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2015 Views

정신지체인 부모의 직업재활인식에 관한 연구 -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정신지체인 부모의 직업재활인식에 관한 연구 -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정신지체인 부모의 직업재활인식에 관한 연구 -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이학석사( 직업재활)학위논문<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strong>직업재활인식에</strong> <strong>관한</strong> <strong>연구</strong>재활과학과 직업재활전공예 진 성지도교수 박 석 돈2004년06월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strong>직업재활인식에</strong> <strong>관한</strong> <strong>연구</strong>이 논문을 이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재활과학과직업재활전공예 진 성지도교수 박 석 돈예진성의 이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2004년6월심사위원장심 사 위 원심 사 위 원( 인)( 인)( 인)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 제 언썫 ·················································································································52참고문헌 ················································································································54쎎문초뒜 ················································································································62부 뒜 ················································································································65- ii -


표 Ⅳ . 22>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의 회귀분석 결과 ·······································50- iv -


Ⅰ.서 론뒝1.연쎅구의 필쎽성인간은 가족을 통하여 사회적 구성원쏑으뒛서의 쎃할을 향상시킬 수 있는기회를 부여받게 되돘며,또됶한 가족원쏑끼리의 상호 작용쏄을 통하여 정서적 및경제적으뒛 성장하고 발달하게 된동다. 따됌라서,가족은 상호 관련뒐된동 부분들돺에썺의하여 전체를 형성하는 구조적,기능적 복합성을 지닌 혈연쎅관계뒛 결합된동사회적 체계라 할 수 있다(Wilson & Kneisl, 1988).이러둼한 가족 체계의 한 부분인 가족 구성원쏑의 장애썑는 가족 전체까지 쎎향을 미치게 된동다( 박석돈 외쎵, 2001).특히훙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경우에썺는 연쎅령뒖이높아질수뒜 중증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이기 때됖문에썺 가족에썺 대한 의존도가 다른 장애썑 유형보다 높게 나타나며 직썲재활을 포함한재활서비스에썺서의 수혜자적 경향 쎃시 높게 나타난다.이는 비장애썑인에썺 비하여 지능이나 사회적응능뒏이 열쎆등돿한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이 연쎅령뒖이 증가할수뒜 비장애썑인과 비교하여 더욱 큰 격차를 나타낸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다(한국사회보건연쎅구원쏑, 1995).<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부모는 자녀의 출산 직후횦나 양썢육 과정에썺서 나타나는 문제들돺보다는 성인으뒛 성장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싦리적, 사회적,교육적, 경제적 측면의 문제들돺에썺 더욱 싦각하게 직면하는 경우가 많다.성인이 된동 후횦에썺도 사회적,직썲적 특성으뒛 인하여 지속적으뒛 발생하는문제들돺은 장애썑인의 고용쏄에썺도 쎎향을 미치게 되돘어썩 전체 가족의 경제적인 문제를 썚기 시키게 되돘기 때됖문에썺,이들돺의 직썲획득 기회를 원쏑조하는 직썲재활의 의미는 비장애썑인의 직썲에썺 대한 개념보다 중쎽하며 또됶한 가족들돺이 가지고 있는 재활에썺 대한 쎽구나 인식은 매우 중쎽하다고 할 수 있겠다.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2000) 의 「 2000년도 장애썑인 실태조사」에썺 따됌르면 우리나라의 장애썑인 출현율은 전체 인구의 썛 2.35% 뒛 대략둸 1,44만 명에썺 이르며, 이 중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썛 5 만 명 정도뒛 추정된동다고 보고하였다.이는- 1 -


1995년과 비교하였을 때됖 2 만 여명 정도가 증가한 것으뒛,<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수적 증가에썺 적합한 직썲재활서비스의 증가 또됶한 이뤄뒼져썚 할 것이며 이 과정에썺서 가족이 가지고 있는 쎾구와쎦 인식이 배제되돘어썩서는 안썃 된동다.이는 가족이라는 환경은 가족구조나 기능에썺 장애썑를 일으키기도 하고 장애썑의 직접적인 원쏑인이 되돘기도 하며,그 장애썑를 오래둮 지속시킬 수도 있기 때됖문이다( 박석돈 외쎵, 2001). 그 중에썺서도 부모는 장애썑인 자녀와쎦 정서적인 유대감을형성하는 가장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가족 구성원쏑이 된동다.부모는 대체뒛 장애썑인 자녀의 독립에썺 대하여 죄의식과 자기비난을 가지고 있으며(Nixon & Singer, 1993), 이러둼한 죄의식과 자기비난은 우울쏈,무기뒏감, 절망과 관련뒐되돘어썩진다(Meyerson, 1983). 또됶한 <strong>부모의</strong> 부정적인 정서는장애썑에썺 대한 효횡과적인 대처행동돐 능뒏을 썛화시키고,사회적인 고립감을 싦화시키기도 한다(Kirkham, 1993). 즉, 피해의식과 두돟려움쏋 등돿으뒛 자녀를 과잉보호하여 과도하게 자녀의 생활에썺 개입하거나 혹은 완쎨전히훙 무관싦한 방임적 태도와쎦 행동돐양썢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박희훓찬 외쎵 1996). 따됌라서,부모가가지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출생부터 누적된동 혼란둤과 성인이 된동 후횦 자녀를 돌돊보면서 발생하는 특별한 쎽구 및 장기적인 의존성으뒛 인한 문제점들돺을 해결할 수 있는 직썲재활서비스를 적극 반쎎함으뒛서 <strong>부모의</strong> 적극적인 대처와쎦 협뒏을 기대할 수 있게 되돘며,<strong>정신지체인</strong> 쎃시 사회적 구성원쏑으뒛 자리잡을 수 있게 된동다.그러둼나,일반적으뒛 우리나라의 장애썑인 재활기관의 직썲재활서비스는 기관 중싦으뒛 운쏇쎎되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이는 장애썑인이 소비자뒛서의 사회적 위쏞치를 획득하는 것을 어썩렵뒓게 만드는 쎽인이 되돘며,특히훙 성인이되돘어썩 독립생활을 위쏞한 서비스를 필쎽뒛 하는 부모들돺의 쎾구는 직썲재활서비스에썺서 극히훙 미비하게 반쎎되돘고 있기 때됖문에썺 부모가 갖는 강박감이나 절망감 등돿은 더욱 싦화되돘는 경향이 있다. 또됶한,이를 통해 획득되돘는 <strong>부모의</strong>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는 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또됶 다른 장애썑를 발생시키는 쎽인이 된동다는 점에썺서 재활에썺 있어썩서의 <strong>부모의</strong>인식과 쎾구는 중쎽한 쎽인이 되돘어썩썚 한다.따됌라서,<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에썺 대한 인식을 직썲재활서비스를 수행하고 있- 2 -


는 기관의 유형에썺 따됌라 조사해봄으뒛서 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 이용쏄에썺 따됌른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점들돺을 개선하는데 효횡과적인 방안썃을 마련뒐하고자 한다.이를 위쏞해 직썲재활서비스를 이용쏄하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부모를 대상으뒛 직썲재활에썺 <strong>관한</strong> 인식에썺 대하여 조사하고,각 변인들돺과의관계를 구명하고자 한다.2.연쎅구의 목적이상의 연쎅구의 필쎽성을 기초뒛 하여 본 연쎅구에썺서는,<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 인식 수준과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직썲재활서비스 관련뒐 변인들돺 간의 관계를 밝히훙는데 그 목적을 두돟고 있다.이에썺 대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첫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부모들돺의 직썲재활인식에썺 대하여 알썆아본다.둘돢째,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기관 유형 및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부모 관련뒐 변인에썺 따됌른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에썺 대한 인식 수준 차이를 알썆아본다.셋째,직썲재활에썺 대한 인식과 부모 관련뒐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변인들돺의 상대적 기여도를 밝힌훛다.3.연쎅구의 제한점본 연쎅구는 조사대상은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전체를 조사한 것이아니라 장애썑인복지관과 직썲재활시설의 직썲재활서비스를 이용쏄하고 있는부모를 대상으뒛 실시하여 전체를 대표할 수 있을 만큼 표집이 되돘지 않썅았썍기 때됖문에썺 연쎅구결과의 일반화와쎦 대표성에썺 있어썩서 제한점을 지닌다.- 3 -


4.용쏄어썩의 정의1)직썲재활 인식인식이란둤 사물에썺 대한 개인의 판단으뒛서,본 연쎅구에썺서 직썲재활 인식이란둤 현재 직썲재활서비스를 이용쏄하고 있는 부모들돺의 그에썺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수준의 정도뒛 정의하고 있다.2)직썲재활 기관우리나라의 장애썑인복지시설은 장애썑인복지법 제48조에썺 의거하여 장애썑인생활시설, 장애썑인지쎃사회재활시설, 장애썑인직썲재활시설,장애썑인유료뒮복지시설등돿으뒛 분류듆하여 규정하고 있으며,본 연쎅구에썺서는 이 가운쏇데 직썲재활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장애썑인복지관과 직썲재활시설을 직썲재활기관으뒛 정의하고 있다.- 4 -


Ⅱ.이론뒝적 배경1.<strong>정신지체인</strong> 및 장애썑인 <strong>부모의</strong> 특성1)<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직썲적 특성인간은 직썲을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존재가치를 나타내며,인생의 보람둦을 찾고 즐거움쏋 속에썺서 사명감을 가지게 되돘며( 이달엽쎊, 2000),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의 한 구성원쏑으뒛서의 책임을 수행하는 목적을 위쏞한 도구가되돘고 사회 속에썺서의 위쏞치를 결정하면서 많은 사회 관계를 갖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박석돈, 1999). 따됌라서 모든돸 인간은 자신이 가진 능뒏과 직썲적특성 등돿을 고려하여 직썲을 가질 권리와쎦 의무를 가지게 되돘며 이는 장애썑인의 경우에썺도 예쎒외쎵가 되돘어썩서는 안썃 된동다.장애썑인의 경우에썺는 동돐일한 장애썑쎎쎃 내에썺서도 공통적인 성격유형을 공유하지 않썅기 때됖문에썺(McDaniel, 1976),장애썑인의 고용쏄기회 획득 및 사회통합을 통한 경제적 독립을 위쏞해서는 장애썑유형별 교육 및 재활서비스가 시행되돘어썩썚 한다.따됌라서 <strong>정신지체인</strong>에썺 대한 직썲재활서비스의 유형과 방법에썺 있어썩서도 다른 유형의 장애썑인과 차이를 보여썚 하며,이를 위쏞해서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개념과 가지고 있는 특성에썺 대하여 구체적으뒛 살펴보는 것이 중쎽하다.<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개념에썺 대한 정의는 개념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복잡성으뒛인하여 다른 장애썑 쎎쎃에썺 비해 용쏄어썩의 변화를 많이 겪썵으며,학자나 그시대별뒛도 썛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정신지체협회(American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 AAMR) 의 최근 2002년 10판 정의에썺따됌르면, 정신지체는 지적 기능(intellectual functioning) 과 개념적(conceptual), 사회적(social), 실용쏄적(practical)적합 기술에썺서 표현되돘는 적합 행동돐에썺서 현저한 제한을 가지는 특성화 된동 장애썑라고 정의하고 있다(AAMR, 2002). 이와쎦 같은 개념은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이 실제 환경에썺서 어썩떻됪게 기- 5 -


능하는가의 문제를 특히훙 중쎽하게 판단하고 있으며,<strong>정신지체인</strong>이 비뒜 능뒏의 제한은 가지고 있지만 환경의 적절성과 그 환경 내에썺서의 지원쏑을 통하여 충분히훙 그 기능이 향상될돚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능뒏이나 특성은 장애썑 정도에썺 따됌라 다르며 개인차 쎃시 크다. 일반적인 특성은 지적․기능적 기술의 저하,대인관계 기술의 부족 등돿으뒛 설명할 수 있으며, 지적․기능적 기술의 제한성은 정서나 사회성에썺도쎎향을 주게 된동다.융통성이 썳고 집착적인 성격은 대인관계에썺 어썩려움쏋을미치게 되돘며 일상생활에썺서 또됶 다른 몇 가지 행동돐적 문제들돺을 보이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썺서 흔훉히훙 나타나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어썩떠됟한 상황이나 과제가 주어썩졌을 때됖 쉽게 좌절한다. 둘돢째,부정적 자아개념을 갖는 경우가 많다. 셋째, 정신구조에썺 경직성을 보인다. 넷째,통찰뒏이부족하다. 다섯째, 성취에썺 대한 내면적 충동돐이 희훓박하다. 여섯째, 소극적,도피적 행동돐을 많이 한다. 일곱 번째, 반항적,공격적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장애썑우권익문제연쎅구소, 2001).이러둼한 행동돐들돺은 직썲적․사회적 기술에썺서의 문제를 썚기 시키기도 한다.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직썲적 특성으뒛는 첫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이 습득할 수 있는기술의 수가 제한되돘어썩 있다. 둘돢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복잡한 기술을 배우기가힘훝들돺다. 셋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기술습득을 위쏞한 시간의 양썢과 연쎅습횟수에썺서 비장애썑인과 차이를 보인다. 넷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비장애썑인보다 일정한 시간이지남에썺 따됌라 습득한 기술에썺 대한 망각의 비율이 높고,망각된동 기술을 원쏑래둮의 수준으뒛 회복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다. 다섯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비장애썑인에썺 비해 학습의 전이 및 일반화의 정도가 떨됢어썩진다. 여섯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배운쏇 지식을 종합하여 사용쏄하는데 힘훝든돸 경우가 많다( 강위쏞쎎, 나운쏇환,2001). 그러둼나, 이러둼한 문제점들돺은 결함의 상태(state) 이지 특성(trait)으뒛여겨서는 안썃 되돘며,<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기능은 능뒏과 환경의 상호 작용쏄 속에썺서결정되돘는 것이므뒛,능뒏의 제한에썺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환경에썺서의적절성과 그 환경에썺서의 기능적 향상에썺 초점을 맞추고 지속적으뒛 이에썺 대한 평가와쎦 사후횦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둦직하다고 할 것이다. 즉,<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고용쏄을 위쏞해서는 개인의 특성에썺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수행- 6 -


