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2.2014 Views

가스보일러의 순산소 연소 이용 CO 회수 기술 개발 - 이산화탄소저감 ...

가스보일러의 순산소 연소 이용 CO 회수 기술 개발 - 이산화탄소저감 ...

가스보일러의 순산소 연소 이용 CO 회수 기술 개발 - 이산화탄소저감 ...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부처별 합동 WORKSHOP<br />

<strong>가스보일러의</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strong>이용</strong> <strong>CO</strong> 2 <strong>회수</strong><br />

<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2006. 2. 9<br />

김 혁 주<br />

한국에너지<strong>기술</strong>연구원


발표순서<br />

9 연구 개요<br />

9 <strong>기술</strong><strong>개발</strong> 목표<br />

9 국내외 현황<br />

7 국내현황<br />

7 국외 현황<br />

9 연구내용<br />

9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연구 필요성<br />

9 이산화탄소 저감 및 분리<strong>기술</strong><br />

7 교토 의정서 비준에 따른 <strong>CO</strong> 2<br />

7 EU : 온난화 가스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br />

7 일본 : 환경세 도입 추진<br />

<strong>회수</strong> <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 필요<br />

7 국내 산업용 보일러의 <strong>CO</strong> 2<br />

배출 농도의 고도화 <strong>기술</strong> 요구<br />

9 에너지 사용 효율 향상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br />

7 에너지 다소비 설비( ( 57,000 천TOE/ TOE/년)인 보일러 고효율화<br />

7 국가 총 에너지의 보일러 사용비율 : 25%<br />

9 대규모 <strong>연소</strong>설비의 저공해화<br />

7 대기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보일러 설비의 NOx, , <strong>CO</strong> 등의 배출 저감


보일러 분야의 에너지 사용 실태<br />

25%<br />

20%<br />

52%<br />

1%<br />

7%<br />

2%<br />

1%<br />

12%<br />

산업용보일러<br />

가정용보일러<br />

요로설비<br />

조명부분<br />

유도전동기<br />

가전제품<br />

기타<br />

26%<br />

54%<br />

산업용보일러<br />

요로설비<br />

기타


<strong>기술</strong><strong>개발</strong>목표<br />

9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보일러 적용 <strong>연소</strong>시스템 <strong>개발</strong><br />

7 다양한 조성의 산화제에 용이한 버너 <strong>개발</strong><br />

9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보일러 <strong>개발</strong><br />

7 배기가스량을 줄이고 응축형 열교환기를 적용 효율 95% 달성<br />

7 기존 보일러의 1/2수준의<br />

컴팩트 보일러 설계<br />

7 <strong>CO</strong> 발생량 : 30 ppm (4% O2) O 이하<br />

7 NOx 발생량 : 50 ppm (4% O2) O 이하<br />

7 턴다운비 : 1 : 3<br />

9 <strong>CO</strong> 2 분리 및 액화가 용이한 배가스 특성 확보<br />

9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및 응축형 열교환기 해석 <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


<strong>순산소</strong> 보일러 시스템 개요도<br />

기체연료<br />

연료<br />

산소<br />

<strong>연소</strong>기<br />

보일러<br />

본체<br />

증기<br />

급수<br />

50 o C<br />

응축형 배가스<br />

열교환기<br />

To Stack<br />

<strong>CO</strong> 2<br />

분리공정<br />

산소<br />

질소<br />

공기<br />

산소<br />

분리<br />

공정<br />

<strong>CO</strong> 2 recycle<br />

응축수 처리<br />

L <strong>CO</strong> 2<br />

연구범위<br />

<strong>CO</strong> 2 Tank


산소<strong>연소</strong> 장점<br />

9 산소<strong>연소</strong> 및 응축형 열교환기를 사용<br />

배기가스량 1/8로 감소<br />

배기가스 온도 저하 : 약 50℃<br />

응축잠열 <strong>회수</strong> : 열효율을 95%이상<br />

이상(고위발열량<br />

기준) 극대화<br />

9 <strong>연소</strong>가스량의 감소를 고려한 보일러 본체 및 열교환기 컴팩트화 설계<br />

종래형 크기 1/2수준<br />

9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및 <strong>CO</strong> 2<br />

