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Views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유봉근 - 한국브레히트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10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와 인터랙션 가운데 사건성과 행위가 중심이 된다. 이것과 함께 사회적 상황의 연극<br />

이 생성되며, 사실적인 것을 드러내는 행위를 완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텍스트는 의<br />

미를 상실하게 되며, 재현보다는 현존이 강조되거나 사건에 대한 행위가 중심을 이루<br />

게 된다.<br />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드라마 연극의 환영주의를 포기한다. 예술과 현실, 연극과<br />

다른 예술, 라이브 행위와 기술적 복제, “액팅”과 “낫-액팅” 간의 경계를 없애고 상호<br />

침투하는 것이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생명수 (Lebenselixier)가 된다. 보여주기가 의식<br />

적으로 실행되고, 보여진 것과 병치되어 이들은 동일한 권리를 갖게 된다. 그러나 레<br />

만이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자신이 옹호하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퍼포먼스 텍스<br />

트의 양식적 특성들은 수사적으로 “알레고리적”인 표현의 범주 안에 있음을 감안해<br />

야 할 것이다. 30)<br />

6. 나오는 말<br />

레만의 포스트드라마 연극론은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과 대립된다는 점에서 포<br />

스트브레히트 연극론으로 이해되지만, 최근의 공연예술 무대 위에 나타난 특징들에<br />

대하여 포스트모던 철학을 적용하여 이론화한 결과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브레히트<br />

의 서사극 이론이 관객을 학습시키기 위해 교육적이거나 이념적인 영향력을 행사하<br />

려는 목적극을 지향했다면, 레만의 연극론은 미디어시대의 새로운 영감이 반영되어<br />

변화된 공연예술 현상의 특징들을 설명하려는 이론적 형상화에 초점을 맞춘다. 작가<br />

이자 연출가였던 브레히트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전통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사유를<br />

지향했다면, 연극학자이자 이론가인 레만은 기술미디어가 개입된 공연예술 현장에<br />

나타나는 현상들을 해석학적으로 종합하려는 노력을 보인다.<br />

연극의 역사는 드라마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은 물론 무대 공간의 변천, 공연 형식<br />

과 공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변해온 역사를 포함한다. 공연의 목적<br />

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언제나 당대 최고 수준의 기술과 보조수단이 동원되었으며, 무<br />

30) “Der Status der Beispiele ist allegorisch: (...)”, Lehmann, 146.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