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2.2014 Aufrufe

지능형 고온 순산소 연소 시스템 기술 개발 -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 ...

지능형 고온 순산소 연소 시스템 기술 개발 -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 ...

지능형 고온 순산소 연소 시스템 기술 개발 -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 ...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Erfolgreiche ePaper selbst erstellen

Machen Sie aus Ihren PDF Publikationen ein blätterbares Flipbook mit unserer einzigartigen Google optimierten e-Paper Software.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strong>기술</strong>연구부<br />

<br />

한국과학<strong>기술</strong>원 환경공정연구부<br />

<br />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br />

Development of Intelligent High Temperature Pure Oxygen Combustion System<br />

Kook-Young Ahn † , Sung Hoon Shim, Han-Seok Kim, Min Suk Cha, Jae Ok Lee, Sang Min Lee, Jong<br />

Soo Kim, Yong Mo, Kim, Sung Mo Kang, Kun Hong Kim, Ji Ho Cho, and Ho Keun Kim<br />

Eco-machinery Engineering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KIMM),<br />

171 Jang dong, Yuseong gu, Daejeon 305-343, Korea<br />

<br />

지구온난화의 주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CO 2)는 각종 기상(LNG, LPG 등), 액상(휘발유, 경유<br />

등) 및 고상(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strong>연소</strong>시킬 때 주로 발생하게 된다. 현재 인류가 사용하는 열 및 동력원의<br />

90% 정도를 이와 같은 화석연료의 <strong>연소</strong>로부터 얻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산화탄소 발생에 미치는 화석연료 연<br />

소의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br />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은 이산화탄소를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strong>기술</strong>로<br />

서 앞서 언급한 대로 대부분의 이산화탄소가 <strong>연소</strong>현상에서 비롯되고 있으므로, 그 발생원을 근본적으로 제어할<br />

수 있는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을 이용하여 CO 2를 직접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br />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은 일반적인 <strong>연소</strong>에 사용되는 산화제인 공기대신에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약 30% 정도의 에<br />

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strong>기술</strong>이다. 산화제로 순수 산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strong>연소</strong>현상에 직접적으로<br />

관여하지 않으면서도 공기성분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질소에 의한 현열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배<br />

기가스의 현열을 <strong>연소</strong> 이전에 산소를 <strong>고온</strong>으로 예열하는 방법으로 회수하여 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수 있<br />

다. 또한 원리상으로는 이산화탄소와 물만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CO 2 회수 비용을 줄일 수 있으<br />

며, 이외에도 부수적으로, 산소<strong>연소</strong>에 의하여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을 소형화할 수 있고,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br />

며, 근본적으로 질소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질소산화물(NOx)의 배출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등의 많은 장점<br />

을 가지고 있다.<br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신<strong>연소</strong> <strong>기술</strong>인 산소<strong>연소</strong>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br />

로 하여 <strong>연소</strong>해석, <strong>연소</strong>제어, <strong>연소</strong> 최적화 및 적용처 응용<strong>기술</strong> 등을 <strong>개발</strong> 융합하여 가열로 적용을 위한 <strong>지능형</strong><br />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설계 및 제작 <strong>기술</strong>을 확보하고자 한다.<br />

<br />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을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고, 최종적으로 분리 회수하는 방안에 대한 개념도를 [그림 1]<br />

에 나타내었다. <strong>순산소</strong>를 산화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화염의 온도가 통상적인 공기를 사용한 경우보다 매우 높게 나타


나게 되며, 필요한 경우에 화염온도의 제어를 위하여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 시키게 된다(FGR, Flue Gas<br />

Recirculation). 이때 공급되는 산소를 배기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strong>고온</strong>으로 예열한 후 <strong>연소</strong>기에 투입하게 되면 배<br />

기가스중의 현열 회수에 의하여 투입되는 연료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연료 절<br />

감의 효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저감 시킬 수 있으며, 배기가스의 성분은 주로 이산화탄<br />

소와 물이 차지하게 되므로, 물을 응축시켜 분리한 후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ㆍ회수하는 후처리 공정도 비교적<br />

