 기본적 손횖실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손횖실로 인해 시각장애 학생은 정안아동에 비해 정보의 습득훦이 늦훮고,개념홪 형성이 불횓완횥전하며,언횼어를 습득훦하는 과정에 있어서 시각적 모방이 불횓가능하여 언횼어발달횺이 늦훮은 인지적 특성을가지고 있다.또한 시각장애로 인해 정안자와는 다른홋 방법으로 경험하기 때문에긴휑장과 불횓만이 높횐고,자아개념홪도 다소 부혺정적인 경향이 많홈다.일반홆아동은 주위환경을 자유롭뛿게 다니면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상적인 성장발달횺을 이루게 되는데 시각장애아는 장애로 인해 방향정위와 이동의 제한성 때문에 분노혽나 열혻등감홀을 가지게 되므훬로 운동능력의 향상을 위한 조기교육이 필요하다.따라서 시각장애 학생이 자유롭뛿게 다닐뜀 수 있는 보행능력을 개발하여 보행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은 시각장애아의 직업교육에 매횉우 중요한 과정의 하나가 된다.(2)청각장애 학생의 직업적 특성청각장애 학생은 언횼어습득훦이 지체되어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열혻악혼하고,주위 사람횠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훟움이 있어 다른홋 사람횠을 이해하고 자신의 요구와가능성을 적절히 표홢현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기 때문에 고집횭성,자기중심성,내적통제의 결핍뜁,충동성 등의 부혺적응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이런 청각장애인의 인성을 분류해 보면 활동성,사려훟성,사회성,안정성,지배홨성,예홲술성 등으로 구분된 인성유형들과 비교해 볼휉 때,청각장애인은 활동성 직업(노혽동,기계조작,농횕부혺,트뜂럭뜃운전사)은 별다른홋 문제가 없횘지만 사려훟성이 깊뛵은- 19 -


직업(물리학자,인류학자,화학자,수학자,생물학자 등),사회성 직업(임혾상 심리학자,상담가,외교관,교사,목사 등),안정성 직업(출홛납뜄원,통계학자,부혺기,행정,서기 등),지배홨성 직업(판매횉원,경매횉인,정치횈가,사회사업가 등),예홲술성 직업(시인,소설가,음악혼가,극횄작가,연출홛가 등)의 직종은 그 역할 수행에 상당한 어려훟움이 있다.또한 청각장애인은 청각에 장애를 수반홆하므훬로 재해의 위험이 많홈은직업이나 청각을 사용할 일이 많홈은 직업은 바람횠직하지 못하고,의사소통 능력에있어서도 대부혺분이 수화에 의존휞하고 있는 실정이므훬로 언횼어 능력을 요구하는 인문계 전문직,공안직,사무홹직,봉뜅사 및 판매횉직 등의 직종에도 취업이 불횓가능하다.따라서 청각장애 학생이 올뛱바른홋 직업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장애특성과 신체적 조건홄에 따른홋 진로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 교사가 취업 전 또는 취업 후효에도 지속적인 진로상담을 해야 할 것이다.(3)정신지체 학생의 직업적 특성정신지체 학생의 직업교육 목적은 다른홋 장애인들과 마찬뜆가지로 생활의 자립을 확보하기 위함이며,학교졸휡업 후효 직업을 갖게 됨뜇으로써홽 자신과 가족횆의 생활자원을 획훥득훦함과 동시에 사회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고,삶의 보람횠과 성취감홀도동시에 얻휓을 수 있다.이렇홻게 직업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홉위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건홄으로서 한 개인의 사회적 지위의 근횦거횧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기존휞중과 자기 개념홪의 핵횷심이 되면서 인간의 자아실현 욕홊구를 충족횆시키는 주요수단이 된다.일반홆적으로 정신지체학생들은 지적인 결함뿐 아니라 운동능력,상호작용 능력등에 장애를 가지며,주의집횭중력의 결핍뜁,단기기억휤의 결함,전이와 일반홆화의 곤뜈란횀,언횼어매횉개 기능의 열혻약한 특징횰을 가지고 있고,이로 인해 적응행동의 결함,좌뜉절과 거횧부혺의 누회적으로 인하여 성공 지향적이라기보다는 실패뛾 회피훶적인 특성등을 지니고 있어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능의 획훥득훦이나 직업생활의 적응 등에어려훟움을 겪훷게 되기도 한다.그러나 정신지체 학생의 직업적응이 가능함에도 불횓구하고,직업생활에 필요한- 20 -


제반홆기능을 획훥득훦하지 못하거횧나 직업적응에 실패뛾하는 것은 유아기 때부혺터훓 개방적이고 통합홇적인 사회화 과정을 체험하지 못하면서 사회에 대한 적대적․단절적 태도가 사회적 역할에 관련된 행동적 소질을 충분히 개발하지 못하게 되고.학습초기의 잦뛽은 실패뛾경험이 폐훆쇄뛼적,단절적,의존휞적인 성격홷의 자아개념홪을 형성하기 때문이다.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목적특수교육의 궁횒극횄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에게 개별적인 특수한 요구에 맞는 교육적 서비스홸를 제공하여 독립적인 성인생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횎는데 있다면,<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은 학생의 졸휡업 후효 고용기회를 통해 정상적인 생활을 영홉위하는 것과 직결되는 중요한 것으로 교육과정들은 장애학생이 학령훜기동안 받아온뜊 특수교육의 성과를 나타훎내는 중요한 지표홢가 될 것이다.이승휧미(2001)가 제시한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목적은 첫째,직업에 <strong>관한</strong> 교양 교육적 기초 능력을 길획러 일상생활,특히 의식횇주 생활에 기초가 되는 기본적인 지식횇과 기술,태도를 기르고,여러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며,둘째,개인의 직업선택 기회를 확대시키고,셋째,산홁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데있다고 할 수 있다.또한 교육부혺(1993)는 특수아동을 위한 직업 진로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제시하고 있다.첫째,특수아동을 돕횎기 위해 직업 진로교육의 근횦거횧로써홽 자기 자신과 타훎인을 존휞중하는 실질적인 자아개념홪을 개발하고,둘째,적합홇한 직업진로및 진로지도,상담과 배홨치횈를 특수아동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담자,교사,부혺모,지역 자원인사들을 활용하고,셋째,급홴변횡하는 사회에서 특수아동들의 흥횊미와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직업 외적인 일,가정에서 해야 할 일,시민훑으로서 행해야할 일 등을 알고 올뛱바르게 인식횇하는 것을 돕횎고,넷째,신체적,심리적,경제적조정이 특수아동의 직업 진로교육 요구에 기여하도록 제공하며,다섯홎째,모든횤피훶험자들에게 진로교육 개념홪을 인식횇시키기 위해 초기 아동기부혺터훓 중학교까훖지모든횤 교육장면에 특수아동의 교육과정이 있고,여섯홎째,학교를 떠뜋날휌 때에는 적- 21 -


당한 기술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하며,일곱뜌째,월뜍급홴에 관계없횘이 광범홦위한 직업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여덟뜎째,개인의 흥횊미와 태도에부혺합홇하는 직업을 교려훟할 수 있도록 직업탐화색 경험을 제공하며,아홉뜏째,특수한개인에게 광범홦한 기회를 포횽괄훌한 직업선택의 연속을 위해 직업준비에 따른홋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열혻째,학교와 공동체의 협휣동적인 노혽력으로 특수아동의 성공적인 직업적응을 보장될 수 있도록 돕횎는다.이상에서 보았횩듯뜐이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직업교육은 직업을 갖기 위한 것이기도하지만,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 노혽력해야 하는 필수요소라고도 할 수 있다.- 22 -


제 3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strong>직업교육의</strong> <strong>활성화</strong> 요인1.<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사1)특수학교의 직업교사특수교육은 장애학생의 특성에 적합홇한 교육과정,교육방법,교육매횉체를 통하여 교과교육,치횈료교육,그리고 직업교육 등을 실시하는 것을 말휛하는데,여기에서는 직업교육에 관련된 직업교사에 대해 알아보겠뜑다.(국립특수교육원,2003).직업교육교사들이 장애학생의 전환과정에서 담당할 역할은 직업기술을 사정(assessment)하는 교사 자작 작업표홢본이나 검훺사를 시행하고,행동평훁가척홃도나 체크횻리스홸트뜂의 완횥성을 통해 학생의 사회적/대인간 기술과 작업습관에 <strong>관한</strong> 정보를제공하며,학생의 전반홆적인 직업준비도에 <strong>관한</strong> 정보를 제공함으로써홽 직업평훁가자료를 수집횭하는 것을 지원한다.그리고 자기자각,의사결정,학생들이 받고 있는 직업훈련에 영홉속적인 직업의 요구와 욕홊구의 인식횇을 촉홒진하는 활동들,예홲컨횑대현장학습,초청연사,모의작업 등을 개발하며,자기주장과 자기결정의 의식횇을 획훥득훦하도록 학생을 지원한다.뿐만 아니라 이들의 직업훈련에 학업기술,사회적/대인간기술 및 독립생활 기술의 교수를 통합홇하며,직업훈련 프로그램과 직업에서 성공적인 기능에 필요한 특정 학업적․직업적 기술과 능력에 <strong>관한</strong> 정보를전환계획훥 팀뜓에 제공하고,특별한 직업영홉역에서 학생의 태도와 흥횊미를 평훁가하고학생의 직업탐화색을 촉홒진하기 위해 지역에서 개발된 작업표홢본이나 상황홭평훁가기법의 개발과 이용을 지원하며,학생들이 학습하고 있는 것과 진로대안과 직무홹책홗임혾의 넓은 범홦위간의 연계를 하는데 학생을 지원한다.또한,직업교사들은 특정 훈련영홉역에서 학교와 지역업체와 유대관계를 <strong>활성화</strong>하며,학생들의 직업욕홊구에 관하여 일반홆교사,특수교사 및 부혺모들과의 상담,학교 내와 지역사회 중심의 직장경험 현장을 확인하는 것을 지원하며,학생의 직업배홨치횈와 현직훈련(on-the-job training)을 지원하고,IEP 팀뜓과 ITP 팀뜓에 참여하여 전환 목표홢를 개발하는데 있다고 한다(Levinson,1998).- 23 -


2)특수학급홴의 직업교사특수학급홴은 일반홆학교에서의 교육으로는 충분한 효홙과를 기대하기 곤뜈란횀한 학생을 위하여 편횸제된 학급홴으로 일반홆학교의 교육과정과 특수학교의 교육과정을 토훻대로 학생의 장애상태나 특성 등을 고려훟하여 재구성하여야 하고,<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위한 특수학급홴의 경우에는 별도의 교육과정을 편횸성하여 운영홉하게 된다.한편횸,특수학급홴의 직업교사의 어려훟운 상황홭의 하나는 중학교 특수학급홴에서 진학위주로 수업을 하여야 하고,신규환 특수교사들이 교육과정이 제대로 준비되지않훳은 상황홭에서 특수학급홴에 대한 직업교육을 계획훥하고 실행하여 하며,취업까훖지담당해야 한다는 것이다.또한,교육과정의 전반홆적인 편횸성 책홗임혾자는 교장이지만,실제의 편횸성자는 특수교사로 교사자신의 판단이 특수학급홴의 교육을 좌뜉지우지할 수 있어서 매횉우 중요하며,교사 자신의 자주적 판단으로 교육과정을 편횸성할 수 있는 여지가 크횻다고할 수 있겠뜑다.2.<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내용특수학교는 일반홆학교에 준하는 교육 및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횇․기술의 습득훦과 사회적응을 위한 교육에 목적이 있는 반홆면에,특수학급홴은 통합홇교육(특수교육)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훬로,각각의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내용에 대해 살홏펴홐보고자 한다.1)특수학교의 직업교육 내용우리나라 특수학교 교육과정상 직업 교과목을 장애특성에 맞게 도입휗된 것은1983년 12월뜍 31일 교육과정부혺터훓이다.이때 각 장애별 직업 전문 교과명횮을 보면시각장애는 이료,청각장애는 인쇄뛼,공예홲,요업,목공,제화,자수·편횸물,제복,양재·한재,이용·미용,응용미술,농횕업,원예홲,축홍산홁,기타훎,지체부혺자유는 전자,요업,인쇄뛼,시계수리,목공,공예홲,제화,양재·한재,자수·편횸물,축홍산홁,원예홲,기타훎로 하- 24 -


여 운영홉하다가 1989년 12월뜍 29일에 교육과정을 전면 개정하여 고시하게 되었다.각 장애 영홉역별 직업 전문교과를 보면 시각장애는 이료,청각장애는 목공예홲,도자기공예홲,상업미술,인쇄뛼,자수·편횸물,한재·양재,원예홲,축홍산홁,전산홁이고,지체부혺자유는 전자조립,컴뜖퓨뜗터훓,조립·포횽장,판매횉,시설관리,원예홲,사육,기타훎로 편횸성하여 지금혿까훖지 운영홉해 오고 있다(정재권홺,2000).제7차혹 교육과정이 1998년 6월뜍 30일에 고시되어 시각·청각·지체부혺자유학교의직업교과목이 공통으로 공예홲,포횽장·조립·운반홆,농횕업,전자조립,제과·제빵뜘,정보처리,상업디횳자인,이료로 편횸성되어 2003년 3월뜍 1일에는 고등부혺 2학년이,2004년3월뜍 1일에는 고등부혺 3학년부혺터훓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국립특수교육원(2003)에 의해 고시된 제 7차혹 특수학교 교육과정 중에서 국민훑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직업교과를 중심으로 한 운영홉<strong>방안에</strong> 대해 살홏펴홐보면 다음과 같다.(1)공예홲도자기공예홲,목공예홲,금혿속공예홲,섬뜙유공예홲의 작업을 통해 올뛱바른홋 작업 태도를기르고,미적 감홀각을 향상시키며,적성에 맞는 기능과 소질을 계발하여 직업 선택을 위한 기초 작업 능력을 기른홋다.1 도자기공예홲,목공예홲,금혿속공예홲,섬뜙유공예홲의 직업에 <strong>관한</strong> 기초 개념홪을 이해한다.2뜚 도자기공예홲,목공예홲,금혿속공예홲,섬뜙유공예홲의 기초 작업과 단계별 작업을 통해 기능을 익훏힌뜛다.3뜜 도자기공예홲,목공예홲,금혿속공예홲,섬뜙유공예홲의 작업을 통해 올뛱바른홋 작업태도를기른홋다.(2)포횽장․조립․운반홆포횽장․조립․운반홆 분야에 <strong>관한</strong> 기본적인 지식횇의 습득훦과 기능의 연마를 통해직업 적응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 작업 능력과,생산홁성을 향상시킬뜝 수 있- 25 -


