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03.2023 Views

Moeum 모음 1st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첫번째 모음 Mo'eum #Moeum#모음 #moeum1st #모음1st #moeum_vol01 #서울대학교조경학과 #조경학과 #snula #snuLandArch #landscapearchitecture #조경 #조경설계 #landscapedesign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첫번째 모음 Mo'eum
#Moeum#모음
#moeum1st #모음1st
#moeum_vol01
#서울대학교조경학과 #조경학과 #snula
#snuLandArch #landscapearchitecture #조경 #조경설계 #landscapedesign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정적담수

처한물부족의정량적평가를시도하였다.

Jung et al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Park et al 2010 Environment International

Seashore View

Mo’eum

적은

적인형태로

내보내지만

강수의계절별집중도와강수의강도가강해지는국내강수

특성의변화를미루어보아강수량이토양, 저수지, 지하에

저장되지못하고유출되는양이증가할것임을예상할수

있다.

토양수분함량과그에따른유출강수량을고려한수문학적

가뭄지수인 PDSI는 4월에서 6월사이에강화도는수문학적

가뭄의위기에놓임을확인할수있다. 모내기이후많은물이

필요한벼농사의특성상농업적가뭄으로직결됨을알수

있다.

(위) 20년간시기별강화도평균저수율

(아래) 가뭄이찾아온해의저수율

강화도의저수율은수문학적가뭄이찾아오는 4~6월농업용수사용으로

낮아졌다가여름장마로회복하는양상을보여준다. 그러나가뭄이찾아오면

저수율은회복되기힘들고, 강수유출량이증가하는국내강수변화양상을

고려하면저수율회복은난관일것으로보인다.

Water System

충주댐상수도: 6,022,500,000

한강담수: 20,440,000,000

어개발이

농업용수: 157,681,898,000

유효강수량: 126,344,288,571

생활용수: 8,587,720,000

유출강수: 47,022,000,000

이다. 이는필요한논용수를

지가더이상의물을가둘수

가높아지면배수갑문을통해

업용수로의사용을

다. 느린물의흐름으로물의

로흡수되고다양한연못과

지하수흡수:2,565,220,000

10년평균연간수자원량(kg)

지않다.국내쌀소비량감소와

량대비판매량은절반에

업진흥지역, 농업보호

농업진흥지역의해제를

절약할수있다. 이와함께

의 30퍼센트인 1400만톤의

농촌

강화

view

농촌강화

남윤수

지도교수 : 류영렬

Plan

강화도의 배수시설은 농경지 중심으로 직선적이고 빠른 배수의 형태가 특

징이다. 이는 필요한 논용수를 빠르게 공급받기에 효율적이지만 벼농사의

Riverside View

물떼기시기, 강한 강수 시기, 저수지가 더 이상의 물을 가둘 수 없는 시기

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직선적인 배수로는 빠르게 모여들고 수위가 높아

지면 배수갑문을 통해 모두 바다로 유출한다. 이 과정에서 해수에 오염되

기도 하며 남은 물까지 농업용수로의 사용을 제한받는다. 이에 주요한 물

흐름의 줄기들에 ‘sponge-city’의 개념을 도입한다. 느린 물의 흐름으로

물의 유출량을 줄이고, 지하수로 흘려보낸다. 물은 천천히 흘러가며 대부

분 토양으로 흡수되고 다양한 연못과 물줄기는 생태공원의 형태로 조성되

어 물의 오염과 증발량을 제한한다.

강화도의 농업을 위해 투자되는 비용에 비해 강화도의 쌀은 판매실적이 좋

지 않다. 국내 쌀 소비량 감소와 함께 지자체는 ‘강화 쌀 팔아주기 운동’까

지 시행해왔지만 강화농협의 수매량 대비 판매량은 절반에 그친다. 또한

간척사업과 함께 농업의 대를 이어온 토지들은 당연하게도 농업 진흥 지

역, 농업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지만 최근 강화군은 농업인들을 대변하여

인천광역시에 농업 진흥 지역의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농경지 8.6 제곱킬로미터를 줄이면 강화도에서 연간 1400만 톤의 논용수

를 절약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주요 배수로 3군데의 유출강수를 지하로 흡

수시킬 수 있다면 전체 유출강수의 30퍼센트인 1400만 톤의 지하수를 추

가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Graduation Work 1 33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