쉽게 이루어지리라 판단된다. 그러나 산소 <strong>연소</strong>의 경우 공기중의 산소를 분리하여 <strong>연소</strong>기로 공급해주는 산소 공급장<br />

치가 필요한데, 아직은 산소제조 원가 등의 문제로 말미암아 적용이 제한적이지만 현재 저가 산소 제조장치에 대한<br />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므로 조만간 경제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어 산소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에 큰 기대를 모<br />

으고 있다.<br />

전열촉진<br />

<strong>고온</strong>재료<br />

광계측<br />

진단 및 제어<br />

산소<strong>연소</strong>기<br />

CO 2<br />

+O 2<br />

+C n<br />

H m<br />

연료<br />

(LNG, B-C유, 경유 등)<br />

고성능<br />

열교환기<br />

<strong>기술</strong><br />

고 CO 2 농도<br />

배가스<br />

CO 2<br />

분리공정<br />

질소<br />

공기<br />

산소<br />

제조<br />

공정<br />

<strong>순산소</strong><br />

<strong>고온</strong>산화제(<strong>순산소</strong>)<br />

CO 2<br />

CO 2 회수<br />

<br />

<br />

온실가스저감과 관련된 R&D 프로그램으로는 IEA의 GHP(Greenhouse Gas Program)가 대표적이라 할 수<br />

있다. 이 프로그램에는 16개 나라가 참여하고 있으며, 24개 과제가 공동으로 수행되고 있다. 초기에는 발전설비<br />

의 CO 2 저감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가열로 등의 다른 설비에서의 CO 2저감 및 CO 2 이외의 다른 온실가<br />

스 저감에 대하여도 연구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 중 본 과제와 유사한 과제는 캐나다의<br />

CETC(CANMET Energy Technology Center)에서 수행하고 있는 "O 2/CO 2 Recycle Combustion"과제가 있다.<br />

이 과제는 석탄을 대상연료로 채택하여 보일러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0.3 MW급 파일로트 플랜<br />

트<strong>개발</strong> 사례가 보고 된 바 있다. 일본 NEDO에서는 1993년부터 2000년까지 통산성의 지원을 받아 "고성능공업<br />

로 <strong>개발</strong>(High Performance Industrial Furnace and Boiler Development)"과제를 수행한 바 있으며, 1999년부<br />

터 산소<strong>연소</strong>를 이용한 고효율 가스터빈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외에도 미국의 DOE, 유럽의 에너지 총국 등에서<br />

CO 2저감을 목표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br />

또한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는 강재 가열로의 <strong>연소</strong>기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는 강재의 재가열 과정이 강재 생산<br />

공정에서 병목점(bottleneck)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를 통해 가열시간을 줄여서 생산성을 높일 수<br />

있기 때문이다.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를 장착한 강재 가열로는 스웨덴, 독일 회사인 Linde, AGA gas, 프랑스의<br />

AIR/Liquide, 미국의 Bethlehem 등에서 제작, 사용하고 있다.<br />

국내에서는 한국에너지<strong>기술</strong>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등에서 가열로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 산소부화<br />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이 연구된 바 있고, 생산<strong>기술</strong>연구원에서 유리용해로용 <strong>순산소</strong> 버너 <strong>개발</strong>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한편,<br />

1999년에 한국과학<strong>기술</strong>원을 중심으로 CERC(<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연구센터)사업이 시작되어 산소부화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을 이용한 연<br />

소<strong>시스템</strong>의 고효율화 및 신<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을 통한 미래형 <strong>연소</strong>기반 <strong>기술</strong>을 구축하고 있다.


