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2.2014 Views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기술개발사업단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기술개발사업단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기술개발사업단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strong>개발</strong> <strong>연구</strong><br />

기후변화협약 대응 합동 WORKSHOP<br />

제주 오리엔탈호텔<br />

2006. 2. 9~10<br />

한국에너지기술<strong>연구</strong>원<br />

한성옥


환경친화성 고분자복합재료의 <strong>개발</strong> 필요성<br />

복합재료 사용량<br />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br />

Used in 2003 - - 2.5 x 10 9 lb<br />

(1%) Aerospace Miscellaneous<br />

Appliances<br />

4%<br />

8%<br />

Consumer<br />

Automotives<br />

products<br />

31%<br />

8%<br />

Electronic<br />

components<br />

10%<br />

26%<br />

Construction<br />

Marine 12%<br />

북미의 보강재 시장규모(2000)<br />

환경오염<br />

Calcium carbonate,<br />

2.2 billion Ib or 40%<br />

Other mineral fillers,<br />

1.2 billion Ib or 22%<br />

Glass fiber,<br />

1.7 billion Ib or 31%<br />

Natural fibers,<br />

0.4 billion Ib<br />

or 7%<br />

환경친화성<br />

복합재료 <strong>개발</strong> 필요<br />

참고: L.T.Drzal 세미나 자료 (2005)<br />

Total: 5.5 Billion Ib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br />

♦ 천연섬유 보강재와 고분자 매트릭스의 복합재료<br />

(유리섬유 강화 고분자복합재료 대체용 재료)<br />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특성<br />

U.S. Cents/Ib<br />

Cost comparison in average<br />

120<br />

90<br />

60<br />

30<br />

0<br />

90<br />

20<br />

Glass Biofiber<br />

Density, g/cm3<br />

4<br />

3<br />

2<br />

1<br />

0<br />

Weight savings<br />

2.6<br />

1.3<br />

Glass Biofiber<br />

E(BTUs)X 10 3 /1 Ib. fiber<br />

30<br />

20<br />

10<br />

0<br />

Energy savings<br />

23.5<br />

6.5<br />

Glass Kenaf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와 유리섬유 보강 복합재료 특성 비교<br />

~3 ton CO 2 배출<br />

저감/열가소성<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톤<br />

(65% 천연섬유<br />

/30% 유리섬유)<br />

원재료 제조공정 복합재료 폐기공정<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br />

-CO 2 neutral<br />

-저가, 경량<br />

-환경친화 특성<br />

-기계마모 저감<br />

-인체친화<br />

-에너지 저소비<br />

-경량화(연비)<br />

-흡음, 단열특성<br />

-인체안정성<br />

-생분해성<br />

-유해가스 저감<br />

-재활용 가능<br />

유리섬유복합재료<br />

-에너지다소비<br />

-환경유해<br />

-기계마모<br />

-인체 유해<br />

-하중<br />

-충돌시 파손위험<br />

-매립 처리<br />

-재활용 어려움<br />

참고: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39 (2003) 325-340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환경친화성과 에너지절약성<br />

‣ LCA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br />

폴리프로필렌 pallets (유리섬유(<br />

유리섬유(GP): 42%, 중국산갈대(CR): 53%)<br />

Unit<br />

GF<br />

CR<br />

CR/GP(%)<br />

GHE(CO 2<br />

발생)<br />

kg CO 2<br />

eq/pal<br />

75.3<br />

40.4<br />

54<br />

Carcinogenic<br />

kg PAHeq/pal<br />

7.11X10 -7<br />

4.48X10 -7<br />

63<br />

Energy<br />

MJ/pal<br />

1400<br />

717<br />

51<br />

참고: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33 (2001) 267-287<br />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경량성<br />

Conventional<br />

composite<br />

Weight (g) of<br />

component<br />

NFR materials<br />

Weight (g) of<br />

NFR component<br />

Weight<br />

reduction(%)<br />

Auto side panel<br />

ABS<br />

1125<br />

Hemp-Epoxy<br />

820<br />

27<br />

Auto insulation panel<br />

Glass Fiber-PP<br />

3500<br />

Hemp-PP<br />

2600<br />

26<br />

Transport pallet<br />

Glass Fiber-PP<br />

15,000<br />

China reed-PP<br />

11,770<br />

22<br />

참고: Composites: Part A 35 (2004) 371-376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br />

