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1. 브레히트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br />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br />

0. 서론<br />

<strong>정동란</strong> (원광대)<br />

브레히트는 원작이 있는 이야기의 줄거리나 인물을 변형하거나 신문 기사를 토대<br />

로 수많은 개작을 시도했다. 그의 개작 방식은 소재나 개작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br />

나타난다. 브레히트의 개작 방식의 특징은 원작을 무시하고 새롭게 창조적으로 쓰기<br />

보다는 가능한 한 원작에 충실하면서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게 작품을 새롭게 해석<br />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그의 개작 의도는 자신이 시도했던 새로운 연극무<br />

대에 대한 형식적 시도들과 병행하여 나타난다. 브레히트는 원작을 가능한 한 충실하<br />

게 그리고 집중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작가의 역사적 상황 및 입장을 연구하여 그 의<br />

미를 파악하는 것을 개작의 전제조건으로 보았다 1). 또한 생산적인 방식으로 원작에<br />

충실함으로써 그 속에 숨겨져 있고 잘못된 전통으로 은폐된 의미 및 숨겨진 사회적<br />

연관성을 부각시키는 것을 개작의 기본으로 이해했다. 그의 개작 작업의 원칙은 고전<br />

을 현대적 관점에서 새롭게 재구성하여 현대적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br />

다. 여기에서는 막스주의적 인식방식을 통한 새로운 세계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br />

브레히트의 가정교사개작은 이러한 브레히트의 개작 원칙의 독창성을 대표하는<br />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는 독일의 참상의 원인을 보여주겠<br />

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브레히트는 이 작품의 개<br />

작뿐만 아니라 공연을 위한 드라마투르그 및 연출까지 맡았다. 렌츠의 가정교사 혹<br />

은 사교육의 장점 2)는 브레히트 없이는 오늘날 생각할 수 없다고 한 한스 아이슬러<br />

1) Wolfgang Wittkowski, Aktualität der Historizität: Bevormundung des Publikums in Brechts Bearbeitung,<br />

in: Brechts Dramen, hrsg. v. W. Hinderer, Stuttgart 1985. S. 361.<br />

2) 이하 렌츠의 작품은 가정교사로 약칭 함.


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의 주장은 독일문학에서 무시되어 왔던 렌츠를 새롭게 부각시키고자 했던 브레히트<br />

의도가 적중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3)<br />

이 글에서는 원작인 렌츠의 가정교사와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를 비교하<br />

여 원작의 변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주목한다. 특히 주요 인물 및 플롯, 모티프<br />

의 변형 양상을 통해 개작에서 달라진 주제에 대해 살펴본다.<br />

1. 브레히트 개작 가정교사의 생성사<br />

브레히트는 1940년에 쓴 리얼리즘적 글쓰기방식에 대한 단평들에서 시민 혁명<br />

적 요소를 지닌 리얼리즘적 드라마로 존 게이의 거지 오페라와 보마르세의 피가<br />

로의 결혼, 렌츠의 가정교사를 들며, 이 세 작품이야말로 시민계급의 문제 및 자<br />

기성찰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시민 혁명적 리얼리즘 드라마로 평가한다.<br />

브레히트는 독일의 역사를 실패한 역사로 보았으며 독일 역사 실패의 근원이 되는<br />

첫 번째 요소가 독일인의 “노예근성 Knechtseligkeit”이라고 보았다 4). 브레히트는 이<br />

러한 노예근성이 독일역사를 파시즘에로 이끌었다고 생각했으며 동독이 새로운 역사<br />

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독의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해서는 과거 고전<br />

작품의 위대한 사실주의적 작품의 양식을 습득할 것을 요구했다. 이를 위해 플롯과<br />

작중 인물에의 도덕적인 감정이입 대신 사건에 대한 비판적 통찰을 이끌어 내는 드<br />

라마투르기를 탐색했다.<br />

이러한 브레히트의 새로운 드라마투르기 탐색은 고전작품의 개작으로 나타난다.<br />

개작작업의 일환으로 브레히트는 1949년 가을, 렌츠의 가정교사 개작에 착수하여<br />

같은 해 12월 22일 완성한다. 가정교사의 무대화하기 위한 공동 수정 작업에는 루<br />

트 베를라우, 카스퍼 네허, 에곤 몽크, 벤노 베송 등이 참여했다 5).<br />

3) Klaus-Detlef Müller, Bertolt Brecht. Epoche-Werk-Wirkung, Ḿünchen 1985. S. 342.<br />

4) Bertolt Brecht, Bertolt Brecht Werke, Große komme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30.<br />

Bd. Hrsg. v. W. Hecht, J. Knopf u.a. Berlin und Weimar, F/M 1988-1988. Bd. 8. S. 558. 이하<br />

GBA로 표시하고 권수와 쪽수를 괄호에 명기함.<br />

5) 얀 크노프, 베르톨트 브레히트, 이원양 역, 인물과 사상사 2007. S. 188.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9<br />

1950년 4월 14일 개작 가정교사는 도이체스 테어터에서 베를린 앙상블에 의해<br />

초연되며 이후 베를린 앙상블의 고정 레퍼토리가 된다. 브레히트는 이 작품을 베를린<br />

앙상블 6)의 세 번째 상연 작으로 선택했다. 이 작품을 세 번째 상연 작으로 결정한 것<br />

은 프로그램의 정책적 의도에서였다고 브레히트는 밝힌다. 7) 브레히트는 봉건질서를<br />

거부한 진보적 시민문학을 본보기로 삼는 동독정부의 문화정책을 반동적이라고 보며<br />

시민계급에 대한 비판과 함께 민중계급을 현실변혁의 주체로 내세울 수 있는 고전들<br />

을 개작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개작작업을 통해 브레히트는 고전작품의 사회주의적<br />

리얼리즘 방식 및 그 연출방식에 대해 탐구한다. 브레히트가 고전 드라마 작품의 유<br />

산들을 포기했다는 볼프의 비난에 대해 브레히트는 내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전통적<br />