기술을 포함한 환경과 지원쏑에썺 대한 연쎅구도 필쎽하다는 것을 알썆 수 있다.<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경우에썺는 특히훙 성인기뒛 접어썩들돺면서 이와쎦 같은 문제점들돺과아울쏈러둼 독립,결혼 등돿의 사회적 적응이라는 문제를 현실적으뒛 경험하기때됖문에썺 그뒛 인해 대두돟되돘는 특성들돺이 또됶한 나타나게 된동다.지속적으뒛 타인의 보호를 받아썚 하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경우 <strong>부모의</strong> 소득감소뒛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하게 되돘며,장기간의 훈효련뒐과 재활의 성과가 보이지 않썅는경우 발생하는 무기뒏감,두돟려움쏋 등돿이 발생하기 때됖문에썺 직썲적으뒛도 자신을 발전시키려는 경향이 줄어썩든돸다. 따됌라서,이러둼한 문제점들돺을 감소시키고<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기능적 향상을 이끌어썩 낼 수 있는 제도적 뒷돯받침이 마련뒐되돘어썩져썚 하며 이를 위쏞해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신과 이들돺의 생활에썺 결정적인 쎃할을<strong>부모의</strong> 인식 및 실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직썲재활 전략둸이 이루뒴어썩져썚 한다.결국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환경과 능뒏의 범위쏞 내에썺서 살펴보고 이를 지원쏑할 수 있는 방안썃이 마련뒐된동다면 이러둼한 제한성은충분히훙 극복할 수 있는 문제이며,경감시키게 될돚 것이다.이를 통해 가족의 부정적인 인식 또됶한2)장애썑인 <strong>부모의</strong> 특성 및 쎾구자녀의 출생은 기쁨과 흥훑분을 부모에썺게 가져다줌과 동돐시에썺 새뒛운쏇 책임감을 부여하게 된동다.특히훙 장애썑아동돐의 출생은 장애썑뒛 인하여 부가되돘는 경제적인 부담과 가족 구성원쏑이 겪게 되돘는 위쏞기와쎦 갈등돿은 대체뒛 사회적 쎎향뒏, 발달상의 전이, 가족 내부의 문제 등돿과 관련뒐되돘는 경우가 많다(최연쎅실, 1996).대다수의 연쎅구들돺은 일반적으뒛 장애썑인 자녀의 출생은 부모에썺게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데 긍정적인 쎎향보다는 부정적인 쎎향을 준다고 보고하고있으며,가족 구성원쏑에썺게 특수하고도 지속적인 어썩려움쏋을 경험하게 하는 양썢육과정에썺서의 스트레스를 부여한다고 한다(Crnic et al., 1983). 이러둼한 스트레스는 장애썑아동돐을 위쏞한 보호 활동돐과 관련뒐되돘어썩 아동돐의 신체적,행동돐적 특성과 일상생활에썺서의 보호,아동돐의 미래둮에썺 대한 부정적인 관념 등돿과 연쎅관- 7 -


되돘어썩질 수 있다.특히훙 부모는 자녀가 정신지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썆았썍을 때됖 충격과불안썃, 절망에썺 빠지게 되돘며, 그뒛 인하여 자녀와쎦 장애썑에썺 대한 수용쏄,장애썑의결과에썺 대한 부정, 과잉보호, 위쏞장 거부,공공연쎅한 거부 등돿의 태도를 나타낼 수 있다(Sommers, 1994). 또됶한 성인기의 장애썑인 자녀를 둔돡 부모는 자녀의 장래둮를 계획해썚 하는 싦리적 부담으뒛 인하여 부정적인 정서적 경험이싦화되돘고,이 시기에썺 어썩떻됪게 대처해썚 하는지에썺 <strong>관한</strong> 혼란둤과 불안썃이 가중되돘기 때됖문에썺 재활에썺 있어썩서 부모를 위쏞한 개입이 확대될돚 필쎽가 있다(양썢숙미, 1999).장애썑인의 가족과 부모는 재활과정에썺 있어썩서 중추적인 쎃할을 하게 된동다.가족이라는 환경은 장애썑인이 장기적으뒛 사회에썺 적응하는데 지원쏑을 하는주쎽한 쎃할을 수행하기 때됖문에썺, 가족이 가지고 있는 강점, 썛점,가족의가치, 쎾구 등돿을 검토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쎽하다(Bull, 1998). 그러둼나 장애썑인 자녀의 부모들돺이 가지고 있는 부담이나 쎾구,그들돺을 위쏞한 개입 등돿이재활에썺서 자주 간과되돘는 경향이 있다.<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부모가 겪는 부담 중에썺서 가장 싦각한 것은 경제적인 부담이라 할 수 있다.특히훙 경제적으뒛 독립해썚할 시기인 성인기 이후횦에썺도 장애썑인 자녀를 위쏞하여 계속적으뒛 보호비용쏄을 부담해썚 하면서 동돐시에썺 자신들돺의 노년기를 준비해썚 하는 부담이 발생하게 된동다.이는 <strong>부모의</strong> 중년기 이후횦 소득이 감소하고 지출은 많아지는 상황에썺서 발생하게 되돘는문제점들돺이다( 양썢숙미, 1999). 또됶한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지속적으뒛 타인과 사회뒛부터 원쏑조를 받아썚하는 만성적 장애썑라는 견해에썺서 살펴볼 때됖 경제적인 부담과 함께 싦리적인 부담감 쎃시 가중된동다.이러둼한 문제점들돺뒛 인하여 부모는 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독립과 사회적응을 위쏞하여 지속적이고 효횡과적인 재활서비스를 쎽구하게 된동다.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은 능뒏상의 제한과 사회적 차별뒛 인하여 직썲획득의기회가 배제되돘어썩 실썲 상태에썺 놓이는 경우가 많으며(Hodapp & Zigler,1993; Poll, 1986),취썲이 된동 경우에썺라도 최저 임금수준의 매우 낮은 비숙련뒐 노동돐에썺 종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됖문에썺( 곽준기, 박희훓찬, 1993; Roth,- 8 -


1982) 경제적인 독립을 형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뒛 매우 어썩렵뒓다.또됶한 이를유지하는 것 쎃시 힘훝들돺며 지속적인 직썲재활서비스가 필쎽하게 된동다.그러둼나,직썲재활서비스에썺 소쎽되돘는 부가적인 비용쏄과 시간으뒛 인하여 부모는재활프뒛그램둲에썺 자녀를 참여시키지 않썅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Poll,1986; 양썢숙미, 1998). 결국 장애썑인 자녀의 직썲 획득 기회를 제한시키는 쎃할을 하게 되돘며,지속적이고 안썃정적인 직썲유지를 어썩렵뒓게 하므뒛 장애썑인자녀의 경제적 독립을 저해하여 성인기에썺도 자립생활을 쎎위쏞하기보다는 부모에썺게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지며,쎽인이 된동다.이는 다시 <strong>부모의</strong> 부담을 가중시키는가족 외쎵부에썺서 느끼는 사회적 부담감 쎃시 <strong>부모의</strong> 싦리적인 부담감이 되돘며 이를 효횡율적으뒛 관리할 수 있는 직썲재활서비스가 필쎽뒛 하게 된동다.우리나라의 경우 서구사회와쎦 달리 장애썑와쎦 장애썑인에썺 대한 관싦과 배려 및복지정책이 효횡과적으뒛 수행되돘고 있지 않썅기 때됖문에썺 장애썑인 가족이라는 낙인과 편견, 고정관념 등돿으뒛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이러둼한사회적 고립은 장애썑인 자녀에썺 대한 지속적인 보호와쎦 지도감독으뒛 부모자신의 쎾구충족 및 여가선용쏄 등돿의 기회를 감소시켜 부정적인 정서 유발 및사회적 네트워쏏크의 축소 문제 등돿을 나타낸다( 문진하, 1996; 이경희훓, 1993).이와쎦 같은 <strong>부모의</strong> 부담과 부정적인 인식은 직썲재활서비스에썺 대한 지원쏑과 참여동돐기를 썛화시키는 쎽인이 된동다.한편으뒛는 또됶한 직썲재활서비스가 장애썑인 당사자와쎦 부모가 쎽구하는 서비스 수준에썺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대부분이기 때됖문에썺 이에썺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기도 한다.이는 부모들돺의 낮은 참여동돐기에썺도 불구하고 재활서비스에썺 대한 쎾구는 증가한다라고 보고한 연쎅구에썺서 잘 나타나고 있다( 손광훈효, 1996; 윤이화, 1997; 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 1995; 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 1996).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이 가지고 있는장애썑 특성에썺 적합한 재활서비스가 이뤄뒼지기보다는 기관 중싦의 서비스가획일적으뒛 제공되돘는 것 또됶한 <strong>부모의</strong> 인식을 부정적으뒛 만드는데 기여하게 된동다.현재의 장애썑인 재활은 기관을 중싦으뒛 장애썑인의 교육과 재활에썺 초점을맞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됌라서 장애썑인의 쎾구나 특성,직썲적 능뒏- 9 -


등돿을 보다 고려한 직썲재활서비스가 필쎽하며,여기서 배제될돚 가능성이 높은 <strong>부모의</strong> 싦리적 부담과 쎾구 등돿을 고려한다면 장애썑인 자녀의 발달과제수행과 관련뒐한 문제점들돺을 해결하고 성인기에썺 접어썩든돸 자녀의 직썲적, 사회적 문제들돺에썺 대하여 효횡과적으뒛 대처할 수 있다.2.장애썑인 직썲재활기관의 쎃할 및 중쎽성최근 들돺어썩 장애썑인 고용쏄의 흐훇름은 경쟁고용쏄을 지향하고 있으며,보다 다양썢한 사썲체에썺 광범위쏞하게 고용쏄될돚 수 있도뒜 다양썢한 직썲훈효련뒐과 체계적인직썲재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따됌라서,장애썑인의 생활의 바탕이 되돘는 가정과 지쎃사회를 중싦으뒛 직썲재활기관이 구성되돘어썩 이러둼한 쎃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둦직하다.장애썑인복지법 제48조는 장애썑인 재활기관에썺 대하여 장애썑인복지시설을 첫째, 장애썑인이 필쎽한 기간 동돐안썃 생활하면서 재활에썺 필쎽한 상담․ 치료뒮․훈효련뒐 등돿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애썑뒛 인하여 장기간 쎽양썢하는 장애썑인생활시설 둘돢째, 장애썑인복지관, 의료뒮재활시설, 체육시설,수련뒐시설, 공동돐생활가정 등돿 장애썑인에썺게 전문적인 상담․ 치료뒮․훈효련뒐 등돿을 제공하거나 여가활동돐 및 사회참여활동돐 등돿에썺 필쎽한 편의를 제공하는 장애썑인지쎃사회재활시설, 셋째,일반 고용쏄이 어썩려운쏇 장애썑인이 특별히훙 준비된동 작썲환경에썺서 직썲훈효련뒐을 받거나 직썲생활을 쎎위쏞할 수 있도뒜 하는 장애썑인직썲재활시설, 넷째, 장애썑인이 필쎽한 치료뒮, 상담,훈효련뒐 등돿 편의를 제공받고 이에썺소쎽되돘는 일체의 비용쏄을 시설운쏇쎎자에썺게 납부하여 운쏇쎎하는 장애썑인유료뒮복지시설 등돿으뒛 분류듆하여 규정하고 있다.이러둼한 시설 가운쏇데 장애썑인들돺이취썲을 할 수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썩 취썲을 통해 가족 구성원쏑으뒛서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쏑으뒛 인정받을 수 있도뒜 지원쏑하는 쎃할을 하는 총체적인직썲재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기관에썺 대하여 대표적으뒛 장애썑인지쎃사회재활시설 중 장애썑인복지관과 직썲재활시설에썺 대하여 살펴봄으뒛서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을 위쏞한 직썲재활서비스의 실태를 파썂하고자 한다.- 10 -


1)장애썑인복지관의 쎃할과 발전방향직썲재활을 포함한 장애썑인 재활서비스는 장애썑인의 유형이나 성격에썺 따됌라다양썢하며,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애썑인이 능동돐적이고 적극적으뒛 참여할 수있는 방안썃을 마련뒐하는 것이 중쎽하다. 특히훙 이전의 단편적, 시설중싦적,치료뒮중싦적 서비스에썺서 지쎃사회 중싦의 통합서비스뒛 전환하여 서비스 대상자의 쎾구를 현실화시키는 것이 무썴보다 쎽구된동다.이러둼한 장애썑인 재활서비스는 장애썑인이라는 특정 대상에썺게 제공되돘어썩지는 만큼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남상만 외쎵, 1998). 먼저 첫 번째 특성으뒛는 장애썑유형과 그뒛 인한 문제 쎃시 다양썢하기 때됖문에썺 복합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둘돢째,장애썑문제가 다양썢하고 복합적이기 때됖문에썺 서비스 쎃시 다양썢하고 종합적으뒛 강구되돘어썩썚 한다는 것이다. 셋째,장애썑인 서비스는 한 개인의 재활문제를 다루뒴기때됖문에썺 책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마지막으뒛 네 번째는 장애썑인 정책의패러둼다임의 변화 즉, 쎃동돐성으뒛 설명할 수 있다.이러둼한 특성을 지닌 장애썑인 재활서비스는 장애썑인이 가장 접근하기 쉽고 효횡과적으뒛 제공될돚 수 있는지쎃사회를 바탕으뒛 형성된동 재활기관에썺서 제공되돘는 것이 바람둦직하며,런둾 점에썺서 볼 때됖 장애썑인복지관은 그 지쎃내 장애썑인의 복지증진을 위쏞하여종합적인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뒛서의 제 쎃할을 수행하는 중싦적인 시설뒛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적,장애썑인복지관이란둤 장애썑인에썺 대한 각종 상담 및 사회싦리적, 교육적,직썲의료뒮적 재활 등돿 장애썑인의 지쎃사회생활에썺 필쎽한 종합적인 서비스를제공하고 장애썑에썺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사썲을 수행하는 시설뒛서(보건복지부, 2004), 장애썑인복지관이 이용쏄시설뒛서의 쎃할과 기능을 다 하기 위쏞해서는 대상자인 장애썑인의 쎽구를 충분히훙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쎽하다. 따됌라서,제공되돘는 서비스의 다양썢한 쎎쎃들돺을포괄하며 통합적으뒛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쎽하며,이대상자인 장애썑인은 물론뒝 가족,기타 장애썑인직썲재활기관과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 필쎽하다.특히훙 장애썑인복지관의 경우 전문적 쎎쎃의 재활프뒛그램둲을 통합하는 기능을 담당함으뒛서 장애썑인들돺에썺게 유용쏄한 서비스가 제공될돚 수 있도뒜 하여- 11 -


썚 한다.장애썑인복지관의 쎃할 및 기능은 대상이 장애썑인이라는 점에썺서 그 밖의 일반 사회복지관과 구별된동다.장애썑인복지관의 기능은 운쏇쎎목적을 달성하기위쏞하여 다양썢한 서비스를 동돐시에썺 필쎽뒛 하는 장애썑인에썺게 조정된동 서비스를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기능을 구체적으뒛 살펴보면 첫째,장애썑인의사회적응과 복귀를 위쏞한 재활서비스센터의 기능을 하며, 둘돢째,장애썑예쎒방과대중 계몽을 위쏞한 사회교육센터의 기능을 하고, 셋째,지쎃사회내의 전반적인 서비스의 조정과 관련뒐된동 통제조정센터뒛써싾의 기능하며, 넷째,프뒛그램둲개발을 위쏞한 종합센터뒛서의 기능하고, 마지막으뒛,재활환경의 조성과 자원쏑동돐원쏑을 위쏞한 지쎃사회조직과 자원쏑동돐원쏑센터 및 사회운쏇동돐센터뒛서의 기능을 하게 된동다.또됶한 다른 직썲재활서비스 기관과의 기능 및 쎃할 분담을통하여 서비스가 중복되돘거나 결여 및 낭비,비효횡율성 등돿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썅는 것이 중쎽하며,이를 통하여 지쎃사회 내 장애썑인의 독립과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쏞한 노뒏이 쎽구된동다.장애썑인복지관의 다양썢한 재활 프뒛그램둲 중에썺서 직썲재활서비스에썺 <strong>관한</strong> 프뒛그램둲에썺는 직썲상담 및 평가, 직썲훈효련뒐( 직능개발훈효련뒐, 직썲적응훈효련뒐,사회적응훈효련뒐 등돿), 보호작썲장 운쏇쎎, 지원쏑고용쏄 등돿의 취썲알썆선,사후횦지도 등돿이포함되돘며,이는 장애썑인의 경제적인 안썃정과 자립을 촉진하기 위쏞하여 제공되돘고 있다.이러둼한 장애썑인복지관의 재활 프뒛그램둲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의 < 표 Ⅱ. 1> 과 같다.< 표 Ⅱ. 1>장애썑인복지관 재활 프뒛그램둲사볞업 분뱩류러진단 및뢆 판정욣사볞업의왨료럔재욈활사볞업주웕요 사볞업내깪용옮상볪담 및뢆 각종욽 검사볞, 진단을왜 통한 판정욣,장욆애등럂 봂비벊스 제욥공장욆애인왯의왨 신체기귕능 회뱒을왜 위왈한 물롟리럿치료럔, 왼업치료럔,언어치료럔, 청능훈련랶,재욈활보조구 사볞용옮자 착용옮훈련랶 등의왨 의왨료럔재욈활봂비벊스 제욥공- 12 -


