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2013 Views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SHOW MORE
SHOW LESS

Create successful ePaper yourself

Turn your PDF publications into a flip-book with our unique Google optimized e-Paper software.

■ 6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26집<br />

학습자들이 문화간 상호작용에서 야기되는 위기적 상황을 통해 상호<br />

문화에 대한 이해영역을 넓히고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br />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교육목표이다. 우선 주제별 활용가능성을 검토<br />

하고 방법론으로 학생들이 주제에 대해 스스로 반응하게 만든다. 1)<br />

적극적 참여단계: 주제에 대해 정리하고 중요한 사항을 선별하게 한<br />

다(에켄베르거의 1차 행위층위단계 응용). 2) 주제의 세분화 단계: 교<br />

재에 소개된 질문에 대해 함께 스스로 해결방법을 제시하게 한다 (에<br />

켄베르거의 2차 행위층위단계 응용). 3) 토론 단계: 토론을 통해 참여<br />

자들은 고유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관점교환을 통해 <strong>상호문화</strong> 이해의<br />

폭을 넓히도록 한다 (에켄베르거의 2차 행위층위단계 응용). 4) 이해<br />

단계: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어떠한 갈등이 나타나는지 또 이를 위한<br />

극복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이해의 시간을 가진다 (에켄베르거의 3차<br />

행위층위단계 응용). 다음은 실제 강의에서 발표된 학생의 분석자료<br />

를 바탕으로 활용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br />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