인 성격드라마들이 비사실적이라고 맞섰다. 8) 이러한 그의 주장은 당시 동독의 문화<br />

정책과 사회주의적 연극에 대한 비판에서 기인한다. 브레히트는 밑에서부터의 혁명<br />

을 이끌지 않고 위에서 명령하는 당시 동독의 문화정책을 강력하게 비난했다. 존재와<br />

의식간의 모순을 비판적인 교육과정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직접<br />

적인 적응 프로그램으로 길들이려는 당시의 문화정책에 반발하여 브레히트는 연극실<br />

무 작업으로 대응한다.<br />

브레히트는 렌츠의 가정교사가 오랫동안 그의 머릿속에 자리 잡고 있었던 작품<br />

이라고 밝히면서 9) 이 작품이야 말로 독일 참상을 그린, 최초의 그리고 가장 신랄한<br />

작품이라고 주장했다. 브레히트는 자신이 이 작품을 베를린 앙상블의 공연레퍼토리<br />

로 선택한 이유가, 변혁의 시대에 적합한 고전적 레퍼토리를 찾아 셰익스피어의 길을<br />

가는, 두 가지 목적에 가정교사가 부합하기 때문이라고 밝힌다(GBA 8. 557).브레<br />

히트는 렌츠의 가정교사가 고전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며 사실적이며 동시에 시<br />

6) 1949년 브레히트는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공연의 성공으로 극단 설립을 제의받아 베를린 앙상<br />

블을 설립하게 된다. 브레히트는 공연 원칙으로 인간과 사회를 변모 가능한 것으로 보여 줄 것,<br />

어떠한 모순이든 사회적 모순으로 서술할 것, 그리고 고전 작품을 변증법적 의미로 지향시키면서<br />

계승할 것 등을 제시한다.<br />

7) 얀 크노프는 동독의 건국 시기에 브레히트가 렌츠의 가정교사를 번안한 이유는 문화 관료의<br />

공허한 고전작가 숭배에 힘입은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세계사에서 가장 대규모 살육전이 끝난<br />

다음에 다시금 동독이 혁명도 아닌 혁명을 주장하는 사실에 힘입은 것이라고 쓰고 있다.<br />

8) Wilfreied Barner(Hrsg.), Geschichte der deutschen Literatur von 1945 bis zur Gegenwart, München<br />

1994. S. 149.<br />

9) GBA 8. 556.


1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적일 뿐만 아니라, 이념이 소재적인 것을 잠식하지 않는 작품이라고 보았다(GBA<br />

8.557). 브레히트는 개작을 통해 원작의 ‘이상주의적’ 출발점에서 역사적 발전의 비극<br />

적 결말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시작의 근원 자체에서 이미 파괴의 싹이 자라고 있음<br />

을 보여주고자 했다. 10)<br />

2. 원작과 개작 가정교사 내용 비교<br />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는 전통적인 고전작품에 대한 그의 태도와 당시 동독<br />

의 문화정책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서 비롯된다. 브레히트는 개작을 통해 각각의 작품<br />

이 생성된 시대의 시간적 간격을 강조하며 사회적 과정의 역사성에 대한 의미를 강<br />

조한다.<br />

1774년 발표된 렌츠의 가정교사 11)와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의 내용을 요<br />

약하면 다음과 같다.<br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br />

1막 1장<br />

프롤로그<br />

로이퍼는 소령집 가정교사로 들어가게 된 경위<br />

가정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것이 독일 참상의<br />

를 이야기한다.<br />

ABC라고 밝힌다<br />

1막 1장<br />

2장<br />

소령과 추밀고문관이 최근 경제 사정이 어려워<br />

로이퍼가 지나가는 것을 보고 소령과 추밀고문<br />

진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에 로이퍼가<br />

관 형제가 사교육에 서로 다른 입장을 피력한다.<br />

지나간다.<br />

3장<br />

2장<br />

소령부인은 로이퍼에게 가정교사가 갖추어야<br />

할 품행을 지시한다.<br />

10) Klaus-Detlef Müller, a.a.O, S. 345.<br />

11) J.M.R. Lenz, Der Hofmeister, Stuttgart 2001.<br />

고문관의 아들 프리츠는 사촌 누이 구스트헨에<br />

게 사랑을 맹세하며 대학으로 떠난다.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11<br />

4장<br />

3장<br />

로이퍼는 450 두카텐을 받기로 했지만 소령은<br />

소령 부인은 로이퍼에게 가정교사로서 지켜야<br />

400 두카텐으로 깎으며 딸의 종교수업과 그림 수<br />

할 품행을 지시한다.<br />

업을 부탁한다.<br />

4장<br />

5장/6장<br />

레오폴드에게 스케이트 타는 법을 가르치던 로<br />

고문관의 아들 프리츠는 사촌 누이 구스트헨에<br />

이퍼는 수다를 떨고 있는 처녀들에게 관심을 보<br />

게 사랑을 맹세하며 대학으로 떠난다.<br />

이다가 넘어져 웃음꺼리가 된다.<br />

5장<br />

2막 1장<br />

소령이 로이퍼의 월급을 삭감하며 딸 구스첸의<br />

아들의 월급이 매년 삭감되자 화가 난 로이퍼<br />

종교수업을 요구하자 로이퍼는 쾨니스베르크로<br />

목사는 추밀 고문관을 찾아온다. 두 사람은 사교<br />

갈 수 있게 말을 내 달라고 간청한다. 소령은 고<br />

육과 공교육에 대한 논쟁을 벌인다.<br />

려하겠다고 한다.<br />

2막 6장<br />

2장<br />

프리츠는 패투스, 볼베르크 등과 어울리며 칸트<br />

로이퍼는 구스트헨이 그림 수업을 받으러 오지<br />

철학을 논한다. 옷을 저당 잡혀 입고 나갈 옷이<br />

않자 비통함을 호소한다. 구스트헨은 그림만이<br />

없는 패투스는 연인 레하르와의 약속 장소에 볼<br />

그녀의 유일한 위안이라고 말한다.<br />

베르크를 대신 보낸다.<br />

7장<br />

3장/4장<br />

로이퍼는 그림 수업을 받으러 오지 않은 구스<br />

대학에서 프리츠는 칸트를 신봉하는 이상주의<br />

트헨에게 굴욕감을 느끼며 비통해하자 구스트헨<br />

자들인 패투스, 볼베르크 등과 어울린다.<br />

은 그림만이 그녀의 유일한 위안이라고 말한다.<br />

8장<br />

5장<br />

월급이 계속 줄어들자 로이퍼 목사와 로이퍼가<br />

로이퍼는 구스트헨에게 소령이 자신의 월급을<br />

추밀 고문관을 찾아와 하소연한다. 로이퍼는 쾨<br />

깎으려 한다며 그 돈으로는 살 수 없다고 하소연<br />

니히스베르크로 갈 수 있게 말을 내어 주겠다던<br />

한다. 구스트헨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br />

소령의 약속이 이행되도록 해달라고 간청하지만<br />

대사를 암송하며 로이퍼에게서 위안을 찾는다.<br />

거절당한다.<br />

3막 9장<br />

6장<br />

소령부인은 딸 구스트헨을 베어무트 백작과 결 스는 낙담한다. 레하르의 낙태 수술비용 때문에<br />

혼시키려 한다.<br />

볼베르크가 레하르를 임신시킨 것을 알고 패투<br />

패투스가 고민하자 프리츠는 구스트헨을 만나러<br />

갈 돈을 내어 준다.