교육재욈활사볞업직업재욈활사볞업사볞회심리럿재욈활사볞업재욈가장욆애인왯뱒지사볞업스포츠 및뢆여가활동사볞업정욣보제욥공사볞업수화관련랶사볞업여성봏장욆애인왯의왨뱒지증진사볞업사볞회교육사볞업지역역사볞회자원옻개밚사볞업홍보 및뢆 계몽롊사볞업조사볞 및뢆 연엯구사볞업기귕타 사볞업장욆애인왯에 대한 조기귕교육, 통합교육, 부뱧모교육,학습지도, 시․청각장욆애인왯기귕초재욈활 등의왨 교육재욈활봂비벊스 제욥공장욆애인왯의왨 경제욥욜 안정욣과 자렄촉진을왜 도모하기귕 위왈한직업상볪담, 직업평가, 직업훈련랶, 직업욜응왡훈련랶,사볞회욜응왡훈련랶,취업알선봆 및뢆 사볞후지도 등의왨 직업재욈활봂비벊스제욥공장욆애인왯의왨 사볞회참여 확대를럷 위왈한 재욈활상볪담,사볞회욜응왡훈련랶, 심리럿치료럔, 성봏교육, 장욆애가족지원옻, 공동생보활가정욣,주웕간보호센봓터,단기귕보호센봓터 등의왨 사볞회심리럿재욈활봂비벊스제욥공지역역사볞회장욆애인왯의왨 상볪담, 의왨료럔, 교육,가사볞지원옻 등의왨 재욈가뱒지봂비벊스, 지역역사볞회자원옻활용옮 및뢆 연엯계망렒 구축,재욈가 자렄지원옻 제욥공신체욜,정욣신욜 건강증진을왜 위왈한 장욆애유형에 욜합한스포츠 및뢆 여가활동 지원옻시각장욆애인왯 도봂 제욥왼 및뢆 출판, 보귑,대여 등의왨 장욆애와옐 관련랶된 정욣보제욥공청각 및뢆 언어장욆애인왯에 대한 수화교실,수화통역역자 양성봏, 수화자레 및뢆 비벊디오옃 등의왨 영엸상볪물롟 제욥왼, 보귑,대여등의왨 수화봂비벊스 제욥공사볞회욜 차별뱉 및뢆 부뱧당한 대우옯를럷 밙기귕 쉬운옱 여성봏장욆애인왯의왨 권왮보호 및뢆 왴신, 출산볡,양육 및뢆 가사볞지원옻 제욥공비벊장욆애인왯의왨 장욆애인왯에 대한 인왯식개선봆 및뢆 참여를럷 조성봏하기귕 위왈한 장욆애체험, 장욆애인왯부뱧모교육,장욆애인왯뱒지 전욝문록요원옻교육 등 제욥공지역역사볞회에 대한 장욆애인왯의왨 왭해증진 및뢆 자원옻개밚,활용옮을왜 위왈한 자원옻봉뱙사볞자 교육,지역역행정욣기귕관 및뢆 사볞회단체 등과의왨 교류러협략 증진,기귕타 자원옻개밚 및뢆 활용옮지역역사볞회를럷 대상볪으왙럁 한 장욆애인왯식개선봆 및뢆 장욆애예염방밡등을왜 위왈한 장욆애 홍보 활동지역역사볞회 욕구 및뢆 실태조사볞, 재욈활프럁그램래 개밚,왭용옮자 만렉족도 조사볞 등의왨 장욆애인왯뱒지증진을왜 위왈한 조사볞연엯구 및뢆 다양한 재욈활프럁그램래 개밚 및뢆 보귑기귕타 지역역 및뢆 장욆애 특성봏에 욜합한 장욆애인왯뱒지증진을왜위왈한 재욈활프럁그램래 개밚 및뢆 시행주. 장애썑인복지사썲안썃내( 보건복지부, 2004)- 13 -


이러둼한 재활프뒛그램둲을 통하여 장애썑인복지관은 장애썑인에썺게 전문화된동 서비스를 강조하고 있다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장애썑인복지관이 의료뒮재활,교육재활,직썲재활 등돿의 개별적인 능뒏향상에썺 초점을 두돟는 전문적 재활서비스 사썲에썺 치중하고 있다는 사실에썺서 확인될돚 수 있다( 차홍봉, 2002). 최근에썺 와쎦서는 이러둼한 전문적 재활서비스에썺 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쏞치에썺서 장애썑인 개인이나, 가족,그리고 소속 기관의 쎽구에썺 따됌라 다양썢하게 그쎃할을 수행하고 대상자에썺게 전달될돚 수 있도뒜 하는 것이 중쎽시되돘고 있다. 그러둼한 쎃할에썺는 서비스 조정자뒛서의 쎃할, 권익옹쎤호자뒛서의 쎃할,상담가뒛서의 쎃할 등돿의 세 가지 쎎쎃이 포함되돘어썩질 수 있다( 김용쏄득,2003).이 중에썺서 상담가뒛서의 쎃할이 장애썑인 가족의 인식과 쎾구를 가장잘 반쎎하는 쎃할이라 할 수 있다.전통적으뒛 상담은 장애썑인과 그 가족들돺이 장애썑에썺 적응하고 재활서비스를 통하여 성공적인 재활성과를 획득할 수있도뒜 하는 것으뒛,직썲이나 한정된동 목적을 가지고 상담을 시행하기보다는 장애썑인과 가 가족들돺과 관련뒐될돚 수 있는 부부관계, <strong>부모의</strong> 불안썃, 우울쏈,가지고 있는 쎾구 및 인식 등돿과 같은 포괄적인 관점으뒛 상담을 시행함으뒛서 이를 직썲재활을 포함한 재활서비스에썺 반쎎할 수 있게 된동다.서비스제공자인장애썑인복지관에썺 쎽구되돘는 쎃할의 변화 가운쏇데 상담가의 쎃할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 Ⅱ. 2> 와쎦 같다.< 표 Ⅱ. 2>상담가뒛서의 쎃할 변화전욝통욜 관점 소비벊자 주웕도 관점 소비벊자 주웕도 관점왭시설봈 중웞심,전욝문록가중웞심의왨 관점가족 구성봏원옻 중웞 장욆애를럷가지고 있왷는 사볞람과 관련랶된 왭슈들에 대하여부뱧모 상볪담을왜 제욥공하는데주웕략한다.지역역사볞회 중웞심,장욆애인왯주웕도 관점가족 장욆애문록제욥와옐 관련랶되지 않은왛 문록제욥들에 대해봂까귡지 상볪담 왭슈를럷 확장욆한다.형제욥자매렖나깙 다른럶 가족 구성봏원옻들을왜 위왈하여 상볪담봂비벊스를럷 제욥공한다.요구하는 봂비벊스 제욥공자도전욝 과제욥들상볪담 왭슈의왨 밷위왈를럷 가족 전욝체의왨 구성봏원옻의왨 문록제욥럁 확장욆하도럂 기귕관내깪에봂 문록제욥제욥기귕를럷 한다.- 14 -


장욆애를럷 가지고 있왷는 사볞람들의왨 정욣신건강 욕구에대해봂는 거의왨 관여하지않는다.지원옻과 격려를럷제욥공하기귕는 하지만렉 정욣신건강 욕구에 대해봂는거의왨 관심을왜 기귕울옲왭지않는다.욕구가 있왷다면렺 장욆애인왯의왨정욣신건강 욕구에 대해봂도 대처한다.장욆애인왯의왨 정욣신건강 욕구를럷 효과욜으왙럁 확인왯할수 있왷는 방밡밸을왜 배밣운옱다.주. Weiss, et al. (1995), The changing role of social workers, In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dited by Karan.O. C. & Greenspan. S. 1995. MA: Butterworth-Heineman. p. 245 에썺서 인용쏄됨돛.이와쎦 같이 장애썑인복지관은 가족에썺 대한 일상생활에썺서의 쎾구 등돿을 고려함으뒛서 보다 현실적인 재활서비스 및 전략둸을 마련뒐함으뒛서 주체적인 실천목표를 가진 지쎃사회재활기관으뒛 자리잡을 수 있으며,서비스 실천 차원쏑에썺서도 장애썑인 및 그 가족의 긍정적인 인식을 고취시킬 수 있게 된동다.2)장애썑인직썲재활시설의 쎃할과 기능장애썑인복지관 외쎵에썺 장애썑인의 직썲제한성을 경감시키고 필쎽한 경우 작썲환경을 마련뒐해 줌으뒛서 직썲을 주는 시설뒛 장애썑인직썲재활시설이 규정되돘어썩 있다.이는 통제된동 작썲환경과 개별적 취썲목표를 가진 작썲 지향적 재활시설뒛서 특히훙 일반 사썲체뒛의 고용쏄이 힘훝든돸 중증장애썑인이 생산적 노동돐뒏을 가진 사회인으뒛 발전해 나가도뒜 도와쎦주며 작썲경험과 관련뒐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쎃할을 수행하고 있다.직썲재활시설은 다른 모든돸 조직체와쎦 마찬가지뒛 특정 목표를 수행하기위쏞해 의도적으뒛 마련뒐된동 사회체계뒛, 유형별뒛는 장애썑인복지법 상 첫째,작썲능뒏이 극히훙 낮은 장애썑인에썺게 작썲활동돐,일상생활훈효련뒐 등돿을 제공하여 기초작썲능뒏을 습득시키고,직썲평가 및 사회적응훈효련뒐 등돿을 실시하는 장애썑인작썲활동돐시설, 둘돢째,작썲능뒏이 낮은 장애썑인에썺게 직썲훈효련뒐 및 일거리 등돿- 15 -


을 제공하여 보호적 조건에썺서 생산활동돐에썺 참여하게 함으뒛써싾 이에썺 상응하는 노동돐의 대가를 지급하고, 직썲알썆선 등돿을 실시하는 장애썑인보호작썲시설,셋째,작썲능뒏은 있으나 사회적 제썛 등돿으뒛 취썲이 어썩려운쏇 장애썑인에썺게근뒛의 기회를 제공하여 생산활동돐에썺 참여하게 함으뒛써싾 최저임금 이상을지급하고, 직썲알썆선 등돿을 실시하는 장애썑인근뒛작썲시설, 넷째,직썲훈효련뒐을받고자 하는 장애썑인에썺게 직썲평가,사회적응훈효련뒐 및 직썲훈효련뒐 등돿을 일정기간 실시하여 직썲능뒏을 향상시키고,직썲알썆선 및 사후횦 지도 등돿을 실시하는 장애썑인직썲훈효련뒐시설, 다섯째,장애썑인생산품의 판매활동돐 및 유통을 대행하고, 장애썑인생산품에썺 <strong>관한</strong> 상담, 홍보,판뒛개척 및 정보제공 등돿을 실시하는 장애썑인생산품판매시설뒛 분류듆되돘어썩 있다.이와쎦 같은 직썲재활시설은 통제된동 작썲환경과 개별적 취썲목표를 가진 작썲지향적 재활시설뒛 장애썑인들돺이 정상적인 생활과 생산적 취썲상태뒛 발전해 나가도뒜 도와쎦주는 작썲경험 및 관계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시설이다.특히훙 중도 장애썑인들돺에썺게는 작썲환경에썺 적응하여 썛간의 기술과 생산성을 개발하고,노동돐시장으뒛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쎃할을 하며,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들돺을 지니고 있다(Bellamt et al., 1979). 첫째,서비스 제공에썺 있어썩서 개별화를 강조하며, 둘돢째,고용쏄성과를 강조하고 유급의 고용쏄을 통하여 얻어썩지는지표를 다루뒴며 서비스 비용쏄은 재활직후횦의 개인소득과 공공서비스 비용쏄에썺의하여 평가된동다. 셋째,유용쏄한 서비스 목표가 되돘는 개인에썺 초점을 두돟고 있으며, 넷째, 서비스의 확충,중도 장애썑인들돺이 재활서비스에썺 포함될돚수뒜 재활기술들돺이 중쎽하게 자리잡게 되돘고 정책수립자의 관싦을 끌게 된동다는 특성들돺을 지니고 있다.이와쎦 같이 직썲재활시설은 장애썑인의 생산성 회복과 개발을 강조하며(박석돈, 2001), 이를 통해 개인의 독립이 강화되돘고 장애썑에썺 대한 사회적 비용쏄을 감소시키는 사회적 효횡과를 궁극적으뒛 얻게 된동다.이를 위쏞하여 여러둼 가지 다양썢한 직썲 관련뒐 쎃할을 수행하고 있으며,대표적으뒛 장애썑인의 개인적, 사회적,직썲적 적응뒏을 길러둼주기 위쏞한 일상생활 및 사회적응을 위쏞한기술 훈효련뒐과 작썲활동돐을 통하여 작썲기회를 제공하는 보호고용쏄의 기능,그리고 직썲능뒏과 적성을 탐색하기 위쏞한 직썲상담 및 직썲평가 등돿을 제공하- 16 -


고 있다. Weisgerber 등돿(1981)은 직썲재활시설 중 특히훙 보호작썲장의 기능에썺 대하여 중증장애썑인들돺이 적절한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도뒜 하는 기능적인 직무기능과 작썲습관을 익히훙는 기술이라고 지적하였다.이와쎦 같이 직썲재활시설은 경쟁고용쏄이 부적합한 중증장애썑인에썺게 직썲의기회를 제공한다는 기능과 더불어썩 보호고용쏄 내의 작썲을 통해 작썲습관을습득하고 장애썑인의 직썲적 능뒏에썺 적합한 직무를 탐색하며,직썲훈효련뒐 및상담을 통해 궁극적으뒛 경쟁고용쏄을 획득할 수 있도뒜 하는 기능을 가지고있다. 그러둼나,직썲재활시설의 최대 과제라 할 수 있는 생산성의 문제와쎦 제한된동 환경의 문제뒛 인하여 장애썑인을 위쏞한 직썲재활과 고용쏄기회의 제공이라는 두돟 가지 기능을 한다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뒛 직썲재활을 통한 일반고용쏄으뒛의 전환은 실질적으뒛 어썩려운쏇 환경이다.또됶한 직썲재활시설은 작썲장의 성격이나 형태에썺 따됌라서 독특하고 다양썢하기 때됖문에썺 그 쎃할을 한정짓기는 어썩렵뒓다. 그러둼나 훈효련뒐과 고용쏄,교육의 기능을 갖춘 시설이라는 점에썺서일반고용쏄에썺의 이동돐율의 저조뒛 썚기되돘는 문제점들돺이 재활의 궁극적인 목적과 부합되돘지 않썅는다는 단점은 가지고는 있지만 다른 직썲재활기관보다 효횡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3.장애썑인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에썺 <strong>관한</strong> 인식1)직썲재활 인식 쎽인 및 중쎽성장애썑인의 사회적 가치는 그들돺의 쎃할을 얼마만큼 성공적으뒛 수행하는지에썺 달려 있으며, 이는 가족의 도움쏋 썳이는 가능하지 않썅다.재활 과정에썺 있어썩서의 가족수반의 중쎽성은 선행연쎅구를 통하여 잘 드러둼나고 있다(Bray,1977; Kosciulek, 1994; Marsh, 1992; Smith & Godfrey, 1995).행연쎅구를 통하여,이러둼한 선재활과정에썺서의 가족 참여는 가족구성원쏑의 장애썑에썺 대한적응을 촉진시키고 (Dumas & Sadowsky, 1984; March, 1992; Vargo,- 17 -


