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5.2013 Views

현 대 스 몰 캡 하 반 기 탑 픽 스

현 대 스 몰 캡 하 반 기 탑 픽 스

현 대 스 몰 캡 하 반 기 탑 픽 스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In-depth Report<br />

저금리/저성장 시<strong>대</strong>의<br />

Must-Have Small Caps<br />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br />

화진, 상아프론테크, 우진<br />

흔들림 없는 성장주<br />

AJ렌터카, KG이니시<strong>스</strong>, 인터파크<br />

구조조정, 턴어라운드주<br />

웅진씽크빅, 동일제지<br />

De-Rating 해소주<br />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삼진엘앤디<br />

중국소비 수혜주<br />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매일유업, 락앤락<br />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한병화<br />

02-6114-2908 bh.han@hdsrc.com<br />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송동헌<br />

02-6114-2924 dongheon.song@hdsrc.com<br />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진홍국<br />

02-6114-2928 kevin.jin @hdsrc.com<br />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태윤선<br />

02-6114-2934 yoonsun.tae@hdsrc.com<br />

리서치센터 트위터 @QnA_Research<br />

2013년 5월 20일 이슈분석<br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br />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2


요약: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 │ 4<br />

Overview │ 6<br />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 │ 12<br />

화진 (134780, BUY(유지)) 14<br />

상아프론테크 (089980, Not Rated) 19<br />

우진 (105840, BUY(유지)) 23<br />

흔들림 없는 성장주 │ 27<br />

AJ렌터카 (068400, BUY(유지)) 29<br />

KG이니시<strong>스</strong> (035600, BUY(유지)) 38<br />

인터파크 (035080, Not Rated) 43<br />

구조조정, 턴어라운드주 │ 46<br />

웅진씽크빅 (095720, BUY(유지)) 48<br />

동일제지 (019300, BUY(유지)) 54<br />

De-Rating 해소주 │ 60<br />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066670, BUY(유지)) 65<br />

삼진엘앤디 (054090, Not Rated)) 70<br />

중국소비 수혜주 │ 75<br />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048260, BUY(유지)) 77<br />

매일유업 (005990, BUY(유지)) 80<br />

락앤락 (115390, BUY(유지)) 83<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3


Small Cap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2013년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중소형주 전망<br />

연초 이후 글로벌 주요증시는 헬<strong>스</strong>케어, 소비재, 음식료, 텔레콤, 유틸리티<br />

등 경<strong>기</strong>방어 관련주들이 상승을 주도<strong>하</strong>고 있다. 글로벌 경<strong>기</strong>가 아직까지<br />

저성장의 굴레에서 헤어나오지 못<strong>하</strong>는 것을 <strong>반</strong>증<strong>하</strong>는 시장의 흐름이다.<br />

우리나라 중소형주 중에는 경<strong>기</strong>방어적인 업체들이 많이 포진해있다. 따라<br />

서 글로벌 경<strong>기</strong>가 저성장 국면에서 탈피해 상품가격 상승 등의 신호가 나<br />

타나지 않는 한 경<strong>기</strong>방어적인 중소형주들이 우리나라 증시를 주도할 것으<br />

로 판단된다.<br />

•Top Picks: AJ렌터카, 상아프론테크, 화진, 우진, KG이니시<strong>스</strong>,<br />

웅진씽크빅<br />

<strong>현</strong>재 커버리지 중 AJ렌터카, 상아프론테크, 화진, 우진, KG이니시<strong>스</strong>, 웅<br />

진씽크빅을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로 추천한다. 이외에도 아래의 해당 카테고리별 주요종<br />

목들 중 실적이나 성장모멘텀이 추가 확보될 경우 향후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로 상향할<br />

예정이다.<br />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 - 화진, 상아프론테크, 우진<br />

오랜 업력과 높은 <strong>기</strong>술력으로 독과점 제품을 생산<strong>하</strong>는 업체들은 자체적인<br />

성장모멘텀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 자동차 우드그레인, IPE 부품 등의 독과점<br />

업체인 화진, LCD Cassette, Wafer Carrier, Transfer belt 등 특수엔지<br />

니어링 플라<strong>스</strong>틱 소재/부품 생산업체인 상아프론테크, 원전계측<strong>기</strong> 독점공<br />

급업체인 우진이 이에 해당한다.<br />

•흔들림 없는 성장주 - AJ렌터카, KG이니시<strong>스</strong>, 인터파크<br />

<strong>기</strong>업용 수요가 <strong>대</strong>부분인 렌터카 시장과 모바일 및 오프라인으로의 확장이<br />

이어지고 있는 e-commerce 시장은 매크로 변화에 흔들림 없이 성장<strong>하</strong><br />

는 산업이다. 렌터카 시장 2위 업체인 AJ렌터카와 e-commerce <strong>대</strong>표<br />

업체인 KG이니시<strong>스</strong>, 인터파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br />

•구조조정, 턴어라운드주 - 웅진씽크빅, 동일제지<br />

성장에 <strong>대</strong>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가 낮아짐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보유한 업체에<br />

<strong>대</strong>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과거 성장률 저<strong>하</strong>로 산업 구조조정을<br />

겪고 안정적인 성장주로 턴어라운드 <strong>하</strong>는 업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br />

판단된다. 유아 학습지/전집업체 웅진씽크빅과 골판지원지업체 동일제지<br />

를 추천한다.<br />

4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디레이팅 해소주 -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삼진엘앤디<br />

시장의 인식 변화로 디레이팅이 해소되고 있는 업체들이 있다. <strong>스</strong>마트폰<br />

시장 개화 초<strong>기</strong> 주력 디<strong>스</strong>플레이로 AMOLED가 <strong>탑</strong>재되면서 중소형LCD<br />

의 성장성 둔화에 <strong>대</strong>한 우려가 부각되어 왔다. Tablet PC 성장과 보급형<br />

<strong>스</strong>마트폰의 증가로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삼진엘앤디와 같은 중소형LCD 업체<br />

들의 리레이팅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br />

•중국소비 수혜주 -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매일유업, 락앤락<br />

양적성장에서 질적성장을 선택한 중국의 가장 매력적인 성장부문은 내수<br />

시장이다. 따라서 중국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 1위인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분<br />

유와 유아용품으로 중국시장에서 성장을 본격화<strong>하</strong>고 있는 매일유업, 밀폐<br />

용<strong>기</strong>, 주방용품 등 부문에서 중국 1위의 브랜드 파워를 보유한 락앤락은<br />

언제나 관심<strong>대</strong>상이다.<br />

5


그림 1>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Top Picks Overview<br />

Overview<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Top Picks: AJ렌터카, 상아프론테크, 화진, 우진, KG이니시<strong>스</strong>,<br />

웅진씽크빅<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2> 화진 주가 그림 3> 화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4> 상아프론테크 주가 그림 5> 상아프론테크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6> 우진 주가 그림 7> 우진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8> AJ렌터카 주가 그림 9> AJ렌터카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10> KG이니시<strong>스</strong> 주가 그림 11> KG이니시<strong>스</strong>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12> 인터파크 주가 그림 13> 인터파크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14> 웅진씽크빅 주가 그림 15> 웅진씽크빅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16> 동일제지 주가 그림 17> 동일제지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18>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주가 그림 19>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20> 삼진엘앤디 주가 그림 21> 삼진엘앤디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9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22>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주가 그림 23>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24> 매일유업 주가 그림 25> 매일유업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26> 락앤락 주가 그림 27> 락앤락 매출액 및 영업이익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0


저성장 시<strong>대</strong>에 상<strong>대</strong>적으로<br />

안전한 산업군이 글로벌<br />

증시 주도<strong>하</strong>는 중<br />

국내증시는 엔저여파까지<br />

겹쳐져 <strong>대</strong>형주 주도 더욱<br />

힘든 국면<br />

상품가격 박<strong>스</strong>권 돌파 등<br />

성장 회복 신호 보이<strong>기</strong><br />

전까지는 중소형주 선호<br />

그림 28> S&P500 섹터별 수익률(2013년 이후) 및 비중<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그림 29> 박<strong>스</strong>권인 상품가격 지수<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저성장 국면 탈피 전까지는 중소형주에 유리한 장세 예상<br />

연초 이후 S&P 500 구성종목 중 경<strong>기</strong>방어적인 헬<strong>스</strong>케어, 소비재, 유틸리티 업종 등이 경<br />

<strong>기</strong>민감 업종인 산업재, 에너지, 소재 등 보다 주가상승률이 월등히 높았다. 저성장시<strong>대</strong>에<br />

<strong>대</strong>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종목선택에 투영되고 있는 것이다. 국내도 이와 동일한 흐름을 보<br />

이고 있는데 <strong>대</strong>부분의 경<strong>기</strong>방어적인 주식들이 통신, 유틸리티를 제외<strong>하</strong>고는 중소형주에<br />

포진되어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를 중소형주 장세라고 판단<strong>하</strong>는 것이다.<br />

지난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부터 시작된 엔저여파로 국내 주요 산업들의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br />

자동차, <strong>기</strong>계, 철강, 일부 IT 업종까지 일본업체들과 경쟁관계에 있는 산업군이 <strong>대</strong>부분 국<br />

내 증시의 <strong>대</strong>형주들이<strong>기</strong> 때문에 상<strong>대</strong>적으로 안전한 중소형주에 <strong>대</strong>한 선호가 지속될 것으<br />

로 판단된다.<br />

글로벌 저성장 국면에서 탈피한다는 신호는 유가, 구리가격 등 상품가격의 움직임에서 나<br />

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글로벌 재화에 <strong>대</strong>한 수요증가를 가장 민감<strong>하</strong>게 <strong>반</strong>영<strong>하</strong>는 선행지표<br />

가 상품가격이<strong>기</strong> 때문이다. 글로벌 상품가격은 08년 리먼사태 이후 급락세를 보이다가 일<br />

정부분 회복은 <strong>하</strong>였으나 박<strong>스</strong>권에 갇혀있는 상태이다. 만약 상품가격의 상승이 <strong>기</strong>조적으<br />

로 나타나게 되면 장세의 중심은 경<strong>기</strong>민감 <strong>대</strong>형주군으로 옮겨가게 될 것이다. 또한 중소형<br />

주도 그동안 주도해오던 경<strong>기</strong>방어적인 업체들에서 산업재 중소형주가 중심이 될 것이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1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오랜 업력, 높은 <strong>기</strong>술력, 해당산업에서의 독과점적 지위를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는 업체들은 글로벌 저성장 <strong>기</strong>조를 극복<strong>하</strong>는 자생력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br />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들은 시장의 요구에 맞는 신제품을 개발<strong>하</strong>거나 새로운 고객을 <strong>스</strong><strong>스</strong>로 개척<strong>하</strong>는 창조경제의 핵심업체들이라 할 수 있다.<br />

Top picks: 화진(134780, BUY, FV 9,600원), 상아프론테크(089980, NR), 우진(105840, BUY, FV 12,500원)<br />

저성장 시<strong>대</strong>를 극복<strong>하</strong>는 <strong>기</strong>술력과 시장지배력에 주목<br />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 주목 글로벌 저성장과 엔저는 국내업체들의 성장을 저해<strong>하</strong>고 있다. <strong>하</strong>지만 오랜 업력에 바탕을<br />

둔 높은 <strong>기</strong>술력으로 해당 시장을 지배<strong>하</strong>고 있는 업체들은 흔들림 없는 성장이 가능<strong>하</strong>다.<br />

자동차 내장재 표면처리 업체인 화진, 슈퍼엔지니어링 소재/부품업체인 상아프론테크, 원<br />

전용 계측<strong>기</strong> 독점공급업체인 우진이 이에 해당<strong>하</strong>는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이다.<br />

1) 화진 화진은 자동차 내장재인 우드그레인, 메탈빛 플라<strong>스</strong>틱을 표면처리<strong>하</strong>는 국내 독과점업체이<br />

다. 동사의 가장 주요한 투자포인트는 일본 완성차업체인 닛산과 혼다를 주고객으로 확보<br />

<strong>하</strong>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엔저에 따른 일본 완성차의 글로벌 수요확<strong>대</strong>로 인한 효<br />

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3년부터 일본 완성차향 이익비중이 국내 완성차<br />

향 업체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br />

2) 상아프론테크 상아프론테크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strong>스</strong>틱 소재/부품업체로 주요 제품인 LCD Cassette,<br />

OA <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용 Transfer Belt, <strong>반</strong>도체 Wafer Carrier 등은 글로벌 과점 상태일 정도로 높은<br />

<strong>기</strong>술력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 동사의 핵심 투자포인트는 <strong>대</strong>형 이차전지 및 ESS 부품과 필터<br />

니들 주사<strong>기</strong> 등 신제품효과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시작된다는 것이다.<br />

3) 우진 우진은 국내 원전용 핵심 계측<strong>기</strong> 독점공급업체이다. 신정부의 원전신설 정책이 확정되고<br />

원전계측 정비업체를 인수함으로써 동사는 올해부터 턴어라운드가 예상된다. 동사의 가장<br />

큰 투자매력은 원전용 초음파 유량계의 개발완료이다. 한수원과 해외원전업체의 요구로<br />

개발된 이 제품은 국내업체로는 최초로 해외에 수출되는 원전 핵심부품이 될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br />

된다.<br />

그림 30> 니치마켓 리더<strong>스</strong> 요약 및 Valuation<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2


그림 31> 화진 PER Band 그림 32> 화진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그림 33> 상아프론테크 PER Band 그림 34> 상아프론테크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그림 35> 우진 PER Band 그림 36> 우진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3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화진 (134780) BUY (유지)<br />

주가(5/16) 7,600원 유동주식비율 47.8%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9,600원 60일 평균 거래량 165,972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8,38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11억원 3,980원<br />

시가총액 933억원 외국인보유비중 14.6% 베타 (12M, 일간수익률) 1.3<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2,100,0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14.3%<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조만호 등 52.2%<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C) (IFRS-C) (IFRS-C) 절<strong>대</strong> 4.5% 56.2% 86.2%<br />

매출액 (십억원) 81.2 99.2 116.4 131.7 144.1 상<strong>대</strong> 2.3% 42.1% 62.6%<br />

영업이익 (십억원) 8.9 11.8 14.3 16.8 19.1<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7.3<br />

7.3<br />

707<br />

10.3<br />

10.3<br />

848<br />

11.6<br />

11.6<br />

961<br />

13.6<br />

13.6<br />

1,121<br />

15.3<br />

15.3<br />

1,266<br />

<br />

<br />

<br />

<br />

<br />

<br />

수정EPS (원) 707 848 961 1,121 1,266<br />

<br />

<br />

PER* (배) 9.9 - 3.8 9.2 - 4.4 7.9 6.8 6.0<br />

<br />

<br />

PBR (배)<br />

EV/EBITDA (배)<br />

1.1<br />

4.1<br />

1.1<br />

3.3<br />

1.5<br />

4.9<br />

1.2<br />

3.8<br />

1.0<br />

3.0<br />

<br />

<br />

배당수익률 (%) 2.5 2.2 1.3 1.4 1.6<br />

<br />

<br />

ROE (%) 16.6 21.4 20.5 19.9 18.8<br />

<br />

ROIC (%) 18.3 18.0 20.4 24.3 26.0<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화진,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일본 완성차향 매출과<br />

이익비 급증<br />

자동차 내장재 부품<br />

표면처리 독과점업체<br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br />

9,600원 유지<br />

엔저가 수혜가 될 수 있는 자동차 관련주<br />

화진의 일본 완성차향 매출비중은 2012년 21%에서 2013년 33%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br />

된다. <strong>현</strong>재 확정된 닛산 3차종, 혼다 1차종에서 고객과 차종이 추가될 가능성이 높아 동사<br />

의 일본향 매출비중은 궁극적으로 50%를 상회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익비중은 일본차향<br />

이 약 6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차향 이익률이 높은 이유는 국내완성차는 약<br />

20개의 모델을 생산<strong>하</strong>는데 비해 일본 완성차는 4개에 불과해 생산성이 월등히 높<strong>기</strong> 때문<br />

이다.<br />

동사는 자동차용 내장재인 우드그레인과 메탈빛 플라<strong>스</strong>틱의 표면처리를 <strong>하</strong>는 업체이다.<br />

우드그레인은 국내점유율 약 60%, 메탈플라<strong>스</strong>틱용 IPE코팅은 독점업체이다. 동사에게 우<br />

드그레인의 원재료인 특수필름을 공급<strong>하</strong>는 일본의 DIC가 2<strong>대</strong>주주라서 안정적인 원재료<br />

조달이 가능<strong>하</strong>다.<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9,600원을 유지한다. 적정주가는 동사의 2013년<br />

예상 EPS에 PER 10배를 적용한 것이다. 일본 완성차업체향 매출과 이익비중 확<strong>대</strong>로 인<br />

한 차별화된 성장, 구조적으로 높은 이익률, 수요는 증가<strong>하</strong>고 공급은 제한적인 사업내용을<br />

감안<strong>하</strong>면 동사는 타 자동차 부품업체 <strong>대</strong>비 프리미엄을 받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특<br />

히 동사의 일본완성차업체향 이익비중이 국내업체향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strong>기</strong> 때문에 동<br />

사의 주가 흐름은 일본 자동차 부품업체들과 동조할 가능성 높다.<br />

14


타자동차 부품업체들과<br />

차별화되는 이익률 보유<br />

그림 37> 일본/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strong>대</strong>비 해서 높은 이익률 <strong>기</strong>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올해부터 일본완성차향<br />

이익비중이<br />

국내완성차향보다 높아질 것<br />

<br />

<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화진은 국내 타자동차부품업체과 차별화된 이익률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 <strong>대</strong>부분의 자동차 부<br />

품업체들이 영업이익률 <strong>기</strong>준 5%를 넘<strong>기</strong> 힘든데 비해 동사는 연결<strong>기</strong>준 약 12%, 단독<strong>기</strong>준<br />

약 16%의 영업이익률을 <strong>기</strong>록<strong>하</strong>고 있다. 이는 동사가 단순한 부품업체라<strong>기</strong> 보다는 특수소<br />

재를 이용한 표면처리라는 서비<strong>스</strong>를 제공<strong>하</strong>는 <strong>기</strong>술력 중심의 업체이<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동사가 일본 완성차업체로부터 창출<strong>하</strong>는 이익은 올해부터 국내 완성차 업체향을 상회할<br />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향 매출이 2012년 209억원에서 380억원으로 크게 증가<strong>하</strong>고 일본<br />

업체향 제품들이 소품종 <strong>대</strong>량생산이어서 이익률이 높<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최근 동사의 우드그레<br />