1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7장<br />

10장<br />

패투스가 빚을 갚지 못하게 되자 프리츠는 보<br />

로이퍼는 월급이 또 다시 삭감되자 비통해 한<br />

증인으로 감옥에 들어간다. 패투스가 돈을 구하<br />

다. 구스트헨은 로미오와 줄리엣 의 줄리엣의<br />

지 못하자 프리츠는 친구를 대신하여 감옥에 남<br />

대사를 암송하며 로이퍼에게서 위안을 찾는다.<br />

기로 결정한다.<br />

3막 1장<br />

11장<br />

딸이 가정교사와 사라졌다는 소식을 듣고 소령<br />

은 딸이 창녀가 되었다며 광분한다.<br />

2장<br />

딸이 가정교사와 사라졌다는 소식을 듣고 소령<br />

은 딸이 창녀가 되었다며 광분한다.<br />

12장<br />

소령 집에서 도망친 로이퍼는 마을교사 벤체스 체스라우스의 집에 피신처를 찾는다. 그러나 곧<br />

라우스 집에 은신처를 찾는다. 벤체스라우스는 뒤쫓아 온 소령에 의해 발각되어 팔에 총상을 입<br />

로이퍼를 추적해온 백작을 따돌린다.<br />

3장<br />

고문관은 자이펜블라제로부터 아들 프리츠가<br />

소령의 집을 도망쳐 온 로이퍼는 마을교사 벤<br />

는다. 구스트헨이 호수가로 갔다고 하자 모두 호<br />

숫가로 달려간다.<br />

13장<br />

호수로 들어가는 구스트헨을 소령이 찾아낸다.<br />

방탕한 친구 때문에 감옥에 감금되어 있다는 소 구스트헨은 소령의 용서를 구한다. 소령은 딸을<br />

식을 듣는다.<br />

용서한다.<br />

막간극<br />

4장<br />

겨울: 이탈리아의 레몬 나무 사이를 산책하는<br />

벤체스라우스와 로이퍼는 가난한 교사의 자유<br />

프리츠<br />

로운 삶과 가정교사의 굴욕적인 삶에 대해 대화<br />

를 나눈다.<br />

4막 1장<br />

로이퍼가 마을교사 집에 은신하고 있다는 소식<br />

을 들은 소령은 자신의 딸을 창녀로 만든 가정교 다<br />

사를 찾아내겠다고 벼른다.<br />

2장<br />

장님 노파 마르테의 집에서 아기를 출산한 구<br />

스트헨은 노파에게 아기를 맡기고 아버지에게 기<br />

봄: 패투스가 할레에서 카롤린과 결혼식을 올린<br />

여름: 구스첸이 기저귀를 꿰멘다<br />

별이라도 하겠다고 떠난다.<br />

3장<br />

가을: 로이퍼가 마을학교에서 습자작업을 하고<br />

소령이 로이퍼를 찾아내 그의 팔에 총상을 입<br />

있다.<br />

힌다.<br />

4장/5장<br />

4막 14장 a)<br />

호수로 들어가는 구스트헨을 소령이 찾아낸다.<br />

소령은 딸을 용서한다.<br />

리제에게 성적 욕구를 느낀 로이퍼는 리제에게<br />

키스하다 벤체스라우스에게 들킨다.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13<br />

6장<br />

b)<br />

프리츠는 패투스가 처녀 레하르의 명예를 더럽<br />

또 다시 성욕에 사로잡혀 쫒겨 날 처지가 된 로<br />

히고도 책임을 지지 않자 레하르의 명예회복을<br />

이퍼는 자신을 저주하며 스스로 거세한다.<br />

위해 패투스에게 결투를 신청한다.<br />

c)<br />

5막 1장<br />

로이퍼가 스스로 거세했다고 하자 벤체스라우<br />

장님 노파 마르테가 아기를 안고 로이퍼 앞에<br />

스는 감동한다. 로이퍼는 소령에게 보내는 편지<br />

나타난다. 로이퍼는 아이의 얼굴에서 자신의 모<br />

에서 거세한 자신에게 교사 자리를 얻을 수 있도<br />

습을 확인하고 졸도한다.<br />

록 해 달라고 요구한다.<br />

5막 15장<br />

2장<br />

구스트헨이 호수에 뛰어 들었다는 소식을 전해<br />

결투에서 프리츠를 찌를 수 없는 패투스는 프<br />

들은 프리츠는 구스트헨의 죽음이 자신의 탓이라<br />

리츠의 요구대로 레하르와 결혼하기로 한다.<br />

며 자책한다.<br />

16장<br />

3장<br />

거세로 인해 성적인 위험성이 없어진 로이퍼에<br />

스스로 거세한 로이퍼의 행동에 대해 교사 벤<br />

게 소령은 증명서를 발급한다. 구스트헨과 재회<br />

체슬라우스는 깊은 감동을 받는다.<br />

한 프리츠는 구스트헨의 아이를 자신의 아이로<br />

받아들인다.<br />

4장/5장/6장<br />

17장<br />

자이펜블라제의 편지를 받고 프리츠는 구스트<br />

리제는 성불구가 된 로이퍼와 결혼하겠다고 한<br />

헨의 자살이 자신의 탓이라고 자책한다. 패투스<br />

다. 로이퍼는 인스터부르크의 주인들로부터 좋은<br />

가 복권을 사서 프리츠의 여행경비를 마련하겠다<br />

일자리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br />

고 한다.<br />

에필로그<br />

가정교사 역의 배우가 등장하여 지금까지 본<br />

7장<br />

것은 오늘날에도 계속되는 독일의 참상이라고 말<br />

고문관은 자이펜블라제의 유혹으로부터 레하르<br />

한다. 새로운 시대의 학생과 교사는 가정교사의<br />

를 구한다.<br />

불행의 원인인 노예근성을 잘 관찰하여 그로부터<br />

8장<br />

패투스가 복권에 당첨되자 프리츠는 고향으로<br />

떠날 차비를 한다.<br />

9장<br />

로이퍼가 마을처녀 리제에게 관심을 보이자 벤<br />

체스라우스는 로이퍼에게 실망한다.<br />

자유로워지라고 경고한다.


