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2013 Aufrufe

독일문학에 나타난 음악미학의 담론 연구

독일문학에 나타난 음악미학의 담론 연구

독일문학에 나타난 음악미학의 담론 연구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Sie wollen auch ein ePaper? Erhöhen Sie die Reichweite Ihrer Titel.

YUMPU macht aus Druck-PDFs automatisch weboptimierte ePaper, die Google liebt.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br />

머리말<br />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이란 음악의 속성을 이해하고 음악과 다른 장르를 비교하며<br />

음악의 의미를 평가하는 총체적 과정을 말한다. 음악을 <strong>담론</strong> 형식의 시각에서 고<br />

찰한 사람으로 쉐러를 들 수 있다. 1 그는 주로 음악이론의 텍스트에서 역사적 담<br />

론의 형태를 추적했다. 하지만 비단 음악이론의 텍스트가 아니라 문학의 경우도<br />

음악의 <strong>담론</strong>을 전개하고 있다. 무엇보다 독일문학이 그렇다.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는 음<br />

악의 속성에 대한 탐구와 음악과 다른 장르와의 비교가 주로 시대에 따른 문학<br />

내지 예술의 <strong>담론</strong>과 함께 등장한다. 그래서 음악에 대한 개별적이고 개인적 관점<br />

보다는 일정한 공통의 이념과 규범을 공유하는 시대적 혹은 집단적 음악미학이<br />

관찰된다. 이것을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br />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은 개별적 작품보다는 시대와 작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br />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를 중심으로 매개되는 집단적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은<br />

비단 문학작품만이 아니라 작가의 <strong>담론</strong>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br />

고찰될 수 있을 것이다.<br />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에서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기는<br />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까지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내용상 다시 계<br />

이 논문은 2006년도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strong>연구</strong>조성사업비)으로 한국학술진흥재<br />

단의 지원을 받아 <strong>연구</strong>되었음(KRF-2006-321-A01142).<br />

Wolfgang Scherer: Klavier-Spiele. Die Psychotechnik der Klaviere im 18. und 19.<br />

Jahrhundert. München 1989.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77<br />

몽·고전주의의 시기와 낭만주의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문학과 음악의<br />

관계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 철학적으로 형성된 시기라면 후자는 낭만주의적 절<br />

대음악의 미학이 발전한 때이다. 지금의 입장에서 보면 이 두 시기는 <strong>독일문학에</strong><br />

서 독일적 음악의 미학에 관한 두 가지 본질적 관점이 형성된 시기라고 할 수<br />

있다. 이 두 관점은 이후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와 문학과 음악의 현대적 미학에<br />

근거한 심층적 상호 관계를 형성하는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

독일문학의 역사는 19세기 초까지는 많은 작가들이 음악과 문학의 자율성과<br />

상호성을 보여주는 집단적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에 참여했지만, 그 후의 독일문학은<br />

주로 개별적 차원에서 음악에 관한 발언을 할 뿐 <strong>담론</strong>적 차원의 집단적 음악미<br />

학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 이유와 상황은 현대 음악미학과의 관계에서 살펴볼 수<br />

있다. 사실상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에 대한 <strong>연구</strong>는 현재의 독일문학을 진단하는 데 중<br />

요한 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일반적 차원에서 행해지는 문학과 음악의 상호<br />

관계의 <strong>연구</strong>에 독일문학이 담당한 몫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런 맥<br />

락에서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을 추적하고자 한다.<br />

감성미학과 학문적 철학적 음악미학<br />

18세기 후반이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 문학과 음악의 근대적 특성과 상호성을 인식하고<br />

그것을 <strong>연구</strong>했던 최초의 시기라면, 레싱과 헤르더의 음악<strong>담론</strong>은 그 출발점이었<br />

다. 레싱은 독일문학과의 직접적 관련에서 근대적 음악<strong>담론</strong>을 전개한 사람이다.<br />

그의 계몽주의적 연극이론과 개혁은 곧바로 음악의 <strong>담론</strong>과도 직결되는데, 연극에<br />

서 그랬듯이 음악에서도 고췌트의 음악관을 새롭게 발전시킨다. 고췌트는 프랑스<br />

의 ‘모방미학 Nachahmungsästhetik’의 영향으로 음악을 문학의 도덕적, 교훈적 내<br />

용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해했다. 2 레싱의 음악미학은 모방시학보다는 청중들에<br />

게 작곡가의 느낌을 완전히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18세기의 음악적<br />

Johann Christoph Gottsched: Ausgewählte Werke. Bd. 6/2: Versuch einer Critischen Dichtkunst.<br />

Anderer Besonderer Theil. Hg. v. Joachim Birke und Brigitte Birke. Berlin 1973. Vgl.<br />

Walter Serauky: Die musikalische Nachahmungsästhetik im Zeitraum von 1700 bis 1850.<br />

Münster 1929.