재순환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법 적용<br />

별도의 <strong>CO</strong> 2<br />

분리 장치 불필요 : 경제성 상승<br />

9 산소생산 방식과 연계한 <strong>CO</strong> 2<br />

생산<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strong>CO</strong> 2<br />

분리 및 액화 경제성 상승효과


국내외 <strong>기술</strong> 현황<br />

9 국내현황<br />

7 보일러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적용 <strong>CO</strong> 2<br />

분리/응축<br />

연구 예 없음<br />

7 CERC 산소부화, , O 2<br />

/<strong>CO</strong> 2<br />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 기초<br />

연구가<br />

KAIST 주관, 학교, , KIER 및<br />

KIMM 협동연구 중<br />

7 CDRS 프론티어 사업단 고온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br />

분야 “지능형<br />

고온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시스템 기<br />

술 <strong>개발</strong>” 사업 가열로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 적<br />

용 연구 중<br />

7 생기원 “유리<br />

용해로용 <strong>순산소</strong><strong>연소</strong> 시스<br />

템 <strong>개발</strong>”<br />

7 보일러 효율향상 목적 응축형 보일러는<br />

가정용과 소용량 중심으로 상용 단계<br />

7 <strong>CO</strong> 2<br />

이산화탄소 분리<strong>기술</strong>로는 “건식<br />

sorbent를 <strong>이용</strong>한 배가스 <strong>CO</strong> 2<br />

<strong>회수</strong>공정<br />

기반<strong>기술</strong>”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br />

KIER &<br />

KIMM<br />

생기연


국내외 <strong>기술</strong> 현황<br />

9 국외현황<br />

7 NICE3, CCTI (미국(<br />

DOE, ‘99~2003, $500,000/project)<br />

산소부화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의 상용화, 지능형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시스템 기초연구 단계<br />

7 NETL은 <strong>CO</strong> 2 대량 배출원인 발전용 미분탄 보일러에 산소<strong>연소</strong>를 적용, 실<br />

용화 연구<br />

7 Canada의 CANMET에서<br />

O 2 /<strong>CO</strong> 2 NG/미분탄<br />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strong>개발</strong>을 목표로 함<br />

7 New Sunshine (일본(<br />

NEDO, ‘93~2002,<br />

¥100억)<br />

가스 및 중유용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시스템 보일러 응용연구<br />

7 Joule-Thermie<br />

(EU 에너지총국, ‘99~2003)<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시스템 기초연구 단계


Natural gas fired combined cycle power plants with <strong>CO</strong> 2 capture<br />

using integrated air separation and flue gas recycling<br />

(University of Massachusetts, USA)


O 2 /<strong>CO</strong> 2 RECYCLE <strong>CO</strong>MBUSTION<br />

(CANMET, Canada)


A Design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trong>CO</strong> 2 /O 2 Combustion<br />

to an Existing 300 MW Coal Fired Power Plant<br />

(ABB Combustion Engineering Inc.,USA)<br />

Simplified System Diagram for Modified Boiler


다중 열<strong>이용</strong> 사이클을 <strong>이용</strong>한 이산화탄소 <strong>회수</strong> 무공해 고효율 발전 시스템 시뮬레이션<br />