는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켜홅 직업 기술인으로서 바람횠직한 태도를 가진다.1뜞 포횽장·조립·운반홆 분야의 작업에 <strong>관한</strong> 기초 개념홪을 이해한다.2뜚 포횽장·조립·운반홆 분야에 종사할 수 있는 기초 작업 능력을 익훏힌뜛다.3뜜 포횽장·조립·운반홆과 학습을 통해 장래훾 직업 기술인으로서의 올뛱바른홋 태도를가진다.(3)농횕업농횕업은 인류의 생존휞에 필요한 식횇량횋 생산홁을 목적으로 하는 중요한 산홁업 분야임혾을 인식횇시켜홅 그 기본 지식횇과 기능을 익훏히고,이를 바탕으로 작물 재배홨 및 가축홍 사육에 대한 새훴로운 정보를 습득훦하게 하여 직업인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을기른홋다.1뜞 농횕업에 <strong>관한</strong> 기본 지식횇과 개념홪을 이해한다.2뜚 작물의 재배홨 및 가축홍의 사육 과정과 기능을 익훏힌뜛다.3뜜 직업인으로서 바람횠직한 태도를 기른홋다.(4)전자 조립전기 전자 기초 이론홥과 응용 이론홥을 알고,전자 장비의 사용법과 고장 수리법을 익훏혀횛 일상생활에 응용하며,모든횤 생산홁 공정에 폭휜넓은 지식횇을 적용하고 생산홁성 향상에 기여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인을 기른홋다.1뜞 기본적 기술과 이론홥을 익훏히고 다양하고,폭휜넓은 기초 능력을 기른홋다.2뜚 창의적 기술 연마와 생산홁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익훏힌뜛다.3뜜 확고한 직업관을 가진 직업인으로서 긍훧지와 자부혺심을 갖는다.(5)제과․제빵뜘제과·제빵뜘에 대한 기본 개념홪과 지식횇을 이해하고 작업과정에 따른홋 기능을 습득훦하여 이를 효홙율홚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획러 직업인으로서의자질과 능력을 기른홋다.- 26 -


1뜞 제과·제빵뜘에 대한 기본 개념홪을 이해한다.2뜚 제과·제빵뜘에 대한 기초 지식횇과 기능을 익훏힌뜛다.3뜜 직업인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른홋다.(6)정보 처리컴뜖퓨뜗터훓와 그 활용에 대한 기초 지식횇과 기능을 습득훦하고,이를 직업 생활 속에서 효홙율홚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며,직업인으로서의 소양을갖는다.1뜞 컴뜖퓨뜗터훓의 구성과 원리에 대한 기본 개념홪을 바르게 이해한다.2뜚 컴뜖퓨뜗터훓 활용에 <strong>관한</strong> 기초적인 기능을 익훏히고,컴뜖퓨뜗터훓를 도구로 활용하여다양한 정보를 관리·생산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홋다.3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인 사고력을 기른홋다.4뜟 컴뜖퓨뜗터훓의 세분화된 영홉역에 대한 기술을 습득훦하여 직업 현장에서 적응한다.(7)상업 디횳자인시각 디횳자인 분야에 대한 기본 지식횇과 기능을 폭휜넓게 익훏히고 이를 토훻대로 하여 기초 작업 능력을 배홨양하며,미적인 구성력과 표홢현 능력을 습득훦하여 상업 디횳자인의 제 분야에서 실무홹를 수행할 수 있는 직업인으로의 자질과 능력을 기른홋다.1뜞 시각 디횳자인에 대한 개념홪을 파횯악혼하고,구성의 기본 요소와 원리를 이해한다.2뜚 시각 디횳자인에 대한 조형 감홀각과 표홢현 능력을 익훏혀횛 주제에 대한 이해와특징횰,제작 방법 등을 다양하게 습득훦하여 디횳자인 기법에 적용한다.3뜜 시각 디횳자인에 대한 다양한 지식횇과 이론홥의 실습 과정을 통하여 실무홹 능력을 익훏혀횛 상업 디횳자인 분야의 직업인으로서,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태도를 기른홋다.- 27 -


(8)이료이료과 교육은 의학의 과학적 근횦거횧를 바탕으로 안마,마사지,지압휥,전기치횈료,침뜠구 등의 이료 시술에 <strong>관한</strong> 지식횇과 기술을 습득훦하여 자활·자립할 수 있는 기능을 기른홋다.1뜞 이료술에 <strong>관한</strong> 지식횇과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훦하여 임혾상에 활용할 수 있는능력과 태도를 기른홋다.2뜚 이료술의 과학적 근횦거횧를 이해하여,그 개선과 발전에 힘휴쓰뜡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홋다.3뜜 이료술의 사회적 의의를 이해하여 뜢의료 유사업자뜣로서의 사명횮감홀을 유념홪하면서 국민훑의 건홄강 유지 증홌진과 질병훀의 예홲방 및 치횈료에 이바지할 수 있는능력과 태도를 기른홋다.또한 직업과 교과서는 제1권홺 직업생활,제2권홺 직업준비,3권홺 직업기능으로 구성된다.직업생활은 개인생활과 사회생활영홉역을,직업기능은 학교생활과 지역사회생활영홉역을,그리고 직업기능은 경제생활과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다.각권홺의 생활영홉역에서 하위영홉역을 정하고,그 하위영홉역에서 과제를 선정하여 과제의난뛸이도에 따라 배홨열혻한다.국립특수교육원(2003)에서 제시한 직업교과서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체계를영홉역과 하위영홉역을 기준으로 살홏펴홐보면 다음 와 같다(국립특수교육원,2003).- 28 -


직업과 내용체계영홉 역 하 위 영홉 역직업 Ⅰ뜤 :직업생활1.개인생활2.가정생활직업 Ⅱ뜧 :직업준비3.학교생활4.지역사회생활직업 Ⅲ뜩 :직업기능5.경제생활6.여가생활자료:국립특수교육원(2003)-단정한 몸뜥차혹림뜦-적절한 대인관계 유지하기-전화예홲절 익훏히기-금혿전 관리하기-감홀각기관의 정보활용-직무홹관련 신체기능 강화-직무홹관련 기초학습 기능-기본적인 작업도구 다루기-직업 탐화색-출홛퇴뜨근횦 기능-직업생활의 규환율홚과 태도-직업기능 익훏히기청소간단한 음식횇 조리화초 및 채횬소단순한 조립물품홂 판매횉 보조사무홹 보조-현장 실습-여가생활 참여특수학교의 기본교육과정은 교과․치횈료교육활동․재량횋활동․특별활동으로 구분하며, 국어․수학․과학․건홄강․예홲능․직업으로 교과를 구분한다(교육부혺,1998).이런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에서 직업교과는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에서 적용하도록 규환정한 교과인데,중학교 과정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시간1,088~훢1,156시간 가운데 340시간,고등학교 과정의 경우에는 전체 교육과정 운영홉시간 1,156~훢1224시간 가운데서 408시간을 배홨당하도록 규환정되어 있다(교육부혺,1998).이는 정신지체학교와 정서장애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운영홉시간의 1/3을- 29 -


직업교육에 배홨당하도록 규환정한 것으로 특수학교 중․고등부혺의 경우 다른홋 교과보다 직업교과에 더 많홈은 비중을 두횜도록 한 규환정이다(김민훑영홉,2005).그러나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은 학생의 진로발달횺 단계에서 중학교 과정의 학생을 위한 진로안내나 진로탐화색 보다는 고등학교 과정의 학생을 위한 진로준비에 더 많홈은 비중을 두횜고 목표홢를 설정하고 있으며,장애학생의 학교 졸휡업이후효 성인생활의 삶의 질 제고에 필요한 모든횤 목표홢보다는 직업에 한정된 목표홢를 설정하고 있다.특수학교 고등부혺 졸휡업예홲정자 실태조사 보고서(1998)에 따르면,현재 특수학교에서 실시중인 직업교육이 취업을 하는데 있어 다소 비현실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특수학교 직업과 교육과정은 사회생활 기능,직업준비기능,직업기능의 영홉역으로 나누회어지는데,각 영홉역별 목표홢는 와 같다. 특수학교 직업과 교육과정 영홉역별 목표홢영홉 역 목 표홢사회생활기능직업준비기능직업기능직업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 생활 기능을 익훏히고 바람횠직한상호관계를 유지한다.직무홹 관련 기초 기능과 직업 태도를 통하여 직업 활동에 필요한직업준비 기능을 갖춘휘다.작업 기능 및 작업 수행 기능을 통하여 단순 작업을 요구하는 직종의 직업 활동을 한다.2)특수학급홴의 직업교육내용특수학교는 일반홆학교에 준하는 교육 및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횇․기술의 습득훦과 사회적응을 위한 교육에 목적이 있는 반홆면,특수학급홴은 통합홇교육을 실시하는데 그 설치횈의 목적이 있다고 하겠뜑다.사회의 적응과 참여를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목표홢로 설정하고,직업생활 태도에 중점횪을두횜어 지도하고 있는데 직업교육 내용은 직업교육 프로그램 중 작업학습 프로그램을 주로 실시하고 있으며,자립기능과 직무홹관련 기능영홉역에 중점횪을 두횜어 지도- 30 -


하고 있다.직종선택은 학교의 방침뜠과 교사의 판단으로 적절하게 선택하고 있으며,직종선택을 위한 개인별 직업적성평훁가 보다는 대체로 개인의 지능수준과 직업능력을 동시에 고려훟하여 선정되고 있는 실정이다.특수학급홴에서 가장 중점횪을 두횜는 직업교육 내용은 1뜞 직업생활태도,2뜚 대인관계 기술,3뜜 구체적인 직업기능,4뜟 직업관련 지식횇 순으로 나타훎났훤고,특수학급홴에서 사용하고 있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은 1뜞 작업학습 프로그램,2뜚 작업실습 프로그램,3뜜 보호 작업장 중심 프로그램,4뜟 전문 직업훈련 중심프로그램으로 나타훎났훤다(김민훑영홉,2005).앞훱의 교육내용을 보았횩듯뜐이,특수학급홴 학생들은 정신지체와 중복장애의 중증홌장애 학생이 다수를 차혹지하고 있어 실업계 전공과목을 이수할 만큼휒의 인지력을보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교육목표홢 설정에 있어서도 생활적응 능력이 최우선 과제가 되고 있고 구성원의 특성상 지적 학습은 이차혹적 과제이며 원활한 생활능력이 교육적 관건홄이 되고 있다.3.<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훈련특수교육의 궁횒극횄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이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며의미 있는 생활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직업교육훈련은 모든횤 사회구성원에게 노혽동을 통해 인간다운 생활을 영홉위할 권홺리를 보장하는 것으로 직업교육훈련의 <strong>활성화</strong>는 이들의 직업교육훈련참여를 촉홒진하여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획훥득훦케뜪 하고,사회구성원으로서 정체성을 갖게 하는 통합홇적 기능을 한다고 볼휉 수 있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직업교육훈련의 내용은 학교의 지원유형에 따라 달횺라져야 하며,일반홆적으로 특수학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훈련과정들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국립특수교육원,2003).1)교내 작업기술 훈련- 31 -


교내 작업훈련은 지역 내 취업 대상업체에서 취급홴하는 생산홁품홂을 이용하여 교내에서 작업훈련을 할 수 있다.이와 같은 작업훈련은 교실 수업분위기와는 다르게 운영홉되어야 한다.작업장에서 지켜홅야 할 규환칙과 질서,책홗임혾량횋 등을 엄뜫격홷하게 지켜홅서 훈련할 필요가 있다.학생의 개별 특성이나 능력에 맞는 교내 작업훈련시설이나 훈련내용이 여의치횈 않훳은 경우 관련 있는 보호작업장이나 복지관 또는 직업훈련원과 같은 지역사회시설과 연계할 수 있다.2)교내-현장병훀행 훈련교내 실습과 취업할 업체의 훈련을 병훀행하여 실시한다.오전시간은 학교에서취업에 필요한 공부혺나 작업훈련을 하고,오후효에는 업체나 훈련기관 또는 학원으로 이동하여 훈련을 받는다.이때 학생 혼훲자 가서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직업담당교사나 담임혾이 동행하여 지원을 할 수 있다.실습 중 직장생활의 적응에필요한 기능이나 부혺적응행동 등을 기록하였다가 교내 실습시간을 이용해 중점횪적으로 훈련을 시킨휃다.3)실습위주 훈련교내-현장 병훀행 훈련이 어느홾 정도 적응이 되면 일정한 훈련기간 동안 학생을업체에 파횯견횹하여 출홛․퇴뜨근횦부혺터훓 작업기능 훈련까훖지 전반홆적인 적응훈련을 실시한다.실습위주의 훈련은 학생이나 회사의 특성에 따라 개별 배홨치횈,혼훲합홇 배홨치횈,균훫질집횭단 배홨치횈 등이 고려훟되어야 한다.훈련은 학교의 직업담당 교사가 지원을 주도하여야 하지만,공단직원이나 업체 내 직업상담원(회사 내 책홗임혾자)들의 지원내용이 많홈아지도록 한다.4)업체주도 적응훈련업체주도 훈련은 학교 지원에서 회사 주도 훈련 비중을 높횐인 것으로,회사의정식횇직원으로서 갖춰휱야 할 직무홹수행 기능과 태도 등을 훈련한다.회사에 따라체계적인 절차혹를 통하여 훈련하는 곳뜬도 있지만 비체계적인 절차혹나 형식횇으로 이- 32 -


루어지는 곳뜬이 많홈다.학교에서는 장애학생이 직장 적응 과정을 정규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업체담당자와 부혺모 및 공단직원과 수시로 연락휶하며 확인하여야 한다.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직무홹기능과 태도 등을 업체에서 평훁가한 후효 학생의특성을 잘 파횯악혼하고 있는 학교나 부혺모의 지원을 받고,훈련의 대부혺분은 회사에서 적응훈련을 주도한다.일정기간 직무홹적응 훈련을 실시한 후효 장애인의 능력에맞게 직무홹배홨치횈를 하고,회사 내 배홨치횈 방법에 있어서도 장애인과 비장애인 동료와 함께훯 배홨치횈하여 기술을 익훏히는 일대일 개별배홨치횈와 여러 명횮 가운데 배홨치횈하는혼훲합홇배홨치횈,장애인끼휎리 두횜는 균훫질집횭단 배홨치횈 등을 고려훟하여야 한다.훈련 방법은목표홢 정해주기,개별지도,단순한 것부혺터훓 단계적 지도,현장 지도,환경을 고려훟한 훈련,비교하기,단순과제,설명횮-시범홦-시킴뜭-반홆복,보상하기 등의 방법이 효홙과적인 것으로 나타훎났훤다.4.<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시설장애 학생들의 직업교육이 졸휡업 후효 사회․경제적 독립으로 연관되어 있기에,이러한 장애학생들의 효홙율홚적인 직업재활을 위해서 학교․지역사회․장애인직업재활기관과의 긴휑밀훞한 협휣력관계가 절실히 요구된다.오혜횵경(2001)에 의하면 직업재활은 심신의 결함을 지닌횟 장애인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직업적,경제적능력을 최대한 찾뜮고 길획러줌뜯으로써홽 일할 권홺리와 의무홹를 정상인과 똑뜰같이 갖게하는 것이며,장애인들의 성공적인 사회통합홇을 위한 최대의 과제인 자립생활을영홉위하도록 하는 것이 장애인 재활사업 중 가장 중요한 핵횷심과제로 중요한 요소라고 정의하였다.Hagner,Cheney & Maloy(1999)는 정서장애인의 재활에 대한 프로젝뜳트뜂인Project RENEW(Rehabilitaion,Empowerment,Natural Supports,EducationandWork)에서 직업재활에 있어 3가지 중요한 의미를 제공하였는데,첫째는 내담자 중심 진로계획훥을 중요성으로 전통적인 평훁가도구를 사용하지 않훳고 직업재- 33 -