‣ 북미의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섬유 보강 복합재료의 50%를<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로 대체할 경우 연간 잠정적인 CO 2<br />

발생 저감 효과<br />

(유리섬유 30% loading 복합재료를 대마 65% loading 바이오복합재로 대체한 경우)<br />

절약량<br />

재료/공정<br />

경량성 (연료 절감량)<br />

전체<br />

전체 캐나다 화석연료 배출량(%)<br />

(1991-2000)<br />

전체 캐나다 오일 소비량 (%)<br />

(1991-2000)<br />

전체 미국 산업체 배출량 (%)<br />

(1990-2000)<br />

이산화탄소 발생 (백만 톤)<br />

1.01<br />

2.06<br />

3.07<br />

0.5<br />

-<br />

4.3<br />

원유 자원 (백만 m 3 )<br />

0.39<br />

0.8<br />

1.19<br />

-<br />

1.0<br />

-<br />

참고: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39 (2003) 325-340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국내외 기술<strong>개발</strong> 동향<br />

‣ 국외 현황<br />

- 유럽: 실용화와 고성능화 <strong>연구</strong> 공동 추진 (EU GROWTH Project: ECOFINA)<br />

- 미국: 국가 Roadmap에 따라 체계적인 추진<br />

NSF, USDA, DOE, EPA 각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br />

- 캐나다: Canadian Natural Composites Council (2003년)<br />

- 일본: 2002년부터 매년 Green Composites 학회 개최,<br />

TOYOTA 자동차 회사는 실용화<br />

- 최근 나노셀룰로오즈 보강재 <strong>개발</strong> 등 나노기술 접목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br />

‣ 국내 현황<br />

- 한국에너지기술<strong>연구</strong>원, 금오공과대학 등 <strong>연구</strong>계, 학계에서 기초<strong>연구</strong> 수행


천연소재 및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strong>개발</strong> <strong>연구</strong><br />

(위탁: 천연섬유 보강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기계적, 계면 특성 <strong>연구</strong>]<br />

2005. 4. 1~2006. 3. 31<br />

<strong>연구</strong>책임자: 한국에너지기술<strong>연구</strong>원 한 성 옥<br />

위탁<strong>연구</strong>책임자: 금오공과대학교 조동환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strong>개발</strong> <strong>연구</strong>목표 및 <strong>연구</strong>내용<br />

‣ <strong>연구</strong>목표<br />

- 천연섬유에 대한 전자빔 조사영향 분석 및 전자빔 적용기술 확립<br />

- 천연섬유 보강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제조 및 특성분석<br />

‣고분자매트릭스 제조<br />

‣고분자매트릭스 특성분석<br />

‣천연소재 보강재 특성분석<br />

‣전자빔 표면처리<br />

‣계면분석<br />

‣접착향상<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br />

‣내구성 향상<br />

‣환경친화성 분석<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제조<br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특성분석


1. 천연섬유 보강재 처리<br />

천연섬유 보강재<br />

‣ 헤네켄 섬유, 케나프 섬유<br />

보강재의 기계적, 물리적 특성<br />

Property<br />

Glass<br />

Carbon<br />

Henequen<br />

Flax<br />

Density (g/cm 3 )<br />

2.45<br />

1.8<br />

1.5<br />

1.5<br />

Stiffness (10 6 psi)<br />

10.52<br />

33.96<br />

1.98<br />

4.13<br />

Strength (10 3 psi)<br />

400<br />

520<br />

78<br />

51<br />

Elongation (%)<br />

3<br />

1.5<br />

4.7<br />

2.5<br />

천연섬유 처리<br />

‣ 전자빔 조사(10~500 kGy)<br />

‣ 알칼리 용액 처리 (2%, 5%, 10%)<br />

전자빔 조사장치(ebTech co., 대전)