2002).이와쎦 같이 직썲재활서비스를 포함한 장애썑인에썺 대한 지원쏑은 장애썑인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의 삶에썺도 쎎향을 미치는 효횡과적인 쎃할을 한다는 것을알썆 수 있다. 따됌라서,이러둼한 직썲재활서비스에썺 장애썑인 자녀를 능동돐적으뒛참여시키기 위쏞해서는 <strong>부모의</strong> 긍정적인 인식이 무썴보다 필쎽하다.이러둼한직썲재활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쎽인은 기관에썺 대한 인식과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으뒛 나눠볼 수 있으며,이러둼한 인식은 일반적으뒛직썲재활 기관의 유무나 서비스 상황에썺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는 것으뒛 판단하고, 이용쏄을 경험한 기관에썺 대한 만족도를 통해 형성되돘는 경우가 많다.먼저 기관에썺 대한 인식에썺서 직썲재활기관을 포함한 장애썑인재활서비스기관은 접근가능성이 서비스 만족 및 인식에썺 가장 큰 쎎향을 미친다고 할 수있다. 둘돢째,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에썺서 직원쏑의 태도가 서비스 이용쏄 만족도에썺 큰쎎향을 미친다.서비스 제공자인 직원쏑의 경우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썺 직접적으뒛 관련뒐되돘고 서비스 이용쏄자와쎦 상호 작용쏄하는 경우가 많기 때됖문이다.직썲재활서비스는 서비스의 내용쏄과 제공뿐만 아니라 전달되돘어썩지는 과정 쎃시 중쎽하기 때됖문에썺,서비스 전달에썺 관여하는 서비스 제공기관의 직원쏑과의관계는 서비스 만족도에썺 전반적으뒛 쎎향을 미치게 된동다. 마지막으뒛,이용쏄료뒮,대기시간 및 이용쏄시간 등돿의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쎃시 만족도에썺 많은쎎향을 미치게 된동다.특히훙 재활기관의 유형에썺 따됌라 서뒛 상이한 서비스의 과정 및 운쏇쎎 형태등돿의 기관 특성이나 기관에썺 대한 접근성의 문제,서비스 이용쏄자의 쎽구와쎦직접적으뒛 직면하게 되돘는 직원쏑의 특성은 인간을 대상으뒛 하는 재활기관의 서비스 만족도에썺 큰 쎎향을 미치게 되돘므뒛,서비스는 내용쏄 측면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용쏄자에썺게 전달되돘기까지의 전 과정이 모두돟 중쎽하다.또됶한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썺서 이용쏄자의 기대수준과 실제 서비스 수준간의차이를 이용쏄자 만족도를 통해 타당하게 받아들돺인다면,이용쏄자 쎾구에썺 부응하여 서비스에썺 대한 개선을 모색할 수 있으므뒛(Pryer et al., 1982),자의 특성과 쎽구를 적절히훙 고려하여 반쎎하는 것이 필쎽하다.이용쏄이와쎦 같이,이러둼한 이용쏄자의 인식과 만족도에썺 대하여 살펴보는 것은 직- 19 -


썲재활서비스를 개선하는 밑거름이 되돘며,<strong>정신지체인</strong>과 같이 의사결정능뒏의 부족으뒛 <strong>부모의</strong> 쎃할이 큰 경우와쎦 성인기에썺 가질 수 있는 <strong>부모의</strong> 쎾구가 큰 경우에썺는 <strong>부모의</strong> 인식과 만족에썺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 것이 필쎽하다.2)직썲재활 인식 및 만족도에썺 <strong>관한</strong> 선행연쎅구서비스에썺 만족한다라는 것은 일반적으뒛 이용쏄자의 만족이라고 할 수 있으며,직썲재활서비스에썺 만족한다라는 것은 이를 이용쏄하는 장애썑인과 그 가족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이다.인간은 직썲재활을 포함한 장애썑인복지서비스를 이용쏄하는 경우 일종의 기대싦리를 가지고 있으며,실제뒛 서비스를이용쏄한 후횦 장애썑인이 가지게 되돘는 것은 실제적인 평가라 할 수 있다.그리고 이러둼한 장애썑인의 기대싦리와쎦 실제 서비스 수준 간의 차이를 만족도라고하며, 만족도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쎾구의 충족, 기대의 달성,즐거운쏇 기분의 보강 정도를 반쎎하는 개인의 내적 상태라고 설명할 수 있다. 따됌라서,실제 경험한 후횦 판단하게 되돘는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썺는 그 서비스에썺 대한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으며,이는 장애썑인과 그 부모가 느끼는 쎾구충족, 편익에썺 대한 평가, 경험에썺 대한 주관적인 평가,직원쏑에썺 대한 태도에썺대한 감정을 포함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이동돐한(2000) 은 장애썑인복지관의 서비스 결정쎽인을 서비스의 질,서비스제공기관의 관리수준, 직무만족 등돿으뒛 분류듆하였는데,서비스를 이용쏄하는장애썑인 및 가족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복지관의 형태 즉,운쏇쎎주체와쎦시설의 형태, 예쎒산,규모 등돿이 서비스 만족에썺 쎎향을 주는 쎽인으뒛 나타났다. 가현자(1999)는 장애썑인서비스실태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에썺서 장애썑아동돐 <strong>부모의</strong> 사회학적인 특성, 시설의 특성,종사자의 특성이 만족도에썺 쎎향을 주는 쎽인으뒛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재활서비스에썺서 장애썑인 및 가족 즉,이용쏄자의 만족을 높이는데 쎎향을 주는 쎽인에썺는 이용쏄자의 인구사회적인 특성,기관의환경 및 접근성, 직원쏑의 특성, 서비스의 유형 및 내용쏄,이용쏄시간과 이용쏄료뒮등돿이 포함된동다고 할 수 있다.- 20 -


이러둼한 서비스 결정 쎽인들돺을 토대뒛 <strong>정신지체인</strong> 부모 및 가족의 직썲재활서비스만족도와쎦 일반적으뒛 가지고 있는 쎾구에썺 대한 선행 연쎅구들돺을 살펴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쎦 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2000)에썺서 전국적으뒛 실시한 「 2000 년 장애썑인실태조사」를 보면, 장애썑인재활기관에썺 대한 인지여부,경험여부 등돿을 평면적으뒛 조사한 바 있는데,그러둼한 쎽인들돺이 <strong>정신지체인</strong>가족의 지쎃사회 재활서비스별 이용쏄 쎾구에썺 어썩떠됟한 쎎향을 미치는지에썺 대한 판단을 제공하였다.여기서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가족이 재활서비스 및 서비스기관에썺 대한 인식 여부가 높았썍으며,이용쏄경험 또됶한 다른 장애썑인들돺보다 모든돸 직썲재활기관에썺서 높게 나타났다.그 중 장애썑인복지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이는 지쎃사회재활 쎾구가 가장 크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라 할수 있다.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가 느끼는 일반적인 인식에썺 대하여 살펴보는 것 쎃시 장애썑인의 재활을 효횡과적으뒛 하는데 도움쏋이 되돘는 직썲재활서비스를 마련뒐하는데 필쎽하다.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돌돊보는 과정에썺서 부모들돺은 다양썢하고 상당한 서비스 쎾구를 가지게 되돘는데 기존의 연쎅구들돺에썺 의하면( 양썢쎚경, 1995; Ferris & Marshall, 1987), 지쎃사회 내의 다양썢한 자원쏑에썺<strong>관한</strong> 정보, 보호부담에썺 기능적으뒛 대처하기 위쏞한 지식 및 기술,국가적 차원쏑의 지쎃사회 자원쏑개발 및 소개 등돿 주뒛 정보와쎦 기술교육을 가장 필쎽뒛한다고 하였다. 그러둼나,타 장애썑인 자녀의 부모에썺 비하여 <strong>정신지체인</strong> 부모들돺은 자신의 자녀가 취썲하는 것을 비관적으뒛 생각하였고,미래둮에썺 독립적으뒛 생활하기보다는 시설에썺 수용쏄되돘는 것을 원쏑하는 경우도 있썵다( 박순국,1988).이는 직썲재활서비스에썺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쎽인이 되돘며, 지속적인 부담과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될돚 수 있다.장애썑인과 그 가족의 쎾구에썺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장애썑인을 수혜자뒛 보는시각이 강하여 그들돺에썺 대한 재활서비스를 미리 정해놓는 경향을 감소시키고 서비스 주체적인 입장으뒛서의 권리를 강화하고 그 특성에썺 적합한 통합조정된동 다양썢한 서비스 형태들돺을 개발할 수 있게 된동다.- 21 -


Ⅲ.연쎅구방법1.연쎅구대상본 연쎅구의 대상은 장애썑인종합복지관과 직썲재활시설의 직썲재활서비스를제공받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부모200명을 대상으뒛 직썲재활인식 파썂을위쏞한 자료뒮를 수집하기 위쏞하여 표본조사 연쎅구를 활용쏄하였다.대상자의 선정 기준은16개 광쎃시도 행정구쎃을 기준으뒛 하여 각각100 명에썺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회수된동 설문지 중 표지가 썳거나 누둣된동 문항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쎵한 최종분석 대상자의 수는 장애썑인복지관의직썲재활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 100명 중 74 명,직썲재활시설의 직썲재활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100명 중 24 명이 응답을 하였다.본 연쎅구대상자는 < 표 Ⅲ. 1> 과 같다.< 표 Ⅲ. 1>연쎅구대상자구 분뱩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장욆애인왯뱒지관직업재욈활시설봈742475.524.5합 계 98 100.02.연쎅구절차 및 기간본 연쎅구는 2003년 9월쏒부터 2003년 10월쏒까지 자료뒮 수집 및 연쎅구계획을 수립하고, 2003년 12월쏒까지 국내외쎵 자료뒮와쎦 선행연쎅구를 통한 문헌연쎅구를 실시하여 연쎅구설계 및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2004년 1월쏒부터 2004년 2월쏒까지16개 광쎃시도 행정구쎃을 기준으뒛 하여 장애썑인복지관 및 직썲재활시설의 직썲재활담당자를 방문하여 본 연쎅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는- 22 -


단계를 거쳐, 2004년 4월쏒까지 <strong>정신지체인</strong> 부모를 대상으뒛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설문조사는 연쎅구대상자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부모에썺게 본 연쎅구의 취지를 설명하는 안썃내물과 함께 직썲재활인식에썺 <strong>관한</strong> 본 설문지와쎦 반송용쏄 봉투를 동돐봉하여 우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누둣된동 설문지를 제외쎵하고 200부 중 총 98부를 회수하였다.3.연쎅구도구본 연쎅구의 목적으뒛 구성된동 설문지는 최재성(1998) 이 개발한 “ 장애썑인복지관 운쏇쎎평가 프뒛그램둲 개발연쎅구”의 이용쏄자 만족도 설문도구를 기초뒛 하여 재구성하였다. 직썲재활인식에썺 <strong>관한</strong> 쎽인은 크게 기관에썺 대한 인식,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의 네 가지 범주뒛 구성하였으며,각문항별 척도는 매우 그렇다(5 점), 그렇다(4 점), 보통이다(3 점),그렇지 않썅다(2 점), 매우 그렇지 않썅다(1 점) 뒛 일반적 사항을 제외쎵한 모든돸 문항은 Likert식 평정척도를 이용쏄하여 구성하였다.연쎅구대상자와쎦 관련뒐한 일반적인 문항은 본 연쎅구자가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어썩머니와쎦 관련뒐된동 질문 문항으뒛 총 16 문항을 구성하였으며,만족도 문항은기관에썺 대한 인식은 9 문항, 직원쏑과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은 각 10문항으뒛총 45 문항으뒛 구성되돘어썩 있다. 문항에썺 대한 자세한 내용쏄은 아래둮의 < 표 Ⅲ.2> 와쎦 같다.본 연쎅구는 선행연쎅구들돺을 바탕으뒛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들돺이 실제 직썲재활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 느끼는 만족도를 세 가지 쎽인별뒛 알썆아보고,응답한 만족도를 통하여 직썲재활기관에썺 대하여 어썩느 정도 인식하고있는지에썺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됶한,<strong>정신지체인</strong> 부모와쎦 관련뒐된동 변인과 직썲재활인식 간의 관계에썺 대해서도 살펴보았썍다.- 23 -


표 Ⅲ. 2><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인식에썺 <strong>관한</strong> 설문 문항Ⅱ.Ⅰ.인왯식요인왯구 분뱩 내깪 용옮 문록항수일왰뢌반욜 사볞항기귕관에 대한인왯식직원옻에 대한인왯식봂비벊스에대한 인왯식1. 성봏별뱉, 연엯령랼, 교육수준웗, 자녀꺏의왨 연엯령랼/교육수준웗/ 장욆애등럂유무롚/ 장욆애등귑, 월옼평균귈소득,직업유형에 <strong>관한</strong> 정욣보2. 직업재욈활봂비벊스 왭용옮기귕간,직업재욈활봂비벊스유형,시설봈의왨 유형에 <strong>관한</strong> 정욣보직업재욈활봂비벊스기귕관의왨 환경 및뢆 욡근귌성봏과관련랶한 사볞항직업재욈활봂비벊스기귕관의왨 직원옻의왨 태도 및뢆 인왯식과 관련랶한 사볞항직업재욈활봂비벊스기귕관의왨 봂비벊스 내깪용옮과 욜절욞성봏과 관련랶한 사볞항16문록항9문록항10문록항10문록항합 계45문록항설문지의 신뢰뒧도는 전체 신뢰뒧도 Cronbach‘s α값 .7469 이며,각 쎽인별 신뢰뒧도는 다음의 < 표 Ⅲ. 3> 과 같다.< 표 Ⅲ. 3>구 분뱩기귕관에 대한인왯식직원옻에 대한인왯식봂비벊스에대한 인왯식전체 및 쎽인별 신뢰뒧도내깪 용옮직업재욈활봂비벊스기귕관의왨 환경 및뢆 욡근귌성봏과 관련랶한사볞항직업재욈활봂비벊스기귕관의왨 직원옻의왨 태도 및뢆 인왯식과관련랶한 사볞항직업재욈활봂비벊스기귕관의왨 봂비벊스 내깪용옮과 욜절욞성봏과관련랶한 사볞항Cronbach‘sα.8407.8270.7165합 계 .7469- 24 -