주 요 기 술<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 설계<strong>기술</strong><br />

ㆍ<strong>연소</strong>기 기본설계<strong>기술</strong><br />

ㆍ저공해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br />

ㆍ성능실험 기법<br />

ㆍ유동해석 <strong>기술</strong><br />

<strong>연소</strong>해석 및 난류<strong>연소</strong> 모델링<br />

ㆍ화염특성 해석<br />

ㆍ난류<strong>연소</strong> 모델링<br />

ㆍ<strong>연소</strong>해석 CFD<br />

<strong>연소</strong>제어<strong>기술</strong><br />

ㆍ난류화염제어<strong>기술</strong><br />

ㆍ화염 안정화 <strong>기술</strong><br />

선진국대비<br />

국내 <strong>기술</strong>수준<br />

[%]<br />

<strong>기술</strong>격차<br />

[년]<br />

70 4<br />

85 2<br />

75 3<br />

<strong>연소</strong> 최적화 및 응용<strong>기술</strong> 60 7<br />

분 석 내 용<br />

ㆍ일반 <strong>연소</strong>기에 대한 <strong>기술</strong>력 확보하고 있음<br />

ㆍ<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에 대하여는 <strong>기술</strong>이 취약함<br />

ㆍ산소<strong>연소</strong>에 대한 저공해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은 취약함<br />

ㆍ성능실험 기법 및 유동해석 <strong>기술</strong>은 상당 수준임<br />

ㆍ선진국 수준에 매우 근접하게 추격하고 있음<br />

ㆍ<strong>연소</strong>해석의 경우는 최고 수준급 임<br />

ㆍ기본<strong>기술</strong>력은 갖추고 있으나, 응용<strong>기술</strong>은 취약함<br />

ㆍ산소<strong>연소</strong>의 경우 매우 중요한 <strong>기술</strong>임<br />

ㆍ기본설계<strong>기술</strong> 취약으로 응용<strong>기술</strong>은 매우 취약함<br />

ㆍ최적화 및 스케일업 <strong>기술</strong>은 상용화에 매우 중요함<br />

<br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실시간 화염진단 능력을 갖춘 고성능 지능화 가열로(연속식 100톤/일, 배치식 5톤<br />

/charge)의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을 <strong>개발</strong>하는 것으로 가열로의 고성능 지능화 <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이 주요 연구목표이<br />

다. 1단계(2002-2004)서는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요소<strong>기술</strong>을 확보하게 되며, 2단계(2005-2007)에서는 소<br />

용량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을 실증하게 된다. 또한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의 최적 설계<strong>기술</strong>을 확보하기 위해서 예측정확도 및 수치해<br />

석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병열 비정열 격자 <strong>시스템</strong>을 채택하는 <strong>연소</strong>해석프로그램을 <strong>개발</strong>하는 것도 연구에<br />

포함되어 있다. 단계별 연구<strong>개발</strong> 목표는 [표 2]와 같다.<br />

<br />

단계 단계별 목표 연차 연차별 세부 목표<br />

1차년도 (2002)<br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 기반조성<br />

1단계<br />

(2002-2004)<br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br />

핵심기반<strong>기술</strong> 확보<br />

2차년도 (2003)<br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 요소<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strong>연소</strong>기 설계 및 모델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구성)<br />

3차년도 (2004)<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실증 (0.3 MW)<br />

2단계<br />

(2005-2007)<br />

핵심요소<strong>기술</strong><br />

<strong>시스템</strong>화 <strong>기술</strong> 확보<br />

1차년도 (2005)<br />

2차년도 (2006)<br />

3차년도 (2007)<br />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scale-up <strong>기술</strong><strong>개발</strong><br />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최적화 및 지능화 <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strong>지능형</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실증 (2 MW)<br />

<br />

본과제의 1단계 연차별 연구 <strong>개발</strong> 목표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분 연구<strong>개발</strong> 목표 연구<strong>개발</strong>내용 및 범위<br />

1차년도<br />

(2002)<br />

2차년도<br />

(2003)<br />

3차년도<br />

(2004)<br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br />

기반조성<br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br />

요소<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br />

구성<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 <strong>연소</strong>기 기본 설계<br />

- <strong>연소</strong> 성능 실험장치 설계 및 제작<br />

- 난류화염의 부분소화모델인 Flame Hole Dynamics Model<br />

<strong>개발</strong><br />

- <strong>연소</strong>해석용 3차원 프로그램 <strong>개발</strong><br />

- 모델<strong>연소</strong>성능실험: 화염안정성 등<br />

- <strong>연소</strong>기 설계 및 성능평가<br />

- 모델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구성<br />

- 부분소화화염의 화염소인 Edge Flame의 Flamelet Library<br />

구축<br />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 <strong>연소</strong>특성 해석<br />

