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7.2015 Views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Global Market Report 12-0633. 현지 진출기업 및 바이어의 진출환경 전망회사명 범한판토스 담당자 김광채직위 지점장 분야 물류주요 의견▪ 이슬람 기반의 정권이 등장함에 따라, 對 미 관계 악화시 미국의 금융원조가 중단될우려가 있음▪ 對 미 관계 악화가 이집트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큼에 따라, 향후 무르시 정권의 대외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이스라엘과의 평화협정이 파기될 경우, 이스라엘을 관할하고 있는 자사로서는 해외영업에 큰 차질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무르시 정권의 대외정책 변화에 주목하고 그에 맞는 대응 전략을 수립할 예정▪ 향후 헌법제정, 총선 재실시 여부 등 정치적 일정이 남아 있어 불확실성이 큰다고 판단회사명 삼성물산(건설부문) 담당자 이창열직위 지점장 분야 건설주요 의견▪ 대통령 당선과 신정부 구성에 따라 민주화 운동 당시 급격히 악화된 치안이안정화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 프로젝트 분야에서 결정권자 부재 등으로 지연되어온 대형 프로젝트의 재개및 진행이 가시화될 전망▪ 군부와 마찰 등 신정부가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등 향후 단기적으로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우려회사명 삼성엔지니어링 담당자 윤성만직위 지사장 분야 건설․엔지니어링주요 의견▪ 무르시 대통령의 공약대로 다양한 개발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되나 현재이집트 경제상황 및 대내외적 여건상 단기적으로 국책 사업 확대는 기대하기어려울 것으로 판단▪ 국가정책 결정 주체가 정식으로 들어섬에 따라 지연되어온 프로젝트가 재개될것으로 기대되며, 이집트 정부 재정여건상 민간투자 사업의 형태로 활발히 진행될 전망34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