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2013 Views

셋 톱 박 스

셋 톱 박 스

셋 톱 박 스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strong>스</strong>몰캡 Analyst 송동헌<br />

02-2003-2924 dongheon.song@hdsrc.com<br />

리서치센터 트위터 @QnA_Research<br />

2년만의 업황 회복 시그널 보여<br />

플랫폼 보급이 <strong>스</strong>마트TV 보급률 향상 기여.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긍정적<br />

2013년 2월 25일 이슈분석<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br />

25일(현지 기준) 개최된 모바일월드 콩그레<strong>스</strong>(MWC)에서 삼성전자가 안드로이드 기반의 TV 솔루션<br />

인 '홈싱크'를 출시하였다. LG전자와 중국 최대 TV메이커인 TCL은 이미 구글TV를 도입한 바 있다.<br />

안드로이드와 iOS의 등장이 <strong>스</strong>마트폰 보급과 모바일 마켓 시장 성장을 견인하였던 것처럼 표준화된<br />

플랫폼 보급이 <strong>스</strong>마트TV 보급률 향상과 고사양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수요를 가속화 할 가능성이 높다.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br />

가 사양화될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은 현재까지의 <strong>스</strong>마트TV의 개발 방향과 방송 환경의 특수성을 고<br />

려할 때 현실성이 떨어진다.<br />

글로벌 업체들 가파른 주가 상승, 업황 회복 반영<br />

2011~2012년 부진했던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들의 업황 회복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1위 업체인<br />

'Pace'와 Top 5 업체인 'Technicolor'의 주가는 지난해 저점대비 각각 345%, 244% 상승하며 시장<br />

을 크게 웃돌고 있으며, 연초 이후에도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업황 부진의 주요 원인이었던 유럽<br />

수요 회복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며, 업계에서는 남미, 중동 등 신규 시장 성장 잠재력 역시 높게 전<br />

망하고 있다.<br />

제품의 고급화는 국내 업체에게 긍정적<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는 HD, IPTV 등의 보급으로 고사양, 다양한 기능을 갖추며 진화하고 있다. 최근 대형 케이<br />

블, 위성 방송 사업자의 경우 안정성과 보안을 이유로 글로벌 탑 5~6위 업체와의 공급 제안만을 받<br />

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국내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들에게 우호적인 영업<br />

환경이 기대된다.<br />

업종 대표주 위주의 접근 필요. 추천주는 휴맥<strong>스</strong><br />

국내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관련주는 휴맥<strong>스</strong>(115160), 가온미디어(078890), 홈캐<strong>스</strong>트(064240), 아리온<br />

(058220) 등이 있으며, 업종 대표주인 휴맥<strong>스</strong>를 추천한다. 동사는 2012년 기준 미국 46%, 유럽<br />

31% 등 매출 비중으로 글로벌 업황 회복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영국 시장<br />

에 공급하는 Youview(지상파), Freetime(위성) 신제품 효과가 기대된다. 2013년 연결 기준 매출액<br />

1조 2천억원(YoY +17%), 영업이익 500억원(YoY +63%) 목표로 하고 있어, 현주가는 2013F PER<br />

7.0배, PBR 0.6배 수준으로 업황 회복 Cycle 초기 시점임을 고려시 Valuation 부담도 없다.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는 구조적인 성장<br />

산업임<br />

2011~2012년 국내<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 실적 부진<br />

2013년 글로벌 업황 기대감<br />

높아<br />

1) 글로벌 업체 주가, 수요<br />

회복 시그널 반영<br />

2) 고사양, 다기능화로 후발<br />

업체와 격차 확대<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황 2년만의 반등 예상<br />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br />

시장 조사 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Set Top Box) 시장 규모는 2011년 87억달러<br />

에서 2018년 156억달러로 연평균 8.7% 성장 가능할 전망이다. 시장의 편견과 달리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br />

<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는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는 보급 단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교<br />

체 수요와 기능 향상으로 물량 증가와 ASP 상승이 동반되는 구조적인 성장 산업임을 이<br />

해할 필요가 있다. 세계 최초 디지털TV방송이 1998년에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br />