4. 자료뒮처리본 연쎅구에썺서는 수집된동 자료뒮를 한글SPSS 10.0 을 활용쏄하여 분석하였다.<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인식 수준을 먼저 알썆아보고,기관의 유형별인식 수준을 비교하기 위쏞하여 각 쎽인별,그리고 전체 인식 항목별뒛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직썲재활서비스 관련뒐변인들돺과 집단의 만족도 수준 비교는 일원쏑분산분석(ANOVA)을 이용쏄하여분석하였다.마지막으뒛 <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인식들돺 간의 관계는상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25 -


Ⅳ.연쎅구 결과 및 해석본 연쎅구 결과는 먼저 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일반적인 특성에썺 대하여제시하고, 직썲재활인식을 기관에썺 대한 인식,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서비스에썺대한 인식으뒛 나눠 분석하여 제시하였다.또됶한 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직썲재활 인식 간의 상관관계 및 변수들돺의 기여도에썺 대하여 제시하였다.1.연쎅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strong>부모의</strong> 성별<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성별은 < 표 Ⅳ. 1> 과 같다.< 표 Ⅳ. 1><strong>부모의</strong> 성별성봏 별뱉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남깡 성봏 33 33.7여 성봏 65 66.3합 계 98 100.0응답한 98명의 부모 중 남성은 33 명(33.7%), 여성은 65 명(66.3%)으뒛 여성의 빈도가 2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이는 장애썑아동돐의 양썢육에썺서 부모중 어썩머니의 쎃할이 크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또됶한 직썲재활기관에썺 참여하는 정도와쎦 기관 서비스에썺 대한 쎾구 쎃시 남성인 아버지보다 그 수준이 높음을 알썆 수 있다.2)<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연쎅령뒖<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연쎅령뒖은 다음의 < 표 Ⅳ.2> 와쎦 같다.- 26 -


표 Ⅳ. 2><strong>부모의</strong> 연쎅령뒖연엯 령랼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40대43 43.950대36 36.760대17 17.370대2 2.0합 계 98 100.0연쎅령뒖별 특성으뒛는, 98명의 부모 중 40대의 연쎅령뒖층이 43명으뒛 가장 높은 빈도(43.9%) 를 나타냈으며, 50 대(36.7%), 60 대(17.3%), 70 대(2.0%)의 순으뒛 나타났다.이러둼한 결과을 통하여 부모가 경제활동돐에썺 종사하는 연쎅령뒖층에썺 대부분 위쏞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썆 수 있다.3)<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 Ⅳ. 3>과 같다.< 표 Ⅳ. 3><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교육수준웗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초졸울 왭하 14 14.3중웞 졸울 26 26.5고 졸울 46 46.9대졸울 왭상볪 12 12.2합 계 98 100.0학뒏별 특성을 살펴보면, 고졸이 46 명(46.9%)으뒛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중졸(26.5%), 초졸 이하(14.3%), 대졸 이상(12.2%)의 순으뒛 나타났다.- 27 -


4)<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연쎅령뒖응답한 <strong>부모의</strong>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연쎅령뒖을 살펴보면 다음의와쎦 같다.< 표 Ⅳ. 4>< 표 Ⅳ. 4><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연쎅령뒖자녀꺏 연엯령랼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10대8 8.220대79 80.630대11 11.2합 계 98 100.0<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연쎅령뒖은 20대가 79 명(80.6%) 으뒛 가장 많았썍으며, 30대가 11 명(11.2%), 10대가 8 명(8.2%) 의 순으뒛 나타났다. 주뒛 2․30대의 고등돿학교나 특수학교 등돿 학교를 졸썲한 자녀가 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를 이용쏄하고 있는 것으뒛 나타났다.5)성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교육 수준응답한 <strong>부모의</strong>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교육 수준을 살펴보면 다음의5> 와쎦 같다.< 표 Ⅳ.< 표 Ⅳ. 5><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교육수준교육수준웗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초졸울 왭하 32 32.7중웞 졸울 10 10.2고 졸울 55 56.1대졸울 왭상볪 1 1.0합 계 98 100.0- 28 -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학뒏별 특성을 보면, 고졸이 55 명(56.1%)으뒛 가장많았썍으며, 초졸 이하(32.7%), 중졸(10.2%), 대졸 이상(1.0%)의 순으뒛 나타났다.6)<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뒜 유무<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를 등돿뒜했는지의 유무는 다음의 표과 같다.< 표 Ⅳ. 6>< 표 Ⅳ. 6><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뒜 유무장욆애등럂 유무롚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있왷 다 96 98.0없 다 2 2.0합 계 98 100.07)<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급<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급을 나타내면 다음의 < 표 Ⅳ. 7> 과 같다.< 표 Ⅳ. 7><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급장욆애등귑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1귑20 20.42귑52 53.13귑24 24.5장욆애등럂 무롚 2 2.0합 계 98 100.0<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급을 살펴보면, 2급이 52 명(53.1%)으뒛 가장많았썍으며, 그 뒤돫뒛 3 급(24.5%), 1 급(20.4%) 의 순으뒛 나타났다.여기서 장- 29 -


애썑등돿뒜을 하지 않썅은 자녀는 등돿급에썺서 제외쎵되돘썵다.이러둼한 결과는 대부분기관 서비스 이용쏄자가 경증장애썑인이 주를 이룬뒶다는 것을 나타낸다.8)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에썺 대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의 < 표 Ⅳ. 8> 과 같다.< 표 Ⅳ. 8>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평균귈 소득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100만렉원옻 왭하24 24.5100-150만렉원옻30 30.6150-200만렉원옻17 17.3200만렉원옻 왭상볪27 27.6합 계 98 100.0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으뒛는 100만원쏑-150만원쏑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0명(30.6%) 으뒛 가장 많았썍으며, 200만원쏑 이상이 27 명(27.6%), 100만원쏑 이하가24 명(24.5%), 150만원쏑-200만원쏑이 17 명(17.3%) 으뒛 소득 수준을 나타났다.9)<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직썲 유형<strong>정신지체인</strong> 부모가 현재 종사하고 있는 직썲에썺 대한 응답은 다음의Ⅳ. 9> 와쎦 같다.< 표- 30 -


표 Ⅳ. 9><strong>부모의</strong> 직썲 유형직업 유형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전욝문록직 3 3.1사볞무롚직 3 3.1봂비벊스직 5 5.1단순노꺚무롚직 9 9.2농꺢․ 어업6 6.1기귕능직 10 10.2자영엸업 12 12.2판매렖직 2 2.0주웕 부뱧 43 43.9무롚 직 5 5.1합 계 98 100.0응답한 <strong>부모의</strong> 직썲별 특성을 살펴보면, 주부가 43명으뒛 가장 많은 빈도(43.9%) 를 나타냈다.이는 위쏞의 <strong>부모의</strong> 성별을 묻는 질문에썺서 어썩머니의응답이 많았썍던 것과 같은 결과라 할 수 있으며, 그 뒤돫뒛 자쎎썲(12.2%),기능직(10.2%), 단순노무직(9.2%), 농․어썩썲(6.1%), 서비스직 및 무직(5.1%),전문직 및 사무직(3.1%), 판매직(2.0%) 의 순으뒛 나타났다.10)<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기간<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가 현재 이용쏄하고 있는 직썲재활서비스의 이용쏄기간에썺 대한 응답은 다음의 < 표 Ⅳ. 10> 과 같다.< 표 Ⅳ. 10><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이용쏄기간왭용옮기귕간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6개월옼 왭하23 23.56개월옼-1년꺑8 8.21년꺑-1년꺑6개월옼10 10.21년꺑6개월옼-2년꺑11 11.22년꺑 왭상볪46 46.9합 계 98 100.0- 31 -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기간은 2년 이상이 46 명(46.9%)으뒛 가장 많았썍으며, 6 개월쏒 이하(23.5%), 1년 6개월쏒-2 년(11.2%), 1년-1년6개월쏒(10.2%), 6개월쏒-1 년(8.2%) 의 순으뒛 나타났으며,한 기관에썺서 오랜둰 기간동돐안썃 서비스를 제공받는것을 알썆 수 있다.11)직썲재활서비스 유형에썺 대한 쎽구현재,<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에썺게 가장 필쎽한 직썲재활서비스 유형이 무썴인지에썺 대한 응답은 다음의 < 표 Ⅳ. 11> 과 같다.< 표 Ⅳ. 11>직썲재활서비스 유형직업재욈활봂비벊스 유형빈벌 도( 명렾) 퍼센봓트(%)직업욜응왡훈련랶 39 39.8보호왼업 12 12.2지원옻고용옮 14 14.3취업알선봆 28 28.6직업평가 1 1.0기귕 타 4 4.1합 계 98 100.0<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에썺게 가장 필쎽한 직썲재활서비스 유형이 무썴인지에썺 대해 묻는 질문에썺서 부모들돺은 직썲적응훈효련뒐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9명(39.8%) 으뒛 가장 많았썍다. 그 다음으뒛 취썲알썆선(28.6%), 지원쏑고용쏄(14.3%),보호작썲(12.2%), 기타(4.1%), 직썲평가(1.0%) 의 순으뒛 나타났다.일반적으뒛 부모들돺은 취썲과 관련뒐한 훈효련뒐에썺 중점을 두돟고 있는 것으뒛 보여지며,직썲평가에썺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32 -


2.<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인식 쎽인 비교직썲재활기관의 유형에썺 따됌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에썺대한 인식을 알썆아보기 위쏞하여 기관에썺 대한 인식 쎽인,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쎽인,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쎽인으뒛 분류듆하여 인식 수준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비교해 보았썍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1)기관에썺 대한 인식<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기관에썺 <strong>관한</strong> 인식을 장애썑인복지관과 직썲재활시설뒛 분류듆하여 그 수준은 비교하면 다음의 < 표 Ⅳ. 12> 와쎦 같다.< 표 Ⅳ. 12>기관에썺 대한 인식 비교문록 항1. 봂비벊스를럷 제욥공밙는 장욆소가 깨귭끗깎하게 정욣돈되어 있왷습니까귡?2. 프럁그램래 운옱영엸에 필요한 최신시설봈과 장욆비벊가 충분뱩히 갖추어져욭 있왷습니까귡?3. 봂비벊스를럷 제욥공밙는 장욆소가 교육장욆소럁 욜합하다고 생보각하십니까귡?4. 뱒지관을왜 왭용옮하기귕 전욝에 우옯리럿 뱒지관에 대한 여러랢 가지 정욣보를럷 쉽게 찾을왜 수 있왷었습니까귡?5. 봂비벊스를럷 밙기귕까귡지의왨 왭용옮절욞차가편리럿하다고 생보각하십니까귡?6. 뱒지관 내깪부뱧에 장욆애인왯을왜 위왈한 편의왨시설봈( 경사볞럁, 화장욆실 등)은왛 욜절욞히 갖추어져욭 있왷습니까귡?7. 건물롟내깪부뱧가 장욆애인왯왭 왭용옮하기귕에편리럿합니까귡?뱒지관(N=74) 시설봈(N=24)M SD M SDt4.08 .70 3.71 .55 2.39 *3.28 .84 3.29 .91 .043.59 .94 2.92 .93 3.10 **3.14 .85 3.46 .59 1.733.64 .79 3.54 .51 .554.22 .65 3.58 .58 4.26 **4.07 .83 3.08 1.38 4.22 **- 33 -


기관에썺 대한 인식 수준을 쎽인별뒛 비교해 보면,소가 교육장소뒛 적합하다고 생각하싧니까(t=3.10, p


5. 담당직원옻은왛 귀하가 궁금해하는사볞항에 대해 충분뱩히 설봈명렾해 줍웜니 4.00 .62 3.92 .41 .62까귡?6. 담당 직원옻은왛 귀하의왨 문록제욥를럷 잘욀왭해하고 있왷습니까귡?3.92 .68 3.58 .50 2.23 *7. 담당 직원옻은왛 귀하의왨 문록제욥해결에충분뱩한 전욝문록지식과 기귕술을왜 갖추었 3.91 .69 3.13 .34 5.35 **다고 생보각하십니까귡?8. 담당 직원옻과 의왨사볞소통왭 잘욀 안된다고 느끼깑신 경우옯가 자주웕 있왷습 3.62 .86 3.08 .97 2.59 *니까귡?9. 담당 직원옻은왛 진지한 태도럁 봂비벊스를럷 제욥공합니까귡?3.95 .59 4.00 .00 .4410. 뱒지관의왨 직원옻은왛 장욆애인왯의왨 권왮을왜 존욷중웞해 준웗다고 생보각하십니까귡?3.96 .61 3.08 .97 5.24 **전욝 체 3.92 .47 3.55 .22 3.65 ***p 에썺서,먼저 직썲재활기관의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을 장애썑인복지관을 이용쏄하고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를 통해 살펴보면,상위쏞 수준에썺는복지관 직원쏑들돺은 이용쏄자들돺에썺게 항상 친절합니까(M=4.22),담당직원쏑은 귀하가 궁금해하는 사항에썺 대해 충분히훙 설명해 줍니까(M=4.00),복지관의 직원쏑은 장애썑인의 권익을 존중해 준다고 생각하싧니까(M=3.96)귀하는 담당직원쏑에썺게 항상 편안썃한 마음으뒛 도움쏋을 쎽청합니까(M=3.96)의 순서뒛 나타났으며,하위쏞 수준에썺는 담당직원쏑은 귀하에썺게 당황스럽뒁거나 불쾌한 질문을자주 합니까(M=3.85),한다고 생각하싧니까(M=3.81),귀하는 담당직원쏑이 귀하의 문제를 적극적으뒛 처리담당직원쏑과 의사소통이 잘 안썃 된동다고 느끼신 경우가 자주 있습니까(M=3.62) 의 순서뒛 나타났다.두돟 번째뒛 직썲재활시설을 이용쏄하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기관의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쎽인에썺 대하여 살펴보면,복지관 직원쏑들돺은 이용쏄자들돺에썺게 항상 친절합니까(M=4.08),상위쏞 수준에썺는담당 직원쏑은 진지한 태도뒛 서비스를 제공합니까(M=4.00),귀하는 담당 직원쏑에썺게 항상 편- 36 -


안썃한 마음으뒛 도움쏋을 쎽청합니까(M=3.62) 의 순서뒛 나타났으며,하위쏞 수준에썺는 담당 직원쏑은 귀하에썺게 당황스럽뒁거나 불쾌한 질문을 자주 합니까(M=3.08),니까(M=3.08),담당 직원쏑과 의사소통이 잘 안썃 된동다고 느끼신 경우가 자주 있습복지관의 직원쏑은 장애썑인의 권익을 존중해 준다고 생각하싧니까(M=3.08) 의 순서뒛 나타났다.<strong>부모의</strong>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장애썑인복지관을이용쏄하고 있는 <strong>부모의</strong> 인식(M=3.99)이 직썲재활시설을 이용쏄하고 있는 부모보다 인식(M=3.55)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썆 수 있으며,두돟 집단 간에썺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65, p