인 증착라인의 불량률이 이러한 <strong>대</strong>량 생산의 효과로 국내 5%, 중국 10% 전후로 낮아지<br />

고 있는데 이는 과거 <strong>대</strong>비 평균 5% 수준씩 향상된 것이다.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기</strong>아, 쌍용차 등 국내고<br />

객들의 경우 취급차종이 수십 종 이상이지만 일본 고객의 경우 닛산 3종, 혼다 1종에 불<br />

과<strong>하</strong>다.<br />

그림 38> 화진의 해외완성차업체향 영업이익 비중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화진,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5


수요는 견조<strong>하</strong>고 공급은<br />

제한적인 자동차 내장재용<br />

표면처리 사업<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주력제품인 우드그레인과 IPE(Ion Plazma Evaporation) 표면처리는 주로 고급 자동차<br />

내장재에 사용된다. 소득증가에 따른 고급 내장재 선호와 완성차 업체들의 제품차별화 마<br />

케팅 전략 등으로 우드그레인과 IPE 제품에 <strong>대</strong>한 중장<strong>기</strong>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strong>하</strong>고 있<br />

다. <strong>하</strong>지만 공급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그 이유는 1) 표면처리 <strong>기</strong>술이 진입장벽<br />

이 높고 2) 작업 시 방출되는 <strong>대</strong>량의 폐수로 인해 주요 선진국에서는 신증설 시 비용부담<br />

이 크<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실례로 동사가 닛산에 납품<strong>하</strong>게 된 배경도 일본의 닛산 벤더가 증설이<br />

어려워 동사를 소개시켜 주었<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그림 39> 우드그레인 부품 적용 <strong>대</strong>상<br />

자료: 화진<br />

그림 40> IPE 부품 적용 <strong>대</strong>상<br />

자료: 화진<br />

16


일본 완성차향 매출증가와<br />

내년 국내 신차 출시로 향후<br />

실적가시성 높아<br />

그림 41> 화진의 연도별 실적 추정<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2013년 매출액, 영업이익은 전년<strong>대</strong>비 각각 17%, 1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적증가<br />

의 원인은 일본 완성차향 매출이 2012년 209억원에서 2013년 380억원으로 증가<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br />

때문이다. 일본 매출비중은 <strong>대</strong>부분이 닛산향이며 올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혼다의 미니밴 한 종이 추가된<br />

다. <strong>현</strong>재 혼다와 추가 차종 납품에 <strong>대</strong>해서 논의<strong>하</strong>고 있으며 타 일본업체와도 공급 논의가<br />

진행 중이다. 동사의 일본 업체향 매출은 모두 달러<strong>기</strong>준으로 계약되어있<strong>기</strong> 때문에 엔저에<br />

따른 영향은 없다. 또한 원재료인 특수 필름을 일본에서 엔화로 수입<strong>하</strong>고 있어 비용 절감<br />

이 예상된다. 따라서 엔저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향후 실적이 낮아질 개연성이 있는 타 자<br />

동차 부품업체와는 차별화된 실적 가시성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 2014년에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차의LF쏘나<br />

타 등 신차에 동사의 우드그레인과 IPE 제품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 실적에 <strong>대</strong>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는<br />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2010년 이전은 K-G AP <strong>기</strong>준, 20 1년 이후는 IFRS 연결 <strong>기</strong>준<br />

자료: 화진,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17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1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상아프론테크 (089980) Not Rated<br />

주가(5/16) 7,170원 유동주식비율 36.0%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NA 60일 평균 거래량 151,370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6,97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NA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8억원 3,655원<br />

시가총액 881억원 외국인보유비중 0.9% 베타 (12M, 일간수익률) 1.0<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2,289,47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47.2%<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이상원 등 59.9%<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24.7% 50.9% 69.9%<br />

매출액 (십억원) 106.4 94.0 113.0 142.0 159.6 상<strong>대</strong> 23.1% 37.2% 45.0%<br />

영업이익 (십억원) 7.1 5.3 9.8 14.3 18.6<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5.6<br />

5.6<br />

508<br />

508<br />

4.4<br />

4.4<br />

358<br />

358<br />

7.1<br />

7.1<br />

587<br />

587<br />

10.6<br />

10.6<br />

879<br />

879<br />

13.8<br />

13.8<br />

1,142<br />

1,142<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ER* (배) 16.2 - 7.1 16.8 - 10.1 12.2 8.2 6.3<br />

<br />

<br />

PBR (배)<br />

EV/EBITDA (배)<br />

0.8<br />

5.6<br />

0.7<br />

6.6<br />

1.1<br />

7.2<br />

1.0<br />

5.4<br />

0.8<br />

4.0<br />

<br />

<br />

<br />

배당수익률 (%) 1.6 1.7 1.0 1.0 1.4<br />

<br />

<br />

ROE (%) 7.7 5.9 8.8 12.4 14.2<br />

<br />

ROIC (%) 8.2 5.4 3.3 11.0 13.8<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상아프론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특수 영역의<br />

소재/부품업체로 글로벌<br />

최고 수준의 <strong>기</strong>술력 보유<br />

신제품 효과로 올해부터<br />

턴어라운드 본격화 예상<br />

해외 동종업체 <strong>대</strong>비 저평가,<br />

향후 성장잠재력 감안 시<br />

리레이팅 지속될 것<br />

특수 소재/부품업체로 재평가 작업 이루어질 것<br />

상아프론테크는 슈퍼엔지니어링 소재/부품업체로 LCD Cassette, OA <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용 Transfer<br />

Belt, <strong>반</strong>도체 Wafer Carrier 등 제품의 글로벌 과점업체이다. 8세<strong>대</strong> 이상의 <strong>대</strong>형 LCD<br />

Cassette는 글로벌 1위의 점유율이고 Transfer Belt도 일본업체가 독점<strong>하</strong>던 것을 국산화<br />

해서 삼성전자에 납품<strong>하</strong>고 있다. <strong>반</strong>도체 Wafer Carrier도 지난해 말 국내업체 최초로 12<br />

인치용 FOUP를 개발해 성공했다. 이 제품도 일본과 미국의 3개업체만이 생산<strong>기</strong>술을 보<br />

유<strong>하</strong>고 있었다.<br />

동사는 2012년 주력제품인 LCD Cassette의 매출부진으로 역성장 <strong>하</strong>였으나 올해부터는<br />

<strong>대</strong>형이차전지와 ESS용 부품과 필터니들 주사<strong>기</strong> 등 신제품 매출증가로 턴어라운드가 예상<br />

된다. 또한 LCD Cassette 부문도 최근 2년만에 처음으로 신규수주를 받았고 2013년에<br />

도 중국 디<strong>스</strong>플레이업체들의 신규투자 확<strong>대</strong>로 실적 호전의 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br />

다.<br />

LCD Cassette, <strong>반</strong>도체 Wafer Carrier, Transfer Belt 등을 제조<strong>하</strong>는 해외의 동종업체들<br />

은 2013년 <strong>기</strong>준 PER이 평균 24.3배인데 비해 동사는 12.2배에 불과<strong>하</strong>다. 또한 <strong>대</strong>형 이<br />

차전지 부품, 필터니들 주사<strong>기</strong> 등 신제품 효과가 내년부터는 연간 전체에 <strong>반</strong>영되므로<br />

2014년 <strong>기</strong>준 PER은 8.2배로 큰 폭으로 낮아진다. 동사는 소재부터 부품까지 제작가능한<br />

일관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고 글로벌 선두권의 <strong>기</strong>술력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어 향후 <strong>기</strong>술변화에<br />

따른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경쟁력이 있다. 따라서 실적호전과 함께 리레이<br />

팅이 본격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br />

19


슈퍼엔지니어링 플라<strong>스</strong>틱<br />

소재/부품업체로 다양한<br />

사업에서 독과점 영역 구축<br />

그림 42> 상아프론테크의 산업부문별 제품 소개<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상아프론테크는 국내에서 최초로 불소를 이용한 슈퍼엔지니어링 플라<strong>스</strong>틱을 개발한 업체<br />

로 자동차, IT 등 다양한 부문에 제품을 독과점으로 공급<strong>하</strong>고 있다. 최근에는 폴리이미드<br />

를 이용한 EMI 차폐필름, 이차전지 분리막 등을 개발 중이라서 핵심 소재업체로 성장<strong>하</strong><br />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사의 가장 큰 장점은 특수소재를 고객들의 요구에 맞는 물성<br />

으로 만든 다음 최종 부품으로 성형 가공<strong>하</strong>는 일관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해<br />

당 부품을 만들<strong>기</strong> 위한 설비도 자체적으로 제작<strong>하</strong>고 있어 높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無<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상아프론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20


필터니들 주사<strong>기</strong>로 의료<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br />

사업에 진출<br />

2013년, 2014년 영업이익<br />

전년<strong>대</strong>비 각각 87%, 46%<br />

증가 예상<br />

그림 43> 상아프론테크 연간 이익 추정<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사는 2012년 일체형 필터니들 주사<strong>기</strong>를 개발해 국내 식약청의 판매허가를 받아 시판<br />

중이다. <strong>기</strong>존에 내시경용 튜브를 납품<strong>하</strong>고 있어 의료<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 시장에 두 번째 제품을 개발한<br />

것이다. 국내의 필터니들 주사<strong>기</strong> 시장은 사용자의 편의성 증가와 의료보험 비급여 적용으<br />

로 인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병의원들은 연간 약 4억 개의 주사<strong>기</strong>를<br />

사용<strong>하</strong>고 있으며 이중 약 절<strong>반</strong> 정도가 필터니들 주사<strong>기</strong>로 교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br />

판단된다. 이 경우 국내 시장의 크<strong>기</strong>는 약 700~800억원으로 추정된다. <strong>현</strong>재 동사 포함<br />

두 업체가 병의원에 납품<strong>하</strong>고 있으며 수요급증으로 동사는 연간 약 4천만 개를 제조할 수<br />

있는 자동화 설비를 제작<strong>하</strong>고 있다.<br />

2013년 주력제품인 LCD 이송용 Cassette의 매출 회복과 신제품 매출로 전년<strong>대</strong>비 영업<br />

이익이 8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4년은 올해 4~6월 론칭된 필터니들 주사<br />

<strong>기</strong>와 <strong>대</strong>형이차전지용 부품 등 신제품들의 매출이 연간으로 <strong>반</strong>영되고 <strong>기</strong>존 사업인 LCD<br />

Cassette 부문도 중국업체들의 증설로 영업이익이 전년<strong>대</strong>비 46%증가할 것으로 예상된<br />

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상아프론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21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22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우진 (105840) BUY (유지)<br />

주가(5/16) 10,400원 유동주식비율 40.7%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12,500원 60일 평균 거래량 121,756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10,85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11억원 5,075원<br />

시가총액 1,849억원 외국인보유비중 1.2% 베타 (12M, 일간수익률) 0.6<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7,360,0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42.7%<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이성범 등 55.4%<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C) (IFRS-C) (IFRS-C) 절<strong>대</strong> 21.7% 33.6% 63.8%<br />

매출액 (십억원) 81.9 82.9 102.2 122.3 148.1 상<strong>대</strong> 18.6% 34.3% 55.5%<br />

영업이익 (십억원) 11.3 5.5 11.1 15.3 21.7<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PBR (배)<br />

EV/EBITDA (배)<br />

13.4<br />

12.3<br />

738<br />

738<br />

17.2 - 7.3<br />

1.3<br />

8.7<br />

8.0<br />

6.8<br />

398<br />

398<br />

19.4 - 12.5<br />

1.1<br />

13.6<br />

11.6<br />

10.5<br />

608<br />

608<br />

17.1<br />

1.7<br />

13.6<br />

15.5<br />

14.3<br />

822<br />

822<br />

12.7<br />

1.5<br />

9.6<br />

21.4<br />

20.1<br />

1,157<br />

1,157<br />

9.0<br />

1.3<br />

6.5<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배당수익률 (%) 1.8 1.0 1.4 1.9 2.4<br />

<br />

<br />

ROE (%) 13.7 7.2 10.2 12.5 15.6<br />

<br />

ROIC (%) 21.5 8.6 9.5 17.7 24.3<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우진,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한국형 원전용 계측<strong>기</strong><br />

독점공급업체<br />

한수원 정상화와 정비업체<br />

인수로 턴어라운드 본격화<br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br />

12,500원 유지<br />

국내업체 최초로 핵심 원전부품 수출업체로 성장 예상<br />

우진은 한국형 원전용 핵심 계측<strong>기</strong> 독점 공급업체이다. 동사가 제품을 개발<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이전 국내<br />

<strong>대</strong>부분의 원전용 계측<strong>기</strong>는 웨<strong>스</strong>팅<strong>하</strong>우<strong>스</strong> 등 해외업체의 협력사들로부터 수입을 해왔다.<br />

동사는 핵분열 측정<strong>기</strong>, 제어봉 위치 추적<strong>기</strong>, 냉각수 수위 측정<strong>기</strong> 등에 <strong>대</strong>해 한수원의 구매<br />

조건부 개발과제로 개발에 성공했으며 업력이 약 50년에 달<strong>하</strong>는 국내 최<strong>대</strong>의 산업용 계측<br />

<strong>기</strong>업체이다.<br />

2012년 영업이익이 전년<strong>대</strong>비 약 51% 급락<strong>하</strong>였다. 고마진 제품인 원전계측<strong>기</strong>의 매출이<br />

전년비 32%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주 고객인 한수원이 납품 비리에 연루되며<br />

원전부품의 공급체계가 일시적으로 마비되었<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최근 한수원의 이러한 문제점들<br />

이 관계자들의 처벌로 마무리되면서 원전부품의 공급체계가 정상화될 것으로 판단된다.<br />

또한 동사는 최근 원전 및 화력발전소의 계측<strong>기</strong>정비를 <strong>하</strong>는 업체를 인수했다. 따라서<br />

2013년 영업이익은 전년비 약 101%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2,500원을 유지한다. 적정주가는 2013년 실적<strong>기</strong><br />

준 PER 20배, 2014년 <strong>기</strong>준 15배의 PER을 적용해서 산출했다. 주력 제품인 원전용 계측<br />

<strong>기</strong>와 철강설비용 자동화 장치가 국내 독점 소모품이어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strong>하</strong>다. 또한<br />

원전용 초음파 유량계를 개발해 해외 원전에 수출가능성이 높을 정도로 세계 최고의 <strong>기</strong>술<br />

수준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strong>기</strong> 때문에 가치 산정 시 높은 프리미엄이 적용 가능<strong>하</strong>다.<br />

23


국내업체 중 최초로 원전<br />

핵심부품 수출업체로 성장<br />

예상<br />

초음파 유량계 잠재시장은<br />

8천억원, 동사 가치 상승에<br />

촉매제 역할<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사는 2008년부터 주급수 초음파 유량계를 개발 시작<strong>하</strong>였고 한수원과는 구매조건부 개<br />

발 계약을, 해외 원전업체와는 특정모델용 개발 계약을 체결<strong>하</strong>였다. 이 제품은 증<strong>기</strong>발생<strong>기</strong><br />

용 급수시설의 유량을 초음파로 측정함으로써 <strong>기</strong>존 <strong>기</strong>계식 유량계의 측정오차를 줄이는<br />

역할을 <strong>하</strong>게 된다. 이 제품을 원전에 장착<strong>하</strong>면 약 2%의 측정오차가 줄고 급수가 추가로<br />

공급됨으로써 발전량이 2% 증가<strong>하</strong>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올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국내 원전에 실전 배<br />

치해 검증만 거치면 내년부터는 국내외 원전에 본격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br />

그림 44> 원전용 초음파 유량계의 적용 도해<br />

자료: 우진,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동사가 개발한 초음파 유량계는 국내외 시장에 성공적으로 채택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br />

유는 1) 낮은 비용(개당 20억원)으로 높은 수익(전력량 2% 증가 시 약 120억원 이익)<br />

을 실<strong>현</strong>할 수 있고 2) 원전의 안전성 이슈로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발전량을 증가시키는<br />

부품에 <strong>대</strong>한 수요가 커지고 있<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전세계 운영 원전을 약 400개라고 가정<strong>하</strong>면<br />

주급수 초음파 유량계의 잠재시장은 약 8천억원이다. 이중 우선적으로 적용 가능한 국내<br />

원전과 개발 요구한 해외 원전업체의 원자로에 적용된다면 <strong>현</strong>실적으로 약 3~4천억원의<br />

제품 매출이 예상된다. 또한 이 제품은 원전 뿐 아니라 증<strong>기</strong>를 발생시켜서 발전을 <strong>하</strong>는 석<br />

탄, 천연가<strong>스</strong> 모두에 적용할 수 있<strong>기</strong> 때문에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strong>하</strong>다고 할 수 있다.<br />

24


원전 계측<strong>기</strong> 매출, 교체주<strong>기</strong><br />

도래로 2014년부터 큰 폭<br />

증가 예상<br />

그림 45> 우진 연간 이익 추정<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원전 계측<strong>기</strong>는 영업이익률이 20% 이상이고 국내 독점 공급<strong>하</strong>는 소모품이어서 동사 실적<br />

에 가장 중요한 제품이다. 원전 계측<strong>기</strong> 매출은 2012년 주 고객인 한수원의 내부문제로 전<br />

년비 32% 급락<strong>하</strong>였으나 2013년 14% 증가세로 회복<strong>하</strong>고 2014년 65%, 2015년 61%<br />

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4년부터는 동사가 독점 개발 공급<strong>하</strong>고 있는 4<strong>대</strong> 계<br />

측<strong>기</strong>의 부품 교체주<strong>기</strong>가 시작되고 신설 원전인 신울진 1,2호<strong>기</strong>에 <strong>대</strong>한 공급도 시작되<strong>기</strong><br />

때문이다. 한국형 원전 이전의 모델은 <strong>기</strong>존의 부품을 납품<strong>하</strong>던 해외 공급업체들과 한수원<br />

의 계약관계로 동사 제품의 납품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strong>하</strong>지만 신울진 1,2호<strong>기</strong>를 <strong>기</strong><br />

점으로 신규 건설부터 교체품까지 모든 4<strong>대</strong> 계측<strong>기</strong> 공급을 동사가 <strong>하</strong>게 된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우진,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25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26


흔들림 없는 성장주<br />

매크로 변화에도 흔들림 없이 성장<strong>하</strong>는 산업은 있다. 이들 산업에 속한 <strong>기</strong>업들의 수혜는 지속될 수 밖에 없다.<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strong>기</strong>업용 수요가 <strong>대</strong>부분인 렌터카 시장과 모바일, 오프라인으로의 확<strong>대</strong>가 예상되는 e-commerce 산업은 성장에 <strong>대</strong>한 확신이 높다.<br />

Top picks: AJ렌터카(068400, BUY, FV 20,000원), KG이니시<strong>스</strong>(035600, BUY, FV 22,000원), 인터파크(035080, NR)<br />

