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8.2015 Views

시설채소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시설채소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시설채소 -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전공

SHOW MORE
SHOW LESS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다중모형과 공간 클러스터 기법을 활용한 농업 작목의<br />

주산지 변화 분석<br />

-채소를 중심으로-<br />

김현중(<strong>서울대학교</strong> <strong>농경제사회학부</strong> <strong>지역정보전공</strong> 박사수료)<br />

박종훈(<strong>서울대학교</strong> <strong>농경제사회학부</strong> <strong>지역정보전공</strong> 석사과정)<br />

이성우(<strong>서울대학교</strong> <strong>농경제사회학부</strong> <strong>지역정보전공</strong> 교수)<br />

2012 한국지역학회 전기학술대회, 2012.06.22.


Ⅰ. 서론 / 1<br />

Ⅱ. 선행연구 검토 / 5<br />

Ⅲ. 분석방법 및 자료 / 8<br />

Ⅳ. 분석결과 / 13<br />

Ⅴ. 종합 및 시사점 / 21<br />

참고문헌 / 23


Ⅰ. 서론<br />

1<br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br />

• 한국의 농업은 지난 60여 년 동안 대ㆍ내외적인 여건 변화 등으로 인해 많은<br />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농업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 주도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함<br />

• 중앙정부 중심의 농업정책은 농업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쳤으나, 지역 내<br />

내재된 잠재력을 활용하고 극대화하지 못함<br />

• 최근에는 중앙정부 주도의 농업 부흥 전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각 지역의<br />

창의적 노력을 중요시하는 지역농업의 중요성이 대두됨<br />

•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농업을 활성화 시키는 전략 중 하나는 세부 작목별로<br />

주산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산업의 클러스터를 구축하여<br />

지역과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음<br />

• 주산지의 특성과 변화는 특정 작목의 수급균형과 농가의 경영성과에 영향을<br />

미칠 수 있으므로, 주산지를 중심으로 지역농업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농업의<br />

산업적ㆍ지역적 장점을 반영할 수 있는 전략임<br />

• 따라서, 주산지에 대한 변화와 그 동인 등을 파악하여 농산업적 측면에서 해당<br />

지역에서 어떠한 작목을 재배하는 것이 지역적ㆍ국가적 차원에서 생산성과<br />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Ⅰ. 서론<br />

2<br />

• 우리나라에서 주산지 혹은 지역농업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음<br />

• 그러나 이성우 외(2003)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는 거시자료 기반의 입지상 기법<br />

(LQ: Location Quotient), 변화-할당 분석(Shift-Share Analysis)을 주로 활용<br />

• 이는 다양한 계량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적 판단의 근거자료로서<br />

활용가치가 높지 않음<br />

• 이성우 외(2003)는 미시적 계량기법을 통해 특화산업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br />

계량적인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결하였으나, 공간적 의존성이 반영된 주산지를<br />

탐색하지는 않음<br />

2. 연구의 목적<br />

• 미시자료 기반의 다중모형(Multi-Level Model)을 활용하여 지역의 이질적 특성을<br />

고려함과 동시에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br />

주산지를 탐색하고 변화과정을 분석함<br />

• 다양한 작목의 주산지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br />

그리고 실제 주산지의 변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기존 주산지 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볼<br />

수 있는 측면 등의 의의를 지님


Ⅰ. 서론<br />

3<br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br />

• 연구의 범위<br />

-시간적 범위 : 1995~2010년<br />

-공간적 범위 : 전국 시ㆍ군ㆍ구<br />

-분석대상 작목 : 채소 (노지채소와 <strong>시설채소</strong>로 구분)<br />

• 연구 방법<br />

-다중모형(Multi-Level Model)<br />

-국지적 모란지수(Local Moran’s I)


Ⅰ. 서론 4<br />

3. 채소작목의 주산지 변화 분석과정


Ⅱ. 선행연구 검토 5<br />

(1) 선행연구 현황<br />

연구 주제 연구자 주요 내용<br />

특화 작목<br />

선정<br />

김정호 외(2005)<br />

김충실·이현근<br />

(2010)<br />

김태보(2006)<br />

이성우 외(2003)<br />

임형백 외(2004)<br />

각 도별로 지역적 특화작목 및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농업클러스터<br />