활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소망횃을 판별하고 이를 기초로 자원을 제공하였다는 점횪,둘째는 직업재활과 특수교육/성인서비스홸기관의 자원을 연계하여 협휣력적인 기관간 전환기교육 계획훥을 수립하였다는 점횪,셋째는 유연성을 가지고 서비스홸를 실행한다면 내담자가 다양한 진로와 직업을 경험할 수 있어 보다 성공적인 결과를얻휓을 수 있다고 보고했횏다(안태희횂,2003).여기에서는 이런 직업교육을 위한 직업시설을 직업재활시설 중심으로 살홏펴홐보기로 하겠뜑다.1)보호작업장(1)보호작업장의 기능과 역할보호작업장은 직업재활과정에서 중도장애인들을 위해서 최초로 제공되는 서비스홸 항뜷목으로,선진국에서는 훈련과 고용기능 중 어디횳에 중점횪을 두횜는가에 따라두횜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지만,우리나라는 아직까훖지 이 두횜 가지 유형 중에 어느홾것에도 속하지 않훳는 불횓분명횮한 입휗장에 있으며,장애인의 재활과 사업성 추구하는이원적인 많홈은 어려훟움을 겪훷고 있는 실정이다(안병훀즙뜸 외,1984).박훐석돈휠(2001)이 제시한 보호작업장이란횀 일반홆고용이 어려훟운 중증홌 장애인의 취업을 위해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이 기간 동안 일거횧리를 제공함으로써홽 전인격홷적인 발달횺과 안정된 직장생활을 영홉위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재활기반홆을 도모하여 보다 폭휜 넓은 고용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작업장을 말휛한다.즉홶,장애의 특성이나 정도에 있어서 경쟁뜹고용이 곤뜈란횀한 장애인에게 개별화된 직업목표홢와 통제된 작업환경 속에서 보수가 있는 작업이나 작업 경험 및 관련서비스홸들을 제공하는 직업시설로 정의 되어질 수 있다.이러한 목적을 달횺성하기 위해 보호된 환경에서 고용과 근횦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임혾금혿을 지불횓하며,장애인 근횦로자의 생산홁성과 작업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직업적응훈련 및 직업상담,작업평훁가,사회적응훈련을 실시하는 한편횸,보호고용을 통하여 특정 공과를 훈련하거횧나 지역사회의 사업체에서 현장훈련의 기회를제공하여 직업훈련 및 지역사회 통합홇고용을 위한 지원고용을 실시하게 된다.보호작업장은 보통 직업 전 훈련시설이라고 하지만 동시에 직업훈련의 성격홷- 34 -


을 중첩뜺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일반홆적으로 제빵뜘,제과,정보처리 등과 같은 생산홁관련기술을 구체적으로 훈련시키는 작업장은 극횄소수에 불횓과하고나머뜻지 대부혺분은 도예홲,목공,수예홲 등과 같은 직업훈련이라기보다는 구체적인기술 습득훦 이전에 필요한 손횖의 섬뜙세한 기능을 향상시키는 직업 전 훈련의 성격홷을 많홈이 띠횲고 있기 때문이다.일반홆적으로 보호작업장은 지향하는 목적에 따라 약간의 차혹이는 있으나,전금혿면(2005)은 대부혺분의 보호작업장이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횰이 있다고 하였다.첫째,보호작업장의 기본 목적은 보수가 있고,다양한 재활․심리사회적 서비스홸,레뜼크횻리에이션뜽 등을 병훀행해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둘째,보호작업장은고용된 장애인들의 이익훏을 먼홑저 고려훟하여 다양한 사업 기회를 만들어야 하며,셋째,보호작업장은 상품홂의 생산홁적 측훨면을 강조하는 고용역할과 훈련과 재활에초점횪을 맞추는 운영홉의 이원성이란횀 특성을 갖고 있지만,상호 배홨타훎적이지 않훳고조화로운 하나로 조합홇되어 있다 .요약컨횑대,지역사회에서는 보호작업장의 자가생산홁품홂을 구매횉하고,자원봉뜅사활동을 통해 보호작업장을 후효원하며,보호작업장은 장애인 근횦로자에게 생산홁활동을통한 고용기회와 직업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함과 동시에,여기에서 생산홁되는 물건홄들을 지역사회에 판매횉하고,일부혺 구성원을 지역사회 업체에 취업시킴뜭으로써홽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게 해야 한다.(2)보호작업장의 유형 및 역할2000년에 보호작업시설과 근횦로작업시설을 합홇하여 총휟 172개소의 보호작업장이운영홉되고 있다.보호작업장은 일반홆적으로 중증홌장애인을 대상으로 유상의 직업제공과 직업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훈련시킴뜭으로써홽 고용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아니라,교사․전문기술자․자원봉뜅사자가 함께훯하는 개방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사회통합홇 및 시민훑의식횇 계몽뜾 등을 통한 자립능력을 증홌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일반홆적으로 보호작업장의 유형은 최저임혾금혿과 장애정도에 따라 정규환작업장과- 35 -


작업활동센뜿터훓,평훁가․훈련작업장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정규환작업장은 최저임혾금혿의 1/2이상을 발휘할 수 있는 장애인들을 위해 설립된 작업장을 말휛하고,작업활동센뜿터훓는 심신의 장애가 너훘무홹 심하여 최소한의 작업생산홁성이 기대되어지는장애인들을 위하여 마련된 작업장으로 최저임혾금혿에 대한 보장은 없횘으나 어떠뜋한객띀관적인 자격홷기준을 충족횆하는 치횈료적 활동을 제공하는 작업장을 말휛한다.평훁가․훈련작업장은 장애인의 직업 혹휮은 작업 잠횅재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작업을 매횉개체로 활용하는 작업장으로 최저임혾금혿에 대한 보장은 없횘으나 최저임혾금혿의1/2미만을 받을 경우는 직업재활 당국의 사전 허뛹가를 받아야 한다.이처럼 보호작업장은 많홈은 장애학생들에게 최종적인 직업배홨치횈 장소가 되고,다른홋 문헌들을 살홏펴홐본 결과,대다수의 발달횺장애학생들도 여러 유형의 보호작업장 기술을 습득훦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Belamy,Horner,& Inman,1979).또한 Nelson(1971)은 작업장이 중점횪을 두횜고 있는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다섯홎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첫째,경제적 유형은 구체적인 작업경험을제공함으로써홽 기본적인 기준에 맞게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둘째,건홄강서비스홸 유형은 작업을 통해 심신의 건홄강상태와 기능을 유지․증홌진시키는데중점횪을 두횜는 것으로 일반홆고용이 어려훟운 중증홌장애인,만성질환자,노혽인들이 대상이 됨뜇,셋째,임혾상․치횈료적 유형은 정신병훀원에서 개인의 기능 통합홇을 위해 활용되는 유형으로 작업행동의 변횡화를 위한 직업적응훈련이나 일반홆적인 행동변횡화를위한 행동수정방법을 사용함,넷째,교육․훈련유형은 아동기,청년기 동안 사회관계 및 교육의 혜횵택을 받지 못하여 생활이나 일의 기본기술을 습득훦하지 못한사람횠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다섯홎째,사회서비스홸 유형은 개인의 사회적 목적달횺성이나 생활의 여러 측훨면의 문제해결을 위해 작업환경을 활용하는 것이다.이상과 같이 보호작업장의 유형은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지만,근횦본적인 보호작업장의 역할은 직업재활시설로서 장애인의 문제와 심각성을감홀소시키도록 도우며,또한 장애인이 경쟁뜹고용에 배홨치횈될 수 있도록 준비시켜홅 반홆드띂시 보수가 지급홴되는 보호고용이 제공되어야 한다(Greenleigh AssociatesInc,- 36 -


1976).또한 보호작업장은 작업경험을 통해 직업준비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행동결함을 수정하는 직업적응훈련과 기술훈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동시에 다른홋 서비스홸를 효홙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Wright,1980).즉홶,보호작업장은 훈련,교육,고용 등 다양한 방법 등을 동원하여 중도장애인들의 직업재활을 위한 경쟁뜹고용 및 보호고용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장애인복지관(1)장애인복지관의 기능과 역할장애인복지관은 헌법 제 34조 2항뜷의 “휭모든횤 국민훑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홺리를 가진다”휯는 선언횼의 실현을 위하여 장애를 가진 사람횠들이 보다 바람횠직한 조건홄에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이를 위하여 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킴뜭과 동시에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사회 환경을 변횡화시키기 위해,각 지역사회마다 운영홉하고 있는 사회복지기관을 말휛한다(전금혿면,2005).이곳뜬은 주로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전문재활기관으로 장애인의 재활과 관련된 종합홇적인 재활서비스홸를 제공하며,장애에 대한 각종 인식횇개선사업을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서 인간다운 삶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관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시행하고 있다.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복지법 제49조,50조 및 동법 시행령훜 제33조,제36조에의거횧하여,지역사회의 가정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의 사정과 평훁가,직업재활,특수교육,의료재활 등의 종합홇적인 재활서비스홸를 제공함으로써홽,지역 장애인의 자립 복지증홌진을 도모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기관을 말휛하는데,장애인의 다양한 복지 욕홊구해소와 장애발생 예홲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1뜞 장애인의 사회적응과 복귀휀를 위한 재활서비스홸센뜿터훓의 기능2뜚 장애예홲방과 대중 계몽뜾을 위한 사회교육센뜿터훓의 기능- 37 -


3뜜 지역사회내의 전반홆적인 서비스홸의 조정과 관련된 통제조정센뜿터훓로서의 기능4뜟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종합홇센뜿터훓로서의 기능5띄 재활환경의 조성과 자원동원을 위한 지역사회 조직과 자원동원센뜿터훓 및 사회운동센뜿터훓로서의 기능(2)장애인복지관의 사업내용전국 131개의 장애인복지관의 주요 사업내용을 유목별로 살홏펴홐보면,장애인 진단판정사업을 비롯띅해 의료재활사업,교육재활사업,직업재활사업,사회심리재활사업,재가장애인 복지사업,여성장애인 복지증홌진사업,사회교육사업,지역사회자원개발사업,각종 홍띆보 및 계몽뜾사업,조사<strong>연구</strong>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는데,지역특성이나 장애유형에 따라 같은 항뜷목의 사업이라 하더라도 다소 많홈고 적음의차혹이만 있을 뿐,대부혺분 이러한 유목 속에 포횽함된 내용들을 적절히 가감홀하여 지도하고 있다.그 중에서도 특히,정신지체특수학교 전공과와 상호보완횥적인 입휗장에서 적절히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는 사업들을 살홏펴홐보면,의료재활,교육재활,직업재활,사회심리재활 및 여가활동지원과 같은 사업들이 포횽함될 수 있는데,그 중 일부혺는 정신지체와 같은 발달횺장애와는 관계없횘이 다른홋 장애영홉역 중심으로주요 사업들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이들 사업내용들을 세부혺적으로 살홏펴홐보면,첫째,의료재활사업은 장애인의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각종 의료재활서비스홸를 제공하는 것으로 주로 언횼어치횈료나 물리치횈료,작업치횈료 등을 중심으로 한 주요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대부혺분 각종 검훺진이나 장애예홲방을 위한 간단한치횈료 및 요양시설을 겸띇해서 운영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둘째,교육재활사업은 장애인에 대한 각종 교육관련 재활서비스홸를 제공하는것으로,주로 학교과정 이전의 영홉․유아를 대상으로 한 조기교육과 유치횈원 과정에서의 통합홇교육 및 학령훜기 과정에서의 사회성 지도를 위한 지역사회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셋째,직업재활사업은 장애인의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자립촉홒진을 도모하기위한 직업재활과 관련된 서비스홸를 제공하는 것으로 직업상담과 더불횓어 직업평훁- 38 -


