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2.2022 Views

TCN 38호 2022년 12월 23일 B면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29<br />

Living & News<br />

DEC 23 2022<br />

방위력 키우는 일본,<br />

평화주의에서 ‘전쟁 가능’ 국가로<br />

‘반격 능력’ 안보문서에 명기…5년 뒤 방위비 세계 3위 가능성<br />

육상자위대 사열하는 기시다 일본 총리<br />

일본이 태평양전쟁 패전 후 채택한 평화<br />

주의에서 탈피해 전쟁 수행이 가능한 국가<br />

로 변모하고 있다.<br />

사실상 군사 조직인 자위대의 존재는 전<br />

력 보유를 금지한 헌법 9조 2항과 모순된다<br />

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제기돼 왔다.<br />

일본 정부는 16일 각의( 閣 議 ·국무회의)<br />

에서 적 미사일 발사 거점 등을 공격할 수<br />

◇ 자위대 해외파병…한반도 인근에서도<br />

있는 ‘반격 능력’ 보유를 명기하고 방위력<br />

역할 확대<br />

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가안전보장<br />

1990년대 들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br />

전략’ 등 3대 안보 문서 개정을 공식 결정<br />

본격화하면서 한반도 인근에서도 자위대<br />

했다.<br />

의 역할이 점차 확대돼 왔다.<br />

반격 능력의 보유는 장사정 미사일 등 원<br />

1999년 제정된 일본 ‘주변사태법’은 한반<br />

거리 공격무기의 확보를 전제로 한다. 이는<br />

도 유사시 자위대가 미군에 대한 비전투 작<br />

일본의 평화헌법과 그에 기초한 전수방위(<br />

전 지원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br />

국제관함식에서 항행하는 일본 호위함 이즈모<br />

專 守 防 衛 ·공격을 받을 경우에만 방위력 행<br />

을 통해 한반도 유사시 미국과 일본의 작전<br />

사 가능) 원칙에 위배될 수 있다는 지적을<br />

협력이 가능해졌다.<br />

받는다.<br />

나아가 2015년 안보 관련법이 일본 국회<br />

를 통과하면서 동맹국이나 우호국이 무력<br />

◇ 헌법상 ‘전력 보유·교전권’은 인정하지<br />

공격을 받아 일본이 ‘존립 위기 사태’에 이<br />

않아<br />

르면 무력을 동반하는 집단자위권 행사도<br />

일본 헌법 9조 1항은 “일본 국민은 정의<br />

가능해졌다.<br />

와 질서를 기조로 하는 국제평화를 성실히<br />

주변사태법에선 비전투 임무만 가능했는<br />

희구하며, 국권의 발동인 전쟁과 무력에 의<br />

데 집단자위권이 인정되면서 전투 임무도<br />

한 위협 또는 무력의 행사는 국제분쟁을 해<br />

수행할 수 있게 됐다.<br />

결하는 수단으로써는, 이를 영구히 포기한<br />

헌법 해석 변경을 통한 집단자위권 인정<br />

다”고 규정하고 있다.<br />

이 한반도나 대만해협 등에서 미군을 지원<br />

9조 2항은 “전항(1항)의 목적을 이루기<br />

위해 육·해·공군이나 기타 전력을 보유하<br />

하는 자위대의 역할을 확대하는 법적, 제도<br />

적 정비였다면 반격 능력 보유를 명시한 이<br />

일본 육상자위대 12식 지대함유도탄<br />

지 않는다. 나라의 교전권을 인정하지 않는<br />

번 안보 문서 개정은 자위대가 이를 수행하<br />

력을 갖추기 위해 원거리 타격무기 등을 대<br />

탈바꿈한다는 점에서 이번 안보 문서 개정<br />

다”고 기술하고 있다.<br />

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능력을 갖추게 한다<br />

거 확보하고, 현재 GDP의 1% 안팎인 방위<br />

은 일본 안보 정책의 대전환이라는 평가가<br />

전력 보유를 금지하고 교전권을 인정하<br />

는 의미가 있다.<br />

예산을 5년 뒤 GDP의 2%까지 대폭 늘린<br />

나온다.<br />

지 않는 현행 평화헌법은 태평양전쟁 직후<br />

일본 정부는 자국이 직접 무력 공격을 받<br />

다는 계획이다.<br />

미치시타 교수는 이번 안보 문서 개정 배<br />

미군정 주도로 마련됐다.<br />

았을 때뿐만 아니라 동맹국에 대한 무력 공<br />

5년 새 방위비를 2배로 늘리면 미국과 중<br />

경에 대해 “대만 해협의 전략적 환경 변화<br />

전후 미국은 옛 일본군을 해산한 뒤 일<br />

격으로 일본의 존립이 위협받는 사태가 발<br />

국에 이어 세계 3위 방위비 지출국이 될 가<br />

에 대한 대응”이라며 “한반도 안보에도 영<br />

본을 비무장 평화주의 국가로 만들려고 했<br />

생해도 집단자위권으로서 반격 능력을 행<br />

능성이 있다.<br />

향이 있다고 보지만, 일본의 의도는 대만<br />

지만, 미소 냉전의 심화와 중국의 공산화<br />

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br />

전투 지속 능력을 높이기 위해 탄약 및<br />

해협의 긴장이 높아지는 것에 대해 대응하<br />

(1949년) 등으로 인해 미국의 일본 정책은<br />

예를 들면 한반도 유사시 미군 함정이 북<br />

유도탄을 확보하고 시설을 정비하는 한편,<br />

는 측면이 크다고 생각한다”고 진단했다.<br />

바뀌기 시작한다.<br />

한의 미사일 공격을 받으면 일본이 집단자<br />

유사시 신속한 의사결정과 미군과의 일체<br />

그러면서 “이번의 정책적 변경은 상당히<br />

특히 1950년 6월에 발생한 한국전쟁 때<br />

위권 차원에서 미국의 요청을 받아 북한을<br />

성 강화를 위해 자위대 상설 통합사령부도<br />

폭넓고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단순히 장<br />

일본은 미군에 후방 기지를 제공하고 미군<br />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br />

설치하기로 했다.<br />

비만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억지<br />

의 작전을 지원했다.<br />

아울러 방위 산업을 육성하고 방위 장비<br />

력을 갖추고 만약 억지에 실패했을 때 교전<br />

한국전쟁이 끝나고 이듬해인 1954년 일<br />

◇ 집단자위권은 제도적 정비…이번엔 실<br />

수출 규제 완화를 검토한다는 내용도 이번<br />

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한다는 의미에서 과<br />

본은 자국 영토를 방어한다는 명목으로 자<br />

질적 능력 확보<br />

에 개정된 안보 문서에 담겼다.<br />

거에 있던 방위력 강화와는 근본적으로 다<br />

위대를 창설했다.<br />

일본 정부는 반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br />

실질적으로 전쟁 수행이 가능한 국가로<br />

른 상당히 중요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