Osaka university Dr. Park<br />

배가스(H 2<br />

O+<strong>CO</strong> 2<br />

)<br />

재생기<br />

폐열<strong>회수</strong>보일러<br />

(WHB2)<br />

과열증기<br />

폐열<strong>회수</strong><br />

복수기<br />

폐열<strong>이용</strong>제조<br />

증기<br />

연료<br />

<strong>연소</strong>용산소<br />

연<br />

소<br />

기<br />

펌프<br />

발전기<br />

G<br />

급<br />

수<br />

펌<br />

프<br />

냉각수<br />

리턴수<br />

터빈<br />

복수<br />

기체<br />

기체(고압산소)<br />

액체<strong>CO</strong> 2<br />

<strong>CO</strong> 2<br />

액화장치<br />

기체<br />

<strong>CO</strong> 2<br />

압축기<br />

냉동기<br />

복수


핵심<strong>기술</strong>내용<br />

9 산소 <strong>연소</strong> 시스템 설계 및 제작 <strong>기술</strong><br />

7 <strong>순산소</strong>/<strong>CO</strong><br />

/<strong>CO</strong>2 재순환 <strong>연소</strong>기<br />

7 <strong>순산소</strong>/재순환<br />

유동 설계 및 <strong>연소</strong> 모델링<br />

9 응축형 열교환기 설계 <strong>기술</strong><br />

7 배가스 온도 최저화에 의한 고효율화<br />

7 내식성 설계 및 응축수의 중화 <strong>기술</strong><br />

9 산소 <strong>연소</strong> 응축형 보일러 열설계 <strong>기술</strong><br />

7 열적특성(열평형<br />

열평형) 해석 및 과열 방지 <strong>기술</strong><br />

7 높은 로내압 특성에 적합한 컴팩트한 보일러의 구조 설계<br />

9 <strong>CO</strong> 2 분리/액화<br />

용이한 열교환 설비의 설계 및 제작<br />

7 <strong>순산소</strong> 냉열 <strong>이용</strong> <strong>CO</strong>2 응축설비의 에너지 저감 <strong>기술</strong><br />

