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7.2015 Views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Global Market Report 12-06310 러시아 352 2,145 2,49711 브라질 271 2,144 2,41512 스페인 1,291 1,049 2,34013 네덜란드 699 1,630 2,32914 영국 961 1,175 2,13615 한국 432 (1.41%) 1,657 (2.81%) 2,089 (2.33%)16 우크라이나 112 1,799 1,91117 벨기에 564 1,293 1,85718 일본 361 1,313 1,674총 교역규모 30,611 58,940 89,551자료원 : 이집트 산업통상부 EITP주) 2011년 기준[이집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현황]명칭 발효일 주요내용동남아프리카- 아프리카 최초, 최대의 경제공동시장(인구 3.8억명)공동시장(COMESA)1994.12.8 - 회원국 : 동남아프리카 21개국(남아공은 옵저버)- 회원국 중 11개국은 상호 무관세범아랍- 회원국 : 아랍연맹 17개국자유무역협정 1998.1.1(PAFTA)EU-이집트 연합협정(EU/EGYPT2004.6.1ASSOCIATIONAGREEMENT)QIZ 협약(Protocol on2005.1.1.Qualified IndustrialZone)Agadir 협정 2006.7.1- 이집트는 걸프 7개국과 별도 협정 체결- 국가별 관세부과 및 면제대상 상이- 15개 EU 회원국과 이집트간 FTA- 이집트, 對 EU 공산품 무관세 수출- EU 15개 회원국, 2019년까지 4개 품목군 점진적인하 및 철폐(자동차 관세 2019까지 연 10% 씩)- 농산품 일부 쿼터해제 및 관세인하 또는 철폐- 이집트, 이스라엘, 미국 3국간 협약- 이집트가 국내산 원부자재 35% 이상, 이스라엘원부자재 10.5% 이상 사용시 對 미 무관세 수출가능 (기존 11.7%에서 2008.1.1부 10.5%로 변경)- 이집트내 QIZ 수혜기업은 500여개, 2011년 이집트QIZ의 對 미 수출액은 103억 달러- USTR은 이집트 3개의 QIZ(카이로, 알렉스, 수에즈)지정, 2005.12월 4번째 QIZ로 중앙델타지역을 지정- 회원국 : 이집트, 요르단, 튀니지, 모로코- 농산물에 대한 즉각적인 관세 철폐- EM FTA내에서 남남협력을 통해 EM FTA 통합을 가속화하는 장치로 간주, EU로부터 수혜28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