- <strong>연소</strong>성능실험: 분사<strong>기술</strong> 등<br />

- 산화제 조성별 <strong>연소</strong>특성 DB 구축<br />

- 0.3 MW급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실증<br />

- 난류 화염 부분소화모델을 <strong>연소</strong>해석프로그램과 통합<br />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의 설계해석 <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 <strong>연소</strong>해석 자료의 정량화<br />

<br />

본 과제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체계 및 전략들은 [표 4]에 도식적으로 잘 나타내었다.<br />

<br />

<br />

단 계 별<br />

목 표<br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br />

요소<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1단계 : <strong>순산소</strong> 이용 <strong>연소</strong><br />

핵심기반<strong>기술</strong> 확보<br />

소용량 <strong>연소</strong><br />

/가열<strong>시스템</strong> 실증<br />

2단계 : 핵심요소<strong>기술</strong><br />

<strong>시스템</strong>화 <strong>기술</strong> 확보<br />

<strong>지능형</strong> <strong>연소</strong>/가열<strong>시스템</strong> <strong>개발</strong><br />

및 상용화<br />

3단계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 가열<strong>시스템</strong><br />

최적 설계 및 응용<strong>기술</strong> 확보<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해석 모델 <strong>개발</strong><br />

설계해석 프로그램 <strong>개발</strong><br />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해석 및 설계 <strong>기술</strong><br />

로온 균일화/역열전달 응용<strong>기술</strong><br />

화염진단<strong>기술</strong><br />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고성능 지능화 <strong>기술</strong><br />

저가 산소제조 기반<strong>기술</strong> 확보<br />

<strong>고온</strong> 내식/내열충격성 재료<strong>개발</strong><br />

설계용<br />

프로그램<br />

<strong>순산소</strong><br />

<strong>연소</strong>기<br />

<strong>지능형</strong> <strong>순산소</strong><br />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 실증<br />

(0.3MW)<br />

기업참여<br />

국제공동<br />

연속식 <strong>순산소</strong> 가열<strong>시스템</strong>(20톤/일)<br />

배치식 가열<strong>시스템</strong> (1톤/charge)<br />

PDU 실증<br />

저가 산소제조장치 <strong>개발</strong><br />

(3톤/일)<br />

<strong>고온</strong>재료 성형<strong>기술</strong> <strong>개발</strong><br />

저 NOx<br />

<strong>연소</strong>기<br />

보일러<br />

<strong>지능형</strong> 산화제 제어<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br />

(2MW, 2단계 종료)<br />

<strong>지능형</strong> 연속식 <strong>순산소</strong> 가열<strong>시스템</strong><br />

(100톤/일)<br />

CO2 회수형 배치식 가열<strong>시스템</strong><br />

(5톤/charge)<br />

상용화<br />

scale-up<br />

<strong>기술</strong><strong>개발</strong><br />

(30톤/일)<br />

가스터빈<br />

<strong>연소</strong>기<br />

발전<strong>시스템</strong><br />

<br />

본 과제의 2차년도 주요 목표는 다양한 <strong>연소</strong>기 성능시험을 통하여 <strong>연소</strong>기를 설계하고 모델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에서의 FGR<br />

을 실증하여 이를 토대로 0.3 MW급 <strong>연소</strong>기의 설계자료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와 더불어 <strong>연소</strong>기의 시뮬레이션을 위<br />

해서 난류 화염 모델을 만들고 이로부터 난류 <strong>연소</strong> 해석 프로그램을 <strong>개발</strong>하는 것이 목표이다.