78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79


80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81<br />

언어의 유사성도 존재한다. 16 음악의 이런 감각성은 우리의 감성에 미치는 예술<br />

의 영향력과도 유관하다. 헤르더는 예술의 장르란 이런 측면에 따라 상호 차이점<br />

과 유사성을 인식할 수 있다고 여겼다. 17 하지만 헤르더가 지적하는 감성미학이<br />

나 음악의 감각성이 더욱 주목하는 것은 사실상 그 이면에 존재하는 음악의 사<br />

상적, 철학적 측면이다. 예술의 감각성에 대한 관심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정신과<br />

이성에 미치는 예술의 작용에 대한 관심에서 존재한다. 이것은 그가 말하는 예술<br />

의 휴머니즘과 연결되며 음악도 이런 면에서 휴머니즘의 도구가 된다. 18<br />

괴테는 「음향론 Tonlehre」에서 음과 소리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19 그의 「음향<br />

론」은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고대부터 중세를 거치며 전해오는 전통적 음악관을<br />

새롭게 규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보에티우스에 의해 중세에 전해지는 음악<br />

Schönen. In: ders.: Ausgewählte Werke in Einzelausgaben. Schriften zur Literatur Bd. 2/1.<br />

Hg. v. Regine Otto. Berlin/Weimar 1990, S. 564.<br />

칼 필립 모리츠는 「심리적 관점에서 고려한 외부 감각의 작용. 음악적 청각에 대하여<br />

Die Wirkung der äussern Sinne in psychologischer Rücksicht. Über das musikalische<br />

Gehör」(1791)라는 짧은 글에서 음악에 존재하는 청각과 시각의 감각적 작용에 대해 강조<br />

한다. (Karl Philipp Moritz: Die Wirkung der äussern Sinne in psychologischer Rücksicht.<br />

Über das musikalische Gehör. In: ders.: Schriften zur Ästhetik und Politik. Kritische<br />

Ausgabe. Hg. v. Hans Joachim Schrimpf. Tübingen 1962, S. 129f.).<br />

Johann Gottfried Herder: Briefe zu Beförderung der Humanität. In: ders.: Sämtliche Werke.<br />

Hg. v. Bernhard Suphan. Bd. XVII. Berlin 1881. Hildesheim 1994, S. 109.<br />

Vgl. Herder: Von deutscher Art und Kunst, a. a. O., Bd. V, S. 207.<br />

“음악을 통해 인간은 인간적이 되었고, 음악을 통해 앞으로도 인간적이 될 것이다. 불만<br />

에 차고 어둡고 고집스런 사람에게 이야기로는 할 수 없는 말을 아마도 사랑스런 음향<br />

의 날개에 실어서는 그에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이탈리아와 스페인, 갈리아의 시<br />

인들의 작품이 음악을 통해서 그리고 그것을 응용해서 인생의 지혜가 될 수 있다면 그<br />

속에는 여러 민족과 계급을 인간적으로 만들 것임에 틀림없는 음향들도 잠들어 있다.<br />

Durch Musik ist unser Geschlecht humanisirt worden; durch Musik wird es noch<br />

humanisiret. Was dem Unmuthigen, dem Lichtlos-Verstockten die Rede nicht sagen darf:<br />

sagen ihm vielleicht Worte auf Schwingen lieblicher Töne. […] In den Dichtern der<br />

Italiener, Spanier, Gallier schlummern Töne, die, wenn sie durch Musik und Anwendung<br />

zur Weisheit des Lebens würden, Völker und Stände menschlich machen müßten.” (Herder:<br />

Briefe zu Beförderung der Humanität, a. a. O., S. 172).<br />

Johann Wolfgang Goethe: Tonlehre. In: ders.: Sämtliche Werke nach Epochen seines<br />

Schaffens. Münchner Ausgabe. Bd. 9. Hg. v. Christoph Siegrist u.a. München 1987, S.<br />

923-926. Vgl. Bettina Hey’l: Der Briefwechsel zwischen Goethe und Zelter. Lebenskunst<br />

und literarisches Projekt. Tübingen 1996.


82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83<br />

헤르더가 주장한 언어 표현의 전체성의 측면을 포함한 감성의 미학을 자신의 관<br />

점에서 발전시켜, 음악을 감성의 표현과 감성에서 분리된 사상이 종합되는 곳으<br />

로 표현하고 있다. 24 즉 감성과 사상을 결합시키는 그의 감성미학은 음악이 감각<br />

을 통한 감성의 예술에만 머물러 있는 것을 거부했다.<br />

사실상 그는 감각적 감성의 작용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당대 음악의 경향을 비<br />

판하고 그것을 미학적으로 개혁하고자 했다. 25 그가 볼 때 감각에 갇힌 음악은<br />

인간의 철학적, 지적 성찰의 능력을 봉쇄하기 때문이다. “예술의 최종 목적은 초<br />

감각적인 것을 묘사하는 것 Der letzte Zweck der Kunst ist die Darstellung des<br />

Uebersinnlichen” 26이라고 말한 것은 음악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그의 음악미학은<br />

