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시설채소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시설채소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시설채소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다중모형과 공간 클러스터 기법을 활용한 농업 작목의<br />

주산지 변화 분석<br />

-채소를 중심으로-<br />

김현중(<strong>서울대학교</strong> <strong>농경제사회학부</strong> <strong>지역정보전공</strong> 박사수료)<br />

박종훈(<strong>서울대학교</strong> <strong>농경제사회학부</strong> <strong>지역정보전공</strong> 석사과정)<br />

이성우(<strong>서울대학교</strong> <strong>농경제사회학부</strong> <strong>지역정보전공</strong> 교수)<br />

2012 한국지역학회 전기학술대회, 2012.06.22.


Ⅰ. 서론 / 1<br />

Ⅱ. 선행연구 검토 / 5<br />

Ⅲ. 분석방법 및 자료 / 8<br />

Ⅳ. 분석결과 / 13<br />

Ⅴ. 종합 및 시사점 / 21<br />

참고문헌 / 23


Ⅰ. 서론<br />

1<br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br />

• 한국의 농업은 지난 60여 년 동안 대ㆍ내외적인 여건 변화 등으로 인해 많은<br />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농업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 주도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함<br />

• 중앙정부 중심의 농업정책은 농업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쳤으나, 지역 내<br />

내재된 잠재력을 활용하고 극대화하지 못함<br />

• 최근에는 중앙정부 주도의 농업 부흥 전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각 지역의<br />

창의적 노력을 중요시하는 지역농업의 중요성이 대두됨<br />

•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농업을 활성화 시키는 전략 중 하나는 세부 작목별로<br />

주산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산업의 클러스터를 구축하여<br />

지역과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음<br />

• 주산지의 특성과 변화는 특정 작목의 수급균형과 농가의 경영성과에 영향을<br />

미칠 수 있으므로, 주산지를 중심으로 지역농업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농업의<br />

산업적ㆍ지역적 장점을 반영할 수 있는 전략임<br />

• 따라서, 주산지에 대한 변화와 그 동인 등을 파악하여 농산업적 측면에서 해당<br />

지역에서 어떠한 작목을 재배하는 것이 지역적ㆍ국가적 차원에서 생산성과<br />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Ⅰ. 서론<br />

2<br />

• 우리나라에서 주산지 혹은 지역농업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음<br />

• 그러나 이성우 외(2003)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는 거시자료 기반의 입지상 기법<br />

(LQ: Location Quotient), 변화-할당 분석(Shift-Share Analysis)을 주로 활용<br />

• 이는 다양한 계량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적 판단의 근거자료로서<br />

활용가치가 높지 않음<br />

• 이성우 외(2003)는 미시적 계량기법을 통해 특화산업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br />

계량적인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결하였으나, 공간적 의존성이 반영된 주산지를<br />

탐색하지는 않음<br />

2. 연구의 목적<br />

• 미시자료 기반의 다중모형(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지역의 이질적 특성을<br />

고려함과 동시에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br />

주산지를 탐색하고 변화과정을 분석함<br />

• 다양한 작목의 주산지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br />

그리고 실제 주산지의 변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기존 주산지 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볼<br />

수 있는 측면 등의 의의를 지님


Ⅰ. 서론<br />

3<br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br />

• 연구의 범위<br />

-시간적 범위 : 1995~2010년<br />

-공간적 범위 : 전국 시ㆍ군ㆍ구<br />

-분석대상 작목 : 채소 (노지채소와 <strong>시설채소</strong>로 구분)<br />

• 연구 방법<br />

-다중모형(Multi-Level Model)<br />

-국지적 모란지수(Local Moran’s I)


Ⅰ. 서론 4<br />

3. 채소작목의 주산지 변화 분석과정


Ⅱ. 선행연구 검토 5<br />

(1) 선행연구 현황<br />

연구 주제 연구자 주요 내용<br />

특화 작목<br />

선정<br />

김정호 외(2005)<br />

김충실·이현근<br />

(2010)<br />

김태보(2006)<br />

이성우 외(2003)<br />

임형백 외(2004)<br />

각 도별로 지역적 특화작목 및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농업클러스터<br />