1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10장<br />

벤체스라우스는 자식을 갖지 못하는 결혼의 무<br />

의미성을 주장하지만 리제는 로이퍼에 대한 자신<br />

의 사랑을 밝힌다.<br />

11장/마지막 장<br />

패투스는 아버지로부터 용서를 얻고 패투스의<br />

아버지 또한 자신이 내쫓았던 어머니 마르테로부<br />

터 용서를 얻는다. 프리츠는 구스트헨의 아들을<br />

자신의 아들로 삼으며 아들에게는 가정교사의 교<br />

육을 받게 하지 않겠다고 다짐한다.<br />

렌츠의 가정교사는 당시 가정교사의 상황에 주목한다. 당시 가정교사는 귀족의<br />

노예로 취급당했으며 행동의 자유가 제한되었다. 이러한 가정교사의 상황은 렌츠의<br />

가정교사에서 더 이상 자유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없는 처지로 까지 전락한다. 소<br />

령 집에서 도망친 로이퍼는 마을 교사 집에 은신처를 찾으며 자신감을 회복해간다.<br />

그러나 자신의 얼굴을 닮은 아이를 보자 로이퍼는 자신이 행한 행동을 후회하며 스<br />

스로 거세한다.<br />

브레히트는 개작 가정교사에서 주인공 로이퍼의 플롯을 보다 집중적으로 다루<br />

면서 인물과 인물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의 모순을 부각시킨다. 브레히트는 인물을 강<br />

조한 셰익스피어의 극작 전통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보다 분명하고 집중적인 인물<br />

연구를 통해 인물의 모순적인 행동방식을 드러내고자 했다.<br />

3. 원작과의 비교<br />

3.1. 플롯<br />

렌츠의 드라마는 복잡한 플롯으로 구성되어 여러 인물들의 삶이 반영된다. 이는<br />

렌츠의 연극론에 기초한다. 렌츠는 자신의 연극론에서 신의 창조에 비해 작품을 창조<br />

하는 것은 단순한 것이지만 그러나 천재의 과제는 모든 것을 갖춘 자연을 다양하게<br />

반영하는 것이라고 하며 극작가는 가능한 한 많은 삶을 드라마에 집어넣는 것을 두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15<br />

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12).<br />

그에 반해 브레히트의 개작은 플롯구성에 있어서 원작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br />

고 있지만 인물에 대한 집중화를 통해 플롯의 단순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br />

적할 수 있다. 인물에 대한 집중화는 플롯의 단순화로 나타난다. 개작에서는 원작에<br />

서의 주변 인물들의 서브 플롯들을 과감히 축소하거나 제거하여 주요 인물의 행동방<br />

식에 집중함으로써 주제를 부각시킨다.<br />

개작에서 로이퍼의 플롯을 강조하기 위해 주변 인물들의 플롯을 크게 약화시킨다.<br />

이에 따라 원작에서 시민사회의 화해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는 돌아온 탕아 모티프<br />

는 개작에서 부차모티프로 전락한다.<br />

여러 인물들의 다양한 삶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플롯이 기능하는 것이<br />

아니라 플롯은 주제에 대한 논쟁적이고 비판적 요소를 부각하기 위해 기능한다. 페투<br />

스 플롯은 자신의 연인이 다른 사람의 아이를 가질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br />

에 대한 프리츠의 태도를 선취하는 기능을 한다.<br />

원작에서 자유주의적 사상을 대변하면서 인물의 구심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br />

했던 추밀고문관의 플롯도 주제의 변형으로 크게 약회된다.<br />

3.2. 인물<br />

1) 로이퍼<br />

렌츠의 드라마에서 로이퍼는 자신의 행동을 자책하며 스스로를 벌함으로써 고전<br />

적인 의미에서의 영웅적인 인물이다. 렌츠가 형상화하는, 종교적이고 윤리적인 이유<br />

에서 내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인물 로이퍼는 브레히트의 개작에서 사회적인 존재로<br />

형상화된다. 로이퍼는 사회적인 모순 속에 고통을 당하면서도 그 모순을 제대로 인식<br />

하지 못하고 그에 대항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인물이다.<br />

굴욕적인 대우에 대해 어떠한 반응도 하지 않는 원작에서와 달리 개작에서 로이퍼<br />

는 자신의 굴욕적인 대우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줄 아는 보다 적극적인 인물로 그려<br />

진다. 그러나 그가 요구하는 보상은 임시적인 도피에 불과하다. 로이퍼는 굴욕적인<br />

12) J.M.R. Lenz, Anmerkungen übers Theater, Stuttgart 1983. s. 14-15.


1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현실에서 단 며칠이라도 벗어날 수 있도록 일 년에 세 번 쾨니히스베르크로 갈 수<br />

있게 말을 내어달라고 소령에게 요구한다. 소령은 고려해 볼 것을 약속하지만 이 약<br />

속을 지키지 않자 로이퍼는 이로 인해 끔찍한 일이 생길 수 도 있다고 경고하면서<br />

앞으로 일어날 소령 집안의 불행을 암시한다.<br />

개작에서 로이퍼는 원작에서 보다 더 강한 욕망의 주체로 기능하면서도 시민 질서<br />

에 부합하기 위해 자신의 생산력을 스스로 제거하는 모순적인 인물로 기능한다. 브레<br />

히트는 가정교사는 귀족에 의해 훈련되고 봉사하는 귀족의 노예에 불과하며 가정교<br />

사가 가르치는 교육은 충성스러운 신민만을 양성할 뿐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br />

교육의 결과가 독일의 참상이며 이러한 참상은 오늘날까지 계속되며 귀족의 힘으로<br />

시민사회에 살아남으려는 로이퍼 같은 시민들에 의해서는 더 이상 새로운 세상은 만<br />

들어 질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브레히트는 가정교사 개작을 통해 자유주의적이고<br />

진보적인 이념을 지닌 시민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의 모순을 변혁시킬 수 있는 민중<br />

