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7.2014 Views

건설기계 부품업체 - 현대증권

건설기계 부품업체 - 현대증권

건설기계 부품업체 - 현대증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2011년 9월 21일 이슈분석<br />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br />

나는 실적 기는 주가<br />

스몰캡 Analyst 한병화<br />

02-2003-2908 bh.han@hdsrc.com<br />

스몰캡 Analyst 송동헌<br />

02-2003-2924 dongheon.song@hdsrc.com<br />

스몰캡 Analyst 진홍국<br />

02-2003-2928 kevin.jin@hdsrc.com<br />

RA 김혜진<br />

02-2003-2940 hyejin.kim@hdsrc.com<br />

리서치센터 트위터 @QnA_Research<br />

당사 분석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 실적 호조세 지속<br />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구조적인 성장기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br />

업체별 성장모멘텀 확보<br />

시장대비 절대 저평가 상태, 기존 적정주가 유지<br />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평균 43%, 96% 증가 예상<br />

당사가 분석하는 <strong>건설기계</strong> 부품 4개 업체의 3분기 평균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43%,<br />

9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분기가 <strong>건설기계</strong>의 비수기이고 글로벌 경제위기까지 가세된 점을 감안하면<br />

해당업체들의 실적증가는 투자가들의 재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br />

구조적인 성장국면 진입한 것으로 판단<br />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들의 연속된 실적호전의 이유는 1) 글로벌 <strong>건설기계</strong> 시장의 70% 이상이 이머징 국가이<br />

므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요증가가 지속되고 있고 2) 경쟁상대인 일본, 유럽업체 대비 높은 가격경쟁력<br />

과 대등한 기술력으로 시장을 잠식해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들은 2~3<br />

년 전까지만 해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단순 부품 아웃소싱 업체들에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캐터필러, 히타<br />

치건기, 존디어 등 해외의 선두권 완성차 업체들로 판매처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들은<br />

글로벌 시장의 핵심 부품공급처로 부각되면서 구조적인 성장국면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br />

업체별 성장모멘텀 확보<br />

감속기를 제조하는 우림기계(101170)는 주 매출처인 두산모트롤의 국내외 증설로 굴삭기용 감속기의 성장<br />

이 예정되어 있고 철강, 천연가스 시추, 해상풍력 등 산업용 감속기의 고객도 확대되고 있다. 현재 1,100억<br />

원의 연 생산능력을 2012년말 2,000억원으로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우림기계는 성장모멘텀을 확보한 것<br />

으로 판단된다. 동일금속(109860)은 굴삭기용 부품 이외에도 초대형 굴삭기용은 일본 히타치건기향 점유<br />

율 확대, 크레인용은 북미 등 선진국 SOC 투자 확대의 수혜가 예상되어 동종업체와 실적 차별화가 기대된<br />

다. 올해말 증설이 완료되면 연 생산능력이 26,000톤에서 36,000톤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창단조<br />

(015230)는 최근 판가를 인상하였으며 수익성이 좋은 AS의 매출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흥<br />

국(010240)은 주고객인 현대중공업, 볼보의 국내외 증설에 대처하기 위해 설비증설을 진행중이다. 존디어<br />

를 주요 매출처로 확보한데 이어 설비증설이 완료되는 4분기 이후에는 추가 고객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판<br />

단된다.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br />

시장대비 절대 저평가 상태:<br />

적정주가 유지<br />

당사가 분석하는 우림기계(101170,적정주가 15,000원), 동일금속(109860,적정주가 18,000<br />

원), 대창단조(015230,적정주가 75,000원), 흥국(010240,적정주가 9,200원)에 대해 기존<br />

투자의견 BUY와 적정주가를 유지한다.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들의 올해 실적기준 PER,PBR은 각<br />

각 3배~9배, 0.8배~1.2배로 시장 평균 대비 할인거래되고 있다. 동업체들이 경쟁력을 높여가<br />

면서 글로벌 주요<strong>부품업체</strong>로 자리메김하고 있는 것이 기업가치 증가로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br />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증설, 신제품, 판매처 확대의 효과가 본격화되는 2012년 실적기준으로<br />