성장 산업의 투자 매력은 더<br />

부각될 것<br />

사막에도 오아시<strong>스</strong>는 있다<br />

<strong>대</strong>내외 변수에도 불구<strong>하</strong>고 성장<strong>하</strong>는 산업은 분명히 있으며, 마치 사막의 오아시<strong>스</strong>처럼 관<br />

련 <strong>기</strong>업들의 수혜는 지속될 전망이다. e-commerce 산업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strong>기</strong>에<br />

도 전년<strong>대</strong>비 13.8% 성장<strong>하</strong>였으며, 올해 새로운 구매 트렌드의 등장과 오프라인 영역 확<br />

<strong>대</strong>라는 전환<strong>기</strong>를 맞고 있다. 렌터카 산업 역시 여행 수요 비중이 높은 선진국 시장과 달리<br />

안정성이 높은 <strong>기</strong>업수요(B2B) 비중이 높아 경<strong>기</strong> 변동에도 꾸준한 성장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br />

1) AJ렌터카 AJ렌터카는 국내 2위 사업자로 이익의 <strong>대</strong>부분이 법인 업무용 차량의 렌탈과 만<strong>기</strong> 후 중<br />

고차 매각 차익에서 발생한다, 해외 렌터카업체들이 <strong>대</strong>부분 단<strong>기</strong> 여행수요에 의존<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때<br />

문에 경<strong>기</strong>에 민감한 <strong>반</strong>면 오히려 동사는 불경<strong>기</strong>에 방어적인 사업구조인 것이다. 동사는 렌<br />

터카업체들의 가치 산정<strong>기</strong>준 지표인 EV/EBITDA 배수가 3.3배로 해외업체들에 비해 <strong>현</strong><br />

저히 저평가 되어 있어 투자매력이 높다.<br />

2) KG이니시<strong>스</strong> KG이니시<strong>스</strong>는 e-commerce 시장 성장의 최<strong>대</strong> 수혜가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 수수료 인<strong>하</strong> 압력이 낮<br />

은 차별화된 사업 구조와, 향후 신규 성장 모멘텀인 오프라인 시장 진출 가시성이 가장 높<br />

은 업체임을 고려<strong>하</strong>면 동종 PG 업체<strong>대</strong>비 주가 할증이 필요<strong>하</strong>다. 연결 자회사인 KG모빌<br />

리언<strong>스</strong> 실적 호조와 손자 회사인 패<strong>스</strong>원의 이익 <strong>기</strong>여로 1분<strong>기</strong> 실적이 예상치를 크게 상회<br />

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strong>반</strong>영<strong>하</strong>면 향후 저평가 매력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br />

3) 인터파크 인터파크는 지난해 턴어라운드에 이어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외형 및 이익 성장이 가능할<br />

전망이다. 지난해 각각 27%, 12% 감소했던 쇼핑과 도서 부문 거래액은 올해 5~10% 내<br />

외 증가 가능<strong>하</strong>며, 투어는 20% 이상의 고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다. IMK 연결 미포함 <strong>기</strong>준<br />

2013년 매출액 4,815억원(YoY +6%), 영업이익 326억원(YoY +133%) 내외 달성은<br />

무난할 것으로 보이며, 실적 개선 추세는 내년 이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br />

그림 46> 흔들림 없는 성장주 요약 및 Valuation<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27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47> AJ렌터카 PER Band 그림 48> AJ렌터카 EV/EBITDA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49> KG이니시<strong>스</strong> PER Band 그림 50> KG이니시<strong>스</strong>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그림 51> 인터파크 PER Band 그림 52> 인터파크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2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AJ렌터카 (068400) BUY (유지)<br />

주가(5/16) 12,800원 유동주식비율 54.6%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20,000원 60일 평균 거래량 279,941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13,95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32억원 6,000원<br />

시가총액 2,835억원 외국인보유비중 3.3% 베타 (12M, 일간수익률) 0.7<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22,146,3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13.6%<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br />

아주엘앤에프홀딩<strong>스</strong>(주) 등 42.8%<br />

1개월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P) (IFRS-C) (IFRS-C) (IFRS-C) (IFRS-C) 절<strong>대</strong> 12.8% 25.5% 48.3%<br />

매출액 (십억원) 363.6 401.4 460.5 511.7 565.1 상<strong>대</strong> 9.1% 25.1% 38.9%<br />

영업이익 (십억원) 41.8 47.0 52.8 57.9 63.5<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PBR (배)<br />

EV/EBITDA (배)<br />

11.7<br />

11.7<br />

739<br />

739<br />

NA<br />

NA<br />

NA<br />

17.3<br />

17.3<br />

909<br />

909<br />

11.8 - 6.3<br />

1.2<br />

3.1<br />

21.1<br />

21.1<br />

953<br />

953<br />

13.4<br />

1.5<br />

3.3<br />

25.4<br />

25.4<br />

1,148<br />

1,148<br />

11.2<br />

1.3<br />

3.0<br />

29.5<br />

29.5<br />

1,334<br />

1,334<br />

9.6<br />

1.2<br />

2.7<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배당수익률 (%) NA 0.0 0.0 0.0 0.0<br />

<br />

<br />

ROE (%) 10.5 10.2 11.7 12.5 12.8<br />

<br />

ROIC (%) 6.0 5.8 6.8 6.6 6.9<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AJ렌터카,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저금리, 저성장 시<strong>대</strong>의<br />

최선호주로 평가 받을 것<br />

국내 완성차업체들의 품질<br />

경쟁력 강화와 함께<br />

리레이팅 지속될 것<br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br />

20,000원 유지<br />

저금리, 저성장 시<strong>대</strong>의 최선의 선택<br />

동사는 국내 렌터카 2위 업체이다. 국내 상위 렌터카업체는 고객의 <strong>대</strong>부분이 업무용 차량<br />

을 렌트<strong>하</strong>는 법인들이<strong>기</strong> 때문에 경제상황에 따른 변동성이 낮다. 또한 최근 글로벌 전체로<br />

확산되고 있는 저금리 <strong>기</strong>조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동사가 수혜를 볼 것으로 판<br />

단된다. 동사는 2013년 <strong>기</strong>준 약 4,600억원의 순금융부채를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는데 상장 전 평<br />

균 이자율이 6~7% 수준이었으나 최근에는 약 4% 이<strong>하</strong>로 <strong>하</strong>락<strong>하</strong>고 있다.<br />

동사 이익의 <strong>대</strong>부분은 업무용 차량의 렌트 <strong>기</strong>간이 끝난 후 중고차 매각으로 발생한다. 따<br />

라서 보유 중고차의 가치가 중요한데 지난 3~4년 전부터 본격화된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strong>기</strong>아차의 품질향<br />

상으로 동사의 이익 안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국산 완성차의 내구성이 높아지면<br />

서 동사 보유 중고차의 잔존가치가 높아지고 국내외 중고차 시장에서의 수요가 확<strong>대</strong>되<strong>기</strong><br />

때문이다.<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0,000원을 유지한다. 적정주가는 동사 2013년<br />

EBITDA에 EV/EBITDA 4배를 적용해서 산출했다. 해외 동종업체인 Hertz, AVIS의<br />

EV/EBITDA는 2013년 <strong>기</strong>준 평균 5.5배이며 2006년 이후 EV/EBITDA 밴드의 저점이<br />

3.7~4배 수준이다. 해외 업체들이 동사에 비해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유<strong>하</strong>였지만 <strong>대</strong>부분<br />

의 이익이 단<strong>기</strong> 여행객들로부터 발생<strong>하</strong>므로 경<strong>기</strong>에 민감<strong>하</strong>다. 따라서 안정적인 업무용 차<br />

량 위주의 사업구조를 보유한 동사가 해외업체 <strong>대</strong>비 지나치게 할인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br />

판단된다.<br />

29


2012~2016년 매출액,<br />

영업이익, 순이익 각각<br />

연평균 11%, 10%, 19%<br />

증가 예상<br />

그림 53> AJ렌터카 연간 실적 추이 및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사의 2012~2016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11%, 10%, 19% 증가할 것으로<br />

예상된다. 국내 업무용 렌터카 시장이 연평균 10~13%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고 동사가 2<br />

위 사업자로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시장평균 수준의 성장이 가능<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때문이다. 국내 업<br />

무용 렌터카는 전체 등록 승용차 중 약 2.2%(2012년 <strong>기</strong>준)를 차지<strong>하</strong>고 있으며 사업환경<br />

이 비슷한 일본의 약 4% 수준까지는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이익 증가율이<br />

더 큰 이유는 동사의 금융부채에 <strong>대</strong>한 이자율이 2012년 평균 6% 수준에서 지속적으로<br />

낮아질 것으로 판단되<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1년 K-IFRS 개별 <strong>기</strong>준, 12년 이후 연결 <strong>기</strong>준<br />

자료: AJ렌터카,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30


해외업체 <strong>대</strong>비 낮은<br />

EV/EBITDA를 주목해야<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렌터카업체들의 평가<strong>기</strong>준은 EV/EBITDA로 <strong>하</strong>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 이유는 1) <strong>대</strong>규모<br />

신차구매에 따라 매출액 <strong>대</strong>비 감가상각비율이 타업종 <strong>대</strong>비 월등히 높고 2) 산업 내에서<br />

M&A를 통한 성장이 활성화 되어있<strong>기</strong> 때문에 M&A 가치 산정의 <strong>기</strong>본지표인 DCF나<br />

EV/EBITDA가 평가<strong>기</strong>준이 되는 것이다. 또한 해당<strong>기</strong>업이 신차에 <strong>대</strong>한 감가상각비율을<br />

조금만 변경해도 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크<strong>기</strong> 때문에 PER이 렌터카업체들에 <strong>대</strong>한 평가<strong>기</strong><br />

준으로는 유의성이 낮아진다. 동사의 EV/EBITDA는 3.3배에 불과한데 이는 AVIS나<br />

HERTZ의 평균인 5.5배 <strong>대</strong>비 크게 저평가된 것이다. 2006년 이후 AVIS, HERTZ의<br />

EV/EBITDA 밴드의 저점이 각각 3.7배, 4배인 것을 감안<strong>하</strong>면 AJ렌터카가 얼마나 저평<br />

가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br />

그림 54> AVIS의 EV/EBITDA 밴드 그림 55> Hertz의 EV/EBITDA 밴드<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초저금리 <strong>기</strong>조 정착은<br />

동사에게 사업확장의 <strong>기</strong>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동사의 2013년말 <strong>기</strong>준 순금융부채는 4,657억원, 이자비용은 2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br />

상된다. 상장 전 동사의 회사채 이자율은 6~7% 수준에서 상장 후 신용등급의 상향과 저<br />

금리 <strong>기</strong>조가 정착되며 최근 3.45%로 급락<strong>하</strong>였다. 따라서 동사가 <strong>현</strong> 수준에서 차입금을<br />

유지<strong>하</strong>면 동사의 이자비용은 큰 폭으로 낮아지게 된다. <strong>하</strong>지만 당사는 동사가 <strong>기</strong>존의 이자<br />

비용 수준을 유지<strong>하</strong>는 수준에서 부채규모를 확<strong>대</strong>해 신차구매를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한<br />

다. 렌터카업체들의 궁극적인 사업가치는 시장점유율로 귀결되<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그림 56> AJ렌터카 사채이자율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7배<br />

6배<br />

5배<br />

4배<br />

31


그림 57> 국내외 렌탈업체 <strong>대</strong>비 AJ렌터카 저평가 상태<br />

<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해외업체는 5/15 <strong>기</strong>준<br />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32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33


사이버쇼핑 시장 32조원,<br />

5년 CAGR 15.6%<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e-commerce: ‘오프라인-온라인-모바일’ 경계 사라져<br />

2012년 국내 전자상거래 총시장규모는 1,144조원에 달한다. <strong>기</strong>업간(B2B), <strong>기</strong>업-정부간<br />

(B2G) 거래가 97% 이상을 차지<strong>하</strong>며, 이른바 ‘사이버쇼핑’ 시장으로 분류되는 <strong>기</strong>업-소비<br />

자간(B2C) 및 소비자간(C2C) 거래는 32.3조원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15.6% 성장했<br />

다. 지난해 사이버쇼핑 시장 성장률이 전년<strong>대</strong>비 11.3% 그치며 성장률 둔화 우려가 있을<br />

수 있으나, 당사는 국내 사이버쇼핑 시장은 향후 <strong>기</strong>회요인이 더 큰 것으로 판단<strong>하</strong>며 KG<br />

이니시<strong>스</strong>와 인터파크 등 e-commerce 관련 업체들의 수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br />

그림 58> 국내 사이버쇼핑 규모 및 성장률<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통계청,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새로운 구매 트렌드의 등장 사이버 쇼핑 구매 연령층 확<strong>대</strong>와 인당 구매 가격 증가로 <strong>기</strong>존 오프라인 구매항목인 여행,<br />

음식료, 생활용품 등의 온라인 이동은 새로운 구매 트렌드로 이미 자리 잡았다. 이러한 구<br />

매 트렌드는 국내 <strong>대</strong>표 e-커머<strong>스</strong> 업체인 인터파크(인터파크INT)의 거래액 추이에서도<br />

확인할 수 있다. 국내 공연 티켓 예약 1위, 온라인 항공권 2위 업체인 인터파크는 지난해<br />

까지 3년간 엔터와 투어부분 거래액이 연평균 각각 28.1%, 40.8% 성장했으며, 올해에도<br />

보수적인 관점에서 엔터는 5~10%, 투어는 20% 이상 성장을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strong>하</strong>고 있다. 특히, 투어<br />

거래 금액의 경우 2008년 인터파크 전체 거래액의 16.2%에 불과<strong>하</strong>였으나, 2012년<br />

32.4%로 급증<strong>하</strong>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strong>하</strong>는 등 성장세가 가파르며 향후 성장 잠재력<br />

또한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br />

그림 59> 국내 사이버쇼핑 항목별 거래액 증가율<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통계청,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34


그림 60> 인터파크 엔터 및 투어 거래액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인터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아 ‘온라인-오프라인 소매업’ 융합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해외 업체들에게도 새<br />

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 미국 온라인 소매업체 이베이(e-bay)의 2012년 매출액은<br />

전년<strong>대</strong>비 21.3% 증가한 141억달러를 <strong>기</strong>록했다. 애널리<strong>스</strong>트 추정치에 따르면 2013년 매<br />

출액은 전년<strong>대</strong>비 16.5% 증가한 16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strong>하</strong>였으며, 2014년 추정치<br />

도 연초 이후 상승<strong>하</strong>며 긍정적인 전망이 내년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 CEO는 언론사 인<br />

터뷰에서 이베이와 페이팔, GSI커머<strong>스</strong>(B2B)를 통한 거래금액은 지난해 1,750억달러에서<br />

2015년 3천억달러 달성이 목표임을 밝혔다.<br />

그림 61> 이베이 매출액 전망 그림 62> 이베이 EPS 전망치 변경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Bl omber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모바일 커머<strong>스</strong>의 진화 모바일 커머<strong>스</strong> 시장은 초<strong>기</strong> ‘유료 App 다운로드 → 인앱(In-app) 결제’ 단계를 지나 ‘<strong>기</strong><br />

존 온라인 시장의 모바일화’ 단계로 진화<strong>하</strong>고 있다. 이는 게임 등 일부 컨텐츠 관련 업체<br />

들에게만 국한되었던 초<strong>기</strong> 시장 성장의 수혜가 <strong>기</strong>존 국내 e-commerce 관련 업체들로<br />

확<strong>대</strong>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글과 애플의 자사망을 통한 폐쇄적인 결제 정책으로 그 역<br />

할이 미미했던 국내 온라인 결제 <strong>대</strong>행(PG) 업체들의 경우가 <strong>대</strong>표적이다. 국내 온라인 신<br />

용카드PG 1위 업체인 KG이니시<strong>스</strong>의 모바일 결제 거래액은 2012년 <strong>기</strong>준 1,663억원으로<br />

전체 거래액의 2.2%에 불과<strong>하</strong>나, 새로운 구매 트렌드의 등장으로 2013년 연초 이후 월<br />

별 모바일 거래금액은 350%가 넘는 고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접<br />

근성이 높은 모바일 거래 확<strong>대</strong>는 전체 시장 확<strong>대</strong>에 <strong>기</strong>여할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35


<strong>스</strong>마트월렛 보급 확<strong>대</strong>는<br />

e-commerce에 긍정적<br />

그림 63> KG이니시<strong>스</strong> 모바일 결제 거래액 월별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최근 국,내외에서 경쟁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strong>스</strong>마트월렛(전자지갑) 등장은 e-commerce<br />

시장에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특히, 모바일에서의 <strong>스</strong>마트월렛은 새로운 모바일 마켓의 등<br />

장과 NFC 등 오프라인 영역 진출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 국내에서는 SKT, KT<br />

등 이통사에 이어 삼성전자가 전자지갑 '삼성월렛'을 5월 중 출시할 계획이다. 글로벌 <strong>하</strong><br />

드웨어 경쟁력과 네트워크를 갖춘 삼성의 <strong>스</strong>마트월렛 진출은 '삼성마켓(허브)'의 활성화로<br />

이어질 것이며 <strong>기</strong>존 구글과 애플이 양분<strong>하</strong>고 있는 모바일 시장 성장의 촉매가 될 전망이<br />

다. 또, <strong>스</strong>마트월렛 이용률 증가는 NFC 등 전자직불카드 <strong>대</strong>중화의 선제 조건인 '지불 수<br />

단-가맹점'간 표준화된 플랫폼 정착에 <strong>기</strong>여할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 2012년 국내 신용카드<br />

이용 금액 연간 562조 가운데 온라인 신용카드 거래금액 27조에 불과한 점을 고려<strong>하</strong>면<br />

국내 온라인 신용카드PG 업체들에게는 신규 시장 창출 효과가 클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br />

그림 64> 미국 <strong>스</strong>마트월렛 서비<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황<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36


그림 65> 국내외 <strong>스</strong>마트월렛 서비<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황<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37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KG이니시<strong>스</strong> (035600) BUY (유지)<br />

주가(5/16) 17,050원 유동주식비율 50.3%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22,000원 60일 평균 거래량 800,846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18,90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123억원 5,810원<br />

시가총액 4,336억원 외국인보유비중 8.0% 베타 (12M, 일간수익률) 1.3<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25,433,162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14.8%<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KG케미칼 등 44.9%<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P) (IFRS-P)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8.6% 35.9% 35.3%<br />

매출액 (십억원) 181.4 219.4 262.4 295.0 330.3 상<strong>대</strong> 5.0% 23.0% 20.3%<br />