가를 실시하고 있으며,이에 따른홋 직능개발훈련이나 직업 전 훈련,사회적응 훈련 등과 같은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또,장애정도나 능력에 따라 적절한 지원고용 형태의 취업 알선을 제공해 주는 한편횸,취업 후효 원만한 직장적응을 위해 사후효지도를 실시하고 있는데,능력이 아주 낮띈은 중증홌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는 복지관 직영홉 형태의 보호 작업장에서 간단한 단순작업을통한 작업능력과 현장적응을 위한 각종 태도교육을 병훀행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넷째,사회심리재활사업은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각종 사회심리 관련 재활서비스홸를 제공하는 것으로 재활상담 및 캠띉프,방과 후효 활동과 같은 사회적응훈련 놀띊이․심리․음악혼․미술치횈료나 레뜼크횻레뜼이션뜽과 같은 심리치횈료,성교육,장애가족횆지원사업 및 결혼훲상담과 같은 각종 사회․심리적 재활사업을 지원해주고 있으며,이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주간 및 단기보호센뜿타훎를 운영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마지막횁으로 여가활동지원사업은 신체적․정신적 건홄강증홌진을 위해 각종 여가활동을 지원해 주는 사업으로 각종 체육 및 취미․오락휶․여가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장애학생들의 학교 졸휡업 후효 원만한 사회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활동을 지원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전국 장애인복지관의 이러한 사업들은 무홹엇띋보다 정신지체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이 가장 많홈이 연계되어 운영홉될수 있는 사업으로,학교에서는 간단한 기초기능 및 기본적인 직장적응태도를 중심으로 한 기초 소양을 익훏힐띌 수 있도록 지도하고,복지관에서는 활동 중심의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적인 기능 중심의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익훏힐띌 수 있도록 서로 협휣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학교와 장애인복지관의프로그램들이 가급홴적 서로의 영홉역이 중복되지 않훳는 가운데,각 기관의 전문가들이 상호간의 협휣조로 전문성을 살홏릴띍 수 있는 연계된 지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있다.전금혿면(2005)이 제시한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의 각 항뜷목별 주요사업내용을종합홇해 보면 와 같다.- 39 -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주요사업내용순 사업 분류 주요 사업 내용 주요 사업 예홲시1 진단 및 판정2 의료재활3 교육재활4 직업재활5 사회심리재활6재가 장애인복지7 여가활동8 정보제공9 수화관련 사업10여성장애 인의 복지증홌진사업11 사회교육12 지역사회자원개발13 조사<strong>연구</strong>14 홍띆보계몽뜾15 공동생활 가정16 기타훎자료:전금혿면(2005)상담 치횈 각종 검훺사,진단을통한 판정,장애등록장애인의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의료재활 서비스홸 제공장애인에 대한 각종 교육재활서비스홸 제공장애인의 경제적 안정과 자립촉홒진을 도모하기 위한 직업재활서비스홸 제공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각종 사회심리재활서비스홸제공지역사회장애인의서비스홸 제공재가복지신체적 정신적 건홄강을 위한스홸포횽츠띎 및 여가활동 지원자체 진단판정위원회 및 평훁가위원회 운영홉진료실 운영홉,물리치횈료,작업치횈료,언횼어치횈료,청능훈련,재활보조기구 사용자 착홖용훈련 실시영홉․유아조기교육, 통합홇교육, 부혺모교육, 학습지도,컴뜖퓨뜗터훓교육,음악혼치횈료,각종교구대여,시청각장애인기초재활 등 제공직업상담,직업평훁가,직업훈련,보호작업장 운영홉,취업알선(지원고용)현장적응훈련 사후효지도재활상담,사회적응훈련,심리치횈료,성교육,장애가족횆지원,형제․자매횉교육,자조집횭단,결혼훲상담,공동가정생활,주간보호센뜿타훎,단기보호센뜿타훎상담,의료,교육,가사지원,지역사회자원활용 및연계망횃 구축홍,이동목욕홊,이․미용서비스홸,재가자립지원내방 장애인 체육대회 개최,장애유형에 맞는 체육교실 운영홉,취미,여가,오락휶프로그램 운영홉장애관련 정보제공 시각장애인 도서(시청각 자료) 제작, 보급홴 대영홉ARS운영홉,BBS운영홉청각․언횼어장애인에 대한 수 수화교실,수화통역 봉뜅사원 양성 및 파횯견횹,수화자막횁화서비스홸 제공비디횳오 제작,보급홴,대여여성장애인의 권홺익훏보호,임혾신,여성장애인 상담실,쉼띏터훓 운영홉,결혼훲,임혾신,양육,출홛산홁,양육,가사지원 등 복지가사보조활동지원증홌진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횇개선 및 참여조성지역사회에 대한 장애인의 이해증홌진 및 자원개발 활용장애인복지증홌진을 위한 조사<strong>연구</strong>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보급홴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장애인 인식횇개선 및 장애 예홲방활동자립 및 사회통합홇을 위한 공동체 의식횇 고취 활동 훈련기타훎 장애인복지증홌진을 위해필요한 사업장애체험,장애인부혺모교육,장애인 복지 전문요원교육,지역사회 주민훑교육자원봉뜅사자 교육,관리,지역행정기관 및 일반홆사회단체와의 교류 증홌진,기타훎 자원개발 활용,후효원관리지역장애인 욕홊구실태 조사,재활프로그램 개발,활용,이용자 만족횆도 조사,각종 자료제작관보 발행,장애발생예홲방 캠띉페띐인,매횉스홸컴뜖을 이용한장애인식횇개선 홍띆보,견횹학공동체생활을 통한 신변횡자립 및 일상 생활훈련,집횭단생활을 통한 사회성훈련,여가생활훈련 실시지역특성에 맞는 재활프로그램 개발 시행- 40 -


4.<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법․제도적 지원1)<strong>장애청소년</strong> 관련법(1)청소년 기본법문화관광부혺는 지난뛸 1998년 7월뜍에 제 2차혹 뜢청소년 육성 5개년 계획훥뜣에서 처음으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지원정책홗을 수립하면서,장애인을 바로 이해하기 위한 운영홉으로 수련원 프로그램 개설,<strong>장애청소년</strong>직업훈련 및 취업지원을 위한 연계 프로그램 개발,비인가 소규환모<strong>장애청소년</strong> 시설에 대한 지원,<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지원을 위한<strong>연구</strong> 및 시책홗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이는 이제까훖지 무홹직,비진학 등의 소외청소년에게만 관심을 기울훅이는 것에서 벗훣어나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대해서도 새훴로운관심을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제2차혹 뜢청소년육성 5개년 계획훥뜣에서도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 주요 정책홗대상으로 포횽함되면서 장애인에 대한 새훴로운 인식횇이 확대되고있다.그러나 현행 청소년기본법에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대해 명횮시되어 있지 않훳다는문제점횪을 가지고 있다(전찬뜆영홉,2005).(2)장애인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장애인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이하 장애인직업재활법이라 함)은 장애인이그들의 능력에 맞는 직업을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직업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횤 법이다(전찬뜆영홉,2005).장애인직업재활법은 장애인의 능력에 맞는 취업과 직업생활을 위해 직업상담․직업적성검훺사․직업능력평훁가의 실시,고용정보의 제공,직종개발 노혽력 등을포횽함하여 뜢장애인직업지도뜣에 <strong>관한</strong> 노혽동부혺와 보건홄복지부혺장관의 임혾무홹를 규환정하고있다.또한 이 법률훝에는 장애인 고용촉홒진 기본계획훥과 직업지도,직업훈련,적응지도 및 추수지도 등에 <strong>관한</strong> 사항뜷이 명횮시되어 있으며,장애인고용 우수사업주의우대에 <strong>관한</strong> 내용,한국 장애인 고용촉홒진공단의 설립에 <strong>관한</strong> 사항뜷도 제시하고있다.- 41 -


(3)장애인복지법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의 대책홗에 <strong>관한</strong> 국가․지방자치횈단체 등의 책홗무홹를 명횮백띑히 하고,장애발생의 예홲방과 함께훯 장애인의 의료․훈련․보호․교육․고용 등을증홌진시켜홅야 한다.또한 장애인에게 지급홴되는 각종 수당이 복지에 기본이 되도록사업을 정함으로서 복지대책홗에 종합홇적인 추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장애인의안정된 생활을 위해 자립․보호 등의 필요한 사업을 통해 복지증홌진에 기여함을목적으로 한다(전찬뜆영홉,2005).이 법률훝에서는 장애인을 정의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횈단체,국민훑 등의 책홗임혾을기술하고 있으며,의료․보호․교육․직업교육에 <strong>관한</strong> 사항뜷 등 장애인복지의 전반홆적인 것들에 대하여 규환정하고 있다.(4)특수교육진흥횊법특수교육진흥횊법은 “휭특수교육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홇한 교육과정․교육방법 및교육매횉체 등을 통하여 실시하는 교과교육․치횈료교육 및 직업교육 등”휯(제2조 제1호)을 특수교육이라고 정의하고 있다.특수교육진흥횊법은 심신의 장애자들에게특수교육을 진흥횊하여 그들이 필요한 지식횇과 기능에 <strong>관한</strong> 교육을 받으면서 사회생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으로 특수교육에 대한 정의를 명횮시하고 있으며,특수교육 대상자를 언횼급홴하고 있다(전찬뜆영홉,2005).또한 국가와 지방자치횈단체의 임혾무홹와 무홹상교육,사립의 특수학교에 대한 보조 및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법으로 정하고 있다.그밖휝에도 장애인․노혽인․임혾산홁부혺 등의 편횸의증홌진 보장에 <strong>관한</strong> 법률훝은 장애인․노혽인․임혾산홁부혺 등이 일상생활을 해 나감홀에 있어서 다른홋 사람횠의 도움을 받지 않훳고도 스홸스홸로 안전하고 편횸리하게 시설 및 설비를 이용하고,정보를 얻휓을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홽 이들의 사회생활 참여와 복지증홌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2)행․재정적 지원특수교육이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권홺리,의무홹,특혜횵,서비스홸 등의 다양한 의미를 지닌횟- 42 -


다는 사실을 고려훟할 때,특수교육을 위한 지원체제(supportsystem)는 인적․물적․재정적 지원 및 기타훎 정책홗이나 행정서비스홸를 전달횺하는 체제라고 할 수 있다(남정걸훚,1996).1994년 특수교육진흥횊법이 전면 개정된 이후효,특수교육과 그 행정에 대한 수요가 급홴격홷히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이 시대에 장애유형별,유치횈부혺에서 고등부혺까훖지의 과정별 업무홹 외에도,특수교육대상자의 고등교육 업무홹와 일반홆학교 내의통합홇교육 업무홹까훖지 지원해야 하는 상황홭을 고려훟해 본다면,현재의 중앙띒특수교육행정기관의 조직은 매횉우 소극횄적이고 퇴뜨보적인 조직이라고 평훁가할 수 있다.(김원경,2003).학교교육의 질이 교육비에 의하여 많홈은 영홉향을 받게 된다는 <strong>연구</strong>결과는 이미많홈은 <strong>연구</strong>에서 밝띓혀횛지고 있다.따라서 학생 1인당 교육비가 교육의 질을 나타훎내는 유사지표홢인 동시에,교육발전의 정도가 어느홾 정도 수준인지 결정된다고 볼휉수 있다.물론홥 경제 발전 정도와 교육인구의 증홌가 정도에 따라서 1인당 공교육비는 많홈은 영홉향을 받겠뜑지만 그 지표홢는 교육발전 수준을 나타훎내는 유사한 지표홢로 활용되고 있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에 있어서 재정적인 지원은 적절한 교육이 제공 될 수있도록 하는데 있기 때문에 일반홆학교에서는 집횭단의 평훁균훫적 요구에 근횦거횧하는데반홆하여 특수교육은 학생의 개인별 교육적 요구에 부혺응하며 교육프로그램과 활동이 구성되어야 하므훬로 교육비가 훨띔씬띕 많홈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이렇홻게 특수교육에서의 재정적 뒷띖받침뜠은 공통적인 프로그램이나 서비스홸 단위로 제공되기보다는 장애와 개인별로 직접 투훃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그래훾서 교육 대상 아동수와 장애 정도의 경중에 따라 프로그램에 투훃자되는 재정의 양도 달횺라진다.이렇홻게 특수교육 재정은 특수교육 대상 아동의 요구에 의한 특성을 반홆영홉하고있다는 특징횰이 있다.대체로 특수아동의 교육은 일반홆아동의 교육에서 제공하는 형태의 교육프로그램 외에도 관련 서비스홸가 부혺가적으로 제공되고,학급홴규환모도 장애유형과 정도에따라 차혹이는 있으나 대체로 일반홆 학급홴보다 작으며,특별히 훈련된 교사와 직원,- 43 -


특별히 설계된 교실과 학습자료,장애 특성에 따른홋 부혺가적 치횈료교육 등 여러 측훨면에서 일반홆 아동들보다는 많홈은 교육비가 요구된다.이러한 절대적 경비 요구액띗이외에 상대적인 기회 증홌가로 재정의 요구가 증홌가 할 수 있다.즉홶,장애아동들에게 있어 의무홹교육이란횀 부혺모나 보호자의 경제적인 능력에 관계없횘이 완횥전한 공적 비용으로 자신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횆 할 수 있는 균훫등한 교육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정희횂섭띘,2004).- 44 -


제 3장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실태제 1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인구현황홭1.장애인 등록현황홭 장애인의 등급홴별․유형별 등록현황홭(단위 :%)장애종별 1급홴 2급홴 3급홴 4급홴 5급홴 6급홴 전체지 체 40,430 86,462 153,371 163,041 224,446 215,546 883,296뇌횿병훀변횡 36,113 44,877 34,428 13,076 8,428 5,882 142,804시 각 28,000 6,740 8,329 8,284 14,355 71,775 170,107청 각 2,694 41,904 24,872 26,078 20,979 25,381 141,908언횼 어 1,980 5,710 5,784 13,474정신지체 35,891 47,971 35,345 119,207발 달횺 2,657 3,658 1,425 7,740정 신 8,670 26,768 16,785 54,333신 장 1,131 30,253 159 6,632 38,175심 장 533 2,455 8,526 12 108 11,634호흡후기 1,837 2,725 5,206 9,768간 728 1,007 1,041 33 1,263 4,072안 면 43 195 366 510 1,114장 루 10 144 576 3,198 4,254 8,182간 질 82 545 1,547 3,006 5,180계 158,819 299,463 297,858 223,181 280,465 351,208 1,610,994자료:보건홄복지부혺(2004)정부혺에서는 장애인의 현황홭 파횯악혼과 복지전달횺체계 구축홍 등을 위하여 국고부혺담- 45 -


으로 1988년 11월뜍부혺터훓 전국적으로 장애인등록사업을 실시하고 있다.2004년 등록 장애인은 같이 1,610,994명횮으로 매횉년 장애인 등록율홚이 급홴속히 높횐아지고 있다.2.<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인구현황홭고등학교 이하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은 65,375명횮으로 추정된다.취학형태로일반홆학교 38.8%,일반홆학교 특수학급홴 35.1%,특수학교 26.1%이며,일반홆학교 취학비중은 학년이 낮띈을수록 높횐은 것으로 나타훎났훤다.즉홶 을 통해 고등학생이하 장애인의 10명횮중 4명횮이 일반홆학교에 취학하는 것을 알 수 있다.구분 재가장애학생의 취학 형태 (단위:%,명횮)일반홆학교일반홆학교특수학급홴특수학교초등학교 40.2(10,620) 41.3(10,919) 18.5(4,894) 100.0(26,433)중학교 39.8(8,436) 29.0(6,153) 31.2(6,618) 100.0(21,207)고등학교 35.5(6,298) 33.2(5,884) 31.3(5,553) 100.0(17,735)구성비 38.8(25,354) 35.1(22,956) 26.1(17,065) 100.0(65,375)자료:보건홄복지부혺(2005)계제 2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실태1.특수학교(급홴)의 직업교사 실태특수교육 연차혹보고서(2003)에 의하면 시․도별 특수교육 담당 전문직의 특수교육 자격홷소지 전체 현황홭은 16개 시․도교육청은 76.5%,180개 지역교육청은40.0%이었으며,시․도별 특수학교(급홴)의 전체 특수교육 담당교원의 특수교육- 46 -