는 PER이 2배~6배 수준으로 저평가 상태가 더욱 확대된다.<br />

그림 1>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들 실적 호전세 지속<br />

(십억원) 흥국 동일금속 대창단조 우림기계<br />

3Q11F 매출액 20.1 24.0 80.7 19.1<br />

영업이익 1.6 4.0 6.1 2.8<br />

2Q11 매출액 21.9 24.0 86.8 18.8<br />

영업이익 1.9 3.4 6.2 2.9<br />

3Q10 매출액 14.4 16.0 65.2 12.1<br />

영업이익 0.8 2.1 3.4 1.4<br />

YoY(%) 매출액 39.5 49.5 23.7 57.6<br />

영업이익 110.4 87.4 78.1 108.2<br />

QoQ(%) 매출액 (8.2) (0.3) (7.0) 1.6<br />

영업이익 (15.2) 19.4 (1.6) (1.9)<br />

자료: <strong>현대증권</strong><br />

그림 2> 밸류에이션 절대 저평가 상태<br />

흥국 동일금속 대창단조 우림기계<br />

현주가 (9월 20일) 4,590 12,900 34,500 8,690<br />

시가총액(십억원) 28.3 90.3 69.0 78.2<br />

PER (배) FY09A NA 7.3 7.7 10.8<br />

FY10A 5.7 8.1 4.0 11.6<br />

FY11F 4.1 7.5 3.1 8.6<br />

FY12F 3.3 5.1 2.6 6.1<br />

PBR (배) FY09A 1.3 1.0 0.5 1.8<br />

FY10A 1.1 0.8 0.8 1.2<br />

FY11F 0.9 1.2 0.8 1.1<br />

FY12F 0.7 1.0 0.6 0.9<br />

매출액 (십억원) FY09A 31.1 48.8 164.2 44.2<br />

FY10A 61.1 64.4 263.2 50.3<br />

FY11F 83.5 98.9 331.6 75.1<br />

FY12F 101.0 132.4 379.6 98.8<br />

영업이익 (십억원) FY09A 0.8 11.1 7.1 10.0<br />

FY10A 3.9 7.9 15.0 6.7<br />

FY11F 7.1 15.9 27.0 11.0<br />

FY12F 9.0 22.4 30.0 15.6<br />

영업이익률 (%) FY09A 2.6% 22.8% 4.4% 22.7%<br />

FY10A 6.4% 12.2% 5.7% 13.4%<br />

FY11F 8.5% 16.1% 8.2% 14.7%<br />

FY12F 8.9% 16.9% 7.9% 15.8%<br />

순이익 (십억원) FY09A (0.1) 6.4 3.5 8.6<br />

FY10A 4.8 6.4 12.8 6.4<br />

FY11F 6.8 12.1 22.5 9.1<br />

FY12F 8.7 17.7 26.8 12.7<br />

EV/EBITDA (배) FY09A 17.9 3.4 3.5 6.9<br />

FY10A 7.3 3.3 3.6 5.3<br />

FY11F 5.3 3.6 2.5 5.8<br />

FY12F 3.6 1.9 1.7 4.0<br />

ROE (%) FY09A (0.7) 15.1 7.4 20.3<br />

FY10A 20.7 10.7 23.3 11.0<br />

FY11F 22.1 16.0 27.4 13.0<br />

FY12F 24.8 21.0 28.0 16.8<br />

자료: <strong>현대증권</strong><br />

HYUNDAI Research 2


<strong>건설기계</strong> <strong>부품업체</strong><br />

• 당사는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재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신의성실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함.<br />

• 투자의견 분류: 산업: Overweight(10%이상), Neutral(-10~10%), Underweight(-10%이상) / 기업: Strong BUY(30%이상), BUY(10~30%), Marketperform(-10~10%), Underperform(-10%이상)<br />

등급: Strong BUY = 4, BUY = 3, Marketperform = 2, Underperform = 1, Blackout/Universe탈락 = 0 ( 주가 -, 적정주가 , 등급 -)<br />

• 이 보고서는 고객들에게 투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계약의 청약 또는 청약의 유인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는 당사가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하는 자료와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일 시점의 전문적인 판단을 반영한 의견이나 당사가<br />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통지 없이 의견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개별 투자는 고객의 판단에 의거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 보고서는 여하한 형태로도 고객의 투자판단 및 그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의 저<br />

작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배포 및 변형할 수 없습니다. 이 보고서는 학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므로, 학술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경우에는 당사에 사전 통보하여 동의를 얻으시기 바랍니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HYUNDAI Research 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