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19<br />

geht das Leben rückwärts, Freiheit ist das Element des Menschen wie das Wasser des<br />

Fisches, und ein Mensch, der sich der Freiheit begibt, vergiftet die edelsten Geister seines<br />

Blutes, erstickt seine süßesten Freuden des Lebens in der Blüte und ermordet sich selbst.<br />

Paster<br />

[…] Jeder kann nicht immer seinen Willen haben, und das läßt sich mein Sohn auch gerne<br />

gefallen, nur-<br />

Läuffer<br />

Es handelt sich um das Pferd, Herr Geheimer Rat. (GBA 8.339)<br />

자유를 구가하는 인간이야 말로 인간다운 삶을 사는 인간이라고 주장했던 추밀고<br />

문관은 5막 16장에서 자유의지를 포기한 로이퍼의 거세를 원칙이 있는 인간의 태도<br />

로 반긴다. 이러한 추밀고문관의 모순적인 태도를 통해 브레히트는 시민적인 이데올<br />

로기의 모순과 그 공허함을 드러낸다.<br />

브레히트는 변화하는 인물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역사의 주인공이 되는 긍정적<br />

인 인물에 대해 예감케 하고자 했다. 개작 가정교사에서는 이러한 긍정적인 인물이<br />

형상화되지는 않지만 부정적인 예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배움을 얻게 하고자 했다.<br />

지식인인 로이퍼와 프리츠, 패투스는 부정적인 방향 (정상적이고 능동적인 인물에서<br />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거세되는) 으로 변화되는 인물이다. 브레히트는 행동을 통해<br />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는 모순적인 인물들을 15)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이 이러한 인물들<br />

의 행동방식으로부터 거리를 취하고 그로부터 사회적 모순을 통찰할 수 있는 비판적<br />

의식을 갖게 되기를 희망했다.<br />

3.3. 모티프<br />

원작에서의 모티프들이 개작에서는 삭제 혹은 축소되거나 변형됨으로써 새로운<br />

인물과 플롯, 변형된 주제를 만들어 낸다.<br />

1) 의 모티프는 렌츠의 드라마에서는 여러 인물들의 삶을 통해 변<br />

15) 브레히트의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자신이 처한 사회적 상황의 모순을 인식하지 못하는 부<br />

정적인 인물의 전형을 보여준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