만이 동독의 진정한 주인이 될 수 있다고 역설한다.<br />

이러한 브레히트의 주장은 작가의 대변인으로 등장한 화자를 통해 관객에게 직접<br />

호소된다. 로이퍼는 사회적 관계의 모순 속에 살면서도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모순을<br />

보지 못하며 그로부터 저항을 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브레히트는 무산자로 착취를 당<br />

하면서도 자신의 진정한 주인이 되지 못하는 로이퍼를 자신의 자유의지를 포기하는<br />

거세행위로 13) 냉소적으로 형상화한다.<br />

2) 프리츠, 패투스<br />

원작에서 대학생인 프리츠와 패투스는 육체적인 가치보다 정신적인 가치를 추구<br />

하는 칸트주의자이며 자유를 구가하는 이상주의자이다. 이들은 화해의 이데올로기를<br />

실현하는 자유주의자들이다. 프리츠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고 구스트헨과 결혼하게<br />

되고 늙은 패투스는 늙은 어머니에게 용서를 구하고 패투스는 아버지의 용서를 얻는<br />

다. 늙은 패투스는 아들의 결혼을 허락한다. 결혼과 용서, 화해로 모든 갈등은 해결된<br />

다. 브레히트는 원작으로부터 프리츠의 화해부분만 수용한다.<br />

13) 이에 대해 다른 연구자는 브레히트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무산자 계층을 영웅화하기는커녕 냉소<br />

적이라고 할 만큼 종속된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향을 찾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 브레히트<br />

학회 (편), 브레히트의 연극세계, 열음사 2001. S. 195 참조.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17<br />

개작에서 패투스는 연인 레하르가 자신을 사랑하지만 다른 사람의 아이를 갖게 된<br />

사실을 알고 그녀의 낙태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한다. 친구의 연인인 레하르의 낙<br />

태비용을 위해 프리츠는 자신의 휴가비용을 희생한다. 브레히트는 프리츠의 이러한<br />

행동은 자신의 연인을 욕정에 사로잡힌 가정교사의 희생양이 되게 하는 일종의 정신<br />

적 거세라고 보았다. 이는 다른 나라의 혁명뿐만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인 삶조차도<br />

정신적으로만 경험하는 독일 시민계층의 지식인들의 자기거세의 또 다른 형태로 보<br />

았다.<br />

원작에서 패투스는 복권당첨으로 빚을 갚고 아버지와 화해하며 아버지의 허락으<br />

로 연인 레하르와 결혼한다. 브레히트의 개작에서 패투스는 사랑하는 레하르를 버리<br />

고 교수의 딸 카롤리네와 결혼함으로써 물질적 기반을 확고히 한다. 교사직을 얻기<br />

위해 칸트에게 등을 돌리는 패투스를 통해 브레히트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배신을<br />

일삼는 기회주의적인 지식인의 표본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회주의적 태도는 착취계<br />

급이든 피착취계급이든 차이가 없다. 14)<br />

3) 추밀고문관<br />

렌츠의 드라마에서 추밀고문관은 모든 중요한 장면에 등장하여 인물들에게 올바<br />

른 행동을 제시하는 계몽주의 시대의 아버지 역할을 담당한다. 작가의 이념과 자유주<br />

의적 이상을 대변하는 그는 여러 장면에서 공교육과 자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br />

력한다. 특히 로이퍼 목사와 만나는 2막 1장에서 고문관은 가정교사라는 존재는 돈<br />

몇 푼에 자유를 파는 노예에 불과하며 자유를 포기한 인간은 자신의 피의 가장 고귀<br />

한 정신을 독살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고문관의 자유주의적 태도에 대해 로<br />

이퍼 목사는 세상은 어쩔 수 없다며 맞선다. 목사는 자신과 그의 아들에게는 상황을<br />

변화시킬 어떤 가능성도 없으며 충성스럽게 신의 부름을 기다리며 사는 길 밖에 없<br />

다고 주장한다.<br />

원작에서 고문관의 이념을 부각시키는 중요한 장면인 이 장면은 개작에서는 크게<br />

축소되고 변형된다. 고문관의 주장은 파편화되고 공허한 말장난이 되어 버린다. 2막<br />

14) 로이퍼는 자기거세로 자신의 성적 요소를 스스로 제거함으로써 위험요소가 사라졌다며 소령이<br />

인정하는 증명서 발급으로 교사 자리를 부탁한다.


1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8장에서 고문관과 목사의 대화에 로이퍼가 끼어들며 자신에게 약속된 말을 내어 주<br />

게 해 달라고 부탁하며 이들의 대화를 방해한다. 로이퍼의 등장으로 두 사람 사이의<br />

진지한 논쟁은 희화화된다.<br />

추밀 고문관<br />

아드님과 당신이 안됐어요. 목사님. 그렇지만 동생한테 아드님을 위해서 말하는 것 - 그것<br />

은 안됩니다.<br />

목사<br />

생각해 보세요! 300 탈러입니다. 300 탈러. 소령님께선 연간 400탈러를 약속하셨습니다. 그<br />

러나 지난 반년이 끝날 무렵 그에게 단지 140 탈러만 주셨습니다. 후반기 초인 지금, 내 아<br />

들놈의 일은 점점 많아지는데도 그는 연간 200 탈러를 말합니다. 그건 말도 안 되는 싸구<br />

려 흥정이지요! 용서하세요!<br />

추밀고문관<br />

왜요? 가정교사! 날강도의 강도짓에 돈을 지불하게 해야 하나요? […]<br />

자유가 없는 삶은 후퇴지요. 사람에게 자유는 물고기에게 물과 같은 것입니다. 자유를 포기<br />

하는 인간은 자신의 피의 가장 소중한 정신을 독살시키고 삶의 가장 달콤한 즐거움을 죽이<br />

는 것이며 결국 스스로를 죽이는 것이지요.<br />

목사<br />

[…] 누구나 자신의 뜻대로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내 아들은 기꺼이 합니다. 다만…<br />

로이퍼<br />

말(馬)이 문젭니다, 추밀고문관님.<br />

Geheimer Rat<br />

Ich bedauere ihn und Sie noch viel mehr, Herr Pastor, aber mich bei meinem Bruder für<br />

Ihren Sohn verwenden-nein.<br />

Pastor<br />

Aber bedenken Sie doch: nichts mehr dreihundert Taler! Dreihundert arme Talerchen; und<br />

vierhundert hat der Herr Major ihm doch im Jahr versprochen: aber beim Ende des<br />

