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2014 Views

모듈 4 한국의 농협운동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지도·경제·신용·공제 등 농업생산과 농촌생활의 모든 측면을 포괄한 복합사업<br />

기능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업을 뒷받침하기 위한 자금조성 기능,<br />

특히 도시영업이 허용된 상업은행의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br />

당초 우리나라 농협이 종합농협 체제를 택하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 농가의 영<br />

농 규모가 1ha 미만의 소농체제여서 가계와 영농이 분리되어 있지 못하고 또 영<br />

농자체도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영농과 생활의 모든 분야를 종합적으로 지원<br />

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종합농협 탄생 이전의 구농협과<br />

농업은행 간에 유기적인 협조가 결여되어 농업인의 피해가 컸으며, 같은 소농체<br />

제를 유지하던 일본이 종합농협 체제로 성공적인 발전을 하고 있었던 점 등을 들<br />

수 있다.<br />

당시 종합농협의 설립에 앞서 일부에서는 선진국의 협동조합에서 보는 전문농<br />

협이 우리의 현실에도 적합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영세소농이 주가 되는<br />

우리나라에서는 결국 종합농협이 유리하다는 것은 우리의 지난 40 년간의 경험을<br />

통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br />

그 근거로 1 농업인이 조합에 와서 필요한 용무를 한 번에 모두 마칠 수 있다<br />

는 점 2 조합이 종합적인 측면에서 농가경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금지원<br />

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점 3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이 유기적으로 연<br />

계되고 거기에 다시 지도사업이 결부됨으로써 각 사업이 상승적으로 신장될 수<br />

있었던 점 4 경제사업이 적자가 나더라도 신용사업의 수익으로 이를 메울 수 있<br />

어 경제사업의 과감한 추진이 가능했던 점 5 막대한 지도사업비를 내부에서 조<br />

달할 수 있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br />

더구나 농협은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지역농업 및 농촌개발의 주체로서 그 위<br />

치가 막중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역시 종합농협 형태라야 그 성과<br />

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br />

한국 농협의 이러한 체제와 기능은 세계협동조합 운동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례<br />

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제국의 협동조합에서는 한국<br />

농협에서 배우자는 움직임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br />

5. 2 단계 계통조직<br />

농협은 l961 년 종합농협 발족 이후 l980 년까지는 단위조합-시군조합-중앙회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