천연섬유 처리조건에 의한 형태 변화<br />

전자빔 처리<br />

알칼리용액 처리<br />

50µm<br />

50µm<br />

50µm<br />

raw<br />

100 kGy 500 kGy<br />

Raw 50µm AK 5% 50µm AK 10% 50µm<br />

raw 10µm 100 kGy 10µm 500 kGy 10µm<br />

Raw 10µm AK 5% 10µm AK 10% 10µm


천연섬유 처리조건에 의한 물리적, 열적 특성 비교<br />

전자빔 처리<br />

알칼리용액 처리<br />

천연섬유<br />

중합도<br />

Alpha cellulose (%)<br />

80<br />

60<br />

40<br />

20<br />

alpha<br />

beta<br />

y = 0.2046x + 6.5391<br />

R 2 = 0.9603<br />

y = -0.2112x + 62.366<br />

R 2 = 0.9379<br />

60<br />

40<br />

20<br />

Beta cellulose (%)<br />

Alpha cellulose (%)<br />

100<br />

80<br />

60<br />

40<br />

20<br />

alpha<br />

beta<br />

30<br />

20<br />

10<br />

Beta cellulose (%)<br />

0<br />

0<br />

0<br />

0<br />

0 50 100 150 200 250<br />

Dose (kGy)<br />

0 2 4 6 8 10 12<br />

Alkali solution concentration (%)<br />

천연섬유<br />

열적 특성


천연섬유 처리조건에 의한 표면작용기 변화 비교<br />

전자빔 처리<br />

알칼리용액 처리<br />

lignin<br />

Hemicellulose<br />

removal<br />

hydroxyl -OH<br />

Glycoside bonding<br />

Aromatic CH<br />

removal


천연섬유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전자빔 영향<br />

S t o r a g e m o d u l u s ( M P a )<br />

21000<br />

19000<br />

17000<br />

15000<br />

13000<br />

11000<br />

9000<br />

7000<br />

5000<br />

천연섬유의 저장탄성률<br />

Raw 50kGy<br />

100kGy 200kGy<br />

300kGy 500kGy<br />

-20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220 240<br />

Temperature (°C)<br />

Tensile Streng strength th (Mpa)<br />

Pa)<br />

Tensile Modulus modulus (GPa) (Gpa)<br />

400<br />

300<br />

200<br />

100<br />

0<br />

18<br />

18<br />

15<br />

15<br />

12<br />

12<br />

9<br />

9<br />

6<br />

6<br />

3<br />

3<br />

0<br />

0<br />

304 312<br />

241<br />

205<br />

160<br />

253<br />

114<br />

62 53<br />

Raw As EB10<br />

EB30<br />

EB50<br />

EB100<br />

EB150<br />

EB200<br />

EB 500 EB 2000<br />

received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br />

9 9 10<br />

천연섬유의 인장강도<br />

EBI Dose (kGy)<br />

7<br />

5<br />

Raw As EB10<br />

EB30<br />

EB50<br />

EB100<br />

EB150<br />

EB200<br />

EB 500 EB 2000<br />

received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 normal<br />

15<br />

EBI Dose (kGy)<br />

9<br />

8<br />

5


천연섬유의 접착특성에 대한 전자빔 영향


Pressure (psi)<br />

2.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제조 및 특성분석<br />

헤네켄, 케나프 천연섬유<br />

폴리프로필렌<br />

+<br />

폴리프로필렌<br />

-비중: 0.91<br />

-융점: 160~165 o C<br />

-비열: 0.46 cal/g o C<br />

고<br />

온<br />

가<br />

압<br />

성<br />

형<br />

Temperature(℃ )<br />

150<br />

100<br />

50<br />

0<br />

30min<br />

1000psi<br />

Time


천연섬유 종류에 의한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특성<br />

Weight(%)<br />

120<br />

100<br />

80<br />