음악의 감각적 작용을 추상적이고 지적인 심미적 인식으로 발전시키는 것이었다.<br />

그는 음악을 통해서도 진정한 미학적 자유를 획득할 수 있다고 여겼다. 이를 위<br />

해 그는 음악의 조형성을 강조한다.<br />

음악은 최고로 고상한 경지에서 형상이 되어야 하며 고대의 조용한 힘으로 우리<br />

에게 작용해야 한다. 조형 예술이 최고로 완성되면 음악이 되어야 하며 직접적인<br />

감각의 현존을 통해 우리들에게 감동을 주어야 한다. 가장 완전하게 형성된 시문<br />

학은 음악처럼 우리를 강력하게 붙잡는다. 하지만 동시에 조각처럼 조용한 명료성<br />

으로 우리를 감싼다.<br />

Die Musik in ihrer höchsten Veredlung muß Gestalt werden und mit der ruhigen<br />

Macht der Antike auf uns wirken; die bildende Kunst in ihrer höchsten Vollendung<br />

muß Musik werden und uns durch unmittelbare sinnliche Gegenwart rühren; die<br />

인간의 영혼이 느끼는 섬세한 뉘앙스를 언어로 포착하는 것에 절망하는 순간에 음악이<br />

시작한다 In Momenten, wo der erhöhten Seele jeder Ausdruck zu schwach erscheint, wo<br />

sie verzweifelt, die feinere Nuancen ihrer Empfindung in Worte zu fassen, da beginnt die<br />

Tonkunst.” (Hans Knudsen: Schiller und die Musik. Greifswald 1908, S. 9. Zit. nach<br />

Marie Haller-Nevermann: Friedrich Schiller. Ich kann nicht Fürstendiener sein. Berlin 2005,<br />

S. 212).<br />

Dagmar Ottmann: Klang der Sirenen und Sprache des Herzens: Zu Schillers Musikästhetik.<br />

In: Friedrich Schiller und der Weg in die Moderne. Hg. v. Walter Hinderer. Würzburg<br />

2006, S. 525-558.<br />

Vgl. Carl Dahlhaus: Formbegriff und Ausdrucksprinzipien in Schillers Musikästhetik. In:<br />

Schiller und die höfische Welt. Hg. v. A. Aurnhammer u. a. Tübingen 1990, S. 156-167.<br />

Schiller: Ueber das Pathetische. NA Bd. 20, S. 196.


84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85<br />

어 온 음악의 학문성에 관한 <strong>담론</strong>이 그의 음악미학으로 완성되는 것이라 할 수<br />

있다. 그는 음악의 학문 체계를 “음악의 문법 이론”이라 부른다. 30 현대 음악이론<br />

에서 언급하는 음악의 문법에 대한 관념도 이처럼 그의 낭만주의 음악미학에서<br />

선취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슐레겔의 음악문법은 음악을 학문과 유사성을 가지<br />

는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그것의 해석을 가능하게 만들며 궁극적으로 그 자체가<br />

하나의 학문적, 철학적 텍스트를 만들어 내는 체계를 말한다.<br />

음악가가 자신의 작곡에 바탕이 되는 사상에 대해 말한다면 어떤 이들에게는 그<br />

것이 이상하고 우스운 일로 눈에 띄곤 할 것이다. […] 하지만 모든 예술과 학문<br />

의 놀라운 유사성에 대한 의미를 알고 있는 사람은 적어도 그 일을, 음악이 단지<br />

감정의 언어가 되어야 한다는 이른바 자연성이라는 진부한 관점에서 관찰하지 않<br />

을 것이다. 그리고 모든 순수한 기악이 철학이 되는 일정한 경향을 그 자체 불가<br />

능한 것이라고 여기지는 않을 것이다. 순수한 기악이 스스로 하나의 텍스트를 만<br />

들어낼 필요는 없을까? 순수한 기악에서 주제가 철학적 이념의 연관에 있는 명상<br />

의 대상처럼 그렇게 발전되고 증명되며, 변화되거나 대조를 이루게 되지는 않을<br />

까?<br />

Es pflegt manchem seltsam und lächerlich aufzufallen, wenn die Musiker von den<br />

Gedanken in ihren Kompositionen reden; […] Wer aber Sinn für die wunderbaren<br />

Affinitäten aller Künste und Wissenschaften hat, wird die Sache wenigstens nicht<br />

aus dem platten Gesichtspunkt der sogenannten Natürlichkeit betrachten, nach<br />

welcher die Musik nur die Sprache der Empfindung sein soll, und eine gewisse<br />

Tendenz aller reinen Instrumentalmusik zur Philosophie an sich nicht unmöglich<br />

finden. Muß die reine Instrumentalmusik sich nicht selbst einen Text erschaffen?<br />

und wird das Thema in ihr nicht so entwickelt, bestätigt, variiert und kontrastiert,<br />

wie der Gegenstand der Meditation in einer philosophischen Ideenreihe? 31<br />

“음악과 철학의 경계를 규정하기 위해 새로운 라오콘이 필요하다. 많은 글들이 옳은 견<br />

해에 이르기 위해선 아직도 음악의 문법 이론이 빠져있다. Es bedürfte eines neuen<br />

Laokoon, um die Grenzen der Musik und der Philosophie zu bestimmen. Zur richtigen<br />

Ansicht mancher Schriften fehlt es noch an einer Theorie der grammatischen Tonkunst.”<br />

(F. Schlegel: Kritische Fragmente. In: ders.: Werke in einem Band. München: Hanser<br />

1971, S. 14).<br />

Schlegel: Literarische Notizen 1797-1801, a. a. O., S. 81.


