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9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경화되며,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무대 위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 나타나는가를<br />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퍼포먼스 텍스트의 형식적 특징들을 미시적 시각<br />

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문학적 텍스트 중심의 연극에서 벗어나 “언어에 종속되<br />

지 않고 현실을 포착할 수 있는 표현 가능성”에 대한 탐색은 20세기 초 연극의 실천<br />

가들에 의해 실험적으로 시도되었으며, 기술미디어의 효과가 드러나면서 퍼포먼스<br />

텍스트와 같은 연극의 새로운 양식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크래머는 기호의 “두<br />

세계 존재론 (Zwei-Welten-Ontologie)”에 관한 테제에서 기호가 표출하는 ‘의미의 세<br />

계’와 기호가 현재화하는 ‘수행성 세계’를 이원론적으로 설명한다. 26) 의미의 세계는<br />

기호로부터 현현하여 나타나지만, 수행성의 세계는 기호의 실행을 통하여 현재화되<br />

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후 1960년대의 네오아방가르드는 제2차 세계대전이 남긴 기<br />

술적 장치들의 영감으로부터 추동력을 얻게 된다. 전화,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 그리<br />

고 컴퓨터와 같은 기술매체는 개인적 삶에 “알레고리”와 같은 방식으로 개입하고 간<br />

섭한다. 두 번에 걸친 세계적 규모의 전쟁에 대한 체험은 질서가 아닌 무질서를 체화<br />

하고,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불신과 회의를 일상화한다. 매체에 대한 이니스 (Harold<br />

Innis)와 맥루언 (Marshall MacLuhan)의 역사적 사유는 1980년대를 지나며 철학적이<br />

며 미학적인 차원으로 정교화되며, 연극 무대 위에서 활용되는 차원을 넘어서 기술적<br />

아프리오리(Apriori)로 일상적 사유를 지배하게 되는 매체철학적 입장이 설득력을 얻<br />

게 된다. 레만이 설명하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형식적 특징들은 연극학적인 요소들<br />

에 대한 문화적인 분석, 특히 매체문화로부터 도출되는 미학적 범주들과 긴밀하게 관<br />

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일련의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양식적 특징들 (Stil oder<br />

vielmehr die Palette der Stilzüge des postdramatischen Theaters)” 27) 가운데 레만은 우<br />

선 연극적 요소들 사이에서 위계질서가 교란되는 현상을 강조한다. 이는 전통적인 드<br />

라마에서 관객의 혼란을 막고 조화와 이해를 강조하기 위해 질서 정연한 방식으로<br />

연극적 요소들의 결합시켰던 관습을 거스르는 양식을 말한다. 레만은 이를 병렬구조<br />

(Parataxis)적 결합으로 설명한다.<br />

26) Sybille Krämer: Sprache-Stimme-Schrift: Sieben Thesen über Performativität als Medialität.a.a.O.,<br />

33-57. 여기서는 33.<br />

27) Lehmann, 146.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