Halbjahres hat er ihm nur huntertundvierzig ausgezahlt; jetzt beim Beginn des zweiten, da<br />

doch die Arbeit meines Sohnes immer zunimmt, nennt er ihm zweihundert als Jahrgehalt.<br />

Das ist wider alle Billigkeit! Verzeihen Sie mir!<br />

Geheimer Rat<br />

Warum? Hofmeister! Tagdieben und sich Geld dafür bezahlen lassen? […] Ohne Freiheit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19<br />

geht das Leben rückwärts, Freiheit ist das Element des Menschen wie das Wasser des<br />

Fisches, und ein Mensch, der sich der Freiheit begibt, vergiftet die edelsten Geister seines<br />

Blutes, erstickt seine süßesten Freuden des Lebens in der Blüte und ermordet sich selbst.<br />

Paster<br />

[…] Jeder kann nicht immer seinen Willen haben, und das läßt sich mein Sohn auch gerne<br />

gefallen, nur-<br />

Läuffer<br />

Es handelt sich um das Pferd, Herr Geheimer Rat. (GBA 8.339)<br />

자유를 구가하는 인간이야 말로 인간다운 삶을 사는 인간이라고 주장했던 추밀고<br />

문관은 5막 16장에서 자유의지를 포기한 로이퍼의 거세를 원칙이 있는 인간의 태도<br />

로 반긴다. 이러한 추밀고문관의 모순적인 태도를 통해 브레히트는 시민적인 이데올<br />

로기의 모순과 그 공허함을 드러낸다.<br />

브레히트는 변화하는 인물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역사의 주인공이 되는 긍정적<br />

인 인물에 대해 예감케 하고자 했다. 개작 가정교사에서는 이러한 긍정적인 인물이<br />

형상화되지는 않지만 부정적인 예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배움을 얻게 하고자 했다.<br />

지식인인 로이퍼와 프리츠, 패투스는 부정적인 방향 (정상적이고 능동적인 인물에서<br />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거세되는) 으로 변화되는 인물이다. 브레히트는 행동을 통해<br />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는 모순적인 인물들을 15)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이 이러한 인물들<br />

의 행동방식으로부터 거리를 취하고 그로부터 사회적 모순을 통찰할 수 있는 비판적<br />

의식을 갖게 되기를 희망했다.<br />

3.3. 모티프<br />

원작에서의 모티프들이 개작에서는 삭제 혹은 축소되거나 변형됨으로써 새로운<br />

인물과 플롯, 변형된 주제를 만들어 낸다.<br />

1) 의 모티프는 렌츠의 드라마에서는 여러 인물들의 삶을 통해 변<br />

15) 브레히트의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자신이 처한 사회적 상황의 모순을 인식하지 못하는 부<br />

정적인 인물의 전형을 보여준다.


2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주되며 복잡한 플롯을 형성한다. 패투스 플롯 (패투스의 아버지, 패투스의 할머니 마<br />

르테)을 연결해주는 이 모티프는 시민사회의 이상주의적 덕성인 화해의 이데올로기<br />

와 깊이 연관되며 모든 등장인물들이 행복한 결말에 도달하게 한다. 브레히트는 이러<br />

한 이상주의를 삭제함으로써 리얼리즘적 요소를 강조했다.<br />

2) 모티프는 원작과 개작에서 모두 중요한 모티프로 기능한다. 은 로이<br />

퍼가 소령집의 가정교사로 들어오게 되는 근거가 된다. 돈이 없어 학업을 계속할 수<br />

없게 되자 로이퍼는 소령 집 가정교사로 들어온다. 은 플롯을 앞으로 이끌고 극<br />

적인 상황을 유발시키며 인물들 간의 갈등을 조장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원작과 개작<br />

에서 모두 로이퍼는 가정교사 임금을 두고 소령과 흥정한다. 여러 차례 두 사람 사이<br />

에 흥정이 시작되고 일방적으로 로이퍼는 임금삭감을 감수하게 된다. 임금삭감으로<br />

로이퍼는 사회적이고 정신적인 위기로 몰린다. 개작에서 모티프는 원작에서 보<br />

다 더 분명한 사회적 근거로 작용한다. 로이퍼는 점점 좁혀져 오는 자신의 사회적<br />

입지로부터 잠시라도 탈출하기 위해 쾨니스히베르히로 나갈 수 있는 말을 내어 달라<br />

고 요구하지만 그러나 이것마저도 소령에 의해 무시된다.<br />

3) 모티프는 렌츠의 드라마에서는 모든 갈등을 해결하는 뒤 세 마키나<br />

deux ex machina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티프의 사용으로 극 속에서 발생한 모든 갈<br />

등이 한 순간에 해소된다. 패투스의 복권당첨으로 패투스는 아버지의 용서를 얻게 되<br />

고, 프리츠는 귀향할 수 있게 된다. 복권으로 인해 화해가 가능한 것이다. 브레히트는<br />

원작에서 이러한 드라마투르기적 장치를 통해 인물들의 사회적 관계를 조작하는 방<br />

식을 비사실적인 방식으로 보며, 시민사회의 이데올로기인 가족 화해의 도구로 사용<br />

된 모티프를 삭제한다.<br />

4) 모티프는 렌츠와 브레히트 드라마에서 모두 플롯의 중심점이 된다. 그<br />

러나 개작에서는 거세 모티프의 변형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원작에서 로이퍼<br />

는 마르테가 보여주는 아기의 얼굴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 후 스스로 거세한다.<br />

로이퍼의 거세는 사생아와 관련된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반성 및 윤리적 자책감에서<br />

비롯된다.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21<br />

브레히트의 드라마에서 사생아와 관련된 모티프는 약하게 다루어진다. 브<br />

레히트의 개작에서 로이퍼는 자신의 아들에 대해 어떤 정보도 갖지 못한다. 구스트헨<br />

의 아이가 누구의 아이인지에 대해서도 분명히 언급되지 않는다. 원작에서 거세는 5<br />

막 3장에서 이루어지며 리체와 로이퍼 사이의 첫 번째 만남은 10장에서 이루어진다.<br />

로이퍼는 거세를 한 후 리체를 만난다.<br />

그에 반해 브레히트의 개작에서 로이퍼의 거세는 4막에서 일어난다. 로이퍼는 마<br />

을 처녀 리체에 대한 성적 욕망에 대항하여 고통스러워한다. 로이퍼는 결국 참지 못<br />

하고 리체에게 달려들어 키스를 하다가 교사 벤체스라우스에게 들킨다. 또 다시 자신<br />

의 성적 욕망의 억제할 수 없는 표현으로 쫓겨나게 될 처지에 이른 로이퍼는 위험에<br />

처한 자신의 사회적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 자신을 방어할 목적으로 스스로 거세한다.<br />