발전방안 연구<br />

작물 및 가축의 요인지표를 활용, 인자분석을 통해 대구·경북 지역농<br />

업의 특화도 분석<br />

입지상 분석(LQ)과 변인할당모형을 이용하여 제주 농업의 특화수준<br />

분석<br />

미시자료를 이용하여 농축산물판매소득 결정요인과 농축산물 판매소<br />

득을 기준으로 경기도의 작목별 특화산업을 분석<br />

계획적 관점에서 특화작목 선정시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br />

특화작목 선정을 위한 방법론 제언


Ⅱ. 선행연구 검토 5<br />

연구 주제 연구자 주요 내용<br />

주산지<br />

분석<br />

작목의<br />

적지분석<br />

지역농업<br />

활성화<br />

방안<b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br />

(2002)<br />

Deschenes and<br />

Greenstone(2007)<br />

전형진 외(2008)<br />

박유민·김영호(2011)<br />

김태준 외(2005)<br />

농촌진흥청(2008)<br />

농촌진흥청(2007a)<br />

농촌진흥청(2007b)<br />

농촌진흥청(2007c)<br />

주요 과채의 주산지 구조와 지역 간 경쟁력 분석<br />

지역 농업의 주산지 변화 예측<br />

중국의 식량작물과 과채작물의 주산지 변동 분석<br />

공간통계기법과 다기준 분석법을 활용하여 복분자 작목의 적지를<br />

분석<br />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작목의 적지선정 기법을 개<br />

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함<br />

지역 특화 농특산물 생산ㆍ가공 연계육성 및 마케팅 방안 연구<br />

지역 농업경영체의 유형별 경영모형 개발<br />

지역 농업경영체의 사업유형별 우수사례 연구<br />

지역농업 추진 주체의 유형별 발전 모델 개발


Ⅱ. 선행연구 검토 7<br />

(2) 선행연구의 한계<br />

• 기 구축된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주로 거시자료를 활용하여 특화산업을 분석<br />

• 미시적 자료를 활용하되, 지역적 이질성을 고려한 연구는 주산지를 탐색하지 않음<br />

• 종합하면, 주산지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적절한 분석방법의 정립이 미흡<br />

(3) 연구의 차별성<br />

• 본 연구는 주산지를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모형을 정립ㆍ제시<br />

• 1995~2010년 농업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채소작목의 주산지 변화를 동태적으로<br />

분석<br />

• 주산지 선정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


Ⅲ. 분석방법 및 자료<br />

8<br />

1. 특화작목 분석모형<br />

(1) 다중모형<br />

• 다중 모형은 횡단면 수준의 유추나 환경적 오류, 이웃효과, 다단계표본 자료의<br />

분석과 시계열적 설계와 같은 기술적이고 광범위한 대상 지역에 대해 의미 있고<br />

현실적인 틀을 제공(Jones, 1991)<br />

• 다중모형은 대상 지역을 하나의 회귀방정식으로 해결함으로써 파생되는<br />

과대단순화를 발생시키지 않아 시공간의 다양한 관계들을 모형에서 추정이 가능함<br />

(Jones and Moon, 1993)<br />

• Yij = β0j + β1jX1ij +ε ij (j=1…J, i=1….nj ) , 총 관측치 수는 N=<br />

j=J<br />

j=1<br />

n (1)<br />

• 거시적 수준에서 절편과 기울기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위의 모형보다 보다 현실적인<br />

모형을 구축할 수 있음<br />

• 절편을 거시적 수준에서 분산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br />

β0j = β0 + μ0j (2)


Ⅲ. 분석자료 및 방법 9<br />

• 기울기를 거시적 모형에 분산추정이 가능하도록 만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이 가능함<br />

β1j = β1 + Γ1j (4)<br />

• (3)식과 (4)식을 결합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랜덤계수회귀식(Random Coefficinet<br />