86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87<br />

여기서 그가 말하는 수학적 대표의 논리는 사실상 슐레겔의 음악미학을 다른<br />

면에서 설명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그는 음악도 문학과 더불어 “수조합의<br />

예술”로서 수학과 연관시켜 그 속성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br />

조합에 따른 해석학은 숫자의 환상으로 나아가고 수조합의 예술과 수학적인 통주<br />

저음을 가르친다. (피타고라스, 라이프니츠). 언어는 음악적 이념의 악기이다. […]<br />

푸가는 전적으로 논리적이거나 학문적이다. 그것은 또한 시적으로 다룰 수 있다.<br />

통주저음은 음악적 대수학과 해석학을 포함하고 있다.<br />

Die kombinatorische Analysis führt auf das Zahlenphantasieren und lehrt die<br />

Zahlenkompositionskunst, den mathematischen Generalbaß. (Pythagoras, Leibniz) Die<br />

Sprache ist ein musikalisches Idee-Instrument. […] Eine Fuge ist durchaus logisch<br />

oder wissenschaftlich. Sie kann auch poetisch behandelt werden. Der Generalbaß<br />

enthält die musikalische Algeber und Analysis. 34<br />

즉 그의 논리를 음악에 적용하자면 음악의 절대적 본질은 미학적, 학문적 인<br />

식을 통해 드러날 뿐이지 직접적인 음의 형태를 통해서는 알 수도, 실현될 수도<br />

없음을 지적한다. 이것은 동시에 슐레겔이 추구한 음악의 학문적 체계화와 연결<br />

된다.<br />

바켄로더는 이런 맥락에서 음악을 현실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본원<br />

적 미의 영역으로 묘사한다. 35 그에게 음악이 인간의 지극히 주관적 감정이자 의<br />

식으로 우리의 내면을 의미한다거나, 인간의 감정을 “초인적인 방식”으로 표현한<br />

다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br />

음이라는 거울을 통해 인간은 가슴으로 자기 자신을 알게 된다. 음이란 우리들이<br />

감정을 배우는 수단이다. 음은 감성의 숨겨진 구석에서 꿈꾸는 많은 영들에게 살<br />

Novalis: Fragmente. Hg. v. Ernst Kamnitzer. Dresden 1929, S. 583, Nr. 1817.<br />

“음은 그 자체로 분리된 세계다. sie[die Töne] sind eine abgesonderte Welt für sich<br />

selbst”. (Wilhelm Heinrich Wackenroder: Phantasien über die Kunst, für Freunde der<br />

Kunst. In: Sämtliche Werke und Briefe. Historisch-kritische Ausgabe. Bd. I. Werke. Hg. v.<br />

Silvio Vieta/Richard Littlejohns. Heidelberg 1991, S. 236) u. “기악은 그 감정이 실제 세<br />

계와 연관되지는 않는다. sie[Instrumentalmusik] kennt nicht den Zusammenhang ihrer<br />

Gefühle mit der wirklichen Welt”. (Ebd., S. 220).


88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89<br />

대음악은 이런 점에서 ‘순수한 시적 세계 rein-poetische Welt’로 묘사되며 그것은<br />

다름 아닌 근원적 미의 영역이다. 43 요컨대 초기 낭만주의자들에게 절대음악이란<br />

자유로운 표현과 예술적 창의성의 근원이 되는 절대적 미의 영역과 심미적 체험<br />

의 다른 표현이다. 여기서 음악과 문학은 표면적 유사성이 아니라 내면적 차원에<br />

서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으며 그렇게 낭만주의 ‘절대문학 absolute Dichtung’은<br />

낭만주의의 절대음악과 동일한 것이 된다. 44 그러므로 음악은 낭만주의 예술의<br />

전형으로 노발리스가 말한 이른바 예술가의 목표로서 ‘예술종교 Kunstreligion’가<br />

될 수 있다. 45 바켄로더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br />

음악은 확실히 믿음의 마지막 비밀이자 밀교(密敎), 철저히 계시된 종교다. 종종<br />

내겐 마치 음악이 아직도 여전히 형성 중이라는 생각이 들고 그 대가들은 어떤<br />

다른 이들과는 비견될 수 없는 것처럼 생각된다.<br />

[D]ie Tonkunst ist gewiß das letzte Geheimnis des Glaubens, die Mystik, die<br />

durchaus geoffenbarte Religion. Mir ist es oft, als wäre sie immer noch im<br />

Entstehn, und als dürften sich ihre Meister mit keinen andern messen. 46<br />

음악에 관한 이런 시각을 우리는 독일 낭만주의 문학의 절대음악 미학이라고<br />

규정할 수 있다. 이것은 독일문학의 낭만주의자들이 음악에 관해 공통으로 피력<br />

하는 낭만주의의 예술 및 음악<strong>담론</strong>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후기 낭만주의도 예외<br />

