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7.2015 Views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이집트 신정부 수립 100일 이후 경제 및 진출환경 전망 - 국제통상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Global Market Report 12-063Ⅳ 시사점□ 신정부 수립 이후 정치·경제 안정화 기대 및 불안요소 상존○ 무르시 정부는 치안 회복 이후 경기부양을 위한 노력을 전개할 것이라고밝힘에 따라, 치안 회복과 비즈니스 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음○ 그간 국가 공식 정책 결정권자의 부재에 따라 각종 국책 사업 및 IMF를 비롯한해외 차관 수용 등 주요 경제 정책에 대한 결정이 지연되어 왔으나, 신정권수립 후 가시적으로 다양한 사업이 전개되고, 지연 사업도 재개될 것으로 기대○ 하지만 향후 무르시 정권이 군부와의 마찰 없이 권력이양을 완수할지 여부와신 헌법 제정 및 총선 완료에 따른 신정부 정착 과정이 이집트 정치·경제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또한 반미감정 해소, 세속주의 지지세력(샤피크 및 군부 지지세력) 및 시민혁명을 주도했던 민주화 세력 등이 정정 불안요소로 작용할 전망□ 이집트 신정권의 대외정책이 변수○ 미국과 이스라엘은 이집트의 자유선거를 통해 당선된 무르시 대통령을 축하하고,이집트 민주주의 발전에 대해 존중하는 입장을 보임- 다만, 이스라엘과 체결한 평화협정에 대한 이집트 정부의 입장이 변경될 경우미국과의 관계 악화 및 중동 지역에서의 긴장 관계 조성 등 악영향이 있을것으로 보임에 따라 이집트의 대외 정책에 모니터링이 필요○ 무르시 정부는 이란과의 관계 개선을 시사한 바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서방지향적 외교에서 아랍 및 신흥국가와의 외교관계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나,기존 미국과 EU에의 경제적 의존도를 감안하여 점진적인 대외정책 변화가 예상36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