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2015 Views

2004-11.pdf [다운:865] - 통일연구원

2004-11.pdf [다운:865] - 통일연구원

2004-11.pdf [다운:865] - 통일연구원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한국의 북한․통일 연구에서 1997/1998년은 하나의 전환점이었는데,북한의 내부적 움직임이 동인이었다. 김정일이 1997년 10월에는 당 총비서로, 1998년 9월에는 새로운 헌법 체계 속에 국방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이 전환기 동안 북한은 상당수의 엘리트 당료를 숙청하거나 교체했다. 1997년의 황장엽 망명, 그리고 새로운 김정일 진용의 구축 등이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무렵 북한은 ‘사회주의 강성대국’론을 내걸면서 전반적으로 국가체계를 정상화하고, 경제관리 및 중하부 지배체제복구에 주력했으며, 경제부문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1998년 이후 ‘포용정책’을 표방한 김대중 정부의 등장, 북한 내부 변화와 맞물려 한국의 북한연구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붕괴 임박’론이 수그러들면서 ‘붕괴’를 전제로 한 연구 경향도 퇴조했다. 둘째,1997년에서 1998년에 걸쳐 일어난 김정일 정권의 재정비를 계기로 새로운 연구주제가 대두했다. 북한 정치와 관련하여 1994년에서 1997년까지 주로 다루어진 주제는 김정일의 ‘유훈통치’, ‘주석직 승계 시기’, 제7차 당대회 개최 여부 및 그 시기 등이었으나, 1990년대 후반으로 진입하면서 군부 중시 현상이 연구자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그런데 돌이켜 볼 때, 북한의 권력 변동에 관한 내외 전문가의 전망과1997/1998년 실제 발생한 김정일의 권력 구조 재정비 방식은 상당히 달랐다. 북한이 1997년 10월 김정일을 당 총비서로 추대하고, 1998년 9월헌법을 개정하여 1972년 체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국가체계를 수립하게되면서, 이 국가체계에 대한 평가가 분석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분석의핵심 주제는 김정일의 ‘군부중시 정책’ 및 ‘선군정치’와 새로운 국가체계의 관련성, 국가체계가 전체 권력 체계 특히 당․정․군 관계에 주는 영향과 변화 등이었고, 이에 대한 연구가 2000년대 초반까지 집중적으로진행되었다. 24 김정일 시대 북한의 정치체제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