60<br />

40<br />

20<br />

0<br />

HQ/PP 복합재료의 열적 특성<br />

0.0<br />

0 100 200 300 400 500<br />

Temperature( o C)<br />

1.2<br />

1.0<br />

0.8<br />

0.6<br />

0.4<br />

0.2<br />

Deriv.Weight(%/ o C)<br />

Storage Modulus(GPa)<br />

8<br />

6<br />

4<br />

2<br />

HQ/PP, KE/PP 복합재료의 저장탄성율<br />

PP matrix<br />

PP_KE<br />

PP_HQ<br />

0<br />

-100 -50 0 50 100<br />

Temperature( o C)<br />

KE/PP 복합재료의 열적 특성<br />

HQ/PP, KE/PP 복합재료의 Tan delta<br />

120<br />

2.5<br />

0.10<br />

PP matrix<br />

Weight(%)<br />

100<br />

80<br />

60<br />

40<br />

20<br />

2.0<br />

1.5<br />

1.0<br />

0.5<br />

Deriv.Weight(%/ o C)<br />

Tan delta<br />

0.08<br />

0.06<br />

0.04<br />

0.02<br />

PP_KE<br />

PP_HQ<br />

0<br />

0.0<br />

0 100 200 300 400 500<br />

Temperature( o C)<br />

0.00<br />

-100 -50 0 50 100<br />

Temperature( o C)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동역학적 및 기계적 특성에 대한 전자빔 영향<br />

동역학적 특성<br />

굴곡특성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접착 상태에 대한 전자빔 영향<br />

PP_Kenaf(Law) PP_Kenaf(EBI_50 kGy) PP_Kenaf(EBI_100 kGy)<br />

(x1000) (x1000) (X1000)<br />

PP_Kenaf(EBI_200 kGy) PP_Kenaf(EBI_500 kGy)<br />

(x1000)<br />

(x1000)


결론<br />

‣ 천연섬유 처리<br />

1. 천연섬유의 전자빔 처리는 알칼리용액 처리에 비해 간단하고 환경친화적임<br />

2. 천연섬유의 처리조건에 따른 특성변화<br />

- 전자빔 조사: 셀룰로오즈 중합도 감소, 내부기공 유지, 섬유강도 저하, 가교화 등<br />

- 알칼리 처리: 셀룰로오즈 중합도 유지, 헤미세룰로오즈 제거, 글리코시드 결합 등<br />

3.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응용분야에 따라 다른 처리방법이 효과적: 강도 요구, 흡음특성<br />

4. 전자빔 조사는 나노셀룰로오즈 제조를 위한 천연섬유 전처리 공정에 유리<br />

‣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 제조 및 특성분석<br />

1. 천연섬유 보강재 종류에 따라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동역학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남<br />

2. 케나프 섬유 <strong>바이오복합재료</strong>의 저장탄성률은 전자빔 조사의 경우 200kGy에서,<br />

알칼리 용액처리의 경우에는 농도 5 wt%에서 가장 우수함<br />

3. 천연섬유 보강재와 매트릭스의 계면접착 특성은 전자빔 조사량 10 kGy 혹은 200<br />

kGy에서 가장 우수함


기대 효과<br />

▣ 기술적 측면<br />

• BT+ET+NT 융합 첨단신소재 <strong>개발</strong>기술 확립<br />

• 환경친화, 에너지절약 특성을 가진 첨단신소재 <strong>개발</strong>기술 확보<br />

▣ 경제, 산업적 측면<br />

• 원자재 가격 감소<br />

• 경량화에 의한 에너지절약 (자동차 연비향상)<br />

▣<br />

환경보호<br />

• 천연자원 및 폐자원의 효과적 활용<br />

• 폐기 소각시 유해 배출물 저감<br />

• 이산화탄소 저감 기여


감사의 글<br />

▣ 본 <strong>연구</strong>는 과학기술부의 21세기 프론티어 <strong>연구</strong><strong>개발</strong>사<br />

업인 이산화탄소 저감 및 처리 기술<strong>개발</strong> 사업단의 <strong>연구</strong><br />

비 지원(CJ2-101)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본 <strong>연구</strong>를 지원<br />

해주신 과학기술부와 사업단에 감사 드립니다.<br />

▣ 한국에너지기술<strong>연구</strong>원 기능재료<strong>연구</strong>센터 팀원과<br />

안호정, 한영희 <strong>연구</strong>학생<br />

▣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바이오 복합재료<strong>연구</strong>실 팀원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