교사자격홷증홌 소지율홚은 88.9%를 나타훎내고 있다.또한 16개 시․도중 특수교육 담당교원의 특수교육 교사자격홷증홌 소지율홚이 가장 높횐은 시․도는 경기도로 99.9%이나,가장 낮띈은 시․도는 전남으로 69.9%를 나타훎내고 있으며,지역별로 심한 불횓균훫형을 나타훎내고 있었다.또한 2003년 시․도별 특수학교 교사 법정정원 확보율홚은 94.2%이며 학교과정별로는 유치횈원 98.4%,초등학교 98.2%,중등학교 91.1%로 중등학교의 교사 법정정원 확보율홚이 매횉우 낮띈은 것으로 나타훎났훤다.특수학교에 재직하는 교사의 수 역시 일반홆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횻게 적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학교수와 교사수가 가장 많홈은 서울훅특별시의 경우29개 학교에 1,069명횮의 교사가 재직하고 있어 학교당 평훁균훫 교사수가 36.86명횮이며,학교수와 학생수가 가장 적은 울훅산홁광역시와 제주도의 경우 각각 2개 학교에각각 102명횮,85명횮의 교사가 재직하고 있어 학교당 평훁균훫 교사수가 각각 51명횮,42.5명횮이다.이를 전국 단위에서 보면,136개 특수학교에 4,727명횮의 교사가 재직하고 있어 특수학교당 전국 평훁균훫 교사수는 34.76명횮이다(교육인적자원부혺,2002).전국에 특수학급홴이 설치횈되어 있는 일반홆학교는 학교의 수가 3,108개이고,학급홴의 수가 3,953개이며,학생의 수는 26,925명횮이고,교사의 수는 3,968명횮인 것으로나타훎난뛸 특수교육실태조사서의 결과(교육인적자원부혺,2002)를 볼휉 때,특수교육교사 양성기관에서 배홨출홛되어 특수학급홴에 배홨치횈된 “휭특수학교 교사”휯(이는 자격홷증홌의표홢시임혾)가 곧띚 특수학급홴의 학급홴담임혾 교사라고 할 수 있으며,교사 1인당 평훁균훫6.79명횮의 특수교육대상자를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홴의 직업교사의 문제점횪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1)특수학교의 직업교사특수교사와 기술교사 자격홷을 모두횜 필요로 하며,직업교사의 여러 역할 중에서안내자의 역할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직업교육은 연수를 받은 직업교사가 담당해야 하며,직업교사의 요구능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직업개발․분석․배홨치횈등 직업 재활 분야의 능력이라고 인식횇하고 있다.이처럼 직업교사는 전문적인- 47 -


능력이 필요하지만,재교육의 기회는 거횧의 없횘는 실정이다.2)특수학급홴의 직업교사교육과정이 주로 특수학급홴 담당교사 스홸스홸로의 판단에 의해 편횸성되므훬로,특수학급홴을 담당하는 일선교사들을 어렵횴게 하고 있다.실질적으로 특수학급홴을 운영홉하고 교육과정을 편횸성하는 사람횠은 특수학급홴을 맡띛고 있는 특수교사 한 사람횠이기때문에 특수교사 혼훲자서 교과목 배홨정과 진로지도 시간의 확보,학교의 특성에맞는 프로그램 편횸성,교육지침뜠서와 학습방법 등을 개발하고 학생들을 지도하기에는 많홈은 어려훟움이 있다.많홈은 학생들이 졸휡업 후효 지역사회에서 취업을 하거횧나 복지관 및 훈련원을 이용하는 현실에서 대다수 특수학급홴 담당교사가 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연수도 없횘이 직업교육을 운영홉하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할 수 있다.특히특수학급홴 학생이 특수학교 학생보다 많홈은 현실에서 특수학급홴 직업담당 교사의배홨치횈 및 특수학급홴 담당교사에 대한 진로,직업교육 관련된 연수의 기회가 부혺족횆하며,이외에도 특수교사의 일반홆학급홴 전공교사들과의 인간관계 형성은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용이하지 않훳다는 점횪이다.2.<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내용의 실태전공과 교육과정에서 전공과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훎내는 부혺분이 바로 직업교과(전문교과)의 운영홉으로,직업교과에 대한 시간 배홨당은 주당 총휟 수업시수 34사건홄 중 적게는 18시간(전체 시수 중 52.94%)에서부혺터훓 많홈게는 22시간(전체 시수중 64.71%)까훖지 시간을 배홨당하여 운영홉하고 있다(이금혿희횂,2003).이금혿희횂(2003)에 의하면 공예홲․포횽장․조립․운반홆,기본생활기능훈련 교과가 가장 많홈이 운영홉하고 있으며(75%),그다음으로 제과․제빵뜘,정보처리(50%),농횕업,종이공예홲,홈띜패뛾션뜽,조리․세탁띝․청소,취업교육,교내실습․현장실습(25%)순으로나타훎났훤다.고등부혺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명횮시된 교과 중에서 전자조립과나 상업- 48 -


디횳자인과는 운영홉하는 학교가 없횘는 것으로 나타훎났훤다.이 결과에서 특이한 사항뜷은 특정교과로 분류할 수 없횘는 기본생활기능훈련이학교에서는 75%로 운영홉되고 있는 점횪이다.박훐석돈휠(1999)은 생활중심 직업교육모형에서 직업배홨치횈에 필요한 일상생활,대인관계 및 실제적인 작업과 직결되는기능을 강조하고 있다.이런 기본생활기능훈련에는 가정생활,여가생활,의생활,식횇생활 자립훈련,청소,세탁띝,용역 등이 포횽함되어 있다.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홴의 직업교육 내용의 문제점횪에 대해알아보면 다음과 같다.1)특수학교<strong>장애청소년</strong>들에게 실시하는 직업교육은 장애학생들이 사회에 적응 할 수 있도록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횇과 기능을 각 장애에 알맞게 가르쳐훛야 하지만,직업교육 과목이 한정되어 있어서 이들이 직업을 가지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써홽 스홸스홸로 생계를 유지하고,사회생활에 참여함으로써홽 자아실현의 성취감홀을 느홾끼휎게 하는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목표홢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1998년 6월뜍 30일 고시된 7차혹 교육과정에서 보면 시각․청각․지체부혺자유학교의 직업교과목이 공통으로 공예홲,포횽장․조립․농횕업,전자조립,제과․제빵뜘,정보처리,상업디횳자인,이료로 편횸성되어 2003년에는 고등부혺 2학년,2004년에는 고등부혺 3학년부혺터훓 시행되고 있다.위에서 보았횩듯뜐이 각각의 장애에 맞는 직업교과목 대신 공통으로 직업교과목이 편횸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과목은아예홲 편횸성조차혹 되어있지 않훳은 것을 보면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장애특성에 알맞은 직업교육이 실시되지 않훳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현정,2004).또한 특수학교는 정보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직종의 부혺족횆으로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종목이 장애학생들의 취업 직종과 연결되지 않훳고 있고,장애학생의 적성 직종의 개발에 대한 <strong>연구</strong>도 부혺족횆하므훬로 장애학생의 능력과 특성에 적합홇한직종을 선정하여 이들이 그 직종을 전담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 49 -


의 마련도 시급홴한 실정이다.2)특수학급홴인문고 특수학급홴은 대학 특례훸입휗학과 맞물려훟 대학진학을 목표홢로 하는 일반홆학급홴의 교육목표홢에서 크횻게 벗훣어나지 못하고 있으며,실업고 특수학급홴은 졸휡업과 동시에 취업이란횀 과제를 안고 있다.특수학급홴 학생들은 정신지체와 중복장애의 중증홌장애 학생이 다수를 차혹지하고 있어서 실업계 전공과목을 이수 할 만큼휒의 인지력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교육목표홢 설정에 있어서도 생활적응 능력이최우선 과제가 되고 있고,구성원의 특성상 지적학습은 이차혹적 과제이며 원활한생활능력이 우선적인 교육관건홄이 되고 있다.실업계 고등학교 특수학급홴의 특수교육대상자들은 40~훢50명횮으로 구성된 일반홆학급홴의 학생 수로 인하여 통합홇교육을 받기 어렵횴고,개별시간이 허뛹용되지 않훳으며,교육내용에 있어서도 비장애학생과 함께훯 수학할 수 없횘는 수준이다.이론홥수업의 경우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분류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나,현재의교육은 격홷차혹의 여지가 없횘고,실습에서도 통합홇교육은 형식횇적이거횧나 어려훟운 실정이다(김민훑영홉,2005).3.<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훈련의 실태직업훈련은 장애인의 직업재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장애를 가진 후효 직업훈련을 받은 적이 있는 15세 이상 재가장애인은 3.4%에 불횓과한 것으로 나타훎났훤다(변횡용찬뜆 외,2001).한편횸,2000년 장애인근횦로자 실태조사(장창엽띞 외,2001)에서는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거횧나 현재 훈련중인 장애인근횦로자가 17.8%로조사되었다.장애인근횦로자의 직업훈련 이수기관은 공공직업훈련원이 27.9%로가장 많홈았횩고,그 다음으로 장애인 직업전문학교가 22.7%였다.또한 장애인 관련시설 및 기관에서 직업훈련을 받아 근횦로하고 있는 비율홚도 13.6%를 차혹지하였다.장애인근횦로자의 직업훈련 이수분야는 기계분야가 31.2%,컴뜖퓨뜗터훓/정보처리분- 50 -


야가 18.5%,전기․전자분야가 14.5% 순으로 나타훎났훤다.장애인근횦로자의 직업훈련 희횂망횃분야는 32.4%로 컴뜖퓨뜗터훓/정보처리분야가 가장 많홈았횩고, 그 다음으로11.8%의 기계분야,기타훎서비스홸분야(7.4%)였다.선호하는 직업훈련분야는 컴뜖퓨뜗터훓관련 직종이 가장 높횐았횩다(변횡용찬뜆 외,2001;장창엽띞 외,2001;현호석,1997,재인용).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홴의 직업교육 훈련의 문제점횪에 대해알아보면 다음과 같다.학교에서의 직업교육훈련은 초등부혺나 중학부혺 시기부혺터훓 진로개발에 대한 준비가 전혀횛 이루어지지 않훳은 가운데 고등부혺부혺터훓 시작되는 것은 매횉우 중요한 문제점횪으로 지적되고 있다.장애학생 경우 장애 특성상 1~훢2년 정도의 집횭중적인 훈련으로 직업능력 향상이 쉽휳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이들의 고용확대를 위해서는 학령훜기 동안의 특수교육 현장에서부혺터훓 보다 철저하고 충분한 직업교육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교육연한이 끝띟난뛸 후효에도 자연스홸럽띠게 성인 직업재활 서비스홸에 연계되어야 할 필요성 있음에도 불횓구하고,사실상 현재의 특수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직업교육훈련은 그러한 면에서 제구실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국립특수교육원,2003).장애학생의 직업교육훈련이 주로 기초 작업기술에 비중을 두횜고 있기 때문에직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인격홷 및 사회성,여가기술 등 다양한 내용들의 접근횦이어려훟움과 동시에,장애특성 및 지도시기,장애정도에 따른홋 다양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또한 대부혺분 특수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교육훈련은 지역사회 자원과연계하지 않훳고 제한된 장소인 뜢학교 안뜣에서만 실시되고 있어서,졸휡업 후효에 장애학생들의 사회생활에 있어서 성공적인 사회통합홇을 저해하고 있었다.4.<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교육 시설Garcia-Vilamisar,Ross,& Wehman(2000)의 <strong>연구</strong>에서는 발달횺장애는 직업적- 51 -


장애는 아니라고 제시하였으며,체계적인 직업개발과 직업훈련,서비스홸를 제공한다면 중증홌의 정서장애인의 경우에도 2년 내에 79% 경쟁뜹고용으로 취업할 수있다는 <strong>연구</strong>결과를 제시하였다.즉홶,중증홌의 정서 장애인에게 집횭중적이고 장기적이면서,개인의 흥횊미와 능력에 가장 적합홇한 직업을 개발하고,작업장 밖휝에서 사회성 기술훈련을 동시에 제공한다면 보다 많홈은 정서장애인들이 취업할 것이라고 하였다.이렇홻듯뜐 재학기간동안 취업을 경험하는 것이 졸휡업 후효에도 취업을 유지 하는데 효홙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이상진,2001).1)보호작업장의 운영홉실태2000년 상반홆기까훖지 우리나라에는 12개 근횦로시설과 151개 보호작업장이 있으며,근횦로인원은 4400여명횮이다(보건홄복지부혺,2000).보건홄복지부혺에서는 2000년 중으로 기존휞의 163개의 시설 모두횜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환칙 별표홢3에 제시된 장애인작업활동시설,장애인보호작업시설,장애인근횦로작업시설,장애인직업훈련시설 중규환정된 설치횈기준을 충족횆하는 한 가지 유형으로 신고를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기존휞의 작업치횈료차혹원에서 운영홉되는 보호작업장은 장애인작업활동시설로 보호적 조건홄에서 생산홁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고,노혽동의 대가를 지급홴하도록 하는것에 초점횪을 두횜는 보호작업장은 장애인보호작업시설로신고하도록 유도하고있으며,시설 재신고를 완횥료한 시설에 대하여는 2000년도 하반홆기에 시행될 장애인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른홋 사업대상에 포횽함될 신청자격홷이 주어지며,2001년도 이후효에는 시설유형에 따라 차혹별화된 지원,즉홶 장애인작업활동시설이나장애인직업훈련시설은 주로 직업훈련교사 등 인건홄비 지원을 강화하고,장애인보호작업시설 등은 주로 관리운영홉비 지원을 강화하여 각 시설 유형별 전문성을강화하도록 할 방침뜠임혾을 밝띓히고 있다.현재 운영홉되고 있는 보호작업장의 운영홉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전금혿면,2005).- 52 -