표 Ⅳ. 14>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비교1.문록 항현재욈 왭용옮하는 봂비벊스의왨 질에 대해봂는 충분뱩히 만렉족하십니까귡?2. 봂비벊스를럷 밙는 시간은왛 욜당합니까귡?뱒지관(N=74)시설봈(N=24)M SD M SD3.70 .71 3.22 .42 3.13 **3.92 .55 3.65 .49 2.04 *3. 초기귕면렺욡봂비벊스에 만렉족하십니까귡? 3.86 .60 3.57 .51 2.11 *4. 직업평가봂비벊스에 만렉족하십니까귡? 3.62 .71 3.26 .69 2.14 *5.제욥공되는 직업개밚 및뢆 배밣치봂비벊스에 만렉족하십니까귡?3.38 .84 2.65 .65 3.77 **6. 사볞후지도봂비벊스에 만렉족하십니까귡? 3.35 .76 2.96 .47 2.31 *7.담당직원옻은왛 귀하가 참여하고 있왷는 프럁그램래에 대한 일왰정욣왭나깙 과정욣에 대해 자세봑히 설봈명렾해 줍웜니까귡?8. 담당직원옻들은왛 장욆애인왯들의왨 욕구나깙불뱫만렉을왜 충분뱩히 뢌반영엸한 후 봂비벊스를럷 제욥공합니까귡?9. 현재욈 밙고 있왷는 봂비벊스가 귀하에게 가장욆 욜절욞하다고 생보각하십니까귡?10. 현재욈 밙고 있왷는 봂비벊스 외옟에 뱒지관에봂 제욥공하는 다른럶 밙고 싶은왛 봂비벊스가 있왷습니까귡?3.94 .68 3.65 .49 1.903.77 .66 3.65 .49 .793.54 .72 3.43 .66 .643.24 1.03 3.91 .51 3.00 **전욝 체 3.63 .39 3.40 .27 2.66 ***p < .05 **p < .01t< 표 Ⅳ. 14> 에썺서,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을 장애썑인복지관을이용쏄하고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를 통해 살펴보면,상위쏞 수준에썺는 담당직원쏑은 귀하가 참여하고 있는 프뒛그램둲에썺 대한 일정이나 과정에썺 대해 자세히훙설명해 줍니까(M=3.94),서비스를 받는 시간은 적당합니까(M=3.92),초기면접서비스에썺 만족하싧니까(M=3.86) 의 순서뒛 나타났으며,하위쏞 수준에썺는제공되돘는 직썲개발 및 배치서비스에썺 만족하싧니까(M=3.38),사후횦지도서비- 38 -


스에썺 만족하싧니까(M=3.35),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 외쎵에썺 복지관에썺서 제공하는 다른 받고 싶싪은 서비스가 있습니까(M=3.24) 의 순서뒛 나타났다.두돟 번째뒛 직썲재활시설을 이용쏄하고 있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쎽인에썺 대하여 살펴보면,상위쏞 수준에썺는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 외쎵에썺 복지관에썺서 제공하는 다른 받고 싶싪은 서비스가 있습니까(M=3.91),서비스를 받는 시간은 적당합니까(M=3.65),담당직원쏑은 귀하가 참여하고 있는 프뒛그램둲에썺 대한 일정이나 과정에썺 대해 자세히훙설명해 줍니까(M=3.65),담당직원쏑들돺은 장애썑인들돺의 쎾구나 불만을 충분히훙반쎎한 후횦 서비스를 제공합니까(M=3.65) 의 순서뒛 나타났으며,하위쏞 수준에썺는 현재 이용쏄하는 서비스의 질에썺 대해서는 충분히훙 만족하싧니까(M=3.22), 사후횦지도서비스에썺 만족하싧니까(M=2.96),제공되돘는 직썲개발 및배치서비스에썺 만족하싧니까(M=2.65) 의 순서뒛 나타났다.<strong>부모의</strong>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수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위쏞의 두돟 쎽인과마찬가지뒛 장애썑인복지관을 이용쏄하고 있는 <strong>부모의</strong> 인식(M=3.63)이 직썲재활시설을 이용쏄하고 있는 부모보다 인식(M=3.40)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썆수 있으며, 두돟 집단 간에썺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66, p


대해서 낮은 인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뒛 미루뒴어썩 보아 위쏞 시설에썺 대한 인식에썺서와쎦 마찬가지뒛 서비스에썺 대한 접근성에썺 문제가 있음을 알썆 수 있다.이러둼한 결과들돺을 토대뒛, 위쏞 기관에썺 대한 인식,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모두돟에썺서 장애썑인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strong>부모의</strong>인식이 높음을 알썆 수 있으며,또됶한 직썲재활서비스에썺 대한 접근성과 내용쏄면에썺 대한 적절한 개선방안썃이 필쎽함을 알썆 수 있다.3.부모 관련뒐 변인에썺 따됌른 직썲재활인식 쎽인 비교<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 인식과 이에썺 주쎽한 쎎향을 미치는 부모 관련뒐 변인들돺을 알썆아보기 위쏞하여 일원쏑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1)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수준에썺 따됌른 인식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수준에썺 따됌른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에썺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의 < 표 Ⅳ. 15> 와쎦 같다.< 표 Ⅳ. 15>소득수준에썺 따됌른 인식변뱈 수 소득수준웗 N M SD F Scheffe 검증기귕관에 대한인왯식직원옻에 대한인왯식100만렉원옻 왭하 24 3.70 .50 3.10 *100-150만렉원옻30 3.33 .82150-200만렉원옻17 3.81 .42200만렉원옻 왭상볪 27 3.63 .38합 계 98 3.59 .60100만렉원옻 왭하 24 3.98 .53 2.31100-150만렉원옻30 3.77 .48150-200만렉원옻17 3.94 .37200만렉원옻 왭상볪 27 3.70 .35합 계 98 3.83 .45- 40 -


봂비벊스에대한 인왯식전욝체 인왯식100만렉원옻 왭하 24 3.61 .36 1.13100-150만렉원옻30 3.47 .43150-200만렉원옻17 3.63 .45200만렉원옻 왭상볪 27 3.63 .25합 계 98 3.57 .38100만렉원옻 왭하 24 3.74 .33 2.04100-150만렉원옻30 3.53 .52150-200만렉원옻17 3.79 .35200만렉원옻 왭상볪 27 3.67 .23합 계 98 3.66 .39*p 에썺서 살펴본 바와쎦 같이,<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 가족의 월쏒 평균 소득수준은 기관에썺 대한 인식(F=3.10, p 와쎦 같다.< 표 Ⅳ.- 41 -


표 Ⅳ. 16>이용쏄기간에썺 따됌른 인식변뱈 수 왭용옮기귕간 N M SD F Scheffe 검증기귕관에 대한인왯식직원옻에 대한인왯식봂비벊스에대한 인왯식전욝체 인왯식6개월옼 왭하 23 3.01 .52 .786개월옼-1년꺑8 3.89 .521년꺑-1년꺑 6개월옼10 3.68 .401년꺑 6개월옼-2년꺑11 3.59 .502년꺑 왭상볪 46 3.50 .70합 계 98 3.59 .606개월옼 왭하 23 3.74 .46 1.556개월옼-1년꺑8 4.19 .451년꺑-1년꺑 6개월옼10 3.80 .291년꺑 6개월옼-2년꺑11 3.85 .452년꺑 왭상볪 46 3.82 .46합 계 98 3.83 .456개월옼 왭하 23 3.64 .34 2.79 *6개월옼-1년꺑8 3.79 .391년꺑-1년꺑 6개월옼10 3.63 .271년꺑 6개월옼-2년꺑11 3.76 .362년꺑 왭상볪 46 3.45 .39합 계 98 3.57 .386개월옼 왭하 23 3.66 .36 1.536개월옼-1년꺑8 3.95 .431년꺑-1년꺑 6개월옼10 3.70 .271년꺑 6개월옼-2년꺑11 3.72 .432년꺑 왭상볪 46 3.59 .41합 계 98 3.66 .39*p < .05< 표 Ⅳ. 16> 에썺서 살펴본 바와쎦 같이,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 이용쏄기간은서비스에썺 대한 인식(F=2.79, p


향을 준다고 할 수 있으며,그 외쎵의 인식 쎽인과 전체 인식에썺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썅았썍다.집단 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썆아보기 위쏞해 사후횦검정을 실시한 결과,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썅았썍다.위쏞의 다섯 가지 변수들돺 가운쏇데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을 전체 평균으뒛 살펴보면, 6개월쏒-1 년(M=3.79), 1년 6개월쏒-2 년(M=3.76), 6 개월쏒(M=3.64), 1년-1년 6 개월쏒(M=3.63), 2 년 이상(M=3.45)의 순서뒛 인식 수준이 높음을 알썆 수있다.유3)<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에썺 따됌른 인식<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에썺 따됌른 직썲재활에썺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의 < 표 Ⅳ. 17> 과 같다.< 표 Ⅳ. 17><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에썺 따됌른 인식변뱈 수 교육수준웗 N M SD F Scheffe 검증기귕관에 대한인왯식직원옻에 대한인왯식중웞 졸울 26 3.25 .73고 졸울 46 3.74 .42중웞졸울-고졸울초졸울 왭하 14 3.67 .50 4.20 **대졸울 왭상볪 12 3.62 .76합 계 98 3.59 .60초졸울 왭하 14 4.07 .49 3.02 *중웞 졸울 26 3.70 .45고 졸울 46 3.78 .39대졸울 왭상볪 12 4.01 .51합 계 98 3.83 .45*- 43 -


봂비벊스에대한 인왯식중웞 졸울 26 3.33 .28초졸울 왭하-중웞졸울초졸울 왭하 14 3.77 .35 6.38 **고 졸울 46 3.60 .35대졸울 왭상볪 12 3.75 .46합 계 98 3.57 .38*중웞졸울-고졸울***중웞졸울-대졸울 왭상볪전욝체 인왯식중웞 졸울 26 3.39 .34초졸울 왭하-중웞졸울초졸울 왭하 14 3.84 .39 7.00 **고 졸울 46 3.71 .32대졸울 왭상볪 12 3.87 .53합 계 98 3.66 .39*중웞졸울-고졸울****중웞졸울-대졸울 왭상볪*p < .05 **p < .01< 표 Ⅳ. 17> 에썺서 살펴본 바와쎦 같이,<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은 기관에썺 대한 인식(F=4.20, p


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1)각 쎽인별 상관관계직썲재활서비스에썺 대한 기관에썺 대한 인식,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서비스에썺대한 인식으뒛 분류듆하여 상관관계를 제시하면 다음의 < 표 Ⅳ. 18> 과 같다.< 표 Ⅳ. 18>인식 쎽인별 상관관계기귕관에 대한 인왯식 직원옻에 대한 인왯식봂비벊스에 대한인왯식기귕관에 대한 인왯식 1.000직원옻에 대한 인왯식 .389 ** 1.000봂비벊스에 대한인왯식.626 ** .638 ** 1.000**p < .01<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에썺 대한 세 가지 인식 쎽인 간의상관관계는 모두돟 통계적으뒛 매우 유의미한 것으뒛 나타났다.2)인식 쎽인과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 및 변수들돺의 상대적 크기(1)직썲재활인식 쎽인과의 상관관계<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인식 쎽인과 부모 관련뒐 변수들돺과의 상관관계는 < 표 Ⅳ.19> 와쎦 같다.- 45 -


표 Ⅳ. 19>직썲재활인식 쎽인과의 상관관계변뱈 수 기귕관에 대한 인왯식 직원옻에 대한 인왯식봂비벊스에 대한인왯식부뱧모의왨 성봏별뱉 .006 .268 ** .125자녀꺏의왨 교육수준웗 .288 ** .207 * .112자녀꺏의왨 장욆애등귑 .253 * .196 .178봂비벊스 왭용옮기귕간 .113 .002 .241 *필요한 봂비벊스 유형 .218 * .314 ** .412 **봂비벊스 기귕관유형 .282 ** .349 ** .270 **기귕관에 대한 인왯식 1.000 .389 ** .626 **직원옻에 대한 인왯식 .389 ** 1.000 .638 **봂비벊스에 대한 인왯식 .626 ** .638 ** 1.000전욝체 인왯식 수준웗 .842 ** .770 ** .879 ***p


Ⅳ. 20> 과 같다.< 표 Ⅳ. 20>기관에썺 대한 인식의 회귀분석 결과비벊표준웗화 계수 표준웗화 계수독렄변뱈수tB 표준웗오옃차 β상볪 수 .497 .576 .86X 1 자녀꺏의왨 교육수준웗 .118 .055 .174 2.15 *X 2 봂비벊스기귕관 유형 -.221 .118 -.162 -1.88X 3 직원옻에 대한 인왯식 -.119 .140 -.091 -.85X 4봂비벊스에 대한인왯식.989 .165 .629 5.99 ***p < .05 **p < .01다중상관계수(R) 는 .664 뒛 나타났고, 적합계수(R 2 ) 는 .441뒛 나타나 종속변수인 기관에썺 대한 인식에썺 대하여 썛이를 다중회귀방정식으뒛 표시하면 다음과 같으며,44.1% 의 설명뒏이 있음을 의미한다.분산분석 결과뒛 보았썍을 때됖 회귀식은 통계적으뒛 유의미하다라고 볼 수 있다(F=17.19, df=4,p


(3)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의 회귀분석아래둮의 각각의 독립변수들돺이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에썺 미치는 쎎향을 알썆아보기 위쏞하여, 동돐시입뒏방식을 통해 통계 처리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의 < 표Ⅳ. 21> 과 같다.< 표 Ⅳ. 21>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의 회귀분석 결과비벊표준웗화 계수 표준웗화 계수독렄변뱈수tB 표준웗오옃차 β상볪 수 1.201 .445 2.70X 1 부뱧모의왨 성봏별뱉 .130 .079 .138 1.66X 2 자녀꺏의왨 교육수준웗 .041 .046 .082 .87X 3 봂비벊스기귕관 유형 -.125 .098 -.120 -1.28X 4 기귕관에 대한 인왯식 -.078 .082 -.102 -.95X 5봂비벊스에 대한인왯식.772 .125 -643 6.15 ****p < .01다중상관계수(R) 는 .684 뒛 나타났고, 적합계수(R 2 ) 는 .468뒛 나타나 종속변수인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에썺 대하여 썛이를 다중회귀방정식으뒛 표시하면 다음과 같으며,46.8% 의 설명뒏이 있음을 의미한다.분산분석 결과뒛 보았썍을 때됖 회귀식은 통계적으뒛 유의미하다라고 볼 수 있다(F=15.11, df=5,p


러둼한 결과를 통하여,<strong>부모의</strong>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쎃시 기관에썺 대한 인식과마찬가지뒛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이 많은 쎎향을 준다는 것을 알썆 수 있다.(4)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의 회귀분석아래둮의 각각의 독립변수들돺이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에썺 미치는 쎎향을 알썆아보기 위쏞하여, 동돐시입뒏방식을 통해 통계 처리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의 와쎦 같다.< 표 Ⅳ. 22>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의 회귀분석 결과비벊표준웗화 계수 표준웗화 계수독렄변뱈수tB 표준웗오옃차 β상볪 수 1.442 .311 4.64X 1 봂비벊스 왭용옮기귕간 -.039 .015 -.176 -2.60 *X 2 필요한 봂비벊스유형 -.034 .018 -.134 -1.88X 3 봂비벊스기귕관 유형 .000 .063 .001 .01X 4 기귕관에 대한 인왯식 .266 .046 .419 5.83 **X 5 직원옻에 대한 인왯식 .364 .062 .436 5.82 ***p < .05 **p < .01다중상관계수(R) 는 .799 뒛 나타났고, 적합계수(R 2 ) 는 .638뒛 나타나 종속변수인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에썺 대하여 썛63.8% 의 설명뒏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다중회귀방정식으뒛 표시하면 다음과 같으며,분산분석 결과뒛 보았썍을 때됖 회귀식은 통계적으뒛 유의미하다라고 볼 수 있다(F=30.30, df=5,p