가 아니다.<br />

후기 낭만주의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 <strong>음악미학의</strong> 대표자는 에.테.아. 호프만이다. 그 역<br />

시 음악을 미적 본질을 알려주는 순수한 정신적 영역의 대표라는 말로 자신의<br />

절대음악의 미학을 피력하고 있다. 47 음악이 예술의 대표가 될 수 있는 것은 미<br />

Wilhelm Heinrich Wackenroder: Phantasien über die Kunst, a. a. O., S. 221.<br />

Ebd., S. 244.<br />

C. Dahlhaus: Idee der absoluten Musik, a. a. O., S. 142.<br />

“예술종교란 흡사 아름다움과 이상을 존경하는 예술가의 종교와 같은 것 Eine Kunstreligion<br />

- beynah eine Religion wie die des Künstlers, der die Schönheit und das Ideal verehrt”.<br />

(Novalis: Das Allgemeine Brouillon. In: ders.: Schriften. Die Werke Friedrich von<br />

Hardenbergs. Hg. v. Paul Kluckhohn/Richard Samuel. Stuttgart 1960ff. Bd. III, S. 562, Nr.<br />

48). Vgl. Wilhelm Seidel: Absolute Musik und Kunstreligion um 1800. In: Musik und<br />

Religion. Hg. v. Helga de la Motte-Haber. Laaber 1995, S. 89-114, hier S. 102-111.<br />

Wilhelm Heinrich Wackenroder: Phantasien über die Kunst, a. a. O., S. 241.


90 독일문학


하나의 이유이기도 하다.<br />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91<br />

여기서 시인과 음악가는 가장 밀접히 유사한 교회의 성원이다. 왜냐하면 그들에게<br />

최고의 신성을 알려주었던 언어와 음의 비밀은 하나이고 동일하기 때문이다.<br />

Da sind Dichter und Musiker die innigst verwandten Glieder einer Kirche: denn das<br />

Geheimnis des Wortes und des Tons ist ein und dasselbe, das ihnen die höchste<br />

Weihe erschlossen. 51<br />

절대음악 미학의 연장선에서 그는 자신의 공감각적 음악미학을 피력한다. 사<br />

실상 그에게 공감각의 요소가 한편으로 음악과 연극적 요소를 결합할 수 있게<br />

만드는 형식의 이념이라면 52 공감각의 철학적 이념은 내면의 정신작용에 있다. 53<br />

음이 인간 내면의 정신세계에 작용해서 음악과 정신이 하나가 되는 것에 있다고<br />

말하는 그의 설명은 그 점을 잘 드러낸다.<br />

음악가, 즉 자신의 내면에서 음악을 명확하고 분명한 의식으로 발전시키는 사람은<br />

도처에서 선율과 화음을 느낀다. 만약 음악가가 그에게는 색채와 냄새, 광선이 음<br />

으로 <strong>나타난</strong>다고 말한다면, 그리고 그것들이 한데 어울려서 놀라운 연주회를 만드<br />

는 것을 본다고 한다면 그것은 공허한 형상이 아니며 알레고리도 아니다. 한 명민<br />

한 물리학자가 말하듯이 듣는 것은 내면으로 보는 것이라면 음악가에게 보는 것<br />

은 내면으로 듣는 것이 된다. 즉 그 순간 그의 눈으로 파악하는 모든 것으로부터<br />

그의 정신과 함께 똑같이 진동하면서 울려 퍼지는 음악을 가장 내면적으로 의식<br />

하게 되는 것이다.<br />

Der Musiker, das heißt, der, in dessen Innerem die Musik sich zum deutlichen<br />

klaren Bewußtsein entwickelt, ist überall von Melodie und Harmonie umflossen. Es<br />

ist kein leeres Bild, keine Allegorie, wenn der Musiker sagt, daß ihm Farben, Düfte,<br />

E.T.A. Hoffmann: Sämtliche Werke in 5 Bänden. Bd. III: Die Serapions-Brüder. Hg. mit<br />

einem Nachwort v. Walter Müller-Seidel. München 1966, S. 83.<br />

Vgl. Herbert Schulze: E.T.A. Hoffmann als Musikschriftsteller und Komponist. Beiträge<br />

zur musikwissenschaftlichen Forschung in der DDR. Leipzig 1983, S. 112 u. Judith Rohr:<br />

E.T.A. Hoffmanns Theorie des musikalischen Dramas. Untersuchungen zum musikalischen<br />

Romantikbegriff im Umkreis der Leipziger Allgemeinen Musikalischen Zeitung.<br />

Baden-Baden 1985.<br />

Vgl. Paul Margis: Die Synästhesien bei E.T.A. Hoffmann. In: Zeitschrift für Ästhetik und<br />

allgemeine Kunstwissenschaft. Hg. v. Max Dessoir. Bd. V. Stuttgart 1910, S. 91-99.


