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2.2022 Views

TCN 38호 2022년 12월 23일 B면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DEC 23 2022 | Living & News Education | 19<br />

드에 있으면 칩을 놓아 표시하도록 한다. 한 줄에<br />

단어 5개를 다 표시할 때까지 하면 된다.<br />

킨더 읽기 권장사항<br />

킨더 아이들이 스스로 혹은 약간의 도움을 받아<br />

읽을 만한 책을 고를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br />

염두하도록 하자.<br />

☞ 다섯 손가락 규칙을 사용하자. 한 페이지에서<br />

다섯번 잘못 읽을 경우에, 아이에게 너무 어려운<br />

책이다. 한번 잘못 읽는 경우는 너무 쉬운 책이다.<br />

네번 잘못 읽는 경우는 약간의 도움을 주면서 다<br />

시 읽기를 시도해 볼 만한 경우이다. “알맞은” 수<br />

준의 책은 한 페이지에 두 번에서 세 번 정도 잘못<br />

읽는 경우이다.<br />

☞ 같은 책을 여러번 읽는 것은 괜찮다. 책을 여<br />

러번 읽으면서 아이들은 이야기를 외워버리기 때<br />

문에 마치 독해력에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 것 처<br />

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문맥을 편안하게 받아들<br />

이고 익숙해지는 것은 읽기의 유창성, 어휘, 단어<br />

인지력 향상에 모두 도움이 된다.<br />

☞ 반복되는 문장이 나오는 책을 읽도록 지도하<br />

자. 닥터 수스(Dr. Seuss)의 “더 풋 북(The Foot<br />

Book)”이나 “합 온 팝(Hop on Pop)”과 같은 책<br />

은 독해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데이비<br />

드 맥페일(David McPhail)의 “빅 브라운 베어<br />

(Big Brown Bear)”나 “빅 피그, 리틀 피그(Big Pig<br />

,Little Pig)”와 같이 익숙한 사이트워드가 쓰여진<br />

책도 이해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br />

와 목소리의 변화의 역할에 대해 알 수 있도록 한<br />

다. 아이가 스스로 읽을 수 있는 책의 수준보다 약<br />

간 높은 책을 골라서 아이들이 새로운 어휘에 노<br />

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이가 잠자리에 들기 전에<br />

부모가 아이에게 이야기를 읽어주는 것을 일과로<br />

만들자.<br />

질문을 하자<br />

킨더 아이들의 독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br />

질문을 해야 한다. 읽기를 시작하기 전에 아이들<br />

에게 제목과 삽화를 보여주고 어떤 일이 일어날지<br />

예측해보도록 한다.<br />

이야기를 읽으면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br />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혹은 만약 주인공이라<br />

면 어떻게 할지와 같은 질문을 해보자.<br />

이야기를 다 읽고 난 후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br />

는지, 이야기를 읽고 어떤 기분이 들었는지 혹은<br />

왜 이야기가 이렇게 끝났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br />

눠본다.<br />

연결점을 찾도록 돕자<br />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아이들이 연결점<br />

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또 다른 효과적인 방<br />

법이다. 아이들이 읽을 글에 대해서 먼저 기초를<br />

제공해주도록 한다. 읽기를 시작하기 전에, 익숙하<br />

지 않은 주제나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거나<br />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다. 또한 아이가 자신의 경험<br />

과 이야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좋다.<br />

(tiny)'라는 단어에는 익숙하지 않아도, 사이트 워<br />

드 리스트에서 배운 '리틀(little)'은 알아볼 수도<br />

있을 것이다.<br />

“어떤 게 작은 구멍에 들어갈 수 있을까? 작은<br />

게 들어갈 수 있을까 아니면 큰 게 들어갈 수 있<br />

을까?”와 같은 질문을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br />

지도하자. 문맥에 맞게 단어를 읽어보면서 아이들<br />

은 '타이니'라는 단어를 '작다'는 의미로 유추해낼<br />

수 있다.<br />

시각화 하도록 지도하자<br />

아이들이 독서를 할 때, 머리 속에 이미지를 떠<br />

올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는 종종 '브레인 무비'<br />

나 '마인드 무비'라고 불린다. 아이가 그림을 통하<br />

여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등장인물이 어떤<br />

생각을 하는지 또는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에 대해<br />

표현하도록 한다.<br />

아이가 오감을 동원하여 자신의 생각 속에서 이<br />

야기의 흐름을 그림으로 떠올릴 수 있도록 지도<br />

한다. 이야기의 흐름을 구상해보는 것은 학생들의<br />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도움이 되는 재미있는 방법<br />

이다.<br />

정리 <strong>TCN</strong> 편집국<br />

읽기 습관의 좋은 본이 되자<br />

아이들이 부모와 교사가 읽기를 가치있게 여기<br />

는 모습을 보는 것은 중요하다. 교사는 매일 15분<br />

에서 20분정도 조용하게 책을 읽는 시간을 할애<br />

하여 아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시간 동<br />

안, 학생과 교사 모두 조용히 읽을 책을 정하고 책<br />

을 읽는다. 부모는 집에서 부모가 책을 읽는 모습<br />

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통해 아이들에게 도<br />

움을 줄 수 있다.<br />

교사와 부모는 학생들에게 정기적으로 책을 소<br />

리내어 읽어주어서 아이들이 유창하게 읽는 속도<br />

어휘를 확장 시키자<br />

학생의 어휘를 확장시키는 것은 독해력을 향상<br />

시키는 훌륭한 방법이다. 학생들이 이야기를 이해<br />

할 수 있도록 아직 뜻을 모르는 단어들은 미리 뜻<br />

을 알려주어서 이제 막 걸음마를 떼는 읽기 실력<br />

에 자신감을 붙돋아 주도록 하자.<br />

새로운 단어가 나오면 이야기의 문맥에 비춰서<br />

뜻을 유추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The tiny ant<br />

goes in the little hole,”이라고 쓰인 문장을 예로<br />

들어보자. 아이는 '조그마한'이라는 뜻의 '타이니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