환경 변화에 따른 신제품 수요가 계속되고 있음이 이러한 사실을 반증한다.<br />

2011~2012년 국내 주요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들의 실적은 대체로 부진했다. 지난 2년간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br />

<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들의 연평균 매출성장률은 휴맥<strong>스</strong>(115160) 2.1%, 가온미디어(078890) -<br />

5.8%, 홈캐<strong>스</strong>트(064240) -14.4%(추정)를 기록했다. 2010년 대비 영업이익은 휴맥<strong>스</strong><br />

-56.6%, 가온미디어 -5.6%, 홈캐<strong>스</strong>트 -69.8%(추정)로 외형 대비 수익성 하락폭은 더<br />

컸다. 아리온(058220)만이 연평균 매출성장률 45.3%, 2010년대비 영업이익 197.8%<br />

증가 등 실적이 가파르게 증가했지만 2010년 매출액 476억원, 영업이익 20억원을 고려<br />

할 때 낮은 베이<strong>스</strong> 효과가 컸던 것으로 판단된다.<br />

지난 2년간의 부진을 벗고 업황과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다음과<br />

같다. 1) 지난 2년간 업황 부진의 주요 원인이었던 유럽의 경기 회복과 남미, 중동 신규<br />

시장 성장 등 글로벌 업황 개선 가능성이 크며, 2) HD, IP-Hybrid 등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고사양<br />

화, 다기능화에 따라 국내 업체들과 후발 업체들의 경쟁력 격차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br />

상되며, 3) 구글TV, 애플TV 등 신규 플랫폼 보급이 국내 업체들의 주력 시장인 고사양<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글로벌 1위 업체인 Pace(PIC LN) 주가 상승률은 2012년 최저점 대비 345%<br />

로 같은 기간 시장 상승률 120%를 크게 상회했다. Top 5 업체인 Technicolor(TCH<br />

FP) 주가 역시 2012년 최저점 대비 244%, 연초이후 44% 상승하며 시장(연초이후<br />

1.8%를 크게 아웃퍼폼하고 있다. 이는 업황 부진의 주요 원인이있던 유럽 지역 수요 회복<br />

세가 뚜렷하고, 남미, 중동 등 신규 시장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국내 업체<br />

중 휴맥<strong>스</strong>는 2013년 경영 계획에서 서유럽은 +50~55%, 중동/북아프리카는 +40~50%<br />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고, 가온미디어 역시 남미 시장 성장 잠재력에 높은 기대를 걸<br />

고 있어 업황 회복을 체감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br />

기존의 SD, HD급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는 진입 장벽이 낮은 아이템이었지만,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br />

고사양화, 다기능화는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대형 케<br />

이블, 위성 방송 사업자의 경우 안정성과 보안을 이유로 글로벌 탑 5~6위 업체와의 공급<br />

제안만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긍정적이다. SD급에서 HD, UHD 등으로 송출 영상의<br />

고사양화와, VoD, 앱(App) 등을 지원하는 기능의 다양화는 방송사와 TV메이커들의 수익<br />

창출을 위해 거<strong>스</strong>를 수 없는 대세이다. 국내 업체 중 휴맥<strong>스</strong>는 최대 시장인 북미 위성방송<br />

1위인 Direct TV에 오랜 공급 경험이 있으며, 홈캐<strong>스</strong>트 역시 미국 케이블 업체에 공급할<br />

정도로 기술력과 경험을 인정 받고 있어 국내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은 세계<br />

최고 수준이라고 판단한다.<br />

2


3) <strong>스</strong>마트TV 보급률 향상의<br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최대 수혜<br />

업종 대표주 위주의 접근<br />

필요<br />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br />

구글TV, 애플TV의 등장은 플랫폼 표준화 관점에서 <strong>스</strong>마트TV 보급과 TV 마켓 활성화에<br />

기여할 것이며 이는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시장에 긍정적인 이슈이다.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br />

iOS와 같은 표준화된 플랫폼 등장이 <strong>스</strong>마트폰 보급과 모바일 마켓 성장을 가속화 했다는<br />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25일 개막된 <strong>스</strong>페인 모바일월드 콩그레<strong>스</strong>(MWC)에서 삼성전자<br />