92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93<br />

있다. 그런 음악미학에서 음악의 본질에 대한 성찰은 공통적이었다. 계몽주의와<br />

고전주의 작가들은 음악을 감성미학의 범주에서 인간의 정신적 속성과 연결된<br />

학문적, 철학적 영역으로 이해했다면, 낭만주의 작가들은 음악을 낭만주의의 전<br />

일적, 절대적 이념을 구현하는 전형적 예술 영역으로 절대화했다. 이 두 종류의<br />

음악미학은 이후 독일문학의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사실<br />

상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음악학<br />

의 맥락에서도 설명이 가능하다.<br />

음악학의 흐름을 보면 19세기에 한슬릭 Eduard Hanslick이 음악의 고유성을<br />

강조한 음악미학 56으로 독자적 음악학을 주장했다면, 20세기 음악학은 음악의 문<br />

법과 법칙성을 강조한 슐레겔의 ‘음악의 라오콘’ 논리의 연장선에서 출발하는데,<br />

그 선두에 리만 Hugo Riemann과 플레스너 Helmuth Plessner가 있다. 리만은 음<br />

악에 고유한 음악문법의 형태로 음악학을 정립하려고 했으며, 57 플레스너는 리만<br />

의 음악학을 인간학과 현상학 그리고 기호학적 논리로 확장시켜 순수 음악의 미<br />

학을 전개하며 음악의 독자성에 주목한다. 그는 순수 음악 및 음악의 음 현상과<br />

관련된 <strong>연구</strong> 분야를 “감각학” 내지 “정신감각학 Ästhesiologie des Geistes”의 한<br />

분과로서 “청각감각학 Ästhesiologie des Gehörs”으로 명명했다. 58 흥미롭게도 그<br />

는 감각학의 출발점을 괴테에서 찾고 있다. 59 감각학은 이런 맥락을 주목한 것이<br />

Eduard Hanslick: Vom Musikalisch-Schönen. Ein Beitrag zur Revision der Ästhetik der<br />

Tonkunst. Leipzig 1854. Reprint Darmstadt 1981.<br />

Hugo Riemann: Musikalische Syntaxis. Grundriß einer harmonischen Satzbildungslehre.<br />

Leipzig 1877.<br />

Helmuth Plessner: Zur Phänomenologie der Musik. In: ders.: Gesammelte Schriften. Bd.<br />

VII. Hg. v. Günther Dux, Odo Marquard, Elisabeth Ströker. Frankfurt a. M. 1982, S. 65.<br />

Plessner: Die Einheit der Sinne. Grundlinien einer Ästhesiologie des Geistes. In: Gesammelte<br />

Schriften. Bd. III, a. a. O., S. 31. Vgl. 1829년 2월 17일 에커만과의 대화에서 괴테는 감<br />

각의 비판이론이 나와야 한다고 언급한다. “칸트는 ‘순수 이성 비판’을 썼고 그래서 무한<br />

히 많은 것이 일어났소, 하지만 그 영역은 종결된 것이 아니오. 이제는 능력이 있는 중<br />

요한 인물이 감각과 인간 오성의 비판을 써야만 하오. 만약 그런 일이 곧 성공하기만 한<br />

다면 우리들이 독일 철학에서 더 이상 바랄 것이 많지는 않겠지요. Kant hat die Kritik<br />

der reinen Vernunft geschrieben, womit unendlich viel geschehen, aber der Kreis nicht<br />

abgeschlossen ist. Jetzt müßte ein Fähiger, ein Bedeutender die Kritik der Sinne [sic!] und<br />

des Menschenverstandes schreiben, und wir würden, wenn dieses gleich vortrefflich<br />

geschehen, in der deutschen Philosophie nicht viel mehr zu wünschen haben.” (Goethe:<br />

Sämtliche Werke nach Epochen seines Schaffens, a. a. O., Bd. 19, S. 288).


94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95<br />

der künstlerischen Einheit’로 작용한다. 64 사실상


96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97<br />

적어도 문학과 음악의 표현 방식의 직접적 상호성에서 보면 아이러니하게 쇤<br />

베르크의 음악미학은 토마스 만의 소설에서 아도르노 <strong>음악미학의</strong> 문학적 실천을<br />

위한 뒤늦은 안내자의 역할만 하고 있다. 73 그렇더라도 토마스 만의 경우를 보면<br />

현대의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 음악과의 연관성은 외적인 표층구조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br />

니라 심층적 내면 의식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독일문학이 보여주는<br />

음악미학 <strong>담론</strong>의 유산이자 현대 음악미학과의 관계이기도 하다. 이제 이런 양상<br />

이 현대문학의 실제 작품들에서 어떻게, 어느 정도로 나타나고 있는지는 또 하나<br />

의 독립된 <strong>연구</strong>를 필요로 하는 테마이자 범위인 만큼 다음의 과제로 남긴다.<br />

맺음말<br />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을 고찰하는 작업은 문학과 음악의 상호성의 의<br />

