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2013 Views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상호문화 교육방안으로서 '비판적 상호작용상황'*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SHOW MORE
SHOW LESS

You also want an ePaper? Increase the reach of your titles

YUMPU automatically turns print PDFs into web optimized ePapers that Google loves.

■ 64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제26집<br />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발표하는 학생들은 비판적 상호작용 상황<br />

을 삽화로 정리하여 다른 참여자들에게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br />

<strong>상호문화</strong> 상호작용에서는 사소한 말 한마디 행동하나가 상대방에<br />

게 잘못 전달되어질 수 있고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호<br />

작용 파트너들이 어떤 감정이나 의도로 상호작용에 임했는지 미리<br />

파악할 수 있다면 비판적 <strong>상호문화</strong>간 갈등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br />

이다. 토마스/브뤼히 사례연구 역시 한·독 비즈니스 <strong>상호문화</strong> 업무상<br />

황에서 한국인들의 행동 및 태도를 에켄베르크의 3차적 주관적 행위<br />

모델에서처럼 주관적으로 오해하여 갈등이 일어나는 사례들을 소개<br />

하고 있다. 토마스/브뤼히 텍스트를 에켄베르크의 이론과 함께 응용<br />

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 참여자들은 갈등상황에서 1차 행위층위과정<br />

을 주제별 사례를 통해 학습한다. 2차 행위과정에서 ‘집단주의와 개<br />

인주의, 업무지향적 행위와 관계지향적 행위, 고맥락 의사소통과 저<br />

맥락 의사소통 같은 문화적 배경을 통해 성찰과 조정 행위층위과정<br />

을 학습한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1, 2차 행위과정을 거쳐 행동 전략<br />

및 의사소통 전략에 따라 주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교육받는다.<br />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사례텍스트를 실제교육에 응용하는 데는 몇<br />

가지 한계점도 나타났다. 실제 외국어 교육에서 토마스/브뤼히 텍스<br />

트 교재에 소개된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 참여자들이 비교 응용하여<br />

간접 체험하고자 하지만 상대 문화에 대한 문화지식의 부족으로 충<br />

분히 공감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비판적 <strong>상호문화</strong> 작용을 위한 응<br />

용시간을 가지지만 모국인 중심으로 역할극이 이루어지다 보니 비판<br />

적 상호작용상황을 위한 경험의 기회가 부족하였다. 또한 외국어가<br />

아닌 모국어로 토론되는 점도 강의 현장의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비<br />

판적 상호작용 교수법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로서 제시되었다.<br />

III.3 방법론적 접근<br />

II.2장에 제기된 한계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론은 이론적 배경

Hooray! Your file is uploaded and ready to be published.

Saved successfully!

Ooh no, something went wrong!