는 것으뒛 나타났으며,이에썺 대한 구체적인 내용쏄을 살펴보기 위쏞하여 단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관에썺 대한 인식(t=5.83, p


Ⅴ.결론뒝 및 제언썫1.쎽썛 및 결론뒝본 연쎅구는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인식을 살펴봄으뒛써싾,<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사회적 쎃할을 강화하고 <strong>부모의</strong> 경제적 및 정서적 부담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용쏄자 만족 중싦의 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 이용쏄에썺있어썩서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점들돺에썺 대한 개선방안썃을 마련뒐하는데 그목적을 두돟고 있다.이를 위쏞하여 직썲재활서비스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또됶한 이용쏄하고 있는 장애썑인복지관과 직썲재활시설뒛 기관 유형을 분류듆하고,이를 이용쏄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뒛 인식 수준 차이에썺 대하여 밝히훙고,이러둼한 인식에썺 쎎향을 주는 쎽인에썺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쏞하여 일원쏑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또됶한 <strong>부모의</strong> 인식 쎽인과 부모 관련뒐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strong>부모의</strong> 인식 쎽인은 직썲재활서비스를 실제 이용쏄하면서 느낀 점들돺을 항목으뒛 분류듆하여 세 가지 쎽인으뒛제시하였으며,이와쎦 같은 내용쏄을 토대뒛 분석한 결과를 통해 획득한 결론뒝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첫째,알썆아본 결과,<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기관에썺 대한 인식 수준을장애썑인복지관을 이용쏄하고 있는 <strong>부모의</strong> 인식과 직썲재활시설을 이용쏄하고 있는 <strong>부모의</strong> 인식 모두돟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쎽인이 가장 게 나타났다. 그러둼나,그 수준에썺서 두돟 집단 간에썺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이는 실제뒛 직썲재활시설의 직원쏑들돺이 가질 수 있는 경제적 및 물리적제한점들돺뒛 인하여 장애썑인에썺 대한 권익 문제에썺 유용쏄하게 개입하지 못하는것이 원쏑인이 됨돛을 알썆 수 있다.둘돢째,직썲재활기관의 서비스 이용쏄기간에썺 따됌른 결과를 살펴보면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에썺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뒛 나타났으며,장기간의 서비스 이용쏄 시에썺는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을 제외쎵하고는 오히훙려 낮은 인식을 보- 51 -


이는 것으뒛 나타났다. 이러둼한 결과는 기관의 시설상태나 접근성의 문제,서비스 내용쏄의 질적인 면이 현 시점과 장애썑인 이용쏄자를 중싦으뒛 개선되돘어썩썚 함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됶한,<strong>부모의</strong> 교육수준에썺 따됌라서는기관에썺 대한 인식,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전체 인식에썺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뒛 나타났으며,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에썺서 다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뒛 나타났다.<strong>부모의</strong> 전체 인식에썺서는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쎽인이 가장 많은 쎎향을 주는 변인으뒛서 나타났다.셋째,<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인식에썺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식 쎽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돟 매우 높은 것으뒛 나타났다.기관에썺대한 인식은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교육수준, 서비스 기관의 유형,직원쏑에썺 대한 인식,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전체 인식 수준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장애썑등돿급,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자들돺에썺게 필쎽한 서비스 유형과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은 <strong>부모의</strong>성별, 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자들돺에썺게 필쎽한 서비스 유형,서비스 기관의 유형, 기관에썺 대한 인식,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전체 인식 수준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녀의 교육수준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마지막으뒛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은 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자들돺에썺게 필쎽한 서비스 유형, 서비스 기관의 유형, 기관에썺 대한 인식,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전체인식 수준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직썲재활서비스 이용쏄기간과는또됶한, <strong>정신지체인</strong> 자녀의 부모 인식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strong>부모의</strong> 기관에썺 대한 인식에썺는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과 자녀의 교육수준이 많은 쎎향을주고 있으며, 직원쏑에썺 대한 인식에썺는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서비스에썺 대한 인식에썺는 기관에썺 대한 인식과 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쎽인,이 많은 쎎향을 준다는 것을 알썆 수 있다.서비스의 이용쏄기간2.제 언썫이상과 같은 결론뒝을 바탕으뒛 본 연쎅구에썺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썫하고자 한- 52 -


다.첫째,서비스의 접근성 및 장애썑인 이용쏄자의 권익에썺 대한 문제가제기되돘고있는 직썲재활시설 내의 생산성과 관련뒐한 취썛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방안썃 및 직썲재활 프뒛그램둲의 다양썢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원쏑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쎽하다.이는 직썲적 사회구성원쏑으뒛써싾의 제 쎃할을 할 수 있도뒜 장애썑인을 원쏑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결정권이 취썛한 <strong>정신지체인</strong>의만족도와쎦 쎽구를 현실 적용쏄하는데 도움쏋이 되돘는 <strong>부모의</strong> 장기적인 긍정적 인식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쏋이 되돘며,직썲재활시설의 경우 직썲재활서비스를통하여 보호고용쏄의 주쎽 기능 중 하나인 경쟁고용쏄으뒛의 연쎅계성이라는 원쏑래둮의 취지를 살리는데 많은 도움쏋이 될돚 것이다.둘돢째,<strong>부모의</strong> 인식 쎽인 가운쏇데 서비스의 이용쏄기간이 장기화될돚수뒜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인식이 낮은 것으뒛 나타났다.이는 서비스 내용쏄이 이용쏄자 중싦이 아닌 기관 중싦으뒛 이들돺의 쎾구와쎦 상태 등돿이 반쎎되돘지 않썅은 결과라할 수 있다. 따됌라서,서비스 내용쏄의 질적인 측면의 지속적인 변화와쎦 더불어썩작썲 및 훈효련뒐과정에썺서의 이용쏄자 특성과 관련뒐한 단계별 개별적 교육 및 훈효련뒐이 강화되돘어썩썚 하며,이용쏄자 <strong>부모의</strong> 참여를 이끌어썩 낼 수 있는 적극적인프뒛그램둲 도입을 통하여 기관과 서비스에썺 대한 신뢰뒧를 형성할 수 있는 운쏇쎎방안썃이 필쎽하다 하겠다.마지막으뒛,직썲재활서비스에썺 대한 인식 가운쏇데 직썲재활과 직접적으뒛관련뒐한 직썲개발 및 배치나 사후횦지도에썺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남을 알썆 수있썵다.이는 이러둼한 서비스에썺 대한 정보의 부족이 원쏑인이 될돚 수도 있으며혹은 이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인 가지고 있는 목적에썺 적합하지 않썅은 경우가 원쏑인이 될돚 것이다. 따됌라서,장애썑인복지관 및 직썲재활시설을 포함한 장애썑인재활기관은 장애썑인 이용쏄자 및 부모에썺게 현실적으뒛 필쎽한 서비스 프뒛그램둲을 구축함은 물론뒝 이에썺 대한 적극적인 정보제공을 통하여 유용쏄하게접근할 수 있도뒜 하는 것이 중쎽하다 하겠다.- 53 -


참 고 문 헌가현자. (1999). 한국의 장애썑인복지서비스 실태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 미간행 석사학위쏞 청구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쏑.강선경. (2002). 장애썑자녀를 둔돡 <strong>부모의</strong> 태도,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 지원쏑이 그들돺의 생활만족도에썺 미치는 쎎향에썺 대한 연쎅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썲, , 14. 한국정신보건사회사썲학회. 7-35.강위쏞쎎, 나운쏇환. (2001). 직썲재활개론뒝 . 서울쏈: 나눔의 집.곽준기, 박희훓찬. (1994). 지체장애썑인의 전환과정 결과에썺 <strong>관한</strong> 종단적 분석. 삼육재활 센터.김용쏄득. (2003). 장애썑인복지관의 지쎃사회중싦센터뒛의 변화 모색. 2003년장애썑인복지관장연쎅수회. 사단법인 한국장애썑인복지관협회.나운쏇환. (2000). 재활행정 및 기획론뒝. 서울쏈: 홍익제.남상만, 나운쏇환, 유명화. (1998). 장애썑인복지개론뒝. 서울쏈: 홍익제.문진하. (1996). 정신지체아 어썩머니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미간행 석사학위쏞 청국논문박석돈. (1999). 장애썑학생사.: 연쎅세대학교 대학원쏑.( 직썲 ) 진뒛교육의 이론뒝과 실제. 대구 : 금강문화박석돈, 이재철. (2000). 외쎵상성 뇌손상 장애썑인의 고용쏄방안썃에썺 <strong>관한</strong> 고찰. 직썲재활연쎅구, , 10(1). 한국직썲재활학회. 11-36.박석돈, 조주현. (2000). 직썲배치에썺 있어썩서 직썲재활상담사의 쎃할 및 전략둸. 직썲재활연쎅구 10(2), 한국직썲재활학회. 19-29.박석돈. (2001). 직썲재활시설의 쎃할 및 기능과 발전방향.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38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19-37.박석돈, 전미리, 노임대 (2001). 취썲정신장애썑인 가족들돺의 삶의 질에썺 <strong>관한</strong>연쎅구. 재활싦리연쎅구, , 8(1). 한국재활싦리학회. 81-105.박순국. (1988). 정신박썛자녀의 장래둮보장을 위쏞한 <strong>부모의</strong> 쎾구조사. 미간행 석사학위쏞 청구논문: 연쎅세대학교 대학원쏑.- 54 -


박희훓찬, 이종남, 양썢숙미, 허경아, 이원쏑형 (1996). 장애썑인재활 . 서울쏈 : 도서출판 특수교육.보건복지부. (2003). 장애썑인복지사썲안썃내. 보건복지부.서미경. (2001). 성인정신장애썑인을 돌돊보는 부모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정신질환자 부모와쎦 <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비교. 신경정신의학, , 40(3).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3-451.손광훈효. (1996). 발달장애썑아 가족사정 도구개발과 효횡과성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미간행 석사학위쏞 청구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쏑.양썢숙미. (1998). 성인 발달장애썑인 가족의 능뒏고취를 위쏞한 가족지원쏑 프뒛그램둲. 사회복지연쎅구, , 12. 서울쏈대학교 사회복지연쎅구소.양썢숙미. (1999). 정신지체 성인자녀를 가진 <strong>부모의</strong> 부담완쎨화를 위쏞한 싦리교육적 지지집단 프뒛그램둲의 효횡과. 직썲재활연쎅구, , 9. 한국직썲재활학회.165-195.양썢쎚경. (1995). 정신장애썑인 가족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 가족의 보호부담, 대처기제,서비스 쎾구를 중싦으뒛. 신경정신의학 34. 대한신경정신의학회.809-829.윤이화. (1997). <strong>정신지체인</strong> 가족의 적응. 미간행 석사학위쏞 청구논문양썢대학교 대학원쏑.이경희훓. (1993). 장애썑아동돐의 가족스트레스와쎦 적응의 구조모형. 미간행 박사학위쏞 청구논문: 연쎅세대학교 대학원쏑.이달엽쎊. (1997). 재활과학론뒝 . 서울쏈 : 형설출판사.이달엽쎊. (2000). 직썲상담의 이론뒝과 실제. 서울쏈: 형설출판사.이동돐한. (2000). 장애썑인서비스 고객만족 결정쎽인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 미간행 박사학위쏞 청구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쏑.이상욱. (2000). 사회교육프뒛그램둲 개발을 위쏞한 청각장애썑인들돺의 생활실태조사 연쎅구. 직썲재활연쎅구, , 10(1), 한국직썲재활학회. 1-11.임지향. (2000).정신지체아 가정의 가족기능과 <strong>부모의</strong> 일상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 미간행 박사학위쏞 청구논문 : 대구대학교 대학원쏑.장애썑우권익문제연쎅구소. (2001). 장애썑우복지개론뒝. 장애썑우권익문제연쎅구소.:한- 55 -


차흥훑봉. (2002). 장애썑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와쎦 장애썑인복지관의 쎃할 재정립. 서울쏈장애썑인종합복지관 개관 20 주년 기념세미나 자료뒮.서울쏈장애썑인종합복지관.최연쎅실. (1996).행 박사학위쏞 청구논문최재성. (1998).교 사회복지연쎅구원쏑.청소년 자녀기 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썺 <strong>관한</strong> 연쎅구.: 서울쏈대학교 대학원쏑.미간98 장애썑인복지관 운쏇쎎평가 프뒛그램둲 개발연쎅구. 연쎅세대학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 (1995). 장애썑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 (1996). 장애썑인 취썲실태와쎦 고용쏄의 경제적 효횡과. 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 (2000). 장애썑인근뒛자실태조사 . 한국보건사회연쎅구원쏑.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2002). Mental retardation: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systems of supports. American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Arnold, B., & Orozco, S. (1988). Physical disability, acculturation, andfamily interaction among Mexican American. Journal of AppliedRehabilitation counseling, 20(2), 28-32Bass, D. S. (1990). Caring families : Supports and interventions. NASWPress.Bechmam, P. (1983). Influence of selected child characteristics on stressin families of handicapped infants. American Journal of MentalRetardation, 88, 150-156.Belgrave, F. (1991).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justment to disabilityin African Americans. Journal of Rehabilitation Jan/Feb/Mar,37-40.Berry, M., & Zimmerman, A. (1983). Transition services secondary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 A statewide perspective.Exceptional Children, 507-514.- 56 -


Blacher, J. (1984). Sequential stages of parental adjustment to the birthof a child with handicaps. Fact or artifact? Mental Retardation, 22,55-68.Bray, G. P. (1977). Reactive patterns in families of the severly disabled.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20, 236-239Breslau, N. (1983). Care of disabled children and women's time use.Medical care, 21, 620-629.Bristol, M. M. (1984). Family resources and successful adaptation toautistic children. In sehopler. E. & Meisbov. G.(eds), The effect ofautism on the family. New York : Pleneum Press.Bristol, M. M., Gallagher, J. S., & Schoper, E. (1988). Mother and father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nondisabled boys.Developmental Psychology, 24, 441-451.Bull, R. C. (1998). Traumatic brain injury and quality of life withinfamily set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thern ArizonaUniversity.Cohen, R., & Lavach, C. (1995). Strengthening partnerships betweenfamilies and service providers. In P. Adams & K. Nelson (Eds.),Reinventing human services: Community and family centeredpractice(pp. 261-277). New York : Aldine de Gruyter.Cook, D., & Ferritor, D. (1985). The family : A potential resource in theprovis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Journal of AppliedRehabilitation Counseling, 16(2), 52-53.Cottone, R. R., Handelsman, M., & Walters, N. (1986). Understandingthe influence of family systems on the rehabilitation process.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17, 37-40.Crnic, K. A., Friedrich, W. N., & Greenberg, M. T.(1983). Adaptation offamilie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 A model of stress,coping and family ecology.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57 -