전국 보호작업장 운영홉 현황홭운영홉 요소주요 목적운영홉주체대상장애인전문인력의구성운영홉프로그램사업형태운영홉 실태․실질적인 작업기회 제공 ․장애인의 자립생활 도모․사회복지법인(85.7%)․지방자치횈단체(5.1%)․사단법인(6.7%)․종교단체(2.5%)․어느홾 정도의 노혽동력을 가진 자로서 특별한 원조가 주어지지 않훳는 한 일반홆 노혽동시장에서의 고용을 확보하기 어려훟운 장애인․대상자 선정을 위한 평훁가 체계 미흡후․대상 장애인에 대한 공식횇적인 선정기준이 없횘음․직원 1명횮이 약 18명횮의 클띡라이언횼트뜂 담담․작업장 관리 직원으로서 직업훈련교사,작업지도원,관리업무홹 담당자,경리,판매횉담당자를 두횜도록 하고 있으나 전문인력 확보가 미비․작업장에서의 작업과 활동으로서의 고용 및 평훁가,훈련,배홨치횈프로그램 등을 말휛함․신체적,심리적 치횈료보다는 주로 작업에 집횭중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짐홼․업장의 47.1%가 지역 및 장애특성에 따라 고용,훈련,치횈료,교육을 종합홇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나 작업훈련(72%),수익훏성 작업활동(84%)에 치횈중하고 있음.․상담,의료서비스홸 등 사회적 자조기술,성인 일상생활기술,레뜼크횻레뜼이션뜽 등의 보조서비스홸 활용․때에 따라서는 기본프로그램보다 더 효홙과적일 수 있음․기본프로그램과는 달횺리 필요에 따라 간헐띢적으로 서비스홸가 주어짐홼․자가 생산홁(52.9%),하청생산홁(47.1%)․생산홁품홂은 직접 판매횉,위탁띝판매횉의 방법으로 판매횉되나 판로와 작업량횋 확보가 어려훟움자료:보건홄복지부혺(2000).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직업재활교육시설인 보호작업장의 문제점횪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보호작업장은 일반홆적으로 노혽동수요 창출홛을 위해서 노혽동부혺는 장애인 창업을지원하고,보건홄복지부혺는 자립자금혿을 대여하여 운영홉하고 있다.이 두횜 가지는 그성격홷이 유사하지만 노혽동부혺의 창업지원은 고용정책홗의 의미가 있는 반홆면에,복지부혺의 자립자금혿 대여는 빈휊곤뜈탈띣출홛의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53 -


보호작업장은 대개 1-3인의 직업훈련교사가 다수의 중증홌장애인들을 훈련시키고 생산홁 활동을 하고 있으며,인건홄비의 일부혺만을 지원함으로써홽 운영홉상에 많홈은문제이 있는데,2001에 개정된 뜢장애인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뜣에서는 기금혿의1/3을 보건홄복지부혺에서 집횭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보호작업장의 <strong>활성화</strong>가기대되긴휑 하나 기존휞의 문제를 거횧의 극횄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전금혿면(2005)이 제시한 보호작업장의 문제점횪에는 첫째,보호작업장은 국가책홗임혾 하에 정부혺가 육성,개발해 나가야 하나 현실적으로 보건홄복지부혺에서 멀띤리 떨휅어져 있는 영홉역에 있고,둘째,대부혺분의 보호작업장은 목공,목공예홲,편횸물,단순임혾가공 등 사양품홂목과 가치횈가 낮띈은 품홂목을 하청 받아 생산홁하고 있어 판로개척홃이 어렵횴기 때문에 대부혺분이 최저임혾금혿 이하의 급홴료를 받고 있으며,셋째,보호작업장은 중증홌장애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다원 서비스홸를 통하여 작업과 일상생활의 질적 향상을 가져와야 하나 대부혺분의 보호작업장은 작업조건홄 열혻악혼하고,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일반홆작업장으로의 전환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지 않훳으며,넷째,보호작업장 운영홉의 생산홁성 및 전문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배홨치횈되지 못하는 문제들이 지적되고 있다.또한 일반홆적으로 직접적인 노혽동수요 창출홛정책홗으로 가장 논란횀이 되는 것이 보건홄복지부혺의 보호작업장 운영홉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데,이곳뜬에서는 다수의 장애인들이 일을 하고 있으나,근횦로계약을 맺횫지 않훳고 있으며,최저임혾금혿도 지불횓되지못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작업장이 노혽동수요 창출홛정책홗이라고 말휛하기가 매횉우 어렵횴다고 할 수 있다.2)장애인복지관의 운영홉실태2005년 전국 장애인복지관의 운영홉형태는 와 같이 지역별 130개의장애인복지관이 운영홉되고 있다.2001년도엔띥 80개정도 운영홉되던횗 장애인복지관 시설이 2002년도엔띥 93개,2003년도엔띥 97개,2005년도엔띥 130개로 점횪차혹 늘띦어나고 있다.2005년에 장애구분 없횘이 전체 장애인복지관 수를 지역별로 살홏펴홐보면,서울훅 33- 54 -


개,부혺산홁 5개,대구 5개,인천횶 5개,광주 3개,대전 4개,울훅산홁 3개,경기 16개,강원 5개,충북띧 5개,충남 9개,전북띧 7개,전남 10개,경북띧 9개,경남 6개,제주 5개가 운영홉되고 있다.서울훅과 지역별 광역시에는 각 장애 유형별 전문복지관이 몇띨 군띩데 장애 종류별로 나뉘띪어져 운영홉되고 있으나,지방의 경우는 대부혺분이 여러 장애를 통합홇한종합홇형태의 복지관이 운영홉되고 있고,지역특성과 장애영홉역을 고려훟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종합홇적으로 운영홉되고 있다(보건홄복지부혺,2005). 전국 장애인복지관 지역별 운영홉 현황홭시도 합홇계 서 울훅부혺산홁대구인천횶광주대전울훅산홁경기강원충북띧충남전북띧전남경북띧경남제주합홇계 130 33 5 5 5 3 4 3 16 5 5 9 7 10 9 6 5자료:보건홄복지부혺(2005)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직업재활교육시설인 장애인복지관의 문제점횪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장애인복지관에서는 조기교육과 함께훯 장애 아동․청소년들 대상으로 실시하는 치횈료․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사회성향상프로그램이나 통합홇캠띉프 등사회통합홇의 일환으로 많홈은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지만 프로그램의 통합홇적인개입휗보다는 단편횸적인 개입휗으로 실시되고 있다.전금혿면(2005)이 제시한 장애인복지관의 문제점횪에는 첫째,장애인복지관의 경우 장애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가 많홈아짐홼에 따라 프로그램을 더욱 증홌가시키게 되면서,장애 학생을 치횈료적인 부혺분과 연계되면서 중간연계자의 역할에 그치횈는 경우가 많홈고,둘째,특수교사와 사회복지사들 간의 연계체계가 부혺족횆으로 대부혺분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대해 개별적인 접근횦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셋째,대부혺분의 장애인 복지관이 비슷띫한 프로그램으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 못하고,넷째,환경의 제약으로 복지관내에서만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때문에대부혺분 학습이나,사회적응위주이기 때문에 다양한 경험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55 -


많홈고,이들이 문화생활을 즐띬기거횧나 여가생활을 영홉위하는데 어려훟움이 많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5.<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법․제도적 지원 실태1)<strong>장애청소년</strong> 관련법교육인적자원부혺(2005)에 의하면 직업․진로 및 전환교육과 관련된 특수교육진흥횊법 제20조 제1항뜷에 의해 특수교육기관의 장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직업교육에필요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직업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동법 22조에 의해특수교육 대상자가 진로에 대한 방향을 세우고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진로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이러한 법규환 하에서 2004년도 141개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 졸휡업생 1,986명횮 중에서 취업을 한 학생은 559명횮으로 취업률훝은28.1%이며,2004년도 특수학급홴 고등학교 과정 졸휡업생 661명횮 중 취업학생은 260명횮으로 취업률훝은 39.3%이고,2004학년도 일반홆학급홴 특수교육 대상자 졸휡업생 306명횮 중에서 취업한 학생은 66명횮으로 취업률훝은 21.6%로 나타훎남으로써홽 특수교육대상학생이 고등학교를 졸휡업하고 취업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소수임혾을 알 수 있었다.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과 관련된 법들의 문제점횪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1)청소년기본법1998년 7월뜍에 제2차혹 뜢청소년 육성 5개년 계획훥뜣에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 주요 정책홗대상으로 포횽함되었으나,현행 청소년기본법에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대해 명횮시되어있지 않훳다.(2)장애인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장애인의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에는 장애정도나 장애유형,특성 등을 고려훟- 56 -


하지 않훳고 있으며,장애의 종류에 따라 직업재활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횓구하고다양한 재활훈련소가 설치횈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또한 장애의 정도에 따른홋직업재활의 규환정이 없횘기 때문에 중증홌장애나 발달횺장애의 고용이 간과되기 쉽휳고,고용의무홹율홚을 규환정하고 있으나 국가 및 지방자치횈단체의 장애인 고용의무홹가 강제규환정이 아닌횟 임혾의 규환정으로 되어 있어서 제대로 지켜홅지지 못하고 있다.(3)장애인복지법제45조 장애아동 부혺양수당 및 보호수당이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추가비용을 보호자에게 지원하고 있으나,정신지체 등 중증홌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경우일반홆 <strong>장애청소년</strong>과는 다르게 부혺모나 가족횆에 의존휞도가 매횉우 높횐음에도 불횓구하고중증홌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보호자에게는 부혺양수당이 지급홴되지 못하고 있다.(4)특수교육진흥횊법발달횺장애 청소년의 경우 정신적 연령훜수준이 일반홆아동들이나 청소년에 비해낮띈음에도 불횓구하고 장애인의 학령훜기에 대한 개념홪을 일반홆 청소년들의 학령훜기와는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내용이 이법에 명횮시되어 있지 않훳고 있다.또한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고등학교를 졸휡업하고 취업으로 연결되는 경우가소수인 것은 장애학생들이 학령훜기 동안 적절한 직업․진로․전환교육을 제공받지 못하기 때문일 뿐 아니라 지역사회 일반홆 사업체와의 연계가 부혺족횆하며,실제직무홹환경에서의 직업교육 실시가 부혺족횆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훎나고 있다(박훐승휧희횂 외,2001).2)행․재정적 지원 실태2004년 전국 141개의 특수학교와 3,217개의 유․초․중․고등학교에 설치횈된4,366개의 특수학급홴 및 일반홆학급홴에서 통합홇교육을 받는 아동까훖지 합홇하면 약 8만여명횮의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특수교육을 받고 있다.특수교육비는 전체 교육비중에 포횽함된 일부혺이므훬로 특수교육비의 투훃자규환모를 파횯악혼하기 위해서는 교육부혺- 57 -


예홲산홁편횸성 내용을 살홏펴홐봄띭으로써홽,국가 정부혺의 특수교육에 대한 투훃자의지를 이해할 수 있고,특수교육비의 지출홛 및 규환모의 합홇리적인 조정은 재정 운영홉의 효홙율홚성을 제고시킬뜝 수 있는 방안이 된다.교육인적자원부혺 예홲산홁 중 특수교육 예홲산홁은 전체교육 예홲산홁의 증홌가와 함께훯 꾸띮준히 증홌가되고 있으며,2003년도 특수교육비 예홲산홁은 564,394,700천횶원으로 2002년도에 비해 1,213억휤여원이 증홌가된 금혿액띗이며,교육인적자원부혺 예홲산홁의 2.3%를 차혹지한다.교육인적자원부혺 예홲산홁 대비 특수교육 예홲산홁비율홚은 뜣95년 1.8%,뜣96년 1.5%,뜣97년 1.6%,뜣98년 1.9%,뜣99년 1.8%,2000년1.8%,2001년 2.0%,2004년 2.5%로 해마다 조금혿씩띯 증홌가해오고 있다.우리나라특수교육 재정의 기본 현황홭은 다음과 같다(교육인적자원부혺,2004).표 연도별 교육인적자원부혺 예홲산홁 대비 특수교육 예홲산홁 비율홚단위:띰천원년 도 교육인적자원부혺 예홲산홁 특수교육 예홲산홁 비율홚(%)1995 12,495,810,267 224,006,328 1.81996 15,565,216,500 238,102,827 1.51997 18,287,608,665 298,596,440 1.61998 18,127,837,527 337,070,063 1.91999 17,456,265,000 315,782,768 1.82000 19,172,027,020 340,225,173 1.82001 20,049,279,000 406,310,075 2.02002 22,278,358,000 443,073,183 2.02003 24,404,401,310 564,394,700 2.32004 26,384,008,000 666,840,034 2.5자료 :교육인적자원부혺(2004)학교교육의 질이 교육비에 의하여 많홈은 영홉향을 받게 된다는 <strong>연구</strong>결과는 이미많홈은 <strong>연구</strong>에서 밝띓혀횛지고 있다.따라서 학생 1인당 교육비는 곧띚 바로 교육의 질을 나타훎내는 유사지표홢로도 볼휉 수 있다.학생 1인당 교육비가 어느홾 수준에 도달횺하고 있느홾냐띱에 따라 교육발전의 정도가 어느홾 정도 수준인지 결정된다고 볼휉 수있다.물론홥,경제 발전 정도와 교육인구의 증홌가 정도에 따라서 1인당 공교육비- 58 -


는 많홈은 영홉향을 받겠뜑지만 그 지표홢는 교육발전 수준을 나타훎내는 유사한 지표홢로활용되고 있다.2003년도 특수교육대상자 1인당 특수교육비는 1천횶 56만8천횶여 원으로 2002년도에 비해 2,434천횶원 증홌액띗되었으나 이는 학급홴당 인원수 감홀축홍을 위한 학급홴증홌설에의한 인건홄비 증홌액띗 및 특수학교 신설을 위한 시설비 증홌액띗분이다.2004년도 특수교육대상자 1인당 교육비는 과 같이 1천횶2백띑4만2천횶여 원으로 2003년도에 비해 1,474천횶원이 증홌액띗되었다(교육인적자원부혺,2004). 연도별 특수교육대상자 1인당 특수교육비 (단위:띰천횶원)년 도 교육인적자원부혺 예홲산홁 특수교육비 수혜횵학생수 1인당 특수교육비1995 12,495,810,267 224,006,328 53,117 4,2171996 15,565,216,500 238,102,827 47,947 4,9651997 18,287,608,665 298,596,440 48,089 6,2091998 18,127,837,527 337,070,063 48,518 6,9471999 17,456,265,000 315,782,768 50,269 6,2822000 19,172,027,020 340,225,173 54,732 6,2162001 20,018,779,000 406,310,075 51,330 7,9162002 22,278,358,000 443,073,183 54,470 8,1342003 24,404,401,310 564,394,700 53,404 10,5682004 26,384,008,000 666,840,034 55,374 12,042자료:교육인적자원부혺(2004)일반홆적으로 특수아동 1인당 교육비는 정상아동의 2-3배홨 이상으로 추정하고있다.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1990년도까훖지는 특수아동 1인당 교육비가1,036천횶원으로 일반홆아동의 2배홨에 못 미치횈고 있다.그러나 1997년에 와서는 6,209천횶원으로서 약 3배홨가 넘훿고 있어 특수교육에 대한 투훃자가 점횪차혹 증홌가하고 있음을보여주고 있다.그러나 일본의 경우 1992년에 일반홆아동 대비 장애아동의 공교육비는 초등학교는 10배홨,중학교는 9배홨이며,미국의 경우 1980년대 말휛에 이미 일반홆아동 대비 장애아동의 교육비가 8배홨 인 것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아직도 더- 59 -