영업이익 (십억원) 13.2 15.5 21.3 25.7 28.7<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15.8<br />

15.8<br />

1,057<br />

1,057<br />

9.0 - 3.7<br />

22.8<br />

22.8<br />

919<br />

919<br />

17.2 - 6.0<br />

27.0<br />

27.0<br />

1,089<br />

1,089<br />

15.7<br />

31.0<br />

31.0<br />

1,249<br />

1,249<br />

13.6<br />

34.5<br />

34.5<br />

1,390<br />

1,390<br />

12.3<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BR (배) 1.5 2.1 2.5 2.1 1.8<br />

<br />

<br />

EV/EBITDA (배) 4.3 12.2 13.5 10.2 8.0<br />

<br />

배당수익률 (%) 1.4 1.0 0.0 0.0 0.0<br />

<br />

<br />

ROE (%) 13.1 17.4 17.5 17.1 16.1<br />

<br />

ROIC (%) NA NA NA NA NA<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주가 프리미엄 정당<strong>하</strong>다<br />

국내 1위 신용카드PG 업체 KG이니시<strong>스</strong>는 국내 1위 온라인 신용카드 결제<strong>대</strong>행(PG) 업체이다. 동사는 한국사이버결<br />

제, KG모빌리언<strong>스</strong> 등 동종 업체<strong>대</strong>비 40% 이상의 높은 주가 프리미엄을 받을 자격이 충<br />

분<strong>하</strong>다고 판단<strong>하</strong>다. 그 이유는 1) 신용카드 PG사업 M/S 1위의 시장 지위가 굳건히 유지<br />

될 것이고, 2) 오프라인 신용카드 VAN과 휴<strong>대</strong>폰 결제 PG 업체<strong>대</strong>비 향후 수수료 인<strong>하</strong> 압<br />

력이 상<strong>대</strong>적으로 낮으며, 3) <strong>스</strong>마트월렛 등 신사업 효과가 2013년 중 가시화될 가능성이<br />

높아 국내 e-commerce 시장 성장의 최<strong>대</strong> 수혜 업체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br />

5년간 동사의 거래액 연평균 증가율 24.6%는 전체 사이버쇼핑 거래액 증가율 15.6%, 신<br />

용카드 구매액 6.8%를 크게 상회<strong>하</strong>였다.<br />

그림 66> KG이니시<strong>스</strong> 거래액 및 시장 성장률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통계청,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38


그림 67> Peer Valuation<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Bl omberg, Fn-guide,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39


국내 1위 온라인 신용카드<br />

PG업체<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사는 국내 1위 온라인 신용카드 PG(Payment Gateway) 업체이다. PG 시장은 동사와<br />

한국사이버결제, LG유플러<strong>스</strong>(032640) 등이 점유율 80% 이상을 과점<strong>하</strong>고 있다. 사업 구<br />

조는 오프라인 신용카드 결제 <strong>대</strong>행 업체인 VAN(Value Added Network)사와 유사<strong>하</strong>나<br />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거래에 <strong>대</strong>한 수수료만을 신용카드사로부터 수취<strong>하</strong>는 VAN사와<br />

달리 PG 업체는 회수된 결제 <strong>대</strong>금을 신용카드사로부터 넘겨 받아 각 가맹점에게 직접 분<br />

배한다. 따라서, 재무적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은 <strong>대</strong>형 업체에게 유리한 영업 환경이며 상<br />

위 업체들의 시장 지배력이 상<strong>대</strong>적으로 견고<strong>하</strong>게 유지된다.<br />

그림 68> KG이니시<strong>스</strong> 부문별 매출 비중 그림 69> 국내 시장 점유율 (2012년)<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수수료 인<strong>하</strong> 압력은<br />

상<strong>대</strong>적으로 낮아<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매출액은 전체 수수료율에, 수익성은 ‘수수료율 - 신용카드사 수수료율’에 따라 결정되는<br />

구조이다. 따라서, 정부 또는 신용카드사 정책 변화에 따라 수수료 인<strong>하</strong>가 이루어지면 실<br />

적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strong>하</strong>다. 그러나 오프라인 VAN, 휴<strong>대</strong>폰 결제 업체에 비해 수수료<br />

율 인<strong>하</strong> 압력이 상<strong>대</strong>적으로 낮을 것으로 판단<strong>하</strong>는데, 그 이유는 1) PG 업체의 수수료를<br />

제외한 신용카드사 수수료는 2.0% 미만으로 오프라인 수수료와 크게 차이가 없고, 2) 서<br />

비<strong>스</strong>나 제품 이용 전에 선결제가 불가피한 온라인 결제의 특성상 정산 과정에서 발생<strong>하</strong>는<br />

Risk를 보전할 필요가 있으며, 2) <strong>대</strong>형 업체 위주로 과점화된 시장에서 수수료율 경쟁 강<br />

도가 상<strong>대</strong>적으로 낮<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그림 70> 신용카드 PG 수수료율 추이 그림 71> 카드 수수료율 비교<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신용카드 PG 수수료율은 ‘수수료/거래액’으로 추정<br />

자료: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신용카드 PG 수수료율은 ‘수수료 매출액/거래액’으로 추정<br />

자료: 여신금융협회, KG이니시<strong>스</strong>,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40


2013년 매출액 19.6%,<br />

영업이익 37.7% 성장 전망<br />

그림 73> KG이니시<strong>스</strong> 실적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2013년 별도<strong>기</strong>준 매출액은 2,624억원으로 전년<strong>대</strong>비 19.6% 증가, 영업이익은 213억원<br />

으로 전년<strong>대</strong>비 37.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문별로는 PG 거래액 수수료 매출액은<br />

보수적인 관점에서 전년<strong>대</strong>비 13% 증가한 2,172억원, 용역매출 94억원, VAN 단말<strong>기</strong> 등<br />

상품매출 356억원 등이다. 참고로, 동사는 2013년 1분<strong>기</strong>부터 지분 46.8%를 보유한 KG<br />

모빌리언<strong>스</strong> 포함한 연결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아직 연결 회계 <strong>기</strong>준이 확정되지 않아 당<br />

분간 별도 <strong>기</strong>준으로 전망치를 제시<strong>하</strong>며 KG모빌리언<strong>스</strong> 실적은 지분법이익에 <strong>반</strong>영<strong>하</strong>였다.<br />

이에 따라, 정산<strong>대</strong>금 이자수익 40억원과 지분법이익 93억원(KG모빌리언<strong>스</strong> 및 브이피<br />

2013F 순이익 각각 170억원, 65억원 가정)을 <strong>반</strong>영<strong>하</strong>여 순이익은 270억원으로 높아진<br />

다. 1분<strong>기</strong> 예상 영업이익 51억원으로 연간 추정치에 부합할 전망이다.<br />

그림 72> KG모빌리언<strong>스</strong> 실적 전망 (컨센서<strong>스</strong> <strong>기</strong>준)<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Fn-guide,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41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42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인터파크 (035080) Not Rated<br />

주가(5/16) 8,460원 유동주식비율 42.8%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NA 60일 평균 거래량 908,386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9,37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NA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73억원 4,490원<br />

시가총액 5,147억원 외국인보유비중 4.5% 베타 (12M, 일간수익률) 1.0<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60,842,093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br />

250.7% 주요주주<br />

12/13F 주가상승률 1개월<br />

이<strong>기</strong>형 등 38.4%<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C) 절<strong>대</strong> -0.5% 21.7% 21.6%<br />

매출액 (십억원) 428.6 454.2 481.5 상<strong>대</strong> -1.7% 10.7% 3.7%<br />

영업이익 (십억원) (17.9) 14.0 32.6<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12.3)<br />

(9.5)<br />

(191)<br />

(191)<br />

12.8<br />

12.5<br />

245<br />

245<br />

23.1<br />

23.1<br />

420<br />

420<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ER* (배) NA 35.6 - 17.9 20.1 <br />

<br />

PBR (배)<br />

EV/EBITDA (배)<br />

1.0<br />

NA<br />

1.0<br />

19.6<br />

1.1<br />

12.9<br />

<br />

<br />

<br />

배당수익률 (%) 0.0 0.4 0.0 <br />

<br />

ROE (%) (3.0) 3.5 5.8 <br />

ROIC (%)<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인터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40.4) 5.6 27.1<br />

2013년 본격 외형 및 이익<br />

성장의 원년<br />

외형 및 이익 성장의 원년<br />

인터파크는 온라인 쇼핑<strong>몰</strong> 업체‘인터파크INT(이<strong>하</strong> INT)’와 MRO 전문 업체 ‘아이마켓코<br />

리아(이<strong>하</strong> IMK)’를 자회사로 보유한 지주회사이다. 동사는 지난해 실적 턴어라운드(영업<br />

이익 140) 성공에 이어, 올해에는 전부분 실적 개선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 1) 핵심 자회사인 INT<br />

는 투어부분 고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쇼핑, 도서부분의 턴어라운드가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고, 2) 자<br />

회사 IMK 역시 비삼성 고객 확<strong>대</strong>로 전년<strong>대</strong>의 20% 수준의 실적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며,<br />

3) <strong>기</strong>타손실 자회사 구조조정 효과가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예상 매출액 4,815억원(YoY<br />

+6.0%), 영업이익 326억원(YoY +132.7%)은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보이며, 본격적인<br />

외형 및 이익 성장의 원년이 될 전망이다. 다만,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올해부터 연결 <strong>대</strong>상<br />

에 포함되는 IMK 실적을 지분법이익으로 <strong>반</strong>영한 것으로 실제 발표 수치와는 다르다.<br />

그림 74> 인터파크 영업이익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2010년도는 지주회사 개별 실적 <strong>기</strong>준<br />

자료: 인터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43


INT 매출액 10%, 영업이익<br />

41% 성장 예상<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핵심 자회사 인터파크INT의 2013년 매출액은 전년<strong>대</strong>비 10.0% 성장한 3,813억원, 영업<br />

이익은 40.7% 증가한 210억원, 영업이익률 5.5%로 예상된다. 총 거래액 규모는 전년<strong>대</strong><br />

비 11.6% 증가한 2.3조원으로 예상되며, 그 이유는 1) 지난해 각각 27.4%, 12.6% 감소<br />

했던 쇼핑과 도서부문 거래액이 올해 5~10% 내외 증가로 턴어라운드 가능<strong>하</strong>며, 전년도<br />

21.3% 증가한 투어부문 거래는 올해도 20% 이상의 고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strong>기</strong><br />

때문이다. 고수익성 제품군 강화로 외형 증가보다 수익성 개선폭이 클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어 영<br />

업이익률은 전년도 4.3%에서 높아질 전망이다.<br />

그림 75> 인터파크INT 거래액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인터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자회사 실적 개선 추세 유효 지난해 지분법이익으로 <strong>반</strong>영되었던 IMK 실적은 올해부터 연결 <strong>대</strong>상에 포함된다. 다만, 시<br />

장 컨센서<strong>스</strong>에 <strong>반</strong>영이 안되어 있고, 과거 실적과 비교 가능성을 높이<strong>기</strong> 위해 당분간 <strong>기</strong>존<br />

방식의 실적 추정을 유지할 것이다. 비삼성 고객 확<strong>대</strong>와 해외 매출 증가로 IMK의 2013<br />

년 예상 순이익은 전년<strong>대</strong>비 20% 이상 성장한 450~500억원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고, 이에 따른 동<br />

사의 지분법이익 역시 전년도 92억원에서 올해 133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br />

난해 95억원의 순손실을 <strong>기</strong>록했던 <strong>기</strong>타자회사(INT, IMK 제외)는 구조조정 등의 노력을<br />

통해 디지털아이디어를 제외<strong>하</strong>고 전사 실적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다. 올해 <strong>기</strong>타자회사에<br />

서는 영업이익 BEP 달성을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strong>하</strong>고 있다.<br />

성장 동력은 여전히 엔터와<br />

투어에서 발생<br />

향후 동사의 실적 및 주가 모멘텀은 자회사 INT의 엔터와 투어 사업부문에서 발생할 전<br />

망이다. 엔터 부문은 올해 국내 공연 티켓 시장이 전년<strong>대</strong>비 10% 이상 증가한 6천억원에<br />

달할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고, 직접 투자 등을 통해 시장 1위(점유율 70%) 지위를 강화할 전략<br />

이다. 투어는 개별여행 수요 증가와 업체별 양극화 심화로 수혜가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br />

부터는 수익성이 높은 호텔 예약 부문을 더 늘려 외형과 수익성 동<strong>반</strong> 개선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br />

IMK 인수 이후 자체브랜드인 에<strong>스</strong>처가구와 인터파크 투어 상품의 B2B 상품 출시 등 시<br />

너지 효과를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strong>하</strong>고 있으나 향후 명확한 수익 <strong>기</strong>여 등이 밝혀지<strong>기</strong>까지는 다소 시간이<br />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br />

44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45


구조조정, 턴어라운드주<br />

성장에 <strong>대</strong>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감이 낮아짐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보유한 업체에 <strong>대</strong>한 관심이 높아지는 국면이다.<br />

구조조정 이후 턴어라운드 및 안정적인 이익창출이 가능한 업체에 관심 필요<strong>하</strong>다.<br />

Top picks: 웅진씽크빅(095720, BUY, FV 13,300원), 동일제지(019300, BUY, FV 3,700원)<br />

안정적 이익창출 업체에<br />

<strong>대</strong>한 재조명<br />

1) 학습지 교육업체:<br />

구조조정에 따른 2013년<br />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br />

2) 골판지: 구조조정을 통한<br />

원재료 구매 협상력 확보<br />

그림 76> 구조조정, 턴어라운드주 요약 및 Valuation<br />

<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저성장 국면, 안정적인 이익창출 업체에 주목<br />

산업 전<strong>반</strong>에 걸쳐 성장에 <strong>대</strong>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가 낮아짐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보유한 업체에<br />

<strong>대</strong>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과거 성장률 저<strong>하</strong>로 인한 실적부진을 경험함에 따라 산<br />

업 구조조정을 겪고 안정적인 성장주로 턴어라운드 <strong>하</strong>는 업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br />

단된다.<br />

웅진씽크빅을 비롯한 학습지 교육업체들은 2012년 <strong>대</strong><strong>대</strong>적인 구조조정을 시행함에 따라<br />

2013년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학생수 감소에 따라 2009년을 피크<br />

로 실적 부진을 경험<strong>하</strong>였다. 외형감소 우려에 따라 오프라인 학원 등 신규사업에 진출했으<br />

나, 적자지속으로 2012년 신규사업을 철수 또는 축소시켰다. 큰 폭의 매출성장 보다는 안<br />

정적인 이익창출에 집중함에 따라 2013년 실적 턴어라운드가 전망된다.<br />

국내 골판지 산업은 2006~2007년에 걸친 구조조정을 통해 5개 계열 업체들이 시장 <strong>대</strong><br />

부분을 차지<strong>하</strong>고 있다. 계열업체 골판지상자 생산량이 전체의 64%를 차지<strong>하</strong>고 특히, 골<br />

판지원지 업체들의 경우 국내 원지 생산의 83%를 차지한다. 원재료 구매 협상력 확보에<br />

따라 일정 수준의 <strong>스</strong>프레드를 유지<strong>하</strong>며 안정적인 이익창출이 가능한 구조를 보유<strong>하</strong>고 있<br />

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46


그림 77> 웅진씽크빅 PER Band 그림 78> 웅진씽크빅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그림 79> 동일제지 PER Band 그림 80> 동일제지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47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웅진씽크빅 (095720) BUY (유지)<br />

주가(5/16) 9,000원 유동주식비율 54.3%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13,300원 60일 평균 거래량 227,192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10,50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20억원 6,040원<br />

시가총액 2,604억원 외국인보유비중 6.4% 베타 (12M, 일간수익률) 0.6<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28,932,96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NA<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웅진홀딩<strong>스</strong> 등 30.4%<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1.9% 17.3% 45.9%<br />

매출액 (십억원) 867.7 729.4 705.2 738.8 778.5 상<strong>대</strong> -1.4% 17.0% 36.6%<br />

영업이익 (십억원) 43.2 9.5 38.6 46.2 49.5<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28.4<br />

25.5<br />

997<br />

997<br />

(57.7)<br />

(53.9)<br />

(2,085)<br />

(2,085)<br />

24.7<br />

24.7<br />

884<br />

884<br />

31.3<br />

31.3<br />

1,119<br />

1,119<br />

34.2<br />

34.2<br />

1,224<br />

1,224<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ER* (배) 22.3 - 14.8 NA 10.2 8.0 7.4<br />

<br />

<br />

PBR (배)<br />

EV/EBITDA (배)<br />

1.6<br />

7.3<br />

0.9<br />

10.2<br />

1.1<br />

5.5<br />

1.0<br />

4.8<br />

1.0<br />

4.4<br />

<br />

<br />

<br />

배당수익률 (%) 2.6 0.0 4.9 6.2 6.8<br />

<br />

<br />

ROE (%) 9.6 (23.4) 11.1 13.5 13.7<br />

<br />

ROIC (%) 5.4 1.9 10.1 11.9 12.4<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웅진씽크빅,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출산율 확<strong>대</strong> 정책 최<strong>대</strong><br />

수혜주<br />

구조조정 및 <strong>기</strong>존사업<br />

내실화로 2013년 실적<br />

턴어라운드 전망<br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br />

13,300원 유지<br />

정책 수혜와 턴어라운드<br />

3년 연속 합계출산율 및 출생아 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사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br />

동사는 유아회원 비중이 45%에 달<strong>하</strong>고, 영유아를 <strong>대</strong>상으로 다양한 전집을 판매<strong>하</strong>고 있어<br />

출산율이 매출성장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정부의 ‘임신<strong>기</strong>간 근로시간<br />

단축제’, ‘아빠의 달’ 도입 등 출산율 확<strong>대</strong>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긍정적이<br />

다. 또한, 2013년 3월부터 양육수당 지급<strong>대</strong>상이 <strong>대</strong>폭 확<strong>대</strong>되어 일부 사교육시장으로의 유<br />

입이 예상된다.<br />

동사는 2012년 적자사업이었던 수학학원 및 일부 영어학원을 정리<strong>하</strong>고 학습지, 전집, 단<br />

행본 부문의 재고처리 비용을 적극 <strong>반</strong>영<strong>하</strong>는 등 구조조정으로 510억원의 순손실을 <strong>기</strong>록<br />

<strong>하</strong>였다. 이에 따라, 2013년 실적 개선 가시성은 높아질 전망이며 상<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까지 학습센터 직<br />

영화 전환으로 향후 <strong>기</strong>존사업 내실화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매출액은 7,052<br />