발전방안 연구<br />

작물 및 가축의 요인지표를 활용, 인자분석을 통해 대구·경북 지역농<br />

업의 특화도 분석<br />

입지상 분석(LQ)과 변인할당모형을 이용하여 제주 농업의 특화수준<br />

분석<br />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농축산물판매소득 결정요인과 농축산물 판매소<br />

득을 기준으로 경기도의 작목별 특화산업을 분석<br />

계획적 관점에서 특화작목 선정시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br />

특화작목 선정을 위한 방법론 제언


Ⅱ. 선행연구 검토 5<br />

연구 주제 연구자 주요 내용<br />

주산지<br />

분석<br />

작목의<br />

적지분석<br />

지역농업<br />

활성화<br />

방안<b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br />

(2002)<br />

Deschenes and<br />

Greenstone(2007)<br />

전형진 외(2008)<br />

박유민·김영호(2011)<br />

김태준 외(2005)<br />

농촌진흥청(2008)<br />

농촌진흥청(2007a)<br />

농촌진흥청(2007b)<br />

농촌진흥청(2007c)<br />

주요 과채의 주산지 구조와 지역 간 경쟁력 분석<br />

지역 농업의 주산지 변화 예측<br />

중국의 식량작물과 과채작물의 주산지 변동 분석<br />

공간통계기법과 다기준 분석법을 활용하여 복분자 작목의 적지를<br />

분석<br />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작목의 적지선정 기법을 개<br />

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함<br />

지역 특화 농특산물 생산ㆍ가공 연계육성 및 마케팅 방안 연구<br />

지역 농업경영체의 유형별 경영모형 개발<br />

지역 농업경영체의 사업유형별 우수사례 연구<br />

지역농업 추진 주체의 유형별 발전 모델 개발


Ⅱ. 선행연구 검토 7<br />

(2) 선행연구의 한계<br />

• 기 구축된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주로 거시자료를 활용하여 특화산업을 분석<br />

• 미시적 자료를 활용하되, 지역적 이질성을 고려한 연구는 주산지를 탐색하지 않음<br />

• 종합하면, 주산지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적절한 분석방법의 정립이 미흡<br />

(3) 연구의 차별성<br />

• 본 연구는 주산지를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모형을 정립ㆍ제시<br />

• 1995~2010년 농업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채소작목의 주산지 변화를 동태적으로<br />

분석<br />

• 주산지 선정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


Ⅲ. 분석방법 및 자료<br />

8<br />

1. 특화작목 분석모형<br />

(1) 다중모형<br />

• 다중 모형은 횡단면 수준의 유추나 환경적 오류, 이웃효과, 다단계표본 자료의<br />

분석과 시계열적 설계와 같은 기술적이고 광범위한 대상 지역에 대해 의미 있고<br />

현실적인 틀을 제공(Jones, 1991)<br />

• 다중모형은 대상 지역을 하나의 회귀방정식으로 해결함으로써 파생되는<br />

과대단순화를 발생시키지 않아 시공간의 다양한 관계들을 모형에서 추정이 가능함<br />

(Jones and Moon, 1993)<br />

• Yij = β0j + β1jX1ij +ε ij (j=1…J, i=1….nj ) , 총 관측치 수는 N=<br />

j=J<br />

j=1<br />

n (1)<br />

• 거시적 수준에서 절편과 기울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위의 모형보다 보다 현실적인<br />

모형을 구축할 수 있음<br />

• 절편을 거시적 수준에서 분산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br />

β0j = β0 + μ0j (2)


Ⅲ. 분석자료 및 방법 9<br />

• 기울기를 거시적 모형에 분산추정이 가능하도록 만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이 가능함<br />

β1j = β1 + Γ1j (4)<br />

• (3)식과 (4)식을 결합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랜덤계수회귀식(Random Coefficinet<br />

Regression)을 도출할 수 있음<br />

Yij = β0 + β1X1ij +(Γ1jX1ij +μ0j +ε ij)