많홈은 투훃자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정봉뜅도,2002).이런 실태를 근횦거횧로 행․재정적 지원의 문제점횪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지역사회의 지원 부혺족횆으로 장애학생의 고용을 위한 생활중심 직업교육 모형이 제대로 운영홉되지 못하고 있으며,학교와 지역사회 산홁업체와의 협휣력 부혺족횆으로장애학생들의 학교와 직장의 연계 프로그램이 제대로 운영홉되지 않훳고 있다.또한학교 교육과정에 의한 프로그램이 작업태도,습관 등 직업전 기술교육에 치횈중하여 고용으로 연결되지 않훳고 있으며,장애학생의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관련인사의 활용이나,행․재정적 지원 등 지원체제가 미흡후하여 단편횸적이고 일시적인 대처만을 가능하게 할 뿐 전체적인 조망횃과 접근횦을 어렵횴게 만들고 있다.직업교육재정 활용에 있어서도 융띲통성이 부혺족횆하여 교육재정은 지정된 목적에만 집횭행할 수밖휝에 없횘으며,재정사용에 있어서도 융띲통성이 제한되어 재정의 낭띳비및 비효홙율홚성이 야기된다.재정 활용에서 융띲통성 증홌대에 관련하여 일반홆교육,특수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서비스홸의 다양한 영홉역들이 분리되어 제공되기 때문에관련된 재정도 분리되어 중복장애 아동을 비롯띅한 특수교육 대상자들의 서비스홸에 문제를 갖게 한다.또한 재정적인 부혺분에 있어서도 교육예홲산홁이 정부혺예홲산홁에 적지 않훳은 비중을 차혹지하고 있음에도 불횓구하고 여전히 교육투훃자의 빈휊약으로 인하여 특수교육을 포횽함한 교육 전반홆에 문제점횪들이 지적되고 있다.이제까훖지 교육에 대한 투훃자는 학생인구의 증홌가에 따른홋 수용시설의 확충과 교원의 인건홄비를 위해 상당 부혺분이사용되었기 때문에 각 학교의 교육환경 및 여건홄은 개선되지 못한 상태이므훬로,인건홄비,시설비,운영홉비의 집횭행에서도 융띲통성이 미흡후하고,예홲산홁운영홉의 합홇리성보다 합홇법성에 치횈중하고 있다.이처럼 지역적 특수성에 대한 고려훟가 부혺족횆하고,학교 교육계획훥의 실현가능성을 높횐이기 위한 재정계획훥이 미흡후하며,엄뜫격홷한 회계감홀사로 불횓필요한 부혺작용 등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60 -


제 4장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strong>활성화</strong> 방안제 1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사좀띴 더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직업교육에 관련된 교사의 확보와 자질 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직업담당 교사의 일반홆적 역할은조정자,중개자,지도자,안내자,치횈료자로서의 임혾무홹를 수행하는데 있으며,세부혺적 활동내용으로는 초기 평훁가단계에서 장애학생의 확인 및 평훁가,직업시장 조사,계획훥개발 단계에서는 직업결정 기록 및 개발,직업배홨치횈,직업훈련,지속적인지원,주기적인 사정,분석 및 기록을 구체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학생의 직업교육훈련을 제대로 담당할 수있는 전문성은 가진 직업교육교사는 양적․질적으로 충분히 양성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지지 못한 상태이다.그러므훬로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직업이나 전환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강화되고,직업교사 양성대학이 보다 더 확대되어서 특수교사들이 미래훾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전문인으로 담당할 수있도록 이들 교과에 대한 교원양성기관들이 교과교육을 제대로 실시할 수 있는지 점횪검훺할 필요가 있으며,직업담당교사의 자격홷기준과 배홨치횈기준도 재조정하여야되어야 함과 동시에 직업교사들의 연수나 보수교육 등을 통해서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들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따라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특수교사에게만 담당시킬뜝 것이 아니라 전공과목 교사들도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직업교육을 맡띛을 수 있도록 행정적 조치횈를취하고,전공교사가 특수교육에 대한 지식횇을 가지고 수용하는 태도를 형성하도- 61 -


록 특별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학교장 이하 교직원의 특수교육대상자의 이해를 위한 연수가 실시 될 때 특수학급홴이 통합홇의 장이 될 수 있고,실업계고교 내의 특수학교가 분리 운영홉되지 않훳을 것이다.또한 직업교사는 장애학생이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홄이 무홹엇띋인지를 정확하게파횯악혼하고,새훴롭뛿게 변횡화되는 교육환경에 필요한 교육적 요구조건홄을 충족횆시키기위해서 지역중심의 특수교육 지원센뜿터훓를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장애인에 <strong>관한</strong>이해와 전문적 지식횇을 갖추고 있는 전문 인력을 배홨치횈하여야 할 것이다.제 2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내용직업교육과 관련된 개념홪,직업교육,진로교육 및 전환교육에 대한 개념홪설정과그에 따른홋 지원체계의 확립이 필요하고,전환교육은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개념홪과 구분되지 않훳고 혼훲용되고 있으며,그 지원 또한 대부혺분 직업교육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따라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고용을 위한 직업교육 외에계속교육․지역사회 참여․독립생활 등에 대한 지원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아울훅러 장애학생의 학교에서 성인생활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진로상담 및직업평훁가를 통해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고,전환능력을 평훁가하여 전환을 지원하고 추수지도가 이루어지는 교육훈련 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며,교육훈련 체계에따라 관련부혺처나 기관의 특성에 알맞은 역할과 기능을 분담해야 하는 것이다.또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위해 중등부혺 직업교육 내용의 다양화 및 전문화를 위해서 중등학교 특수학급홴 담당교사의 직업교육을 위한 연수를 강화시켜홅서 특수학급홴 학생의 직업기능을 신장시킴뜭과 동시에 근횦로 현장과의 연계교육을위해서 산홁업체 파횯견횹학급홴을 설치횈․운영홉하여야 할 것이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을 위해서는 학교에서 간이 작업표홢본을 제작하여 활용하거횧나 실습실을 이용하고,학교가 위치횈한 지역에서 가장 취업이 용이한 직종에대한 분석을 토훻대로 그 직종에서 가장 중시되고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기술과- 62 -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기술이 어떤휆 것인가를 찾뜮아내어 가능한 지역사회 내에서직업생활을 영홉위할 수 있게 돕횎는 직업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실제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내용이 지역사회에서의 직업에 맞도록 학교 관계자는 직업의 종류와 기술들을 바탕으로 한 직업교육내용을 마련하였을 때,지역 내의 취업도 가능해질 것이다.앞훱으로 장애학생의 적성 직종의 개발에 대한 <strong>연구</strong>를 계속해서 추진해야 하며,장애학생의 능력과 특성에 적합홇한 직종을 선정하여 이들이 그 직종을 전담할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즉홶,직업교육문제를 개선하기위해서는 무홹엇띋보다도 공영홉개발이라는 차혹원에서 검훺토훻되어야 하며,사설기관의 경우에도 정부혺와 지방자치횈단체의 행․재정적인 뒷띖받침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제 3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훈련특수교육의 궁횒극횄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이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며의미 있는 생활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따라서 직업교육훈련에서도 지역사회의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한 현장중심의 역동적인 직업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다양한 직업세계와 사람횠들과의 직접 경험을 통해 보다 성공적인 성인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이처럼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은 그들의 직업적 요구에 기초하여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할뿐만 아니라,개개인이 직면한 장애의 유형 및 장애의심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재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직업교육훈련은 개별화 학습프로그램(IEP,IndividualizedEducationProgram)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우선,현재 부혺진한 상태에 머뜻물고 있는 직업훈련을 <strong>활성화</strong>시키고,취업에 필요한 자격홷과 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직업훈련의 기회와 더불횓어 직업훈련기관- 63 -


의 훈련수준별 다양화와 함께훯 직종의 범홦위도 확대되어야 하며,평훁생교육의 차혹원에서 실질적인 장애인 직업재활을 도모하기 위해 상담에서부혺터훓 시작하여 적응훈련,기술훈련,취업알선을 통한 작업장배홨치횈,사후효지도 등 일편횸의 패뛾키지 과정으로 제공되어서 근횦로자의 직업생활 전 기간을 통하여 단계적,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또한,장애인고용과 관련하여 관심이 있는 사업체,직업전문학교 출홛신 장애인기능자 그리고 장애인구직자에 대한 조사에서 모두횜 직업훈련 희횂망횃분야를 사무홹,정보처리,그래훾픽띵 관련분야를 1순위로 꼽띶고 있어 산홁업구조 변횡화에 따른홋 소프트뜂화,정보화 인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감홀안하여 직종에 따라 1급홴수준의 숙련직 양성을 목표홢로 하는 2년 이상의 훈련과정을 설치횈해야한다.이러한 전문 양성과정을 통해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보다 높횐은 전문기술과 기능을 습득훦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고급홴직의 취업이 용이하게 됨뜇과 동시에 취업 후효보수․승휧진 등에서 유리하게 될 것이다.한편횸,대부혺분의 사업체에서는 장애인에게 요구하는 직무홹가 단순 직무홹이기 때문에 고급홴 기능습득훦이나 자격홷증홌 습득훦을 위한 직업훈련은 오히려훟 취업에 방해가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단순기능의 습득훦을 목표홢로 하는 1년 이하의 단기양성과정도 함께훯 설치횈되어야 할 것이다.이처럼 본격홷적인 직업교육훈련은 교육인적자원부혺(2003)가 제시했횏듯뜐이 중학부혺2학년 정도부혺터훓 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유치횈원 과정에서부혺터훓 진로발달횺 단계에 따라 진로인식횇,진로탐화색,진로준비,취업 등 일관성 있게 직업재활의 성취라는 목표홢에 연계될 수 있도록 직업교육 훈련이 단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64 -


제 4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시설1.보호작업장보호작업장의 노혽동수요 창출홛정책홗이 되기 위해서는 근횦로계약을 맺횫고 노혽동법의적용을 받으면서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들이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며 의미 있는 생활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따라서 직업교육훈련에서도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한 현장중심의 역동적인 직업교육이 실시되어야 다양한 직업세계와사람횠들과의 직접 경험을 통해 보다 성공적인 성인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있을 것이다.이처럼 <strong>장애청소년</strong>들이 직업을 가질 때 지금혿의 보호작업장이 일차혹적으로 직업 전 훈련과 직업훈련을 통해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성격홷으로 규환정되어야 할 것이다대부혺분의 보호작업장은 목공,편횸물,단순 임혾가공 등 사양품홂목과 가치횈가 낮띈은품홂목을 하청 받아 생산홁하고 있어서 판로개척홃이 어렵횴기 때문에 최저임혾금혿 이하의급홴료를 받고 있다.이를 위해 정부혺차혹원에서 보호작업장의 열혻악혼한 노혽동임혾금혿에 대한 철저한 감홀시와 생산홁품홂의 판로를 개척홃해주어서 작업조건홄을 개선시키고,생활의 질적 향상을 위한 일반홆작업장으로의 전환프로그램을 목적으로 하는 종합홇프로그램도 개발하여 할 것이다.이처럼 보호작업장을 경유한 장애인은 대부혺분 중증홌장애인으로 지역사회의 고용이 쉽휳지 않훳기 때문에 노혽동부혺가 주축홍이 되어서,외국의 예홲와 같이 영홉국의Remploy공사와 스홸웨띷덴띸의 Samhal같은 사회적 기업을 만들어 장애인의 사회적응을 위해 국가차혹원에서의 공익훏사업으로 운영홉되어야 할 것이다.2.장애인 복지관전국 장애인복지관의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은 가장 많홈이 연계되어 운영홉될 수 있는 사업으로,장애인복지관에서는 장애의 치횈료부혺분과 연계된 프로그램- 65 -


의 증홌가가 아닌횟,장애학생의 교육욕홊구에 따른홋 프로그램의 증홌가와 기관별로 특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또한 특수교사와 사회복지사들간의 연계체계가 구축홍되어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들이 복지관내에서만 있는 프로그램이 아닌횟 다양한 경험과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장애학생의 개별적인 접근횦을위해서도 지역간의 연계체계도 구축홍하여야 할 것이다.특수학교에서는 간단한 기초기능 및 기본적인 직장 적응태도를 중심으로 한기초소양을 익훏힐띌 수 있도록 지도하고,복지관에서는 활동중심의 각종프로그램을통해 실제적인 기능 중심의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익훏힐띌 수 있도록 서로 협휣력해나가야 할 것이다.제 5절 <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법․제도적 지원1.<strong>장애청소년</strong> 관련법1)청소년 기본법제2차혹 뜢청소년육성 5개년 계획훥뜣에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 주요 정책홗대상으로 포횽함되어 있듯뜐이 청소년기본법에도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대해 정확히 명횮시되어 있어야 한다.즉홶,청소년기본법 제1장 제2조의 기본이념홪과 제4장 청소년시설을 개정하여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 대한 정부혺의 관심과 의지를 확실히 표홢명횮해야 하고,<strong>장애청소년</strong>도 청소년 육성정책홗의 주요대상으로 포횽함된다는 내용을 명횮시함으로써홽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실질적인 지원과 육성을 통해 기본권홺과 복리를 증홌진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할것이다.2)장애인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현존휞하는 장애인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에는 특수교육기관이 장애인을 위한직업재활실시기관으로 포횽함되어 있으므훬로,공단의 감홀독하에 특수학교와의 협휣력- 66 -


으로 현장훈련과 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즉홶,학교와 관련기관이 협휣력하여현장훈련과 실습이 제공된다면,한 업체의 직종에 어느홾 정도 적응한 장애학생은조금혿씩띯 지원고용형태로 유급홴을 받으면서 같은 업체나 직종에 자연스홸럽띠게 직업적응으로 연계될 가능성이 훨띔씬띕 높횐아질 수 있기 때문에 공단이 기본적으로 사업체 현장파횯악혼과 함께훯 학교현장을 파횯악혼하는 것이 필요하다.또한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고용촉홒진을 위해 “휭<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탐화색 프로그램”휯을 신설하여 장애인이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할 것이다.3)장애인복지법현행 장애인복지법 제45조에는 장애아동 부혺양수당 및 보호수당은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추가비용을 보호자에게 지원하도록 하고 있으나,정신지체 등 중증홌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경우 일반홆 <strong>장애청소년</strong>과는 다르게 18세 이후효에도 부혺모나 가족횆에 의존휞도가 매횉우 높횐은 것이 현실이다.따라서 부혺양수당에 대한 내용을 확대 개정하여 중증홌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보호자에게도 부혺양수당이 지급홴될 수 있도록 그 지급홴 대상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4)특수교육진흥횊법특수교육 진흥횊법은 특수교육과 특수학급홴 등의 설치횈,운영홉 등 기본적으로 특수교육 제도의 시행에 근횦간이 되는 법률훝이 되고 있지만,발달횺장애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신적인 연령훜 수준이 일반홆 아동들이나 청소년에 비해 월뜍등히 낮띈음으로장애인의 학령훜기에 대한 개념홪을 일반홆 청소년들의 학령훜기와는 다르게 적용해야한다는 내용이 이 법에 명횮시되어야만 진정한 특수교육이 이루어 질수 있을 것이다.2.행․재정적 지원제도특수교육의 질을 한 차혹원 높횐이기 위해서는 국가수준(교육인적자원부혺)의 경우충분한 인력․재정의 확보 및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육정책홗 발굴띹과 현장- 67 -