억원(-1.0%YoY), 영업이익 386억원(+455.1%), 순이익 247억원(흑자전환)이 전망된<br />

다. 한편, 4월 학습지 과목수가 보합 내지 소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며 영유아 인구 감소<br />

폭 둔화에 따라 2013년말 과목수는 전년 <strong>대</strong>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한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3,300원을 유지한다. 1) 3년 연속 출산율 상승 및<br />

출산장려 정책 수혜 2) 적자사업 철수 및 구조조정에 따른 2013년 이익 턴어라운드 3)<br />

높은 배당수익(배당성향 50% 수준 유지, <strong>현</strong>주가 <strong>기</strong>준 배당수익률 5%)이 예상되<strong>기</strong> 때문<br />

이다. 1분<strong>기</strong>를 저점으로 향후 실적이 정상화 될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향후 긍정적인 주가<br />

흐름이 전망된다.<br />

48


출산율 3년 연속 상승에<br />

따른 수혜 예상<br />

지속적인 출산율 확<strong>대</strong> 정책<br />

강화<br />

출산율 확<strong>대</strong> 정책 최<strong>대</strong> 수혜주<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2012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11년 만<br />

에 1.30을 <strong>기</strong>록<strong>하</strong>며 3년 연속 상승<strong>하</strong>였다. 출생아 수 역시 48.4만 명으로 3년 연속 증가<br />

<strong>하</strong>여 전고점인 2007년(49.3만명)에 근접<strong>하</strong>였다.<br />

한편, 동사는 유아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과목수가 2009년 126만 명에서 2012년 109만<br />

명으로 13% <strong>하</strong>락<strong>하</strong>는 등 2009년을 피크로 실적 부진이 이어졌다. 2012년 매출액과 영<br />

업이익이 2009년 <strong>대</strong>비 각각 13%, 92% 감소<strong>하</strong>였고 이후 주가 역시 <strong>하</strong>락세를 보였다.<br />

<strong>하</strong>지만, 동사 실적의 선행지표가 되는 (2~3년 선행) 출산율이 2010년 이후 상승을 지속<br />

함에 따라 2013년 이후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동사는 유아회원 비중이 45%에 달<strong>하</strong>고,<br />

영유아를 <strong>대</strong>상으로 다양한 전집을 판매<strong>하</strong>고 있어 출산율이 매출 성장의 중요한 변수로 작<br />

용한다고 볼 수 있다.<br />

최근 정부는 ‘박근혜 정부 2013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임신<strong>기</strong>간 근로시간 단축제’와<br />

‘아빠의 달’을 도입<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로 <strong>하</strong>였다. 여성들의 임신, 출산, 육아에 따른 경력 단절을 막고 안<br />

정적인 고용을 보장<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위한 제도 개선이 목적이다. ‘임신<strong>기</strong>간 근로시간 단축제’는 임신<br />

12주 이내와 36주 이후 <strong>하</strong>루 근로시간을 2시간 단축<strong>하</strong>는 것이고 ‘아빠의 달’은 출산일로<br />

부터 90일 이내 30일을 남성에게 출산휴가를 부여<strong>하</strong>는 것을 말한다. 또한, 육아휴직 <strong>대</strong>상<br />

자녀 연령을 <strong>현</strong>행 6세에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 확<strong>대</strong>할 방침이다. 향후에도 이와 같은 출<br />

산과 양육 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br />

그림 81> 출산율은 동사 어닝에 선행 그림 82> 출산율은 동사 주가에 선행<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통계청,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참고: 웅진씽크빅 2 07. 6월 상장<br />

자료: 통계청,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49


2013년부터 양육수당 지급<br />

<strong>대</strong>폭 확<strong>대</strong><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2013년 3월부터 영유아 보육료 및 양육수당의 지원<strong>대</strong>상이 <strong>대</strong>폭 확<strong>대</strong>된다. 보육료(어린이<br />

집, 유치원 등 시설 이용시)의 경우, 만 3~4세는 소득<strong>하</strong>위 70%의 가정에 해당되었으나<br />

2013년부터 소득에 관계없이 전 계층으로 지원이 확<strong>대</strong>되고 지원금액(만 3~5세) 역시 월<br />

17.7만원~20만원에서 22만원으로 증가<strong>하</strong>였다. 양육수당(가정 양육시)은 특히 만 0~2세<br />

의 경우 소득<strong>하</strong>위 15% 이<strong>하</strong> 가정에만 지급되던 것이 전 계층으로 확<strong>대</strong> 시행된다(월 10<br />

만원~20만원). 또한, 만 3~5세에 <strong>대</strong>한 지원(10만원)이 신설되었다.<br />

올해 변경된 <strong>기</strong>준의 보육료, 양육수당 첫 지급이 있었던 3월 25일 <strong>현</strong>재, 전체 영유아 중<br />

양육수당 수혜율은 28%로 나타났다. 2012년 양육수당 지원규모는 1,026억원 이었으나,<br />

2013년 전 계층 확<strong>대</strong>에 따라 추가되는 금액은 3.8조에 이를 전망이다. 이 중에서 30%가<br />

양육수당을 신청<strong>하</strong>고 10%가 사교육비로 소비한다고 가정할 때, 웅진씽크빅의 영유아 시<br />

장 점유율이 37%임을 감안<strong>하</strong>면, 약 420억원의 유입이 가능<strong>하</strong>다는 결과가 산출된다.<br />

그림 83> 2013년부터 보육료 및 양육수당 확<strong>대</strong> 지급<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보건복지부<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84> 영유아시장 시장점유율 그림 85> 웅진씽크빅 회원연령 구성<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각 사 자료: 웅진씽크빅<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0


적자사업부 정리 및<br />

<strong>기</strong>존사업 내실화로 2013년<br />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br />

1분<strong>기</strong> 실적 바닥으로 분<strong>기</strong>별<br />

증익 예상<br />

구조조정 이후 2013년 실적 개선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사는 2012년 수학 및 영어학원 구조조정과 더불어,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학습지 및 전<br />

집, 그리고 단행본 재고폐<strong>기</strong>손실이 크게 발생<strong>하</strong>였다. 이에 따라 2013년 실적 개선 가시성<br />

은 높아질 것으로 보여 매출액 7,052억원(-1.0%YoY), 영업이익 386억원(+455.1%),<br />

순이익 247억원(흑자전환)이 예상된다.<br />

한편, 자회사 웅진패<strong>스</strong>원(지분 77%)매각에 따라 유입된 <strong>현</strong>금(매각<strong>대</strong>금 672억원)은 순차<br />

적으로 차입금 상환에 사용될 계획이다. 동사의 순차입금 규모는 4Q12말 1,560억원에서<br />

1Q13말 약 1,120억원까지 감소<strong>하</strong>였다. 이에 따라, <strong>현</strong>재 연간 90억원 수준의 이자비용이<br />

2013년 약 68억원, 2014년 57억원으로 축소될 전망이다.<br />

1분<strong>기</strong> 별도<strong>기</strong>준 매출액은 1,657억원(-11.8%YoY), 영업이익은 47억원(-29.2%YoY)<br />

을 <strong>기</strong>록<strong>하</strong>였다. TV광고비, 인원 구조조정 및 학습센터 직영화 전환 관련 등 예상 수준의<br />

비용이 발생<strong>하</strong>였다. 연결<strong>기</strong>준 매출액은 1,696억원으로 전년<strong>대</strong>비 11.3% 감소<strong>하</strong>였으나, 영<br />

업이익은 77억원으로 3.8% 증가<strong>하</strong>였다.<br />

2분<strong>기</strong> 이후부터는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판관비 감소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또한,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br />

<strong>기</strong> 이후에는 학습센터 직영화 마무리로 관련비용이 축소될 전망이며 센터당 효율화 증<strong>대</strong><br />

로 수익성 개선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 따라서, 동사의 이익 정상화 속도는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로 갈수록 가속화<br />

될 것으로 전망된다.<br />

배당투자매력 높아 저성장, 저금리 시<strong>대</strong>에 배당주의 투자매력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동사는 고배당주로서<br />

의 투자매력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 상장이래 적자를 <strong>기</strong>록한 2012년 제외 시 동사의 과거 5개<br />

년(07~11년) 평균 배당성향은 48.4%에 달한다. 2013년에도 <strong>기</strong>존 배당정책(배당성향<br />

약 50%)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strong>현</strong>주가 <strong>기</strong>준 약 5%의 배당수익률이 예상된다.<br />

그림 86> 웅진씽크빅 매출액 추이 및 전망 그림 87> 웅진씽크빅 영업이익 추이 및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웅진씽크빅,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웅진씽크빅,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1


그림 88> 웅진씽크빅 실적 추이 및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웅진씽크빅,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52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3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일제지 (019300) BUY (유지)<br />

주가(5/16) 2,910원 유동주식비율 31.2%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3,700원 60일 평균 거래량 292,100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3,125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7억원 1,450원<br />

시가총액 1,155억원 외국인보유비중 0.7% 베타 (12M, 일간수익률) 0.5<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39,690,0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24.5%<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태림포장공업 등 68.8%<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P) (IFRS-C)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15.9% 51.6% 48.8%<br />

매출액 (십억원) 241.9 435.0 413.3 438.0 464.2 상<strong>대</strong> 12.2% 51.1% 39.4%<br />

영업이익 (십억원) 16.2 51.2 39.3 43.5 48.1<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25.0<br />

25.0<br />

629<br />

629<br />

14.1<br />

13.8<br />

347<br />

347<br />

20.0<br />

20.0<br />

504<br />

504<br />

23.2<br />

23.2<br />

584<br />

584<br />

26.6<br />

26.6<br />

671<br />

671<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ER* (배) 3.5 - 1.8 7.1 - 4.1 5.8 5.0 4.3<br />

<br />

<br />

PBR (배) 0.3 0.4 0.5 0.5 0.4<br />

<br />

<br />

EV/EBITDA (배) 12.5 4.5 5.6 5.1 4.5<br />

<br />

<br />

배당수익률 (%) 1.2 1.3 0.0 0.0 0.0<br />

<br />

<br />

ROE (%) 12.8 6.6 8.8 9.7 10.1<br />

<br />

ROIC (%) 5.8 9.6 8.4 9.2 9.9<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동일제지,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원재료 가격 협상력 확보로<br />

<strong>스</strong>프레드 유지<br />

국내 골판지업계 1위 계열<br />

원지업체<br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br />

3,700원 유지<br />

골판지산업 구조조정을 통한 원재료 구매 협상력 확보<br />

국내 골판지 산업은 2006~07년에 걸친 구조조정을 통해 5개 계열에 속한 골판지원지 및<br />

상자 업체들이 시장 <strong>대</strong>부분을 차지<strong>하</strong>고 있다. 특히, 골판지원지의 경우 국내 생산의 80%<br />

이상을 차지<strong>하</strong>고 각 원지 업체들의 관계사 매출 비중은 60%~70%에 달한다. 따라서, 국<br />

내 고지(폐지, 골판지 원재료) 시장은 2006~07년 이후 ‘Buyer’s Market’으로 전환되었<br />

으며, 원지 업체들이 고지 구매 협상력을 확보함에 따라 고지가격 등락에 관계없이 일정<br />

수준의 <strong>스</strong>프레드를 유지<strong>하</strong>는 안정적인 이익창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br />

동일제지를 포함한 태림포장 계열 원지업체들의 국내 생산 점유율은 23%로 1위를 차지<br />

<strong>하</strong>고 있다. 최<strong>대</strong>주주인 태림포장(지분율 32.8%)은 골판지 상자 국내 1위 업체이며, 다른<br />

상자 업체인 태성산업, 동일팩키지, 동광판지 등을 계열회사로 두고 있다. 동사의 2012년<br />

관계사 매출비중은 77%에 달<strong>하</strong>며 국내 원지 업체들은 제품 가격 및 품질 차이가 크지 않<br />

아 관계사 매출 비중이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경쟁사들 역시 내부 매출 비중이 높아<br />

업체간 경쟁 강도가 낮으며, 상자 관계사의 시장 지배력에 <strong>기</strong><strong>반</strong>한 고지 구매 협상력으로<br />

높은 수준의 수익성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3,700원을 유지한다. 1) 골판지업계 구조조정으로<br />

골판지원지 업체의 영향력이 확<strong>대</strong>됨에 따라 원재료 구매 협상력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고 업계 1<br />

위로서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구축<strong>하</strong>고 있다. 2) 판가 <strong>하</strong>락으로 2013년 매출액 4,133억원<br />

(-5.0%YoY), 영업이익 393억원(-23.8%YoY)으로 실적이 전년<strong>대</strong>비 감소할 것으로 전<br />

망되나, 9.5%의 높은 영업마진을 유지할 수 있을 전망이다. 3) 또한, 2013년 예상실적 <strong>기</strong><br />

준 PER 약 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을 여전히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br />

54


구조조정-수직계열화 효과 본격화<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더 커지고! 최근 10년 동안 골판지 상자 국내 총생산량 증가율은 연평균 3.0%에 불과<strong>하</strong>다. 그러나<br />

2006년 이후 국내 골판지 상자 상위 3사의 합산 매출 성장률은 연평균 15.7%에 달<strong>하</strong>고,<br />

골판지 제조에 필요한 원지 상위 3사의 매출 성장률도 이와 유사한 12.1%를 <strong>기</strong>록했다.<br />

이는 온라인 및 홈쇼핑 시장 성장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동<strong>기</strong>간 국내 총생산량 증<br />

가율이 여전히 5% 내외임을 고려<strong>하</strong>면 2006년 이후 이어진 골판지 산업 구조조정 및 수<br />

직계열화에 따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strong>대</strong>형 계열 업체들 주도로 ‘수요 증가 →<br />

원재료 가격 상승 → 제품 가격 인상’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strong>대</strong>형 계열<strong>기</strong>업과 소형 업체와<br />

의 격차가 확<strong>대</strong>되고 있<strong>기</strong> 때문으로 파악된다.<br />

그림 89> 국내 주요 골판지 업체 매출액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상자3사(태림포장, <strong>대</strong>영포장, 삼보판지), 원지3사(동일제지, 신<strong>대</strong>양제지, 아세아제지)<br />

자료: 각 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더 강해졌다! 골판지의 주요 원재료인 고지가 매출원가에서 차지<strong>하</strong>는 비중은 50~60%에 달한다. 포장<br />

용 상자의 주요 수요처가 식료품, 가전업체 등 국내 <strong>대</strong><strong>기</strong>업임을 고려<strong>하</strong>면 과거 가격 협상<br />

력이 낮은 골판지 업체들은 고지 가격 등락에 의해 수익성 변동폭이 컸다. 그러나, 2006<br />

년 이후 고지 가격 변동에 따른 영향은 축소되고 있다. 이는 골판지 업체들의 수직계열화<br />

로 고지 가격의 등락에 관계없이 이익을 분배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그림 90> 주요 골판지 업체 영업이익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2 0년 <strong>대</strong>영포장 일회성 손실 2 0억원 제외<br />

자료: 각 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55


90년<strong>대</strong> 공급 과잉, 원재료<br />

가격 변화에 취약<br />

2006년 이후 구조조정 효과<br />

본격화<br />

공급 과잉 재<strong>현</strong> 가능성 높지<br />

않다.<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골판지 포장재 시장은 중소<strong>기</strong>업 고유 업종임에도 불구<strong>하</strong>고 90년<strong>대</strong> 중<strong>반</strong> 이후 1) 일부 <strong>대</strong><br />

<strong>기</strong>업들의 자체 수요 해소를 위한 신규 진입과 2) 수직계열화로 시장 지배력을 높이려는<br />

<strong>대</strong>형 골판지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공급과잉이 심화된 가운데, 3) <strong>기</strong>타 중소 업체들의<br />

난립으로 가격 전가력 확보가 어려웠다. 이는 원재료인 고지 가격이 급등했던<br />

1999~2000년과 2003~2004년 골판지 업체들의 가파른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br />

골판지 업체들의 경영악화로 원지 업계 1위 조일제지(아세아페이퍼텍 전신)는 2004년<br />

금호아시아나 그룹을 거쳐 2006년 아세아제지계열로 편입되었으며, 2010년 태림포장계<br />

열의 동원제지 인수, 2011년 아세아제지계열의 경산제지 인수 등 <strong>대</strong>형 계열<strong>기</strong>업으로의 업<br />

계 재편이 최근까지 이어졌다. 이들 업체들의 가격 결정력 강화로 ‘원재료 가격 상승 →<br />

제품 가격 인상’ 구조가 정상화 되었으며, 이를 통해 2008년 고지가격이 47%이상 급등<br />

했음에도 불구<strong>하</strong>고 4~5% 수준의 영업이익률 달성이 가능했다.<br />

향후 과거와 같은 경쟁 심화 재<strong>현</strong>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한다. 그 이유는 1) 수직계열화를<br />

갖춘 업체들의 국내 생산량 점유율이 2011년 <strong>기</strong>준 63.6%에 달할 정도로 원지 확보의 중<br />

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2) 원지 생산을 위해서는 토지와 설비 등 <strong>대</strong>규모 투자가 필요<br />

한 장치 산업으로 중소 업체의 신규 진입이 어려운 <strong>반</strong>면, 3) <strong>대</strong><strong>기</strong>업의 경우 2011년 동<strong>반</strong><br />

성장위원회에서 골판지 상자를 중소<strong>기</strong>업적합업종으로 분류<strong>하</strong>면서 진입이 사실상 어려워졌<br />

<strong>기</strong> 때문이다.<br />

그림 91> ‘원지-상자’ 수직계열화 업체 생산량 점유율<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6


원지업체의 원재료(폐지)<br />

구매력 강화<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5<strong>대</strong> 계열<strong>기</strong>업의 원지 생산량은 2012년 <strong>기</strong>준 국내 총생산량의 80% 이상에 달한다. 그리<br />

고 각 원지 업체들의 관계사 매출 비중은 60%~70%에 달한다. 2006년 이후 국내 고지<br />

시장은 영세한 고지 판매상들이 원재료 구매에서 최종 제품 수요를 장악<strong>하</strong>고 있는 이른바<br />

‘상자 + 원지 연합’을 <strong>대</strong>상으로 가격 협상을 할 수 밖에 없는 ‘Buyer’s Market’으로 전환<br />

되었으며, 이에 따라 원지 업체들의 ‘원재료-제품 Spread’는 고지 가격에 관계없이 점차<br />

확<strong>대</strong> 또는 유지되는 추세이다.<br />

그림 92> 5<strong>대</strong> 계열사 원지 생산 점유율 80% 이상<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각 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그림 93> 동일제지 관계사 매출액 및 비중 그림 94> 신<strong>대</strong>양제지 관계사 매출액 및 비중<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동일제지 자료: 신<strong>대</strong>양제지<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7


