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88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제3 지대로서의 퍼포먼스, 반미메시스적이며 해석을 거부하는 연극. 포스트모던 연극은 담<br />

론이 없으며, 사유성, 몸짓의 특성, 리듬, 톤이 지배하는 연극. 10)<br />

여기서 레만이 강조하는 것은 연극의 실천 현장에서 포스트모던의 개념에 부합하<br />

는 특징들이 모던의 특성인 드라마적 형식의 전통들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는 점이<br />

다. 즉, 포스트모던의 중요한 특징들은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카논에 잔류하며, 레만<br />

은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특성들을 더 넓은 범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레만은 포<br />

스트모던 연극 그리고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관련하여 연극의 관습뿐만 아니라 관객<br />

이 기대하는 태도까지 단절되는 “위험한 연극 (riskantes Theater)”을 언급한다. 이해<br />

와 의미구성은 더 이상 우선시되지 않고, 장르간 경계는 유동적이 된다. 무용과 판토<br />

마임, 음악연극과 언어연극은 혼합되며, 콘서트와 연극은 공연 콘서트로 하나가 된다.<br />

무대는 시작과 출발 지점이자 장소가 되며 더 이상 현실 복제의 장소가 아니다. 11) 전<br />

통의 관객은 드라마 패러다임을 벗어나고 더 이상 텍스트 문학도 아닌 새로운 코드<br />

와 매개물을 읽어내는 새로운 독법을 익혀야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레만의 연극론에<br />

서 브레히트 (Bertold Brecht, 1898~1956)의 서사극 (epic theatre) 이론은 포스트모던<br />

드라마와 포스트드라마 연극 개념의 형성에 역설적으로 기여한다. 여기서 레만은 포<br />

스트드라마 연극을 “포스트브레히트 연극 (post-brecht-sches Theater)”이라 이름하는<br />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12) 레만은 정신을 대상화하는 헤겔의 이론을 개인 각각이 소<br />

유한 예술적 소재의 감각 안에서 시적인 언어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으로 설명한다.<br />

“이념이 감각적으로 현시하는 아름다운 이상”에 관한 헤겔의 공식을 통하여 포스트<br />

드라마 연극은 “드라마에서 분열, 파괴, 해체의 가능성이 생겨나고 꽃피우는 것으로”<br />

서술하고 있다. 레만은 그 외에도 퍼포먼스 개념을 헤겔의 이론과 연관짓는다. 관객<br />

앞에 등장하는 주인공 배우는 그의 가면 속의 인간으로, 연기자로, 즉 개인으로 그리<br />

고 실제 자신으로 분열된다. 포스트모던과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이런 변화된 역할과<br />

인물을 연기하면서 이를 드러내어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한다.<br />

10) Lehmann, 27.<br />

11) Lehmann, 46.<br />

12) “Das postdramatische Theater ist ein post-brecht-sches Theater. Es situiert sich in einem Raum, den<br />

die Brechtschen Fragen nach Präsenz und Bewußtheit des Vorgangs der Darstellung im<br />

Dargestellten und seine Frage nach einer neuen "Zuschaukunst" eröffnet haben.” Lehmann, 4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