Ⅲ. 분석자료 및 방법<br />

10<br />

(2) 자료 및 변인<br />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1995~2010년 농업총조사 자료<br />

• 전국 농가 중 농업총조사에서 채소가 최고판매금액인 농가들을 대상으로 분석<br />

연도 1995 2000 2005 2010<br />

농가 수(채소) 79,680 222,277 210,789 211,775<br />

변 인<br />

변 인 설 명<br />

종속변인 농가 조소득 Log(농축산물 판매 조소득)<br />

독립변인<br />

경영<br />

특성<br />

인구학적<br />

사회경제학적<br />

전·겸업<br />

연령<br />

(연령) 2<br />

성별<br />

가구원수<br />

(가구원수) 2<br />

교육수준<br />

경영주 연령-각 년도 경영주 평균연령<br />

(연령)×(연령)<br />

여성=1, 남성=0<br />

(총 가구원 수)-(각 년도 평균 가구원수)<br />

(가구원수)×(가구원수)<br />

중졸 이하<br />

고졸(ref.)<br />

대졸 이상<br />

차량소유 차량 소유=1, 그 외=0<br />

승용차 소유<br />

승용차량 소유(ref.)<br />

화물차 소유 화물차량 소유=1, 그 외=0<br />

승용․화물차 소유 승용차와 화물차량 소유=1, 그 외=0<br />

전업농가<br />

농업 수입(ref.)<br />

겸업농가 농업 외 수입(1종+2종) 유=1, 그 외=0<br />

정보화 컴퓨터 보유 컴퓨터 보유=1, 미보유=0<br />

작목 채소 <strong>시설채소</strong>=1, 노지채소=0


Ⅲ. 분석방법<br />

12<br />

2. 주산지 탐색 : 공간 클러스터 분석<br />

• 전역적 모란지수 -> 채소 작목의 공간적 집중도는 강화되고 있는가?<br />

• 국지적 모란지수 -> 재소 작목의 주산지는 어느 지역인가?<br />

<br />


Ⅳ. 분석결과 13<br />

1. 농산물 판매금액 결정요인<br />

(1) 기초통계치<br />

변 인<br />

1995 2000 2005 2010<br />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br />

농축산물 판매조소득 9,444,501 10,791,799 12,423,958 16,468,281 16,687,311 24,364,160 21,367,212 33,858,138<br />