Regression)을 도출할 수 있음<br />

Yij = β0 + β1X1ij +(Γ1jX1ij +μ0j +ε ij)


Ⅲ. 분석자료 및 방법<br />

10<br />

(2) 자료 및 변인<br />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1995~2010년 농업총조사 자료<br />

• 전국 농가 중 농업총조사에서 채소가 최고판매금액인 농가들을 대상으로 분석<br />

연도 1995 2000 2005 2010<br />

농가 수(채소) 79,680 222,277 210,789 211,775<br />

변 인<br />

변 인 설 명<br />

종속변인 농가 조소득 Log(농축산물 판매 조소득)<br />

독립변인<br />

경영<br />

특성<br />

인구학적<br />

사회경제학적<br />

전·겸업<br />

연령<br />

(연령) 2<br />

성별<br />

가구원수<br />

(가구원수) 2<br />

교육수준<br />

경영주 연령-각 년도 경영주 평균연령<br />

(연령)×(연령)<br />

여성=1, 남성=0<br />

(총 가구원 수)-(각 년도 평균 가구원수)<br />

(가구원수)×(가구원수)<br />

중졸 이하<br />

고졸(ref.)<br />

대졸 이상<br />

차량소유 차량 소유=1, 그 외=0<br />

승용차 소유<br />

승용차량 소유(ref.)<br />

화물차 소유 화물차량 소유=1, 그 외=0<br />

승용․화물차 소유 승용차와 화물차량 소유=1, 그 외=0<br />

전업농가<br />

농업 수입(ref.)<br />

겸업농가 농업 외 수입(1종+2종) 유=1, 그 외=0<br />

정보화 컴퓨터 보유 컴퓨터 보유=1, 미보유=0<br />

작목 채소 <strong>시설채소</strong>=1, 노지채소=0


Ⅲ. 분석방법<br />

12<br />

2. 주산지 탐색 : 공간 클러스터 분석<br />

• 전역적 모란지수 -> 채소 작목의 공간적 집중도는 강화되고 있는가?<br />

• 국지적 모란지수 -> 재소 작목의 주산지는 어느 지역인가?<br />

<br />


Ⅳ. 분석결과 13<br />

1. 농산물 판매금액 결정요인<br />

(1) 기초통계치<br />

변 인<br />

1995 2000 2005 2010<br />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br />

농축산물 판매조소득 9,444,501 10,791,799 12,423,958 16,468,281 16,687,311 24,364,160 21,367,212 33,858,138<br />