교원 중심의 정책홗 추진 등이 있어야 하며,교육청의 경우에는 단위학교에서의장애학생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 및 현실을 감홀안한 정책홗 결정과 추진등이 절실히 요구된다.단위학교에서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 위한 특수교육교사를 포횽함하여 교사의 의식횇 개혁휪이 가장 중요한 방안이며(특히,특수학급홴),상위 특수교육행정기관의 권홺한을 단위학교(장)에게 실질적으로 위임혾함으로써홽 단위학교(장)의책홗무홹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또한 현재의 특수학교 교원정원과재직교원의 수를 대비해 보더라도,좀띴 더 많홈은 특수학교 교사의 배홨치횈,정원의증홌원과 증홌치횈,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임혾용 또는 기타훎 특수학교에 대한 행정지원체제의 구축홍과 강화 등을 비롯띅한 행정적 조치횈가 시급홴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일반홆교육의 경우와 달횺리 특수교육의 행․재정적 기반홆이 확고히 정착홖되어 있지 않훳아서 지역 간에 격홷차혹 없횘는 전국적인 균훫형 발전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지방교육자치횈단체가 이러한 복합홇적인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기에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향후효에 교육의 지방자치횈가 지금혿보다 더욱 <strong>활성화</strong>된다 할지라도 특수교육의 지원을 위한 행정서비스홸의 제공은 중앙띒정부혺 차혹원에서 그 기능을 한층휇 더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재정적인 측훨면에서는 재정을 효홙율홚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재정 사용의 융띲통성 증홌대가 효홙과적이지만,<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은 재정 정책홗만의 변횡화로는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변횡화를 야기하는데 충분하지 않훳기 때문에 특수교육 프로그램과 특수교육 재정 정책홗이 연계되어서 직업교육을 평훁가하고 개혁휪에 적극횄적으로 참여할 때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그리고 특수교육 재정에 관련된 규환정이 특수교육 프로그램 정책홗에 직접적으로 영홉향을 주기 때문에 정책홗 결정자는 특수교육 재정 체제에서 채횬택하고자 하는 정책홗을 명횮확하게 확인하여 적절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비스홸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다시 말휛하면,<strong>장애청소년</strong>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지원을 위해서는 행정적 기반홆이 정부혺 차혹원에서 그 기능을 강화하여 정착홖시켜홅야 하며,재정정책홗을 개발할 때에도 사회적목적에 맞는 특수교육 재정체계를 설계해서 규환정을 설정하여야 하고,그 재정- 68 -


운영홉의 효홙율홚성을 위해서도 특수교육비의 지출홛 및 규환모의 합홇리적인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69 -


제 5장 결 론홥<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긍훧극횄적인 목적은 장애의 유형이나 장애의 정도에알맞은 필요한 서비스홸를 적절히 제공함으로서 장애인이 지역사회에 통합홇되어사회적․경제적으로 가능한 한 독립된 생활을 영홉위할 수 있도록 돕횎는데 있다.그리고 장애인에게 있어서도 직업교육은 삶의 전환이자 희횂망횃이며,가족횆들에게는정신적․경제적 부혺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이러한 취지에서 직업교육은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이나 가족횆들에게는 희횂망횃이며 또한 우리사회에서 격홷리되지 않훳고공동체 의식횇을 느홾끼휎며 살홏아 갈훼 수 있는 통로이기도 하다.그러나 위에서 살홏펴홐보았횩듯뜐이 아직도 직업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훳고 있는 실정이며 개선되어져야 할 요인이 많홈이 상주하고 있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strong>활성화</strong>를 위해서는,첫째,직업교사를 예홲로 들 수 있다.<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strong>활성화</strong> 요인들 중의 하나인 직업교사는 보다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직업관련 교사의 확보와 자질 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학생의 직업교육훈련을 제대로 담당할 수 있는 전문성은 가진 직업교육교사가 양적․질적으로 충분히 양성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지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직업이나 전환교육과 관련된 교과목이 강화되어야 하며,직업교사 양성대학이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다.그리고 철저한 연수나 보수교육 등을 통하여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시키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둘째,<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내용은 고용을 위한 직업교육 외에 계속교육․지역사회 참여․독립생활 등에 대한 지원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직업 내용을 통해 그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직업에 맞도록 학교 관계자는 직업의 종류와 기술들을 바탕으로 한 직업교육내용을 마련되었을 때 취업의 문도넓어지고,그 지역 내의 취업도 확대될 것이다.- 70 -


셋째,직업교육훈련은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한 현장중심의 역동적인 직업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이런 연계된 자원들을 통해서 다양한 직업세계와의 만남이 <strong>장애청소년</strong>에게 직접적인 경험이 되어 보다 성공적인 성인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이처럼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은<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적 요구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할뿐만 아니라,개개인이 직면한 장애의 유형 및 장애의 심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재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직업교육훈련은 개별화 학습프로그램(IEP,IndividualizedEducationProgram)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넷째,직업교육시설의 하나인 보호작업장은 일차혹적으로 직업 전 훈련과 직업훈련을 통해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시설로서 대부혺분의 보호작업장은목공,편횸물,단순 임혾가공 등 사양품홂목과 가치횈가 낮띈은 품홂목을 하청 받아 생산홁하고 있어서 판로개척홃이 어려훟워훵서 최저임혾금혿 이하의 급홴료를 받고 있고 있는 실정이다.이를 위해 정부혺차혹원에서 보호작업장의 열혻악혼한 노혽동임혾금혿에 대한 철저한 감홀시와 생산홁품홂의 판로를 개척홃하여 작업조건홄을 개선시켜홅 주고,생활의 질적 향상을위한 일반홆작업장으로의 전환프로그램을 목적으로 하는 종합홇프로그램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또한 직업교육시설의 하나인 장애인 복지관은 특수학교의 전공교육과정과 가장 많홈이 연계되어 운영홉될 수 있는 사업으로,장애인복지관에서는 장애의 치횈료부혺분과 연계된 프로그램의 증홌가가 아닌횟,장애학생의 교육욕홊구에 따른홋 프로그램의증홌가와 기관별로 특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그리고 특수교사와 사회복지사들간의 연계체계가 구축홍되어서 <strong>장애청소년</strong>들이복지관내에서만 있는 프로그램이 아닌횟 다양한 경험과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장애학생의 개별적인 접근횦을 위해서도 지역 간의 인적․물적 연계체계를 구축홍하여야 할 것이다.다섯홎째,<strong>장애청소년</strong>과 관련된 법체계에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것은장애인 고용촉홒진 및 직업재활법이다.이법에서는 특수교육기관이 장애인을 위한직업재활실시기관으로 포횽함되어 있어서,공단의 철저한 감홀독과 특수학교와의 협휣- 71 -


력에 의한 현장훈련과 실습이 이루어지고,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고용촉홒진을 위해 “휭<strong>장애청소년</strong> 직업탐화색 프로그램”휯을 실시하여 장애인이 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영홉위할 수 있도록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또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체계에는 특수교육의 질을 한 차혹원 높횐이기 위해 국가수준(교육인적자원부혺)의 경우 충분한 인력․재정의 확보 및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육정책홗 발굴띹과 현장교원 중심의 정책홗 추진 등이 있어야 하며,교육청의 경우에는 단위학교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지원 및 현실을 감홀안한 정책홗 결정과 추진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즉홶,특수학급홴을 담당하는교원에 대한 인사행정(자격홷기준,배홨치횈기준,교육과 훈련,단위학교 차혹원의 지원체제 등)에서 특수성이 반홆영홉되어야 하며,특수학교 교원의 원활한 승휧진과 사기양양을 위하여 특수교육 현장경력이 많홈고 유능한 다수의 교원을 전문직으로 전직 임혾용하거횧나 승휧진기회를 늘띦릴띍 수 있는 제도적 장치횈와 함께훯 그 운영홉을 살홏릴띍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이상에서 보았횩듯뜐이 <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교육 <strong>활성화</strong>를 위해서는 학교에서는 <strong>장애청소년</strong> 각자의 능력에 알맞은 맞춤띺식횇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시급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또한 체계적인 직업훈련을 통하여 장애인들에게 폭휜넓은 직업선택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이렇홻게 되기 위해서는 국가․지방자치횈단체에서 고용을 위한 지원을 적극횄적으로 해야 하며,더불횓어 법제정과 제도적 개선 차혹원을 넘훿어서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횇의 변횡화와 정부혺와 기업의 구체적인 준비,관련단체나 시설․가정에서의 철저한 직업재활교육 및 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그러나 무홹엇띋보다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횇되는 것은 장애인스홸스홸로도 일반홆인과 다름띻없횘이 할 수 있다는 자신감홀과 능동적인 노혽력이 함께훯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72 -


참 고 문 헌강위영홉.(1991).직업재활 정책홗에 <strong>관한</strong> <strong>연구</strong> 「홓직업재활<strong>연구</strong>」확1집횭.대구 한국직업재활학회.고은자.(2002).뇌횿성마비<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직업욕홊구와 직업재활 프로그램개발에 <strong>관한</strong> <strong>연구</strong>.단국대 행정법무홹대학원.교육부혺.(1993).특수교육백띑서.교육부혺.교육인적자원부혺.(2003).특수교육연차혹보고서.서울훅:교육부혺강병훀호 외.(2003).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운영홉 내실화 방안.국립특수교육원김동일․김언횼아.(2003).장애인고용통권홺 제 49권홺.한국장애인고용촉홒진공단.김미옥횾.(2003).장애인복지실천횶론홥.나남출홛판.김민훑영홉.(2005).중고등부혺 특수학급홴 직업교육과정 운영홉의 필요성과 적용실태.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김민훑영홉.(2005).중고등부혺 특수학급홴 직업교육과정 운영홉의 필요성과 적용실태.단국대학교 특수교육학과.김원경.(2003).특수학교․학급홴 경영홉론홥.특수교육.남정걸훚.(1996).특수교육행정론홥.교육과학사.박훐석돈휠.(2001).보호작업장의 유형과 기본요소에 <strong>관한</strong> 고찰.재활심리<strong>연구</strong>,8,49-63.박훐승휧희횂 외.(2001).특수교육발전 5개년(2003-2007)종합홇대책홗 수립을 위한 기초<strong>연구</strong>,교육인적자원부혺변횡용찬뜆 외.(2001).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한국보건홄사회<strong>연구</strong>원보건홄복지부혺.(2000).2000년 장애인 복지사업 안내보건홄복지부혺.(2005).2005보건홄복지부혺 백띑서안병훀즙뜸 외.(1984).장애자의 직업재활.서울훅 :형설출홛판사.안태희횂.(2003).발달횺장애 및 정서장애의 직업재활 프로그램 개발<strong>연구</strong>.한국장애인고용촉홒진공단.오혜횵경.(1997).장애인복지학 입휗문.서울훅 :아시아미디횳어리서치횈.오혜횵경.(2001).<strong>장애청소년</strong> 인력개발을 위한 대응전략훡.장애인고용촉홒진공단.은화학교.(2004).2004은화 교육계획훥.전주시 정신지체아 유․초․중․고 공립특수교육기관.학교교육계획훥서.이금혿희횂.(2003).정신지체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홉 방안 <strong>연구</strong> :서울훅소재- 73 -


공립 정신지체 특수학교 4개교를 중심으로,단국대 특수교육대학원.이무홹근횦.(1993).직업교육학 원론홥,서울훅 :교육과학사.이상진.(2001).자폐훆인의 직업재활과 고용.장애인고용촉홒진공단.겨휕울훅호.이승휧미.(2001).특수학교 <strong>직업교육의</strong> 실태에 <strong>관한</strong> <strong>연구</strong>.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이현정.(2005).우리나라 정신지체 직업교육 운영홉 실태와 <strong>활성화</strong> 방안 ;전라북띧고의 경우를 중심으로.원광대 교육대학원.장창엽띞 외.(2001).장애인근횦로자 실태조사 2000.한국장애인 고용촉홒진공단 고용개발원.전금혿면.(2005).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고와 <strong>활성화</strong> <strong>연구</strong>.단국대 대학원.전찬뜆영홉.(2005).<strong>장애청소년</strong>의 재택교육에 <strong>관한</strong> <strong>연구</strong>.단국대 정책홗경영홉대학원.정동영홉.(2001).장애인 평훁생교육 협휣력체제 구축홍방안 <strong>연구</strong>.국립특수교육원.정봉뜅도.(2000).특수학교 <strong>직업교육의</strong> 과제와 대책홗.초등특수교육<strong>연구</strong>.창간호.1-19.정은해.(2004).사업주의 정신지체인 고용인식횇과 직업교육에 대한 요구분석.공주대 특수교육대학원.정재권홺.(2000).뇌횿성마비아의 학습장애 실태분석.한국지체부혺 자유아교육학회.정철영홉 외.(1998).직업 기초 능력에 <strong>관한</strong> 국민훑 공통 기본 교육 과정 분석.한국직업능률훝개발원.정희횂섭띘 외.(2004).특수교육 행․재정 지원 실태분석.국립특수교육원.조인수.(1998).발달횺지체인 생활․직업재활훈련의 이론홥과 실제.교육과학사.Belamy,G.T.,Honor,R.,& Inman,D.(1979).Vocationalhabilitation ofseverly retarded adults : A direct service technology. Baltimore :UniversityParkPress.Garcia - vilamisar, D, Ross, & Wehman, P.(2000), clinical diferentialanalysisofpersonswith autism in work seting :A folow - up study.JournalofVocationalRehabilitation,14,183-185.Greenleigh Associates.(1976).The Role ofthe Sheltered Workshop in theRehabilitation of the Severely Handicapped,New York : GreenleighAssociates,Inc.Levinson,E.M.(1998).Transition:Facilitating the postschooladjustmentofstudentswithdisabilities(pp.1-2).A DivisionofHaorperColinsPublishers.Westview Press.Nelson,N.(1971).Workshops forthe handicapped in the United States:An- 74 -


histor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Springfield, IL: Charles C.Thomaspublisher.Wright, G. N. (1980). Total Rehabilitation. Boston : litle, Brown andCompanyInc.- 75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