<strong>연소</strong>기 설계와 관련하여 출구 유속, 퀄의 기하학적 형상(quarl geometry) 등의 조건을 변화시켜 가면서 화염 형상,<br />

배기 온도, 복사열전달 등을 계측하는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산소 제조과정에서 포함되는 소량의 질소(약 3%)<br />

를 첨가하고 배출되는 NOx 양을 계측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NOx 생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strong>순산소</strong><br />

<strong>연소</strong>기의 설계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림 2]는 0.3 MW급 <strong>연소</strong> <strong>시스템</strong>의 구성 현황과 KIMM에서 자체 제작한<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를 보여주고 있다.<br />

Exhaust<br />

Burner<br />

Furnace<br />

FGR<br />

Cooling Air Blower<br />

Oxy-fuel Burners<br />

<br />

<br />

<br />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의 <strong>연소</strong>특성 해석 분야에서는 난류<strong>연소</strong>해석용 병렬 비정렬 격자 프로그램을 <strong>개발</strong>하였고, 복사 열전달<br />

을 고려한 비단열 Flamelet 모델을 <strong>개발</strong>하였다. 이를 토대로 FGR을 포함한 다종 혼합기 난류 <strong>연소</strong> 모델 해석을 수행<br />

하고 있다. [그림 3]은 다종 혼합기 모델을 이용하여 산소대비 200% FGR 한 경우의 화염해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br />

O2/CO2<br />

O2<br />

CH4<br />

T<br />

2207<br />

2165<br />

2156<br />

2141<br />

2001<br />

1300<br />

500<br />

<br />

난류 화염 모델과 관련하여 난류혼합층에 대한 3차원 Flame Hole Dynamics로부터 메탄화염의 Flame Edge에 대<br />

한 수치모사를 수행하고 Flamelet Library를 구축하였다. [그림 4]는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에서 Flame Hole Dynamics를<br />

이용하여 화염 부상 및 안정성을 수치적으로 모사한 결과이다.


앞으로 남은 기간동안에는 성능실험으로부터 설계된 <strong>연소</strong>기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0.03 MW급 모델 <strong>연소</strong>기 시스<br />

템에서 FGR 실증을 마무리 짓고, 이를 바탕으로 0.3 MW급 재순환 실험장치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하여 <strong>순산소</strong><br />

<strong>연소</strong>에 적합한 <strong>연소</strong>기, <strong>연소</strong>조건, FGR 량 등의 운전조건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자료를 응용하여 3차년도에<br />

서는 0.3 MW급 <strong>연소</strong>기를 실증할 예정이다. 한편으로는 난류 유동장에서의 FHD(Flame Hole Dynamics) 모사를 위<br />

한 자료 취득 및 에지화염(edge flame) 수치 모사 프로그램을 <strong>개발</strong> 하고, 개선된 난류 및 <strong>연소</strong> 모델을 적용한 <strong>연소</strong><br />

해석 프로그램을 <strong>개발</strong>하여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예정이다.<br />

<br />

<strong>개발</strong>된 일부 연구결과는 <strong>기술</strong>이전을 통하여 조기에 기업화 또는 추가연구를 통하여 상용화를 시도할 예정이<br />

며, 이러한 <strong>기술</strong>로는 산소 <strong>연소</strong>기 상용화, 보일러 소각로 등에 활용 및 <strong>개발</strong> 프로그램의 상용화 등을 들 수 있<br />

다.<br />

<br />

본 연구<strong>개발</strong>을 통하여 앞서 언급한 세부<strong>기술</strong>들의 상용화는 물론이고, 최종 목표인 가열<strong>시스템</strong>에 활용할 예정<br />

이다. 본 연구<strong>개발</strong>을 통하여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이 확보되면 기후변화협약 의무 및 이행을 위한 <strong>기술</strong> 정책적<br />

우위를 확보함은 물론 환경규제 및 예상되는 탄소세 등에 대비할 수 있다. 특히, 이 분야는 세계적으로도 시작<br />

되는 <strong>기술</strong>로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며, <strong>개발</strong>이 성공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되면 세계시장을 점유할<br />

가능성도 있다. 특히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기는 용량 및 적용범위에 따라서 표준화된 <strong>연소</strong>기로 <strong>개발</strong>되거나, 첨단 최적설<br />

계<strong>기술</strong>이 적용될 경우, 다양한 시장의 요구에 신속히 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보다 효율적인 상업화와<br />

해외 마켓팅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br />

<br />

<strong>고온</strong> <strong>순산소</strong> <strong>연소</strong><strong>기술</strong> 확립을 통하여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는 다음 [표 5]와 같다.<br />

