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7.2013 Aufrufe

장은수 - 한국브레히트학회

장은수 - 한국브레히트학회

장은수 - 한국브레히트학회

MEHR ANZEIGEN
WENIGER ANZEIGEN

Erfolgreiche ePaper selbst erstellen

Machen Sie aus Ihren PDF Publikationen ein blätterbares Flipbook mit unserer einzigartigen Google optimierten e-Paper Software.

140 브레히트와 현대연극<br />

niemand die Schuld von den Tätern nehmen. /.../ Auch die Generation der Kinder bleibt<br />

schuldig, soweit sie dadurch schuldig geworden ist, dass sie mit der Generation der Väter<br />

nicht gebrochen hat. 24)<br />

4. 담론적 글쓰기<br />

이 소설 마지막에 한나가 출소 당일 새벽 자살을 하는 이유는 분명하게 드러나 있<br />

지 않다. 한나의 자살 소식을 듣고 달려간 미하엘은 그녀의 책꽂이에서 프리모 레비,<br />

엘리 비젤, 타데우스츠 보롭스키, 장 아메리 등 유대인 작가들의 글과 루돌프 회스의<br />

자서전을 발견한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강제수용소에 대한 학술지와 한나 아렌트<br />

Hannah Arendt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Eichmann in Jerusalem 보고서가 있었다는<br />

사실이다. 출소 전 감옥에서 그녀가 집중적으로 탐독한 책들이 홀로코스트의 만행을<br />

고발하는 다큐와 문학작품들이었음을 생각할 때 속죄행위로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br />

는 가설도 가능하다. 과연 글을 겨우 깨우쳤던 한나가 소화할 수 있는 내용이었을지<br />

그 개연성이 의심되기는 하지만 책을 통해 나치과거사를 알고자 했던 그녀의 노력이<br />

엿보이는 대목이다.<br />

한편 한나를 배반했었다는 죄책감과 그녀가 죽은 이유가 자기 때문이었을지도 모<br />

른다고 자책하던 미하엘은 그의 과거 행위에 대한 회의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런 회<br />

의에 대한 상당 부분은 내적독백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찰적 요소가 강하다. 한편 그<br />

가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과 자기성찰적 명제들은 독자에게 말을 걸어와 미하엘과는<br />

거리를 갖고 자신의 입장을 정립하도록 유도한다. 홀로코스트라는 역사적 주제에 대<br />

해 독자마다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평가도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br />

그리고 1인칭 화자 ‘나’의 행동과 시각에 대해 작가가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 보<br />

는데 따라, 즉 독자가 화자의 시각을 작가의 시각으로 보느냐, 아니면 비판적인 시각<br />

으로 조명한다고 보느냐에 따라서도 작품 해석에 차이가 난다.<br />

작품의 담론적 성격은 딜레마에 빠진 화자가 결론을 유보한 채 보여주는 ‘양가성<br />

Ambivalenz’ 내지는 ‘애매모호성 Ambiguität’에서도 두드러진다. 이 또한 보는 이의<br />

24) Ebda.

Hurra! Ihre Datei wurde hochgeladen und ist bereit für die Veröffentlichung.

Erfolgreich gespeichert!

Leider ist etwas schief gelau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