미를 찾아내는 것 이상이다. 그것은 계몽주의 이후 현대까지 독일문학의 역사와<br />

함께 했고, 때로 독일문학 이념의 대변자 혹은 그 경쟁자로 지내온 음악의 의미<br />

와 역할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문학과 음악의 속성에 대한 예술적이<br />

자 철학적 그리고 학문적 관심이 혼재했다. 이것은 현재의 상호매체적 관점을 넘<br />

어서는 광범위한 관심의 복합체로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는 시대의 <strong>담론</strong>과 연관되어 있었<br />

다. 따라서 독일문학과 음악은 문학미학과 <strong>음악미학의</strong> 형태를 취하기 전에 늘 담<br />

론의 형태로 만나고 결합했다.<br />

계몽주의 시대에 레싱이 당대 음악의 정감이론을 감각론적 장르이론으로 발전<br />

시킨 점이나 헤르더가 이것을 인간학적 관점의 감성미학으로 확장시킨 것, 혹은<br />

괴테가 과학적 방식으로 음악미학을 형성하려 했던 것과 쉴러의 철학적 음악미<br />

학 등은 모두 문학과 음악의 <strong>담론</strong>을 성공적으로 결합시켜 자신의 방식으로 발전<br />

시킨 결과이다. 낭만주의는 <strong>독일문학에</strong>서 처음으로 다양한 음악의 <strong>담론</strong>을 전체적<br />

Tendenz zur musikalischen ‘Prosa’ kommt auf ihre Höhe in dem Streichquartett,<br />

Leverkühns esoterischstem Werk vielleicht, das dem Ensemblestück auf dem Fuße folgte.”<br />

(Ebd., S. 603).<br />

쇤베르크의 음악미학은 이를테면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에서 문학적 표현으로 실현<br />

된다. 이 점은 졸고: 문학문법과 음악문법의 혼용과 대위법적 변용. 헤세<strong>연구</strong>. 제19집<br />

(2008), 269-294쪽 참조.


98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99<br />

Weidmannsche Buchhandlung. Bd. XVII(1881). Bd. XVIII(1883). Bd. V(1891).<br />

Hildesheim 1994.<br />

Ders.: Kritische Wälder oder Betrachtungen über die Wissenschaft und Kunst des Schönen.<br />

In: ders.: Ausgewählte Werke in Einzelausgaben. Bd. 2/1. Hg. v. Regine Otto.<br />

Berlin/Weimar: Aufbau 1990.<br />

Hoffmann, E.T.A.: Kreisleriana. In: ders.: Werke. Bd. I. Hg. v. Herbert Kraft u. Manfred<br />

Wacker. Frankfurt a. M.: Insel 1967.<br />

Ders.: Sämtliche Werke in 5 Bänden. Bd. I: Fantasie- und Nachtstück. Hg. v. Walter<br />

Müller-Seidel. München 1967; Bd. III: Die Serapions-Brüder. Hg. mit einem<br />

Nachwort v. Walter Müller-Seidel. München 1966; Bd. V: Schriften zur Musik.<br />

Nachlese. Hg. v. Friedrich Schnapp. München: Hanser 1963.<br />

Lessing, Gotthold Ephraim: Hamburgische Dramaturgie. In: ders.: Werke und Briefe. Bd.<br />

6. Hg. v. Klaus Bohnen. Frankfurt a. M.: Deutscher Klassiker Verlag 1985.<br />

Ders.: Laokoon: oder über die Grenzen der Malerei und Poesie. In: ders.: Werke und<br />

Briefe. Bd. 5 /2. Hg. v. Wilfried Barner. Frankfurt a. M.: Deutscher Klassiker<br />

Verlag 1990.<br />

Ders.: Aus dem Nachlaß: Laokoon oder über die Grenzen der Malerei und Poesie. In: ders.:<br />

Werke. Bd. 6. Hg. v. Herbert G. Göpfert u. a. München: Hanser 1974.<br />

Mann, Thomas: Doktor Faustus. Das Leben des deutschen Tonsetzers Adrian Leverkühn,<br />

erzählt von einem Freunde. Frankfurt a. M.: S. Fischer 1967.<br />

Moritz, Karl Philipp: Die Wirkung der äussern Sinne in psychologischer Rücksicht. Über<br />

das musikalische Gehör. In: ders.: Schriften zur Ästhetik und Politik. Kritische<br />

Ausgabe. Hg. v. Hans Joachim Schrimpf. Tübingen: Niemeyer 1962.<br />

Novalis: Werke, Tagebücher und Briefe Friedrich von Hardenbergs. Hg. v. Hans Joachim<br />

Mähl und Richard Samuel. Bd. II. München/Wien: Hanser 1978.<br />

Ders.: Schriften. Die Werke Friedrich von Hardenbergs. Hg. v. Paul Kluckhohn/Richard<br />

Samuel. Stuttgart 1960ff.<br />

Ders.: Fragmente. Hg. v. Ernst Kamnitzer. Dresden 1929.<br />

Schiller, Friedrich: Werke. Nationalausgabe. Hg. v. Lieselotte Blumenthal und Benno von<br />