국내 골판지업계 1위 계열<br />

원지업체<br />

2013년 영업이익 감소<br />

예상되나, 9.5%의 높은<br />

영업이익률 유지 가능 전망<br />

국내 골판지업계 1위 계열 원지업체<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동일제지를 포함한 태림포장 계열 원지업체들의 국내 생산 점유율은 23%로 1위를 차지<br />

<strong>하</strong>고 있다. 최<strong>대</strong>주주인 태림포장(지분율 32.8%)은 골판지 상자 국내 1위 업체이며, 다른<br />

상자 업체인 태성산업, 동일팩키지, 동광판지 등을 계열회사로 두고 있다. 동사의 2012년<br />

관계사 매출비중은 77%에 달<strong>하</strong>며 국내 원지 업체들은 제품 가격 및 품질 차이가 크지 않<br />

아 관계사 매출 비중이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경쟁사들 역시 내부 매출 비중이 높아<br />

업체간 경쟁 강도가 낮으며, 상자 관계사의 시장 지배력에 <strong>기</strong><strong>반</strong>한 고지 구매 협상력으로<br />

높은 수준의 수익성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br />

그림 95> 국내 5<strong>대</strong> 계열 골판지원지 생산량 점유율 (2012년 <strong>기</strong>준)<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태림(동일제지, 월산, 동원제지), <strong>대</strong>양(신<strong>대</strong>양제지, <strong>대</strong>양제지), 아세아(아세아제지, 아세아페이퍼텍, 경산제지), 삼보(고려제지, <strong>대</strong>림제지)<br />

자료: 한국제지공업연합회<br />

2013년 연결(월산 포함) 매출액은 4,133억원(-5.0%YoY), 영업이익은 393억원(-<br />

23.8%YoY)으로 예상된다. 판매가격 <strong>하</strong>락에 따른 매출액 및 영업이익 감소가 예상되나,<br />

9.5%의 높은 영업이익률 유지가 가능할 전망이다. 연초 이후 1~3월 고지가격이 상승<strong>하</strong><br />

였으나, 4월 들어 가격이 다시 <strong>하</strong>락<strong>하</strong>였다. 당초 골판지 산업 성수<strong>기</strong>인 3분<strong>기</strong> 중 가격인상<br />

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strong>하</strong>였으나, 최근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으로 인해 가격인상이 쉽지 않<br />

은 상황으로 판단된다. 2012년 폐지가격과 함께 <strong>하</strong>락을 지속<strong>하</strong>던 원지 판가는 <strong>하</strong>락세를<br />

멈춘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동일제지를 포함한 원지업체들의 이익은 1분<strong>기</strong>를 저점으로<br />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br />

그림 96> 동일제지 영업이익 추이 및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2012년부터 월산 연결실적 포함, 자료: 동일제지,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59


De-Rating 해소주<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삼성전자 Flagship 휴<strong>대</strong>폰의 주력 디<strong>스</strong>플레이로 AMOLED가 채택되면서 중소형LCD 부품주는 Valuation De-rating이 되어 왔다.<br />

그러나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 Tablet PC 등에 LCD가 채택되면서 중소형LCD의 성장성은 재조명될 전망이다.<br />

수혜주로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066670, BUY, FV 15,000원), 삼진엘앤디(054090, NR)를 제시한다.<br />

중소형LCD 관련주, Tablet PC와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 판매호조로<br />

De-Rating 해소될 전망<br />

De-Rating 해소주에 주목 삼성전자 Tablet PC의 성장과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판매호조로 중소형LCD 관련주들의<br />

De-Rating이 해소되고 있다.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 개화 초<strong>기</strong> Flagship <strong>스</strong>마트폰의 디<strong>스</strong>플레이<br />

로 AMOLED가 <strong>탑</strong>재되면서 중소형LCD의 성장성 둔화에 <strong>대</strong>한 우려가 부각되어 왔다. 그<br />

러나 1)LCD가 채용되는 삼성전자 Tablet PC의 성장성이 <strong>스</strong>마트폰의 성장성을 상회할<br />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이 성숙<strong>기</strong>에 진입<strong>하</strong>면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br />

위해 LCD가 채용된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판매가 빠르게 확<strong>대</strong><strong>하</strong>고 있어 관련 부품주들의<br />

Valuation Re-Rating이 예상된다.<br />

1)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 수혜주-<br />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br />

2) Tablet PC 수혜주-<br />

삼진엘앤디<br />

그림 97> De-Rating 해소주 요약 및 Valuation<br />

<br />

삼성전자 휴<strong>대</strong>폰용 LCD모듈을 생산<strong>하</strong>는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는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판매호조<br />

로 올해 물량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또한 <strong>스</strong>마트폰의 LCD면적이 커지고 있어 동<br />

사는 ASP의 상승효과도 향유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단순조립인 OEM <strong>대</strong>비 수익성 높은<br />

ODM의 매출비중 역시 증가<strong>하</strong>고 있어 동사의 수익성 개선에 일조<strong>하</strong>고 있다.<br />

삼성전자 Tablet PC 내 LCD BLU에 채용되는 <strong>몰</strong>드 프레임의 약 60%를 생산<strong>하</strong>고 있는<br />

삼진엘앤디는 삼성전자 Tablet PC의 성장으로 수혜가 예상된다. 또한 전년 매출부진으로<br />

적자를 시<strong>현</strong>한 자동차 부품 및 LED조명의 매출이 올해 본격적으로 발생되면서 두 사업부<br />

문의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할 전망이다. 한편 올해부터 LED조명의 매출비중이 빠르게 확<br />

<strong>대</strong>되고 있어 동사는 중소형LCD 관련주들의 Re-Rating외에도 시장 <strong>대</strong>비 높은 Valuation<br />

을 받는 LED관련주로 부각되면서 Valuation Premium의 적용까지도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해 볼 수 있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0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98>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PER Band 그림 99>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그림 100> 삼진엘앤디 PER Band 그림 101> 삼진엘앤디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1


중소형LCD 부품주들의<br />

De-rating 해소 전망<br />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보다<br />

Tablet PC의 성장성이<br />

견조할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갤럭시S 시리즈로 <strong>대</strong>변되는 삼성전자 Flagship <strong>스</strong>마트폰의 디<strong>스</strong>플레이로 AMOLED가 채<br />

택되면서 관련 부품주들은 저평가되어 거래되어 왔다. 그러나 삼성전자 Tablet PC의 디<strong>스</strong><br />

플레이로 LCD가 채택된 가운데, <strong>스</strong>마트폰보다 Tablet PC의 성장성이 뛰어날 것으로 전<br />

망됨에 따라 중소형LCD 부품주의 De-Rating 해소가 예상된다.<br />

삼성전자 갤럭시S4의 올해 내부 판매목표치는 지난해 갤럭시S3의 글로벌 판매량인 5천<br />

만<strong>대</strong>의 두 배에 달<strong>하</strong>는 1억<strong>대</strong>이다. 다소 공격적인 목표치로 보여질 수 있으나 삼성전자의<br />

글로벌 마켓에서의 높아진 위상 등을 고려<strong>하</strong>면 달성 불가능한 수치는 아닌 것으로 사료된<br />

다. 그러나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 출<strong>하</strong>량의 성장세는 갤럭시S4 발매 이후 둔화될 전망이다.<br />

1) <strong>현</strong>재 삼성전자의 <strong>스</strong>마트폰 점유율은 Apple의 최고 점유율이었던 19% 수준을 이미 <strong>대</strong><br />

폭 상회한 30%에 달<strong>하</strong>며 2) <strong>스</strong>마트폰 전세계 판매량 성장률은 2010년 75.7%를 <strong>기</strong>점으<br />

로 2011년 62.3%, 2012년 46.1%로 가파르게 <strong>하</strong>락해왔고 올해는 30% 이<strong>하</strong>로 예상되<br />

<strong>기</strong> 때문이다. 또한 3) 성능은 크게 떨어지지 않으나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춘 2 nd tier 업<br />

체들의 시장 내 <strong>반</strong>격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는 판단이다.<br />

그림 102>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 MS는 이미 Apple 점유율 상회 그림 103> 글로벌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 성장성 <strong>하</strong>락 중<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2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보다<br />

Tablet PC의 성장성이<br />

견조할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strong>현</strong>재 삼성전자의 Tablet PC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strong>스</strong>마트폰과는 달리 아직 약 13%에 불<br />

과<strong>하</strong>다. 그러나 최근 삼성의 브랜드 인지도 및 <strong>기</strong>술력이 과거 <strong>대</strong>비 크게 향상되었고 점유<br />

율 추이도 상승세에 있어 1위 사업자인 Apple에 강한 위협이 되고 있다. “<strong>스</strong>마트폰은 역<br />

시 Apple”이라는 인식이 점차 깨지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향후 Tablet PC 시장으로 이전<br />

될 가능성 역시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삼성과 Apple의 Tablet PC 시장 내 MS격<br />

차는 점차 좁혀지고 그 속도는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에서 나타났던 <strong>현</strong>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br />

로 예상된다.<br />

지난해 삼성전자의 Tablet PC 판매량은 약 1,600만<strong>대</strong>였다. 올해 목표치는 갤럭시S4의<br />

예상 판매량 증가율보다 높은 4천만<strong>대</strong>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년에도 삼성전자 Tablet<br />

PC의 성장성은 <strong>스</strong>마트폰보다 견조할 전망이다.<br />

그림 104> 글로벌 Tablet PC 출<strong>하</strong>량 추이 및 전망 그림 105> 삼성&Apple Tablet PC MS 추이 및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106> 삼성과 Apple의 글로벌 Tablet PC 출<strong>하</strong>량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3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 성숙<strong>기</strong><br />

진입으로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br />

확<strong>대</strong>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확<strong>대</strong> 역시 중소형LCD의 성장성을 견인<br />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삼성전자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판매호조가 예상된<br />

다.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디<strong>스</strong>플레이로 AMOLED <strong>대</strong>비 30% 가량<br />

원가가 저렴한 LCD가 채용되고 있다.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은 Apple의 iPhone을 필두로 2009<br />

년부터 본격적으로 개화<strong>하</strong>였다. 글로벌 <strong>스</strong>마트폰 출<strong>하</strong>량은 2009년 1억 7천만<strong>대</strong>에서<br />

2012년 7억 2천만<strong>대</strong>까지 연평균 약 43% 성장해 온 바 있다. 그러나 2013년 글로벌 <strong>스</strong><br />

마트폰 출<strong>하</strong>량은 9억<strong>대</strong>로 성장률은 전년 46.1% <strong>대</strong>비 약 19%p 감소한 27.2%로 체감할<br />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이 성숙<strong>기</strong>에 진입<strong>하</strong>였다는 점을 시사<strong>하</strong>고 있다. 이에<br />

따라 <strong>현</strong>재 시장점유율 약 30%를 차지<strong>하</strong>고 있는 삼성전자 역시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 출시를<br />

확<strong>대</strong>할 전망이다. 최근 이머징 마켓에서 <strong>스</strong>마트폰 보급률이 가파르게 확<strong>대</strong>되고 있다는 점<br />

도 중저가 <strong>스</strong>마트폰의 출<strong>하</strong>량 호조세를 견인<strong>하</strong>고 있다.<br />

그림 107> 글로벌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은 성숙<strong>기</strong>에 진입 그림 108> 이머징 마켓 <strong>스</strong>마트폰 보급률 빠르게 상승 중<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ategy Analytics,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삼성전자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br />

출<strong>하</strong>량의 견조한 성장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지난해 약 2억 1천만<strong>대</strong>가 판매된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 중 LCD가 채택된 <strong>스</strong>마트폰은 약 1<br />

억 1천만<strong>대</strong>로 52% 수준으로 추정된다. 올해 삼성전자는 내부적으로 3억 5천만<strong>대</strong> 판매를<br />

목표로 <strong>하</strong>고 있다. 이 중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은 전체의 절<strong>반</strong> 수준인 약 1억 7천만<strong>대</strong>로 출<strong>하</strong><br />

량은 전년 <strong>대</strong>비 67% 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AMOLED <strong>스</strong>마트폰의 성장률인<br />

54.3%를 상회<strong>하</strong>는 수치이다.<br />

그림 109>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 출<strong>하</strong>량 추이 및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IDC,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4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066670) BUY (유지)<br />

주가(5/16) 11,050원 유동주식비율 61.7%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15,000원 60일 평균 거래량 616,464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11,50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55억원 3,120원<br />

시가총액 1,951억원 외국인보유비중 3.4% 베타 (12M, 일간수익률) 1.6<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7,656,06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NA<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박윤민 등 25.8%<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P) (IFRS-P)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15.0% 68.2% 91.2%<br />

매출액 (십억원) 180.6 293.7 474.4 602.6 729.1 상<strong>대</strong> 13.5% 52.9% 63.1%<br />

영업이익 (십억원) 8.7 22.2 38.2 52.0 55.0<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6.0<br />

6.0<br />

360<br />

360<br />

13.6 - 4.2<br />

17.0<br />

17.0<br />

1,030<br />

1,030<br />

7.3 - 2.2<br />

30.7<br />

30.7<br />

1,853<br />

1,853<br />

6.0<br />

40.8<br />

40.8<br />

2,463<br />

2,463<br />

4.5<br />

43.6<br />

43.6<br />

2,633<br />

2,633<br />

4.2<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BR (배) 0.5 1.1 1.5 1.1 0.9<br />

<br />

<br />

EV/EBITDA (배) 4.8 4.1 4.5 2.9 2.6<br />

<br />

배당수익률 (%) 2.2 0.8 0.5 0.5 0.0<br />

<br />

<br />

ROE (%) 8.4 21.0 29.4 29.3 24.1<br />

<br />

ROIC (%) 8.6 24.7 42.6 45.5 39.2<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 성숙<strong>기</strong><br />

진입으로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br />

확<strong>대</strong> 전망<br />

<strong>스</strong>마트폰의 LCD패널 면적이<br />

커지면서 ASP 상승<br />

삼성전자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 확<strong>대</strong> 최<strong>대</strong> 수혜주<br />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이 성숙<strong>기</strong>에 진입함에 따라 LCD가 채용된 보급형 <strong>스</strong>마트폰의 확<strong>대</strong>가 전망<br />

되어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 최근 이머징 마켓에서 <strong>스</strong>마트폰 보급률이 가파르게 확<strong>대</strong>되<br />

고 있어 삼성전자 <strong>스</strong>마트폰용 중소형 LCD모듈을 주력으로 생산<strong>하</strong>는 동사에게는 우호적<br />

인 영업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판단이다.<br />

올해 동사는 모듈의 물량증가는 물론 ASP의 상승이 동<strong>반</strong>되면서 내외형적 성장을 시<strong>현</strong>할<br />

전망이다. 가장 큰 이유는 <strong>현</strong>재 출시되고 있는 <strong>스</strong>마트폰의 면적이 점차 <strong>대</strong>형화되고 있<strong>기</strong><br />

때문이다. LCD패널의 크<strong>기</strong>가 커질수록 모듈의 사이즈도 커지면서 동사는 ASP 상승효과<br />

를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할 수 있다. 2010년 4” 이상의 <strong>스</strong>마트폰은 피쳐폰을 포함한 전체 글로벌 휴<strong>대</strong>폰<br />

출<strong>하</strong>량의 1.7%에 불과<strong>하</strong>였으나 2011년 4.9%에서 2012년에는 12.8%, 그리고 올해는<br />

21.3%로 확<strong>대</strong>될 전망이다. 동사 역시 2012년 주력 모델은 3.5”향이었으나 올해는 4.5”<br />

향이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로 동사의 ASP 상승효과는 중장<strong>기</strong>적으로<br />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br />

제품Mix가 개선되고 있다 Product Mix가 개선되고 있다는 점도 동사의 ASP 상승요인이다. <strong>스</strong>마트폰의 매출 비중<br />

이 확<strong>대</strong>되고 있<strong>기</strong> 때문이다. 2012년 전체 매출의 약 40%를 차지했던 <strong>스</strong>마트폰향 매출비<br />

중은 올해 80%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동사의 실적개선에 <strong>기</strong>여할 전망이다.<br />

OEM <strong>대</strong>비 수익성 높은 ODM 매출비중이 증가<strong>하</strong>고 있다는 점 또한 ASP 상승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br />

는 이유이다. ODM 생산방식은 OEM과 달리 고객사와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에 동참<strong>하</strong>여<br />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때문에 비교적 수익성이 좋다.<br />

65


2012년은 Q보다는<br />

P의 상승으로<br />

실적 성장 견인<br />

2013년은 Q와 P가<br />

동<strong>반</strong>증가<br />

그림 110> 분<strong>기</strong>별 실적 추이 및 전망<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올해 사상최<strong>대</strong> 실적 전망, 2분<strong>기</strong>부터 본격적 성장 나타날 것<br />

올해 동사는 사상최<strong>대</strong>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의 2012년 LCD <strong>스</strong>마트<br />

폰 출<strong>하</strong>량은 2011년 9,400만<strong>대</strong> <strong>대</strong>비 약 17% 늘어난 1억1천만<strong>대</strong> 수준이었던 것으로 추<br />

산되나 동사의 2012년 매출액은 전년 <strong>대</strong>비 65.2% 증가<strong>하</strong>였다. 물량의 증가보다는 ASP<br />

의 상승이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strong>스</strong>마트폰향 ODM 매출비중이 2011년 <strong>대</strong>비<br />

크게 확<strong>대</strong>되었<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제품생산을 주로 해외로 위탁<strong>하</strong>고 있다는 점은 수요가 급증<strong>하</strong><br />

더라도 Capa증설이 크게 필요<strong>하</strong>지 않아 매출볼륨 확<strong>대</strong>와 수익성 유지 측면에서 유리<strong>하</strong>다.<br />

1분<strong>기</strong>는 매출액 798억원(YoY +22.0%), 영업이익 59억원(YoY +9.0%, OPm 7.4%)의<br />

양호한 실적을 시<strong>현</strong><strong>하</strong>였다. 2분<strong>기</strong>부터는 1분<strong>기</strong> 개발이 완료된 신제품이 양산되<strong>기</strong> 시작<strong>하</strong><br />

면서 매출액은 1,265억원으로 전년 <strong>대</strong>비 약 70% 증가할 전망이다. 신제품 출시에 따른<br />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률도 8%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ASP 상승이 실적성장의<br />

주된 원인이었던 2012년과 달리 올해는 ASP 상승은 물론 수량증가 효과가 동사의 실적<br />

개선을 직접적으로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올해 동사는 연간 매출액 4,744억<br />

원(YoY +61.6%), 영업이익 382억원(YoY +71.9%, OPm 8.1%)의 사상최<strong>대</strong> 실적을 달<br />

성할 전망이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그림 111>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연간실적 추이 및 전망<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66