연령 -2.25 10.70 -0.71 11.80 -0.92 11.10 0.03 11.34<br />

인구학적<br />

성별 0.15 0.35 0.17 0.38 0.18 0.38 0.18 0.38<br />

가구원수 0.87 1.62 -0.05 1.52 -0.27 1.40 -0.41 1.31<br />

중졸 이하 0.81 0.39 0.80 0.40 0.76 0.43 0.68 0.47<br />

고졸 0.16 0.37 0.17 0.38 0.20 0.40 0.24 0.42<br />

사회<br />

경제적<br />

대졸 이상 0.03 0.16 0.03 0.17 0.05 0.21 0.09 0.28<br />

차량소유 0.65 0.48 0.56 0.50 0.46 0.50 0.29 0.45<br />

승용차 소유 0.27 0.44 0.23 0.42 0.01 0.08 0.39 0.49<br />

화물차 소유 0.12 0.32 0.26 0.44 0.33 0.47 0.36 0.48<br />

승용․화물차 소유 0.03 0.17 0.05 0.22 0.00 0.04 0.15 0.36<br />

전업농가 0.48 0.50 0.70 0.46 0.67 0.47 0.57 0.49<br />

겸업농가 0.52 0.50 0.30 0.46 0.33 0.47 0.43 0.49<br />

경영특성<br />

컴퓨터 보유 0.12 0.32 0.24 0.43 0.38 0.48 0.40 0.49<br />

노지채소 0.75 0.43 0.69 0.46 0.69 0.46 0.75 0.43


Ⅳ. 분석결과 14<br />

(2) 회귀분석 결과<br />

(* p


Ⅳ. 분석결과 16<br />

(3) 랜던 항 잔차<br />

□ 노지채소<br />

<br />

<br />

<br />

<br />

-0 .7~ -0.4<br />

-0.4 ~ -0.1<br />

-0.1 ~ 0.1<br />

0.1 ~ 0.4<br />

0.4 ~ 0.8<br />

-0.8 ~ -0.4<br />

-0.4 ~ -0.1<br />

-0.1 ~ 0.2<br />

0.2 ~ 0.6<br />

0.6 ~ 1.2<br />

-1.0 ~ -0.5<br />

-0.5 ~ -0.1<br />

-0.1 ~ 0.2<br />

0.2 ~ 0.5<br />

0.5 ~ 1.0<br />

-1.8 ~ -0.6<br />

-0.6 ~ -0.1<br />

-0.1 ~ 0.2<br />

0.2 ~ 0.7<br />

0.7 ~ 1.6


Ⅳ. 분석결과 17<br />

□ <strong>시설채소</strong><br />

<br />

<br />

<br />

<br />

-0.8 ~ -0.4<br />

-0.4 ~ -0.1<br />

-0.1 ~ 0.2<br />

0.2 ~ 0.5<br />

0.5 ~ 0.8<br />

-0.9 ~ -0.4<br />

-0.4 ~ -0.1<br />

-0.1 ~ 0.2<br />

0.2 ~ 0.6<br />

0.6 ~ 1.2<br />

-1.1 ~ -0.5<br />

-0.5 ~ -0.1<br />

-0.1 ~ 0.2<br />

0.2 ~ 0.5<br />

0.5 ~ 1.0<br />

-2.4 ~ -0.8<br />

-0.8 ~ -0.2<br />

-0.2 ~ 0.3<br />

0.3 ~ 0.8<br />

0.8 ~ 2.1


Ⅳ. 분석결과 18<br />

2. 채소의 주산지 변화<br />

(1) 주산지의 공간적 집중도 변화<br />

연도<br />

노지채소<br />

<strong>시설채소</strong><br />

Moran's I Index Z-score Moran's I Index Z-score<br />

1995 0.05 4.47 0.05 4.21<br />

2000 0.11 8.41 0.11 8.40<br />

2005 0.11 8.66 0.10 8.60<br />

2010 0.01 1.16 0.01 0.62<br />

주 : 역거리 (inverse distance) 가중치 적용


Ⅳ. 분석결과 19<br />

(2) 주산지 변화<br />

□ 노지채소<br />

<br />

주 1) 역거리 (inverse distance) 가중치 적용<br />

2) 1%의 유의수준에서 도식화


Ⅳ. 분석결과 20<br />

□ <strong>시설채소</strong><br />

<br />

주 1) 역거리 (inverse distance) 가중치 적용<br />

2) 1%의 유의수준에서 도식화


Ⅴ. 종합 및 시사점 21<br />

1. 연구 결과 종합<br />

• 채소 농산물 판매금액에 미치는 결정요인과 농산물 소득으로 측정한 채소의<br />

주산지 변화를 분석함<br />

• 개별변인의 각 지역별 분산이 허용되는 다중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분석방법을<br />

통해 표준화된 평균적 농가를 기준으로 지역별 채소의 특화수준을 측정<br />

• 지역별로 측정된 채소의 특화도를 기준으로 공간 클러스터 기법을 통해 최종적으로<br />

주산지 지역을 탐색<br />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산지 선정 방법은 향후 농업 관련 유관단체의 정책연구에<br />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br />

• 채소의 주산지 변화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br />

- 노지와 <strong>시설채소</strong>의 주산지는 지난 15년간 지속적으로 변화<br />

- 전라남도에 위치한 신안군, 영암군, 진도군, 해남군과 제주도 지역은 4개년도 모두<br />

주산지로 나타남


Ⅴ. 종합 및 시사점 22<br />

2. 정책적 시사점<br />

• 잦은 주산지의 변화로 미루어 볼 때, 아직까지 한국에서 채소의 주산지 활성화<br />

전략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br />

- 주산지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채소의 수급균형을 제고하고 경영성과를 높이는데<br />