Wiese. Weimar: Hermann Böhlaus Nachfolger 1969. (=NA)<br />

Schlegel, Friedrich: Werke in einem Band. München: Hanser 1971.<br />

Ders.: Literarische Notizen 1797-1801. Hg. v. Hans Eichner. Frankfurt/Berlin/Wien:<br />

Ullstein 1980.<br />

Wackenroder, Wilhelm Heinrich: Phantasien über die Kunst, für Freunde der Kunst. In:


100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101<br />

Knudsen, Hans: Schiller und die Musik. Greifswald 1908.<br />

Margis, Paul: Die Synästhesien bei E.T.A. Hoffmann. In: Zeitschrift für Ästhetik und<br />

allgemeine Kunstwissenschaft. Hg. v. Max Dessoir. Bd. V. Stuttgart 1910, S.<br />

91-99.<br />

Naumann, Barbara: Musikalisches Ideen-Instrument. Das Musikalische in Poetik und<br />

Sprachtheorie der Frühromantik. Stuttgart 1988.<br />

Nietzsche, Friedrich: Die Geburt der Trgödie aus dem Geist der Musik. In: ders.: Werke.<br />

Bd. I. Hg. v. Karl Schlechta. Frankfurt/Berlin/Wien: Ullstein 1976.<br />

Ottmann, Dagmar: Klang der Sirenen und Sprache des Herzens: Zu Schillers<br />

Musikästhetik. In: Friedrich Schiller und der Weg in die Moderne. Hg. v. Walter<br />

Hinderer. Würzburg 2006, S. 525-558.<br />

Plessner, Helmuth: Gesammelte Schriften. Bd. III: Die Einheit der Sinne. Grundlinien einer<br />

Ästhesiologie des Geistes u. Anthropologie der Sinne. Bd. VII: Zur<br />

Phänomenologie der Musik u. Zur Anthropologie der Musik. Hg. v. Günther Dux,<br />

Odo Marquard, Elisabeth Ströker. Frankfurt a. M.: Suhrkamp 1982.<br />

Riemann, Hugo: Musikalische Syntaxis. Grundriß einer harmonischen Satzbildungslehre.<br />

Leipzig 1877.<br />

Rohr, Judith: E.T.A. Hoffmanns Theorie des musikalischen Dramas. Untersuchungen zum<br />

musikalischen Romantikbegriff im Umkreis der Leipziger Allgemeinen<br />

Musikalischen Zeitung. Baden-Baden 1985.<br />

Rousseau, Jean-Jacques: Musik und Sprache. Ausgewählte Schriften. Übers. v. Dorothea<br />

und Peter Gülke. Wilhelmshaven 1984.<br />

Scherer, Wolfgang: Klavier-Spiele. Die Psychotechnik der Klaviere im 18. und 19.<br />

Jahrhundert. München: W. Fink 1989.<br />

Schönberg, Arnold: Stil und Gedanke. Aufsätze zur Musik. Gesammelte Schriften Bd. 1.<br />

Hg. v. I. Vojtěch. Frankfurt a. M.: Fischer 1976.<br />

Schulze, Herbert: E.T.A. Hoffmann als Musikschriftsteller und Komponist. Beiträge zur<br />

musikwissenschaftlichen Forschung in der DDR. Leipzig 1983.<br />

Seidel, Wilhelm: Absolute Musik und Kunstreligion um 1800. In: Musik und Religion. Hg.<br />

v. Helga de la Motte-Haber. Laaber 1995, S. 89-114.<br />

Serauky, Walter: Die musikalische Nachahmungsästhetik im Zeitraum von 1700 bis 1850.<br />

Münster 1929.<br />

Wellberry, David: Lessing's Laokoon. Semiotics and aesthetics in the age of reason.<br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02 독일문학


<strong>독일문학에</strong> <strong>나타난</strong> <strong>음악미학의</strong> <strong>담론</strong> <strong>연구</strong> 103<br />

der modernen deutschen Literatur des 20. Jahrhunderts ist die Musik nicht nur als eine<br />

bestimmte sinnliche Erkenntnisweise über die Wirklichkeit, sondern auch als ein<br />

Medium anzusehen, das verschiedene Aspekte der Wirklichkeit frei rekonstruiert. Von<br />

daher ist die Affinitätsbeziehung der modernen Literatur zu der Musik nicht mehr in<br />

einer unmittelbaren Nähe der oberflächlichen Struktur zu finden, sondern lediglich in der<br />

tiefenschichtlichen Innerlichkeit beider Seiten. Dieser Zusammenhang ist ebenfalls in der<br />

Beziehung der moderen Musikästhetik Adornos und Arnold Schönbergs zu der Literatur<br />

Thomas Manns zu beobachten.<br />

주제어: 음악미학, 감성미학, 절대음악 미학, 음악적 산문,<br />

Schlüsselbegriffe: Musikästhetik, Gefühlsästhetik, Ästhetik der absoluten Musik,<br />

Musikalische Prosa<br />

필자 이메일 주소: chogoethe@hotmail.com<br />

투고일: 2009. 6. 30. / 심사일: 2009. 8. 10. / 심사완료일: 2009. 9. 6.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