로이퍼는 거세하고 난 후 소령에게 이제는 자신이 스스로 위험요소를 제거했으니<br />

교사 증명서를 발급해 달라는 편지를 쓴다.<br />

렌츠의 가정교사에서 로이퍼는 자신이 한 행동(성적 욕망의 노예가 됨)에 대한<br />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반성과 후회로 거세한다. 가정교사라는 로이퍼의 상황은 로이<br />

퍼의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요소이다. 극단적으로 유약하고 어떠한 행동도 하지 못하<br />

는 로이퍼의 처지는 자기거세로 극대화된다. 자신의 굴욕적인 처지, 자신의 처지에<br />

대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의 이러한 처지는 자신의 의지마<br />

저 완전히 차단시키는 거세로 극명하게 표현된다.<br />

원작에서의 거세와 관련된 인과관계를 브레히트는 시민 이데올로기로 파악한다.<br />

원작에서 강조하는 시민적 미덕인 자기반성과 화해는 허약함으로 드러난다. 개작에<br />

서 거세는 보다 계산된 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난다. 로이퍼의 거세는 자기반성에 의한<br />

종교적이고 윤리적인 내적 변화innere Wanderung에서 동기화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br />

적 기반인 교사직을 상실하게 될 두려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파악한다. 브레히트는<br />

거세모티프의 변형을 통해 조화와 화해, 용서에 바탕을 둔 이상주의적 역사관에 대한<br />

그의 회의를 극명하게 보여준다.<br />

브레히트는 인물의 잘못된 행동을 보여주는 부정적인 인물의 예인 로이퍼 플롯을<br />

통해 인간과 사회의 관계의 변화에 대한 통찰을 얻게 함으로써 새롭게 쓰게 될 동독<br />

의 역사에 민중적인 요소를 제시하고자 했다.


2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4. 결론<br />

한스 마이어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브레히트는 렌츠를 새롭게 발견함으로써 독일<br />

고전주의를 재평가하고, 고전주의의 리얼리즘적 의미를 정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br />

는 문학사에서 렌츠가 무시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앞으로 독<br />

일 연극이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 시점에서 위대한 고전 작품들의 리얼리즘적 양식을<br />

습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br />

브레히트는 렌츠가 비극도 희극도 아닌 새로운 드라마형식을 추구하면서 당시의<br />

많은 사회적 문제(공교육/사교육, 신분차이, 미혼모/사생아 문제 등)를 다루기는 했지<br />

만 마지막 장면에서 모든 문제를 해피엔딩으로 해결해 버림으로써 희극화 시키고 있<br />

다고 비판했다. 해피엔딩으로 화해와 용서의 이상주의에 대한 시민사회의 미덕이 부<br />

각되며 그 아래 신분상의 계급차이들이 은폐되어 있다고 보았다. 브레히트는 렌츠가<br />

사실주의적 이념을 제시하며 도발하면서도 그 이념을 구현할 수 있는 전체를 보여주<br />

지는 않았다고 보았으며 바로 여기에 자신이 인물들 사이에 비집고 들어갈 틈이 주<br />

어졌으며 사실주의적으로 인물을 부각시켜 시대적 의미를 보여줄 수 있었다고 주장<br />

한다.<br />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상연은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상연에 대해 볼<br />

프강 하리히 Wolfgang Harich는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br />

“렌츠의 고발로 부터 브레히트는 이러한 참상이 고착화된 이러한 철학에 대해 고<br />

발한다. ‘순수하게 정신적이고’, 비실제적이고, 비현실적인 자유의 가능성이 그럴싸하<br />

게 보인다는 것을 고발한다. 이 작품의 명백한 교지는 시민적 의식의 거세된 형태이<br />

다.” 16)<br />

개작의 프롤로그에서 가정교사가 등장하여 자신은 귀족에서 봉사하는 정신이며,<br />

귀족에게 잘 훈련된 자로 그가 가르치는 것은 오로지 편안한 것이며 그 가르침 속에<br />

서는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그가 가르치는 것은 독일 참상<br />

의 ABC 라고 밝힌다. 브레히트는 독일역사의 비참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인물들이<br />

어떻게 자신의 이상과 욕구를 저버리고 억압받는 현실에 순응하며 충성스러운 신민<br />

16) (GBA 8. 573): in der Täglichen Rundschau, v. Wolfgang Harich. Berlin-DDR 18.April 1950.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23<br />

으로 살아가는가 하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렌츠가 제기한 이념 및 도발, 즉 참<br />

상의 문제의 해결에 대해 브레히트는 에필로그에서 이러한 독일의 비참성으로 부터<br />

치유하고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인물의 예로부터 관객 스스로<br />

역사에 대해 비판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br />

렌츠의 로이퍼가 18세기 절대봉건적인 독일, 억압자들을 향해서가 아니라 자신에<br />

게 칼을 들이 댄 당시의 지식인들의 자기거세에 대한 비유였다면 브레히트의 로이퍼<br />

는 20세기 혁명에 실패한 독일 지식인의 정신적 거세에 대한 비유로 읽혀질 수 있다.<br />

브레히트는 지금까지 계속되어 온 이러한 실패의 독일 역사는 끝이 나야 하고 이제<br />

는 새로운 역사가 쓰여 져야 할 시점이라고 보았다. 브레히트는 수많은 개작작업을<br />

통해 부정적인 인물을 제시하여 긍정적인 인물로의 변화를 암시함으로써 혁명의 주<br />

체가 되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br />

이러한 브레히트의 의도는 작가의 대변인으로 등장한 가정교사 역할의 배우를 통<br />

해 에필로그에서 관객에게 호소된다. 브레히트는 극 속에서 묘사된 상황을 인식하여<br />

관객들이 자신의 상황을 인식할 것을 희망했다 17). 브레히트는 개작 가정교사에서<br />

렌츠의 이상주의적 잔재를 패러디하면서 렌츠가 제기한 리얼리즘적인 도발을 현대적<br />

으로 계승하고 발전시켜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에 다가가기 위한 하나의 예를 제시하<br />

고 있다.<br />

참고 문헌<br />

1차 문헌<br />

B. Brecht, Große komme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30 Bände, Hrsg. v.<br />

W. Hecht, J. Knopf u.a. Berlin und Weimar/F.a.M. 1988-1998.<br />

Jakob Michael Reinhold Lenz, Der Hofmeister oder Vorteile der Privaterziehung, Stuttgart<br />

2006.<br />

17) Bunge-Hecht-Rülicke, Brecht. Sein Leben und Werk, Berlin-DDR 1969. s.233.