연령 -2.25 10.70 -0.71 11.80 -0.92 11.10 0.03 11.34<br />

인구학적<br />

성별 0.15 0.35 0.17 0.38 0.18 0.38 0.18 0.38<br />

가구원수 0.87 1.62 -0.05 1.52 -0.27 1.40 -0.41 1.31<br />

중졸 이하 0.81 0.39 0.80 0.40 0.76 0.43 0.68 0.47<br />

고졸 0.16 0.37 0.17 0.38 0.20 0.40 0.24 0.42<br />

사회<br />

경제적<br />

대졸 이상 0.03 0.16 0.03 0.17 0.05 0.21 0.09 0.28<br />

차량소유 0.65 0.48 0.56 0.50 0.46 0.50 0.29 0.45<br />

승용차 소유 0.27 0.44 0.23 0.42 0.01 0.08 0.39 0.49<br />

화물차 소유 0.12 0.32 0.26 0.44 0.33 0.47 0.36 0.48<br />

승용․화물차 소유 0.03 0.17 0.05 0.22 0.00 0.04 0.15 0.36<br />

전업농가 0.48 0.50 0.70 0.46 0.67 0.47 0.57 0.49<br />

겸업농가 0.52 0.50 0.30 0.46 0.33 0.47 0.43 0.49<br />

경영특성<br />

컴퓨터 보유 0.12 0.32 0.24 0.43 0.38 0.48 0.40 0.49<br />

노지채소 0.75 0.43 0.69 0.46 0.69 0.46 0.75 0.43


Ⅳ. 분석결과 14<br />

(2) 회귀분석 결과<br />

(* p


Ⅳ. 분석결과 16<br />

(3) 랜던 항 잔차<br />

□ 노지채소<br />

<br />

<br />

<br />

<br />

-0 .7~ -0.4<br />

-0.4 ~ -0.1<br />

-0.1 ~ 0.1<br />

0.1 ~ 0.4<br />

0.4 ~ 0.8<br />

-0.8 ~ -0.4<br />

-0.4 ~ -0.1<br />

-0.1 ~ 0.2<br />

0.2 ~ 0.6<br />

0.6 ~ 1.2<br />

-1.0 ~ -0.5<br />

-0.5 ~ -0.1<br />

-0.1 ~ 0.2<br />

0.2 ~ 0.5<br />

0.5 ~ 1.0<br />

-1.8 ~ -0.6<br />

-0.6 ~ -0.1<br />

-0.1 ~ 0.2<br />

0.2 ~ 0.7<br />

0.7 ~ 1.6


Ⅳ. 분석결과 17<br />

□ <strong>시설채소</strong><br />

<br />

<br />

<br />

<br />

-0.8 ~ -0.4<br />

-0.4 ~ -0.1<br />

-0.1 ~ 0.2<br />

0.2 ~ 0.5<br />

0.5 ~ 0.8<br />

-0.9 ~ -0.4<br />

-0.4 ~ -0.1<br />

-0.1 ~ 0.2<br />

0.2 ~ 0.6<br />

0.6 ~ 1.2<br />

-1.1 ~ -0.5<br />

-0.5 ~ -0.1<br />

-0.1 ~ 0.2<br />

0.2 ~ 0.5<br />

0.5 ~ 1.0<br />

-2.4 ~ -0.8<br />

-0.8 ~ -0.2<br />

-0.2 ~ 0.3<br />

0.3 ~ 0.8<br />

0.8 ~ 2.1


Ⅳ. 분석결과 18<br />

2. 채소의 주산지 변화<br />

(1) 주산지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br />

연도<br />

노지채소<br />

<strong>시설채소</strong><br />

Moran's I Index Z-score Moran's I Index Z-score<br />

1995 0.05 4.47 0.05 4.21<br />

2000 0.11 8.41 0.11 8.40<br />

2005 0.11 8.66 0.10 8.60<br />

2010 0.01 1.16 0.01 0.62<br />

주 : 역거리 (inverse distance) 가중치 적용


Ⅳ. 분석결과 19<br />

(2) 주산지 변화<br />

□ 노지채소<br />

<br />

주 1) 역거리 (inverse distance) 가중치 적용<br />

2) 1%의 유의수준에서 도식화


Ⅳ. 분석결과 20<br />

□ <strong>시설채소</strong><br />

<br />

주 1) 역거리 (inverse distance) 가중치 적용<br />

2) 1%의 유의수준에서 도식화


Ⅴ. 종합 및 시사점 21<br />

1. 연구 결과 종합<br />

• 채소 농산물 판매금액에 미치는 결정요인과 농산물 소득으로 측정한 채소의<br />

주산지 변화를 분석함<br />

• 개별변인의 각 지역별 분산이 허용되는 다중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분석방법을<br />

통해 표준화된 평균적 농가를 기준으로 지역별 채소의 특화수준을 측정<br />

• 지역별로 측정된 채소의 특화도를 기준으로 공간 클러스터 기법을 통해 최종적으로<br />

주산지 지역을 탐색<br />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산지 선정 방법은 향후 농업 관련 유관단체의 정책연구에<br />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br />

• 채소의 주산지 변화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br />

- 노지와 <strong>시설채소</strong>의 주산지는 지난 15년간 지속적으로 변화<br />

- 전라남도에 위치한 신안군, 영암군, 진도군, 해남군과 제주도 지역은 4개년도 모두<br />

주산지로 나타남


Ⅴ. 종합 및 시사점 22<br />

2. 정책적 시사점<br />

• 잦은 주산지의 변화로 미루어 볼 때, 아직까지 한국에서 채소의 주산지 활성화<br />

전략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br />

- 주산지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채소의 수급균형을 제고하고 경영성과를 높이는데<br />