일정 부분 한계를 노정함<br />

- 채소농업의 산업적ㆍ지역적 특성을 살리는데 한계가 있었음<br />

- 따라서 향후에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주산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br />

계획과 체계적인 전략이 요구됨<br />

•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향후 주산지를 선정하고 모니터링 함에 있어 유용한<br />

방법론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됨


Ⅴ. 종합 및 시사점 22<br />

3. 연구의 한계<br />

• 미시적 수준에서 주산지의 변화를 분석하는 본 연구의 목적상 자료의 한계가 본 연구의<br />

한계이자 제약으로 작용<br />

• 주산지의 변화를 1년 단위로 분석하지 못하였음<br />

• 1995년부터 2010년까지 농업총조사 자료의 구성이 일관적이지 못하거나 일치되지 않는<br />

부분이 상당수 있어 미시적 관점에서 다양한 변인을 통제하지 못하였음<br />

• 농업총조사 자료는 거주지역과 경작지역의 일치 여부를 파악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br />

경작지역만을 대상으로 주산지를 분석하지 못함<br />

4. 향후 연구 과제<br />

• 주산지를 포함한 지역농업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상기의 한계를 보완할 수<br />

있는 자료의 구축이 요구됨<br />

• 추가적인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음<br />

- 다양한 작목을 대상으로 주산지 변화에 대한 분석<br />

- 주산지 변화의 다양한 요인 분석(예. 기후변화가 주산지 변화에 미친 영향 등)<br />

- 주산지 및 지역농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br />

23<br />

1. 김정호ㆍ박준기ㆍ김영생ㆍ이병훈, 2005, 「지역농업클러스터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br />

2. 김충실ㆍ이현근, 2010, 대구ㆍ경북 지역농업의 특화분석, 농촌경제, 33(1),pp.99~114.<br />

3. 김태보, 2006, 제주농업의 지역특화성 연구, 지역사회발전연구, 31(3), pp.21~38.<br />

4. 김태준ㆍ정지호ㆍ송경석, 2005, RS와 GIS를 이용한 특수과수 재배단지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및<br />

구현, GIS/RS 공동 춘계 학술대회.<br />

5. 농촌진흥청, 2007a, 「지역농업경영체의 유형별 경영모형 개발」.<br />

6. 농촌진흥청, 2007b, 「지역농업경영체의 사업유형별 우수사례 연구」.<br />

7. 농촌진흥청, 2007c, 「지역농업 추진주체의 유형별 발전 모델 개발」.<br />

8. 농촌진흥청, 2008, 「지역 특화 농특산물 생산ㆍ가공 연계육성 및 마케팅 방안 연구」.<br />

9. 박유민ㆍ김영호, 2011, 공간보간법과 계층적 의사결정 과정을 이용한 농업입지 분석」, 한국지도<br />

학회지, 11(2), pp.75~90.<br />

10. 이성우ㆍ권오상ㆍ이호철, 2003, 경기지역 농산물의 지역별 특화산업 연구, 농촌경제, 26(2),<br />

pp.23~47.<br />

11. 임형백ㆍ이성우, 2004, 「농촌사회의 환경과 기능」, <strong>서울대학교</strong> 출판부.<br />

12. 전형진ㆍ어명근ㆍ리경호, 2008, 「중국의 주요 농산물 주산지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br />

구원.<br />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주요 과채의 주산지 구조와 지역간 경쟁력 분석」.<br />

14. Deschenes, O. and Greenstone, M., 2007, The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 Evidence<br />

from Agricultural Output and Random Fluctuations in Weather, American Economic Review,<br />

97(1), pp.354~385.<br />

15. Jones, K. and G. Moon, 1993, Medical Geography : Taking Space Seriously, Progress in Human<br />

Geography, 17, pp.515~524.<br />

16. Jones, K., 1991, Multi-level Models for Geographical Research. Norwich : Environmental<br />

Publications.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