7 산소 증발기의 배가스 응축에 따른 열교환기 부식 방지 <strong>기술</strong> 등<br />

9 정확한 안전/제어<br />

<strong>기술</strong>


시작품 보일러 구성도 및 열-물질 수지<br />

LO2 TANK<br />

O2 or O2+<strong>CO</strong>2<br />

Boiler(7kg/Cm )<br />

O<br />

(752kg/h, 64.1 C)<br />

Economizer<br />

-146.1 C<br />

635.2kg/h<br />

2<br />

O<br />

O<br />

70 C<br />

125kg/h<br />

-183 C<br />

O<br />

90.2kg/h<br />

Fuel<br />

3<br />

(38.9 Nm/h)<br />

Burner<br />

783kg/h<br />

O<br />

249 C<br />

741kg/h<br />

70 O<br />

C<br />

Condensate<br />

42kg/h<br />

105.8kg/h<br />

70 O<br />

C<br />

Oxygen<br />

Vaporizer<br />

20 O<br />

C<br />

Condensate<br />

15.6kg/h<br />

Stack<br />

Drain<br />

Heat<br />

Exchanger<br />

582.8kg/h<br />

131.7 O<br />

C<br />

582.8kg/h<br />

O<br />

30 C<br />

Treated water


0.5MW 보일러 실험 설비<br />

9 구성 (시운전<br />

중)<br />

7 산소 공급시스템<br />

7 산소 <strong>연소</strong> 보일러<br />

7 응축형 에코노마이저<br />

7 액체산소 증발기<br />

7 <strong>순산소</strong> 버너


수치해석<br />

9 수치해석의 목적<br />

7 연료량, 산화제량 , 노즐타입별<br />

<strong>연소</strong>현상의 모사와 NOx 발생의 예측<br />

9 수치해석 접근 방법<br />

7 계산 영역의 선정(버너<br />

버너,<strong>연소</strong>실)<br />

버너 용량, <strong>연소</strong>실 크기 변화<br />

노즐 형상/다공의 갯수<br />

다단 공기 공급<br />

7 연료의 물성치와 분사조건<br />

천연가스(계산에서 CH 4 으로 가정)<br />

7 지배방정식과 계산방법<br />

연속방정식<br />

운동량방정식<br />

에너지방정식<br />

k-e 난류방정식<br />

가스 성분의 복사 물성치를 고려한<br />

WSGGM을가미한P-1 복사모델<br />

Eddy Dissipation concept with CHEMKIN<br />

Thermal, prompt, fuel NOx 계산


온도장 비교<br />

(a) 공기 <strong>연소</strong><br />

(b)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br />

연료량 2 NM 3 /h에서 배가스중 산소량 2%


<strong>순산소</strong><strong>연소</strong>의수치해석과실험과의온도비교


0.1 MW 실험용 <strong>순산소</strong>버너 보일러 전경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연료노즐 조립<br />

횡축노즐<br />

1st Air Nozzle : D=14mm<br />

동축노즐


<strong>연소</strong>량에 따른 배가스 산소농도에 대한 화염변화 현상<br />

<strong>연소</strong>량<br />

(kW)<br />

배가스 산소농도 (%)<br />

0.5 1 2 3 4 5 6<br />

12<br />

<strong>순산소</strong><br />

18<br />

24<br />

29<br />

12<br />

공기<br />

18<br />

24<br />

29


<strong>연소</strong>량 24kW에서 산화제, 배가스 산소농도별 <strong>연소</strong>가스 온도 및 배가스 특성<br />

1800<br />

Air, Temperature [ O C]<br />

1800<br />

O2, Temperature [ O C]<br />

Distance from burner [mm]<br />

1600<br />

1400<br />

1200<br />

1000<br />

800<br />

600<br />

200 200 200 200<br />

400 400 400 400<br />

600<br />

600 600 600<br />

Distance from burner [mm]<br />

1600<br />

1400<br />

1200<br />

1000<br />

800<br />

600<br />

200 200 200 200<br />

400 400 400 400<br />

600 600 600 600<br />

400<br />

800 800 800 800<br />

1000 1000 1000 1000<br />

1 2 3 4 5 6<br />

400<br />

800 800 800 800<br />

1000 1000 1000 1000<br />

1200 1200 1200 1200<br />

1400 1400 1400<br />

1 2 3 4 5 6<br />

Exhaust O 2 [% vol]<br />

Exhaust O 2 [% vol]<br />

<strong>CO</strong> 2 [% vol]<br />

120<br />

100<br />

80<br />

60<br />

40<br />

20<br />

Air<br />

O 2 100%<br />

NOx [ppm]<br />

1000<br />

800<br />

600<br />

400<br />

200<br />

Air<br />

O 2 100%<br />

<strong>CO</strong> [ppm]<br />

3500<br />

3000<br />

2500<br />

2000<br />

1500<br />

1000<br />

500<br />

0<br />

Air<br />

O 2 100%<br />

0<br />

0.5 1.0 2.0 3.0 4.0 5.0 6.0<br />

0<br />

0.5 1.0 2.0 3.0 4.0 5.0 6.0<br />

0.5 1.0 2.0 3.0 4.0 5.0 6.0<br />

Exhaust O 2<br />

[% vol]<br />

Exhaust O 2<br />

[% vol]<br />

Exhaust O 2<br />

[% vol]


기대효과및활용방안<br />

9 기대효과<br />

7 보일러 효율향상에 의한 에너지 절약 12%이상<br />

달성(현열<br />

<strong>회수</strong> 5%, 잠열<br />

<strong>회수</strong> 7%)<br />

절감액계산예 : 160Nm 3 /h(2t/h기준) * 3000h/y(8h/day기준) * 12% * 390원<br />

/Nm 3<br />

* 10000대(총45000대중) = 2,246억원/년<br />

7 <strong>CO</strong> 2 발생량 100%<br />

0% <strong>회수</strong> 가능<br />

7 NOx 배출 90% 감소<br />

9 활용 방안<br />

7 <strong>연소</strong>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분리 및 <strong>회수</strong> <strong>기술</strong>로서 활용<br />

7 <strong>순산소</strong><strong>연소</strong>기 설계 <strong>기술</strong>의 다양한 활용<br />

7 판매용 액화 탄산가스 저가 생산 설비 <strong>기술</strong>로서 활용<br />

7 무공해 보일러 원천 <strong>기술</strong> 확보 후 발전용 등 대형 보일러 적용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