투자의견 매수.<br />

적정주가 15,000원 유지<br />

중소형 LCD의 성장성<br />

회복에 따른<br />

Valuation 재평가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중소형LCD 부품주에 <strong>대</strong>한 Re-Rating이 필요한 시점<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해 투자의견 매수, 적정주가 15,000원을 유지한다. 적정주가는 2013년 EPS에<br />

Target PER 7.9배를 적용<strong>하</strong>여 산출<strong>하</strong>였다. PER 7.9배는 2011년 동사 주가의 평균 PER<br />

로 동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strong>대</strong>비 각각 65.2%, 154% 급증한 바 있는 2012년에<br />

<strong>대</strong>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감이 2011년 주가에 선<strong>반</strong>영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올해도 매출액과 영업이익<br />

은 각각 62%, 71%로 고성장<strong>하</strong>고 이러한 추이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사료되어<br />

Target PER 7.9배 적용은 무리없는 수준이다.<br />

삼성전자가 <strong>스</strong>마트폰용 디<strong>스</strong>플레이로 AMOLED를 주력으로 채택함에 따라 그동안 동사<br />

를 비롯한 중소형LCD 관련주들의 주가는 성장성 둔화에 <strong>대</strong>한 우려로 Valuation<br />

Discount를 받아왔다. 그러나 <strong>스</strong>마트폰 시장이 성숙<strong>기</strong>에 진입<strong>하</strong>고 가격 경쟁력의 중요성<br />

이 부각되면서 중소형 LCD의 성장성도 회복되고 있다. 올해 삼성전자의 AMOLED <strong>스</strong>마<br />

트폰은 약 5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strong>반</strong>면 LCD <strong>스</strong>마트폰은 67%에 달한다는 점도 이<br />

러한 사실을 방증<strong>하</strong>고 있다. 최근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삼성전자의 Tablet PC와<br />

갤럭시 노트 8.0에도 LCD패널이 채용되고 있어 관련주들의 Valuation은 Re-rating이<br />

이루어질 전망이다. 또한 동사가 2012년 <strong>기</strong>준 21%의 높은 ROE를 시<strong>현</strong>한 바 있으며 순<br />

<strong>현</strong>금의 재무구조, 105%로 양호한 부채비율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소이다.<br />

그림 112> 12개월 Forward PER Band 그림 113> 12개월 Forward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7


중소형LCD 모듈 ODM 전문업체<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LCD모듈 ODM 업체 동사는 1998년에 설립되어 2002년에 KOSDAQ에 상장된 LCD모듈 전문 생산업체이며<br />

종업원수는 약 330명이다. 삼성전자향으로 7” 이<strong>하</strong>의 <strong>스</strong>마트폰용 LCD모듈을<br />

OEM/ODM 방식으로 생산<strong>하</strong>여 납품<strong>하</strong>고 있다. <strong>현</strong>재 고객사 내 점유율은 약 20% 수준으<br />

로 추정된다. 경쟁업체들은 주로 <strong>대</strong>만의 LCD 패널업체들이며 국내에서는 산업의 구조조<br />

정에 따라 <strong>대</strong>부분이 도태된 것으로 파악된다. 사업구조는 LCD패널, Driver IC, BLU,<br />

PCB 등 <strong>기</strong>초원자재를 공급받아 설계한 후 중국 광동에 위치한 <strong>현</strong>지 공장이 LCD모듈을<br />

외주생산한다. 국내에서는 주로 LCD 후공정 및 모듈화 작업을 포함<strong>하</strong>는 OEM 사업을 맡<br />

고 있다. ODM 생산비중이 높아 일<strong>반</strong> OEM 업체들 <strong>대</strong>비 견조한 수익성을 시<strong>현</strong><strong>하</strong>고 있다.<br />

오버행 리<strong>스</strong>크는 제한적 <strong>현</strong>재 아직 행사되지 않은 BW 1,414,142주(행사가 1,485원)가 남아있으며 이는 전체 발<br />

행주식수의 약 8% 수준이다. 그러나 이 물량은 최<strong>대</strong>주주가 경영권 방어를 위한 목적으로<br />

전량보유<strong>하</strong>고 있어 행사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란 판단이다.<br />

그림 114> 2012년 주요 거래처별 매출<strong>현</strong>황 그림 115> 주주<strong>현</strong>황 (2012년 말 <strong>기</strong>준)<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디<strong>스</strong>플레이테크,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69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삼진엘앤디 (054090) Not Rated<br />

주가(5/16) 5,290원 유동주식비율 75.9%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NA 60일 평균 거래량 1,151,163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5,31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NA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46억원 1,625원<br />

시가총액 995억원 외국인보유비중 1.5% 베타 (12M, 일간수익률) 1.2<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8,813,106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NA<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이경재 등 24.1%<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C) (IFRS-C) (IFRS-C) 절<strong>대</strong> 35.6% 108.3% 63.3%<br />

매출액 (십억원) 256.6 269.1 280.0 378.0 472.5 상<strong>대</strong> 33.9% 89.3% 39.3%<br />

영업이익 (십억원) 12.4 5.8 23.4 33.3 43.5<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3.6<br />

3.6<br />

337<br />

337<br />

9.1 - 4.0<br />

7.6<br />

7.6<br />

498<br />

498<br />

8.6 - 3.2<br />

13.6<br />

13.6<br />

778<br />

674<br />

7.8<br />

18.2<br />

18.2<br />

1,005<br />

881<br />

6.0<br />

22.5<br />

22.5<br />

1,247<br />

1,092<br />

4.8<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BR (배) 0.3 0.5 1.0 0.8 0.7<br />

<br />

<br />

EV/EBITDA (배) 2.1 4.2 3.4 2.7 2.0<br />

<br />

<br />

배당수익률 (%) 0.0 2.5 0.0 0.0 0.0<br />

<br />

<br />

ROE (%) 4.6 9.5 15.5 17.6 18.2<br />

<br />

ROIC (%) 2.4 2.1 12.2 13.6 16.1<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실적 턴어라운드 후 LED조명주로 변신!<br />

Valuation 매력도 높다 동사의 <strong>현</strong>주가는 올해 <strong>기</strong>준 수정 PER 7.8배로 시장 <strong>대</strong>비 저평가되어 거래되고 있다. 그<br />

이유는 1) De-rating 요소인 LCD관련 부품을 주력으로 생산<strong>하</strong>며 2) 안정적이지 못한<br />

실적추이를 보여왔<strong>기</strong>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1) 삼성전자 Tablet PC의 성장성<br />

이 부각되면서 중소형LCD 부품주의 시장 내 재평가가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며 2) LED조명의 매출비중<br />

이 지속적으로 확<strong>대</strong>되면서 LED조명주로 거듭날 전망이다. 전방산업의 높은 성장성이 <strong>기</strong><br />

<strong>대</strong>되는 LED 관련주들이 높은 Valuation에 거래된다는 점을 감안<strong>하</strong>면 <strong>현</strong>주가는<br />

Valuation 매력도가 높아 견조한 주가흐름이 전망된다.<br />

BW발행, 긍정적으로 판단 4월 17일 동사는 100억원 규모의 사모BW를 발행<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로 공시<strong>하</strong>였다. 만<strong>기</strong>일은 2017년<br />

10월 19일이며 행사가격은 3,913원이다. 발행의 주요목적은 1) 약 24% 수준으로 취약<br />

한 <strong>대</strong>주주 지분을 추가로 확보<strong>하</strong>고 2) LED조명의 수요증가에 <strong>대</strong>응<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위한 설비투자에<br />

사용될 예정이다. 신규발행 주식수는 <strong>현</strong>재 총주식수의 약 13.7% 수준으로 작지 않은 규<br />

모이나 <strong>대</strong>주주의 경영권이 강화됨과 동시에 LED조명업체로 거듭날 수 있는 발판이 마련<br />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판단이다.<br />

70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LCD: 삼성 Tablet PC 수혜 비용절감과 Product Mix 개선 등으로 각 사업부문들의 수익성이 전<strong>반</strong>적으로 개선되면서<br />

올해 매출액은 전년 <strong>대</strong>비 소폭 증가<strong>하</strong>는 <strong>반</strong>면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이다.<br />

LCD BLU <strong>몰</strong>드 프레임과 LCD TV 캐비닛으로 이루어진 LCD 부품사업의 경우 상<strong>대</strong>적으<br />

로 수익성이 낮은 TV 및 노트북용 <strong>몰</strong>드 프레임의 매출은 전방산업의 부진 및 고객사 내<br />

MS 축소로 인해 매출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사료된다. <strong>반</strong>면 마진 높은 Tablet PC용 <strong>몰</strong><br />

드 프레임의 매출 비중이 확<strong>대</strong>되면서 수익성은 확<strong>대</strong>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동사는 삼성<br />

전자 Tablet PC 전체물량의 약 60%를 담당<strong>하</strong>고 있어 올해 삼성전자 Tablet PC 판매호<br />

조에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판단된다.<br />

프린터, 이차전지 등도<br />

실적개선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br />

그림 116> LCD 및 TV부품<br />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올해 큰 폭의 이익성장은 전 사업부문의 수익성 개선에 <strong>기</strong>인한다. 본사에서 가장 많은 매<br />

출비중을 차지<strong>하</strong>고 있는 OA 주변<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 사업부문에서는 프린터의 주변부품을 사출생산<strong>하</strong>여<br />

삼성전자, 일본의 코니카미놀타 등에 주력납품<strong>하</strong>고 있다. 올해는 OEM <strong>대</strong>비 수익성 좋은<br />

ODM 생산이 증가<strong>하</strong>고 매출변동이 큰 고객사를 조정함에 따라 수익성 향상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된다.<br />

매출비중은 크지 않지만 2차전지용 플라<strong>스</strong>틱 케이<strong>스</strong>를 사출<strong>하</strong>여 삼성SDI에 납품<strong>하</strong>고 있<br />

는 2차전지 부품 사업부문 역시 갤럭시S의 판매호조에 따른 직접적 수혜가 예상되며 향<br />

후 관련 신제품 양산도 예정되어 있다.<br />

그림 117> OA 주변<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 - Finisher 그림 118> 2차전지 케이<strong>스</strong><br />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71


전년 80억원 적자사업부문,<br />

올해 흑자로 돌아설 전망<br />

LED조명매출, 올해 900억원<br />

이상 달성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전년 적자사업 올해 턴어라운드, 내년부터 본격성장 전망<br />

전년 80억원 가량의 적자를 <strong>기</strong>록했던 자동차 부품과 LED조명 사업부문은 올해 매출볼륨<br />

이 정상화됨에 따라 흑자로 전환<strong>하</strong>면서 수익성 개선을 직접적으로 견인<strong>하</strong>고 내년부터는<br />

동사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 사업부문이 될 전망이다. 자동차 부품은 자동차 헤드램프용 사<br />

출물로 주로 에<strong>스</strong>엘 그룹을 통해 국내 완성차 업체들로 공급되고 있다. 전년 10월부터 소<br />

폭의 매출이 발생<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시작<strong>하</strong>였으나 신규사업인 만큼 고정비 부담과 높은 불량률로 20억<br />

원의 적자를 시<strong>현</strong>한 바 있다. 그러나 올해는 적용차종 확<strong>대</strong> 및 불량률 개선으로 150억원<br />

이상의 매출을 달성<strong>하</strong>며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에는 200억원 이상의 매출이<br />

가능할 것으로 동사는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strong>하</strong>고 있다.<br />

전년 매출이 100억원에 불과했던 LED조명 역시 올해 생산 및 판매가 정상궤도에 진입<strong>하</strong><br />

면서 턴어라운드를 넘어 급성장이 예상된다. 100여가지 이상의 품목을 생산<strong>하</strong>고 있는 동<br />

사의 LED조명 사업부문은 패키징된 LED를 공급받아 모듈화<strong>하</strong>여 완제품으로 생산<strong>하</strong>고<br />

있다. 개발비 등 투자비용이 발생한 <strong>반</strong>면 자동차 부품 사업과 마찬가지로 매출이 받쳐주지<br />

않아 전년 60억원 가량의 적자를 시<strong>현</strong><strong>하</strong>였다.<br />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동사는 미국 LED조명업체들과 약 7,000만불에 달<strong>하</strong>는 <strong>대</strong>규모의<br />

LED조명 납품 계약(이룩<strong>스</strong>넷 2천만불, 엔바이로브라이트 5천만불)을 체결한 것으로 나<br />

타났다. 한화로는 약 750억원 규모이다. 전년 LED조명 매출이 100억원에 불과했고 올해<br />

예상매출은 300억원이었<strong>기</strong> 때문에 이는 <strong>기</strong>존 추정치를 크게 상회<strong>하</strong>는 수준이다. 이번 수<br />

주에 <strong>대</strong>한 매출은 3분<strong>기</strong>와 4분<strong>기</strong>에 걸쳐 인식될 전망이다. 또한 내년부터는 수출국가 다<br />

변화에 따른 매출확<strong>대</strong>로 동사의 내외형적 성장을 직접적으로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br />

에 따라 올해 연간 LED조명수주금액은 1,000억원을 상회할 전망이다.<br />

흑자전환은 1분<strong>기</strong>부터 2012년 동사는 일부 사업부문들의 적자로 인해 연결<strong>기</strong>준으로 매출액 2,690억원(YoY<br />

+4.8%), 영업이익 58억원(YoY -53.0%)의 부진한 실적을 시<strong>현</strong><strong>하</strong>였다. 그러나 올해는<br />

1) 적자사업부문들이 흑자전환<strong>하</strong>고 2) <strong>기</strong>존 사업부문들의 수익성 개선에 따라 영업이익<br />

이 전년<strong>대</strong>비 약 300%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 <strong>현</strong>재 자동차 부품과 LED조명의 판매가<br />

정상화되고 있어 1분<strong>기</strong> 실적은 흑자전환이 가능할 전망이다. 또한 이번 <strong>대</strong>규모 LED조명<br />

수주로 인해 연간 예상실적에 <strong>대</strong>한 가시성도 더욱 확<strong>대</strong>되었다. 당사는 <strong>기</strong>존 2013년 영업<br />

이익 전망치를 유지<strong>하</strong>나 상<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실적 추이 및 추가적인 LED조명의 수주규모에 따라 전망<br />

치는 상향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br />

그림 119> 올해 실적의 본격적 턴어라운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2


사출과 금형에 강한 IT부품업체<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다양한 IT부품사업을 영위 동사는 1987년에 설립되어 2004년 코<strong>스</strong>닥에 상장된 IT부품업체로 금형 및 사출에 강점<br />

을 가지고 있다. 중국, 멕시코, 슬로바키아 등에 생산법인을 보유<strong>하</strong>고 있으며 종업원수는<br />

약 3천명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LCD 및 TV부품, OA 주변<strong>기</strong><strong>기</strong>, 2차전지 케이<strong>스</strong>, LED조<br />

명, 자동차 사출부품(헤드램프) 등이 있으며 <strong>대</strong>부분이 금형 및 사출 <strong>기</strong>술을 <strong>기</strong><strong>반</strong>으로 생산<br />

된다. 매출비중은 2012년 본사<strong>기</strong>준으로 LCD 및 TV부품이 전체매출의 20%, OA 주변<strong>기</strong><br />

<strong>기</strong>가 55%를 차지<strong>하</strong>였다. 나머지 부품들은 해외법인에서 담당<strong>하</strong>여 연결실적으로 인식된<br />

다.<br />

그림 120> 2012년 본사<strong>기</strong>준 제품별 매출비중 그림 121> 사업영역<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그림 122> 국내 및 해외 사업장 <strong>현</strong>황<br />

자료: 삼진엘앤디,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73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4


중국소비 수혜주<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중국 소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strong>하</strong>고 있으며 중국 소비관련주에 <strong>대</strong>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br />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와 락앤락은 시장 점유율 1위의 업체들이<strong>기</strong>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나 2분<strong>기</strong> 실적 회복이 전제되어야 한다.<br />

매일유업은 과도한 주가상승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어 중국시장에서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이 확인되어야 당사 적정주가를 상향할 수 있다.<br />

중국소비시장은 글로벌 시장<br />

중 가장 매력적<br />

중국 소비시장 관련주는 언제나 관심 <strong>대</strong>상<br />

중국 신정부 경제정책의 핵심정책은 내수소비 활성화를 통한 질적성장에 있다. 이에 따라<br />

<strong>대</strong>규모 인프라 확충과 같은 투자활성화로 인해 10% 이상의 GDP성장을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힘든<br />

<strong>반</strong>면 근로자 임금의 인상 등으로 인해 내수 소비시장은 10% 이상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br />

로 예측된다. 국내소비자들과 유사한 성향을 가진 중국 소비자들의 의류, 음식료, 화장품,<br />

헬<strong>스</strong>케어, 생활용품 관련주들이 매력적일 수 밖에 없다.<br />

1)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동사는 중국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이다. 글로벌 임플란트 연간 성장률이<br />

10% 수준인데 비해 중국시장은 30% 이상 성장<strong>하</strong>고 있다. 따라서 동사의 중국시장 선점<br />

효과에 <strong>대</strong>해 높은 평가를 줄 수 있다. 동사의 중국에서의 치과의사에 <strong>대</strong>한 임플란트 교육<br />

시장 점유율은 약 70%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는데 비해 임플란트 점유율은 40%에 불과<br />

<strong>하</strong>다. 따라서 향후 중국시장에서의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br />

2) 매일유업 동사는 국내업체 중 유일<strong>하</strong>게 중국시장에서 분유와 유아복 등 유아용품을 같이 판매<strong>하</strong>고<br />

있다. 중국 내수시장 중에서도 유아용품 시장이 가장 성장률이 높은 부문임을 감안<strong>하</strong>면 동<br />

사에 <strong>대</strong>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지속될 것이다. 향후 동사 가치의 추가상승은 자회사 제로투<br />

세븐과의 시너지를 통해 1선 도시에서의 분유 판매 확<strong>대</strong> 속도에 따라 달려있다.<br />

3) 락앤락 1분<strong>기</strong> 실적으로 중국 성장성에 <strong>대</strong>한 우려가 제<strong>기</strong>되었으나 2분<strong>기</strong> 및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증익 가능성은<br />

여전히 유효<strong>하</strong>다. 지난해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재고 및 해외 법인 정리 영향으로 실적이 크게 부진했음<br />

을 고려<strong>하</strong>면 실적 모멘텀은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로 갈수록 높아질 것이다. 3월에 런칭한 중국 유아용품<br />

및 지난해 구조조정을 마무리한 동남아 성장성이 실적으로 나타나면 실적 상향도 가능할<br />

전망이다.<br />

그림 123> 중국소비 수혜주 요약 및 Valuation<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5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124>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PER Band 그림 125>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그림 126> 매일유업 PER Band 그림 127> 매일유업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그림 128> 락앤락 PER Band 그림 129> 락앤락 PB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 자료: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6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048260) BUY (유지)<br />