대상 플랜트<br />

연료<br />

CO 2 저감량<br />

[TC/일]<br />

예상<br />

대수<br />

총CO 2 저감량<br />

[TC/년]<br />

비고<br />

5 톤/charge 배치식 가열로<br />

(6,000,000 kcal/charge 적용)<br />

천연가스 0.306 50 5,580<br />

ㆍCO2 저감율 40% 적용 (2charge/일)<br />

ㆍ(12,000,000/107*0.637)*30% TC/일<br />

100 톤/일 연속식 가열로<br />

(3,300,000 kcal/h 적용)<br />

천연가스 2.018 70 51,560 ㆍCO2 저감율 40% 적용<br />

50 톤/charge 배치식 가열로 천연가스 3.058 80 89,282 ㆍCO2 저감율 40% 적용<br />

400톤/charge 배치식 가열로 천연가스 24.461 80 714,255 ㆍCO2 저감율 40% 적용<br />

1200 톤/일 연속식 가열로 천연가스 24.216 150 1,325,837 ㆍCO2 저감율 40% 적용<br />

총 계 430 2,186,514<br />

<br />

국내 학술대회<br />

1. 김후중, 김용모, 안국영, "난류 부분 예혼합화염장에 대한 수치 모델링", KOSCO Symposium 논문집, 26권,<br />

191-194 (2003)


2. 조지호, 김후중, 김용모, "Bunsen Burner 난류 예혼합화염장에서의 해석", KOSCO Symposium 논문집, 26<br />

권, 195-200 (2003)<br />

3. 김준홍, 정석호, 김종수, "혼합층에서의 확산화염에 대한 Flame Hole Dynamics 모델", KOSCO Symposium<br />

논문집, 26권, 223-227 (2003)<br />

4. 안국영, 김한석, 차민석, 이진욱, "질소산화물과 관련한 환경기계<strong>기술</strong>", KOSCO Symposium 논문집, 26권,<br />

301-310 (2003)<br />

5. 차민석, 김호근, 김한석, 안국영, "이산화탄소 재순환이 <strong>순산소</strong> 난류제트 확산화염에 미치는 영향", KOSCO<br />

Symposium 논문집, 26권, 255-260 (2003)<br />

6. 김군홍, 강성모, 김용모, 안국영, "다종 혼합기 난류비예혼합 <strong>연소</strong><strong>시스템</strong>에 대한 수치모델링", KOSCO<br />

Symposium 논문집, 27권, 57-61 (2003)<br />

국제 학술대회<br />

7. Kim, J., Chung, S.H., and Kim, J.S., "Modelling of Lifted Turbulent Flame by the Flame Edge Theory<br />

and its Implication in Liquid Rocket Combustion Instability", 42nd AIAA Aerospace Science Meeting and<br />

Exhibit (2004)<br />

8. Kim, J.S., "Random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Flame Holes in Turbulent Diffusion Flames", 5th<br />

International Congress on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2003)<br />

국내 학술지<br />

9. 김준홍, 정석호, 안국영, 김종수, “난류혼합층에서 확산화염에 대한 Flame Hole Dynamics 모델”, 한국<strong>연소</strong><br />

학회지, 제8권 제3호, 15-23 (2003)<br />

10. 김한석, 김호근, 안국영, 김용모, “산소부화<strong>연소</strong>에서 CO2 첨가에 대한 <strong>연소</strong> 특성”,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br />

제 28권 제 1호, 9-15 (20004)<br />

국제 학술지<br />

11. Lee, S.R., Na, Y., and Kim, J.S., “Random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Flame Holes in<br />

Turbulent Diffusion Flames”, KSME Int. J., Vol. 17-11, 1775-1783 (2003)<br />

<br />

1. Herold, K., Radermacher, R. and Klein, S. A., "Absorption chillers and Heat Pumps" CRC Press<br />

(1996)<br />

2. Jayaram, S., "Kinetic of Steril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Cells by the Application on Hign Voltage<br />

Pulses", Biotech. Bioeng., 40, 1412-1420 (1992)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