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86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오래된 미학적 요소들의 재수용과 지속적 영향을 포함한다. 드라마와<br />

텍스트 차원으로부터 결별한 드라마적 이념까지도 받아들인다. 예술은 지난날 형식들과의<br />

연관성 없이는 발전할 수 없다. 6)<br />

레만은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등장을 연극으로부터 시작된 혁명적 개혁의 결과라<br />

기보다는 지속적인 변화의 누진적 결과물로 추정한다. 그는 1970년대 이후 연극의<br />

장면들과 공연 방식을 탐구하고 그들의 특징과 핵심 요소들을 요약하면서, 이들을 고<br />

대 드라마와 20세기 초에 역사적 아방가르드와 관련하여 발전된 새로운 현상들과 연<br />

관짓는다. 당시의 새로운 연극적 현상들은 다른 예술 장르들과 연결되고 그들의 조건<br />

을 규정하는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특히 다다와 미래주의 예술운동 등 조형예술과<br />

무용 영역에서 창조적인 작업들이 나왔으며, 수행성 개념이 도입되면서 진정한 연극<br />

공연에서의 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수행성 개념의 강조를 통하여 드라마 텍스<br />

트와 같은 작품 개념에서 공연 개념으로의 무게중심 이동이 이루어지고, 관객의 적극<br />

적인 참여와 인터랙션이 강조되는 공연 형식이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레<br />

만은 연극의 아방가르드적 요소들과 함께 총체성이라는 드라마적 연극의 규범으로부<br />

터 결별하고 전통으로부터 해방되는 길을 걷게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전통적인 연극<br />

에서 작품의 텍스트는 최고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1880년 경부터 ‘드라마의<br />

위기’가 온 것으로 설명한다. 연극에서 텍스트의 퇴장을 요구했던 연극사학자이며 연<br />

출자인 크레이그 (Edward Gordon Graig, 1872~1966)의 관점에 의존하며, 1920년대<br />

스타니스라프스키 (Stanislawski)와 1920년대에 아르또 (Artaud)의 그로테스크하고 실<br />

험적인 연극이 등장하고, 1960년대 플럭서스, 해프닝과 부조리극 운동이 격렬해지기<br />

시작하면서 연극 텍스트의 전통 형식들이 서서히 해체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레만<br />

은 전통적인 텍스트 지배 형식의 약화 또는 와해 현상에서 새로운 연극의 단서를 발<br />

견한 듯하다.<br />

언어를 넘어 연극의 수단들이 텍스트와 동등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는 경우에 드라마적이며<br />

서술적인 텍스트 논리의 틀이 깨어지고 텍스트 없이 체계를 유지하게 되면서 포스트드라마<br />

연극은 첫 발걸음을 내딛게 된다. 7)<br />

6) Lehmann, 31.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