24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2차 문헌<br />

Wilfried Barner, Geschichte der deutschen Literatur von den Anfängen bis zur Gegenwart,<br />

München.1994.<br />

W. Emmerich, Kleine Literaturgeschichte der DDR, erw. Neuausgabe, Leipzig 1996.<br />

Werner Hecht, Bertolt Brecht, Sein Leben und Werk, Berlin-DDR 1969.<br />

Walter Hinderer, Brechts Dramen. Neue Interpretationen, Stuttgart 1984.<br />

Klaus-Detlef Müller, Bertolt Brecht. Epoche-Werk-Wirkung, München 1985.<br />

얀 크노프, 베르톨트 브레히트, 이원양 옮김, 인물과 사상사 2007.<br />

<strong>한국브레히트학회</strong> 편저, 브레히트의 연극세계, 열음사 2001.<br />

Zusammenfassung<br />

Das Original und die Bearbeitung - Eine vergleichende Studie zum<br />

Drama Hofmeister von Lenz und seiner Bearbeitung von Brecht<br />

Chong, Dong-Lan (Wonkwang Univ.)<br />

I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 Brechts Bearbeitung des 1774 erschienenen Dramas<br />

Der Hofmeister oder Vorteile der Privaterziehung von Lenz mit dem Original<br />

verglichen und auf Unterschiede untersucht werden. Besonderes Augenmerk wird dabei<br />

auf die Figurenverhältnisse zwischen Läuffer und dem Geheimen Rat und auf die<br />

Veränderungen in der Handlung, den Figuren und Motiven gerichtet.<br />

Die Handlung wird in der Bearbeitung von Brecht gekürzt und akzentuiert. Die im<br />

Original an mehreren Figuren entwickelte Handlung konzentriert sich in der<br />

Bearbeitung auf die Läuffer Handlung und dadurch auf die thematische Ebene.<br />

Das Verstümmelungs- und Entmannunsmotiv, das im Original zum Hauptpunkt der<br />

Handlung wird, wird in der Brechtschen Bearbeitung verändert und modifiziert. Läuffer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25<br />

verstümmelt sich nicht mehr aus religiöser oder moralischer Reue für seinen<br />

zügellosen Sexualtrieb. Er handelt aus Angst vor sozialem Abstieg. Seine<br />

Verhaltensweise ist durch die sozialen Verhältnisse motiviert. Er durchschaut aber<br />

nicht die Widersprüche dieser Verhältnisse und seines Handelns. Brechts Intention, den<br />

klassischen Dramen einen sozial-realistischen Sinn zu geben, wird in seiner<br />

Bearbeitung des Hofmeisters realisiert, indem die verdeckten sozialen Verhältnisse klar<br />

sichtbar gemacht werden.<br />

Nachdem Brecht im Jahr 1949 in die DDR zurückgekehrt war, beschäftigte er sich mit<br />

der Bearbeitung der klassischen Dramenstücke. Den Hintergrund seiner Bearbeitung<br />

muss man im Kontext der damaligen Kulturpolitik der DDR sehen. Brecht wandte sich<br />

gegen die damalige kulturpolitische Linie der DDR, weil die Kulturpolitk der DDR an<br />

die idealistische Tradition der klassischen Literatur anschließen wollte.<br />

Im Lenz‘schen Drama vertritt der Geheime Rat diese idealistische Vorstellung der<br />

individuellen Freiheit und staatlichen Erziehung und dirigiert von oben Figuren in allen<br />

wichtigen Szenen nach eigenem Willen. Diese Figur bleibt in Brechts Bearbeitung<br />

wirkungslos und wird lächerlich gemacht. Seine Rolle als Vertreter des Idealismus<br />

wird parodisiert. Bei Lenz spielt die bürgerliche Gesellschaft eine entscheidende Rolle.<br />

Er inszeniert die Probleme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wie die staatliche Erziehung<br />

oder die uneheliche Mutterschaft, um dann eine Lösung der Konflikte herauszuarbeiten.<br />

Brecht war der Meinung, dass das Drama Hofmeister von Lenz f́ür die Bürger in der<br />

Anfangszeit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geschrieben war, während seine Bearbeitung<br />

des Hofmeisters für das Volk im neuen revolutionären Zeitalter geschrieben ist. Brecht<br />

betont den Unterschied des dazwischen liegenden Zeitalters. Brecht sah, daß die<br />

deutsche Misere in der deutschen Erziehung und dem deutschen Lehrer lag und immer<br />

noch liegt. Brecht war der Meinung, dass Lenz diese Probleme sozialkritisch gesehen<br />

hat, aber keine ernsthafte realistische Lösungsmöglichkeit angedeutet hat, insofern sich<br />

alle Probleme in tragik-komischer Form glatt auflösen. Den Grund sah Brecht in der<br />

Ideologie der bürgerlichen Harmonie und des individualistischen Idealismus. Brechts<br />

Intention bringt die Figur des Hofmeisters im Epilog zum Ausdruck, wenn er Schüler


2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und Lehrer der neuen Zeit vor Unterwürfigkeit warnt. Das Publikum soll sich davon<br />

distanzieren und befreien. Brecht wollte mit der Bearbeitung des Hofmeisters die<br />

idealitische Traditon von Lenz durchbrechen und die Problematik des Hofmeisters in<br />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so wie sie Lenz dargestellt hatte, sichtbar machen.<br />

Keyword<br />

(한글/독일어)<br />

야콥 미하엘<br />

Jakob Michael<br />

가정교사<br />

Hofmeister<br />

∙필자 E-Mail: dlchong2000@yahoo.co.kr (<strong>정동란</strong>)<br />

라인홀트 렌츠<br />

Reinhold Lenz<br />

원작<br />

Original<br />

∙투고일: 2008년 6월 30일/ 심사일: 2008년 7월 10일/ 심사완료일: 2008년 7월 31일<br />

베르톨트 브레히트<br />

Bertolt Brecht<br />

개작<br />

Bearbeitung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