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2014 Views

모듈 4 한국의 농협운동

  • No tags were found...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협법 시행령이 2000 년 3 월 24 일, 시행규칙은 3 월 27 일 각각 제정·공포되었<br />

고 새 중앙회의 정관과 임원선거규약 등은 4 월 17 일 창립총회에서 농·축·인<br />

삼협조합장 1,383 명 중 1,142 명이 참석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의결되었다. 그리<br />

고 5 월 2 일 임시총회에서 통합중앙회장 및 상임감사가 선출되었고, 5 월 12 일<br />

대의원회에서 새 중앙회의 비상임이사(27 명) 및 비상임감사(1 명) 선출되었다. 6<br />

월 2 일 대의원회에서는 농업경제대표이사·신용대표이사 임명동의안이 처리되고,<br />

축산경제대표이사도 축협경제조합장대표자 회의에서 추천되었다. 한편 5 월 17 일<br />

부터 회장당선자, 대표이사(3), 농·축·인삼협조합장이사(3)로 구성된 통합중앙<br />

회 인수위원회를 구성하고, 통합중앙회 출범 실무작업을 추진할 인수단(300 여<br />

명)을 운영하였다.<br />

축협측이 제기한 통합농협에 관한 헌법소원 청구사건에 대해 6 월 1 일 헌법재<br />

판소가 재판관 전원일치 합헌결정을 내려 협동조합중앙회 통합을 두고 둘러싼 논<br />

쟁이 마무리되자, 축협측은 헌법소원 합헌결정에 승복하고 통합중앙회 설립작업<br />

에 참여하였다. 6 월 8 일 설립위원회는 최종회의에서 새 중앙회의 조직편성 방향<br />

과 인사·보수제도 조정방안 등을 심의·확정하여 인수위원회에 권고안을 통보하<br />

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00 년 7 월 1 일 마침내 농·축·인삼협중앙회가 하<br />

나로 통합된 새로운 농협중앙회가 발족하였다.<br />

나. 2 단계 개혁 추진<br />

2000 년 7 월 1 일 통합농협 출범이후 농협은 통합의 효과가 농업인과 회원조<br />

합에 돌아가도록 노력하였다. 먼저 중복되는 조직과 인력을 감축하고, 점포 및 일<br />

부 사업장을 조정·폐쇄하였다. 농협은 이러한 개혁작업을 좀 더 구체적이고 체<br />

계적으로 실천해 나가기 위해 통합농협 발족 100 일을 맞아 농림부와 공동으로<br />

2000 년 9 월 10 일에 2 단계 협동조합개혁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br />

2 단계 협동조합개혁 추진계획에서는 중앙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표이사<br />

중심의 책임경영체제를 구축하고, 조직·인력 재정비 등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br />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중앙회의 경제사업장은 경쟁력과 전문성을 높이고, 일<br />

선조합 육성을 위해 자회사·분사 중심으로 통합·정비하거나 회원조합에 이관하<br />

기로 하였다. 또한 일선조합의 체질을 강화하고 조합원에게 실익을 주는 유통·<br />

경제사업 중심으로 기능을 개편하며, 경영공시 등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주<br />

기적인 감사를 통해 부실조합을 정리해 나가기로 하였다.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