일정 부분 한계를 노정함<br />

- 채소농업의 산업적ㆍ지역적 특성을 살리는데 한계가 있었음<br />

- 따라서 향후에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주산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br />

계획과 체계적인 전략이 요구됨<br />

•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향후 주산지를 선정하고 모니터링 함에 있어 유용한<br />

방법론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됨


Ⅴ. 종합 및 시사점 22<br />

3. 연구의 한계<br />

• 미시적 수준에서 주산지의 변화를 분석하는 본 연구의 목적상 자료의 한계가 본 연구의<br />

한계이자 제약으로 작용<br />

• 주산지의 변화를 1년 단위로 분석하지 못하였음<br />

• 1995년부터 2010년까지 농업총조사 자료의 구성이 일관적이지 못하거나 일치되지 않는<br />

부분이 상당수 있어 미시적 관점에서 다양한 변인을 통제하지 못하였음<br />

• 농업총조사 자료는 거주지역과 경작지역의 일치 여부를 파악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br />

경작지역만을 대상으로 주산지를 분석하지 못함<br />

4. 향후 연구 과제<br />

• 주산지를 포함한 지역농업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상기의 한계를 보완할 수<br />

있는 자료의 구축이 요구됨<br />

• 추가적인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음<br />

- 다양한 작목을 대상으로 주산지 변화에 대한 분석<br />

- 주산지 변화의 다양한 요인 분석(예. 기후변화가 주산지 변화에 미친 영향 등)<br />

- 주산지 및 지역농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br />

23<br />

1. 김정호ㆍ박준기ㆍ김영생ㆍ이병훈, 2005, 「지역농업클러스터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br />

2. 김충실ㆍ이현근, 2010, 대구ㆍ경북 지역농업의 특화분석, 농촌경제, 33(1),pp.99~114.<br />

3. 김태보, 2006, 제주농업의 지역특화성 연구, 지역사회발전연구, 31(3), pp.21~38.<br />

4. 김태준ㆍ정지호ㆍ송경석, 2005, RS와 GIS를 이용한 특수과수 재배단지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및<br />

구현, GIS/RS 공동 춘계 학술대회.<br />

5. 농촌진흥청, 2007a, 「지역농업경영체의 유형별 경영모형 개발」.<br />

6. 농촌진흥청, 2007b, 「지역농업경영체의 사업유형별 우수사례 연구」.<br />

7. 농촌진흥청, 2007c, 「지역농업 추진주체의 유형별 발전 모델 개발」.<br />

8. 농촌진흥청, 2008, 「지역 특화 농특산물 생산ㆍ가공 연계육성 및 마케팅 방안 연구」.<br />

9. 박유민ㆍ김영호, 2011, 공간보간법과 계층적 의사결정 과정을 이용한 농업입지 분석」, 한국지도<br />

학회지, 11(2), pp.75~90.<br />

10. 이성우ㆍ권오상ㆍ이호철, 2003, 경기지역 농산물의 지역별 특화산업 연구, 농촌경제, 26(2),<br />

pp.23~47.<br />

11. 임형백ㆍ이성우, 2004, 「농촌사회의 환경과 기능」, <strong>서울대학교</strong> 출판부.<br />

12. 전형진ㆍ어명근ㆍ리경호, 2008, 「중국의 주요 농산물 주산지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br />

구원.<br />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주요 과채의 주산지 구조와 지역간 경쟁력 분석」.<br />

14. Deschenes, O. and Greenstone, M., 2007, The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 Evidence<br />

from Agricultural Output and Random Fluctuations in Weather, American Economic Review,<br />

97(1), pp.354~385.<br />

15. Jones, K. and G. Moon, 1993, Medical Geography : Taking Space Seriously, Progress in Human<br />

Geography, 17, pp.515~524.<br />

16. Jones, K., 1991, Multi-level Models for Geographical Research. Norwich : Environmental<br />

Publications.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