주가(5/16) 30,700원 유동주식비율 74.8%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40,000원 60일 평균 거래량 483,778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38,35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164억원 11,450원<br />

시가총액 4,360억원 외국인보유비중 15.9% 베타 (12M, 일간수익률) 1.0<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4,202,0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78.2%<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최규옥 등 25.1%<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12.8% -8.2% 7.0%<br />

매출액 (십억원) 131.8 201.4 170.3 189.3 206.4 상<strong>대</strong> -14.6% -16.5% -6.6%<br />

영업이익 (십억원) 21.1 20.4 35.6 42.0 47.4<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PBR (배)<br />

10.2<br />

10.2<br />

729<br />

729<br />

22.3 - 10.4<br />

2.3<br />

4.9<br />

6.1<br />

438<br />

438<br />

77.1 - 22.5<br />

5.5<br />

25.9<br />

25.9<br />

1,823<br />

1,823<br />

16.8<br />

4.4<br />

31.1<br />

31.1<br />

2,188<br />

2,188<br />

14.0<br />

3.3<br />

35.2<br />

35.2<br />

2,482<br />

2,482<br />

12.4<br />

2.7<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EV/EBITDA (배) 7.9 18.6 11.0 8.8 7.5<br />

<br />

<br />

배당수익률 (%) 0.0 0.0 0.0 0.3 0.5<br />

<br />

<br />

ROE (%) 14.0 8.4 26.1 27.1 23.9<br />

<br />

ROIC (%) 12.6 (1.1) 52.6 35.5 37.6<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고속성장<strong>하</strong>는 중국 임플란트<br />

시장의 최강자<br />

교육시<strong>스</strong>템을 통한 고객확보<br />

전략이 적중, 중장<strong>기</strong> 성장<br />

가능할 것<br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br />

40,000원 유지<br />

중국시장 점유율 1위업체<br />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은 연간 약 10% 수준으로 성장<strong>하</strong>는데 비해 중국시장은 30% 이상<br />

고속성장<strong>하</strong>고 있다. 소득수준의 향상, 고령화, 민간병원의 활성화로 2020년까지 중국시장<br />

의 고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동사는 중국시장 점유율이 약 40% 수준으로<br />

Straumann, Nobel Biocare 등 글로벌 선두업체를 누르고 점유율 1위를 <strong>기</strong>록<strong>하</strong>고 있다.<br />

동사는 2000년 초 국내시장에 진입할 때 치과의사들에 <strong>대</strong>한 임플란트 교육을 통해 자사<br />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사용했다. 중국의 <strong>현</strong>재 임플란트 시장이 2000년 초 우리<br />

나라의 시장과 비슷한 성장 초<strong>기</strong> 상태라서 동사의 교육을 통한 성장전략이 성공<strong>하</strong>고 있다.<br />

2012년말 <strong>현</strong>재 중국의 약 10만명의 치과의사 중 임플란트 시술 가능의사수는 약 6000<br />

명이며 이중 약 4200명이 동사의 교육과정을 이수<strong>하</strong>였다. 동사의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br />

이 40%인 것에 비해 교육점유율은 약 70% 수준이므로 동사의 점유율 확<strong>대</strong>는 지속될 것<br />

으로 판단된다.<br />

동사에 <strong>대</strong>해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40,000원을 유지한다. 동사의 주가는 1분<strong>기</strong> 실적<br />

부진에 <strong>대</strong>한 우려로 지난 3월 중순 이후 큰 폭 <strong>하</strong>락<strong>하</strong>였다. <strong>하</strong>지만 1분<strong>기</strong> 실적부진의 원<br />

인이 해외부문이 아닌 국내 매출의 일시적인 부진인 것으로 파악되어 우려할 상황은 아니<br />

라고 판단된다. 1분<strong>기</strong>에도 중국시장에서의 매출은 전년<strong>대</strong>비 약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br />

파악되며 2분<strong>기</strong>에 동일한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1분<strong>기</strong> 부진했던 국내매출도 정<br />

상화 과정을 거치고 있어 2분<strong>기</strong> 실적의 회복이 예상된다.<br />

77


그림 130>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중국시장 점유율 40%로 1위<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그림 131> 중국 임플란트 시장 규모<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그림 132> 중국매출의 성장은 지속적인 교육으로 인한 효과<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오<strong>스</strong>템임플란트,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79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KOSDAQ<br />

매일유업 (005990) BUY (유지)<br />

주가(5/16) 46,850원 유동주식비율 48.6%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42,100원 60일 평균 거래량 165,509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55,30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72억원 16,800원<br />

시가총액 6,278억원 외국인보유비중 10.7% 베타 (12M, 일간수익률) 1.1<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13,400,0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21.3%<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김정완 등 40.3%<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P) (IFRS-P) (IFRS-P) 절<strong>대</strong> 8.2% 37.2% 35.8%<br />

매출액 (십억원) 944.4 1,072.3 1,163.0 1,226.0 1,280.0 상<strong>대</strong> 6.8% 24.7% 15.9%<br />

영업이익 (십억원) 15.5 26.4 40.7 46.2 50.9<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PER* (배)<br />

4.5<br />

4.5<br />

362<br />

362<br />

65.0 - 27.3<br />

20.5<br />

21.2<br />

1,691<br />

1,691<br />

22.5 - 8.1<br />

29.4<br />

29.4<br />

2,325<br />

2,325<br />

20.1<br />

33.7<br />

33.7<br />

2,666<br />

2,666<br />

17.6<br />

38.2<br />

38.2<br />

3,016<br />

3,016<br />

15.5<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BR (배) 0.8 1.3 1.8 1.6 1.5<br />

<br />

<br />

EV/EBITDA (배) 8.2 8.9 9.8 9.0 8.2<br />

<br />

<br />

배당수익률 (%) 0.7 0.4 0.3 0.3 0.3<br />

<br />

<br />

ROE (%) 1.6 7.3 8.9 9.7 10.0<br />

<br />

ROIC (%) 5.7 4.3 9.1 10.4 11.1<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매일유업,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중국 유아용품 시장에 본격 진입<br />

중국향 분유 수출 본격화 동사의 2012년 중국분유 수출액은 약 140억원 이었으나 2013년에는 약 250~300억원<br />

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이전트를 통한 매출에서 슈퍼마켓, 홈쇼핑 등으로 판매채<br />

널을 확<strong>대</strong>할 계획을 가지고 있고 자회사 제로투세븐의 유통망을 분유판매에 활용할 수도<br />

있다고 판단된다. 중국내의 분유공급이 원활<strong>하</strong>지 못한 상황이라서 동사의 중국분유 연착<br />

륙 확률이 높아졌다.<br />

자회사 제로투세븐의 가치<br />

상승도 주요 투자포인트<br />

최근 주가 상승이 펀더멘탈<br />

강화속도를 너무 앞서, 속도<br />

조절이 필요<strong>하</strong>다고 판단<br />

동사의 자회사인 제로투세븐은 국내 최<strong>대</strong>의 유아용품업체로 중국시장에서 큰 폭으로 성장<br />

<strong>하</strong>고 있다. 제로투세븐의 중국매출은 2012년 약 220억원에서 2013년 약 280~300억원<br />

으로 예상된다. <strong>기</strong>존 유아복 위주의 매출에서 유아용 아웃도어 의류, <strong>스</strong>켄케어 제품 등으<br />

로 매출군이 확<strong>대</strong>되고 있고 Mamas & Papas의 중국판권을 이용해 매장을 신설<strong>하</strong>고 있<br />

다. 따라서 제로투세븐의 중국 매출액은 향후에도 연평균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br />

되어 동사 가치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br />

최근 주가의 급상승으로 <strong>현</strong> 주가가 당사가 보유<strong>하</strong>고 있는 동사에 <strong>대</strong>한 적정주가 42,100<br />

원을 상회<strong>하</strong>고 있다. 중국 분유시장의 공급부족으로 관련주들의 주가가 급등<strong>하</strong>고 있고 국<br />

내에서 경쟁사인 남양유업의 영업망이 단<strong>기</strong>적인 이슈로 위축되고 있어 <strong>반</strong>사이익이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br />

<strong>기</strong> 때문이다. <strong>하</strong>지만 <strong>현</strong> 주가는 동사의 2013년 실적<strong>기</strong>준 PER 약 20배 수준이어서 추가<br />

상승여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향후 동사 주가가 추가적으로 상승<strong>하</strong><strong>기</strong> 위해서는 중<br />

국향 분유 수출액이 국내 판매액 수준인 약 천억원까지 성장할 수 있다는 가시성이 확보<br />

되어야 한다. 자회사 제로투세븐과의 시너지와 <strong>현</strong>재 중국분유시장을 감안<strong>하</strong>면 충분히 가<br />

능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br />

80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그림 133> 중국 분유 시장 2011년 <strong>기</strong>준 90억달러로 세계 최<strong>대</strong> 시장<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Euromonitor,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그림 134> 급증<strong>하</strong>는 매일유업의 중국향 분유 수출<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매일유업,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그림 135> 제로투세븐 중국법인 매출액 추이<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제로투세븐,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br />

<br />

81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82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락앤락 (115390) BUY (유지)<br />

주가(5/16) 23,450원 유동주식비율 32.4% 시장 수정EPS 성장률 (3yr CAGR) 13.5%<br />

적정주가 32,000원 60일 평균 거래량 416,083주 52주 최고/최저가 (보통주) 35,150원<br />

산업내 투자선호도 ★★☆ 60일 평균 거래<strong>대</strong>금 111억원 20,300원<br />

시가총액 1.3조원 외국인보유비중 10.1% 베타 (12M, 일간수익률) 0.9<br />

발행주식수 (보통주)<br />

결산<strong>기</strong>말<br />

55,000,000주 수정EPS 성장률(13~15 CAGR)<br />

12/11A 12/12A 12/13F 12/14F<br />

25.1%<br />

12/15F<br />

주요주주<br />

주가상승률 1개월<br />

김준일 등 64.1%<br />

3개월 6개월<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IFRS-C) (IFRS-C) (IFRS-C) (IFRS-C) 절<strong>대</strong> -15.3% -12.7% 3.8%<br />

매출액 (십억원) 476.1 508.4 558.6 641.8 746.6 상<strong>대</strong> -18.1% -12.9% -2.8%<br />

영업이익 (십억원) 77.9 72.1 97.8 118.8 145.6<br />

순이익 (십억원)<br />

지배<strong>기</strong>업순이익 (십억원)<br />

EPS (원)<br />

수정EPS (원)<br />

50.6<br />

50.6<br />

982<br />

982<br />

59.8<br />

59.9<br />

1,090<br />

1,090<br />

79.9<br />

79.9<br />

1,456<br />

1,456<br />

97.3<br />

97.3<br />

1,775<br />

1,775<br />

117.1<br />

117.1<br />

2,135<br />

2,135<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PER* (배) 51.2 - 28.2 35.2 - 18.3 16.1 13.2 11.0<br />

<br />

<br />

PBR (배) 3.7 2.2 1.9 1.7 1.5<br />

<br />

<br />

EV/EBITDA (배) 21.4 12.4 8.8 7.0 5.5<br />

<br />

<br />

배당수익률 (%) 0.4 0.3 0.7 0.7 0.7<br />

<br />

<br />

ROE (%) 9.0 10.4 12.8 13.8 14.6<br />

<br />

ROIC (%) 11.6 11.8 14.4 17.0 20.4<br />

적용<strong>기</strong>준: IFRS-C =연결재무제표, IFRS-P =개별재무제표<br />

자료: 락앤락,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1분<strong>기</strong> 실적, 숫자보다<br />

내용이 안 좋았다<br />

그림 136> 1Q13 실적 Review<br />

실적 우려는 크지 않다<br />

락앤락은 지난 5/9 공시를 통해 1Q13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 1,140억원, 영업이익<br />

200억원으로 외형과 이익 모두 당사 전망치 및 시장<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치를 <strong>하</strong>회<strong>하</strong>였다. 영업이익 시장<br />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치가 218억원 수준이었음을 고려<strong>하</strong>면 외견상으로는 크게 나쁘지 않은 실적이다. 그러<br />

나, 내용을 뜯어보면 중국 매출 성장률이 전년<strong>대</strong>비 7%(법인 <strong>기</strong>준 1.8%)에 그쳤다는 것<br />

은 우려<strong>스</strong>러운 점이다. 회사측에서는 설연휴로 일부 매출액이 2분<strong>기</strong>로 이연되었다고 설명<br />

<strong>하</strong>고 있으나, 지난해 1분<strong>기</strong> 중국 매출액 성장률 역시 14.2%로 <strong>기</strong>저가 높지 않았음을 고<br />

려<strong>하</strong>면 향후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strong>하</strong>다. 당분간 중국 사업에 <strong>대</strong>해 보수적인 전망을 견지할<br />

계획이며, 당사는 2013년 예상 순이익 추정치를 9.8% <strong>하</strong>향<strong>하</strong>고 적정주가를 <strong>기</strong>존<br />

35,000에서 32,000원으로 조정한 바 있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락앤락,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83


중국 성장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감 다소<br />

낮추며 실적 변경<br />

2분<strong>기</strong> 및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실적<br />

모멘텀 유효<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당사는 당초 올해 중국 성장률을 가이던<strong>스</strong> <strong>대</strong>비 공격적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br />

중국 경<strong>기</strong> 침체 영향으로 크게 부진했던 플라<strong>스</strong>틱 용<strong>기</strong> 중국 매출액 감소폭(YoY -<br />

22.6%)이 올해에는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strong>하</strong>였<strong>기</strong> 때문이다. 실제로, 1분<strong>기</strong> 플라<strong>스</strong>틱 용<br />

<strong>기</strong> 매출 감소폭은 YoY -6.1%에 그쳤으나, 글라<strong>스</strong> 용<strong>기</strong>(-1.8%)와 아웃도어(7.1%) 성<br />

장률 둔화는 당초 예상과 크게 빗나간다. 중국 연간 매출액 성장률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치를 20.1%로 낮<br />

추며, 이에 따라 2013년 연결 순이익 전망치는 9.8% <strong>하</strong>향 조정되었다. 조정 후 2013년<br />

예상 연결 매출액은 5,586억원(YoY +9.9%), 순이익 799억원(YoY +33.4%), 영업이익<br />

률 17.5% 이다.<br />

그림 137> 연간 실적 변경<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참고: 동남아법인 실적 감소는 <strong>현</strong>지 생산법인 수출액 인식 변경에 따른 것임<br />

자료: 락앤락,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2분<strong>기</strong> 및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증익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strong>하</strong>다. 2분<strong>기</strong> 예상 영업이익은 235억원(YoY<br />

+12.5%, QoQ +17.8%)이고,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영업이익은 상<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비 23.9% 증가 가능할 전망이<br />

다. 지난해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재고 및 해외 법인 정리 영향으로 실적이 크게 부진(영업이익 HoH -<br />

26.4%)했음을 고려<strong>하</strong>면 실적 모멘텀은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로 갈수록 높아질 것이다. 3월에 런칭한 중<br />

국 유아용품 및 지난해 구조조정을 마무리한 동남아 성장성이 실적으로 나타나면 실적 상<br />

향도 가능할 전망이다.<br />

투자의견 ‘BUY’ 유지 단<strong>기</strong> 중국 사업 성장성 우려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감은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투자의견 ‘BUY’를 유지<br />

한다. 1분<strong>기</strong> 외형 성장 부진에도 불구<strong>하</strong>고 중국법인 영업이익률 24.1%를 <strong>기</strong>록<strong>하</strong>며 압도<br />

적인 브랜드 파워 유지되고 있고, 3월말 <strong>기</strong>준 중국내 유통 채널이 8,253개에 달해 <strong>현</strong>지<br />

유통망 장악력에도 문제가 없어 중,장<strong>기</strong>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높<strong>기</strong> 때문이다. 과거 중국<br />

매출의 높은 성장성을 고려<strong>하</strong>여 PER 27.0배 ~ 37.0배에서 거래되었던 주가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감은 1<br />

분<strong>기</strong> 실적 발표 이후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시장<strong>대</strong>비 높은 할증률은 여전히 유효<strong>하</strong>다는<br />

판단이다. 연말로 갈수록 1) 중국 유아용품 및 동남아 성장성이 부각되며 주가 리레이팅<br />

요인이 존재<strong>하</strong>고, 2) 잉여<strong>현</strong>금흐름을 활용한 브랜드 M&A, 배당 정책 변화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감이 주가<br />

에 <strong>반</strong>영될 것으로 <strong>기</strong><strong>대</strong>되다는 점이 투자의견 유지의 주요 포인트이다.<br />

84


그림 138> 12m 선행 PER Band<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자료: 락앤락,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증권<br />

>>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85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86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당사는 동 조사분석자료를 <strong>기</strong>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재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strong>하</strong>게 <strong>반</strong>영<strong>하</strong>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신의성실<strong>하</strong>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함.<br />

투자의견 분류: 산업: Overweight(10%이상), Neutral(-10~10%), Underweight(-10%이상) / <strong>기</strong>업: Strong BUY(30%이상), BUY(10~30%), Marketperform(-10~10%), Underperform(-10%이상)<br />

등급: Strong BUY = 4, BUY = 3, Marketperform = 2, Underperform = 1, Blackout/Universe탈락 = 0 ( 주가 -, 적정주가 , 등급 -)<br />

이 보고서는 고객들에게 투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계약의 청약 또는 청약의 유인을 구성<strong>하</strong>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는 당사가 신뢰할 만<strong>하</strong>다고 판단<strong>하</strong>는 자료와 정보에 근거<strong>하</strong>여 해당일 시점의 전문적인 판단을 <strong>반</strong>영한 의견이나 당사가<br />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strong>하</strong>는 것은 아니며 통지 없이 의견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개별 투자는 고객의 판단에 의거<strong>하</strong>여 이루어져야 <strong>하</strong>며, 이 보고서는 여<strong>하</strong>한 형태로도 고객의 투자판단 및 그 결과에 <strong>대</strong>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의 저<br />

작권은 당사에 있으므로 당사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배포 및 변형할 수 없습니다. 이 보고서는 학술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므로, 학술적인 목적으로 이용<strong>하</strong>려는 경우에는 당사에 사전 통보<strong>하</strong>여 동의를 얻으시<strong>기</strong> 바랍니다.<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87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88


<strong>현</strong><strong>대</strong> <strong>스</strong><strong>몰</strong><strong>캡</strong> <strong>하</strong><strong>반</strong><strong>기</strong> <strong>탑</strong><strong>픽</strong><strong>스</strong><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89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