가 안드로이드 기반의 ‘홈싱크’를 출시한 것도 같은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LG전자는<br />

이미 2012년 구글 TV를 출시하였으며, 중국 하이센<strong>스</strong>와 중국 최대 TV메이커인 TCL 역<br />

시 구글TV를 도입하는 등 <strong>스</strong>마트TV 시장의 본격적인 개화를 앞두고 있다. 고사양, 다기<br />

능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시장에서 경쟁력이 높은 국내 업체들의 최대 수혜가 예상되며, 이미 가온미디<br />

어 2010년, 휴맥<strong>스</strong>와 홈캐<strong>스</strong>트 역시 2012년에 안드로이드 기반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개발을 완료하<br />

였다.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자체가 사양화될 것이라는 일부의 주장은 현재까지의 <strong>스</strong>마트TV 개발 방<br />

향과 국가별 방송 환경과 시<strong>스</strong>템의 차이를 고려하면 기우에 불과하다.<br />

업종 대표주 위주의 접근이 필요하며, 최선호주로 휴맥<strong>스</strong>를 추천한다. 동사는 2012년 기<br />

준 미국 46%, 유럽 31% 등 매출 비중으로 글로벌 업황 회복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br />

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영국 시장에 공급하는 Youview(지상파), Freetime(위성) 신제품<br />

효과가 기대된다. 2013년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2천억원(YoY +17%), 영업이익 500억<br />

원(YoY +63%) 목표로 하고 있어, 현주가는 2013F PER 7.0배, PBR 0.6배 수준으로 업<br />

황 회복 Cycle 초기 시점임을 고려시 Valuation 부담도 없다.<br />

그림 1> Pace 주가 추이 그림 2> Pace 실적 추정치 변경 추이<br />

���<br />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현대증권 자료: 현대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 ���������<br />

��<br />

����� ����� ����� ����� ����� ����� �����<br />

그림 3> Technicolor 주가 추이 그림 4> Virgin media 추가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 ��<br />

���<br />

����� ����� �����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현대증권 자료: 현대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 ��<br />

�<br />

����� ����� �����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3


그림 5> 글로벌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업체 순위 및 출하량 점유율(2009년)<br />

>>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br />

�� ��� �������� ���<br />

��<br />

�����<br />

���<br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 ����<br />

������ ���� ���� �����<br />

자료: iSu pli<br />

그림 6> <strong>셋</strong><strong>톱</strong><strong>박</strong><strong>스</strong> 기술 개발 발전 동향<br />

자료: 휴맥<strong>스</strong>, 현대증권<br />

� 당사는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는 과거의 자료를 기초로 한 투자참고 자료로서 향후 주가 움직임은 과거의 패턴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재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br />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신의성실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함.<br />

� 투자의견 분류: 산업: Overweight(10%이상), Neutral(-10~10%), Underweight(-10%이상) / 기업: Strong BUY(30%이상), BUY(10~30%), Marketperform(-10~10%), Underperform(-10%이상)<br />

등급: Strong BUY = 4, BUY = 3, Marketperform = 2, Underperform = 1, Blackout/Universe탈락 = 0 ( 주가 -, 적정주가 �, 등급 -)<br />

� 이 보고서는 고객들에게 투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계약의 청약 또는 청약의 유인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는 당사가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하는 자료와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일 시점의 전문적인 판단을 반영한 의견이나 당사가<br />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통지 없이 의견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개별 투자는 고객의 판단에 의거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 보고서는 여하한 형태로도 고객의 투자판단 및 그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의 저<br />

작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배포 및 변형할 수 없습니다. 이 보고서는 학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므로, 학술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경우에는 당사에 사전 통보하여 동의를 얻으시기 바랍니다.<br />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 ���� ����<br />

�<br />

�<br />

�<br />

�<br />

�<br />

4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