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정동란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원작과 개작 - 렌츠의 가정교사 혹은 사교육의 장점과 브레히트의 개작 가정교사 비교 23<br />

으로 살아가는가 하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렌츠가 제기한 이념 및 도발, 즉 참<br />

상의 문제의 해결에 대해 브레히트는 에필로그에서 이러한 독일의 비참성으로 부터<br />

치유하고 새로운 역사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인물의 예로부터 관객 스스로<br />

역사에 대해 비판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br />

렌츠의 로이퍼가 18세기 절대봉건적인 독일, 억압자들을 향해서가 아니라 자신에<br />

게 칼을 들이 댄 당시의 지식인들의 자기거세에 대한 비유였다면 브레히트의 로이퍼<br />

는 20세기 혁명에 실패한 독일 지식인의 정신적 거세에 대한 비유로 읽혀질 수 있다.<br />

브레히트는 지금까지 계속되어 온 이러한 실패의 독일 역사는 끝이 나야 하고 이제<br />

는 새로운 역사가 쓰여 져야 할 시점이라고 보았다. 브레히트는 수많은 개작작업을<br />

통해 부정적인 인물을 제시하여 긍정적인 인물로의 변화를 암시함으로써 혁명의 주<br />

체가 되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br />

이러한 브레히트의 의도는 작가의 대변인으로 등장한 가정교사 역할의 배우를 통<br />

해 에필로그에서 관객에게 호소된다. 브레히트는 극 속에서 묘사된 상황을 인식하여<br />

관객들이 자신의 상황을 인식할 것을 희망했다 17). 브레히트는 개작 가정교사에서<br />

렌츠의 이상주의적 잔재를 패러디하면서 렌츠가 제기한 리얼리즘적인 도발을 현대적<br />

으로 계승하고 발전시켜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에 다가가기 위한 하나의 예를 제시하<br />

고 있다.<br />

참고 문헌<br />

1차 문헌<br />

B. Brecht, Große komme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30 Bände, Hrsg. v.<br />

W. Hecht, J. Knopf u.a. Berlin und Weimar/F.a.M. 1988-1998.<br />

Jakob Michael Reinhold Lenz, Der Hofmeister oder Vorteile der Privaterziehung, Stuttgart<br />

2006.<br />

17) Bunge-Hecht-Rülicke, Brecht. Sein Leben und Werk, Berlin-DDR 1969. s.23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