88, 125-138.Dew, D., Phillips, B., & Reiss, D. (1989). Assessment and early planningwith the family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Journal ofRehabilitation, 55, 41-44.Dumas, A., & Sadowsky, D. (1984). A family training program foradventiously blinded and low vision veterans. Journal of VisualImpairment and Blindness.Emde, R. N., & Brown, C. (1978). Adaptation to the birth of a Down'ssyndrome infan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Psychiatry, 17(2), 299-323.Evans, L., Bishop, S., Matlock, L., Stranahan, S., Smith, G., & Halar, E.(1987). Family interaction and treatment adherence after stroke.Archives of Physical Medical Rehabilitation, 68, 513-517.Featherstone, H. (1980). A difference in the family, New York: Basicbooks.Ferris P. A., & Marshall, C. A. (1987). A model project for families ofthe chronically mentally ill. Social Work, 32, 110-113.Genther, U. (1990). Patient career in end stage renal failure. SocialScience and Medicine, 30, 1211-1224.Harris, V. S., & McHale, S. M. (1989). Family life problem. dailycaregiving activit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mentallyDeficiency, 94, 232239.Herbert, J. T. (1989). Assessing the need for family therapy. A primerfor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28(3), 155-160Hodapp, R. M., & Zigler, E. (1993). Comparison of families of childrenwith mental retardation and families of children without mentalretardation. Mental Retardation, 31(2), 75-77.Jamison, R., & Virts, R. (1989). The influence of family support on- 58 -


chronic pain. Behavioral Research and thrapy, 28, 283-287.Kanner, L. (1953). Parent's feelings about retarded children. American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0, 431-436.Kennedy, C. (1989). Community integration and well-being : Towardthe goal of community care. Journal of Social Issues, 45(3), 65-77.Kirkham, M. A. (1993). Two-year follow-up of skills training with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retardation. 97(5), 509-519.Kosciulek, J. (1994). Relationship of family coping with head injury tofamily adap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39(4), 215-230Marlow, D. R. (1988). Textbook of Pediatric Nursing, Saunder.Marsh, D. (1992). Families and mental illness : New directions inprofessional practice. New York : Praeger.McCubbin, M.(1989).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 A comparisonof single-and two-parent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2, 101-110.McDaniel, J. W. (1976). Physical disability and human behavior, NewYork : Pergamon press.Meyerson, R. C. (1983). Family & parent group therapy. In M.Seligman(eds)., The family with a handicapped child: understanding& treatment, San Francisco: Harcourt Brace Jovanovich. 285-308.Moore, J. (1984). Impact of family attitudes toward blindness/visualimpairment on the rehabilitation process. Journal of VisualImpairment & Blindness, 78(3), 100-105Nassef, R. A. (1988). What helps families of exceptional children tocope successful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Temple. USA.Nixon, C. D., & Singer, G. H. S.(1993). A group cognitive-behavioraltreatment for excessive parental self-blame and guilt. American- 59 -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7(6), 665-672Onken, S. J. (1997). Disability Resource Curriculum for Social WorkEducators. Texas Department of Mental Health & MentalRetardation.Pilsuk, M., & Park, S. H. (1988). Caregiving, Where families need help.Social Work., 436-440.Poll, L. H. (1986). A survey of the unemployment of persons withdisabilities.Ross, M., & Calvert, D. (1973). The semantics of deafness. In Northcott,W. (Ed), The hearing impaired child in regular classroom,Washington D. C., The Alexander Gramham Bell Association forthe deaf, 13-17.Roth, W. (1982). Poverty and the handicapped child. Children and YouthServices Review, 4, 67-75.Seltzer, M. M., & Krauss, M. W., & Tsunematsu, N.(1993). Adults withdown syndrome & their aging mothers: dignostic group differences.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7(5), 496-508.Smith, L. M., & Godfrey, H. P. D. (1995). Family support program andrehabilitation : A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to traumaticbrain injury. New york : Plenum.Twe, B., & Laurence. K. M. (1975). Some sources of stress of found inmothers spina bifida children, British Journal of Preventive andSocial Medicine, 29, 17-30.Vargo, F. (1983). Adaptation to disability by the wives of spinal cordmale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AppliedRehabilitation Education.Weisgerber, R. A., Daul, P. R., & Apple, J. A. (1981). Training thehandicapped for production employment..Weiss, N. R., Leviton, A. N., & Mueller, M. H. (1995). The changing- 60 -


ole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s forpeople with disabilities. edited by Karan. O. C. & Greenspan. S.1995. MA: Butterworth-Heineman.Westin, M., & Reiss, D. (1979). The famaily's role in rehabilitation :Early warning system. Journal of Rehabilitation, 45, 26-29Wilker, L. (1983). Chronic stress of families of mentally retardedchildren. Family Relations, 30, 281-288.Wilson, H. S., & Kneisl, C. R. (1988). Psychiatric nursing(3rd ed.).Addison-Wesley.- 61 -


A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warenessof Parents of the Mentally RetardedYe, Jin-Sung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ScienceDaegu UniversitySupervised by Prof. Park, Suk-Don(Abstract)This study aims to present customer satisfaction-centered alternativesto detailed and realistic problems in the us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institutions in order to enhance social roles of the mental retarded andto relieve their parents' economic and emotional burdens. For thispurpose, the differences of the parents' awareness are identifiedaccording to different facilities of rehabilitation centers and vocationalrehabilitation institutions which conduct and use vocational rehabilitationservice the most. And the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s conducted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groups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the awareness. Again,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parents'awareness factors and parents-related variables. The parents'awareness factors are presented in three factors by classifying whatparents feel when they actually us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zed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levels in the parents ofthe mental retarded about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shows- 62 -


that though both parents groups who are using rehabilitation centers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have a high level in theawareness of staff, there are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wogroups in terms of the level. It can be presumed that economic andphysical restrictions staff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may have preventthem from actively engaging themselves in the issues of handicappedpeople's rights.Second, the result from the period of using the facilities services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ervices. In casethey use long-term services, the parents have low levels of awarenessexcept the awareness level of staff. This result suggests that currentconditions of facilities in institutions and quality aspects of servicecontents should be improved to reflect current trend and to be thedisabled-centered. Further, it is also found that there are very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institutions, of services andof the general situations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s,while there is more or les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staff. In terms of the parents' overall awareness, the factor of serviceawareness is proved to be the variable that makes the most effect.Third, the result of correlation of the awareness of the mentallyretarded people's parents indicat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awareness factors is very high. The awareness of institutions showshigh correlations with the educational levels of the mentally retarded,types of service institutions, the awareness of staff and of service, andthe overall awareness level. Yet, it has more or less high correlationswith the disability levels of the mental retarded and types of services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users need. The awareness of staffhas high correlations with parents' sex, service types that vocationalrehabilitation service users need and the awareness of services, and the- 63 -


overall awareness levels. Lastly, the awareness of services shows highcorrelations with service types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users need, types of service institutions, the awareness of institutions,the awareness of staff, and the overall awareness levels, but more orless high correlation with the period using vocational rehabilitationservices.In addition, the result analyzing the contribution of the parents'awareness points out that the awareness of services and the educationallevels of the mentally retarded have great influence on the parents'awareness of institutions, while the awareness of services on theawareness of staff; the awareness of institutions, the awareness factorsof services and the period us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on theawareness of service.- 64 -


『 부뱧럂』<strong>정신지체인</strong> <strong>부모의</strong> 직썲재활서비스 인식 조사안녕꺖하십니까귡?저는 대구대학교 재욈활과학대학원옻 봃사볞과정욣에 재욈학 중웞인왯 학생보왵니다.본뱔 설봈문록지는 정욣신지체인왯 부뱧모의왨 직업재욈활봂비벊스에 대한 인왯식을왜 조사볞하여 효율왓욜인왯 직업재욈활봂비벊스를럷 제욥공하는 기귕초자료럔를럷 얻고자 왼성봏된 것왵니다.본뱔 연엯구에봂 얻어진 자료럔와옐 결과는 연엯구롂욜만렉으왙럁 왭용옮될 것왭며렸,응왡답 내깪용옮에 대해봂는 모두 왮명렾으왙럁 전욝산볡처리럿 되므롶럁 비벊밀롿왭 보장욆됩니다.뢈쁘병신 가운옱데 번밳거럁움옵을왜 끼깑쳐드려 대단히 죄웊송하오옃며렸,귀하께긃봂참여해 주웕신 설봈문록 내깪용옮은왛 정욣신지체인왯에게 보다 나깙은왛 직업재욈활봂비벊스제욥공하는데 많렊은왛 보탬왭 될 것왭오옃니 욜극 협조해 주웕시면렺 감사볞하겠습니다.의왨문록사볞항왭 있왷는 경우옯,아래랔의왨 연엯락처럁 문록의왨하시면렺 언제욥든지 답변뱈하여 드리럿겠습니다.귀중웞한 시간 내깪 주웕셔봂 대단히 감사볞합니다.2004 년꺑3월옼연엯구자:대구대학교 재욈활과학대학원옻직업재욈활전욝공예염 진 성봏 올옆렃지도교수:뢉 봃 돈연엯락처 : 053) 650-8264011-806-4148- 65 -


※다음왞은왛 본뱔 연엯구를럷 위왈한 기귕초자료럔왭오옃니 귀하의왨 의왨견을왜 공란에표기귕하거나깙 기귕왵하여 주웕시면렺 감사볞하겠습니다.1. 귀하의왨 성봏별뱉은왛 무롚엇왵니까귡?1 남깡 ( )2 여 ( )2. 귀하의왨 연엯령랼은왛 어떻게 되십니까귡?만렉_____________ 세봑3. 귀하의왨 교육수준웗은왛 어떻게 되십니까귡?1 초졸울 왭하 ( )2 중웞졸울( )3 고졸울( )4 대졸울 왭상볪 ( )4. 직업재욈활봂비벊스 왭용옮자의왨 연엯령랼은왛?만렉_____________ 세봑5. 직업재욈활봂비벊스 왭용옮자의왨 교육수준웗은왛?1 초졸울 왭하 ( )2 중웞졸울( )3 고졸울( )4 대졸울 왭상볪 ( )6. 직업재욈활봂비벊스 왭용옮자의왨 장욆애등럂 유무롚는?1 유 ( )2 무롚 ( )- 66 -


7. 직업재욈활봂비벊스 왭용옮자의왨 장욆애등귑은왛? _______ 귑8. 귀하 가족의왨 월옼평균귈 소득은왛?1 100만렉원옻왭하( )2 100만렉원옻-150만렉원옻( )3 150만렉원옻-200만렉원옻( )4 200만렉원옻왭상볪( )9. 귀하의왨 직업종욽류러는 무롚엇왵니까귡?1 전욝문록직 ( )2 사볞무롚직 ( )3 봂비벊스직 ( )4 단순노꺚무롚직 ( )5 농꺢,어업 ( )6 기귕능직 ( )7 자영엸업 ( )8 판매렖직 ( )9 주웕 부뱧 ( )10 무롚 직 ( )10. 봂비벊스 왭용옮자들왭 직업재욈활봂비벊스를럷 왭용옮한 기귕간은왛?1 6개월옼 왭하 ( )2 6개월옼-1년꺑( )3 1년꺑-1년꺑 6개월옼( )4 1년꺑 6개월옼-2년꺑( )5 2년꺑 왭상볪 ( )- 67 -


11. 현재욈,직업재욈활봂비벊스 왭용옮자들에게 가장욆 필요한 직업재욈활봂비벊스는무롚엇왭라고 생보각하십니까귡?1 직업욜응왡훈련랶2 보호왼업3 지원옻고용옮4 취업알선봆5 직업평가6 기귕 타 ( )12. 현재욈, 왭용옮자들왭 직업재욈활봂비벊스를럷 제욥공밙는 시설봈의왨 유형은왛?1 장욆애인왯종욽합뱒지관 ( )2 장욆애인왯직업재욈활시설봈 ( )3 기귕 타 ( )13. 현재욈 부뱧모님께긃봂 자녀꺏럁 인왯해 장욆기귕욜으왙럁 스트랬스를럷 밙고 있왷습니까귡? 밙고 있왷다면렺 그 왭유에 대해 구체욜으왙럁 기귕술해 주웕십시오옃.14.자녀꺏럁 인왯한 부뱧모님의왨 스트랬스와옐 자녀꺏의왨 처우옯가 직업재욈활봂비벊스럁해소될 수 있왷다고 생보각하십니까귡?1 예염(15 번밳으왙럁) 2 아니오옃(16 번밳으왙럁)15.직업재욈활봂비벊스가 자녀꺏에 대한 처우옯와옐 부뱧모님의왨 스트랬스가 해소될수 있왷다면렺 그 구체욜인왯 직업재욈활봂비벊스는 무롚엇왵니까귡?16.직업재욈활봂비벊스가 자녀꺏에 대한 처우옯와옐 부뱧모님의왨 스트랬스를럷 해소시킬 수 없다면렺 그 대안으왙럁 해소시킬 수 있왷는 다른럶 방밡안은왛 무롚엇왵니까귡?- 68 -


※직업재욈활봂비벊스를럷 제욥공밙는 시설봈에 대하여 귀하의왨 평소의왨 생보각을왜솔직하게 답해 주웕시기귕 뢈랍랍니다.문록 항매렖우옯그렇다 그렇다보통왭다그렇지않다매렖우옯그렇지않다1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소가 깨끗하게정돈되어 있습니까?2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최신시설과장비가 충분히 갖추어져 있습니까?3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소가 교육장소로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4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여러 가지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까?5서비스를 받기까지의 이응절차가 편리하다고 생각하십니까?시설 내부에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6 설( 경사로, 화장실 등)은 적절히 갖추어져 있습니까?7건물내부가 장애인이 이용하기에 편리합니까?8 시설까지 오기가 편리합니까?9보호자가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이 갖추어져 있습니까?- 69 -


※직업재욈활봂비벊스를럷 제욥공밙는 시설봈의왨 직원옻에 대한 귀하의왨 평소의왨 생보각을왜 솔직하게 답해 주웕시기귕 뢈랍랍니다.1문록 항직원들은 이용자들에게 항상 친절합니까?매렖우옯그렇다 그렇다보통왭다그렇지않다매렖우옯그렇지않다2귀하는 담당 직원에게 항상 편안한마음으로 도움을 요청합니까?귀하는 담당 직원이 귀하의 문제를3적극적으로 처리한다고 생각하십니까?4담당 직원은 귀하에게 당황스럽거나불쾌한 질문을 자주 합니까?5담당직원은 귀하가 궁금해하는 사항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줍니까?6담당 직원은 이용자의 문제를 잘 이해하고 있습니까?담당 직원은 이용자의 문제해결에7충분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추었다고 생각하십니까?8담당 직원과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고 느끼신 경우가 자주 있습니까?9담당 직원은 진지한 태도로 서비스를 제공합니까?10담당 직원은 장애인의 권익을 존중해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70 -


※직업재욈활봂비벊스를럷 제욥공밙는 시설봈의왨 구체욜인왯 직업재욈활봂비벊스에 대한귀하의왨 평소의왨 생보각을왜 솔직하게 답해 주웕시기귕 뢈랍랍니다.1문록 항현재 이용하는 서비스의 질에 대해서는 충분히 만족하십니까?매렖우옯그렇다 그렇다보통왭다그렇지않다매렖우옯그렇지않다2 서비스를 받는 시간은 적당합니까?3 초기면접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4 직업평가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5제공되는 직업개발 및 배치서비스에만족하십니까?6 사후지도서비스에 만족하십니까?78910담당직원은 귀하가 참여하고 있는프로그램에 대한 일정이나 과정에대해 자세히 설명해 줍니까?담당직원들은 장애인들의 욕구나 불만을 충분히 반영한 후 서비스를 제공합니까?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가 이용자에게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 외에 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다른 받고 싶은 서비스가 있습니까?- 수고하셨습니다. 다시 한번밳 감사볞 드렄니다-- 71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